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3094B1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094B1
KR101383094B1 KR1020130018069A KR20130018069A KR101383094B1 KR 101383094 B1 KR101383094 B1 KR 101383094B1 KR 1020130018069 A KR1020130018069 A KR 1020130018069A KR 20130018069 A KR20130018069 A KR 20130018069A KR 101383094 B1 KR101383094 B1 KR 10138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lock
lock pin
headr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3001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094B1/ko
Priority to PCT/KR2014/001338 priority patent/WO2014129798A1/en
Priority to JP2015517210A priority patent/JP5852290B2/ja
Priority to CN201480001371.XA priority patent/CN105102264B/zh
Priority to US14/403,825 priority patent/US9403458B2/en
Priority to BR112014029629A priority patent/BR112014029629A2/pt
Priority to DE112014000095.7T priority patent/DE112014000095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0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4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4Head-rests with rods solidly attached to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미들커버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치형이 배치되는 락킹 커버와,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형에 삽입되는 락핀이 설치되는 락핀 플레이트와, 스테이로드의 수직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락플레이트와,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락핀 플레이트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락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여, 하나의 버튼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와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커버는 일체로 형성되어, 장치의 유격 및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 및 제조비용이 저렴해지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Headrest Mov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단순한 구조로 하나의 버튼 누름 동작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와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전면과 후면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장치의 유격 및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 및 제조비용이 저렴해지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6302485호 및 제7322646호 및 제7669932호 및 제7758126호에는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헤드레스트가 폴딩 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미국특허 제6302485호 및 제7322646호 및 제7669932호 및 및 제7758126호는 헤드레스트를 폴딩시키는 버튼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6880890호 및 제6910740호에는 버튼을 누르면 헤드레스트가 회동되어 헤드레스트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미국특허 제6880890호 및 제6910740호는 헤드레스트의 전후 각도를 조절하는 버튼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6068337호 및 제7306287호 및 제7621598호 및 제5711579호 및 미국공개특허 제2011-0148171호에는 버튼을 누르면 헤드레스트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미국특허 제6068337호 및 제7306287호 및 제7621598호 및 제5711579호 및 미국공개특허 제2011-0148171호는 헤드레스트의 상하 높이 조절 버튼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4265482호에는 버튼을 누르면 헤드레스트이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미국특허 제4265482호는 헤드레스트의 전후 조절 버튼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2-80926호에는 버튼 하나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의 상하 이동 및 전후 이동을 시킬 수 있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2-80926호는 록플레이트에 연동된 리프 스프링을 변형시켜 로킹을 해제하는 방법으로 헤드레스트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공개특허 제2012-80926호는 내부 구조가 복잡해서 조립성이 떨어지고 제품 가격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7267407호는 헤드레스트의 바닥 개구부에 대응되는 모양을 갖는 바닥 커버와 바닥 커버와 헤드레스트 사이에 배치되어 래칫 포스트를 잠그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래칫 포스트의 잠금 해제 방향으로 움직여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래칫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래칫 어셈블리는 래칫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커버는 바닥부를 둘러싸며 헤드레스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부를 갖고, 상기 바닥부는 헤드레스트의 외면 아래에 위치되고, 높이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외측에 배치된다.
한국특허출원 제2011-0089135호(미공개상태임)는 헤드레스트의 커버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미들 커버와, 중공부를 관통하는 락핀과 중공부를 관통하는 리어 플레이트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하는 락플레이트가 배치되고, 락플레이트를 누르는 버튼이 헤드레스트에 구비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한국특허출원 제2011-0089135호는 헤드레스트의 높이 및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장치가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배치되고, 미들 커버에 락플레이트를 둘러싸며 헤드레스트의 외부에 배치되는 베젤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미국특허 제7267407호와 차별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특허출원 제2011-0089135호의 헤드레스트는 전방 커버가 후방 커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장치에 유격이 발생하고,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구조가 복잡하며, 조립성이 떨어지고, 제품 가격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2011-0089135호의 치형은 전방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 커버와 치형부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해야 되어 장치의 중량이 증대되고 체결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유격 및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 및 제조비용이 저렴해지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미들커버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치형이 배치되는 락킹 커버와,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형에 삽입되는 락핀이 설치되는 락핀 플레이트와, 스테이로드의 수직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락플레이트와,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락핀 플레이트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락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커버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커버는 상기 후방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미들 커버에는 상기 락킹 커버를 둘러싸도록 볼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버튼은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부의 내벽에는 세레이션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에는 상기 수직부가 끼워지는 수직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부싱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부관통공에는 상기 부싱부가 끼워지며, 상기 미들 커버 하부에는 상기 락핀 플레이트가 삽입되며,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는 락핀 플레이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락핀 플레이트에는 연동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플레이트에는 상기 연동돌출부가 관통되는 연동돌출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락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바닥커버가 상기 미들 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미들커버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치형이 배치되는 락킹 커버와,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형에 삽입되는 락핀이 설치되는 락핀 플레이트와, 스테이로드의 수직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락플레이트와,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락핀 플레이트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락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여, 하나의 버튼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와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커버는 일체로 형성되어, 장치의 유격 및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 및 제조비용이 저렴해진다.
