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5119B1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119B1
KR102155119B1 KR1020130129675A KR20130129675A KR102155119B1 KR 102155119 B1 KR102155119 B1 KR 102155119B1 KR 1020130129675 A KR1020130129675 A KR 1020130129675A KR 20130129675 A KR20130129675 A KR 20130129675A KR 102155119 B1 KR102155119 B1 KR 10215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isplay device
base
base film
prote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303A (ko
Inventor
남궁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119B1/ko
Priority to US14/247,193 priority patent/US9274561B2/en
Publication of KR2015004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1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6Substr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주름부를 갖는 제1 벤딩 영역과 제1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구조물 및 표시 구조물을 덮으며 베이스 필름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며, 제1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은 각기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각기 다른 물질들로 구성된 복수의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모니터, 텔레비전(TV), 디지털 정보 표시(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장치와 같은 거치형 전자 장치뿐만 아니라,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시스템, 캠코더,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화면의 크기가 증가하면서도 전자 제품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감거나 접을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감거나 접을 수 있는 표시 장치는 베이스 필름, 표시 구조물, 윈도우, 보호 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감거나 접을 수 있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베이스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은 표시 장치를 감거나 접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응력을 완화시키기 어렵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에 손상(예를 들면, 균열(crack))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각기 다른 물질로 구성된 복수의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여 표시 장치를 감거나 접는 경우 발생하는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기 다른 물질로 구성된 복수의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여 표시 장치를 감거나 접는 경우 발생하는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이 전술한 목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주름부를 갖는 제1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1 면 상에배치되는 표시 구조물 및 상기 표시 구조물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은 각기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탄성 계수 보다 큰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 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주름부를 갖는 제2 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벤딩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각기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제3 탄성 계수를 갖는 제3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3 탄성 계수와 보다 큰 제4 탄성 계수를 갖는 제4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3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와 보다 작은 제4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4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SU-8 포토레지스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계 수지, 폴리술폰(polysulfone)계 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지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의 제1 면 상에 베이스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을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1 면 상에 표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 상에 상기 표시 구조물을 덮도록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을 수축시켜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주름부를 갖는 제1 벤딩 영역 및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지지 기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필름을 분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베이스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박막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박막과 다른 물질을 사용하여 제2 베이스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박막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박막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3 베이스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베이스 박막을 절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베이스 박막은 슬릿 코팅(slit coating)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박막은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 박막 및 상기 제3 베이스 박막은 상기 제1 탄성 계수 보다 큰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박막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3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 박막 및 상기 제3 베이스 박막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와 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4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팽창시키는 과정에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을 물리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거나, 상기 베이스 필름을 가열하여 열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수축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 적용된 소정의 힘을 제거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을 물리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거나, 상기 베이스 필름을 냉각시켜 열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보호 필름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보호 박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 박막 상에 상기 제1 보호 필름층과 다른 물질을 사용하여 제2 보호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박막 상에 상기 제1 보호 박막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3 보호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보호 박막들을 