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9915B1 -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915B1
KR102149915B1 KR1020140009448A KR20140009448A KR102149915B1 KR 102149915 B1 KR102149915 B1 KR 102149915B1 KR 1020140009448 A KR1020140009448 A KR 1020140009448A KR 20140009448 A KR20140009448 A KR 20140009448A KR 102149915 B1 KR102149915 B1 KR 10214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ell
administrative area
lo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172A (ko
Inventor
유건우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행정 구역의 레벨을 고려하여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위치를 제공하거나, 조회 대상 단말의 현재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를 조회할 수 있는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관리하는 위치등록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지역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을 확인한 후, 상기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ADMINISTRATIVE AREA LEVEL,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행정 구역의 레벨을 고려하여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위치를 제공하거나, 조회 대상 단말의 현재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를 조회할 수 있는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GPS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는 사용자가 GPS 수신 기능을 내장한 단말을 이용하여 3개 이상의 GPS 위성의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 위치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방식이다. GPS 방식은 위치정보 획득 비용이 저렴하고, 비교적 정확한 위치를 획득할 수 있어 차량 내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 등에서 이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방식은 하늘이 보이는 옥외 환경에서는 수신율이 높아 위치 획득이 용이한 반면, 그렇지 못한 옥내 환경에서는 수신율이 현저히 떨어져 위치 획득이 용이하지 못한 면이 있다.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는 방식 중 또 다른 방식은 단말의 네트워크의 접근을 지원하는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홈 위치 등록기 등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이 방식의 경우, 옥내에서 위치 측정이 가능하며, 단말에 별도의 하드웨어적 장치의 추가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네트워크 장치를 연동한 사용자 위치 추적은 단순히 특정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수준에 불과하며, 행정 구역을 고려한 계층적인 관리 방안에 대해서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4840호, 2012년 7월 6일 공개 (명칭: 통신 시스템의 위치 정보 서버, 이동 단말 및 주기적인 셀 탐색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행정 구역의 레벨을 고려하여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위치를 제공하거나, 조회 대상 단말의 현재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를 조회할 수 있는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저장하고, 등록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계층화된 셀 그룹을 참조하여 저장함으로써, 행정 구역 단위의 위치 정보 조회 서비스가 가능한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관리하는 위치등록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지역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을 확인한 후,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지역을 커버하는 어느 하나의 셀에 대한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하고, 셀에 연결된 단말의 수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한 후,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어부는 지역을 커버하는 셀이 다수 개 존재할 경우, 다수 개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을 선택한 후, 셀에 연결된 단말의 수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단말로부터 행정 구역 레벨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관리하는 위치등록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선택된 조회 대상 단말과 연결된 제1 셀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위치등록장치로부터 조회 대상 단말이 연결된 제2 셀 정보가 수신되면, 제1 셀 정보 및 제2 셀 정보를 기초로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동 속도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한 후,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 단위로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측정되도록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특정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기 설정된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이 감지되면, 감지된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위치등록장치로부터 측정된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 및 하위 레벨의 행정 구역 단위로 복수 개의 셀을 그룹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1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상위 레벨의 행정 구역 단위로 복수 개의 제1 셀 그룹을 그룹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셀 그룹을 포함하는 제2 셀 그룹을 생성한 후, 생성된 각각의 셀 그룹을 행정 구역 단위에 대응하여 장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단말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장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단말이 접속된 셀을 확인한 후, 단말의 위치 정보를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된 셀 그룹을 참조하여 장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제어부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로부터 어느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의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행정 구역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장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확인한 후, 위치정보 서비스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관리하며, 하나 이상의 단말의 위치를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된 셀 그룹을 참조하여 저장하는 위치등록장치; 및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지역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을 확인한 후,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단말로 제공하거나, 선택된 조회 대상 단말과 연결된 제1 셀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위치등록장치로부터 조회 대상 단말이 연결된 제2 셀 정보가 수신되면, 제1 셀 정보 및 제2 셀 정보를 기초로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동 속도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한 후,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 단위로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측정되도록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고, 위치등록장치로부터 측정된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지역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을 확인하여,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수신된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지역을 커버하는 어느 하나의 셀에 대한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셀에 연결된 단말의 수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하여,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행정 구역 레벨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선택된 조회 대상 단말과 연결된 제1 셀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이후에, 조회 대상 단말이 이동됨에 따라 위치등록장치로부터 조회 대상 단말이 연결된 제2 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제1 셀 정보 및 제2 셀 정보를 기초로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이동 속도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 단위로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측정되도록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하거나, 기 설정된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수신된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의하면,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조회할 경우, 행정 구역 단위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위치 조회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이동 중인 단말의 이동 경로 등의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위치 측정 시 발생되는 부하를 사전에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을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에서의 행정 구역 단위로 셀을 계층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10), 상기 다수의 단말(10)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에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20), 그리고 단말(10)의 등록된 위치 정보를 계층화된 형태로 관리하는 위치등록장치(30) 및 계층화된 형태로 관리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구성 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개시한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만을 도 1에 도시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10)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수행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단말(1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와 연결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10)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10)은 비AP STA,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다수의 기지국(20)은 단말(10)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접속 중계점으로서, 자신이 서비스하는 일정한 지리적 범위인 셀(cell)을 가지며, 상기 셀(cell) 내에 위치한 단말(10)에 대하여 외부로부터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한다.