상기 커버는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커버는 상기 후방 커버에 고정되어, 조립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미들 커버에는 상기 락킹 커버를 둘러싸도록 볼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락킹 커버가 원활하게 상기 미들 커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에는 제1인슐레이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미들 커버와 상기 락플레이트 사이에는 제3인슐레이터부재가 배치되어,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미들 커버 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부딪히더라도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부의 내벽에는 세레이션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와 상기 베젤부 사이에 마찰이 감소되어 상기 버튼부를 누르는 작동력이 감소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미들 커버에는 상기 수직부가 끼워지는 수직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부싱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부관통공에는 상기 부싱부가 끼워져서, 상기 수직부에 대해 상기 미들 커버가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작동 소음 및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미들 커버 하부에는 상기 락핀 플레이트가 삽입되며,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는 락핀 플레이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락핀 플레이트에는 연동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플레이트에는 상기 연동돌출부가 관통되는 연동돌출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락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바닥커버가 상기 미들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미들 커버에 용이하게 락핀 플레이트 및 락플레이트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양측 및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버튼이 설치되어,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방 커버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후방 커버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버튼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미들 커버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미들 커버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부싱부 사시도.
도 8는 도 1의 락킹 커버 사시도.
도 9은 도 1의 볼 베어링과 베어링 커버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락핀 플레이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제3인슐레이터부재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락플레이트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바닥커버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결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결합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서 전방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정면도.
도 17은 도 14에서 후방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배면도.
도 18은 도 14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도 18의 평면도.
도 21은 도 18의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커버와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전후이동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a, b, c는 락킹 커버 부분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a',b',c'는 락킹 커버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전후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상하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a, b, c는 락플레이트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부싱부는 생략된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전면(111)과 후면(121)을 포함하는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부(203)가 형성되는 미들커버(200)와, 상기 중공부(203)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100)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치형(301)이 배치되는 락킹 커버(300)와, 상기 미들 커버(20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형(301)에 삽입되는 락핀(410)이 설치되는 락핀 플레이트(400)와, 스테이로드(700)의 수직부(710)가 관통되는 관통공(501)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20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핀 플레이트(400)에 연결되는 락플레이트(500)와, 상기 락플레이트(500) 또는 락핀 플레이트(400)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900)과, 상기 락플레이트(5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전면(111)과 상기 후면(121)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커버(100)는 일체로 형성된다.
커버(100)는 전면(111)과 후면(121)을 포함한다.
커버(100)는 전면(111)과 후면(121)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00)는 전방 커버(110)와, 전방 커버(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커버(120)를 포함하며, 전방 커버(110)는 후방 커버(120)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나아가, 커버(100)는 양측 및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커버(130)를 더 포함한다.
전방 커버(110)는 전면(111)과 전면(111)의 배면 양측에 형성되는 전방 양측벽(116)과, 전면(111)의 배면 하부에 형성되는 전방 바닥(117)을 포함한다.
전면(111)의 배면의 상부 양측 및 전방 바닥(117)의 하부 양측에는 결합후크(118)가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전방 바닥(117)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결합후크(118)의 내측에는 결합가이드돌기(118b)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결합후크(118)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전면(111)의 배면 하부에는 하부커버 걸림턱(118c)이 형성된다.
전방 양측벽(116)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끼움홈(116a)이 형성된다.
전면(111)의 배면 중간 부분에는 가이드판(114)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판(114)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리브가 형성되어, 가이드판(114)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전면(111)의 배면에는 가이드판(114) 하부에 배치되도록 락킹커버 연결부(115)가 형성된다.
전면(111)의 배면에는 이하에서 서술되는 제1인슐레이터부재(810)가 안착되는 안착홈(112)이 형성된다.
전면(111)의 배면의 상부 양측에는 끼움파이프부(118a)가 형성된다.
전면(111)의 배면에는 가이드판(114)의 양측 하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부(119)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전면(111)의 배면 양측에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를 결합하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용 전후가이드봉(113)이 형성된다. 전후가이드봉(113)의 외주면에는 전후가이드봉(113)이 미들커버(200)의 상단에 있는 가이드봉관통공(205)에 끼워진 상태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전후리브(113a)가 형성된다.
후방 커버(120)는 후면(121)과 후면(121)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는 후방 양측벽(126)과, 후면(12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후방 바닥(127)을 포함한다.
후방 커버(120)에는 결합후크(118)가 삽입되는 후크체결공(128)이 형성된다.
