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63773A -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773A
KR20130063773A KR1020110130318A KR20110130318A KR20130063773A KR 20130063773 A KR20130063773 A KR 20130063773A KR 1020110130318 A KR1020110130318 A KR 1020110130318A KR 20110130318 A KR20110130318 A KR 20110130318A KR 20130063773 A KR20130063773 A KR 20130063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acklight unit
guide surface
reflector
botto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3773A/ko
Publication of KR2013006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백라이트 유닛은, 제1 반사부; 복수의 홀을 갖는 제2 반사부; 제2 반사부를 지지하는 바텀 커버; 제1 반사부와 제2 반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제2 반사부를 바텀 커버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홀에 삽입 가능하게 바텀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체결 고리; 및 제2 반사부 위에 배치되어, 한 쌍의 체결 고리와 맞물려서 체결 고리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BACKLIGHT UNI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자발광 방식의 PDP와는 다르게 LCD는 자체적인 발광소자의 부재로 인해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이 필수적이다.
LCD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엣지(edge)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과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분되는데, 엣지 방식은 LCD 패널의 좌우 측면 및/또는 상하 측면에 광원을 배치하고 도광판을 이용하여 빛을 전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므로 빛의 균일성이 좋고 패널 두께의 초박형화가 가능하다.
직하 방식은 보통 2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기술로써, 패널 하부에 광원을 복수 개로 배치하므로 엣지 방식에 비해 광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된다.
기존 엣지 방식이나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는 냉음극 형광 램프(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CCFL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항상 CCFL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상당량의 전력이 소모되며, 음극선관(CRT:Cathode Ray Tube)에 비해 약 600% 수준의 색 재현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수은이 첨가됨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들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체품으로 현재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LED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 경우, LED 어레이(array)의 부분적인 온/오프(ON/OFF)가 가능하여 소모 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알.지.비.(R:Red, G:Green, B:Blue) LED의 경우, 미국 텔레비젼 체계 위원회(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 재현 범위 사양의 100%를 상회하여 보다 생생한 화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공정으로 제작되는 LED는 환경에 무해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진 LED를 채용한 LCD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기존 CCFL 광원과 구동 메커니즘이 상이하여, 구동 드라이버 및 인쇄 회로 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이 고가이다. 따라서, LED 백라이트 유닛은 아직 고가의 LCD 제품에만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2 엣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로서, 광원 모듈(10), 제1 반사부(reflector)(20), 제2 반사부(30), 광학 부재(optical member)(40),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50), 바텀 커버(또는, 바텀 섀시(bottom chassis))(60), 접착제(62), 나사부(64a, 64b) 및 지지 플레이트(66)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원 모듈(10)은 광을 생성하는 발광 소자(12) 및 전극 패턴을 갖는 회로 기판(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20)는 발광 소자(12)에서 생성된 광을 제2 반사부(30) 쪽으로 반사시킨다. 커버 플레이트(50)는 광원 모듈(10), 제1 반사부(20) 및 광학 부재(40)를 지지하고, 바텀 커버(60)는 제2 반사부(30)를 지지한다.
