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7828B1 -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828B1
KR102157828B1 KR1020180128306A KR20180128306A KR102157828B1 KR 102157828 B1 KR102157828 B1 KR 102157828B1 KR 1020180128306 A KR1020180128306 A KR 1020180128306A KR 20180128306 A KR20180128306 A KR 20180128306A KR 102157828 B1 KR102157828 B1 KR 10215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breather
cold start
engine
start cond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878A (ko
Inventor
김종문
김병진
유종욱
이승룡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8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8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8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011Breathe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cold 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23Cooling wate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 검출부; 상기 냉각수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 온도에 기초하여 냉시동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한 냉시동 조건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크랭크 케이스에 공급되는 신기(Fresh Air)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브리더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EATHER CONTROL VALVE OF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리더 호스(Breather hose) 상에 브리더 제어 밸브(Breather control valve)를 새로이 장착한 후, 냉시동 시 쓰로틀(Throttle)과 브리더 제어 밸브를 동시에 전자제어 함으로써, 냉시동 시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내연기관 엔진은 브리더 호스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블로바이 가스(Blow by Gas)를 직접 제어하는 방법이 없었으며, 또한 저기화성 연료(예 : 에탄올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에서는 저온(예 : 영하) 냉시동 시 별도로 제어하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시동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제한이 있었다.
다만 종래에는 저기화성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의 냉시동 시 착화(1st firing)가 안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열 인젝터(Heated Injector)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상기 가열 인젝터의 사용 시 이로 인한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상기 가열 인젝터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냉시동 시 시동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54812호(2008.06.19. 공개, 카본퇴적 방지를 위한 블로바이 가스 포집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브리더 호스(Breather hose)에 브리더 제어 밸브(Breather Control valve)를 장착한 후 냉시동 시 쓰로틀(Throttle)과 브리더 제어 밸브(Breather control valve)를 동시에 전자제어 함으로써, 냉시동 시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는,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 검출부; 상기 냉각수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 온도에 기초하여 냉시동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한 냉시동 조건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크랭크 케이스에 공급되는 신기(Fresh Air)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브리더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전자식 제어 밸브로서, 온오프 방식으로 제어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전자식 제어 밸브로서, 펄스폭 제어 방식으로 닫힘량이 제어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 온도에 따라 냉시동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며, 상기 냉시동 조건에 따라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 온도와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의 관계에 따라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냉시동 조건에 따라 다르게 제어할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에 신기(Fresh Air)를 공급하는 브리더 호스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쓰로틀 제어 밸브의 닫힘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인지 체크하는 단계; 및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가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 제어를 통해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크랭크 케이스에 공급되는 신기(Fresh Air)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었을 때,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 제어 시, 상기 제어부가, 쓰로틀 제어 밸브에 대한 닫힘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어부가 쓰로틀 제어 밸브를 온시키고, 이와 동시에 브리더 제어 밸브를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에 신기(Fresh Air)를 공급하는 브리더 호스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 온도에 따라 냉시동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며, 상기 냉시동 조건에 따라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 온도와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의 관계에 따라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냉시동 조건에 따라 다르게 제어할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전자식 제어 밸브로서, 온오프 방식으로 제어되는 밸브, 또는 펄스폭 제어 방식으로 닫힘량이 제어되는 밸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브리더 호스(Breather hose)에 브리더 제어 밸브(Breather Control valve)를 장착한 후 냉시동 시 쓰로틀(Throttle)과 브리더 제어 밸브(Breather control valve)를 동시에 전자제어 함으로써, 냉시동 시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시 닫힘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는, 냉각수 온도 검출부(110), 제어부(120), 및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 온도 검출부(110)는 온도 검출 센서(미도시)를 통해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120)가 냉시동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각수 온도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 온도에 기초하여 냉시동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냉각수 온도는 주위 온도를 반영하는 것이나,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차량을 주행한 다음 시동이 오프된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단순히 주위 온도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냉시동 조건인지 여부는 냉각수 온도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각수 온도에 따라 냉시동 조건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 온도에 따라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130)의 오프량(즉,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 온도와 브리더 제어 밸브의 오프량(즉,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의 관계를 룩업 테이블(미도시)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130)는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브리더 호스를 통해 크랭크 케이스에 공급되는 신기(Fresh Air)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밸브이다. 이때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130)는 기존의 브리더 호스 상에는 형성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130)가 브리더 호스 상에 새로이 형성된다.