후방 커버(120)에는 결합가이드돌기(118b)가 삽입되는 가이드구멍(128b)가 형성된다.
후방 바닥(127)의 하부에는 하부커버 후크체결공이 형성된다.
후방 양측벽(126)에는 끼움홈(116a)에 연통되는 끼움홈(126a)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후방 양측벽(126)에는 하부커버 후크체결공(126b)이 형성된다.
후면(121)의 전면 중간 부분에는 가이드판(124)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후면(121)의 전면에는 가이드판(124) 하부에 배치되도록 락킹커버 연결부(125)가 형성된다.
후면(121)의 전면에는 제1인슐레이터부재(810)가 안착되는 안착홈(1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면(111)과 후면(121) 사이에는 제1인슐레이터부재(810)가 배치된다. 제1인슐레이터부재(810)는 스폰지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00)가 스테이로드(7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움직일때 커버(100)와 스테이로드(700)가 부딪히더라도 소음이 발생되거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후면(121)의 전면의 상부 양측에는 끼움파이프부(118a)가 삽입되는 끼움부(128a)가 형성된다.
끼움파이프부(118a) 및 끼움부(128a)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스테이로드(700)의 수평부(720)와 선접촉 되도록 전후방향으로 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인 돌기가 형성된다.
후면(121)의 전면에는 가이드부(119)에 체결되는 전후가이드봉(129)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전후가이드봉(129)의 외주면에도 리브가 형성되어, 헤드레스트가 전후 이동시 미들 커버(200)와 선접촉되도록 하여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19)와 전후가이드봉(129)은 가이드 역할을 한다.
후면(121)의 전면에는 전후가이드봉(113)에 볼트체결되는 전후가이드봉(123)이 형성된다. 전후가이드봉(123)의 외주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전후리브가 형성된다.
또한, 전방 양측벽(116)과 후방 양측벽(126)에는 이하 서술되는 버튼이 관통되는 버튼 관통공이 형성된다.
하부 커버(130)는 전방 양측벽(116)과 후방 양측벽(126)의 외측에 배치되는 측벽(131)과, 측벽(131)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137)을 포함한다.
측벽(131)의 내측 상부에는 하부커버 후크체결공(126b)에 체결되는 체결후크(132)가 형성된다.
측벽(131)의 내측에서 체결후크(132) 하부에는 끼움홈(116a, 126a)에 끼워지는 돌출편(133)이 형성된다.
바닥(137)의 상부 전방과 후방에는 하부커버 걸림턱(118c)과, 상기 하부커버 후크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후크(138, 135)가 형성된다.
바닥(137)에는 스테이로드(700)의 수직부(710)가 관통되는 장공(134)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닥(137) 상부에는 장공(134)의 후방을 둘러싸도록 수직부(710)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쪽 측벽(131)에는 상기 버튼의 베젤부(140)가 관통하는 버튼관통공(136)이 형성된다.
한쪽 측벽(131)에는 베젤부(14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버튼이 전방 커버(110') 또는 후방 커버(12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버튼부(160)와 상기 버튼부(160)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젤부(140)와 버튼부(160)를 복귀시키는 버튼복귀스프링(150)을 포함한다.
버튼부(160)는 베젤부(140)에 후크를 통해 체결되어, 베젤부(140)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베젤부(140)는 버튼부(160)가 안착되는 안착홈(142)이 형성된다.
베젤부(140)의 내벽에는 세레이션부(141)가 형성된다. 세레이션부(141)의 단면형상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베젤부(140)와 버튼부(160)는 선접촉하여 버튼부(160)와 베젤부(140) 사이에 마찰이 감소되어 버튼부(160)를 누르는 작동력이 감소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베젤부(140)를 둘러싸는 플랜지부(143)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사용자 감성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버튼복귀스프링(150)은 베젤부(140)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끼움봉에 끼워진다.
미들커버(200)는 커버(100) 내부에 배치되어 전면(111)과 후면(121) 사이에 배치되며, 중공부(203)가 형성된다.
미들커버(200)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22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에는 중앙에 중공부(203)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본체부(210)에는 중공부(203)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돌출부(213)가 형성된다. 가이드돌출부(213)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본체부(210) 하부에는 중공부(203)에 연통되는 락핀 플레이트 삽입공(206)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체부(210)에는 락핀 플레이트 삽입공(206)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락핀 플레이트 가이드구멍(202)가 형성된다.
본체부(210)의 양측에는 수직부(710)가 끼워지는 수직부관통공(217)이 형성된다.
본체부(210)에는 수직부관통공(217)에 연통되도록 부싱체결공(216)이 형성된다.
본체부(210)의 전방 하부 및 후방 하부 양측에는 체결돌기관통공(215)이 형성되고, 체결돌기관통공(215)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체결후크끼움공(214)이 형성된다.