단말(10)은 인접한 기지국(20)으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하던 정보(예컨대 PN 코드 등)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지국 전력 세기를 가지는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후, 단말(10)은 교환기(미도시)를 거쳐 위치등록장치(30)로 위치 등록 수행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기지국(20)이 기지국1 및 기지국2와 같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단말(10)은 기지국(20)으로부터 송출되는 기지국 전력 세기를 비교하여, 연결할 기지국(20)을 선택할 수도 있다.
위치등록장치(30)와의 정상적인 위치 등록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10)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위치등록장치(30)는 해당 망에 가입한 모든 가입자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으며, 해당 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해당 망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30)는 등록된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을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서비스 대상 지역은 최소 단위의 하나 이상의 셀(cell)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셀은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기지국 섹터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셀 하나의 크기는 기지국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데, 예컨대 2G 기지국에 비해 4G 기지국의 전파 도달 범위가 절반이라면 셀의 넓이는 1/4가 되어, 4G 셀 4개가 2G 셀 하나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의 전파 도달 범위에 따라 셀을 계층적 형태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행정 구역 단위로 셀을 계층적 형태로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예컨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ell 1, Cell 2, Cell 4가 최저 레벨의 행정 구역 단위인 구로동 지역을 커버하는 경우,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Cell 1, Cell 2, Cell 4를 포함하는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셀 그룹에 G001 행정 구역 코드를 부여한다. 또한, Cell 3, Cell 6, Cell 7이 최저 레벨의 행정 구역 단위인 개봉동 지역을 커버하는 경우,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Cell 3, Cell 6, Cell 7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셀 그룹에 G002 행정 구역 코드를 부여한다.
그 다음 행정 구역 단위인 구 단위로, 구로구가 상기 구로동 및 개봉동 지역을 커버하는 경우, 상기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구로동에 해당하는 G001 셀 그룹 및 개봉동에 해당하는 G002 셀 그룹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로구에 해당하는 셀 그룹에 S001 행정 구역 코드를 부여한다.
상기의 예시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서울시
(SS01)
구로구
(S001)
구로동(G001) Cell 1, Cell 2, Cell 4
개봉동(G002) Cell 3, Cell 6, Cell 7
송파구
(S002)
장지동(D001) Cell 5, Cell 8, Cell 9
문정동(D002) Cell 10, Cell 11, Cell 13
잠실동(D003) Cell 12, Cell 14, Cell 15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와 같이 셀 그룹을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10)의 위치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10)이 연결된 셀 정보를 확인한다. 이는, 상기 단말(10)의 위치 등록 요청 시 함께 수신되는 셀 정보를 기초로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상기 단말(10)이 Cell 1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Cell 1의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10)이 구로동, 구로구,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음을 저장한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 셀 동 단위 구 단위 시 단위
단말 1 Cell 1 구로동(G001) 구로구(S001) 서울시(SS01)
단말 2 Cell 10 문정동(D002) 송파구(S002) 서울시(SS01)
단말 3 Cell 11 문정동(D002) 송파구(S002) 서울시(SS01)
이후,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정보를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확인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위치등록장치(30)는 예컨대,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위치등록장치(30)와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를 독립된 형태로 구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치등록장치(30)와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하나의 장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위치등록장치(30)와 연동하여 단말(10)로 다양한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단말(10)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등 위치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먼저, 어느 하나의 단말(10)로부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지역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을 확인한 후, 상기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로부터 가든파이브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가든파이브의 최저 레벨의 행정 구역인 문정동을 확인하고, 문정동에 연결된 단말2 및 단말3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셀에 접속된 단말의 수에 따라, 최저 레벨의 행정 구역인 문정동에 위치한 단말2 및 단말3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위 레벨인 서울시에 위치한 단말1, 단말2 및 단말3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1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단말(1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행정 구역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조회 대상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회 대상 단말과 연결된 제1 셀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30)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위치등록장치(30)로부터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연결된 제2 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셀 정보 및 상기 제2 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한 후,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 단위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측정되도록 상기 위치등록장치(30)에 요청하고, 상기 위치등록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어느 하나의 단말(10)로부터 특정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 단말을 상기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이 존재할 경우, 상기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후,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 제공을 요청한 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조회 대상 단말이 문정동에서 장지동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느리게 이동하고 있으면, 최저 행정 구역 단위인 동 단위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위 레벨의 행정 구역 단위인 구 단위 또는 시 단위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먼저,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통신부(11), 입력부(12), 제어부(13), 저장부(14) 및 표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부(11)는 접속된 기지국(20)을 거쳐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와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3)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는 특정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입력하거나, 자신 또는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10)에 정의된 기능(예컨대, 위치 정보 조회 요청 및 위치 정보 표시 등) 