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9421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421B1
KR102149421B1 KR1020130158437A KR20130158437A KR102149421B1 KR 102149421 B1 KR102149421 B1 KR 102149421B1 KR 1020130158437 A KR1020130158437 A KR 1020130158437A KR 20130158437 A KR20130158437 A KR 20130158437A KR 102149421 B1 KR102149421 B1 KR 102149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late
crystal display
polarizing plate
nega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414A (ko
Inventor
김지훈
김대원
박승범
이승희
장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421B1/ko
Priority to US14/303,248 priority patent/US9753329B2/en
Publication of KR2015007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4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2Number of plates being 2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7All plates on one side of the LC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14Negative birefing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어레이 기판, 대향기판 및 수직 배향된 액정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어레이 기판에 구비되며, 제1 투과축을 포함하는 제1 편광판; 상기 대향 기판에 구비되며, 제2 투과축을 포함하는 제2 편광판; 상기 제2 편광판 및 상기 액정층 사이에 구비되며, 120nm 내지 150nm의 면내 위상 지연값을 가지며, 240nm 내지 300nm의 두께 위상 지연값을 갖는 위상차 필름;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빛샘이 억제되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가 개선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 물질에 인가되는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두 기판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얻는 표시장치다.
VA(Vertical Align)모드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동작 모드 중 하이다. 상기 VA 모드로 구동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기판들에 수직 배향(homeotropic)되며 음의 유전율을 갖는 액정분자를 구비하고, VA 모드로 구동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정면에서 시인하는 경우, 우수한 명암비(Contrast Ratio)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명암비가 개선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는 대향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 및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수직 배향된 액정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어레이 기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제1 투과축을 포함하는 제1 편광판; 상기 대향 기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투과축과 수직하는 제2 투과축을 포함하는 제2 편광판; 상기 제2 편광판 및 상기 액정층 사이에 구비되며, 120nm 내지 150nm의 면내 위상 지연값을 가지며, 240nm 내지 300nm의 두께 위상 지연값을 갖는 위상차 필름; 및 상기 제1 편광판 측으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A 플레이트 및 네거티브 C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A 플레이트의 면내 위상 지연값은 120nm 내지 150nm이며,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 위상 지연값은 190nm 내지 210nm이다.
상기 A 플레이트는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는 상기 A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A 플레이트 및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이축성 필름 및 네거티브 네거티브 C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이축성 필름의 면내 위상 지연값은 120nm 내지 150nm이고, 두께 위상 지연값은 60nm 내지 80nm이며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 위상 지연값은 190nm 내지 210nm이다.
상기 네거티브 네거티브 C 플레이트는 상기 이축성 필름 및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이축성 필름은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이축성 필름 및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편광판은 제로 리타더(zero-retarder)를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은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은 광을 차광하는 차광물질로 이루어진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은 컬럼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상기 컬럼 스페이서는 상기 차광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필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어레이 기판에 배치하고 위상 지연값이 최적화된 위상차 필름을 대향 기판에 배치함으로써, 빛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가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로부터 표시되는 정면광 및 측면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를 통과하는 정면광 및 측면광의 편광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포엥카레 구이다.
도 7a는 대조군의 명암비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대조군의 명암비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각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가 간략하거나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400),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200) 및 데이터 드라이버(300),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0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외부로부터 영상정보(RGB) 및 다수의 제어신호(CS)를 수신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상기 영상정보(RGB)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영상 데이터(DATA)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상기 다수의 제어신호(CS)에 근거하여 데이터 제어신호(DCS, 예를 들어, 출력개시신호, 수평개시신호 등) 및 게이트 제어신호(GCS, 예를 들어, 수직개시신호, 수직클럭신호, 및 수직클럭바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DCS)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제공되고,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GCS)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응답해서 게이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상기 액정표시패널(400)로 출력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m) 및 화소(PX)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로부터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수신한다.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m)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m)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압들을 수신한다.