본체부(210)의 양측에는 중공부(203)와 수직부관통공(217)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후가이드구멍(204)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전후가이드구멍(204)에는 가이드부(119)와 전후가이드봉(129)이 관통된다.
또한, 본체부(210)의 후면에는 전후가이드구멍(204) 하부에 배치되도록 바닥커버볼팅체결부(218)가 형성된다. 바닥커버볼팅체결부(218)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본체부(210)에는 중공부(203)에 연통되도록 중공부(203) 상부 및 하부에 베어링커버 끼움홈(219)이 형성된다.
본체부(210)의 하부 양측에는 락플레이트(500)의 끼움공(513)을 관통하여 바닥커버(600)에 형성된 돌출부끼움공(640) 내측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돌출부(211)가 형성된다.
가이드돌출부(211)에는 제3인슐레이터부재(830)가 끼워진다.
제3인슐레이터부재(830)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돌출부(211)가 끼워지는 돌출부끼움공(831)이 형성된다.
제3인슐레이터부재(830)는 전방과 후방에 플레이트삽입홈(832)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제3인슐레이터부재(830)의 상부와 하부의 전방과 후방에는 플레이트삽입홈(832)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이격돌기(833)가 형성된다.
이격돌기(833)로 인해 제3인슐레이터부재(830)는 인접한 부재와 선접촉되어 마찰면적이 최소화된다. 이러한 제3인슐레이터부재(830)는 범퍼 역할을 하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본체부(210)의 하부에는 복귀스프링지지판(212) 두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부(220)는 가이드부전면(221)과 가이드부전면(221)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후면(221)과 가이드부전면(221) 및 가이드부후면(2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부측면(223)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전면(221) 및 가이드부후면(221)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전면(221) 및 가이드부후면(221)의 하부 중간 부분에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가이드부측면(223)은 수평단면형상이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부싱끼움공(201)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싱끼움공(201)은 수직부관통공(217)에 연통된다.
가이드부측면(223)의 상부 외측에는 전후가이드파이프(22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후가이드파이프(224)에는 전후가이드봉(113, 123)이 관통되는 가이드봉관통공(205)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양측 가이드봉관통공(205)의 사이간격은 양측 전후가이드구멍(204)의 사이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헤드레스트가 미들 커버(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부싱끼움공(201) 및 수직부관통공(217)에는 부싱부(840)가 끼워진다.
따라서, 미들 커버(200)와 수직부(710) 사이에는 부싱부(840)가 배치된다.
부싱부(840)에는 수직부(710)가 관통하는 스테이로드관통공(845)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부싱부(840)는 가이드부(220) 내부에 배치되는 윗부분(840a)과, 본체부(210) 내부에 배치되는 중간부분(840b)와, 중간부분(840b)의 하부에 배치되는 아랫부분(840c)을 포함한다.
윗부분(840a)에는 내측을 향해 절개부(841)가 형성된다. 절개부(841)는 가이드부(220)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이격공간과 연통된다.
부싱부(840) 내측에는 지지돌출부(842)가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형성되어, 수직부(710)와의 접촉면적은 최소화하되 수직부(710)를 안정적을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중간부분(840b)에는 전방과 후방에 탄성지지편(843)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탄성지지편(843)의 내벽은 수직단면형상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중간부분(840b)의 전방과 후방에는 부싱체결공(216)에 끼워지는 체결후크(844)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후크(844)로 인해 부싱부(840)는 미들 커버(200)에 원터치로 설치된다.
중간부분(840b)의 전방 상하부 양측과 후방 상하부 양측 내벽에는 굴곡진 형상을 한 지지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아랫부분(840c)에는 양측에 인출공(847)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고, 인출공(847)에 연통되도록 인출공(847)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하부절개부(846)가 형성된다.
이러한 부싱부(840)로 인해, 수직부(710)에 대해 미들 커버(200)가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작동 소음 및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락킹 커버(300)는 중공부(203)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100)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치형(301)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락킹 커버(300)는 전방 커버(110)와 분리되도록 구비되어, 장치의 전체 중량이 감소하게 되고 체결력도 증대된다. 예를 들어, 커버(100)의 재질은 HDPE로 하고, 락킹 커버(300)의 재질은 PA66으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질을 다르게 할 수 있어서 장치의 중량이 감소된다. 또한, 커버(100)의 체결부 형상을 증대하여 결속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락킹 커버(300)는 중앙에 락킹커버 연결부(115,125)가 끼워지는 관통공(302)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락킹 커버(300)의 좌측에는 치형(30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치형(301)의 전면은 경사지고 후면은 수직하게 형성된다.
락킹 커버(300) 상부 및 하부에는 가이드돌출부(213)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03)이 형성된다.