절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을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을 수축시켜 상기 보호 필름상에 주름부를 갖는 제2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의 제1 면 상에 점착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상기 보호 필름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주름부를 갖는 제1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및/또는 주름부를 갖는 제2 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응력에 기인하는 표시 장치의 손상(예를 들면,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팽창(즉, 연신) 공정을 수행된 베이스 필름의 제1 면 상에 표시 구조물, 윈도우 등을 형성한 후, 수축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베이스 필름에 주름부를 갖는 제1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영역을 형성하거나, 팽창 및 수축 공정이 수행되어 주름부를 갖는 제2 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형성함에 따라, 표시 장치를 감거나 접는 경우 야기되는 표시 장치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이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단일 물질로 구성된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변형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다른 물질들로 구성된 복수의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변형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베이스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변형이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 상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또는 제3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상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도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함유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베이스 필름(110), 표시 구조물(140), 윈도우(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0)은 제1 벤딩 영역(120) 및 제1 벤딩 영역(120)에 인접하는 제1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120)과 제1 영역(130)은 각기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벤딩 영역(120)은 표시 장치(100)가 감기거나 접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제1 벤딩 영역(120)은 베이스 필름(110)의 베이스 필름(1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 표시 장치(100)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제1 벤딩 영역(120)은 베이스 필름(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가 좌측, 우측,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제1 벤딩 영역(120)은 베이스 필름(110)의 좌측, 우측,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표시 장치(100)는 실질적으로 베이스 필름(110)의 벤딩 영역(120)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감길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벤딩 영역(120)과 제1 영역(130)은 각기 다른 탄성 계수들을 갖는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벤딩 영역(120)은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영역(130)은 상기 제1 탄성 계수와 다른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벤딩 영역(120)과 제1 영역(130)은 각기 다른 열팽창 계수들을 가지는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벤딩 영역(120)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영역(130)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와 다른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벤딩 영역(120)과 제1 영역(130)은 각기 다른 팽창율들 또는 수축율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팽창율들 또는 수축율들의 차이에 기인하여 제1 벤딩 영역(120)에는 주름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10)을 팽창시킨 후, 팽창된 베이스 필름(110) 상에 후속 공정들(예를 들면, 표시 구조물(140), 윈도우(150) 등을 형성하는 공정들)을 진행한다. 상기 후속 공정들이 완료된 후, 베이스 필름(110)을 수축시킴에 따라 제1 벤딩 영역(120)에 주름부(A)가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110)을 팽창시키는 동안, 제1 탄성 계수 또는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로 구성되는 제1 벤딩 영역(120)에는 제1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필름(110)을 수축시키는 동안, 제1 벤딩 영역(120)에는 제1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110)을 팽창시키는 동안, 상기 제1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2 탄성 계수 또는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로 구성되는 제1 영역(130)에는 상기 제1 인장 응력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2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필름(110)을 수축시키는 동안, 제1 영역(120)에는 상기 제1 압축 응력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2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름부(A)가 제1 벤딩 영역(120)과 제1 영역(130) 사이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 차이 및/또는 압축 응력 차이에 의해 제1 벤딩 영역(120)에 생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110)에 소정의 힘을 인가할 경우에 베이스 필름(110)은 물리적으로 팽창될 수 있고, 베이스 필름(110)에 적용된 소정의 힘을 제거할 경우에는 베이스 필름(110)이 물리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 필름(110)을 팽창 및 수축시키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110)을 가열할 경우, 베이스 필름(110)은 열적으로 팽창될 수 있으며, 베이스 필름(110)을 냉각할 경우에는 베이스 필름(110)이 열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10)이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물질로 구성된 제1 벤딩 영역(120)과 상기 제1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물질로 구성된 제1 영역(130)을 포함하는 경우, 베이스 필름(110)이 물리적으로 팽창되고 수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베이스 필름(110)이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로 구성된 제1 벤딩 영역(120)과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4 물질로 구성된 제1 영역(130)을 포함하는 경우, 베이스 필름(110)은 열적으로 팽창되고 수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110)을 가열하면서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베이스 필름(110)을 팽창시킬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120)이 상기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상기 제1 물질로 이루어질 때, 상기 제1 물질의 예들은 에폭시계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벤딩 영역(12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SU-8 포토레지스트 등을 함유하는 제1 액상 혼합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제1 벤딩 영역(12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SU-8 포토레지스트 등을 함유하는 상기 제1 액상 혼합물 