상기 화소(PX)는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액정 커패시터(CLC)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소(PX)는 대응되는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턴-온되고, 턴-온된 상기 화소(PX)는 상기 데이터 전압에 대응되는 계조의 영상을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후방에 위치한 백라이트 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광을 생성하고, 상기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광원으로 채택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일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배열되거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1000)는 제1 편광판(600), 제2 편광판(700), 위상차 필름(8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편광판(600), 상기 액정표시패널(400), 상기 위상차 필름(800), 및 상기 제2 편광판(700)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방향(D1, D2)과 수직하는 제3 방향(D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즉,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하측에는 상기 제1 편광판(600)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상측에는 상기 위상차 필름(800)이 배치되며, 상기 위상차 필름(800)의 상측에는 상기 제2 편광판(700)이 배치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은 어레이 기판(410), 상기 어레이 기판(410)과 대향하는 대향 기판(420) 및 상기 어레이 기판(410) 및 상기 대향 기판(420)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430)을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410) 및 상기 대향 기판(42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기재로써 기능하며, 높은 광투과율을 갖는 글래스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편광판(600)은 제1 편광층(610) 및 제로 리타더(zero retarder, 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편광층(610)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제1 투과축(PA1) 및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하며, 상기 제1 투과축(PA1)과 수직한 제1 흡수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편광층(610)에 입사된 광의 성분 중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한 성분은 상기 흡수축에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제1 편광층(610)을 통과하지 못하며, 상기 제1 편광층(610)에 입사된 광의 성분 중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성분은 상기 제1 편광층(610)을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입사된 광은 무편광된 광일 수 있다. 상기 “무편광”이란 모든 방향으로 선편광된 선편광 성분 및 원편광된 원편광 성분이 중첩된 광을 의미하며, 상기 원편광 성분은 좌원 편광된 좌원 편광 성분 및 우원 편광된 우원 편광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편광층(610)은 특정 방향으로 연신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로는 비닐아세테이트의 단일중합체 또는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및 상기 비닐아세테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공중합체가 있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올레핀, 비닐에테르 및 불포화 술폰산이 있다.
상기 제로 리타더(620)는 상기 제1 편광층(6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로 리타더(620)는 상기 제로 리타더(620)를 통과하는 광의 위상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로 리타더(620)의 면내 위상 지연값 및 두께 위상 지연값은 실질적으로 0이다. 따라서, 상기 제로 리타더(620)를 통과하는 광의 위상은 지연되지 않는다. 상기 제로 리타더(620)는 상기 제1 편광판(600)의 기재로써 역할을 하며, 상기 제1 편광층(610)층을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오염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판(700)은 제2 편광층(710) 및 지지부재(7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편광층(620)은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한 제2 투과축(PA2) 및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하며 상기 제2 투과축(PA2)과 수직한 제2 흡수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편광층(620)에 입사된 광의 성분 중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성분은 상기 제2 흡수축에 의하여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상기 제2 편광층(620)을 통과하지 못하며,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한 성분은 상기 제2 편광층(620)을 통과한다.
상기 제2 편광층(620)은 상기 제1 편광층(61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720)는 상기 제2 편광층(7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720)는 상기 제2 편광판(700) 상측에 전면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편광판(70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lose;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800)은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상기 광학적 이방성을 통해 상기 위상차 필름(800)을 통과하는 광의 편광을 변화시키는 광학소자이다. 상기 위상차 필름(800)은 상기 액정층(430)의 광학적 이방성으로 인한 시야각에 따른 위상차를 보상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투과축(PA1, PA2) 사이의 실효적인 각도는 시야각에 따라 변화하는데, 상기 위상차 필름(800)은 상기 변화하는 실효적인 각도에 따른 시야각 특성을 보상시킨다.
상기 위상차 필름(800)은 A 플레이트(810) 및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을 포함한다. 상기 A 플레이트(810)는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 및 상기 제2 편광판(70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A플레이트(810) 및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의 배치는 변경되어 실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10)는 상기 A 플레이트(810) 및 상기 제2 편광판(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A 플레이트(81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굴절률을 제1 굴절률(n1)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굴절률을 제2 굴절률(n2), 상기 제3 방향(D3)으로의 굴절률을 제3 굴절률(n3)이라 정의 할 때,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굴절률(n1~n3)은 상기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일반적으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상기 A 플레이트(810)를 퍼지티브 A 플레이트라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3116083771-pat00001
상기 A 플레이트(810)의 면내 위상 지연값은 120nm 내지 150nm이다. 상기 제2 및 제3 굴절률(n2, n3)은 0이 아닌 소정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굴절률(n2, n3)이 소정의 값을 가질 경우, 상기 A 플레이트(810)는 소정의 두께 위상 지연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A 플레이트(810)의 두께 위상 지연값은 60nm 내지 75nm일 수 있다.
