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617B1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4617B1 KR102174617B1 KR1020200063193A KR20200063193A KR102174617B1 KR 102174617 B1 KR102174617 B1 KR 102174617B1 KR 1020200063193 A KR1020200063193 A KR 1020200063193A KR 20200063193 A KR20200063193 A KR 20200063193A KR 102174617 B1 KR102174617 B1 KR 1021746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case
- along
- disposed
-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8373 Neck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4—Head-rests with rods solidly attached to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잠금 모듈(150) 및 편향 모듈(170)만을 확대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에 대한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케이스(130)가 1차로 당겨진 상태를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케이스(130)가 2차로 당겨져 잠금된 상태를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에서 케이스(130)가 3차로 당겨져 승강 부재(165)가 최대로 하강된 상태를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케이스(130)가 기준 위치로 복귀하여 승강 부재(165)가 상승 가능한 상태임을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111: 베이스 프레임 115: 와이어 프레임
130: 케이스 131: 바디부
135: 가이드부 150: 잠금 모듈
151: 위치설정 유닛 161: 걸림 유닛
162: 브라켓 165: 승강 부재
170: 편향 모듈
Claims (14)
-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모듈;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어 하강한 경우에 상기 승강 부재를 하강된 높이에 구속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 또는 상기 브라켓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는 중에 상기 편향 모듈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승강 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직부에 지지된 채로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구비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지지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상대 이동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설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면은,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에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도면은,
상기 제1 빗면이 복수 개로 배치된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빗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 유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유도면의 반대 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른 상기 승강 부재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장착 몸체; 및
상기 장착 몸체에 형성되는 제1 제한턱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승강 몸체;
상기 승강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도면 및 상기 제2 유도면과 접촉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승강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도면에 의해 하강된 경우에 상기 제1 제한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 제한턱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모듈은,
판 스프링인 편향 몸체;
상기 편향 몸체의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해 상대적으로 편향시키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편향 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위치설정 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스테이 모듈;
상기 스테이 모듈 중 일부를 내장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스테이 모듈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어 하강한 경우에 상기 승강 부재를 하강된 높이에 구속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 또는 상기 브라켓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는 중에 상기 편향 모듈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승강 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스테이 모듈;
상기 스테이 모듈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스테이 모듈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의 높이와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최대로 하강하는 높이 간에 승강 가능하게 상기 승강 부재를 수용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설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면은,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에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도면은,
상기 제1 빗면이 복수 개로 배치된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빗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모듈은,
판 스프링인 편향 몸체;
상기 편향 몸체의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해 상대적으로 편향시키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편향 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위치설정 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의 잠금 모듈 중 걸림 유닛이 일 위치에서 걸리는 대상이 되는 위치설정 유닛으로서,
설정 몸체;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에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빗면;
상기 제1 빗면이 복수 개로 배치된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빗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 및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 중 상기 제1 빗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빗면의 반대 측에 상기 제2 빗면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유닛의 승강 부재와 충돌함에 따라 상기 승강 부재를 구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빗면을 향해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해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의 잠금 모듈용 위치설정 유닛.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에서 잠금 모듈의 잠금 작동을 위한 편향력을 제공하는 편향 모듈로서,
판 스프링인 편향 몸체;
상기 편향 몸체의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잠금 모듈의 브라켓을 제1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돌출되면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브라켓에 수용된 승강 부재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중 상기 브라켓과 접촉되는 면과 상기 제2 지지부 중 상기 승강 부재와 접촉되는 면은 서로 간에 둔각을 이루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용 편향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기 편향 몸체가 굽혀져서 형성되는 한 쌍의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지지부보다 돌출되어 위치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용 편향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193A KR102174617B1 (ko) | 2020-05-26 | 2020-05-26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193A KR102174617B1 (ko) | 2020-05-26 | 2020-05-26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4617B1 true KR102174617B1 (ko) | 2020-11-06 |
Family
ID=7357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3193A Expired - Fee Related KR102174617B1 (ko) | 2020-05-26 | 2020-05-26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461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8154A1 (ko) * | 2020-11-05 | 2022-05-12 | (주)현대공업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편향 모듈 |
KR20220080662A (ko) * | 2020-12-07 | 2022-06-14 | (주)디앤엠솔루션즈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4828A (ko) * | 2012-04-10 | 2013-10-21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20190060061A (ko) * | 2017-11-24 | 2019-06-03 | 대원산업 주식회사 |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
KR20200021041A (ko) * | 2018-08-16 | 2020-02-27 | (주)디디디 |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
-
2020
- 2020-05-26 KR KR1020200063193A patent/KR10217461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4828A (ko) * | 2012-04-10 | 2013-10-21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20190060061A (ko) * | 2017-11-24 | 2019-06-03 | 대원산업 주식회사 |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
KR20200021041A (ko) * | 2018-08-16 | 2020-02-27 | (주)디디디 |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8154A1 (ko) * | 2020-11-05 | 2022-05-12 | (주)현대공업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편향 모듈 |
KR20220060870A (ko) * | 2020-11-05 | 2022-05-12 | (주)디앤엠솔루션즈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KR102419989B1 (ko) | 2020-11-05 | 2022-07-13 | (주)디앤엠솔루션즈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KR20220080662A (ko) * | 2020-12-07 | 2022-06-14 | (주)디앤엠솔루션즈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KR20220080657A (ko) * | 2020-12-07 | 2022-06-14 | (주)디앤엠솔루션즈 |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
WO2022154522A1 (ko) * | 2020-12-07 | 2022-07-21 | (주)현대공업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KR102445092B1 (ko) | 2020-12-07 | 2022-09-21 | (주)디앤엠솔루션즈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KR102486229B1 (ko) * | 2020-12-07 | 2023-01-10 | (주)디앤엠솔루션즈 |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49958B2 (en) | Four-way adjustable headrest | |
KR101383094B1 (ko)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
KR102174617B1 (ko)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 |
US10314401B2 (en) |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 |
JP5181790B2 (ja) | ヘッドレスト作動装置 | |
KR101418889B1 (ko) | 헤드레스트 | |
JP4815111B2 (ja) | 車両用シート | |
CA2473484C (en) | A neck rest for the seat of an automobile | |
US9114744B2 (en) | Latchable headrest | |
KR101968031B1 (ko) | 차량 루프용 커버를 구비하는 장치 | |
KR101902770B1 (ko) |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 |
US20250017376A1 (en) | Tiltable armrest assembly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 |
KR101559181B1 (ko) |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 |
KR102154755B1 (ko) | 헤드레스트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 유닛 | |
CN110192734B (zh) | 坐席装置 | |
KR101358653B1 (ko) | 차량용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 |
KR20180036231A (ko) | 자동차 콘솔박스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 |
KR101971148B1 (ko)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
KR102419987B1 (ko) | 헤드레스트 모듈 | |
KR101995345B1 (ko) |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
KR102333282B1 (ko) | 헤드레스트 모듈 | |
KR102043549B1 (ko) | 트랙캠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 |
KR102002710B1 (ko) | 헤드레스트 가이드 어셈블리 | |
JP3776749B2 (ja) | 椅子 | |
US20130099544A1 (en) | Backrest for a mot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