락킹 커버(300) 상부에는 치형(301)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스토퍼(30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스토퍼(304)는 미들 커버(200)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안착홈에 안착되어 미들 커버(200)에 걸리게 되어, 미들 커버(200)에 대해 락킹 커버(300)가 정해진 거리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락킹 커버(300)에서 치형(301)이 형성된 면의 내벽에는 보강리브(305)가 형성된다.
미들 커버(200)에는 락킹 커버(300)를 둘러싸도록 볼 베어링(320)이 설치된다. 볼 베어링(320)은 베어링 커버(310)에 의해서 미들 커버(200)에 설치된다.
베어링 커버(310)의 상하부 전후 양측에는 볼 베어링(320)이 끼워지는 베어링끼움공이 형성된다.
베어링 커버(310)의 일측에는 절개부(313)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베어링 커버(310)에는 락킹 커버(300)가 관통되는 락킹 커버 관통공(312)이 형성된다.
베어링 커버(310) 상하부 에는 베어링커버 끼움홈(219)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돌기(311)로 인해 베어링 커버(310)는 미들 커버(200)에 고정된다.
이러한 볼 베어링(320)으로 인해, 락킹 커버(300)가 원활하게 미들 커버(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락핀 플레이트(400)는 미들 커버(20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치형(301)에 삽입되는 락핀(410)이 설치된다.
락핀 플레이트(400)는 "⊃"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어링 커버(310)를 둘러싸는 몸체부(430)와, 몸체부(430)의 끝단 상하부에 형성되는 핀설치판부(420)와, 몸체부(430)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동돌출부(440)를 포함한다.
몸체부(430)의 상부에는 가이드구멍(20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출부(431)가 형성된다.
연동돌출부(440)에는 내측을 향하도록 제1복귀스프링(910)이 끼워지는 복귀스프링끼움돌기(441)가 형성된다.
핀설치판부(420)에는 두개의 핀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다.
하부에 배치되는 핀설치판부(420)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돌기(421)가 형성된다.
락핀(410)은 락핀 플레이트(400)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락플레이트(500)는 수평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510)와 본체부(510)의 우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누름전달부(520)를 포함한다.
본체부(510) 양측에는 스테이로드(700)의 수직부(710)가 관통되는 관통공(501)이 형성된다.
나아가, 본체부(510) 내부에는 관통공(501) 일측에 배치되어 수직부(710)에 형성된 걸림홈(711)에 삽입되는 인서트부재(530)가 삽입된다.
이러한 스틸 소재의 인서트부재(530)를 본체부(510)에 인서트 사출 또는 조립방식을 통해 삽입하여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하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관통공(501)의 좌우 폭은 수직부(710)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락플레이트(500)가 수직부(71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본체부(510)에는 제3인슐레이터부재(830) 및 가이드돌출부(211)가 끼워지는 끼움공(513)이 형성된다.
본체부(510)에는 연동돌출부(440)가 관통되는 연동돌출부 관통공(511)이 형성되어, 락플레이트(500)는 락핀 플레이트(400)에 연결된다.
본체부(510)에는 이하 서술되는 복귀스프링(900)이 배치되는 스프링삽입공(514)이 형성된다. 두개의 스프링삽입공(514) 중 하나는 연동돌출부관통공(51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두개의 스프링삽입공(514)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부(510) 하부에는 제2복귀스프링(920)이 끼워지는 스프링끼움돌기(512)가 형성된다.
본체부(510) 상부에는 락핀 플레이트(400)를 지지하는 지지돌기(515)가 형성된다.
락플레이트(500)는 미들 커버(200) 하부에 배치되고, 락플레이트(500)를 지지하는 바닥커버(600)가 미들 커버(200)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락플레이트(500)는 미들 커버(20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닥커버(6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락플레이트(500) 하부에 배치된다.
바닥커버(600)의 전후방 및 좌측 둘레에는 둘레벽(630)이 형성된다.
바닥커버(600)의 양측에는 수직부(710)가 관통되는 스테이로드관통공(610)이 형성된다.
바닥커버(600)의 전후방 양측에는 체결후크끼움공(214)에 끼워지는 체결후크(650)가 형성된다.
바닥커버(600)의 전후방 양측에는 체결돌기관통공(215)에 끼워지는 체결돌기(620)가 형성된다.
바닥커버(600)의 상면에는 제3인슐레이터부재(830)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 및 가이드돌출부(211)가 끼워지는 돌출부끼움공(640)이 형성된다.
바닥커버(600)의 상면에는 복귀스프링(900) 및 연동돌출부(440)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660)이 형성된다.
