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2588B1 -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588B1
KR102172588B1 KR1020190051951A KR20190051951A KR102172588B1 KR 102172588 B1 KR102172588 B1 KR 102172588B1 KR 1020190051951 A KR1020190051951 A KR 1020190051951A KR 20190051951 A KR20190051951 A KR 20190051951A KR 102172588 B1 KR102172588 B1 KR 102172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portable terminal
album
photo
recogniz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수
임준성
안수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5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5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은 전시 공간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동영상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촬영된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연계된 사진은 휴대형 단말을 통해 인식되어 연계된 동영상이 재생된다.

Description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MOVING PICTURE ALBUM PRODUCTION METHOD AND SYSTEM FOR EXHIBITION HALL SPECTATOR}
본 발명은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관람객의 사진에 관람객과 관련되고 전시관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연계하고 사진의 인식에 따라 연계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동영상 수집 및 제작이 쉬워져 QR 코드와 같은 매개를 통해 특정 동영상 접근을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QR 코드를 인식하면 스마트폰은 QR 코드와 연계된 동영상을 검색하고 재생한다. QR 코드의 인식과 대응하는 동영상의 재생은 스마트폰에서 QR 코드를 인식하고 QR 코드 내에 표시된 동영상 주소를 인식하고 동영상 제공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되는 동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QR 코드를 매개로 하는 동영상 재생은 과학관, 박물관, 미술관 등의 전시관에서 적용될 수 있다. 즉, 특정 전시물의 인접 위치에 QR 코드를 표시하고 관람객의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인식하면 특정 전시물과 관련된 동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매개를 활용한 동영상 재생은 특정 동영상을 쉽게 재생할 수 있으나 그 활용에 한계가 존재한다. QR 코드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이미지 코드로서 구성되기에 연관된 동영상이 어떠한 동영상인지를 바로 알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대신에, 사진을 매개로 동영상을 재생하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시장을 방문하는 동안 관람객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관람객의 사진이나 전시물의 사진에 동영상을 매칭시켜 동영상 앨범을 제공한다면 관람객에게는 여러 재미와 추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QR 코드를 매개로 하는 동영상 재생의 한계에서 벗어나서 사진을 매개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전시관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사진에 연계하고 사진의 인식에 따라 촬영된 동영상을 재생 가능토록 하는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람객의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와 동영상을 연계시켜 동영상 앨범 제작시에 관람객과 관련되는 동영상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을 휴대형 단말이 인식한 경우 대응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고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재생 모드에 따라 동영상을 계속 재생할 수 있는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은 카메라가 전시 공간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촬영된 동영상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가 촬영된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연계된 사진이 휴대형 단말을 통해 인식되어 연계된 동영상이 재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은 카메라가 전시 공간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무선신호 중계기가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형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촬영된 동영상과 하나 이상의 휴대형단말 정보를 맵핑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가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촬영된 동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하는 단계; 및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가 선택된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휴대형 단말의 카메라이거나 전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카메라이거나 전시 공간을 이동하는 로봇에 설치된 카메라이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동영상 촬영 중에 휴대형 단말에서 송출되는 프로브 신호로부터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의 맥(MAC) 주소를 수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에서 인식된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에 맵핑되어 있는 동영상을 추천한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단계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과 동영상을 맵핑시켜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동영상 앨범 제작 이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인식된 얼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한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에 있어서, 휴대형 단말이 인쇄된 동영상 앨범의 사진을 인식하는 단계; 및 휴대형 단말이 인식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는, 제1 모드에서 동영상 재생 중에 사진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재생을 중지하고, 이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제2 모드에서 재생중인 동영상을 사진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도 계속 재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이용자의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촬영된 동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추천하고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동영상과 사진을 연계하여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의 휴대형 단말의 맥 주소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맥 주소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추천한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 앨범 제작 이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인식된 얼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은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 전시 공간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촬영된 동영상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형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신호 중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중계기는 동영상 촬영 중에 휴대형 단말에서 송출되는 프로브 신호로부터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의 맥(MAC) 주소를 수집하고, 상기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는 인식된 휴대형 단말의 맥 주소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에 맵핑되어 있는 동영상을 추천한다.
