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0317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317B1
KR102170317B1 KR1020140004314A KR20140004314A KR102170317B1 KR 102170317 B1 KR102170317 B1 KR 102170317B1 KR 1020140004314 A KR1020140004314 A KR 1020140004314A KR 20140004314 A KR20140004314 A KR 20140004314A KR 102170317 B1 KR102170317 B1 KR 102170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control box
passage
pcb
out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371A (ko
Inventor
전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317B1/ko
Priority to CN201410785411.6A priority patent/CN104776518B/zh
Priority to EP15150088.1A priority patent/EP2905549B1/en
Priority to US14/596,404 priority patent/US10429089B2/en
Publication of KR2015008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3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박스는, 팬모터어셈블리의 구동에 의래 열교환실측의 공기가 컨트롤박스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팬모터어세블리 측으로 향하도로 하여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Outdoor unit control for air conditoi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실외 열교환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 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실외 열교환기(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실내열교환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이나 소음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실외기는 실내기와 분리되어 실외공간에 배치되며, 실내기로부터 회수된 냉매를 압축한 후 실외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한 후 고압의 액냉매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외기에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송풍팬을 비롯하여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고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트롤박스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어 동작시 열을 발생하게 되며, 특히 전원공급장치에서는 고온의 열이 발생된다. 상기 컨트롤박스의 발열에 의해 기판에 실장된 부품들의 이상 동작이 발생될 수 있으며, 과열될 경우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22948호에는, 컨트롤박스의 일측에 피시비의 냉각을 위한 히트싱크가 구비되고, 컨트롤박스의 일측에 팬모터 어셈브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히트싱크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히트싱크에 의한 방열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7917호에는 실외기의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외부 공기가 컨트롤박스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공과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대류 안내판 그리고 컨트롤박스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하는 방열팬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박스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여 컨트롤박스의 내부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팬모터어셈블리의 구동에 의래 열교환실측의 공기가 컨트롤박스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팬모터어세블리 측으로 향하도로 하여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내부를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획하는 베리어; 상기 열교환실에 구비되며, 열교환실측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 상기 열교환실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기계실측의 베리어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시비가 포함되는 컨트롤박스; 상기 베리어와 상기 컨트롤박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실과 상기 컨트롤박스가 서로 연통되어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유입 유로 및 유출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 유로는 상기 유입 유로보다 상기 송풍기측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측에는 피시비가 구비되며, 상기 피시비는 상기 유입 유로 및 유출 유로의 사이에서 상기 유입 유로 및 유출 유로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 유로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향하여 개구되며, 상기 유출 유로는 상기 송풍팬과 인접되는 위치에서 상기 송풍팬을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베리어와 결합되어 상기 유입 유로 및 유출 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피시비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제 1 피시비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개적으로 발열량이 적은 제 2 피시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 및 피시비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 높이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 유로는 상기 베리어에 함몰되는 베리어 유입부와 상기 베리어 유입부 및 상기 컨트롤 박스에 각각 개구되는 한쌍의 유입구로 정의되며, 상기 유출 유로는 상기 베리어에 함몰되는 베리어 유출부와 상기 베리어 유출부 및 상기 컨트롤 박스에 각각 개구되는 한쌍의 유출구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 유로 및 유출 유로 각각을 정의하는 한쌍의 유입구들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측에서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베리어와 컨트롤박스를 관통하는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 사이에 피시비가 배치되도록 하여 공기의 유동시 자연스럽게 피시비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 유로는 상기 열교환실의 열교환기측을 향하여 개구되고 상기 유출 유로는 송풍팬 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기 유속에 의한 압력차로 별도의 동력이 없이 자연스럽게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어 상기 컨트롤박스 내부를 냉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2단으로 구성되고, 각각에 장착되는 제 1 피시비와 제 2 피시비로 구성되어 공간이 절약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제 1 피시비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도록 하여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제 1 피시비를 집중 냉각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는 모두 베리어와 컨트롤박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며 공기가 출입되는 한쌍의 개구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동시에 유속을 조절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외기의 컨트롤박스가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컨트롤박스와 베리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베리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열교환실의 내측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컨트롤박스측의 공기 유동 경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컨트롤박스측의 공기 유동 상태를 모델링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실외기의 컨트롤박스가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이하 '실외기'라 함)는 실내기와 냉매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의 공급 및 회수 가능하게 설치되며, 실외공간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는 전체적으로 아웃 케이스(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10)의 내부는 베리어(100)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베리어(100)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실외 열교환기(21)가 구비되는 열교환실(20)과, 압축기(31)와 냉매 배관 및 컨트롤박스(200)가 장착되는 기계실(30)이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실(20)과 대응하는 아웃 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와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해 그릴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그릴부(11)와 대응하는 상기 열교환실(20)의 내부에는 송풍팬(22)과 팬모터로 구성되는 팬모터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1) 내부의 냉매는 실외공기와 열교환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30)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10)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상기 기계실(30)은 패널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12)의 개방을 통해 기계실(30)의 내부 특히, 상기 기계실(150) 내부의 컨트롤박스(200)의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리어(1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기계실(30)의 내부 바닥에는 압축기(31)가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31)는 냉매 배관에 의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21) 및 실내기와 연결되며, 상기 기계실(30)의 내측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 또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 케이스(10)를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한쌍의 냉매 배관이 출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계실(30) 내부의 냉매 배관에는 전자 팽창 밸브와 절환 밸브 등 각종 밸브와 드라이어,어큐뮬레이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30)의 상부에는 컨트롤박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200)는 상기 실외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계실(30) 내부에 배치된다.
