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524B1 - Ice maker - Google Patents
Ice m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4524B1 KR102154524B1 KR1020130118667A KR20130118667A KR102154524B1 KR 102154524 B1 KR102154524 B1 KR 102154524B1 KR 1020130118667 A KR1020130118667 A KR 1020130118667A KR 20130118667 A KR20130118667 A KR 20130118667A KR 102154524 B1 KR102154524 B1 KR 1021545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making
- making unit
- tray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얼음 제조를 위한 다수개의 제빙홈이 구비되는 아이스 트레이;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동시켜 얼음을 이빙 시키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하는 제빙 유닛을 제공한다.
한편, 복수 개의 제빙홈이 행을 지어 배치되는 제1제빙부; 및 상기 제1제빙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제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빙부와 상기 제2제빙부는 계단식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트레이가 구비된 냉장고용 제빙 유닛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making unit comprising an ice tray including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for making ice; and a rotation operation unit for moving ice by rotating the ice tray.
Meanwhile, a first ice making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are arranged in rows; And a second ice making unit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ice making unit. Including, the first ice-making unit and the second ice-making unit provides an ice-making unit for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tray,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stepped sha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빙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홈 내의 얼음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제빙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mak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making unit that can conveniently separate ice in an ice-making groove.
도 1은 종래의 제빙 유닛(1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종래의 제빙 유닛(10)은 냉장고 내부에 설치되는 제빙 유닛의 본체(14), 본체(14) 내부에 놓이며 얼음이 어는 아이스 트레이(20a)를 포함한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또한, 상기 본체에는 아이스 트레이(20a)가 끼워지는 슬롯(미도시)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물이 담긴 아이스 트레이(20a)를 상기 본체(14)에 넣어서 냉장고의냉기에 의해 얼음을 얼리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lot (not shown) into which the
급수통(40)은 상기 제빙 유닛 내부 일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통(40)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로 물을 공급한다.The
상기 급수통에서 물이 나오는 출수부(401)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를 이루고 있는 제빙홈(200a)를 향할 수 있다.The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빙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본체(14)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4)는 장방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4)의 내부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에는 다수개의 제빙홈(200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의 후면 중앙에는 회동축(12)이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는 중심축(302a)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A plurality of
그리고 도 2에서 도면상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의 후단에 구비되는 상기 회동축(12)의 좌측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4)의 내면에 돌출되게 스토퍼(11)가 구비된다. In FIG. 2, a stopper 11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스토퍼(11)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의 하단이 상기 스토퍼(11)의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가 수평이 되도록 지지한다. The stopper 11 supports the
또한 상기 스토퍼(11)는 중심축(302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가 그 후단에 대하여 전단이 비틀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11 serves to twist the front end of the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4)의 전면에 돌출되게 회전 손잡이(301a)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손잡이(301a)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A
상기 회전 손잡이(301a)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의 전단에 구비되는 중심축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 손잡이(301a)에 회전력을 가할 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의 측면부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하기 위한 지지부재(304a)가 마련된다. The
따라서 상기 회전 손잡이(301a)를 회동시키면 상기 중심축이 회동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0a)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되고 상기 스토퍼(11)에 그 후단이 접하면 그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트위스팅된다.Therefore, when the
하지만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서는 일정각도 이상 아이스 트레이의 비틀림이 이루어져야 하고, 상기 비틀린 회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필요하였는바, 사용자들이 얼음을 이빙시키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어왔다. However, in order to ice ice, the ice tray must be twisted at a certain angle or more, and a lot of force was required to enable the twisted rotation, so users have had difficulty in moving ice.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믈을 급수하는 경우 물의 분배가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 is not uniformly distributed.
급수통의 출수부가 위치해 있는 제빙홈 주변에만 물이 가득 차게 되고, 상기 제빙홈과 상기 급수통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제빙홈에 급수되는 물의 양은 줄어들게 되어 얼음의 크기가 일정하게 제작되는데 한계가 있었다.Water is filled only around the ice-making groove where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located,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ice-making groove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groove decreases, resulting in a constant size of ice. there was.