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는 특정 기지국이 커버하는 셀 내에 위치하며,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위치등록장치(30)로 위치 등록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특정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거나, 자신 또는 다른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다양한 형태, 예컨대 지도 데이터 상에 매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4)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5)는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2)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12)와 함께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부(1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TOLED(Transparant OLED)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를 통해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를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10)은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통해 도시된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의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이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3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는 장치 통신부(31), 장치 제어부(32) 및 장치 저장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 통신부(31)는 하나 이상의 단말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장치 제어부(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단말(10)의 네트워크 위치 등록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제어부(32)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셀을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된 셀 그룹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 제어부(32)는 최소 레벨의 행정 구역에 해당하는 지역을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제1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셀 그룹에 제1 레벨의 행정 구역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레벨의 행정 구역인 동 단위로, 구로동 지역을 커버하는 셀이 Cell 1, Cell 2, Cell 4가 존재할 경우, 상기 장치 제어부(32)는 상기 Cell 1, Cell 2, Cell 4를 포함하는 제1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셀 그룹에 구로동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 코드 G001을 부여한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32)는 상기 행정 구역 레벨 다음의 레벨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음 레벨의 행정 구역에 해당하는 지역을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셀 그룹을 포함하는 제2 셀 그룹을 생성하고, 제2 셀 그룹에 제2 레벨의 행정 구역 코드를 부여한다. 전술한 예에서, 최소 레벨의 행정 구역인 구로동 다음의 레벨은 구로구이며, 구로구는 예컨대 구로동 및 개봉동의 집합이므로, 장치 제어부(32)는 상기 구로동에 해당하는 제1 셀 그룹을 포함하여, 상기 개봉동에 해당하는 셀 그룹을 포함하는 제2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셀 그룹에 구로구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 코드 S001을 부여한다.
즉, <표 1>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 제어부(32)는 하나 이상의 셀을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된 셀 그룹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또한, 위치 등록된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상기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된 셀 그룹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등록된 단말(10)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셀 식별 정보, 예컨대 Cell 1을 확인한 후, 확인된 상기 Cell 1에 대응하는 행정 구역 단위의 셀 그룹, 예컨대, 구로동(G001) 및 서울시(S001)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장치 제어부(32)는 위치정보 서비스 장치(4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된 셀 그룹 및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장치(4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제어부(32)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장치 저장부(33)는 단말(10)의 위치 등록에 필요한 가입자 정보(33a)를 저장하며, 특히 장치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행정 구역 단위 기반 위치 정보(33b)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 장치(4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서비스 통신부(41), 서비스 제어부(42) 및 서비스 저장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통신부(41)는 하나 이상의 단말(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관리하는 위치등록장치(3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어부(4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서비스 제어부(42)는 상기 서비스 통신부(41)를 통해 어느 하나의 단말(10)로부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지역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을 확인한 후, 상기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30)에 질의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비스 통신부(41)를 통해 상기 단말(10)로 전송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42)는 어느 하나의 단말(10)로부터 특정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거나, 기 설정된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0)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단말 또는 상기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을 이동하는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통신부(41)를 통해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연결된 제1 셀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30)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통신부(41)를 통해 상기 위치등록장치(30)로부터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연결된 제2 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셀 정보 및 상기 제2 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한 후,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 단위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측정되도록 상기 위치등록장치(30)에 요청하고, 상기 위치등록장치(30)로부터 측정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10)로 전송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42)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저장부(43)는 상기 서비스 제어부(42)의 동작 과정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 장치(4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 장치(4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 장치(4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 장치(4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ACH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단말(10) 또는 위치등록장치(30) 및 위치정보 서비스 장치(4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에서의 행정 구역 단위로 셀을 계층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에서의 행정 구역 단위로 셀을 계층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위치등록장치(30)는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행정 구역 단위로 저장하기 위해, 먼저, 최소 레벨의 행정 구역에 해당하는 지역을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제1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셀 그룹에 제1 레벨의 행정 구역 코드를 부여한다(S101).