상기한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된 동영상 앨범의 사진을 인식하는 휴대형 단말;을 더 포함하고, 인식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기 휴대형 단말은, 제1 모드에서 동영상 재생 중에 사진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재생을 중지하고, 이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제2 모드에서 재생중인 동영상을 사진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도 계속 재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다운로드 서버는,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다운로드 요청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통신 모듈; 상기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을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은,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가 전시 공간에서 촬영된 동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추천하는 단계; 및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가 선택된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은 전시관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사진에 연계하고 사진의 인식에 따라 촬영된 동영상을 재생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은 관람객이 가진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와 동영상을 연계시켜 동영상 앨범 제작시에 관람객과 관련되는 동영상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은 사진을 휴대형 단말이 인식한 경우 대응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고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재생 모드에 따라 동영상을 계속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의 예시적인 장치간 연결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동영상 앨범 제작과 제작된 동영상 앨범의 사진과 연계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동영상 재생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의 예시적인 장치간 연결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예와 같이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은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 카메라(200), 무선신호 중계기(300), 휴대형 단말(400) 및 관리 서버(500)를 포함하고 다운로드 서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은 과학관, 박물관, 미술관 등의 전시장(전시 공간)에 적용하여 전시 공간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관람객의 사진이나 관람객이 선택한 사진에 연계하여 동영상 앨범을 제작하고 동영상 앨범에 인쇄된 사진의 인식시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휴대형 단말(400) 등에서 재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각 장치를 간단히 살펴보면, 카메라(200)는 전시 공간 내에 설치되어 렌즈를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의 동영상을 촬영한다. 전시 공간 내에는 다수의 카메라(20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시장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전시물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카메라(20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00)는 전시 공간 내를 자율 이동하는 로봇에 설치되어 이동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그 외,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00)는 이용자(관람객)가 휴대하는 휴대형 단말(400)에 설치되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적어도, 카메라(200)는 고정 또는 이동하면서 전시 공간 내에서 렌즈를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촬영한다.
무선신호 중계기(300)는 유/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을 변환하여 전시 공간 내에 무선신호로 송출하거나 전시 공간 내의 무선신호의 통신 패킷을 인식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로 통신 패킷을 송출할 수 있다. 무선신호 중계기(300)는 근거리의 무선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기기로서 예를 들어 와이파이용 연결되는 무선 AP(Access Poin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 중계기(30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와이파이)를 통해 인식 가능한 휴대형 단말(400)의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400)에서 발신하는 프로브(Probe) 신호를 인식하여 인식 가능한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400)의 정보를 수집한다.
휴대형단말 정보는 적어도 프로브 신호에 포함된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나아가 신호 세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는 예를 들어 맥(MAC) 주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신호 중계기(300)는 카메라(200)를 통한 동영상의 촬영 중에 인접한 휴대형 단말(400)에서 송출되는 프로브 신호로부터 휴대형 단말(400)의 맥 주소를 수집하고 각 휴대형 단말(400)의 수집된 맥 주소를 포함하는 휴대형단말 정보를 관리 서버(500)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무선신호 중계기(300)는 카메라(200)에 일대일 매칭되거나 단일의 무선신호 중계기(300)가 여러 카메라(200)에 대응하여 매칭될 수 있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는 사진과 동영상을 연계하여 동영상 앨범을 제작한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는 전시 공간에 설치되어 특정 전시 공간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사용자에게 제공된 사진에 연계시키고 연계된 일련의 사진을 출력 탬플릿(동영상 앨범 탬플릿)에 포맷팅하고 인쇄하여 동영상 앨범을 구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터미널,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전용 기기 등일 수 있다. 일 예의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는 전시 공간 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터미널, 전용 기기 등일 수 있고 다른 예의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는 이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기능은 휴대형 단말(400)의 앱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는 프린터 등을 구비하거나 프린터에 연결되어 약속된 포맷에 따라 선택된 일련의 사진들을 프린트 또는 인화하여 종이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휴대형 단말(400)은 이용자(관람객)가 휴대하는 단말이다. 휴대형 단말(4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은 내부에 앱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동영상 앨범의 사진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은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와 터치 패드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동영상 앨범용 앱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앱 프로그램은 앱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앨범 프레임(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일정한 영역)에서 동영상 앨범의 사진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검색하여 검색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휴대형 단말(40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관리 서버(500)는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을 관리한다.