그리고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물이 넘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overflow frequently occurs in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제빙 유닛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ice making uni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편리하게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빙 유닛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configured to more conveniently separate ice from an ice tra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작은 힘으로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capable of separating ice from an ice tray with a smaller forc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킬 때 보다 큰 비틀린 회전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that can be rotated at a larger twisted rotation angle when the user rotates the ice tra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각각의 제빙홈에 동일한 양의 물이 골고루 분배될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in which the same amount of water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each ice making gro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아이스 트레이에 신속하게 물의 구배가 이루질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ce-making unit capable of rapidly forming a gradient of water in an ice tra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급수되는 물이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capable of preventing water to be supplied from overflowing from an ice tray.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 유닛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동시켜 얼음을 이빙 시키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하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of the ice making unit; An ice tray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manufacture ice; It may provide an ice making unit including; and a rotation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ice by rotating the ice tray.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복수 개의 제빙홈; 및 상기 제빙홈이 행을 지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빙부는 서로 단차를 가지면서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가 제공될 수 있다.The ice tray may include an outer frame forming an outer edge of the ice tray;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And a plurality of ice making units in which the ice making grooves are arranged in rows, wherein the plurality of ice making units are formed in a stepwise manner while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each other.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제빙홈 내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상기 제빙홈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 상부로 더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frame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a predetermined length above the height of the ice-making groove so that water in the ice-making groove does not overflow.
또한, 상기 외곽 프레임은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측면 단부를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제빙부의 높이 차이에 따라 단차를 가지고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frame may include a side frame forming a side end of the ice tray, and the side frame may provide an ice 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rame is inclined with a step difference according to a height difference of the ice making unit.
상기 아이스 트레이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제빙홈 상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빙홈이 배열되어 있는 행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or the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w in which the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are arranged.
그리고 외부로부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통의 물이 출수 되는 출수부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제빙부를 향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tray from the outside is further included, and a water outlet from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disposed to face the ice-making part at the highest position.
급수통은 아이스 트레이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용량에 대응하는 부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소재는 소수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may be provided in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capacity of water that the ice tray can accommodate, and the material of the ice tray may be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상기 제빙부는 제1제빙부; 상기 제1제빙부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제2제빙부; 상기 제1제빙부와 제2제빙부 사이에서, 상기 제1제빙부를 이루는 복수 개의 제빙홈의 측면을 덮는 제1단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The ice-making unit may include a first ice-making unit; A second ice making unit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ice making unit; An ice making unit comprising: a first stepped wall covering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forming the first ice making unit, between the first ice making unit and the second ice making unit.
마찬가지로, 상기 제빙부는 제2제빙부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제3제빙부; Similarly, the ice-making unit may include a third ice-making unit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econd ice-making unit;
상기 제2제빙부와 제3제빙부 사이에서, 상기 제2제빙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빙홈의 측면을 덮는 제2단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 An ice making unit comprising: a second stepped wall covering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forming the second ice making unit, between the second ice making unit and the third ice making unit.
그리고 상기 제1단차벽에과 제2단차벽에는 각각 제2제빙부와 제3제빙부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홈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drainage grooves for draining water to the second and third ice making units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walls, respectively.
한편, 상기 회전조작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상기 회전 손잡이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연결하는 회전축;및 상기 회전 손잡이의 일측과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rotation handle for rotating the ice tray; a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rotation handle and the ice tray; and a support member connecting one side of the rotation handle and one side of the ice tray; and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틀림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가 제공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ice-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ing the ice tray to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손잡이가 결합하는 회전 중심점과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힘의 작용점까지의 길이는, 상기 회전 중심점의 수평 연장선과 상기 힘의 작용점의 수직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회전 중심점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rotational center point at which the rotational shaft and the rotational handle are coupled and the action point of the force at which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side frame is the rotation from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 extension line of the rotation center point and the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force action point meet It is preferably longer than the length to the center point.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 손잡이와 상기 제1제빙부를 연결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회전 손잡이와 상기 제3제빙부를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connecting the rotation handle and the first ice-making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ing the rotation handle and the third ice-making unit.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제빙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며, 횡방향으로 서로 단차를 가지면서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빙부; 그리고 상기 외곽 프레임을 비틀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동시켜 얼음을 이빙시키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ice making unit for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tray for manufacturing ice, wherein the ice tray comprises: an outer frame; A plurality of ice-making units provided inside the outer frame and formed in a stepwise manner while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each other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it may include a rotation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ice by twisting the outer frame and rotating the ice tray.