복귀스프링(900)은 락핀 플레이트(400)를 복귀시키는 제1복귀스프링(910)과, 락플레이트(500)를 복귀시키는 제2복귀스프링(92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누름전달부(5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락플레이트(5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미들 커버(200)를 뒤집어서, 미들 커버(200)의 수직부관통공(217)에 스테이로드(700)를 끼워넣고, 스테이로드(700)에 부싱부(840)를 조립하여 끼워넣고, 락핀 플레이트 삽입공(206)에 락핀 플레이트(400)를 끼워넣는다. 이어서, 뒤집어진 미들 커버(200)에 락플레이트(500)를 올려놓고, 복귀스프링(900)을 스프링끼움돌기(441)에 끼워넣는다. 이어서, 뒤집어진 미들 커버(200)에 락플레이트(500) 위에 바닥커버(600)를 올려놓은 다음에 바닥커버(600)를 누르면 체결후크(650)가 체결후크끼움공(214)에 끼워지면서 바닥커버(600)는 미들 커버(200)에 고정된다.
이어서, 중공부(203)에 볼 베어링(320)이 조립된 볼베어링커버(310)가 끼워지고 내부에 락킹 커버(300)를 끼워넣는다.
제1인슐레이터부재(810)를 전방 커버(110)와 후방 커버(120)의 안착홈(112, 122)에 안착시키고, 전방 커버(110)와 후방 커버(120) 사이에 미들 커버(200)를 위치시킨 후에, 후크체결공(128)에 결합후크(118)를 삽입하여 가조립한 후에 볼팅하여 전방 커버(110)와 후방 커버(120)를 일체화한다.
이어서 커버(100)의 전방과 후방과 측부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쿠션부재(미도시)와, 상기 쿠션부재 상부에 외피부재를 끼우고 하부 커버(130)에 상기 버튼을 조립한 후에 하부 커버(130)의 후크체결공에 체결후크(138, 135)를 체결하여 하부 커버(130)를 전방 커버(110)와 후방 커버(120)에 조립하면 헤드레스트가 완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 또는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버튼의 버튼부(160)를 누르면 누름전달부(520)로 누르는 힘이 전달되어, 도 23의 (b), (b') 및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700)의 걸림홈(711)에 끼워져 있던 락플레이트(500)는 걸림홈(711)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미들 커버(200) 및 커버(100)는 스테이로드(70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즉, 헤드레스트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락플레이트(5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23의 (b),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핀 플레이트(400)도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치형(301)에 삽입되어 있던 락핀(410)은 치형(30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락킹이 해제되어 락킹 커버(300) 및 커버(100)는 미들 커버(20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즉, 헤드레스트는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락킹 커버(300)의 치형(301)의 형상 및 스테이로드(700)의 걸림홈(711) 형상이 "ㄷ"형상인 경우 전후상하 이동시 모두 상기 버튼을 눌러야 하며,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일측이 경사진 형상인 경우에는 전방 방향 및 상방 방향으로는 락킹이 되지 않아서 전방 방향 및 상방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버튼의 누름 없이도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전방 또는 상방으로 외력을 가하면) 헤드레스트가 이동되며, 후방 방향 및 하방 방향으로는 락킹이 되어 후방 방향 및 하방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버튼을 누르면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한번의 버튼부(160) 누름 동작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하 락킹 및 후 락킹이 동시에 해제되어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후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조절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커버(110)와 후방 커버(120)는 일체로 되어 스테이로드(7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치의 유격 및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 및 제조비용이 저렴해진다.
사용자가 버튼부(16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도 23의 (c), (c') 및 도 2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핀 플레이트(400) 및 락플레이트(500)는 복귀스프링(900)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도 2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500)는 걸림홈(711)에 걸려서 헤드레스트의 상하위치가 락킹되고, 도 23의 (c),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핀(410)은 치형(301)에 삽입되어 헤드레스트의 전후위치가 락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커버 110 : 전방 커버
111 : 전면 120 : 후방 커버
121 : 후면 130 : 하부 커버
140 : 베젤부 141 : 세레이션부
150 : 버튼복귀스프링 160 : 버튼부
200 : 미들 커버 203 : 중공부
300 : 락킹 커버 301 : 치형
310 : 베어링 커버 320 : 볼 베어링
400 : 락핀 플레이트 410 : 락핀
500 : 락플레이트 501 : 관통공
600 : 바닥커버 700 : 스테이로드
710 : 수직부 720 : 수평부
711 : 걸림홈 810 : 제1인슐레이터부재
830 : 제3인슐레이터부재
840 : 부싱부 900 : 복귀스프링

Claims (6)

  1.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미들커버;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치형이 배치되는 락킹 커버;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형에 삽입되는 락핀이 설치되는 락핀 플레이트;
    스테이로드의 수직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락플레이트;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락핀 플레이트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
