KR102176921B1 -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6921B1 KR102176921B1 KR1020140059311A KR20140059311A KR102176921B1 KR 102176921 B1 KR102176921 B1 KR 102176921B1 KR 1020140059311 A KR1020140059311 A KR 1020140059311A KR 20140059311 A KR20140059311 A KR 20140059311A KR 102176921 B1 KR102176921 B1 KR 102176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se station
- information
- proximity
- ser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pre-organised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4—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access poi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1 Handover를 수행하는 경우 D2D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MME가 HSS로부터 D2D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MME가 기지국(eNodeB)에 D2D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에 D2D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D2D 관련 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CSFB을 수행할 때 단말 및 네트워크에서 신호의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 이동성 관리 엔티티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경로 전환 요청 (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전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MME로부터,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허가 여부에 대한 제1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전환 요청 응답 (path switch request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허가 여부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식별자에 상응하는 제1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PLMN이 상기 제1리스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LMN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소스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허가 여부에 대한 제2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는,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허가 여부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에 상응하는 제2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의 PLMN이 상기 제2리스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LMN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2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의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 이동성 관리 엔티티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경로 전환 요청 (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및 상기 경로 전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MME로부터,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허가 여부에 대한 제1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전환 요청 응답 (path switch request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허가 여부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식별자에 상응하는 제1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PLMN이 상기 제1리스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LMN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스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허가 여부에 대한 제2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및 상기 제2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는,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허가 여부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PLMN 식별자에 상응하는 제2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의 PLMN이 상기 제2리스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LMN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2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 타겟기지국으로부터, 경로 전환 요청 (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전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허가 여부에 대한 제1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전환 요청 응답 (path switch request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허가 여부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식별자에 상응하는 제1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PLMN이 상기 제1리스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LMN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mobility management mntity, MME)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의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 타겟기지국으로부터, 경로 전환 요청 (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경로 전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허가 여부에 대한 제1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전환 요청 응답 (path switch request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단말의 근접 기반 서비스 허가 여부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식별자에 상응하는 제1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PLMN이 상기 제1리스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LMN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근접 기반 서비스 관련 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9311A KR102176921B1 (ko) | 2014-05-16 | 2014-05-16 |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PCT/KR2015/004966 WO2015174804A1 (ko) | 2014-05-16 | 2015-05-18 |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US15/311,844 US10425869B2 (en) | 2014-05-16 | 2015-05-18 | Method and device for service continuity of terminal |
US16/579,729 US11140596B2 (en) | 2014-05-16 | 2019-09-23 | Method and device for service continuity of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9311A KR102176921B1 (ko) | 2014-05-16 | 2014-05-16 |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2796A KR20150132796A (ko) | 2015-11-26 |
KR102176921B1 true KR102176921B1 (ko) | 2020-11-11 |
Family
ID=5448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9311A Expired - Fee Related KR102176921B1 (ko) | 2014-05-16 | 2014-05-16 |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10425869B2 (ko) |
KR (1) | KR102176921B1 (ko) |
WO (1) | WO201517480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6921B1 (ko) * | 2014-05-16 | 2020-11-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US10856194B2 (en) * | 2014-12-30 | 2020-12-01 |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 Cellular handover |
EP3324702A4 (en) * | 2015-08-17 | 2018-08-0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Circuit switched fallback method and apparatus |
US10893455B2 (en) * | 2016-04-01 | 2021-01-12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network slices |
US10887805B2 (en) * | 2016-04-01 | 2021-01-05 | Htc Corporation |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handover |
CN107277823B (zh) * | 2016-04-08 | 2020-02-11 |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 一种增强窄带物联网覆盖的方法及装置 |