도 3은 상기 컨트롤박스와 베리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베리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열교환실의 내측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베리어(1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상펴보면, 상기 베리어(1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실(20)과 기계실(30)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리어(100)는 좌측부(120)와 우측부(130) 그리고 상기 좌측부(120)와 우측부(130) 사이의 중앙부(110)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부(110)를 기준으로 좌측부(120)와 우측부(130)는 상기 중앙부의 단부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110)는 상기 좌측부(120)와 우측부(130)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부(120)의 단부는 각각 상기 아웃 케이스(10) 중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13)과의 용이한 고정을 위해 상기 좌측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13)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부(130)의 단부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1)를 고정하는 실내 열교환기 브라켓(2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측부(130)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브라켓(23)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열교환실(20)과 기계실(30)을 구획하는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면, 상기 좌측부(120)와 우측부(130)는 별도의 브라켓과 같은 구성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00)의 하부는 상기 열교환실(20)과 기계실(30)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베리어(100)의 상부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1)는 상기 중앙부(1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아레에서 설명할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크기 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일면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개구부(111)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에는 히트싱크(351)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실(20)의 내측으로 상기 히트싱크(351)가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실(20)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200)를 간접 냉각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리어(100)와 상기 컨트롤박스(200) 사이에는 상기 열교환실(20)과 연통되는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베리어(100)에 상기 컨트롤박스(200)를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되는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를 통해서 상기 열교환실(20)의 공기가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내부를 경유한 후 상기 열교환실(2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입 유로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리어 유입구(141), 베리어 유입부(140), 베이스 유입구(331)로 정의되고, 상기 유출 유로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 유출구(321), 베리어 유출부(150), 베리어 유출구(151)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구부(11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기계실(30)측에서 볼때 함몰되는 베리어 유입부(140)와 베리어 유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 유입부(140)는 상기 우측부(130)와 상기 중앙부(110)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 유입부(140)는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가장 뒷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하 길이와 대응하거나 더 작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와 결합을 통해 상기 유입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리어 유입부(140)에는 상기 열교환실(2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베리어 유입구(141)가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 유입구(14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유입구(141)는 상기 베리어 유입부(140)의 내측 영역에서 일측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21)의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베리어 유입구(141)의 위치는 상기 송풍팬(22)의 위치와 수평방향으로 떨어진 상기 베리어(100)상의 위치에 해당하며, 이때, 상기 베리어 유입구(141)와 대응하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1)의 일측은 상기 송풍팬(22)과의 거리로 인해 상대적으로 공기의 유속이 비교적 느린 지점이 된다.