관리 서버(500)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와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를 구비하고 전시 공간 등에서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에 저장한다.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는 사진 및 사진에 연계된 동영상을 서로 맵핑시켜 저장한다.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는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500)는 다수의 서버로 분산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500)는 동영상 저장 및 처리하기 위한 동영상 서버, 연계된 사진-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사진 서버 등으로 분산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설계 예에 따라, 관리 서버(500)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에 구성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50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다운로드 서버(600)는 프로그램을 휴대형 단말(400) 및/또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서버이다.
다운로드 서버(600)는 통신 모듈, 저장 모듈 및 제어 모듈 등을 구비한다. 통신 모듈은 통신 칩셋 등을 구비하여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휴대형 단말(400)이나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다운로드 요청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앱)을 전송한다. 저장 모듈은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를 구비하여 다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적어도 저장 모듈은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어 모듈은 프로세서 등을 구비하여 통신 모듈을 통해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이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저장 모듈의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을 통신 모듈로 전달하여 다운로드 요청한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 등으로 전송한다.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은 이하에서 살펴볼 동영상 앨범 제작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은 동영상 앨범 제작과 관련하여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일련의 과정(도 3의 단계 S107 내지 단계 S111)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은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에 의해 전시 공간에서 촬영된 동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추천하는 과정(단계)과 선택된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과정(단계)를 수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서버, 기기 등이 연결되고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유/무선 네트워크는 이더넷, 와이파이, 광통신, 이동통신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근거리 네트워크를 형성하거나 광대역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프린트부(160), 연결부(170),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설계 예에 따라, 도 2의 일부 블록이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이 도 2의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는 전시 공간 내에 설치되어 전시 공간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이용자의 사진이나 전시 공간 등에서 입수 가능한 사진 등에 결합하여 동영상 앨범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통해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비하여 제어부(19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진을 선택하기 위한 각종 이미지, 사진과 동영상을 연계하기 위한 각종 이미지, 이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각종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각종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20)는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사진 선택, 동영상 연결 등을 위한 각종 입력을 이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각종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130)는 스피커, LED 등을 구비하여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각종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칩셋을 적어도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다운로드 서버(600)로부터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관리 서버(500) 등으로부터 각종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동영상 앨범 제작을 위해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을 적어도 저장하고 그 외 각종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영구히 또는 임시 저장한다.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은 다운로드 서버(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저장부(150)는 다운로드 서버(600) 등에 액세스하고 프로그램을 내려받기 위한 프로그램(앱 프로그램, 브라우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린트부(160)는 프린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거나 프린터를 포함하여 동영상 앨범을 출력한다. 