상기 A 플레이트(810)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역파장 분산성은 적어도 가시광 영역대의 광의 파장이 짧아질수록 적게 위상을 지연시키는 성질을 나타낸다.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굴절률을 제4 굴절률(n4),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굴절률을 제5 굴절률(n5), 상기 제3 방향(D3)으로의 굴절률을 제6 굴절률(n6)이라 정의 할 때, 상기 제4 내지 상기 제6 굴절률(n4~n6)은 상기 아래의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3116083771-pat00002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의 두께 위상 지연값은 190nm 내지 210nm이다.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는 예를 들어,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은 박막 트랜지스터(TR), 화소전극(PE), 공통전극(421), 블랙 매트릭스(BM), 및 컬럼 스페이서(CS)를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전극(GE), 게이트 절연막(GI), 반도체층(AL),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GE)은 상기 어레이 기판(4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GI)는 상기 반도체층(AL)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반도체층(AL)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전극(GE)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은 상기 반도체층(AL)과 접촉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소스 전극(SE)과 이격되어 상기 반도체층(AL)과 접촉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 상에는 절연막(PV)이 배치된다. 상기 절연막(PV)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막(PV)에는 상기 절연막(PV)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노출시키는 컨택홀이 형성된다. 상기 컨택홀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형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CF)는 상기 표시 영역(DA)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컬러 필터(CF)는 상기 트랜지스터(TR)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화소 전극(PE)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컬러필터(CF)는 예를 들어 레드, 그린, 또는 블루 컬러필터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BM)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NDA)측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광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BM)는 상기 절연막(PV) 상에 배치된다. . 상기 블랙 매트릭스(BM)는 광을 차광 시키는 차광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화소전극(PE) 및 상기 컬러필터(CF)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되어 실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러필터(CF)는 상기 화소전극(PE) 및 상기 절연막(PV)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CF)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노출 시키는 컨택홀이 형성되며, 상기 화소전극(PE)은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될 수 있다.상기 컬럼 스페이서(CS)는 상기 어레이 기판(410) 및 상기 대향 기판(4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어레이 기판(410) 및 상기 대향 기판(420)간의 거리를 유지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컬럼 스페이서(CS)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BM) 상에 배치된다. 상기 컬럼 스페이서(CS)는 상기 차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통전극(421)은 상기 대향 기판(420)에 배치된다. 상기 공통 전극(421)은 공통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화소 전극(PE)과 함께 상기 액정층(430)에 전계를 형성한다. 상기 공통 전극(421)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액정층(43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을 투과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한다. 상기 액정층(430)은 유전율 이방성 및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분자는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분자는 상기 액정분자의 장축이 상기 액정분자에 인가된 전계와 수직하도록 재배열된다. 상기 액정분자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수직 배향(homeotropic)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로부터 표시되는 정면광 및 측면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를 통과하는 정면광 및 측면광의 편광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포엥카레 구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는 표시면(DS)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면(DS)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하다. 정면광(FL) 및 측면광(OL)은 상기 표시면(DS)을 통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정면광(FL)을 통해 영상을 정면에서 시인(이하, 정면 시인)할 수 있다. 상기 정면광(FL)은 상기 제3 방향(D3)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측면광(OL)을 통해 상기 영상을 측면에서 시인(이하, 측면 시인)할 수 있다. 상기 측면광(OL)은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표시면(DS)을 기준으로 경사진 광경로(OR)를 따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3차원 공간의 구면 좌표계에서는 임의의 점들을, 방위각, 경사각 및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 상기 경사각은 임의의 점이 제3 방향(D3)과 이루는 각도이며, 상기 방위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으로 투영된 상기 임의의 점과 상기 제1 방향(D1)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광경로(OR)의 경사각은 제1 각도(θ)를 가지며, 방위각은 제2 각도(φ)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는 암 상태(Dark state)이다. 이 경우, 상기 액정층(430)내의 액정 분자(LM)는 상기 제3 방향(D3)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정면광(FL) 및 상기 측면광(OL)은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편광판(600), 상기 액정표시패널(400), 상기 위상차 필름(800)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편광판(700)에 도달한다. 상기 정면광(FL) 및 상기 측면광(OL)이 상기 제1 편광판(600), 상기 액정표시패널(400), 상기 위상차 필름(800), 및 상기 제2 편광판(700)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정면광(FL) 및 상기 측면광(OL)의 편광 상태는 각 층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변한다.