상기 베리어 유출부(150)는 상기 좌측부(120)와 상기 중앙부(110)에 걸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베리어 유입부(140)와 대응하는 길이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와 접하여 유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리어 유출부(150)에는 상기 열교환실(20) 내부로 상기 기계실(3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베리어 유출구(151)가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 유출구(15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유출구(151)는 상기 베리어 유출부(150)의 내측 영역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송풍팬(22)의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베리어 유출부(150) 및 상기 베리어 유출구(151)는 상기 베리어 유입부(140) 및 베리어 유입구(14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 유입구(141)로 유입된 공기는 최단 경로로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베리어 유출구(151)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200)는 상기 베리어(100)에 고정되며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0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장착되는 제 1 피시비(35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방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40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400)에 장착되는 제 2 피시비(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상기 베리어(10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리어(100)의 절곡된 좌측부(120)와 우측부(130) 및 중앙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1)와 상기 베리어 유입부(140)와 베리어 유출부(150)를 모두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상기 베리어의 중앙부(110)와 대응하는 중앙면(310) 그리고 상기 좌측부(120) 및 우측부(130)와 대응하는 좌측면(320)과 우측면(330)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리어(100)의 상기 기계실(30)측 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면(330)의 단부는 상기 우측부(130)의 단부와 함께 상기 열교환기 브라켓(23)에 고정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좌측면(320)은 상기 좌측부(120)와 밀착되며 서로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면(320)의 단부에는 고정단(34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340)은 상기 좌측면(320)의 단부에서 상기 기계실(3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13)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340)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4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00)에 형성되는 구속부(410)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400)가 상기 고정단(340)에 거치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와 커버 플레이트(400)의 사이에는 서포트 브라켓(4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브라켓(420)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와 커버 플레이트(400)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중앙면(310)에는 제 1 피시비(350)가 장착되며, 상기 제 1 피시비(35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중앙면(310)에는 상기 히트싱크(351)가 배치되는 히트싱크 홀(311)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피시비(350)의 발열 위치에 장착되는 히트싱크(351)는 상기 히트싱크 홀(311)과 상기 개구부(111)를 통해서 상기 열교환실(20)의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실(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제 1 피시비(350)는 방열될 수 있으며 간접 냉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피시비(350)는 제 2 피시비(430)와 비교할 때 발열량이 높은 부품들이 배치될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실외기(1)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나, 인버터 방식의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피엠(IPM), 아이지비티(IGBT) 브릿지다이오드 등과 같은 스위칭소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예 외에도 상대적으로 상기 제 2 피시비(430)에 구비되는 구성들 보다 더 발열량이 크고 냉각이 필요한 구성들이 상기 제 1 피시비(350)상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피시비(350)는 복수의 피시비들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피시비들과 별도 제공되는 발열량이 큰 전장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베이스 유입구(331)와 베이스 유출구(321)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유입구(331)는 베리어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된 열교환실(20)의 공기가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유입구(33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좌측면(320)에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유입구(331)는 다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 유입구(141)와는 겹치도록 배치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컨트롤박스(200) 내부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컨트롤박스(200)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유속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유출구(32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우측면(330)에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유입구(331) 또한 다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 유출구(151)와 겹쳐지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입구(331)와 상기 베이스 유출구(321)는 각각 좌측면(320)과 우측면(330)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면(310)과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 유입구(331)와 베이스 유출구(321)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제 1 피시비(350)는 그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유입구(331)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피시비(350)를 온전히 거치면서 유동되며, 상기 베이스 유출구(321)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컨트롤박스의 냉각 작용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상기 컨트롤박스측의 공기 유동 경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컨트롤박스측의 공기 유동 상태를 모델링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동작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실외기(1)는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1)를 구성하는 압축기(31)와 각종 밸브 그리고 상기 송풍팬(22)을 포함하는 팬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피시비(350)와 제 2 피시비(43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외기(1)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송풍팬(22)은 회전하게 되며, 외부 공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22)을 지나 상기 프론트 패널(13) 상의 그릴부(11)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21) 내부의 냉매는 열교환될 수 있으며 냉동사이클의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1)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내부 특히 제 1 피시비(35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열교환실(20)로 노출된 히트싱크(351)에 의해 상기 제 1 피시비(350)는 방열 되면서 1차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22)이 