프린트부(160)는 프린터에 구비된 종이나 인화지 등에 동영상에 연계된 일련의 사진들, 아울러 관련된 텍스트 및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연결부(170)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 내부의 블록 사이에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부(170)는 시리얼 버스, 병렬 버스, GPIO 등을 포함하거나 통해 제어부(190)로부터의 데이터를 다른 블록으로 전달하거나 임의의 블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80)는 이용자의 휴대형 단말(400) 등과 같은 외부기기와 인터페이스하여 외부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80)는 착탈식 메모리 인터페이스, USB,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하드웨어 칩셋이나 로직, 회로 등을 구비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80)는 휴대형 단말(400)로부터 휴대형 단말(4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수신하거나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를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저장부(150)의 각종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블록들을 제어하여 프로그램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90) CPU, MPU, 프로세서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각종 프로그램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저장부(150)의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다운로드 서버(600)에 액세스하고 다운로드 서버(600)의 프로그램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요청을 통신부(140)를 통해 다운로드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다운로드 요청에 따른 동영상 앨범 제작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서버(600)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동영상 동영상 앨범 제작기기가 휴대형 단말인 경우 앨범 제작 프로그램에 의한 인식으로,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한 휴대형 단말(400)의 인식으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식별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는 예를 들어 맥(MAC) 주소일 수 있다. 이 맥 주소는 와이파이 통신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인식된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500)의)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에서 촬영된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추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이용자의 휴대형 단말(400)의 맥 주소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를 검색하고 통신부(140)를 통해 맥 주소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관리 서버(500)로부터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표시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진들이나 휴대형 단말(400)로부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사진들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추천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과 표시된 사진들을 연계하기 위한 입력을 입력부(120)를 통해 받고 선택된 동영상과 사진을 연계하여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에 사용자 정보(사용자 ID, 맥 주소 등과 같이 사용자를 특정하거나 휴대형 단말(400)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연계된 하나 이상의 사진 및 동영상과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해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500)가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에 사진 및 동영상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이용한 동영상 추천의 대안으로, 제어부(190)는 동영상 앨범 제작 이용자의 얼굴을 구비된 카메라(입력부(120)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한다. 제어부(190)는 인식된 얼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에서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인식된 얼굴의 특징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500)가 특징 데이터와 지정된 유사도 이상을 가지는 얼굴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검색하여 추천 동영상으로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로 전송하고 제어부(190)가 통신부(140)를 통해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동영상 앨범 제작과 제작된 동영상 앨범의 사진과 연계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시 공간 내의 하나 이상의 카메라(200) 각각은 구비된 렌즈를 통해 동영상을 촬영(S101)한다. 카메라(200)는 휴대형 단말(400)에 구비된 카메라이거나 전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카메라이거나 전시 공간을 이동하는 로봇에 설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200)는 촬영된 동영상과 카메라 식별정보, 촬영 시간 등을 포함하는 동영상 정보를 구성하여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500)는 수신된 동영상 정보를 임시 저장한다. 카메라 식별정보는 카메라(200)의 유형에 따라 해당 카메라(2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식별정보는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맥 주소, 휴대전화번호 등), 고정 카메라(200)의 식별자(예를 들어, ID나 맥 주소 등)나 이동 로봇의 식별자(예를 들어, ID나 맥 주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식별정보는 카메라(200)의 유형에 따라 카메라(200)의 현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시간은 촬영 연월일, 촬영 시작 시각, 촬영 종료 시각, 촬영 기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카메라(200)를 통한 동영상 촬영과 병행하여, 전시 공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무선신호 중계기(300) 각각은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휴대형단말 정보를 수집(S103)한다. 예를 들어 무선 AP인 무선신호 중계기(300)는 임의의 휴대형 단말(400)들로부터 발신되는 프로브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프로브 신호에서 휴대형 단말(400)들의 맥(MAC) 주소를 수집할 수 있다.
