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1512B1 -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512B1
KR102161512B1 KR1020140001346A KR20140001346A KR102161512B1 KR 102161512 B1 KR102161512 B1 KR 102161512B1 KR 1020140001346 A KR1020140001346 A KR 1020140001346A KR 20140001346 A KR20140001346 A KR 20140001346A KR 102161512 B1 KR102161512 B1 KR 102161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fastening
backlight unit
bottom cov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1650A (ko
Inventor
박찬수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5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5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립이 용이한 서포터(supporter)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바텀 커버(bottom cover)와, 바텀 커버 위에 배치되는 반사판과, 반사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 모듈과, 광원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고 바텀 커버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광학 부재와, 바텀 커버에 체결되어 광학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터(supporter)를 포함하고, 서포터는, 하부 면적이 상부 면적보다 더 넓은 바디부와, 바디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바텀 커버에 체결되는 나사(screw) 형상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한 서포터(supporter)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자발광 방식의 PDP와는 다르게 LCD는 자체적인 발광소자의 부재로 인해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이 필수적이다.
LCD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엣지(edge)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과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분되는데, 엣지 방식은 LCD 패널의 좌우 측면 또는 상하 측면에 광원을 배치하고 도광판을 이용하여 빛을 전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므로 빛의 균일성이 좋고 패널 두께의 초박형화가 가능하다.
직하 방식은 보통 2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기술로써, 패널 하부에 광원을 복수 개로 배치하므로 엣지 방식에 비해 광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된다.
기존 엣지 방식이나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CCFL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항상 CCFL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상당량의 전력이 소모되며, CRT에 비해 약 70% 수준의 색 재현율, 수은이 첨가됨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들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체품으로 현재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LED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 경우, LED 어레이의 부분적인 온/오프가 가능하여 소모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RGB LED의 경우,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 재현 범위 사양의 100%를 상회하여 보다 생생한 화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바텀 커버 하부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고, 다수의 광원들 상부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떨어져 배치되는 확산판 및 다수의 광학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은, 확산판 및 다수의 광학 부재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산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터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서포터들은, 바텀 커버에 체결되어, 확산판을 지지하는데, 바텀 커버와의 체결력이 약하고, 재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서포터와 바텀 커버에 사이의 체결 홀의 틈새로 인하여, 외부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백라이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은, 이러한 서포터를 체결하는 공정과, 광원 모듈 어레이 및 기타 구조물을 고정하는 스크류(screw) 공정을 통해, 서포터 조립 공정을 진행하므로, 전체적인 택 타임(tack time)이 길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나사 형상의 체결 부재를 갖는 서포터를 이용하여, 서포터의 재작업성 및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조립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은, 바텀 커버(bottom cover)와, 바텀 커버 위에 배치되는 반사판과, 반사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 모듈과, 광원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고 바텀 커버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광학 부재와, 바텀 커버에 체결되어 광학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터(supporter)를 포함하고, 서포터는, 하부 면적이 상부 면적보다 더 넓은 바디부와, 바디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바텀 커버에 체결되는 나사(screw) 형상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체결부는, 서포터의 바디부에 접촉되는 헤드부(head portion)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screw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와 나사부의 외면은, 원형이고, 헤드부의 직경과 나사부의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헤드부의 외면은, 다각형이고, 나사부의 외면은, 원형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헤드부는, 바디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포터의 바디부는, 하부면의 중심에 체결 홈이 형성되고, 체결 홈 내에 체결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어, 서포터의 바디부는, 하부면에, 체결부의 주변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포터의 바디부는,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마킹(marking)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반사판은, 서포터의 체결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이 형성되고, 바텀 커버는, 서포터의 체결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이 형성되며, 제 1 삽입 홀의 직경은, 제 2 삽입 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반사판은, 서포터의 바디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이 형성되고, 바텀 커버는, 서포터의 체결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이 형성되며, 제 1 삽입 홀의 직경은, 제 2 삽입 홀의 직경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바텀 커버에 체결되는 서포터의 체결 부재를, 나사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나사 조립 방식으로 서포터를 조립하므로, 재작업이 용이하고, 체결력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바텀 커버의 체결 홀을, 서포터의 체결 부재가 밀봉하여 체결하므로, 외부로부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바텀 커버와 서포터 체결시, 서포터 조립 공정과 나사 조립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조립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전체적인 택 타임(tack