CN113411860B (zh) * | 2016-06-22 | 2023-06-0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通信路径变更方法及设备 |
EP3560221B1 (en) * | 2016-12-21 | 2022-02-02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Support of circuit switched service in a 5g core network |
US9924447B1 (en) * | 2017-02-20 | 2018-03-20 | Sprint Spectrum L.P. | Distinguishing between foreground and background communications based on analysis of context information |
US9998908B1 (en) | 2017-03-08 | 2018-06-12 | Sprint Spectrum L.P. | Data transfer management based on predicted roaming status and application behavior |
CN111034301B (zh) * | 2017-08-11 | 2023-12-01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用于支持补充上行链路频率的方法和装置 |
KR20200110374A (ko) * | 2018-02-14 | 2020-09-23 | 구글 엘엘씨 |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 |
KR102452958B1 (ko) * | 2018-04-23 | 2022-10-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X2 핸드오버 동안 베어러 관리 방법 및 장치 |
CN114126013B (zh) * | 2020-08-28 | 2025-02-1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无线制式能力的管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
CN112243223A (zh) * | 2020-10-19 | 2021-01-19 | 深圳市中诺通讯有限公司 | 中心网络节点分配d2d通信的方法及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229931A1 (en) * | 2012-03-02 | 2013-09-0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s of managing terminal performed in base station and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0107B1 (ko) * | 2009-10-28 | 2016-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과 장치 및 그 시스템 |
WO2012161549A2 (ko) * | 2011-05-25 | 2012-1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동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GB2494460B (en) * | 2011-09-12 | 2013-10-23 | Renesas Mobile Corp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to-device discovery procedure |
CN103037450B (zh) * | 2011-09-29 | 2017-01-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通信模式切换的方法和装置 |
KR20130063644A (ko) * | 2011-12-07 | 2013-06-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2d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계층을 포함하는 단말 및 기지국, 이를 이용한 d2d 베어러 설정 방법 |
KR20130065357A (ko) | 2011-12-09 | 2013-06-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815326B1 (ko) | 2012-01-31 | 2018-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기반으로 한 타겟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US9554406B2 (en) * | 2012-03-19 | 2017-01-24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Method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control node using the same |
KR102002155B1 (ko) * | 2012-06-20 | 2019-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US10028204B2 (en) * | 2012-08-24 | 2018-07-17 | Blackberry Limited |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rich communication service context |
KR20150065874A (ko) | 2012-11-09 | 2015-06-15 |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 기지국 및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
KR101944099B1 (ko) * | 2012-12-06 | 2019-04-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간 직접통신을 위한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
KR102112610B1 (ko) | 2013-01-28 | 2020-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장치 간 통신 방법 및 장치 |
US9713182B2 (en) | 2013-01-28 | 2017-07-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KR20140119544A (ko) | 2013-04-01 | 2014-10-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메시지 라우팅 방법 및 장치 |
US20160157056A1 (en) * | 2013-05-05 | 2016-06-0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service discovery to provide proximity service |
US9900810B2 (en) * | 2013-10-03 | 2018-02-2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dio resources for device-to-device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102176921B1 (ko) * | 2014-05-16 | 2020-11-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2014
- 2014-05-16 KR KR1020140059311A patent/KR10217692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05-18 US US15/311,844 patent/US10425869B2/en active Active
- 2015-05-18 WO PCT/KR2015/004966 patent/WO201517480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
- 2019-09-23 US US16/579,729 patent/US1114059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229931A1 (en) * | 2012-03-02 | 2013-09-0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s of managing terminal performed in base station and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425869B2 (en) | 2019-09-24 |
WO2015174804A1 (ko) | 2015-11-19 |
US11140596B2 (en) | 2021-10-05 |
KR20150132796A (ko) | 2015-11-26 |
US20200022047A1 (en) | 2020-01-16 |
US20170094570A1 (en) | 2017-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6921B1 (ko) |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10149216B2 (en) | Method for supporting UE access control | |
KR102110414B1 (ko) | 네트워크 쉐어링을 위한 공용 지역 이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 | |
KR102068679B1 (ko) | 이종 이동 통신 시스템 간 리디렉션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CN104812070B (zh) | 一种ue资源维护和释放的方法和设备 | |
WO2020167087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JP6637617B2 (ja) |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側デバイス、およびユーザ端末 | |
KR101684699B1 (ko) |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
KR102212819B1 (ko) |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 |
CN107708104B (zh) | 辅基站变更的方法及装置 | |
US9894570B2 (en) | Methods of performing cell change without receiving description of resources in a target cell | |
EP3425958B1 (en) | Bearer switching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and network node | |
JP2019510436A (ja) | リソース構成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 |
CN112584453A (zh) | 移动通信网络中的主节点、辅节点和用户设备及其通信方法 | |
US9826450B2 (en) | Method for supporting SIPTO | |
KR102244012B1 (ko) |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들, 사용자 장비 및 셀룰러 네트워크 | |
CN104754690A (zh) | 一种信息获取、上报、通知方法及装置 | |
WO2015172500A1 (zh) | 一种设备到设备资源配置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 |
WO2016000195A1 (zh) | 切换方法、基站及移动管理实体 | |
JP2015527777A (ja) | ソース側,ターゲット側切替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コール切替方法 | |
US991835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rvice of wireless communications | |
US20220287126A1 (en) | Sidelink transmission continuity | |
US12369213B2 (en) | Sidelink transmission continu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