내에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그래핀 복합체(grapheme composite), 은 나노 와이어 (Ag nano wire), 유리 섬유(glass fiber) 등을 분산시킨 제2 액상 혼합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30)은 상기 제1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상대적으로 리지드(rigid)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2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물질의 예들은 엔지니어링 수지(engineering plasti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130)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계 수지, 폴리술폰(polysulfone)계 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계 수지 등을 함유하는 제3 액상 혼합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베이스 필름은 단일 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베이스 필름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예를 들면,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을 완화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충격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결국 표시 장치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베이스 필름(110)은 제1 물질로 구성된 제1 벤딩 영역(120) 및 상기 제2 물질로 구성된 제1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벤딩 영역(120)과 제1 영역(130)은 각기 다른 팽창율들 및/또는 수축율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1 벤딩 영역(120)에는 주름부(A)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120)의 주름부(A)에는 초기 압축 응력(즉, 제1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초기 압축 응력은 베이스 필름(1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진 후 발생하는 인장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해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야기되는 표시 장치(10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110)이 2개의 영역들(즉, 제1 벤딩 영역(120) 및 제1 영역(130))을 포함하지만, 베이스 필름(110)을 구성하는 영역들의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10)은 표시 장치(100)가 감기거나 접히는 부분들을 고려하여, 복수의 벤딩 영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구조물(140)은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구조물(140)은 스위칭 소자, 배선들, 절연층들, 유기 발광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산화물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표시 구조물(140)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대신에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150)는 표시 구조물(140)을 덮으며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 상에 배치되어 표시 구조물(140)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150)는 투명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150)는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150)로 사용될 수 있는 투명 수지 기판의 예들은 폴리이미드(polyimide)계 수지, 아크릴(acryl)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수지, 술폰산(sulfonic acid)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polyethyleneterephthalate)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의 베이스 필름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표시장치를 감거나 접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없다. 이러한 응력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결국 표시 장치의 손상(예를 들면, 균열(crack))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다른 물질들로 구성되어 다른 팽창율들 및/또는 수축율들을 갖는 복수의 영역들을 구비하는 베이스 필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필름(110)에는 주름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A)에 의해 베이스 필름(1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기 전에, 초기 압축 응력(즉, 제1 압축 응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초기 압축 응력은 베이스 필름(1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진 후에 발생되는 인장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100)를 감거나 접는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표시 장치(10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단일 물질로 구성된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변형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다른 물질들로 구성된 복수의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변형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감기거나 접히기 전에는 실질적으로 0인 압축 응력을 가진다(즉,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힘에 따라 인장 응력이 점차 증가하며, 상기 표시 장치에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인장 응력은 약 2.8GPa 정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표시 장치가 다른 물질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감기거나 접히기 전에 상기 복수의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필름에 제1 압축 응력이 발생한다. 상기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힘에 따라 인장 응력이 점차 증가하지만, 이 경우에는 상기 인장 응력은 상기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기 전에 발생한 상기 제1 압축 응력만큼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에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인장 응력은 약 1.5GPa 정도로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 비하여 약 50% 가량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복수의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필름을 포함할 때, 상기 표시 장치를 감거나 접는 경우 야기되는 응력으로 인한 표시 장치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베이스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기판(305)을 마련한(단계 S10) 후, 지지 기판(305)의 제1 면 상에 베이스 필름(310)을 형성한다(단계 S2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310)의 제1 벤딩 영역(320)과 제1 영역(330)은 각기 다른 물질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속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들 동안에 제1 벤딩 영역(320)과 제1 영역(330)에는 다른 인장 응력들 및/또는 수축 응력들이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벤딩 영역(320)에는 주름부(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320)의 주름부(B)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310)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상에 제1 베이스 박막을 형성한(단계 S210) 후, 상기 제1 베이스 박막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박막과 다른 물질을 사용하여 제2 베이스 박막을 형성한다(단계 S220).