예를 들어, 최소 레벨의 행정 구역인 동 단위로, 구로동 지역을 커버하는 셀이 Cell 1, Cell 2, Cell 4가 존재할 경우, 상기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Cell 1, Cell 2, Cell 4를 포함하는 제1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셀 그룹에 구로동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 코드 G001을 부여한다.
그리고,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행정 구역 레벨 다음의 레벨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음 레벨의 행정 구역에 해당하는 지역을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셀 그룹을 포함하는 제2 셀 그룹을 생성하고, 제2 셀 그룹에 제2 레벨의 행정 구역 코드를 부여한다(S103).
전술한 예에서, 최소 레벨의 행정 구역인 구로동 다음의 레벨은 구로구이며, 구로구는 예컨대 구로동 및 개봉동의 집합이므로,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구로동에 해당하는 제1 셀 그룹을 포함하여, 상기 개봉동에 해당하는 셀 그룹을 포함하는 제2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셀 그룹에 구로구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 코드 S001을 부여한다.
그리고, 위치등록장치(30)는 마찬가지로 상기 행정 구역 레벨 다음의 레벨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여(S105),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그 다음 행정 구역 레벨 단위의 셀 그룹을 생성하며, 다음 레벨의 행정 구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계층화된 셀 그룹을 저장한다(S107).
이후, 위치등록장치(30)는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10)의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S109). 예컨대, 위치등록장치(30)는 단말(10)로부터 연결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지국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셀 Cell 1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단말(10)이 위치하고 있는 Cell 1에 대응한 셀 그룹, 전술한 예에서, G001 및 상위 레벨인 S001에 해당하는 셀 그룹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현재 G001 및 S001에 해당하는 셀 그룹에 대응하여 저장한다(S111).
이후, 위치등록장치(30)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의 요청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하여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단말(10)이 특정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 경우에서의 동작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예컨대, 단말(10)이 상권 분석 등을 위해 특정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등록장치(30)는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하여 계층화된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예컨대, 문정동에 해당하는 셀이 Cell 10, Cell 11, Cell 13이고, Cell 10에 단말1, 단말2가 연결되고, Cell 11에 단말3, 단말4, 단말5가 연결되고, Cell 13에 단말6, 단말7, 단말8이 연결된 경우, 위치등록장치(30)는 셀 단위로 연결된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행정 구역 단위, 즉 상기 단말1~단말8은 문정동, 상기 문정동의 상위 레벨의 행정 구역인 송파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단말(10)은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전송한다(S201). 예컨대, 단말(10)이 송파구 문정동에 위치한 가든파이브 인근의 상권을 분석하기 위해,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가든파이브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가든파이브 지역을 커버하는 셀을 위치등록장치(30)에 질의하여 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203 ~ S205).
예컨대, 상기 가든파이브 지역을 커버하는 셀이 Cell 10, Cell 11일 경우,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Cell 10, Cell 11 중 어느 하나의 셀, 예컨대 Cell 10에 현재 연결된 단말의 수를 포함하여 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Cell 10에 현재 연결된 단말의 수를 기초로 조회하고자 하는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한다(S209).
예컨대, Cell 10에 현재 연결된 단말의 수가 일정 개수 이하이며, 보다 정확한 상권 분석을 위해 상기 Cell 10을 포함하는 행정 구역인 문정동(D002) 이상의 레벨, 즉 송파구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하고,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송파구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을 위치등록장치(30)에 요청하여 조회한다(S211 ~ S213).