또한, 상기 회전조작부의 회전 중심에 가해지는 토크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회전 중심의 좌우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힘의 작용점에서 상기 외곽 프레임을 비트는 모멘트로 전환될 수 있는 냉장고용 제빙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rque appli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operation unit provides an ice-making unit for a refrigerator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moment of twisting the outer frame at a point of action of a force located in the left and right upper or lower portions of the rotation center of the outer frame. can do.
상기 회전 중심과 상기 힘의 작용점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 동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The rotation center and the action point of the force may be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 ice tray.
상기 회전조작부 또는 상기 회전조작부의 회전 중심과 상기 힘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for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upport member connecting the rotational control unit or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rotational control unit to an action point of the force.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빙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빙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ice-making uni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provided along a length direction.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제빙 유닛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ice making uni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편리하게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configured to more conveniently separate ice from an ice tra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작은 힘으로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capable of separating ice from an ice tray with a smaller forc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킬 때 보다 큰 비틀린 회전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ice tr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that can be rotated at a larger twisted rotation ang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각각의 제빙홈에 동일한 양의 물이 골고루 분배될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in which the same amount of water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each ice making gro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아이스 트레이에 신속하게 물의 구배가 이루질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capable of rapidly forming a gradient of water in an ice tra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급수되는 물이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 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ing unit capable of preventing water to be supplied from overflowing from the ice tra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제빙 유닛의 사시도;
도 2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제빙 유닛의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아이스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아이스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lan view of an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c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c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 유닛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 유닛에 구비되는 아이스 트레이(20)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3 shows an embodiment of the
상기 아이스 트레이(20)는 제빙 유닛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아이스 트레이(20)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20)를 회동시켜 얼음을 이빙 시키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206),복수 개의 제빙홈 및 상기 제빙홈이 행을 지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빙부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복수 개의 제빙부는 서로 단차를 가지면서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ce making portions may be formed in a stepped manner while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each other.
즉, 상기 아이스 트레이(20)는 복수 개의 제빙홈이 행을 지어 배치되는 제1제빙부(201), 상기 제1제빙부(201)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제빙부(20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제빙부(201)와 상기 제2제빙부(202)는 계단식 형상으로 높이 차이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20)가 제공해야 하는 얼음이 양을 고려하여 상기 제빙부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ice-making units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ice that the
즉, 도3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제2제빙부(202)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제2제빙부(202)와 높이 차이를 가지고 계단식 구조로 배치되는 제3제빙부(20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a third
마찬가지로 상기 제1제빙부(201) 또는 상기 제3제빙부(203)는 두 개 이상의 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열은 각각 높이차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수만큼의 제빙부를 구비한 계단식 구조의 아이스 트레이(20)가 구비될 수 있다.Likewise, the first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20)는 제빙부들의 높이차를 형성하는 단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제빙부와 상기 제2제빙부 사이에서, 상기 제1제빙부(201)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제빙홈의 측면을 덮는 제1단차벽(204)이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제1제빙부(201)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빙홈에 급수되는 물이 제2제빙부(202)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차벽(204)에는 배수홈(207)이 마련되어 있다.A
상기 배수홈(207)은 각각의 제빙홈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208)과 상기 제1 단차벽이 만나는 지점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배수홈(207)은 상기 제1단차벽(204)과 상기 구획벽(208)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구획벽(208)과 상기 제1단차벽(204)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배수홈(207)은 상기 제빙홈의 개수보다 -1만큼 작은 수의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number of