이하, 도 6의 포엥카레 구(Poincare Sphere)를 더 참조하여 상기 정면광(FL) 및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의 변화를 설명한다.
임의의 광이 가질 수 있는 모든 편광 상태는 포앵카레 구의 구면상의 또는 구면내부의 점에 의해 표현된다. 광학 소자의 광축, 지연축, 및 위상지연 값을 알면 상기 포앵카레 구를 이용하여 상기 광학 소자를 통과한 후의 광의 편광상태를 쉽게 예측할 수 있어 상기 포앵카레 구는 위상차 필름 설계시 주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 포앵카레 구에서 적도상의 점들은 광의 선편광 상태들을 나타낸다. 제1 극점(S1), 제1 반대극점(-S1), 제2 극점(S2), 및 제2 반대 극점(-S2)는 상기 적도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극점(S1)은 광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선편광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반대 극점(-S1)은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극점(S1)과 반대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선편광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2 극점(S2)은 상기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45도 만큼 회전한 선편광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2 반대 극점(-S2)는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극점(S2)과 반대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45도 만큼 회전한 선편광을 나타낸다.
상기 포앵카레 구의 상반구는 우선회 타원 편광을, 하반구는 좌선회 타원 편광을 나타낸다. 제3 극점(S3)는 우원 편광을 나타내며,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3 극점(S3)과 반대하는 제3 반대극점(-S3)은 좌원 편광을 나타낸다. 상기 적도에서 상기 제3 극점(S3)으로 갈수록 선편광 상태에서 상기 우원 편광 상태에 가까워지며, 상기 적도에서 상기 제3 반대 극점(S3)으로 갈수록 선편광 상태에서 상기 좌원 편광 상태에 가까워진다.
상기 정면광(FL)을 통해 사용자가 정면 시인하는 경우, 상기 제1 투과축(PA1)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하므로, 상기 제1 극점(S1)에 대응되며, 상기 제1 흡수축은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하므로 상기 제1 반대극점(-S1)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제2 투과축(PA2)은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하므로, 상기 제1 반대극점(-S1)상에 대응되며, 상기 제2 흡수축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하므로 상기 제1 극점(S1)에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광의 편광 상태가 상기 제2 흡수축에 대응되는 지점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광은 상기 제2 흡수축에 의하여 흡수되어 차광되므로, 상기 제2 흡수축에 대응되는 점은 소멸점(Extinction point)이라고도 한다.
상기 정면광(FL)이 상기 제1 편광판(600)에 입사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선편광되어 상기 정면광(FL)의 편광상태는 상기 제1 극점(S1)에 위치한다. 이후 상기 정면광(FL)이 순차적으로 상기 액정층(420), 상기 위상차 필름(800)을 통과하더라도, 상기 정면광(FL)은 상기 액정층(420)의 액정분자의 광축 및 상기 위상차 필름(800)의 광축을 통과하므로 정면광(FL)의 위상은 지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정면광(FL)의 편광 상태는 변하지 않으며, 상기 제1 극점(S1)에 그대로 위치한다.
상기 제1 극점(S1)은 상기 제2 편광판(700)의 제2 흡수축에 대응되므로, 상기 제2 편광판(700)에 입사되는 정면광(FL)의 편광상태는 상기 제2 흡수축과 평행하다. 따라서 상기 정면광(FL)은 상기 제2 흡수축에 의하여 흡수되어, 상기 제2 편광판(700)을 통과하지 못하고 차광된다.
상기 측면광(OL)을 통해 사용자가 측면 시인하는 경우, 상기 제1 편광판(600)의 상기 제1 투과축(PA1) 및 상기 제1 흡수축에 대응되는 점은 상기 푸엥카레 구의 적도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제1 투과축(PA1)에 대응되는 점은 상기 제1 극점(S1)으로부터 상기 적도를 따라 제1 지점(P1)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흡수축에 대응되는 점은 상기 제1 반대 극점(-S1)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P1)과 원점을 기준으로 반대하는 제2 지점(P2)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 투과축(PA2)에 대응되는 점은 상기 제1 반대극점(-S1)으로부터 상기 적도를 따라 제3 지점(P3)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흡수축에 대응되는 점은 상기 제1 극점(S1)으로부터 상기 제3 지점(P3)과 원점을 기준으로 반대하는 제4 지점(P4)으로 이동한다.
