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413B1 - 음향 방출 결함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방출 결함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4413B1 KR102154413B1 KR1020180170667A KR20180170667A KR102154413B1 KR 102154413 B1 KR102154413 B1 KR 102154413B1 KR 1020180170667 A KR1020180170667 A KR 1020180170667A KR 20180170667 A KR20180170667 A KR 20180170667A KR 102154413 B1 KR102154413 B1 KR 1021544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fect
- dimensional data
- signal
- acoustic emission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54—Length,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결함 발생에 따른 음향 방출 신호의 1차원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함 발생에 의한 1차원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방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방출 이미지 및 음향 방출 신호를 분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에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에서 결함 신호의 추정 값과 실제 값의 정확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에서 결함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11 : 결함
212 : 분자
220 : 음향 방출 센서
221 : 센싱된 신호
222 : 노이즈 신호
223 : 충격파
224 : 충격파
Claims (12)
- 결함 발생에 의한 1차원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상기 1차원 데이터 및 상기 2차원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징을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학습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학습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결함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는,
상기 1차원 데이터인 음향 방출 신호에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를 사용한 후, 다운 샘플링 신호를 반복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다운 샘플링 신호를 병렬로 적층시켜 2차원 데이터인 음향 방출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신호 검출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학습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원 데이터 및 상기 2차원 데이터를 동일 간격의 시간을 기초로 분할하고, 결함의 위치 및 길이에 대한 정보를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신호 검출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동일한 시간의 상기 1차원 데이터 및 상기 2차원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결함 신호의 존재 확률과 결함 발생 위치 및 크기를 출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신호 검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른 검출 모델에 음향 방출 신호 및 음향 방출 이미지를 입력시키고, 결함의 위치 및 길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신호 검출 방법. - 결함 발생에 의한 1차원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1차원 데이터 및 상기 2차원 데이터를 시간을 기초로 분할하여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학습시키는 학습부; 및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결함 신호를 검출하는 결함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1차원 데이터인 음향 방출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Low Pass Filtering)을 수행한 후, 다운 샘플링 신호를 반복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다운 병렬로 적층시켜 2차원 데이터인 음향 방출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신호 검출 장치. - 삭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상기 1차원 데이터 및 상기 2차원 데이터를 동일 간격의 시간을 기초로 분할하고, 결함의 위치 및 길이에 대한 정보를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신호 검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동일한 시간의 상기 1차원 데이터 및 상기 2차원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결함 신호의 존재 확률과 결함 발생 위치 및 크기를 출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신호 검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검출부는,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른 검출 모델에 음향 방출 신호 및 음향 방출 이미지를 입력시키고, 결함의 위치 및 길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신호 검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667A KR102154413B1 (ko) | 2018-12-27 | 2018-12-27 | 음향 방출 결함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PCT/KR2018/016791 WO2020138549A1 (ko) | 2018-12-27 | 2018-12-27 | 음향 방출 결함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667A KR102154413B1 (ko) | 2018-12-27 | 2018-12-27 | 음향 방출 결함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0814A KR20200080814A (ko) | 2020-07-07 |
KR102154413B1 true KR102154413B1 (ko) | 2020-09-09 |
Family
ID=7112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0667A Active KR102154413B1 (ko) | 2018-12-27 | 2018-12-27 | 음향 방출 결함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4413B1 (ko) |
WO (1) | WO2020138549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0105A (ko) * | 2020-12-22 | 2022-06-29 | 주식회사 한국엠프로 | Ae 센서를 이용한 모터 소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US11493406B2 (en) | 2020-12-22 | 2022-11-08 | Korea Manufacture Process Co., Ltd. | Motor noise detecting device and detecting method using AE sens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36463A (zh) * | 2020-08-26 | 2020-12-04 | 国家电网有限公司 | 一种基于深度学习的电力设备缺陷检测识别方法 |