또한 상기 제2제빙부(202)와 제3제빙부(203) 사이에서, 상기 제2제빙부(202)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빙홈의 측면을 덮는 제2단차벽(205)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second
상기 제2단차벽(205)과 상기 구획벽(208)이 만나는 지점에도 상기 배수홈(207)이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수홈(207)은 상기 제2단차벽(205)과 상기 구획벽(208)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구획벽(208)과 상기 제2단차벽(205)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외곽 프레임(206)은 상기 제빙홈 내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상기 제빙홈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 상부로 더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특히 상기 외곽 프레임(206)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의 측면 단부를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21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210)은 상기 제빙부의 높이 차이에 따라 단차를 가지고 경사지어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측면 프레임(210)이 상기 제빙홈의 높에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20)에 물을 급수하는 과정에서 아이스 트레이(20) 외부로 물이 넘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상기 아이스 트레이(20)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제빙홈 상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빙홈이 배열되어 있는 행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에 물을 급수하는 경우, 본체(미도시)에 구비된 급수통(미도시)의 출수부(미도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의 복수 개의 제빙부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An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상기 아이스 트레이(20)가 제빙홈이 배열되어 있는 행의 길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출수부에서 아이스 트레이(20)로 공급된 물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0)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Since the
따라서 물의 분배가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출수부(미도시)가 위치하는 제빙홈에만 많은 양의 물이 제공되거나, 복수 개의 제빙홈에 물이 분배되는 속도보다 상기 출수부에서 아이스 트레이(20)로 물이 공급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의 물이 넘치게 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Therefore, water can be distributed quickly, and a large amount of water is provided only to the ice-making groove in which the water outlet (not shown) is located, or the
한편, 상기 출수부(미도시)에서 출수되는 물이 상기 배수홈(207)을 통하여 상기 제2제빙부(202)로 이동하는 유로를 가지게 된다. 상기 유로는 중력방향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아이스 트레이(20)에 급수되는 물이 구배되는 속도는 아이스 트레이(20)가 높이 차이 없이 평면으로 구성될 때보다 향상될 수 있다.Meanwhil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not shown) ha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또한, 임의적인 물의 구배로 인한 얼음의 크기 차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제빙부(201)와 제2제빙부(202)의 높이차이 및 아이스 트레이(20)가 제빙부의 행의 길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은, 일부의 제빙홈에만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어 물이 넘치거나 얼음의 크기가 커지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Also, the difference in size of ice due to an arbitrary water gradient may be reduced.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first
즉,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제빙부에서 물이 공급되면 물은 하향 경사진 방향 및 더 낮은 위치에 있는 제빙부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홈에 물이 공급되는 속도가 증가하고, 일정한 물의 양이 각각의 제빙홈에 골고루 구배될 수 있다.That is,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ice making unit in the highest position, the water moves to the ice making unit in the downwardly inclined direction and the ice making unit in the lower position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rate at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grooves increases, and a certain amount of water may be evenly graded in each ice-making groove.
도3, 도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비틀림 회전운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3 and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torsional rotational motion of the ice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빙 유닛은 상기 제빙 유닛의 본체(미도시)의 외부에 노출되는 회전 조작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작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301)와 상기 회전 손잡이(301)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20)를 연결하는 회전축(302)으로 구성된다. The ice making unit may include a rotation operation unit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a main body (not shown) of the ice making unit. The rot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또한, 상기 회전 손잡이(301)의 일측과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의 일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틀림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connecting one side of the rotation handle 301 and one side of th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 손잡이(301)와 제1제빙부(201)를 연결하는 제1지지부재(304)와, 상기 회전 손잡이(301)와 상기 제3제빙부(203)를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305)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상기 제1지지부재(304)와 상기 제2지지부재(305)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0)가 상기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비틀린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The
종래에는 아이스 트레이(20)의 비틀린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회전 손잡이(301)에 힘을 가하는 경우, 그 비틀림 정도가 미약하여 얼음을 이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Conventionally,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rotation handle 301 in order to induce a twisting rotation of the
즉,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서는 일정각도 이상 아이스 트레이(20)의 비틀림이 이루어져야 하고, 상기 비틀린 회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필요하였는바, 사용자들이 얼음을 이빙시키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어왔다. That is, in order to ice ice, the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전달되는 토크(Torque)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torque transmitted to the ice tray.
