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0764B1 -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764B1
KR102170764B1 KR1020180135007A KR20180135007A KR102170764B1 KR 102170764 B1 KR102170764 B1 KR 102170764B1 KR 1020180135007 A KR1020180135007 A KR 1020180135007A KR 20180135007 A KR20180135007 A KR 20180135007A KR 102170764 B1 KR102170764 B1 KR 10217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active ingredient
retinol
nanostructured li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997A (ko
Inventor
곽상헌
김재영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8013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7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인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 조성을 갖는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를 함유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유효성분인 레티놀, 글루타티온, 토코페롤이, 전달체의 매트릭스를 이루는 액상형 지질과 고형 지질에 의해 안정도가 높아지고, 이를 0.001중량% 내지 1중량%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개선효과가 월등히 높은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ning Active Ingredient Stabilized By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본 발명은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유효성분을 안정화시킨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유효성분의 안정화를 높이고,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을 혼합하여 주름개선효능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스킨케어에 있어서, 피부노화 완화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높다. 피부 노화에 대한 징후로는 주름과 색소 침착 등이 있으나, 가장 큰 징후는 주름이다. 피부 노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효능 성분으로는 레티놀, 글루타티온, 토코페롤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능 물질들은 저장 안정도가 낮기 때문에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런 관계로 레티놀의 안정화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를 안정화시킨 것을 살펴보면, 형태에 따라 유ㆍ수용성 항산화제, 킬레이트의 종류를 변화시켜 안정화시킨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불안정한 레티놀을 산소, 수분, 열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할 수 없으므로 오랜 시간 레티놀의 효과적인 안정화는 어렵다.
또한 미국특허 등록번호 제5,855,826호는 콜라겐 또는 콘드로이친황산나트륨과 같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으로 만들어진 캡슐 속에 레티놀을 포접시켜 1차 안정화시키고 겔란(Gellan)검으로 1차 안정화된 캡슐을 매트릭스화시켜 2차 안정화시킨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겔란검에 의한 2차 안정화는 오픈 매트릭스시스템으로 되어 있어 산소, 수분, 열에 아주 민감한 레티놀을 산소, 수분, 열과의 접촉으로부터 쉽게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우므로 레티놀의 안정화에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616호는 토코페롤의 저장안정성을 높이고자 NLC를 적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8838호는 항산화효과를 보이는 팜유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의 저장안정성을 높이고자 NLC를 적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들은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의 저장 안정성과 효과증진을 모두 구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논의한 적이 없는 바, 본 발명에서 이에 대해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인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의 저장 안정성을 높이고, 피부주름개선효과가 월등히 높은 화장료 조성물을 발명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를 함유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중량%의 범위를 갖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상성분 60 내지 95중량%, 지질성분 1 내지 10중량%, 유효성분 0.001 내지 30중량%를 함유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레티놀이 0.001 내지 10중량%, 글루타티온이 0.001 내지 10중량% 및 토코페롤이 0.001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성분은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을 1~3 : 1~3 : 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증진된 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유효성분의 종류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의 주름 거칠기 평균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유효성분의 함량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의 주름 거칠기 평균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유효성분 조성비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의 주름 거칠기 평균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함량에 따른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거칠기 평균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레티놀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적용한 전달체로는 나노구조의 지질 전달체(NLC;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이다. NLC의 경우, 매트릭스 내에 고형지질 및 액상지질 양자가 존재하여, 유용성 활성 성분의 캡슐화 능력의 증가를 유도한다[Muller, R. H. et al. Adv. Drug Deliv. Rev. 54 (Suppl. 1): S131-S155 (2002)].
본 발명은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레티놀과 글루타티온,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0.001 내지 10중량%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중량% 함유된다.
본 발명의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물을 함유하는 수상성분 60 내지 95중량%, 지질을 함유하는 유상성분 1 내지 10중량%, 유효성분 0.001 내지 3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상성분은 정제수, 폴리솔베이트80,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메틸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EDTA-2Na, 소듐클로라이드, 베타인, 트레할로오스, 피이지-32, 피이지-75, 폴리쿼터늄-5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자일리톨, 소듐피씨에이, 에리스리톨, 푸코오스, 글루코오스, 라피노오스, 말토스, 만니톨, 알란토인 및 카보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질성분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틸팔미테이트, 베헤닐 알코올, 스핑고미엘린, 레시틴, 엘라이드산,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C12-13알킬락테이트, C12-15알킬벤조에이트, 글라이콜팔미테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다이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C5-9애씨드에스터, 네오헵타노산 및 트리데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세틸팔미테이트 두가지를 포함한다.