CN112131781B (zh) * | 2020-08-26 | 2024-06-21 | 浙江工业大学 | 基于全连接神经网络与传递率函数的钢结构损伤检测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8394B1 (ko) * | 2017-05-11 | 2018-01-12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설비 상태 진단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0257A (ko) * | 2008-11-27 | 2010-06-0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음향방출 기법을 이용한 코팅재의 손상진단을 위한 장치 및방법 |
US9976989B2 (en) * | 2015-12-15 | 2018-05-22 | General Electric Company |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machines |
KR101823746B1 (ko) * | 2016-02-05 | 2018-01-30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베어링 고장 진단 방법 |
US9989501B2 (en) * | 2016-05-10 | 2018-06-05 | The Boeing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acoustic emissions testing |
-
2018
- 2018-12-27 WO PCT/KR2018/016791 patent/WO202013854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12-27 KR KR1020180170667A patent/KR10215441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8394B1 (ko) * | 2017-05-11 | 2018-01-12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설비 상태 진단 방법 및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0105A (ko) * | 2020-12-22 | 2022-06-29 | 주식회사 한국엠프로 | Ae 센서를 이용한 모터 소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WO2022139013A1 (ko) * | 2020-12-22 | 2022-06-30 | 주식회사 한국엠프로 | Ae 센서를 이용한 모터 소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KR102445651B1 (ko) * | 2020-12-22 | 2022-09-23 | 주식회사 한국엠프로 | Ae 센서를 이용한 모터 소음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US11493406B2 (en) | 2020-12-22 | 2022-11-08 | Korea Manufacture Process Co., Ltd. | Motor noise detecting device and detecting method using AE 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0814A (ko) | 2020-07-07 |
WO2020138549A1 (ko) | 2020-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4413B1 (ko) | 음향 방출 결함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
US20190017911A1 (en) | Real-time structural damage detection b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
Li et al. | Damage identification in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utilizing PCA‐compressed residual frequency response functions and neural network ensembles | |
WO2019176993A1 (ja) | 検査システム、画像識別システム、識別システム、識別器生成システム、及び学習データ生成装置 | |
KR101746328B1 (ko) | 교차 프로젝트 결함 예측을 위한 최단 이웃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인스턴스 선택 방법 | |
Dackermann et al. | Dynamic-based damage identification using neural network ensembles and damage index method | |
WO2021059909A1 (ja) | データ生成システム、学習装置、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生成方法及び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 |
US20220019190A1 (en) | Machine learning-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deffect detection and analysis using ultrasound scans | |
KR102416474B1 (ko) | 기계학습 기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2321607B1 (ko) | 기계의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 |
KR102172727B1 (ko) | 설비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 |
KR102791070B1 (ko) | 딥러닝 기반 교량 신축 이음 부위의 손상 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
JP2012018066A (ja) | 異常検査装置 | |
Perfetto et al. | Composite panel damage classification based on guided waves and machine learning: an experimental approach | |
US20220018811A1 (en) | Machine learning method for the denoising of ultrasound scans of composite slabs and pipes | |
CN114002332A (zh) | 一种结构损伤监测预警方法及结构完整性数字孪生系统 | |
Naddaf-Sh et al. | Real‐Time Explainable Multiclass Object Detection for Quality Assessment in 2‐Dimensional Radiography Images | |
JP2023145412A (ja) | 欠陥検出方法及びシステム | |
CN112052714A (zh) | 用于对飞行器传感器建模的数据驱动的机器学习 | |
EP4323961A1 (en) | Computer vision influencing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JP4886460B2 (ja) | 異常監視装置 | |
Oliveira et al. | Damage diagnosis in an isotropic structure using an artificial immune system algorithm | |
Valisetty et al. | Machine learning for US army UAVs sustainment: Assessing effect of sensor frequency and placement on damage information in the ultrasound signals | |
KR20240128329A (ko) |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용접부 내부 결함 분류 방법 및 장치 | |
Charmi et al. | A machine learning based-guided wave approach for damage detection and assessment in composite overwrapped pressure vesse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