이때, 제2 반사부(30)는 접착제(62)에 의해 바텀 커버(60)에 부착되고, 나사부(64a, 64b)와 지지 플레이트(66)에 의해 바텀 커버(6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2 반사부(30)를 바텀 커버(6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나사부(64a, 64b)와 접착제(62)가 반드시 요구된다. 또한, 버텀 커버(60)의 배면 바깥쪽에 나사부의 일부(64b)가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도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10-2011-0108832 ("발광 소자,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2011년 10월 06일 공개)
실시예는 제2 반사부를 바텀 커버에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닛은 제1 반사부; 복수의 홀을 갖는 제2 반사부; 상기 제2 반사부를 지지하는 바텀 커버;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제2 반사부를 상기 바텀 커버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홀에 삽입 가능하게 상기 바텀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체결 고리; 및 상기 제2 반사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체결 고리와 맞물려서 상기 체결 고리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 고리는 상기 바텀 커버와 일체형일 수 있고, 체결 고리는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부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고리는 상기 바텀 커버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판 및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하판으로부터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는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고리에서 상기 체결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는 상기 체결부의 두께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복수 개이고, 상기 한 쌍의 체결 고리는 상기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는 제3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원은 복수 개이고, 상기 한 쌍의 체결 고리는 상기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는 제3 방향과 직교하는 제4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부의 상기 제3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제3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의 비율은 5-15 :12-2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고리 및 상기 체결부는 제1 가이드 면 및 제2 가이드 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면 및 제2 가이드 면은 상기 체결 고리와 상기 체결부의 체결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면 및 제2 가이드 면 각각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면의 끝단을 이은 연장선과 상기 제1 연장부의 윗면인 상기 제1 가이드 면 사이에 형성된 경사는 상기 체결부의 바닥면의 연장선과 제2 가이드 면 사이에 형성된 경사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가이드 면의 경사는 상기 제2 가이드 면의 경사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면의 가이드 길이는 상기 제2 가이드 면의 가이드 길이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하판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은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가지면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과 외측면은 곡률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의 곡률과 외측면의 곡률은 서로 동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체결부의 두께와 다를 수 있다.
실시예는 제2 반사부를 바텀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요구되지 않고, 나사부 같은 부재가 바텀 커버의 배면에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관 모습을 개선시키면서도 제2 반사부를 바텀 커버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2 엣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2 엣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체결 고리, 제2 반사부 및 체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체결 고리와 체결부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는 실시예에 의한 체결 고리와 체결부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체결부가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되어 체결 고리에 체결되는 과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element)가 상기 두 구성요소(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on) 또는 "하(아래)"(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2 엣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 모듈(100), 제1 반사부(reflector)(200), 제2 반사부(300), 광학 부재(optical member)(400),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500) 및 바텀 커버(bottom cover)(또는, 바텀 섀시(bottom chassis))(6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100)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102)(또는, 발광 소자) 및 전극 패턴을 갖는 회로 기판(1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로 기판(104)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102)을 실장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와 광원(102)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04)의 상면에는 광원(102)과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104)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실리콘(Si)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광원(102)이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며,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04)은 단층 PCB, 다층 PCB,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광원(102)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 물질(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인광 물질과 그린 인광 물질을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 물질, 레드 인광 물질 및 그린 인광 물질을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 모듈(100)의 광 출사면을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광원 모듈(100)은 광 출사면이 광학 부재(400)와 제2 반사부(300) 사이의 에어 가이드(air guide)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직접 출사형(direct emitting type) 구조일 수 있다.
또는, 광원 모듈(100)은 광 출사면이 제1 반사부(200), 제2 반사부(300) 및 커버 플레이트(500)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간접 출사형 구조일 수도 있다. 여기서, 간접 출사형 광원 모듈(100)은 출사된 광이 제1 반사부(200), 제2 반사부(300) 및 커버 플레이트(500)에서 반사되고, 반사된 광은 다시 백라이트 유닛의 에어 가이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 모듈(100)을 간접 출사형 구조로 배치하는 이유는 핫 스팟(hot spot) 현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원 모듈(100)은 제1 반사부(200)와 제2 반사부(300) 사이에서, 이들(200, 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원 모듈(100)은 제1 반사부(2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2 반사부(30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반사부(3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1 반사부(20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광원 모듈(100)은 제1 반사부(200)와 제2 반사부(30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반사부(200)와 제2 반사부(300)에 동시에 접촉될 수도 있다.
만일, 광원 모듈(100)이 제1 반사부(200)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제2 반사부(300)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될 경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그 이유는 광원 모듈(100)에서 생성된 광이 제2 반사부(300)의 중앙영역으로 많이 집중되도록 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중앙영역에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다음, 제1 반사부(200)와 제2 반사부(300) 사이의 빈 공간에는 에어 가이드를 갖도록, 제1 반사부(200)와 제2 반사부(300)는 일정 간격 떨어져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반사부(200)는 오픈(open) 영역을 가지고, 광원 모듈(100)의 일측에 접촉되거나 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반사부(200)는 중앙 영역이 오픈되고, 광원 모듈(100)은 제1 반사부(20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반사부(200)는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광원 모듈(100)로부터 생성된 광을 제2 반사부(30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부(200)의 표면 중 광원 모듈(100)에 마주보는 표면 위에는 톱니형태의 반사 패턴이 형성되고, 반사 패턴의 표면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도 있다.