time)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구조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체결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체결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체결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체결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b의 접촉 돌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서포터의 마킹 홈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바텀 커버에 체결되는 서포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는 바텀 커버의 삽입 홀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구조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바텀 커버(bottom cover)(100), 반사판(200), 광원 모듈(300), 광학 부재(400) 및 서포터(supporter)(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판(200)은, 바텀 커버(1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200)은,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광원 모듈(300)로부터 생성된 광을 광학 부재(40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판(200)은,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200)은, 광원 모듈(300)로부터 생성된 광을 광학 부재(400) 방향으로 반사시킬 때, 광학 부재(400)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하여, 광 확산을 위한 요철 패턴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 광원 모듈(300)은, 반사판(200) 위에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300)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과,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원 모듈(300)의 광원은 상면 발광형(top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광원은 측면 발광형(side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광원 모듈(300)의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Si)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도 있고,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은 단층 PCB, 다층 PCB,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은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인광(Red phosphor)과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 레드 인광(Red phosphor) 및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 광학 부재(400)는, 광원 모듈(300)의 상부에 배치되고, 바텀 커버(1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400)는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광학 부재(400)는 광원 모듈(300)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확산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광학 부재(400)는 여러 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요철 패턴은 최상층 또는 어느 한 층의 표면에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요철 패턴은 광원 모듈(300)을 따라 배치되는 스트라이프(stri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요철 패턴은 광학 부재(400) 표면으로 돌출부를 가지고,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은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학 부재(40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강화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주고, 프리즘 시트는 확산된 광을 발광 영역으로 가이드하며, 휘도 확산 시트는 휘도를 강화시켜 준다.
이어, 서포터(500)는, 바텀 커버(100)에 체결되어, 광학 부재(40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500)는 광학 부재(40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학 부재(400)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디부(510)와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500)의 바디부(510)는, 하부 면적이 상부 면적보다 더 넓은 형상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원뿔 형상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500)의 체결부(520)는, 바디부(5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바텀 커버(100)에 체결되는 나사(screw)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서포터(500)의 체결부(520)는, 바디부(51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포터(500)의 바디부(510)는 고분자 수지이고, 서포터(500)의 체결부(520)는 금속 재질일 수도 있다.
이처럼, 서포터(500)의 체결부(520)와 서포터(500)의 바디부(510)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어,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어, 서포터(500)의 체결부(520)는, 서포터(500)의 바디부(510)에 접촉되는 헤드부(head portion)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screw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와 나사부의 외면은, 원형이고, 헤드부의 직경과 나사부의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헤드부는,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헤드부의 나사산은, 나사부의 나사산과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헤드부의 외면은, 다각형이고, 나사부의 외면은, 원형일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헤드부는, 바디부(510)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체결 돌기는, 바디부(510)의 중심축과 헤드부의 중심축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500)의 바디부(510)는, 하부면의 중심에 체결 홈이 형성되고, 체결 홈 내에 체결부(520)가 삽입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체결 홈의 내면에는,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 서포터(500)의 바디부(510)는, 하부면에, 체결부(520)의 주변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접촉 돌기는, 체결부(520)의 주변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접촉 돌기는, 체결부(520)의 주변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는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포터(500)의 바디부(510)는,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마킹(marking)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포터(500)의 바디부(510)와 서포터(500)의 체결부(520) 사이에는, 접착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반사판(200)은, 서포터(500)의 체결부(520)가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이 형성되고, 바텀 커버(100)는, 서포터(500)의 체결부(520)가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삽입 홀의 직경은, 제 2 삽입 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판(200)은, 서포터(500)의 바디부(510)의 하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반사판(200)은, 서포터(500)의 바디부(510)가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이 형성되고, 바텀 커버(100)는, 서포터(500)의 체결부(520)가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삽입 홀의 직경은, 제 2 삽입 