토크(Torque)는 물체를 회전축(302) 주위로 회전시키려 하는 회전력을 의미한다. 즉, 회전하고 있는 물체가 그 회전축(302)의 주위에서 받는 우력(偶力)을 말하다. Torque refers to a rotational force that tries to rotate an object around the
토크의 크기는 물체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회전축(302)으로부터 힘의 작용점까지의 거리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회전축(302)과 힘의 작용점까지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토크의 크기는 커지게 됨을 알 수 있다.The magnitude of the torque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object by the distance from the
이하 도2와 도4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유닛의 비틀림 회전에 따른 이빙 효과 증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an increase in the ice breaking effect due to torsional rotation of the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회전 조작부(30)의 회전 중심점(P2)에 가해지는 토크는, 상기 외곽 프레임(206)의 회전 중심의 좌우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힘의 작용점(F2)에서 상기 외곽 프레임(206)을 비트는 모멘트로 전환될 수 있다.The torque applied to the rotation center point (P2) of the rotation operation part (30) beats the outer frame (206) at a force action point (F2) located in the left and right upper or lower portions of the rotation center of the
상기 회전 중심점(P2)과 상기 힘의 작용점(F2)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의 일측 동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조작부(30) 또는 상기 회전조작부의 회전 중심점(P2)과 상기 힘의 작용점(F2)을 연결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The rotation center point P2 and the force action point F2 may be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
특히, 상기 아이스 트레이(20)가 계단식 구조를 함으로 인해서, 회전축(302)이 연결된 회전 중심점(P2)에서 힘의 작용점까지의 길이(A2)가 종래보다 길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다시 말해, 상기 회전축(302)과 상기 회전손잡이(301)가 결합하는 회전 중심점(P2)과 상기 지지부재(304, 305)가 상기 측면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힘의 작용점(F2)까지의 길이(A2)는, 상기 회전 중심점(P2)의 수평 연장선과 상기 힘의 작용점(F2)의 수직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C2)으로부터 상기 회전 중심점까지의 길이(A3)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rotation center point (P2) at which the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아이스 트레이(20)는 회전 중심점(P1)에서 아이스 트레이(20)의 비틀린 회전을 유도하는 지지부재가 측면 프레임과 연결되는 열결점(F1)까지의 길이(A1)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사용자가 상기 회전 손잡이(301)에 가하는 힘에 A1을 곱한 크기가 된다.In the
반면,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계단식 구조로 제빙부가 높이 차이를 가지고 있는바, 회전 중심점(P2)과 힘의 작용점(F2)까지의 길이(A2)는 지지부재가 C2지점에 연결되어 있을 때 보다 증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since the ice-making unit has a height difference in a stepped structure, the length (A2) between the rotation center point (P2) and the force action point (F2) is It increases more than when connected to point C2.
따라서 같은 힘을 가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아이스 트레이(20)의 경우 비틀림의 정도가 커지게 되는바, 이빙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same force is applied, in the case of the
뿐만 아니라, 제1지지부재(304) 뿐만 아니라 제2지지부재(305)도 함께 마련함으로써,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에 가해지는 힘을 2배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재(304)는 상기 제1제빙부(201)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305)는 제3제빙부(203)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비틀린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not only the
회전축(302)에서 힘의 작용점(F2)까지의 거리를 증가시켜 아이스 트레이(20)의 이빙 효율을 증가시켰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의 얼음을 분리하기 위하여 많은 힘을 가하여만 한다거나, 여러 번 비틀린 회전을 시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By increasing the distance from the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20)의 소재는 소수성 재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재질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20)를 구성함으로써 이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상기 제빙 유닛은 냉장고 내부 또는 도어측에 설치되어 냉장고 사용시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냉장고용 제빙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ice making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frigerator or on the door side and used as an ice making unit for a refrigerator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such modifications are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20: 아이스트레이 30: 회전조작부
40: 급수통 201: 제1제빙부
202: 제2제빙부 203: 제3제빙부
204: 제1단차벽 205: 제2단차벽
206: 외곽프레임 301: 회전 손잡이
302: 회전축 20: ice tray 30: rotation control unit
40: water supply container 201: first ice making unit
202: second ice making unit 203: third ice making unit
204: first stepped wall 205: second stepped wall
206: outer frame 301: rotating handle
302: rotating shaft
Claims (19)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동시켜 얼음을 이빙 시키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
복수 개의 제빙홈; 및
상기 제빙홈이 행을 지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빙부는 서로 단차를 가지면서 계단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조작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 손잡이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연결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 손잡이의 일측과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틀림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ain body of the ice making unit;
An ice tray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manufacture ice; And
Including; a rotation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ice by rotating the ice tray,
The ice tray,
An outer frame form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ice tray;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ce-making units in which the ice-making grooves are arranged in rows, and
The plurality of ice making portions are formed in a stepwise manner while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each other,
The rotation control unit
A rotation handle for rotating the ice tray;
A rotation shaft connecting the rotation handle and the ice tray; And
Includes; a support member connecting one side of the rotation handle and one side of the ice tray,
The support member is an ice-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the ice tray to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제빙홈 내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상기 제빙홈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 상부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ice-making unit, wherein the outer frame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above a predetermined length than the height of the ice-making groove so that water in the ice-making groove does not overflow.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측면 단부를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제빙부의 높이 차이에 따라 단차를 가지고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frame,
And a side frame forming a side end of the ice tray,
The ice making unit, wherein the side frame is inclined with a step difference according to a height difference of the ice making unit.