제1 반사부(200)의 표면에 반사 패턴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 모듈(100)에서 생성된 광을 제2 반사부(300)의 중앙 영역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의 중앙 영역에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제2 반사부(300)는 바텀 커버(600)에 의해 지지되며, 광원 모듈(100)로부터 생성된 광 또는 제1 반사부(200)로부터 반사된 광을 제1 반사부(200)의 오픈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반사부(300)는 제1 반사부(200)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반사부(300)는 제1 반사부(200)와 평행하지 않으며, 평면, 플랫(flat) 경사면, 오목 경사면, 볼록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반사부(300)는 변곡부(P)에서 서로 만나는 복수의 제1 및 제2 경사면(304, 306)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2 반사부(300)의 중심 영역(320)은 편평한 평면이나 또는 오목한 곡면 또는 볼록한 곡면 중 어느 한 형상일 수도 있고, 다수의 형상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반사부(300)의 제1 및 제2 경사면(304, 306)은 그(300)의 중심 영역(320)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부(300)에서 변곡부(P)를 중심으로 인접하여 만나는 제1 및 제2 경사면(304, 306) 각각의 곡률 반경(R1 및 R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제2 반사부(300)의 제1 및 제2 경사면(304, 306) 사이의 변곡부(P)는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광원 모듈(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경사면(304)은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고, 제1 경사면(304)의 곡률 반경(R1)이 제2 경사면(306)의 곡률 반경(R2)보다 더 작을 수도 있고, 더 클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경사면(304)의 곡률 반경(R1)이 제2 경사면(306)의 곡률 반경(R2)과 동일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2 반사부(300)는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에 정반사면을 배치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 난반사면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반사부(300)는 경사면을 갖는 바텀 커버(600)에 반사 필름이 부착된 구조일 수도 있고, 평면을 갖는 바텀 커버(600)에 경사면을 갖는 반사 필름이 부착된 구조일 수도 있으며,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바텀 커버(600) 자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반사 필름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은(Ag), 금(Ag) 또는 이산화 티타늄(TiO2)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제2 반사부(300)가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바텀 커버(600) 자체이거나 반사 필름의 형태로 바텀 커버(600)에 부착될 경우, 바텀 커버(600)는 도 2에 도시된 제2 반사부(300)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은 제2 반사부(300)를 바텀 커버(600)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700)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700)는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와 체결부(720)로 구성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 제2 반사부(300) 및 체결부(720)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반사부(300)는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가 삽입 가능한 한 쌍의 홀(302A, 302B)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는다.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는 제2 반사부(300)의 홀(302A, 302B)에 삽입 가능하도록 바텀 커버(600)의 내측면(600A)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는 바텀 커버(600)와 일체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등으로 바텀 커버(600)와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를 함께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체결부(720)는 제2 반사부(300) 위에 배치되며,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와 맞물려서 체결 고리(710A, 710B)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체결공(722A, 722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체결부(7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plate) 모양일 수 있다.