무선신호 중계기(300)는 수집된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휴대형단말 정보와 수집 시간 및 무선신호 중계기(300)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수집 정보를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500)는 수신된 수집 정보를 임시 저장한다. 수집 시간은 수집 정보의 수집 연월일, 수집 시작 시각, 수집 종료 시각, 수집 기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무선신호 중계기(300)의 식별 정보는 적어도 무선신호 중계기(300)가 설치되는 위치나 연계된 카메라(200)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무선신호 중계기(300)의 식별자(ID), 무선신호 중계기(30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연계된 카메라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신호 중계기(300)는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주변에 위치하여 카메라(200) 주변의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동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관리 서버(500)는 촬영된 동영상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500)는 임시 저장된 동영상 정보의 동영상과 수집 정보의 휴대형단말 정보를 맵핑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에 저장(S105)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500)는 임시 저장된 동영상 정보의 카메라 식별정보와 수집 정보의 무선신호 중계기(300)의 식별 정보의 관계에 따라 동영상 정보의 동영상을 수집 정보의 휴대형단말 정보에 맵핑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500)는, 동일한 시간에 또는 동일한 시간 범위에서 촬영된 동영상 정보와 수집 정보를 대상으로, 동영상을 촬영한 카메라(200)에 인접하는 위치의(또는 연결되거나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무선신호 중계기(300)로부터의 휴대형단말 정보를 동영상에 맵핑하여 촬영 시간이나 수집 시간과 함께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200)와 무선신호 중계기(300)의 인접 위치(또는 연결이나 설정) 판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카메라(200)의 ID와 무선신호 중계기(300)의 ID가 미리 매칭되거나 이동 로봇이나 휴대형 단말(400)의 위치 정보가 무선신호 중계기(300)가 설치되는 위치와 비교되어 그 인접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맵핑되어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는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일반 이용자는 자신이 인접하게 위치하였거나 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는 동영상을 쉽게 검색할 수 있고 이용자와 관련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동영상 앨범을 제작할 수 있다.
전시 공간 등에 설치되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는 동영상 앨범을 제작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동영상을 추천(S107)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제어부(190)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사용자 인증 등이나 입력을 통해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식별한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통신부(140)를 통해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영상 검색 요청을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500)는 수신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를 검색하고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에서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휴대형단말 정보에 맵핑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검색한다.
관리 서버(500)는 검색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로 전송하고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수신된 동영상 리스트(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 시간 및/또는 위치 정보 등을 표시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여 추천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를 이용한 동영상 추천의 대안이나 병행하여,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입력부(120)를 통해 동영상 앨범 제작 이용자의 얼굴을 인식한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통신부(140)를 통해 인식된 얼굴 특징을 포함하는 동영상 검색 요청을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500)는 수신된 얼굴 특징을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를 검색하고 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1)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얼굴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검색한다.
관리 서버(500)는 검색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로 전송하고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수신된 동영상 리스트(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 시간 및/또는 위치 정보 등을 표시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나 얼굴과 연계된 동영상을 추천하여 선택 가능한 관련 후보 동영상 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동영상에 연계될 사진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외부기기에 저장된 사진들을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하고 이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들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사진들과 추천되는 동영상들 중 선택되는 사진과 맵핑되는 동영상은 서로 연계되어 동영상 앨범으로 이후 제작될 수 있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촬영된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S109)한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된 사진들 중 하나의 사진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표시된 추천 동영상들 중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동영상과 선택된 사진을 연계한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선택된 동영상과 사진 페어를 입력부(120)를 통한 이용자 입력으로 하나 이상 구성하고 각각의 동영상과 사진 페어를 서로 맵핑시켜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에 저장한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이용자의 ID와 함께, 하나 이상의 선택된 동영상과 맵핑된 사진 페어를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500)는 이용자 ID에 선택된 동영상과 맵핑된 사진 페어 각각을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에 저장한다.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에 저장되고 사진에 맵핑되어 있는 동영상은 이후 맵핑된 사진의 인식에 따라 재생될 수 있다.
이후, 동영상과 사진의 선택과 맵핑이 완료됨에 따라,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동영상 앨범을 제작(S111)한다.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100)(의 제어부(190))는 선택된 동영상과 사진 페어 중 사진들을 동영상 앨범 탬플릿에 포맷팅하여 프린트부(160)를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종이 등에 인쇄된 사진들을 가지는 동영상 앨범(제본 등을 통한 동영상 앨범도 제작 가능)을 가질 수 있다. 이용자는 사진뿐 아니라 텍스트를 각 사진에 맵핑시켜 인쇄할 수 있다.