상기 아이스 트레이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제빙홈 상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빙홈이 배열되어 있는 행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ice tray or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An ice 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length direction of a row in which the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are arranged.
상기 제빙부는
제1제빙부;
상기 제1제빙부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제2제빙부;
상기 제1제빙부와 제2제빙부 사이에서, 상기 제1제빙부를 이루는 복수 개의 제빙홈의 측면을 덮는 제1단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ice making unit
A first ice making unit;
A second ice making unit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ice making unit;
And a first stepped wall covering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forming the first ice-making part, between the first ice-making part and the second ice-making part.
상기 제빙부는 제2제빙부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제3제빙부;
상기 제2제빙부와 제3제빙부 사이에서, 상기 제2제빙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빙홈의 측면을 덮는 제2단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of claim 5,
The ice-making unit may include a third ice-making unit positioned lower than the second ice-making unit;
And a second stepped wall covering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forming the second ice-making part,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ice-making parts.
상기 제1단차벽에과 제2단차벽에는 각각 제2제빙부와 제3제빙부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 The method of claim 6,
An ice-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drain groove for draining water to the second ice-making unit and the third ice-making unit i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walls, respectively.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손잡이가 결합하는 회전 중심점과
상기 지지부재가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힘의 작용점까지의 길이는,
상기 회전 중심점의 수평 연장선과 상기 힘의 작용점의 수직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회전 중심점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rotation center point at which the rotation shaft and the rotation handle are coupled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to the point of action of the force coupled to the side frame,
An ice 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longer than a length from a point where a horizontal extension line of the rotation center point and a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force action point meet to the rotation center point.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제빙부와 상기 측면 프레임이 만나는 위치와 상기 회전 손잡이를 연결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3제빙부와 상기 측면 프레임이 만나는 위치와 상기 회전 손잡이를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ort member,
A first support member connecting the rotation handle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ice-making part and the side frame meet;
And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ing the rotation handle to a location where the third ice-making unit and the side frame meet.
외부로부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통의 물이 출수 되는 출수부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제빙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tray from the outside,
An ice-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utlet from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disposed to face the ice-making part at the highest position.
상기 급수통은 아이스 트레이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용량에 대응하는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of claim 11,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an ice 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corresponding to the capacity of wate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ice tray.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소재는 소수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of claim 1,
An ice-making unit, wherein the material of the ice tray is a hydrophobic material.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며, 횡방향으로 서로 단차를 가지면서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빙부; 그리고
상기 외곽 프레임을 비틀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동시켜 얼음을 이빙시키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작부의 회전 중심에 가해지는 토크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회전 중심의 좌우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힘의 작용점에서 상기 외곽 프레임을 비트는 모멘트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 유닛.In the ice making unit for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 tray for producing ice,
The ice tray,
Outer frame;
A plurality of ice-making units provided inside the outer frame and formed in a stepwise manner while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each other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It includes a rotation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ice by twisting the outer frame and rotating the ice tray,
The torque appli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control unit is converted into a moment of twisting the outer frame at a point of action of a force positioned at an upper left or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center of the outer frame.