반면, Cell 10에 현재 연결된 단말의 수가 일정 개수 이상으로 많을 경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문정동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30)에 요청하여 조회하게 된다.
이후,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위치등록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조회를 요청한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S215).
이와 같이,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단말(10)이 요청한 특정 지역의 상태에 따라 위치 정보를 조회할 행정 구역을 가변하여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가 단말(10)이 요청한 특정 지역의 상태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선택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직접 행정 구역 레벨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S201 단계에서, 단말(10)로부터 행정 구역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30)에 질의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10)을 통해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강남역'과 같은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강남역'과 같은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 및 '구', '시'와 같은 행정 구역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단말(10)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바로 상기 지역을 커버하는 행정 구역을 확인하고, 상기 행정 구역에 위치한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30)에 요청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가 단말(10)로부터 특정 지역, 가든파이브에 대한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가든파이브에 해당하는 최소 레벨의 행정 구역, 즉 문정동을 확인하고, 문정동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위치등록장치(30)에 질의한다. 이에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문정동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므로, 조회된 단말의 정보를 바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에 전송할 수 있어, 단말(10)의 위치 조회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단말(10)이 자신 또는 특정 다른 단말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등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요청한 경우에서의 동작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위치등록장치(30)는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하여 계층화된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0)은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자신 또는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전송한다(S301). 이후,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위치등록장치(30)로 조회 대상 단말의 연결된 셀 정보를 질의하여 제1 셀 정보를 수신한다(S303 ~ S305).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제1 셀 정보 및 상기 제1 셀 정보에 포함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상기 제1 셀에 연결된 시간을 확인한다.
이후, 위치등록장치(30)는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셀 위치가 이동됨이 감지되면(S309),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조회 대상 단말이 새로이 연결된 제2 셀 정보를 전송한다(S311).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제2 셀 정보 및 상기 제2 셀 정보에 포함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상기 제2 셀에 연결된 시간을 확인한다(S313).
그리고,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제1 셀 및 제2 셀에 연결된 시간을 기초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한다(S315). 예컨대, 조회 대상 단말이 제1 셀에 13시 10분에 연결되었으며, 제1 셀로부터 10m 떨어진 제2 셀에 13시 15분에 연결된 경우, 상기 셀 간의 거리와 연결된 시간을 기초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예컨대, 시속 5km로 느리게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속도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하는 데(S317), 전술한 예에서 조회 대상 단말이 느리게 이동하고 있으므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행정 구역 레벨을 동 단위로 결정한다. 반면 조회 대상 단말이 빠르게 이동하고 있을 경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행정 구역 레벨을 시 단위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위치등록장치(30)로 해당 행정 거역 단위의 위치 측정을 요청한다(S319). 전술한 예에서 행정 구역 레벨이 동 단위로 결정되었으므로, 위치등록장치(30)는 조회 대상 단말의 등록되는 위치 정보를 동 단위로 조회하고, 조회된 위치 정보를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단말(10)로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323). 더하여,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경로를 상기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의 위치 정보 측정 시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위치 측정 시 발생되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게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10)이 요청한 특정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을 선택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가 설정된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이 감지되면, 감지된 상기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집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이 분당 수서 간 고속도로일 경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40)는 상기 분당 수서 간 고속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감지된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한 후,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집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행정 구역의 레벨을 고려하여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위치를 제공하거나, 조회 대상 단말의 현재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를 조회할 수 있는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조회할 경우, 행정 구역 단위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위치 조회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이동 중인 단말의 이동 경로 등의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위치 측정 시 발생되는 부하를 사전에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 11: 통신부 12: 입력부
13: 제어부 14: 저장부 15: 표시부
20: 기지국 30: 위치등록장치 31: 장치 통신부
32: 장치 제어부 33: 장치 저장부 40: 위치정보 서비스장치
41: 서비스 통신부 42: 서비스 제어부 43: 서비스 저장부
100: 위치 제공 시스템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관리하는 위치등록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지역을 커버하는 어느 하나의 셀에 연결된 단말의 수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지역을 커버하는 셀이 다수 개 존재할 경우, 상기 다수 개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을 선택한 후, 상기 셀에 연결된 단말의 수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서비스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행정 구역 레벨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
  5. 하나 이상의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관리하는 위치등록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선택된 조회 대상 단말과 연결된 제1 셀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등록장치로부터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연결된 제2 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셀 정보 및 상기 제2 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이동 속도와, 상기 제1 셀 또는 상기 제2 셀에 연결된 단말의 수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한 후,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 단위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측정되도록 상기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 단말을 상기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기 설정된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이 감지되면, 감지된 상기 단말을 상기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위치등록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서비스장치.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계층화된 행정 구역 단위로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 및
    하위 레벨의 행정 구역 단위로 복수 개의 셀을 그룹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1 셀 그룹을 생성하고, 상위 레벨의 행정 구역 단위로 상기 복수 개의 제1 셀 그룹을 그룹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셀 그룹을 포함하는 제2 셀 그룹을 생성한 후, 생성된 각각의 셀 그룹을 행정 구역 단위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지역을 커버하는 셀에 연결된 단말의 수에 따라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말 및 위치정보 서비스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통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접속된 셀을 확인한 후,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행정 구역 단위로 계층화된 셀 그룹을 참조하여 상기 장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로부터 어느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의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행정 구역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장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확인한 후,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장치.