홀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바텀 커버(100)는, 서포터(500)의 바디부(510)의 하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바텀 커버(100)는, 서포터(500)의 체결부(520)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데, 삽입 홀의 내측면은,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2a는 서포터의 바디부와 체결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서포터의 바디부와 체결부의 분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는, 바디부(510)와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바디부(510)는, 하부면(511)의 중심에 체결 홈(512)이 형성되고, 체결 홈(512) 내에 서포터의 체결부(52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포터의 체결부(520)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에 접촉되는 헤드부(522)와, 헤드부(522)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523)이 형성되는 나사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형성된 체결 홈(512) 내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형성된 체결 홈(512)의 깊이 d1은,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의 높이 h1과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형성된 체결 홈(512)의 깊이 d1은,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의 높이 h1보다 더 클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와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체결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의 체결부는, 서포터의 바디부에 접촉되는 헤드부(522)와, 헤드부(522)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522)와 나사부(524)의 외면은, 모두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522)의 직경 D1과 나사부(524)의 직경 D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체결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의 체결부는, 서포터의 바디부에 접촉되는 헤드부(522)와, 헤드부(522)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522)와 나사부(524)의 외면은, 모두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522)의 직경 D1과 나사부(524)의 직경 D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부(522)의 직경 D1은, 나사부(524)의 직경 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체결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의 체결부는, 서포터의 바디부에 접촉되는 헤드부(522)와, 헤드부(522)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522)와 나사부(524)의 외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헤드부(522)의 외면은, 다각형이고, 나사부(524)의 외면은, 원형일 수 있다.
즉, 헤드부(522)의 외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일 수 있다.
헤드부(522)의 외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서포터의 바디부의 체결 홈과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서포터의 바디부의 체결 홈의 형상이 사각형이고, 사각형의 체결 홈 내에 사각형의 서포터 체결부의 헤드부가 삽입되면, 서포터의 바디부와 체결부 사이의 체결력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522)의 상부 면적은, 나사부(524)의 나사산을 커버 가능한 넓이를 가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체결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의 체결부는, 서포터의 바디부에 접촉되는 헤드부(522)와, 헤드부(522)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522)와 나사부(524)의 외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헤드부(522)의 외면은, 다각형이고, 나사부(524)의 외면은, 원형일 수 있다.
즉, 헤드부(522)의 외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일 수 있다.
헤드부(522)의 외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서포터의 바디부의 체결 홈과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서포터의 바디부의 체결 홈의 형상이 사각형이고, 사각형의 체결 홈 내에 사각형의 서포터 체결부의 헤드부가 삽입되면, 서포터의 바디부와 체결부 사이의 체결력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522)의 상부 면적은, 나사부(524)의 나사산을 커버하지 않는 넓이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는, 바디부(510)와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바디부(510)는, 하부면(511)의 중심에 체결 홈(5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 홈(512)의 내면에는, 나선형의 나사산(5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의 체결부(520)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에 접촉되는 헤드부(522)와, 헤드부(522)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523)이 형성되는 나사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522)는, 나선형의 나사산(5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522)의 나사산(523)은, 나사부(524)의 나사산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형성된 체결 홈(512) 내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형성된 체결 홈(512)도,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의 외면과,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형성된 체결 홈(512) 내면에, 나선형의 나사산을 형성하는 이유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와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는, 바디부(510)와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바디부(510)는, 하부면(511)의 중심에 체결 홈(5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 홈(512)의 중심에는, 돌기 홈(51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의 체결부(520)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에 접촉되는 헤드부(522)와, 헤드부(522)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523)이 형성되는 나사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522)의 상부면에는, 바디부(510)의 하부면(511)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52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돌기(525)는, 바디부(510)의 중심축(515)과 체결부(520)의 헤드부(522)의 중심축(526)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525)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형성된 체결 홈(512)의 체결 돌기(514) 내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는, 외면에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에 체결 돌기를 형성하는 이유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와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는, 바디부(510)와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은, 편평한 평면일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의 체결부(520)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에 접촉되는 헤드부(522)와, 헤드부(522)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523)이 형성되는 나사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바디부(510) 