상기 제2 베이스 박막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박막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3 베이스 박막을 형성한(단계 S230) 후, 상기 제1 내지 제3 베이스 박막들을 절단하여 베이스 필름(310)을 수득한다(단계 S240).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베이스 박막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310)은 슬릿 코팅(slit coating) 공정을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필름(310)의 상기 제2 베이스 박막이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절단 후, 상기 제2 베이스 박막이 위치하는 영역을 제1 벤딩 영역(320)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박막 및 상기 제3 베이스 박막이 위치하는 영역들을 제1 영역(330)들로 정의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310)을 팽창시킨다(단계 S3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310)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베이스 필름(310)을 물리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다만, 베이스 필름(310)을 팽창시키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310)을 가열하여 베이스 필름(310)을 열적으로 팽창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310)을 팽창시키는 동안, 제1 탄성 계수 또는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로 구성된 제1 벤딩 영역(320)에는 제1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제1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2 탄성 계수 또는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영역(330)에는 제2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인장 응력 값은 상기 제1 인장 응력 값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320)과 제1 영역(330) 사이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 차이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1 벤딩 영역(320)과 제1 영역(330) 사이에 발생하는 압축 응력차이에 의해 제1 벤딩 영역(320)에는 주름부(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 필름(310)은 상기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310)의 제1 면 상에 표시 구조물(340)을 형성한다(단계 S40). 예를 들면, 표시 구조물(340)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표시 구조물(340)은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310)의 상기 제1 면 상에 표시 구조물(340)을 덮도록 윈도우(350)를 형성한다(단계 S50). 예를 들면, 윈도우(350)는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310)을 수축시켜 베이스 필름 (310)에 주름부(B)을 갖는 제1 벤딩 영역(320) 및 제1 벤딩 영역(320)에 인접하는 제1 영역(330)을 형성한다(단계 S6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310)에 적용된 소정의 힘을 제거하여 베이스 필름(310)을 물리적으로 수축시키나, 베이스 필름(310)을 냉각시켜 열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베이스 필름(310)을 수축시키는 동안, 상기 제1 탄성 계수 또는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로 구성된 제1 벤딩 영역(320)에는 제1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제1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2 탄성 계수 또는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로 구성된 제1 영역(330)에는 제2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 응력 값이 상기 제1 압축 응력 값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으므로, 제1 벤딩 영역(320)과 제1 영역(330) 사이에 발생하는 압축 응력 차이와 상술한 제1 벤딩 영역(320)과 제1 영역(330) 사이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 차이에 의해 베이스 필름(310)은 표시 장치(100)가 감기거나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며, 지지 기판(305)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지 기판(305)으로부터 베이스 필름(310)을 분리한다(단계 S70). 이에 따라,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주름부(B)를 갖는 베이스 필름(310), 표시 구조물(340), 윈도우(350)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수득할 수 있다.
다만, 도 4 내지 도 1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지지 기판(305) 상에 배치된 베이스 필름(310) 상에 표시 구조물(140), 윈도우(150) 등을 형성한 후, 지지 기판(305)을 제거함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표시장치는 롤투롤 공정을 통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400)는 보호 필름(410), 베이스 필름(440), 표시 구조물(470), 윈도우(4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예시한 표시 장치(400)는 보호 필름(410)을 제외하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410)은 제2 벤딩 영역(420) 및 제2 벤딩 영역(420)에 인접하는 제2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벤딩 영역(420)과 제2 영역(430)은 각기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벤딩 영역(420)은 표시 장치(400)가 감기거나 접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400)는 실질적으로 보호 필름(410)의 제2 벤딩 영역(420)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감길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필름(410)의 제2 벤딩 영역(420)과 제2 영역(430)은 각기 다른 탄성 계수들을 갖는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벤딩 영역(420)은 제3 탄성 계수를 갖는 제3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430)은 상기 제3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4 탄성 계수를 갖는 제4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제2 벤딩 영역(420)은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3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430)은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와 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4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4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벤딩 영역(420)과 제1 영역(330)은 각기 다른 팽창율들 및/또는 수축율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팽창율들 또는 수축율들의 차이에 기인하여 제2 벤딩 영역(420)에는 주름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410)에 소정의 힘을 인가할 경우에 보호 필름(410)은 물리적으로 팽창될 수 있고, 보호 필름(410)에 적용된 소정의 힘을 제거할 경우에는 보호 필름(410)이 물리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다만, 보호 필름(410)을 팽창 및 수축시키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호 필름(410)을 가열할 경우, 보호 필름(410)은 열적으로 팽창될 수 있으며, 보호 필름(410)을 냉각할 경우에는 보호 필름(410)이 열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필름(410)이 제3 탄성 계수를 갖는 제3 물질로 구성된 제2 벤딩 영역(420)과 상기 제3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4 탄성 계수를 갖는 제4 물질로 구성된 제2 영역(430)을 포함하는 경우, 보호 필름(410)이 물리적으로 팽창되고 수축될 수 있다. 한편, 보호 필름(410)이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3 물질로 구성된 제2 벤딩 영역(420)과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4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4 물질로 구성된 제2 영역(430)을 포함하는 경우, 보호 필름(410)은 열적으로 팽창되고 수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410)을 가열하면서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보호 필름(410)을 팽창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410)을 팽창시키는 동안, 제3 탄성 계수 또는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3 물질로 구성되는 제2 벤딩 영역(420)에는 제3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필름(410)을 수축시키는 동안, 제2 영역(430)에는 제3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410)을 팽창시키는 동안, 상기 제3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4 탄성 계수 또는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4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4 물질로 구성되는 제2 영역(430)에는 상기 제3 인장 응력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4 인장 응력이 발생하고, 보호 필름(410)을 수축시키는 동안, 제2 영역(320)에는 상기 제3 압축 응력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4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름부(D)가 제2 벤딩 영역(420)과 제2 영역(430) 사이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 차이 및/또는 압축 응력 차이에 의해 제2 벤딩 영역(420)에 생성될 수 있다.