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130)의 오프(닫힘) 제어를 수행할 경우,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으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Blow by gas)의 유동을 간접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130)의 오프(닫힘) 제어를 수행할 경우, 크랭킹(Cranking) 시 피스톤을 통해 흡기다기관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지만, 신기(Fresh Air)는 유입이 차단되기 때문에 흡기다기관 및 실린더 내부의 압력은 점점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시동 시 흡기다기관의 압력이 낮아질 경우, 끓는점이 낮아져 저기화성 연료의 초폭 및 착화 시점을 앞당길 수 있게 된다. 즉, 시동성이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른 냉시동 조건에서 기 설정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130)의 오프량(즉,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제어함으로써, 저기화성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냉시동 시 시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130)의 오프량(즉, 닫힘량) 제어 시, 상기 제어부(120)는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의 오프량(즉, 닫힘량)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저기화성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냉시동 시 시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20)는 저기화성 엔진(즉, 저기화성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경우, 냉시동 시(예 : 섭씨 0도의 주변 온도)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을 닫고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새로이 형성된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차단하여 흡기다기관으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간접적으로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와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차단하여 흡기다기관으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차단(또는 블로바이 가스의 생성 억제나 역류를 제한)함으로써, 냉시동 시 흡기다기관의 압력이 낮아질 경우 끓는점이 낮아져 저기화성 연료의 초폭 및 착화시점을 앞당길 수 있기 때문에 시동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리더 호스 상에 새로이 형성되는 브리더 제어 밸브(130)는 릴레이 방식(즉, 온오프 제어 방식)이나 PWM(펄스폭 제어) 방식으로 듀티제어(즉, 닫힘량 제어 방식) 할 수 있는 것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크랭크 케이스로 공급되는 신기(Fresh Air)를 차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저기화성 엔진(즉, 저기화성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냉시동 시 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다(S101).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인지 체크한다(S102).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한 냉각수 온도가 지정된 냉시동 조건에 해당하는 온도인지 체크한다.
이에 따라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었을 때(S102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를 오프시키고(S103),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브리더 호스 상에 새로이 추가한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오프시킨다(S104).
상기와 같이 기 지정된 냉시동 조건에서 냉시동 시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을 닫고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새로이 형성된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닫아 흡기다기관으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간접적으로 차단할 경우, 냉시동 시 흡기다기관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연료의 끓는점이 낮아져 저기화성 연료의 초폭 및 착화시점을 앞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저기화성 엔진(즉, 저기화성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냉시동 시 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다(S101).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인지 체크한다(S102).
이에 따라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었을 때(S102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를 오프시키고(S103),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브리더 호스 상에 새로이 추가한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오프시킨다(S104).
한편 상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지 않았을 때(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20)는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를 온시키고(S105),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브리더 호스 상에 새로이 추가한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온시킨다(S106).
이와 같이 냉시동 조건인 경우와 냉시동 조건이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냉시동 조건인 경우에만 상기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을 닫고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새로이 형성된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닫아 흡기다기관으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간접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냉시동 시 흡기다기관의 압력이 낮아지게 하여, 이에 따라 연료의 끓는점을 낮아지게 함으로써, 저기화성 연료의 초폭 및 착화시점을 앞당길 수 있게 하여 시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시 닫힘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저기화성 엔진(즉, 저기화성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냉시동 시 냉시동 조건에 따라 브리더 제어 밸브 오프량(닫힘량)을 조절하여 시동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다(S101).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인지 체크한다(S102).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수 온도를 기 지정된 구간(예 : 5도 ~ -5도, -6도 ~ -15도 등)으로 구분하여 냉시동 조건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었을 때(S102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를 오프시키고(S103),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브리더 호스 상에 새로이 추가한 브리더 제어 밸브(130)의 오프량(즉, 닫힘량)을 제어하되(S104), 미리 설정된 브리더 제어 밸브 룩업 테이블(미도시)에 기초하여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130)의 오프량(즉, 닫힘량)을 제어한다(S107).
한편 상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지 않았을 때(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20)는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를 온시키고(S105),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브리더 호스 상에 새로이 추가한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온시킨다(S106).
이와 같이 냉시동 조건인 경우에 냉각수 온도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상기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을 닫고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새로이 형성된 브리더 제어 밸브(130)의 오르량(즉 닫힘량)을 제어함으로써, 흡기다기관으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간접적으로 차단하고, 이에 따라 냉시동 시 흡기다기관의 압력이 낮아지게 하여 연료의 끓는점을 낮아지게 함으로써, 저기화성 연료의 초폭 및 착화시점을 앞당길 수 있게 하여 시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냉시동이 완료될 경우에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시동(즉, 냉시동)이 완료될 경우(S201의 예),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를 온(개방) 시킴과 동시에(S202), 본 실시예에서 브리더 호스 상에 새로이 추가한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온(개방) 시킨다(S203).