체결부(720)와 체결 고리(710A)의 체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체결 고리(710B)는 체결 고리(710A)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체결부(72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반사부(300)의 홀(302A, 302B)에 바텀 커버(600)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를 각각 화살표 방향(802)으로 삽입한다. 이후, 제2 반사부(300)의 상부에서 체결부(720)를 화살표 방향(804)으로 가압하여 한 쌍의 체결공(722A, 722B)을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에 각각 삽입시킨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720)는 제2 반사부(300)의 제1 및 제2 경사면(304, 306)에 밀착되어 제2 반사부(300)를 고정시키면서 체결고리(710A, 710B)에 체결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 중 하나(710A)와 체결부(720)의 상세한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 중 다른 하나(710B)와 체결부(720)는 동일한 원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체결 고리(710A)와 체결부(720)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체결 고리(710A)는 제1 방향으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체결부(720)의 일부(B)가 삽입 가능한 절개부(718)을 갖는다.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 고리(710A)는 제1 측벽(711), 상판 및 하판(713, 719), 제1 및 제2 연장부(715, 717)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측벽(711)은 바텀 커버(600)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판 및 하판(713, 719)은 제1 측벽(711)의 양단(711A, 711B)으로부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은 제2 방향에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715, 717)는 상판 및 하판(713, 719)으로부터 서로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여기서, 제 및 제2 연장부(715, 717)는 절개부(718)를 한정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연장부(715, 717)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 고리(710A)와 체결부(7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실시예에 의한 체결 고리(710A)와 체결부(720)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비록, 도 6a 내지 도 6c에는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 중 하나(710A)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하나의 체결 고리(710B)도 이와 같이 다양한 모습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711)은 제1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체결 고리(710A)의 제1 측벽(711)은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가지면서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고리(710A)의 제1 측벽(711)은 하나의 절곡부(C)를 가지면서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체결 고리(710A)의 제1 측벽(711)의 외측면(711C) 및 내측면(711D)은 각각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711)의 외측면(711C)의 곡률은 내측면(711D)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711)의 외측면(711C)의 곡률은 내측면(711D)의 곡률과 다를 수도 있다.
이 경우, 체결부(720)의 단부(C') 역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711)의 내측면(711D)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720)의 단부(C')는 체결 고리(710A)의 제1 측벽(711)과 마찬가지로 절곡부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720)의 단부(C')의 곡률은 체결 고리(710A)의 제1 측벽(711)의 내측면(711D)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720)의 단부(C')를 체결 고리(710A)의 제1 측벽(711)의 내측면(711D)과 비슷한 형상으로 만들 경우, 체결부(720)는 체결 고리(710A)에 보다 안정되게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체결 고리(710A) 및 체결부(7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면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체결 고리(710A)는 제1 가이드 면(712A, 712B, 742)을 포함하고, 체결부(720)는 제2 가이드 면(728A, 72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면(712A, 712B, 742) 및 제2 가이드 면(728A, 728B)은 체결 고리(710A)와 체결부(720)의 체결 경로를 가이드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가이드 면(712A, 712B, 742) 및 제2 가이드 면(728A, 728B)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면(712A)의 끝단을 이은 연장선과 제1 연장부(715)의 윗면인 제1 가이드면(712A) 사이에 형성된 경사(θ1)는 체결부(720)의 바닥면의 연장선과 제2 가이드 면(728A) 사이에 형성된 경사(θ2)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면(712A)의 경사(θ1)는 제2 가이드 면(728A)의 경사(θ2) 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θ1)가 경사(θ2) 보다 더 클 경우, 체결부(720)가 화살표 방향(804) 방향으로 가압될 때, 체결부(720)가 체결 고리(710A)에 보다 쉽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면(712A)의 가이드 길이(L1)는 제2 가이드 면(728A)의 가이드 길이(L2) 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길이(L1)가 길이(L2) 보다 더 작을 경우, 체결부(720)의 화살표 방향(804)으로 가압될 때, 체결부(720)가 체결 고리(710A)에 보다 쉽게 체결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체결부(720)가 화살표 방향(804)으로 가압되어 체결 고리(710A)에 체결되는 과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이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b는 이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체결부(720)가 화살표 방향(804)으로 가압될 때, 제1 가이드 면(712A, 712B, 742) 및 제2 가이드 면(728A, 728B)에 의해 가이드되어, 체결 고리(710A)의 제1 측벽(711), 상판(713) 및 제1 연장부(715)는 화살표 방향(806)으로 소정 각도(θ3) 만큼 젖혀진다. 따라서, 체결 고리(710A)의 절개부(718)는 체결부(720)가 충분히 삽입 가능해지도록 벌려지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측벽(711)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720)가 체결 고리(710A)와 체결될 때, 제2 반사부(300)의 변곡부(P)를 중심하는 제1 및 제2 경사면(304, 306)의 모양대로 밀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되어야 제2 반사부(300)는 바텀 커버(600)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 사이에서 체결부(720)가 배치되는 곳의 길이(L3)는 체결부(720)의 길이(L4)와 동일하고, 체결부(720)는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측벽(711)과 마찬가지로 체결부(720)는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720)의 체결 공(722A)이 제2 연장부(719)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측벽(711)이 젖혀진 이후, 탄성을 갖는 제1 측벽(711)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연장부(715)는 화살표 방향(808)으로 복원되어 체결공(722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720)가 체결 고리(710A)에 원할히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절개부(718)의 간격(d)은 체결부(720)의 두께(t) 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절개부(718)의 간격(d)이 체결부(720)의 두께(t) 보다 크다고 하더라도, 체결부(720)는 탄성에 의해 제2 반사부(300)의 제1 및 제2 경사면(304, 306)을 누르면서 체결되므로, 체결 고리(710A)로부터 이탈될 염려는 없다.