상기 유효성분은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레티놀은 0.001 내지 10중량%의 범위, 글루타티온은 0.001 내지 10중량%의 범위 및 토코페롤은 0.001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내에서 유효성분인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의 총 함량은 0.0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성분은 0.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혼합비는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이 1 내지 3 : 1 내지 3 : 1 내지 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 추출성분, 미백, 주름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화장료의 기능성 부여를 위해 수상 또는 유상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유효성분 안정화를 위한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제조
액상지질 및 고형지질 조성비에 대한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수상성분 정제수 87.50 87.50 87.50 87.50 87.50 87.50
폴리솔베이트80 2.50 2.50 2.50 2.50 2.50 2.50
지질성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0 4.00 3.00 2.00 1.00 0.00
세틸팔미테이트 0.00 1.00 2.00 3.00 4.00 5.00
유효성분 레티놀 5.00 5.00 5.00 5.00 5.00 5.00
총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제조예 1 내지 6의 실시 방법은 모두 동일하며, 액상지질 및 고형지질 조성비를 달리하였다. 먼저,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지질성분의 재결정화를 막기 위하여 상기 오일 상의 녹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오일 상을 용해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75℃에서 용해가 실시되었다. 수상성분은 지질성분의 투입 시 용이한 교반을 위하여 지질성분과 동일한 온도인 75℃로 가온하였다. 용해된 지질성분에 유효성분인 레티놀을 혼합 교반한다. 이후 수상성분에 (지질성분+유효성분)을 투입 후 3000rpm에서 균질기로 5분간 유화시킨다. 유화가 끝나면 이를 마이크로플로우다이저를 통하여 75℃상태에서 800bar의 압력으로 3번 순환시킨 뒤 30℃이하로 냉각한다.
[실시예 2]: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제조: 유효성분 종류 선택
유효성분 종류에 대한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성분 제조예 2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수상성분 정제수 89.50 89.50 89.50 89.50 89.50
폴리솔베이트80 2.50 2.50 2.50 2.50 2.50
지질성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0 4.00 4.00 4.00 4.00
세틸팔미테이트 1.00 1.00 1.00 1.00 1.00
유효성분 레티놀 3.00 1.00
글루타티온 3.00 1.00
토코페롤 3.00 1.00
팜유 파이토뉴트리먼트 3.00
총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유효성분의 종류 및 조성을 달리하였다. 제조예 9의 팜유 파이토뉴트리언트는 효능 및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시료는 항산화 물질인 팜유 파이토뉴트리언트를 적용한 NLC 제조방법 관련 특허[특허등록번호 10-1828838-0000]에 따라 천연 팜유와 알콜을 반응시켜 알킬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을 형성하고 알킬 에스테르를 진공 증류하여 얻은 농축액을 적용하였다.
[실시예 3]: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제조: 유효성분 함량 범위 결정
유효성분의 함량에 따른 나노구조지질 전달체
성분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수상성분 정제수 92.50 92.497 77.50 62.50 47.50
폴리솔베이트80 2.50 2.50 2.50 2.50 2.50
지질성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0 4.00 4.00 4.00 4.00
세틸팔미테이트 1.00 1.00 1.00 1.00 1.00
유효성분 레티놀 0.001 5.00 10.00 15.00
글루타티온 0.001 5.00 10.00 15.00
토코페롤 0.001 5.00 10.00 15.00
총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하였다.
[실시예 4]: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제조: 유효성분 조성비에 따른 영향 확인
유효성분 조성비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성분 제조예 16 제조예 17 제조예 18
수상성분 정제수 89.50 89.50 89.50
폴리솔베이트80 2.50 2.50 2.50
지질성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0 4.00 4.00
세틸팔미테이트 1.00 1.00 1.00
유효성분 레티놀 0.50 1.25 1.25
글루타티온 1.25 0.50 1.25
토코페롤 1.25 1.25 0.50
총합계 100.00 100.00 100.00
실시예 4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유효성분의 조성비를 달리하였다.