이와 같이 냉시동이 완료될 경우, 상기 쓰로틀 제어 밸브(미도시)와 본 실시예에서 새로이 형성된 브리더 제어 밸브(130)를 모두 개방함으로써, 시동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흡기다기관의 압력이 유지시켜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엔진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브리더 호스(Breather hose)에 브리더 제어 밸브(Breather Control valve)를 장착한 후 냉시동 시 쓰로틀(Throttle) 제어 밸브와 브리더 제어 밸브(Breather control valve)를 동시에 전자제어 함으로써, 냉시동 시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냉각수 온도 검출부
120 : 제어부
130 : 브리더 제어 밸브

Claims (14)

  1.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 검출부;
    상기 냉각수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냉각수 온도에 기초하여 냉시동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한 냉시동 조건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크랭크 케이스에 공급되는 신기(Fresh Air)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브리더 제어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 온도에 따라 냉시동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며, 상기 냉시동 조건에 따라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상기 냉각수 온도와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의 관계에 따라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냉시동 조건에 따라 다르게 제어할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제어하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쓰로틀 제어 밸브의 닫힘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전자식 제어 밸브로서, 온오프 방식으로 제어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전자식 제어 밸브로서, 펄스폭 제어 방식으로 닫힘량이 제어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에 신기(Fresh Air)를 공급하는 브리더 호스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7. 삭제
  8. 제어부가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인지 체크하는 단계; 및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가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 제어를 통해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크랭크 케이스에 공급되는 신기(Fresh Air)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 온도에 따라 냉시동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며, 상기 냉시동 조건에 따라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상기 냉각수 온도와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의 관계에 따라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냉시동 조건에 따라 다르게 제어할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을 제어하며,
    상기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었을 때, 브리더 제어 밸브의 닫힘량 제어 시,
    상기 제어부가,
    쓰로틀 제어 밸브에 대한 닫힘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지정된 냉시동 조건이 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어부가 쓰로틀 제어 밸브를 온시키고, 이와 동시에 브리더 제어 밸브를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엔진의 에어 필터에서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에 신기(Fresh Air)를 공급하는 브리더 호스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제어 밸브는,
    전자식 제어 밸브로서, 온오프 방식으로 제어되는 밸브, 또는 펄스폭 제어 방식으로 닫힘량이 제어되는 밸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방법.
KR1020180128306A 2018-10-25 2018-10-25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15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06A KR102157828B1 (ko) 2018-10-25 2018-10-25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06A KR102157828B1 (ko) 2018-10-25 2018-10-25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878A KR20200047878A (ko) 2020-05-08
KR102157828B1 true KR102157828B1 (ko) 2020-09-21

Family

ID=7067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306A Active KR102157828B1 (ko) 2018-10-25 2018-10-25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8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880A (ja) 1999-03-11 2000-09-2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2000337218A (ja) 1999-05-24 2000-12-05 Yamaha Motor Co Ltd 4サイクルエンジン
JP4732288B2 (ja) 2006-09-21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ソリン機関におけるブローバイガス制御装置
JP2011220114A (ja) 2010-04-02 2011-11-0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1220235A (ja) 2010-04-09 2011-11-0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170002775A1 (en) * 2015-06-30 2017-01-05 Honda Motor Co., Ltd. Air intake structure for eng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880A (ja) 1999-03-11 2000-09-2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2000337218A (ja) 1999-05-24 2000-12-05 Yamaha Motor Co Ltd 4サイクルエンジン
JP4732288B2 (ja) 2006-09-21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ソリン機関におけるブローバイガス制御装置
JP2011220114A (ja) 2010-04-02 2011-11-0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1220235A (ja) 2010-04-09 2011-11-0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170002775A1 (en) * 2015-06-30 2017-01-05 Honda Motor Co., Ltd. Air intake structure for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878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9035B2 (ja) エンジンの燃料圧力制御装置
JP3741087B2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RU2656074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вигателем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N109488472B (zh) 用于蒸发排放系统的小泄漏测试的方法
US92674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vacuum generation
JP2006183629A (ja) 内燃機関及びその制御方法
US11519353B2 (en)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038053A (ja) 内燃機関のバルブ凍結抑制装置及びセンサ素子破損抑制装置
JP4341240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7133395A (ja) エンジンの吸気温度制御装置
US9683536B2 (en) Enhanced glow plug control
KR102157828B1 (ko) 내연기관 엔진의 브리더 제어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6460694B (zh) 内燃机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JP6248408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10112356A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KR102113658B1 (ko) 내연기관 엔진의 cps 및 pcv 통합밸브 제어 장치와 방법
SE0402534D0 (sv) Arrangemang och förfarande för att styra en förbränningsmotor
JP2017115646A (ja) 吸気温度制御装置
KR100405790B1 (ko) 이지알 밸브의 셀프 크리닝 제어방법
JP2017115647A (ja) 吸気温度制御装置
JP2004052613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1716638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6329003A (ja) 内燃機関の二次空気供給装置
JP2008309033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制御装置
JP201317050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