종래의 보호 필름은 단일 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보호 필름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예를 들면,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을 완화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충격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결국 표시 장치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호 필름(410)은 상기 제3 물질로 구성된 제2 벤딩 영역(420) 및 상기 제4 물질로 구성된 제2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벤딩 영역(420)과 제2 영역(430)은 각기 다른 팽창율들 및/또는 수축율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보호 필름(410)으로 인하여 표시 장치(4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야기되는 손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440)은 제1 벤딩 영역(450) 및 제1 벤딩 영역(450)에 인접하는 제1 영역(4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벤딩 영역(450)은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포함하고, 제1 영역(350)은 상기 제1 탄성 계수와 다른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벤딩 영역(450)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포함하고, 제1 영역(460)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와 다른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속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들 동안에 제1 벤딩 영역(450)과 제1 영역(460)은 서로 다른 팽창률 및/또는 수축률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제1 벤딩 영역(450)에는 주름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필름(440)을 팽창시켜 팽창된 베이스 필름(440) 상에 후속 공정을 진행하고, 후속 공정이 완료된 후, 베이스 필름(440)을 수축시킴에 따라 제1 벤딩 영역(450)에 주름부(C)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 벤딩 영역(450)의 주름부(C)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주름부(C)를 갖는 제1 벤딩 영역(450)은 표시 장치(400)가 감기거나 접히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름부를 갖는 제1 벤딩 영역(450)은 표시 장치(400)가 감기거나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응력에 기인하는 표시 장치(400)의 손상(예를 들면,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구조물(470)은 베이스 필름(440)의 제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구조물(470)은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480)는 표시 구조물(470)을 덮으며 베이스 필름(440)의 제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480)는 표시 구조물(140)을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480)는 투명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예시한 바에 있어서는 보호 필름(410)과 베이스 필름(440)이 모두 다른 물질들로 구성되어 다른 팽창율들 및/또는 수축율들을 갖는 복수의 영역들을 구비하지만, 보호 필름(410)과 베이스 필름(44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단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의 베이스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표시 장치를 감거나 접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없다. 이러한 응력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결국 표시 장치의 손상(예를 들면, 균열)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400)는 다른 물질들로 구성되어 다른 팽창율들 및/또는 수축율들을 갖는 복수의 영역들을 구비하는 베이스 필름(440) 및 보호 필름(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 필름(440) 및 보호 필름(410)으로 인하여 표시 장치(400)를 감거나 접는 경우 야기되는 표시 장치(40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3 내지 도 20에 예시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보호 필름(760)을 제외하면, 도 4 내지 도 11에 예시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 기판(705)을 마련한(단계 S510) 후, 지지 기판(705)의 제1 면 상에 베이스 필름(710)을 형성한다 (단계 S520).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710)을 팽창시킨다(단계 S53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710)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베이스 필름(710)을 물리적으로 팽창시키거나 베이스 필름(710)을 가열하여 베이스 필름(710)을 열적으로 팽창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필름(710)을 팽창시키는 동안, 제1 탄성 계수 또는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로 구성된 제1 벤딩 영역(720)에는 제1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제1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2 탄성 계수 또는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로 구성된 제1 영역(730)에는 제2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인장 응력 값은 상기 제1 인장 응력 값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720)과 제1 영역(730) 사이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 차이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1 벤딩 영역(720)과 제1 영역(730) 사이에 발생하는 압축 응력 차이에 의해 제1 벤딩 영역(720)에는 주름(E)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 필름(710)은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7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710)의 제1 면 상에 표시 구조물(740)을 형성한다(단계 S540). 