    상기 락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커버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커버는 상기 후방 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커버에는 상기 락킹 커버를 둘러싸도록 볼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커버에는 상기 수직부가 끼워지는 수직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부싱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부관통공에는 상기 부싱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커버 하부에는 상기 락핀 플레이트가 삽입되며,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는 락핀 플레이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락핀 플레이트에는 연동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플레이트에는 상기 연동돌출부가 관통되는 연동돌출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락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바닥커버가 상기 미들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30018069A 2013-02-20 2013-02-2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Active KR10138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69A KR101383094B1 (ko) 2013-02-20 2013-02-2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CT/KR2014/001338 WO2014129798A1 (en) 2013-02-20 2014-02-19 Headrest moving device
JP2015517210A JP5852290B2 (ja) 2013-02-20 2014-02-19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CN201480001371.XA CN105102264B (zh) 2013-02-20 2014-02-19 头枕运动装置
US14/403,825 US9403458B2 (en) 2013-02-20 2014-02-19 Headrest moving device
BR112014029629A BR112014029629A2 (pt) 2013-02-20 2014-02-19 dispositivo de movimento de encosto de cabeça
DE112014000095.7T DE112014000095B4 (de) 2013-02-20 2014-02-19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Kopfstütz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69A KR101383094B1 (ko) 2013-02-20 2013-02-2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094B1 true KR101383094B1 (ko) 2014-04-08

Family

ID=5065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069A Active KR101383094B1 (ko) 2013-02-20 2013-02-2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03458B2 (ko)
JP (1) JP5852290B2 (ko)
KR (1) KR101383094B1 (ko)
CN (1) CN105102264B (ko)
BR (1) BR112014029629A2 (ko)
DE (1) DE112014000095B4 (ko)
WO (1) WO201412979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56B1 (ko) 2017-07-18 2018-07-2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109720254A (zh) * 2019-03-11 2019-05-07 上海国琻汽车科技有限公司 四向头枕
KR102091220B1 (ko) 2018-10-04 2020-03-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KR102122712B1 (ko) 2019-03-05 2020-06-1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KR20220060870A (ko) * 2020-11-05 2022-05-12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0815B2 (en) * 2012-11-29 2015-02-10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Four-way adjustable headrest
KR101570427B1 (ko) 2014-07-11 2015-11-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EP3059117B1 (de) * 2015-02-20 2019-04-03 Grammer Ag Kopfstütze
DE102015011477B4 (de) 2015-02-20 2023-08-03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JP6513967B2 (ja) * 2015-02-26 2019-05-15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JP6488155B2 (ja) * 2015-03-06 2019-03-20 株式会社タチエス ヘッドレスト
FR3036666B1 (fr) * 2015-05-29 2018-11-0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appui-tete
DE102016110496A1 (de) * 2016-06-07 2017-12-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CN106427695B (zh) * 2016-08-24 2018-11-20 浙江栋马童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儿童车的移动座椅开合锁
WO2018076230A1 (en) * 2016-10-27 2018-05-03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Headrest assembly
FR3069499B1 (fr) * 2017-07-25 2019-09-06 Cera Tsc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KR101971148B1 (ko) * 2017-09-26 2019-04-22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US11142108B2 (en) 2018-04-20 2021-10-12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Bushing arrangement for headrest assembly
CN112040811B (zh) 2018-08-06 2024-09-27 岱美北美汽车股份有限公司 包括减少bsr的锁定构造的头枕组件
KR102075552B1 (ko) * 2018-08-07 2020-02-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E102018214952B3 (de) 2018-09-03 2019-08-14 Magna Seating (Germany) Gmbh Verstellbare Kopfstützenanordn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DE102018218909B3 (de) 2018-11-06 2019-08-14 Magna Seating (Germany) Gmbh Verstellbare Kopfstützenanordn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CN111409529A (zh) * 2020-04-15 2020-07-14 北京星光俊海汽车配件有限公司 竖向调节头枕的调节件及多向调节的头枕
CN114407746B (zh) * 2022-02-21 2022-11-29 舟山市银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折叠头枕的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756A (ja) 1998-09-14 2000-03-28 Araco Corp ヘッドレスト
KR20090065725A (ko) * 2007-12-18 2009-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록킹장치
KR20110026180A (ko) *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231013B1 (ko) 2011-09-02 2013-02-0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736Y2 (ko) * 1977-11-30 1982-04-01
JPS5621321Y2 (ko) * 1978-08-23 1981-05-20
DE19523358C8 (de) 1995-06-28 2006-01-26 Volkswagen Ag Arretiermechanismus für eine Kopfstütze
ES2188886T3 (es) 1997-11-14 2003-07-01 Bruzolo Manifatt Gestind Mb Sapoya-cabezas para asientos de automoviles.