[실시예 5]: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함량에 대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성분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 제형예4 제형예5
A상 정제수 79.898 79.897 79.888 79.798 79.898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2.8 2.8 2.8 2.8 2.8
1,2-헥산다이올 2 2 2 2 2
B상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1.6 1.6 1.6 1.6 1.6
피이지-4올리베이트 0.4 0.4 0.4 0.4 0.4
세테아릴알코올 0.2 0.2 0.2 0.2 0.2
스쿠알란 4.5 4.5 4.5 4.5 4.5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4.2 4.2 4.2 4.2 4.2
다이메티콘 1.3 1.3 1.3 1.3 1.3
C상 제조예 12 0.001 0.01 0.1 1
D상 정제수 2.94 2.94 2.94 2.94 2.94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6 0.06 0.06 0.06 0.06
E상 정제수 0.0738 0.0738 0.0738 0.0738 0.0738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082 0.0082 0.0082 0.0082 0.0082
총합계 100 100 100 100 100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함량에 대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실시 방법은 제형예1 내지 5 모두 동일하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제조예 12) 함량을 달리 하였다. 실시방법은 먼저, A상과 B상을 75℃로 가온한 뒤, 5분간 균질기에서 3000rpm으로 교반하고, 45℃로 냉각하여 C, D 및 E상을 각각 3분씩 투입하여 2800rpm에서 혼합한 뒤, 30℃로 냉각한다.
[시험예 1]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안정성 평가: 분리 및 변색 안정도
제조예 1 내지 6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는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지질 조성별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에 대한 분리 및 변색 안정성
경과시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2 0.0 0.0 0.0 0.0 0.0 0.0
4 0.0 0.0 0.0 0.0 0.0 0.0
6 0.0 0.0 0.0 0.0 0.0 0.0
8 0.5 0.0 0.0 0.0 0.5 0.5
10 1.0 0.0 0.5 0.5 0.5 1.0
12 1.5 0.5 0.5 0.5 1.0 1.5
시험 결과, 제조예 2는 12주가 경과해도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의 약간의 변색만이 있은 반면, 액상형 지질만으로 처방된 제조예 1은 8주 후부터 약간의 변색을 띄기 시작하여, 12주 후에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변색 현상을 보였으며, 제조예 3 및 4의 경우는 10주 경과 시부터 약간의 변색을 띄고, 제조예 5 및 6은 8주 경과 시부터 약간의 변색을 띄기 시작하여 12주 경과 시에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변색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를 볼 때, 액상형 지질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와 고형 지질인 세틸팔미테이트의 조성이 4:1일 경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조성물이 분리 및 변색에 있어서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액상형 지질의 함량이 과량일 경우 저장기간 동안 포집된 레티놀의 방출로 인하여 안정성을 잃게 된 것에 의한 변색이 이루어지고, 고형 지질의 함량이 과량일 경우 레티놀이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에 포집되지 않고 남아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아 변색을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2]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안정성 평가: 유효성분 보존 안정도
실시예 1의 제조예 1 내지 6의 조성물을 45℃에서 12주간 보관한 후, 각 내용물에서의 레티놀 함량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각 내용물을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액(각 50 중량)에 20mg/mL의 농도로 희석시킨 후, 테트라히드로퓨란/아세토나이트릴(5:95) 및 0.05N 암모니움 아세테이트 용액으로 구배용출시켰다. 역상컬럼(C-8)을 사용하였으며, 340nm에서 레티놀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각 내용물의 제조 직후의 레티놀의 함량을 100으로 기준하여, 45℃에서 12주간 보관 후의 레티놀 함량을 계산하였다. 시험 결과는 아래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지질 조성별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에 대한 유효성분 역가 안정성
경과시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2 99.0 99.0 99.0 99.0 99.0 99.0
4 99.0 99.0 99.0 99.0 99.0 99.0
6 98.5 99.0 99.0 99.0 98.5 98.5
8 98.0 99.0 98.5 98.5 98.5 98.0
10 97.5 99.0 98.0 98.0 98.0 97.5
12 97.0 98.5 97.5 97.5 97.5 97.0
시험 결과, 제조예 2의 레티놀 함량은 10주 동안은 거의 변화가 없고 12주 후 약간 떨어지나, 제조예 1 및 3 내지 6은 6 내지 8주 후에 약간 떨어지기 시작하여 12주 후에는 상당량의 함량이 떨어져 매우 불안정함을 볼 수 있다. 이를 볼 때, 액상형 지질과 고형 지질의 조성이 4:1일 경우, 매우 효과적으로 레티놀의 역가를 보존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피부주름 개선효과: 유효성분 종류에 대한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30세 이상의 여성(평균연령 37.5세)을 10명씩 1그룹으로 짝지어 각 제형을 팔의 상박 2X2 ㎠의 면적에(2회/일, 0.2g/회) 12주간 도포한 후, 투명한 실리콘 재질의 용액을 이용하여 피부주름의 레플리카(Replica)를 떠서 피부주름측정기(SKIN VISIOMETER SV400, C+K Electronics GmbH. Germany)로 피부주름변화를 측정하였다. 레플리카의 상을 CCD 카메라로 3차원 분석하고, 각각의 주름의 거칠기(Rm : m은 1이상의 정수)의 합을 주름의 개수로 나눈 값인 하기 식의 평균주름 거칠기(Rz)로 주름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험결과는 각 그룹 10명의 주름 거칠기 변화값에 대한 평균을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09865170-pat00001