또는, 체결부(720)의 체결공(722A)에 체결 고리(710A)의 제1 및 제2 연장부(715, 717)가 수용되고 체결부(720)의 일부(B)가 체결 고리(710A)에 수용된 후, 체결부(720)가 체결 고리(710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연장부(715, 171) 사이의 이격 거리(d) 즉, 절개부(718)의 간격(d)은 체결부(720)의 두께(t) 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비록 이격 거리(d)가 체결부(720)의 두께(t) 보다 작다고 하더라도,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제1 측벽(711)이 화살표 방향(806)으로 젖혀지므로 체결부(720)는 체결 고리(710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체결 고리(710A)에서 체결부(720)의 일부(B)를 수용하는 공간의 제1 방향으로의 높이(h)는 체결부(720)의 두께(t)와 다르거나 동일할 수 있다. 만일, 높이(h)가 두께(t)와 동일하다면, 체결부(720)가 체결 고리(710A)와 체결된 후에, 체결부(720)의 일부(B)가 체결 고리(710A) 내에서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700)의 배치를 나타내는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4,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102)이 배열되는 방향(z)과 직교하는 방향(y)으로 고정부(700)의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는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102)이 배열되는 방향(z)과 직교하는 방향(y)으로의 제2 반사부(300A)의 길이(L5)에 대한 고정부(700)의 방향(y)으로의 길이(L6)의 비율은 5-15 : 12-2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5에 대한 L6의 비율은 10:17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102)이 배열되는 방향(z)과 평행한 방향(z)으로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가 배열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2 반사판(300B)은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가 삽입 가능한 홀을 가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720)는 한 쌍의 체결 고리(710A, 710B)와 체결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72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체결부(720)는 도 3, 도 5 또는 도 7a에 도시된 체결부(720)와 달리 절개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도 3, 도 5 또는 도 7a에 도시된 체결부(72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도 5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720)는 절개부(727)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720)는 절개부(727)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체결부(720)가 절개부(727)를 가질 경우, 체결부(720)가 체결 고리(710A, 710B)에 체결될 때, 체결부(720)가 체결 고리(710A, 710B)와 접하는 면적이 줄어들 수 있어, 보다 쉽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광학 부재(400)는 커버 플레이트(500)에 의해 지지되고, 제2 반사부(3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광학 부재(40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강화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광학 부재(400)는 사출을 통해 플레이트(plate)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광원(102)으로부터 발생된 빛과 제1 및 제2 반사부(200, 300)에서 반사된 빛을 확산시켜 준다. 이때, 광학 부재(400)는 확산된 빛을 투과시킨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된 광을 발광 영역으로 가이드하며, 휘도 확산 시트는 휘도를 강화시켜 줄 수 있다.