JP4280950B2 (ja) 1999-08-09 2009-06-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US6910740B2 (en) 2002-12-09 2005-06-28 Camaco Articulated headrestraint system
US6880890B1 (en) 2004-02-05 2005-04-19 Fisher Dynamics Corporation Multi-position headrest for vehicle seat
DE102004059237B3 (de) * 2004-12-08 2006-02-23 Grammer Ag Kopfstütze für Fahrzeugsitze
FR2881694B1 (fr) 2005-02-04 2008-07-25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guidage en translation avec blocage en position notamment pour des elements ajustables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7322646B2 (en) 2005-11-02 2008-01-29 Lear Corporation Folding head restraint mechanism
US7669932B1 (en) 2006-02-28 2010-03-02 Grammer A.G. Headrest
US7267407B1 (en) 2006-02-28 2007-09-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ead restraint adjustment and trim closeout apparatus and method
US7621598B2 (en) 2006-10-03 2009-11-24 Lear Corporation Adjustabl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DE102007048151B3 (de) * 2007-09-04 2009-01-22 Lear Corporation, Southfield Einstellbare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7871129B2 (en) * 2007-12-05 2011-01-18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US7758126B2 (en) 2008-01-10 2010-07-20 Honda Motor Co., Ltd. Folding headrest
DE102008039398B3 (de) * 2008-08-22 2009-12-17 Lear Corporation, Southfield Verstellbare Kopfstütz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DE102009038631B4 (de) * 2008-11-14 2011-03-17 Grammer Ag Kopfstütze für Fahrzeugsitze
US7954899B2 (en) * 2008-12-22 2011-06-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at back assembly with an adjustable headrest
US8376465B2 (en) * 2009-07-07 2013-02-19 Lear Corporatio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for vehicle seats
FR2954241B1 (fr) 2009-12-23 2012-02-17 Faurecia Sieges D Automobiles Appui-tete reglable en hauteur pour un dossier de siege d'automobile
DE102010041942B4 (de) * 2010-10-04 2013-01-17 Lear Corporation Bewegliche Kopfstützen für Fahrzeugsitze
DE102010041941A1 (de) * 2010-10-04 2012-04-05 Lear Corporation Bewegliche Kopfstützen für Fahrzeugsitze
KR101275089B1 (ko) * 2011-12-01 2013-06-1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327391B1 (ko) * 2012-04-10 2013-11-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EP2867061A4 (en) * 2012-06-27 2016-04-06 Porter Group Llc ARRANGEMENT OF A VEHICLE HEADREST WITH VERTICAL AND LENGTH ADJUSTMENT
CN102717735B (zh) * 2012-06-28 2014-12-17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补偿式运动机构
US8950815B2 (en) * 2012-11-29 2015-02-10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Four-way adjustable headres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756A (ja) 1998-09-14 2000-03-28 Araco Corp ヘッドレスト
KR20090065725A (ko) * 2007-12-18 2009-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록킹장치
KR20110026180A (ko) *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231013B1 (ko) 2011-09-02 2013-02-0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56B1 (ko) 2017-07-18 2018-07-2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WO2019017669A1 (en) * 2017-07-18 2019-01-24 Woobo Tech Co., Ltd. DEVICE FOR MOVING HEADREST
US10974632B2 (en) 2017-07-18 2021-04-13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KR102091220B1 (ko) 2018-10-04 2020-03-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KR102122712B1 (ko) 2019-03-05 2020-06-1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CN109720254A (zh) * 2019-03-11 2019-05-07 上海国琻汽车科技有限公司 四向头枕
CN109720254B (zh) * 2019-03-11 2023-08-29 上海国琻汽车科技有限公司 四向头枕
KR20220060870A (ko) * 2020-11-05 2022-05-12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2419989B1 (ko) 2020-11-05 2022-07-13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KR102644383B1 (ko) 2021-12-17 2024-03-08 주식회사 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02264B (zh) 2017-04-19
CN105102264A (zh) 2015-11-25
US9403458B2 (en) 2016-08-02
DE112014000095B4 (de) 2019-12-05
WO2014129798A1 (en) 2014-08-28
DE112014000095T5 (de) 2015-01-22
BR112014029629A2 (pt) 2017-06-27
US20150145310A1 (en) 2015-05-28
JP5852290B2 (ja) 2016-02-03
JP2015519173A (ja)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09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10449881B2 (en) Head rest
CN110869242B (zh) 头枕移动装置
US8360522B2 (en) Vehicle seat
US9457700B2 (en) Head rest
US9446695B2 (en) Head rest
US20140203157A1 (en) Vehicle seat sliding device
WO2000010430A1 (fr) Support d'appui-tete
JP6996970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2902254A1 (en) Head rest
JP5728281B2 (ja) ロック装置
JP5710831B1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KR10187034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2019163022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93681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995345B1 (ko)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JP2008080905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97250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2021160648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220027533A (ko) 헤드레스트 모듈
JP743626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593048B1 (ko)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JP2024067403A (ja) 椅子
JP2021160647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5104304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