상기 회전 중심과 상기 힘의 작용점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 동일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 유닛. The method of claim 14,
The ice making unit f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center and the action point of the force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 ice tray.
상기 회전조작부 또는 상기 회전조작부의 회전 중심과 상기 힘의 작용점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 유닛.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support member connect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control unit or the rotation control unit to an action point of the force.
상기 복수 개의 제빙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빙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 유닛. The method of claim 14,
The ice making unit for a refrigerator, wherein the plurality of ice making units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provided along a length direction.
외부로부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통의 물이 출수 되는 출수부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제빙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tray from the outside,
An ice-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utlet from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disposed to face the ice-making part at the highest position.
상기 급수통은 아이스 트레이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용량에 대응하는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닛.The method of claim 18,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an ice ma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corresponding to the capacity of wate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ice tra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667A KR102154524B1 (en) | 2013-10-04 | 2013-10-04 | Ice m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667A KR102154524B1 (en) | 2013-10-04 | 2013-10-04 | Ice ma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0091A KR20150040091A (en) | 2015-04-14 |
KR102154524B1 true KR102154524B1 (en) | 2020-09-10 |
Family
ID=5303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8667A Active KR102154524B1 (en) | 2013-10-04 | 2013-10-04 | Ice m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452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66096B (en) * | 2015-12-31 | 2018-06-29 |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 A kind of ice maker and refrigerat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9210A (en) * | 2002-03-20 | 2003-10-02 | Sanyo Electric Co Ltd |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is ice making device |
US20100147011A1 (en) | 2006-08-17 | 2010-06-17 | Lg Electronics Inc. | Ice-making assembly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
JP2011137591A (en) * | 2009-12-28 | 2011-07-14 | Nidec Sankyo Corp | Ice mak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1568B1 (en) * | 2010-08-19 | 2016-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making appartus |
KR101750309B1 (en) * | 2010-10-28 | 2017-06-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ice maker |
KR20130070995A (en) * | 2011-12-20 | 2013-06-28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assembly for refrigerator |
-
2013
- 2013-10-04 KR KR1020130118667A patent/KR10215452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9210A (en) * | 2002-03-20 | 2003-10-02 | Sanyo Electric Co Ltd |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is ice making device |
US20100147011A1 (en) | 2006-08-17 | 2010-06-17 | Lg Electronics Inc. | Ice-making assembly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
JP2011137591A (en) * | 2009-12-28 | 2011-07-14 | Nidec Sankyo Corp | Ice mak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0091A (en) | 2015-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384871B (en) |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 |
KR101320767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 |
US10222111B2 (en) | Ice maker for fitting into a door of a cooling or freezing device | |
KR102154524B1 (en) | Ice maker | |
US20190271496A1 (en) | Hybrid twist tray ice maker | |
KR20200066814A (en) | Evaporation unit for ice and ice making device and method by the same | |
US9890987B2 (en) | Ice-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or freezer | |
CN205209038U (en) | System ice device and refrigerator | |
CN203148159U (en) | Manual ice-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door body and refrigerator | |
KR102089129B1 (en) | 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 | |
KR101038344B1 (en) | Ice tray | |
KR20060053132A (en) | Refrigerator | |
US9651291B2 (en) | Twisting mechanism for separating ice blocks from the ice making tray | |
BR102014005555A2 (en) | Method to extend the life of a twist ice machine | |
CN104748468A (en) | Rotary ice making box | |
KR101547223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ced bar of circle type | |
JP5939844B2 (en) | Ice tray, automatic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JP4721409B2 (en) | Automatic ice making equipment | |
JP6567978B2 (en) | refrigerator | |
JP4443356B2 (en) | refrigerator | |
JP4596867B2 (en) | refrigerator | |
CN103017467B (en) | Fruit and vegetable box for refrigeration device and refrigeration device with fruit and vegetable box | |
KR100347039B1 (en) | Ice tray for ice maker in refrigerator | |
KR100347040B1 (en) | Water supply adjusting device for ice maker in refrigerator | |
KR20150040090A (en) | Ice making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0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