예를 들면, 표시 구조물(740)은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 후, 베이스 필름(710)의 상기 제1 면 상에 표시 구조물(740)을 덮도록 윈도우(750)를 형성한다(단계 S550). 예를 들면, 윈도우(750)는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8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710)을 수축시켜 베이스 필름(710)에 주름부(E)를 갖는 제1 벤딩 영역(720) 및 제1 벤딩 영역(720)에 인접하는 제1 영역(730)을 형성한다(단계 S55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710)에 적용된 소정의 힘을 제거하여 베이스 필름(710)을 물리적으로 수축시키거나, 베이스 필름(710)을 냉각시켜 열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베이스 필름(710)을 수축시키는 동안, 상기 제1 탄성 계수 또는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로 구성된 제1 벤딩 영역(720)에는 제1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제1 탄성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제2 탄성 계수 또는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로 구성된 제1 영역(730)에는 제2 압축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 응력 값은 상기 제1 압축 응력 값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720)과 제1 영역(730) 사이에 발생하는 압축 응력 차이와 상술한 제1 벤딩 영역(720)과 제1 영역(730) 사이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 차이에 의해 베이스 필름(710)은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9를 참조하면, 지지 기판(705)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지 기판(705)으로부터 베이스 필름(710)을 분리한다(단계 S550).
도 13 및 도 20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710)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보호 필름(760)을 형성한다(단계 S56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760)은 제2 벤딩 영역(770)과 제2 영역(780)은 서로 다른 팽창율들 및/또는 수축율들을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760)의 제2 벤딩 영역(770)과 제2 영역(780)은 각기 다른 탄성 계수들을 갖는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벤딩 영역(770)은 제3 탄성 계수를 갖는 제3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780)은 상기 제3 탄성 계수와 다른 제4 탄성 계수를 갖는 제4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호 필름(760)의 제2 벤딩 영역(770)과 제2 영역(780)은 각기 다른 열팽창 계수들을 가지는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벤딩 영역(770)은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3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780)은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와 다른 제4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4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필름(760)의 제2 벤딩 영역(770)과 제2 영역(780)은 각기 다른 팽창율들 또는 수축율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팽창율들 또는 수축율들의 차이에 기인하여 제2 벤딩 영역(770)에는 주름부(F)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보호 필름(760)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상에 제1 보호 박막을 형성한(단계 S610) 후, 상기 제1 보호 박막 상에 제2 보호 박막을 형성한다(단계 6220).
상기 제2 보호 박막 상에 상기 제1 보호 박막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3 보호 박막을 형성한(단계 S630) 후 상기 제1 내지 제3 보호 박막을 절단한다(단계 S640).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보호 박막은 슬릿 코팅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보호 박막이 위치하는 영역은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즉, 절단 후, 상기 제2 보호 박막이 형성된 영역은 제1 벤딩 영역(720)에 해당되고, 상기 제1 보호 박막 및 상기 제3 보호 박막이 형성된 영역은 제1 영역(730)에 해당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710)과 보호 필름(760) 사이에 점착 부재(예를 들면, PSA)를 개재하여 베이스 필름(710)과 보호 필름(76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주름부(E)를 갖는 베이스 필름(710), 표시 구조물(740), 윈도우(750), 주름부(F)를 갖는 보호 필름(760)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수득할 수 있다.