구동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송풍팬(22)과 인접한 유출 유로측과 상기 송풍팬(22)과 먼 유입 유로측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 속도에 따른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유출 유로측은 상기 송풍팬(22)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송풍팬(22)의 회전에 의한 빠른 유속으로 상대적으로 저압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 유로측은 상기 송풍팬(22)과 거리가 가장 먼 상기 열교환실(20)의 일측과 연통되므로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릴 수 밖에 없으며, 자연히 상기 유입 유로측은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흐름은 상기 유입 유로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유출 유로를 향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22)의 구동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열교환실(20) 내측의 공기는 상기 유입 유로를 통해서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교환실(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리어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베리어 유입부(140)에서 우회된 후 상기 베이스 유입구(331)를 통해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유출 유로측을 향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중앙면(310)의 제 1 피시비(350)를 지나게 된다. 상기 제 1 피시비(350)를 지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제 1 피시비(350)는 자연스럽게 2차 냉각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면(310)에 위치된 상기 제 1 피시비(350)를 포함한 다른 구성들이 냉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유출구(321)로 유입되는 상기 컨트롤박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 유출구(321)를 통해 우회하여 상기 베리어 유출구(151)를 통해 상기 송풍팬(22)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베리어 유입부(140)와 베리어 유출부(150)를 지나며 우회하게 되며,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적절한 유속을 확보하여 상기 컨트롤박스(200) 내부에서 상기 제 1 피시비(350)를 충분히 냉각함은 물론 유동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는 동일 높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컨트롤박스(200)를 경유하는 공기는 최단 경로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 1 피시비(350)의 냉각을 위한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내부를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획하는 베리어;
    상기 열교환실에 구비되며, 열교환실측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
    상기 열교환실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기계실측의 베리어에 구비되며, 실외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시비가 포함되는 컨트롤박스;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컨트롤박스로 유동되도록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개구되어 형성되는 유입 유로; 및
    상기 컨트롤박스로 유동된 공기가 상기 송풍팬을 향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송풍팬을 향하여 개구되는 유출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 유로 및 상기 유출 유로는, 상기 열교환실과 상기 컨트롤박스가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측에는 피시비가 구비되며, 상기 피시비는 상기 유입 유로 및 유출 유로의 사이에서 상기 유입 유로 및 유출 유로의 개구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베리어와 결합되어 상기 유입 유로 및 유출 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피시비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제 1 피시비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개적으로 발열량이 적은 제 2 피시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 및 피시비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 높이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로는 상기 베리어에 함몰되는 베리어 유입부와 상기 베리어 유입부 및 상기 컨트롤 박스에 각각 개구되는 한쌍의 유입구로 정의되며,
    상기 유출 유로는 상기 베리어에 함몰되는 베리어 유출부와 상기 베리어 유출부 및 상기 컨트롤 박스에 각각 개구되는 한쌍의 유출구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로 및 유출 유로 각각을 정의하는 한쌍의 유입구들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로와 유출 유로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측에서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140004314A 2014-01-14 2014-01-14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ctive KR10217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14A KR102170317B1 (ko) 2014-01-14 2014-01-14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01410785411.6A CN104776518B (zh) 2014-01-14 2014-12-17 空气调节器的室外机
EP15150088.1A EP2905549B1 (en) 2014-01-14 2015-01-05 Outdoor unit control for air conditioner
US14/596,404 US10429089B2 (en) 2014-01-14 2015-01-14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14A KR102170317B1 (ko) 2014-01-14 2014-01-14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71A KR20150084371A (ko) 2015-07-22
KR102170317B1 true KR102170317B1 (ko) 2020-10-26

Family

ID=5229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314A Active KR102170317B1 (ko) 2014-01-14 2014-01-14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29089B2 (ko)
EP (1) EP2905549B1 (ko)
KR (1) KR102170317B1 (ko)
CN (1) CN1047765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454B1 (ko) 2015-06-15 2019-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KR101949995B1 (ko) 2015-07-06 2019-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JP6388734B2 (ja) * 2015-12-18 2018-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CN105485791A (zh) * 2016-02-16 2016-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外机及其室外机隔板
WO2017146347A1 (ko) 2016-02-25 2017-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731875B2 (en) * 2016-05-12 202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2328715B1 (ko) 2016-08-12 2021-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
WO2018076185A1 (zh) * 2016-10-25 2018-05-03 孙海潮 一种制冷热泵型无霜空调室外机
KR20180065724A (ko) 2016-12-08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80065723A (ko) 2016-12-08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80065725A (ko) 2016-12-08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18151137A (ja) * 2017-03-14 2018-09-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8189267A (ja) * 2017-04-28 2018-11-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984162B2 (ja) * 2017-04-28 2021-12-1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8189263A (ja) * 2017-04-28 2018-11-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7276643B2 (ja) * 2018-02-21 2023-05-1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7205682B2 (ja) * 2018-02-21 2023-01-1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7121900B2 (ja) * 2018-02-21 2022-08-1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7151129B2 (ja) * 2018-03-30 2022-10-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7147224B2 (ja) * 2018-03-30 2022-10-0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10697653B2 (en) * 2018-06-29 2020-06-30 Mitsubishi Electric Us, Inc. Air-conditioning system with air discharge baffle