하부면(511)과,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 사이에는, 접착제(5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의 체결부(520)의 헤드부(522)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접착제(530)에 의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는, 바디부(510)와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바디부(510)는, 하부면(511)의 중심에 체결 홈이 형성되고, 체결 홈 내에 서포터의 체결부(52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체결 홈의 내면 및 체결부(520)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a와 같이,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은, 체결부(520) 주변으로 편평한 평면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0b 및 도 10c와 같이,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은, 체결부(520)의 주변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기(5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돌기(516)를 형성하는 이유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과 반사판의 표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사판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서포터를 반사판 및 바텀 커버에 체결할 경우, 서포터를 회전시켜, 나사 형상의 체결부(520)를 반사판 및 바텀 커버의 체결 홀 내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과 반사판의 표면은, 서로 접촉되면서 그들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마찰로 인하여, 반사판이 손상되거나, 틀어지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접촉 돌기(516)를 형성하면,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과 반사판의 표면과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과 반사판의 표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므로, 반사판의 손상이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돌기(516)의 단면은, 도 10b와 같이, 라운드(round) 형상일지수도 있고, 도 10c와 같이, 삼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접촉 돌기(516)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면 접촉을 하지 않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b의 접촉 돌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은, 체결부(520)의 주변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기(5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돌기(516)를 형성하는 이유는, 서포터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과 반사판의 표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사판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11a와 같이, 접촉 돌기(516)는, 체결부(520)의 주변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1b와 같이, 접촉 돌기(516)는, 체결부(520)의 주변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는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트 형상의 접촉 돌기(516)은, 서포터의 바디부의 하부면(511)과 반사판의 표면과의 접촉 면적을 도 11a보다 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서포터의 마킹 홈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서포터의 측면도이고, 도 12b는 서포터의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는, 광학 부재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학 부재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디부(510)와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의 바디부(510)는, 하부 면적이 상부 면적보다 더 넓은 형상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원뿔 형상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의 체결부(520)는, 바디부(5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바텀 커버에 체결되는 나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서포터의 바디부(510)는,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마킹(marking) 홈(51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킹 홈(517)은, 서포터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서포터의 바디부(510)에 표시한 홈로서, 바디부(510)의 외면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킹 홈(517)의 깊이 및 크기는, 식별이 가능할 정도이면 되는데, 식별을 높이기 위하여, 반사 물질 등이 홈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마킹 홈(517) 내에 반사 물질이 삽입되면, 마킹 홈(517)의 반사 물질에 의해, 광이 백라이트 내부에서, 균일하게 확산되므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바텀 커버에 체결되는 서포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500)는, 바텀 커버(100)에 체결되어, 광학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500)는, 바디부(510)와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500)의 바디부(510)는, 하부 면적이 상부 면적보다 더 넓은 형상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원뿔 형상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500)의 체결부(520)는, 바디부(5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바텀 커버(100)에 체결되는 나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서포터(500)의 체결부(520)는, 바디부(51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포터(500)의 바디부(510)는 고분자 수지이고, 서포터(500)의 체결부(520)는 금속 재질일 수도 있다.
이처럼, 서포터(500)의 체결부(520)와 서포터(500)의 바디부(510)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어,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서포터(500)는, 금속인 체결부(520)에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의 바디부(510)ff 사출하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500)는, 반사판(200)과 바텀 커버(10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도 13과 같이, 반사판(200)은, 서포터(500)의 체결부(520)가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이 형성되고, 바텀 커버(100)는, 서포터(500)의 체결부(520)가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삽입 홀의 직경 D11은, 제 2 삽입 홀의 직경 D12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200)의 표면(200a)은, 서포터(500)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바텀 커버(100)의 표면(100a)는, 서포터(500)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접촉되지 않는다.
다른 경우로서, 도 14와 같이, 반사판(200)은, 서포터(500)의 바디부(510)가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이 형성되고, 바텀 커버(100)는, 서포터(500)의 체결부(520)가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삽입 홀의 직경 D11은, 제 2 삽입 홀의 직경 D12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바텀 커버(100)의 표면(100a)는, 서포터(500)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반사판(200)의 표면(200a)은, 서포터(500)의 바디부(510)의 하부면(511)에 접촉되지 않는다.