다만, 도 13 내지 도 20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지지 기판(705) 상에 배치된 베이스 필름(710) 상에 표시 구조물(740), 윈도우(750) 등을 형성한 후, 지지 기판(705)을 제거함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표시 장치는 롤투롤 공정을 통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캠코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차량용 네비게이션, 비디오폰, 감시 시스템, 추적 시스템, 동작 감지 시스템, 이미지 안정화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400: 표시 장치
110, 310: 베이스 필름
120, 320, 720: 제1 벤딩 영역
130, 330, 730: 제1 영역
140, 340, 740: 표시 구조물
150, 350, 750: 윈도우
305, 705: 지지 기판
750: 보호 필름
760: 제2 벤딩 영역
770: 제2 영역
A, B, C, D, E, F: 주름부

Claims (21)

  1. 주름부를 갖는 제1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구조물; 및
    상기 표시 구조물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벤딩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은 각기 다른 물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탄성 계수 보다 큰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 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주름부를 갖는 제2 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벤딩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각기 다른 물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제3 탄성 계수를 갖는 제3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3 탄성 계수와 보다 큰 제4 탄성 계수를 갖는 제4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제3 열 팽창계수를 갖는 제3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와 보다 작은 제4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4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가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SU-8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계 수지, 폴리술폰(polysulfone)계 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지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지 기판의 제1 면 상에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을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제1 면 상에 표시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 상에 상기 표시 구조물을 덮도록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을 수축시켜 상기 베이스 필름에 주름부를 갖는 제1 벤딩 영역 및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지지 기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필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베이스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 박막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박막과 다른 물질을 사용하여 제2 베이스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베이스 박막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박막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3 베이스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베이스 박막들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베이스 박막들은 슬릿 코팅(slit coating) 공정을 통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박막은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 박막 및 상기 제3 베이스 박막은 상기 제1 탄성 계수 보다 큰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박막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 박막 및 상기 제3 베이스 박막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와 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팽창시키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을 물리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가열하여 열적으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수축시키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에 적용된 소정의 힘을 제거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을 물리적으로 수축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냉각시켜 열적으로 수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보호 박막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보호 박막 상에 상기 제1 보호 필름층과 다른 물질을 사용하여 제2 보호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보호 박막 상에 상기 제1 보호 박막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3 보호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보호 박막들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 필름을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보호 필름을 수축시켜 상기 보호 필름 상에 주름부를 갖는 제2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제1 면 상에 점착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상기 보호 필름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0129675A 2013-10-30 2013-10-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15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75A KR102155119B1 (ko) 2013-10-30 2013-10-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4/247,193 US9274561B2 (en) 2013-10-30 2014-04-07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75A KR102155119B1 (ko) 2013-10-30 2013-10-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303A KR20150049303A (ko) 2015-05-08
KR102155119B1 true KR102155119B1 (ko) 2020-09-11

Family

ID=5299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675A Active KR102155119B1 (ko) 2013-10-30 2013-10-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74561B2 (ko)
KR (1) KR102155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1385B2 (en) 2016-02-12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536250B1 (ko) 2016-03-17 2023-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879B1 (ko) 2016-03-24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3295B1 (ko) * 2016-09-26 2023-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3753B1 (ko) * 2016-11-16 2024-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649145B1 (ko) * 2018-09-18 2024-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528044B (zh) * 2021-06-16 2023-05-1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复合胶带以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4684B2 (en) 2008-07-23 2010-03-09 Applied Materials, Inc. Deposition methods for releasing stress buildup
JP5416546B2 (ja) 2009-10-23 2014-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基板
CN102859711A (zh) 2009-11-18 2013-01-02 3M创新有限公司 柔性组件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1622647B1 (ko) 2009-12-14 2016-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32041A (ko) * 2010-06-0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16959A1 (en) 2015-04-30
KR20150049303A (ko) 2015-05-08
US9274561B2 (en)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119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0853525B (zh) 折叠屏组件及电子设备
KR10273983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KR101996437B1 (ko) 투명 보호창, 이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및 투명 보호창의 제조 방법
CN110556057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04844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05045B2 (en) Optical apparatus
KR102582854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8329848B (zh) 粘合构件、包括其的显示设备以及制造粘合构件的方法
CN114677923A (zh) 卷曲式显示装置
CN109655957B (zh) 偏光片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和显示设备
CN108074487A (zh) 显示装置和包括该显示装置的电子装置
CN104347000A (zh) 用于显示装置的窗口面板及其制造方法
CN102916033A (zh) 显示装置和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20150110848A (ko) 표시 장치
CN108400145B (zh) 一种柔性显示器及其制作方法、电子设备
CN110570772A (zh) 柔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US20200028123A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20151083A1 (en) Display device
WO2016115803A1 (zh) 柔性显示器
US20140311663A1 (en)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color filter and flexible color display device
US20210405781A1 (en) Foldable display screen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KR20160144105A (ko) 이동단말기
US20190302913A1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494807B (zh) 單片玻璃觸控板及其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