다음, 커버 플레이트(500)는 광원 모듈(100), 제1 반사부(200) 및 광학 부재(400)를 지지한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500)의 재질은 바텀 커버(600)의 재질과 다를 수 있다. 즉, 커버 플레이트(5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텀 커버(600)는 사출 성형이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900)은 디스플레이 패널(910) 및 백라이트 유닛(9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910)은 서로 마주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912)과 박막 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914)을 포함하며, 두 기판(912, 914)의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91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상부 편광판(916) 및 하부 편광판(918)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컬러 필터 기판(912)의 상면에 상부 편광판(916)이 배치되고, TFT 기판(914)의 하면에 하부 편광판(918)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910)의 측면에는 패널(91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900), 디스플레이 모듈(900)을 둘러싸는 프론트 커버(1100) 및 백 커버(1200), 백 커버(1200)에 구비된 구동부(1300) 및 구동부(1300)를 감싸는 구동부 커버(1400)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00)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전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패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디스플레이 모듈(900)을 보호하며, 디스플레이 모듈(9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디스플레이 모듈(9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백 커버(1200)는 프론트 커버(1100)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900)을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1200)의 일면에는 구동부(13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300)는 구동 제어부(1302), 메인보드(1304) 및 전원공급부(13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302)는 타이밍 컨트롤러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900)의 각 드라이버 IC에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구동부이고, 메인보드(1304)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V싱크, H싱크 및 R, G, B 해상도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이며, 전원 공급부(1306)는 디스플레이 모듈(900)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이다.
구동부(1300)는 백 커버(1200)에 구비되어 구동부 커버(140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백 커버(1200)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900)과 구동부(1300)가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지지하는 스탠드(1500)가 구비될 수 있다.
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300)의 구동 제어부(1302)는 백 커버(1200)에 구비되고, 메인보드(1304)와 전원보드(1306)는 스탠드(15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부 커버(1400)는 백 커버(1200)에 구비된 구동 제어부(1302)만을 감쌀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메인보드(1304)와 전원보드(1306)를 각각 따로 구성하였으나, 하나의 통합보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 예를 들면, 제1, 제2 리플렉터 및 광원 모듈(200, 300, 400)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지시 장치, 조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은 램프,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LED를 집속하여 빛을 얻는 조명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 내에 매입되어 셰이드의 개구부 측이 노출되게 장착 될 수 있도록 하는 매입 등(다운 라이트)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0: 광원 모듈 20, 200: 제1 반사부
30, 300, 300A, 300B: 제2 반사부 40, 400: 광학 부재
50, 500: 커버 플레이트 60, 600: 바텀 커버
302A, 302B: 홀 304, 306: 제1, 제2 경사면
700: 고정부 710, 710A, 710B: 체결 고리
720: 체결부 711: 제1 측벽
712A, 712B, 742: 제1 가이드 면 713: 상판
715: 제1 연장부 717: 제2 연장부
718, 727: 절개부 719: 하판
722A, 722B: 체결공 728A, 728B: 제2 가이드 면
900: 디스플레이 모듈 912, 914: 기판
916: 상부 편광판 918: 하부 편광판
920: 백라이트 유닛 1000: 디스플레이 장치
1100: 프론트 커버 1200: 백 커버
1300: 구동부 1400: 구동부 커버
1500: 스탠드

Claims (21)

  1. 제1 반사부;
    복수의 홀을 갖는 제2 반사부;
    상기 제2 반사부를 지지하는 바텀 커버;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제2 반사부를 상기 바텀 커버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홀에 삽입 가능하게 상기 바텀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체결 고리; 및
    상기 제2 반사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체결 고리와 맞물려서 상기 체결 고리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한 쌍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리는 상기 바텀 커버와 일체형인 백라이트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리는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부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절개부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리는
    상기 바텀 커버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판 및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하판으로부터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리에서 상기 체결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는 상기 체결부의 두께와 다른 백라이트 유닛.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 개이고,
    상기 한 쌍의 체결 고리는 상기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는 제3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 개이고,
    상기 한 쌍의 체결 고리는 상기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는 제3 방향과 직교하는 제4 방향으로 배열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의 상기 제3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제3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의 비율은 5-15 :12-22인 백 라이트 유닛.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리 및 상기 체결부는 제1 가이드 면 및 제2 가이드 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면 및 제2 가이드 면은 상기 체결 고리와 상기 체결부의 체결 경로를 가이드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면 및 제2 가이드 면 각각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11 항에 있어서, 제1 가이드 면의 끝단을 이은 연장선과 상기 제1 연장부의 윗면인 상기 제1 가이드 면 사이에 형성된 경사는 상기 체결부의 바닥면의 연장선과 제2 가이드 면 사이에 형성된 경사와 동일한 백라이트 유닛.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면의 경사는 상기 제2 가이드 면의 경사보다 큰 백라이트 유닛.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면의 가이드 길이는 상기 제2 가이드 면의 가이드 길이보다 더 작은 백라이트 유닛.