그 후 휴대형 단말(400)은 구비된 앱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동영상 앨범에 표시된 사진을 구비된 카메라(200)를 통해 인식(S113)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400)의 앱 프로그램은 휴대형 단말(400)의 디스플레이상에 사진 앨범 프레임을 표시한다. 사진 앨범 프레임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이 사진 앨범 프레임 내에 동영상 앨범의 사진이 위치될 수 있다. 사진 앨범 프레임은 사각형의 표시를 구비하거나 그 표시가 생략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의 디스플레이상의 사진 앨범 프레임 내에 카메라(200)를 통해 사진이 인식되고 휴대형 단말(400)은 인식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을 재생(S115)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400)은 관리 서버(500)의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받은 하나 이상의 사진 및 동영상 페어에서 인식된 사진과 동일하거나 지정된 유사도 이상을 가지는 사진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진(동일하거나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지는 사진)에 맵핑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는, 휴대형 단말(400)은 인식된 사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검색 요청을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500)가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503)에서 사진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지정된 유사도 이상의 사진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진(동일하거나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지는 사진)에 맵핑된 동영상을 휴대형 단말(400)로 전송하고 휴대형 단말(400)은 수신된 동영상을 재생한다.
도 4는 동영상 재생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일반 모드에서의 동영상 재생 방식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동영상 분리모드에서 동영상 재생 방식을 나타낸다.
일반 모드(이하 '제1 모드'라고도 함)에서는 휴대형 단말(400)은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상(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의 사진 앨범 프레임내)에 동영상 앨범의 사진이 인식되는 동안 동영상을 재생하고 디스플레이(의 사진 앨범 프레임내)에 동영상 앨범의 사진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 재생을 중지한다.
또는, 휴대형 단말(400)은 동영상 재생 동안 동영상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수신에 따라 동영상 분리모드(이하 '제2 모드'라고도 함)로 설정하고 동영상 분리모드에서 휴대형 단말(400)은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사진 앨범 프레임내)에서의 사진의 인식 여부와 상관없이(즉, 사진이 인식되지 않더라도) 인식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재생한다. 이렇게 동영상 분리모드를 구비하여 이용자는 사진 인식을 시킨 이후에 동영상 앨범(의 사진)과 동영상과 사진을 같이 볼 수 있다. 동영상 분리모드에서 일반 모드로의 전환은 휴대형 단말(400)의 임의의 입력(예를 들어, 백 버튼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용자는 임의의 전시 공간에서 사진과 연계되는 동영상 앨범을 편리하게 구성하고 사진에 맵핑되고 이용자와 관련된 동영상을 사진 인식에 따라 자동 재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통신부
150 : 저장부 160 : 프린트부
170 : 연결부 180 :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
190 : 제어부
200 : 카메라
300 : 무선신호 중계기
400 : 휴대형 단말
500 : 관리 서버
501 :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503 :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
600 : 다운로드 서버

Claims (15)

  1. 카메라가 전시 공간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촬영된 동영상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가 촬영된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단계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과 동영상을 맵핑시켜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한 동영상과 맵핑된 사진을 포함하는 동영상 앨범을 인쇄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인쇄된 동영상 앨범의 사진을 인식토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형 단말이 인식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상기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을 상기 휴대형 단말이 재생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2. 카메라가 전시 공간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무선신호 중계기가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형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촬영된 동영상과 하나 이상의 휴대형단말 정보를 맵핑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가 촬영된 동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하는 단계; 및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가 선택된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에 사진을 연계하는 단계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과 동영상을 맵핑시켜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한 동영상과 맵핑된 사진을 포함하는 동영상 앨범을 인쇄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인쇄된 동영상 앨범의 사진을 인식토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형 단말이 인식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상기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을 상기 휴대형 단말이 재생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시 공간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는 휴대형 단말의 카메라이거나 전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카메라이거나 전시 공간을 이동하는 로봇에 설치된 카메라인,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동영상 촬영 중에 휴대형 단말에서 송출되는 프로브 신호로부터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의 맥(MAC) 주소를 수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에서 인식된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에 맵핑되어 있는 동영상을 추천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하는 단계는, 동영상 앨범 제작 이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인식된 얼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는,