도 15는 바텀 커버의 삽입 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500)의 체결부(520)는, 바텀 커버(100)의 삽입 홀(11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바텀 커버(100)는, 서포터(500)의 체결부(520)가 삽입되는 삽입 홀(110)이 형성되는데, 삽입 홀(110)의 내측면은, 나선형의 나사산(1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홀(110)의 내측면에, 나선형의 나사산(111)이 형성되는 이유는, 서포터(500)와 바텀 커버(100)와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텀 커버에 체결되는 서포터의 체결 부재를, 나사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나사 조립 방식으로 서포터를 조립하므로, 재작업이 용이하고, 체결력이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텀 커버의 체결 홀을, 서포터의 체결 부재가 밀봉하여 체결하므로, 외부로부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텀 커버와 서포터 체결시, 서포터 조립 공정과 나사 조립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조립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전체적인 택 타임(tack time)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바텀 커버 200 : 반사판
300 : 광원 모듈 400 : 광학 부재
500 : 서포터 510 : 바디부
516 : 접촉 돌기 517 : 마킹 홈
520 : 체결부 522 : 헤드부
524 : 나사부 530 : 접착제

Claims (20)

  1. 바텀 커버(bottom cover);
    상기 바텀 커버 위에 배치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 커버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광학 부재;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광학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터(supporter)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하부 면적이 상부 면적보다 더 넓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바텀 커버에 체결되는, 나사(screw) 형상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면에, 상기 체결부의 주변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의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반사판에 접촉하고, 상기 접촉 돌기를 제외한 상기 하부면은 상기 반사판에 접촉하지 않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체결부는,
    상기 서포터의 바디부에 접촉되는 헤드부(head portion);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screw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나사부의 외면은, 원형이고,
    상기 헤드부의 직경과 상기 나사부의 직경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나사산은, 상기 나사부의 나사산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외면은, 다각형이고, 상기 나사부의 외면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과 상기 헤드부의 중심축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바디부는,
    상기 하부면의 중심에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홈 내에 상기 체결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의 내면에는,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체결부의 주변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체결부의 주변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는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바디부는,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마킹(marking)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바디부와 상기 서포터의 체결부 사이에는, 접착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바디부와 상기 서포터의 체결부는,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서포터의 체결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서포터의 체결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삽입 홀의 직경은, 상기 제 2 삽입 홀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서포터의 바디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서포터의 체결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삽입 홀의 직경은, 상기 제 2 삽입 홀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서포터의 체결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의 내측면은,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40001346A 2014-01-06 2014-01-06 백라이트 유닛 Active KR102161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346A KR102161512B1 (ko) 2014-01-06 2014-01-06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346A KR102161512B1 (ko) 2014-01-06 2014-01-06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650A KR20150081650A (ko) 2015-07-15
KR102161512B1 true KR102161512B1 (ko) 2020-10-05

Family

ID=5379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346A Active KR102161512B1 (ko) 2014-01-06 2014-01-06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7597B (zh) * 2021-12-23 2023-02-03 长沙惠科光电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N115343883B (zh) * 2022-06-30 2024-09-06 惠科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173B1 (ko) * 2002-05-23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형 액정표시장치
KR101836484B1 (ko) * 2010-09-20 2018-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825551B1 (ko) * 2011-05-23 2018-0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고정부재
KR101824037B1 (ko) * 2011-07-19 2018-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8139B1 (ko) * 2011-12-20 2019-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650A (ko)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1513B2 (ja) 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システム
KR10194814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US8876315B2 (en) Ligh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6770319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EP2549177A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3015884B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a lens,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apparatus
US8915639B2 (en) Lighting system including a projection and display device with the projection
EP2546685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30063773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2161512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188013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940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090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09962A (ko)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8323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814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94813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94814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81859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2030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54852B1 (ko) 조명 장치
KR20140065154A (ko) 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933999B1 (ko) 조명 시스템
KR10193399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3004686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