JP6942258B2 (ja) * 2018-08-09 2021-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CN109084381A (zh) * 2018-10-17 2018-12-25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通风散热结构及空调器
DE102019100412A1 (de) * 2019-01-09 2020-07-09 Seg Automotive Germany Gmbh Stromrichtereinheit und elektrische Maschine
JP7319883B2 (ja) * 2019-09-26 2023-08-02 株式会社コロナ 室外機
USD969285S1 (en) * 2020-04-21 2022-11-08 Qingdao Haier Air-Conditioning Electronic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5269190U (zh) 2020-08-26 2021-12-2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电控盒及空调系统
CN114623517A (zh) * 2020-12-14 2022-06-1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室外机及其应用的管组总成
CN115451469B (zh) * 2021-06-08 2025-02-0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
EP4368902A4 (en) 2022-01-28 2024-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O2024078708A1 (de) * 2022-10-12 2024-04-18 Robert Bosch Gmbh Elektronikvorrichtung für eine wärmepumpe und wärmepumpen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elektronikvorrichtung
KR20240096255A (ko) * 2022-12-19 202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7229A (ja) * 2010-12-27 2012-07-19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1311A (en) * 1967-02-27 1968-11-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Room air conditioner control arrangement
US3623335A (en) * 1970-03-06 1971-11-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with temperature controlling means utilizing aspirated air
JPS6136637A (ja) * 1984-07-26 1986-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窓用空気調和機
TW384978U (en) * 1995-02-17 2000-03-11 Sanyo Electric Co An outdoor unit for use in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JPH1151423A (ja) * 1997-08-05 1999-02-26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11118200A (ja) * 1997-10-14 1999-04-3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582972B2 (ja) * 2001-08-09 2010-11-1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00726509B1 (ko) * 2003-09-25 2007-06-11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공기조화기의 실외 유닛
JP3698152B2 (ja) * 2003-10-08 2005-09-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547334B1 (ko) * 2004-02-10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파이프 구조
KR100600749B1 (ko) * 2004-07-12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6162094A (ja) * 2004-12-02 2006-06-2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670365B2 (ja) * 2005-01-24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70022948A (ko) 2005-08-22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CN1952512A (zh) * 2005-10-17 2007-04-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室外机散热结构
JP3985835B2 (ja) * 2005-11-07 2007-10-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954358B1 (ko) 2006-01-25 201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박스
JP3992065B2 (ja) * 2006-02-01 2007-10-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4867727B2 (ja) * 2007-03-13 2012-0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却装置
JP4748144B2 (ja) * 2007-11-29 2011-08-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054168A (ja) * 2008-08-29 2010-03-11 Toshiba Carrier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236781A (ja) * 2009-03-31 2010-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IT1400737B1 (it) * 2009-05-20 2013-07-02 Sanyo Electric Co Unita' esterna per lo scambio di calore, particolarmente in scambiatori di calore e simili.
JP5672028B2 (ja) * 2011-01-31 2015-02-1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569417B2 (ja) * 2011-01-31 2014-08-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20130255932A1 (en) * 2012-03-30 2013-10-0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Heat sink for a condensing unit and method of us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7229A (ja) * 2010-12-27 2012-07-19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8339A1 (en) 2015-07-16
CN104776518A (zh) 2015-07-15
CN104776518B (zh) 2019-11-05
EP2905549B1 (en) 2019-07-31
KR20150084371A (ko) 2015-07-22
EP2905549A2 (en) 2015-08-12
EP2905549A3 (en) 2016-01-20
US10429089B2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3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1204180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12984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47787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EP3017255B1 (en) Air conditioner
US9353968B2 (en) Heat source unit of refrigerating apparatus
JP2009030829A (ja) 空気調和装置
KR20150075934A (ko) 송풍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0845066B2 (en) Heat source unit of refrigerating apparatus
EP2597384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16862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3791644B (zh) 制冷机组
KR2011003410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6902359B2 (ja) 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
KR10209125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20012555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608128B1 (ko) 공기조화기
KR2015008083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WO2006054547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7355492B2 (ja) 電装箱、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01666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6974754B2 (ja) 冷凍装置の室外機
KR102162354B1 (ko) 실외 유닛
KR100608129B1 (ko) 공기조화기
KR10057259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