    제1 모드에서 동영상 재생 중에 사진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재생을 중지하고, 이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제2 모드에서 재생중인 동영상을 사진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도 계속 재생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9.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촬영된 동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추천하고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동영상과 사진을 연계하여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연계된 동영상과 사진 중의 사진을 포함하는 동영상 앨범이 인쇄되도록 하며,
    휴대형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인쇄된 동영상 앨범의 사진을 인식하면, 상기 휴대형 단말이 인식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상기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을 상기 휴대형 단말이 재생토록 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의 휴대형 단말의 맥 주소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맥 주소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추천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 앨범 제작 이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인식된 얼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추천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
  1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촬영된 동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추천하고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동영상과 사진을 연계하여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
    전시 공간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촬영된 동영상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는 상기한 연계된 동영상과 사진 중의 사진을 포함하는 동영상 앨범이 인쇄되도록 하며,
    휴대형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인쇄된 동영상 앨범의 사진을 인식하면, 상기 휴대형 단말이 인식한 사진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상기 사진-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을 상기 휴대형 단말이 재생토록 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형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신호 중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중계기는 동영상 촬영 중에 휴대형 단말에서 송출되는 프로브 신호로부터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의 맥(MAC) 주소를 수집하고,
    상기 동영상 앨범 제작 기기는 인식된 휴대형 단말의 맥 주소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의 식별자에 맵핑되어 있는 동영상을 추천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은, 제1 모드에서 동영상 재생 중에 사진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재생을 중지하고, 이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제2 모드에서 재생중인 동영상을 사진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도 계속 재생하는,
    동영상 앨범 제작 시스템.
  15. 삭제
KR1020190051951A 2019-05-03 2019-05-03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Active KR102172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951A KR102172588B1 (ko) 2019-05-03 2019-05-03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951A KR102172588B1 (ko) 2019-05-03 2019-05-03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588B1 true KR102172588B1 (ko) 2020-11-02

Family

ID=7339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951A Active KR102172588B1 (ko) 2019-05-03 2019-05-03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474A (ko) 2022-11-01 2024-05-09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씨 영상 결합형 졸업앨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68B1 (ko) * 2009-02-17 2012-04-24 손은숙 특정 지점에서의 영상 촬영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7129A (ko) * 2013-11-18 2015-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68B1 (ko) * 2009-02-17 2012-04-24 손은숙 특정 지점에서의 영상 촬영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7129A (ko) * 2013-11-18 2015-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474A (ko) 2022-11-01 2024-05-09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씨 영상 결합형 졸업앨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813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querying and obtaining user identification
JP6074725B2 (ja) 電子機器
JP7187395B2 (ja) 通信端末、通信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12128538A2 (ko) 식별 코드 처리 시스템, 그의 식별 코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9640125B (zh) 视频内容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JP2008547126A (ja) 携帯装置のための予め構成された設定
WO2017157135A1 (zh) 媒体信息处理方法及媒体信息处理装置、存储介质
WO2014050956A1 (ja) 撮影機器、撮影システム、撮影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CN109618192A (zh) 播放视频的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JP2004096270A (ja) 撮像システム
US201702515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CN106326328B (zh) 图像发送装置、图像发送方法以及记录介质
KR102172588B1 (ko)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CN111641774B (zh) 中继终端、通信系统、输入系统、中继控制方法
KR20120076492A (ko) 사용자 상황 인식 기반의 가상 체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46324A (ja) ユーザ端末、物体認識サーバ、通知方法及びユーザ端末用プログラム
JP2005123940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6113323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撮像方法
CN113010723B (zh) 电子设备、服务器的控制方法和装置
JP6089515B2 (ja) 画像加工装置、画像加工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523941A (zh) 基于云识别技术的室内伴随导游方法及装置
JP202500643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715795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034126A (ja) 撮像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20045559A (ko) 전자 경매 히스토리 기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