유효성분 종류에 대한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에 대한 시험 결과, 제조예 10이 25.0㎛ 낮아져(p< 0.01) 제조예 2, 7, 8 및 9와 비교하여 주름이 월등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레티놀, 글루타티온, 토코페롤의 혼합물이 각각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해서 피부주름개선에 대하여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팜유 파이토뉴트리언트와 비교하여도 레티놀, 글루타티온,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적용한 것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피부주름 개선효과: 유효성분의 함량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시험방법은 시험예 3과 동일하며, 유효성분의 함량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에 대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결과는 각 그룹 10명의 주름 거칠기 변화값에 대한 평균을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피부 주름 거칠기 변화량 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효성분의 총함량이 30%까지는 상승폭이 크게 증가하지만, 30%에서 45%의 피부주름 거칠기의 변화량 값을 비교하였을 경우 그 폭이 상대적으로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내에서 레티놀, 글루타티온, 토코페롤의 각 함량이 0.001%이상 함유 될 경우 피부 주름 개선이 유효하며, 각 함량이 10%를 초과할 경우 효과는 높아지나, 함량 대비 효율이 현저히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피부 안전성 시험: 유효성분의 함량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피검자(평균연령 25.9세, 연령분포 18세-33세)를 10명씩 각 그룹으로 짝을 지어, 실온에서 2달 정도 경과한 제형을 Haye's Test Chamber를 이용 상박에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시험에서 제외하였다.
시험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각 제형을 15㎍씩 Chamber에 적하 시킨 후, 시험 부위인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킨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도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Marking Pen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한다.
판정은 첩포 제거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에 행하며 피부반응은 하기 표 8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제형에 대한 10명의 그룹의 평균값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의 판정 기준
기호 판정기준 평가 Mean Score
- Doubtful of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Erythema + Induration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Erythema + Induration + BullaeNegative
무자극 0.0
± 미소자극 0.0-0.9
+ 경자극 1.0-2.9
++ 중자극 3.0-4.9
+++ 강자극 5.0 이상
피부 자극도: 유효성분의 함량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경과시간(시간)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24 0.0 0.0 0.0 0.0 0.1 1.0
48 0.0 0.0 0.0 0.0 0.0 0.5
72 0.0 0.0 0.0 0.0 0.0 0.2
피부안전성 시험 결과, 72시간을 기준으로 제조예 11 내지 14는 무자극을 보인반면, 제조예 15는 미소자극을 나타내었다.
또한 24시간 경과 시, 제조예 11 내지 13은 무자극, 제조예 14는 미소자극을 보인 반면, 제조예 15는 경자극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내 레티놀, 글루타티온, 토코페롤의 각각의 함량이 10%를 초과할 경우 피부에서 자극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피부주름 개선효과: 유효성분 조성비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시험방법은 시험예 3과 동일하며, 유효성분의 조성비에 따른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에 대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결과는 각 그룹 10명의 주름 거칠기 변화값에 대한 평균을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레티놀, 글루타티온, 토코페롤의 (1) 1 : 1 : 1, (2) 1 : 2.5 : 2.5, (3) 2.5 : 1 : 2.5, (4) 2.5 : 2.5 : 1의 비율별 시험결과, 비율에 상관없이 피부주름 개선율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7] 피부주름 개선효과: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함량에 대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시험방법은 시험예 3과 동일하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제조예 12) 함량에 대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결과는 각 그룹 10명의 주름 거칠기 변화값에 대한 평균을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무첨가 대비, 0.001% 이상 함유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부주름 거칠기 변화량 값이 유효하게 나타났음을 확인 하였다.