  12. 삭제
  13.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상기 지역을 커버하는 어느 하나의 셀에 연결된 단말의 수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하여,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수신된 상기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4. 삭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행정 구역 레벨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상기 행정 구역 레벨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장치에 질의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6.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선택된 조회 대상 단말과 연결된 제1 셀 정보를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이후에,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위치등록장치로부터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이 연결된 제2 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상기 제1 셀 정보 및 제2 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상기 이동 속도와 상기 제1 셀 또는 상기 제2 셀에 연결된 단말의 수에 따라 행정 구역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결정된 행정 구역 레벨 단위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측정되도록 상기 위치등록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단말을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하거나, 기 설정된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상기 조회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장치가 수신된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조회 대상 단말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9. 제13항,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09448A 2014-01-27 2014-01-27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14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48A KR102149915B1 (ko) 2014-01-27 2014-01-27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48A KR102149915B1 (ko) 2014-01-27 2014-01-27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172A KR20150089172A (ko) 2015-08-05
KR102149915B1 true KR102149915B1 (ko) 2020-08-31

Family

ID=5388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448A Active KR102149915B1 (ko) 2014-01-27 2014-01-27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9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670A (ja) * 2000-06-20 2002-01-09 Honda Motor Co Ltd 移動体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59B1 (ko) * 2004-07-20 2008-0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자동 위치 등록방법
KR20090099726A (ko) * 2008-03-18 200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지역 내의 단말의 위치추정정보를 획득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1206652B1 (ko) 2010-12-28 2012-11-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의 위치 정보 서버, 이동 단말 및 주기적인 셀 탐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670A (ja) * 2000-06-20 2002-01-09 Honda Motor Co Ltd 移動体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172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05296B (zh) 图像描述生成方法、模型训练方法、设备和存储介质
EP2388553A1 (en) Method, mobil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CN107003395B (zh) 室内定位服务提供方法及系统
KR101895455B1 (ko) 전자장치에서 의미적 위치 인식 방법 및 장치
CN111027906B (zh) 配送订单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与终端设备
US20160248505A1 (en) Smart device performing led-id/rf communication through a camera,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the same
US20180206067A1 (en)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associated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265968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track wire or cable reels in an inventory storage environment using a mobile device
US88556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US20170313353A1 (en) Parking Space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Parking Spac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JP4695123B2 (ja) 位置情報取得装置,位置情報取得方法および位置情報取得プログラム
TW201044897A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opulating an access point database
CN104457767A (zh) 实现位置服务的方法和装置
US20170347228A1 (en) Handling bluetooth low energy messages of radio tags for position determination
JP2012079035A (ja) 情報処理装置、投稿情報評価システム、投稿情報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074009A (zh) 一种运动路线的生成方法、装置、移动终端和服务器
CN1726407A (zh) 为用户提供基于位置的信息
KR101639204B1 (ko) 컴퓨팅 장치의 글로벌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측지 삼각 측량을 사용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메커니즘
CN104901995B (zh) 一种推送展示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KR102149915B1 (ko) 행정 구역 레벨을 고려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9027411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entry of region of interest of electronic device
WO2016140789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track wire or cable reels in an inventory storage environment using a mobile device
CN112817423A (zh) 低功耗定位方法、系统、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60097643A1 (en) Mobile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CN106779167A (zh) 预测价格走势拐点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4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