  1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하판과 수직으로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
  1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가지면서 돌출된 백라이트 유닛.
  1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과 외측면은 곡률이 포함된 백라이트 유닛.
  1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의 곡률과 외측면의 곡률은 서로 동일한 백라이트 유닛.
  1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체결부의 두께와 다른 백라이트 유닛.
  21. 제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20110130318A 2011-12-07 2011-12-07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20130063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318A KR20130063773A (ko) 2011-12-07 2011-12-07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318A KR20130063773A (ko) 2011-12-07 2011-12-07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773A true KR20130063773A (ko) 2013-06-17

Family

ID=4886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318A KR20130063773A (ko) 2011-12-07 2011-12-07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377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90A1 (en) * 2014-10-31 2016-05-06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9482897B2 (en) 2013-01-23 2016-11-01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9523885B2 (en) 2014-10-31 2016-12-20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unit
US9740047B2 (en) 2014-10-31 2017-08-22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10768479B2 (en) 2014-10-31 2020-09-08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12000582B2 (en) 2014-10-31 2024-06-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ng sheet with plurality of dot areas reducing reflectivity of the reflecting sheet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3242B2 (en) 2013-01-23 2019-07-16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9482897B2 (en) 2013-01-23 2016-11-01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9494824B2 (en) 2013-01-23 2016-11-15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12111538B2 (en) 2013-01-23 2024-10-08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9551899B2 (en) 2013-01-23 2017-01-24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11513390B2 (en) 2013-01-23 2022-11-29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11249344B2 (en) 2013-01-23 2022-02-15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10962833B2 (en) 2013-01-23 2021-03-30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10613383B2 (en) 2013-01-23 2020-04-07 Lg Electronics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10185178B2 (en) 2013-01-23 2019-01-22 Lg Electronic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10408422B2 (en) 2014-10-3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ng sheet with plurality of dot areas reducing reflectivity of the reflecting sheet
US9933657B2 (en) 2014-10-31 2018-04-03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unit
US10203087B2 (en) 2014-10-31 2019-02-12 Lg Electronis Inc.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ng sheet with plurality of dot areas reducing reflectivity of the reflecting sheet
US10365513B2 (en) 2014-10-31 2019-07-30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WO2016068590A1 (en) * 2014-10-31 2016-05-06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10030845B2 (en) 2014-10-31 2018-07-24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unit
US10768479B2 (en) 2014-10-31 2020-09-08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10838254B2 (en) 2014-10-31 2020-11-17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10883703B2 (en) 2014-10-31 2021-01-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ng sheet with plurality of dot areas reducing reflectivity of the reflecting sheet
US10203549B2 (en) 2014-10-3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9910316B2 (en) 2014-10-31 2018-03-06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11287691B2 (en) 2014-10-31 2022-03-29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9740047B2 (en) 2014-10-31 2017-08-22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11566776B2 (en) 2014-10-31 2023-01-3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ng sheet with plurality of dot areas reducing reflectivity of the reflecting sheet
US11579487B2 (en) 2014-10-3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11860474B2 (en) 2014-10-31 2024-01-02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12000582B2 (en) 2014-10-31 2024-06-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ng sheet with plurality of dot areas reducing reflectivity of the reflecting sheet
US12013611B2 (en) 2014-10-31 2024-06-18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US9523885B2 (en) 2014-10-31 2016-12-20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unit
US12215856B2 (en) 2014-10-31 2025-02-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ng sheet with plurality of dot areas reducing reflectivity of the reflecting she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6950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6061513B2 (ja) 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システム
CN103703578B (zh) 发光装置、照明装置和显示装置
US8436963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EP2840420B1 (en) Lighting system
EP3015884B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a lens,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apparatus
KR2013009691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JP6116805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これを用い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を含む照明システム
KR20130063773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20130019884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8713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523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814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868536B1 (ko) 조명 시스템
KR10194813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814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94814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850436B1 (ko) 표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3002030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5450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1867045B1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1868539B1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18801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3427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18548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