Claims (6)

  1.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를 함유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상성분 60 내지 95중량%, 지질성분 1 내지 10중량% 및 유효성분 0.001 내지 30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지질성분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와 세틸팔미테이트가 4: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유효성분은 레티놀, 글루타티온 및 토코페롤을 1~3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인,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중량%의 범위를 갖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는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레티놀이 0.001 내지 10중량%, 글루타티온이 0.001 내지 10중량% 및 토코페롤이 0.001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KR1020180135007A 2018-11-06 2018-11-06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07A KR102170764B1 (ko) 2018-11-06 2018-11-06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07A KR102170764B1 (ko) 2018-11-06 2018-11-06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997A KR20200051997A (ko) 2020-05-14
KR102170764B1 true KR102170764B1 (ko) 2020-10-27

Family

ID=7073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007A KR102170764B1 (ko) 2018-11-06 2018-11-06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7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1203A1 (en) * 2022-02-22 2023-08-31 Dsm Ip Assets B.V. Retinol formulation (iv)
WO2023161201A1 (en) * 2022-02-22 2023-08-31 Dsm Ip Assets B.V. Retinol formulation (vi)
WO2023161200A1 (en) * 2022-02-22 2023-08-31 Dsm Ip Assets B.V. Retinol formulation (v)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514052A (ja) * 2021-04-16 2024-03-28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レチノール製剤(iii)
JP2024514050A (ja) * 2021-04-16 2024-03-28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レチノール製剤(i)
WO2022219017A1 (en) * 2021-04-16 2022-10-20 Dsm Ip Assets B.V. Retinol formulation (ii)
CN114053252A (zh) * 2021-11-25 2022-02-18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视黄醇或其衍生物的纳米脂质运输载体及其制备方法
CN115363989A (zh) * 2021-12-31 2022-11-22 广州科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氧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732053B1 (ko) * 2022-04-25 2024-11-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티놀 부스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40060457A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미지 분류 알고리즘에 기초한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속도 산출 방법
KR102685776B1 (ko) * 2023-10-31 2024-07-17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특이취 발생이 저감되는 글루타티온 캡슐소재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731A (ja) 2001-03-23 2002-10-09 L'oreal Sa 皮膚の老化に対抗するための、繊維を含む組成物
KR100654060B1 (ko) * 2001-01-15 2006-1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레티놀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30017239A1 (en) * 2010-03-24 2013-01-17 Lipotec S.A. Lipid nanoparticle capsules
US20130197100A1 (en) 2010-06-15 2013-08-01 Instituto De Pesquisas Technologicas Do Estado De Sao Paulo Colloidal nanoscale carriers for active hydrophilic substan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5872A1 (en) * 2013-06-04 2014-12-11 Vyome Biosciences Pvt. Ltd. Coated particl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KR101815225B1 (ko) * 2015-06-29 2018-01-08 한국화학연구원 주름개선 유효물질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060B1 (ko) * 2001-01-15 2006-12-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레티놀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2293731A (ja) 2001-03-23 2002-10-09 L'oreal Sa 皮膚の老化に対抗するための、繊維を含む組成物
US20130017239A1 (en) * 2010-03-24 2013-01-17 Lipotec S.A. Lipid nanoparticle capsules
US20130197100A1 (en) 2010-06-15 2013-08-01 Instituto De Pesquisas Technologicas Do Estado De Sao Paulo Colloidal nanoscale carriers for active hydrophilic substan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Drug. Target, 2013, 21(5), pp.435-442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1203A1 (en) * 2022-02-22 2023-08-31 Dsm Ip Assets B.V. Retinol formulation (iv)
WO2023161201A1 (en) * 2022-02-22 2023-08-31 Dsm Ip Assets B.V. Retinol formulation (vi)
WO2023161200A1 (en) * 2022-02-22 2023-08-31 Dsm Ip Assets B.V. Retinol formulation (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997A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764B1 (ko)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4424B1 (ko) 난용성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과 이와 같은 화합물의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 및 사용하는 방법
KR101817635B1 (ko) 난용성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과 이와 같은 화합물의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 및 사용하는 방법
KR102006947B1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229247B1 (ko) 칠엽담으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4532A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966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7774B1 (ko) 블랙커민씨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보존용 조성물
KR101870514B1 (ko) 레티날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5120023A (ja) 皮膚外用剤
JP2021042241A (ja) 外用組成物
WO2014183973A1 (de) Stabilisiert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scorbinsäure und phosphationen
DE19720339A1 (de) Wirkstoffe und Zubereitungen für die Hautaufhellung und zur Verhinderung der Hautbräunung
KR20200066420A (ko) 소듐 디엔에이와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US20020076423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formulations for the care and cooling of the skin after sunbathing
KR20090009054A (ko) 나노베지클 비타톡스를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 및 눈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151831A (ja) 抗酸化剤、dna損傷抑制剤、又は皮膚外用剤
KR102086316B1 (ko) 경피흡수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H11222412A (ja) 皮膚外用剤
JP5746807B2 (ja) 皮膚用化粧品の組成物
CN108403535A (zh) 紫苏嫩叶提取物及其应用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JP3313148B2 (ja) 皮膚外用剤
JPH01283208A (ja) 美白化粧料
JP5856761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