상기 측면광(OL)이 상기 제1 편광판(600)을 통과하면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는 상기 푸엥카레 구에서 상기 제1 지점(P1)에 위치한다. 이후, 상기 측면광(OL)이 상기 액정층(430)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가 원편광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측면광(OL)의 위상이 지연되며,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는 상기 푸엥카레 구에서 상기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5 지점(P5)으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측면광(OL)이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가 다시 선편광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측면광(OL)의 위상이 지연되며,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는 상기 제5 지점(P5)에서 제6 지점(P6)으로 이동한다. 상기 측면광(OL)이 상기 A 플레이트(810)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측면광(OL)의 위상은 지연되며,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는 상기 제6 지점(P6)에서 상기 제4 지점(P4) 즉, 상기 소거점에 도달한다.
상기 제4 지점(P4)은 상기 제2 편광판(700)의 제2 흡수축에 대응되므로,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는 상기 제2 흡수축과 평행하다. 따라서, 상기 측면광(OL)은 상기 제2 흡수축에 의하여 흡수되어, 상기 제2 편광판(700)을 통과하지 못하고 차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0)가 상기 암 상태 경우, 상기 A 플레이트(810) 및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는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를 조절하여, 상기 측면광(OL)이 상기 제2 편광판(700)에 의하여 차광되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편광판(700)을 통과하는 상기 측면광(OL)을 시인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빛샘(이하, 측면 빛샘)을 방지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명암비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측면광(OL)이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 및 상기 A 플레이트(810)를 통과 할 때, 푸엥카레 구에서 어떠한 경로(이하, 편광 경로)를 따라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가 상기 소거점, 즉 상기 제4 지점(P4)에 도달하느냐가 상기 측면 빛샘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편광 경로는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 및 상기 A 플레이트(810)의 위상 지연값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측면 빛샘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 및 상기 A 플레이트(810)의 위상 지연값을 설계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의 두께 위상 지연값이 190nm 내지 210nm이고, 상기 A 플레이트(810)의 면내 위상 지연값은 120nm 내지 150nm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편광 경로를 따라 상기 측면광(OL)의 편광 상태가 변하면 후술할 바와 같이(도 7a 및 도 7b 참조) 명암비 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산란시킬 수 있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 상기 컬럼 스페이서(CS), 상기 블랙 매트릭스(BM), 상기 컬러 필터(CF)와 같은 구조물들은 상기 어레이 기판(410)에 배치되고 상기 광의 위상을 지연시켜 상기 광의 편광을 변화 시킬 수 있는 위상차 필름(800)을 상기 대향 기판(420)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구조물들에 의한 원편광된 광의 산란을 억제시킨다. 그에 따라, 원편광된 광의 산란에 의한 빛샘의 양을 제거 시킬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패널(400)의 명암비를 더욱 개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상기 구조물들 및 상기 제1 편광판(600) 사이에는 상기 제1 편광판(600)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방향(D1)으로 선편광된 광의 위상을 지연시켜 선편광을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을 형성시키는 구성(예를 들어 위상차 필름) 이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조물들에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선편광된 광만이 도달하며 원편광된 광은 도달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선편광된 광의 산란에 의한 빛샘만이 발생하며, 상기 원편광된 광의 산란에 의한 빛샘은 억제된다.
상기 선편광된 광의 산란에 의한 빛샘의 양 보다, 원편광된 광의 산란에 의한 빛샘의 양이 더 크며, 이러한 원편광된 광의 산란에 의한 빛샘은 방지되므로,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명암비가 개선된다.
도 7a는 대조군의 명암비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다.
도 7a 및 도 7b는 방위각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 특성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각 등고선의 값은 해당 방위각 및 경사각에서 액정표시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인하는 경우, 시인되는 광의 양, 즉 측면 빛샘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등고선의 값이 낮을수록 적은 양의 측면 빛샘이 시인되는 것이므로, 명암비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a 및 도 7b의 동심원에 대응되는 각도는 상기 측면 빛샘이 측정된 경사각을 나타내며, 상기 경사각은 0도에서 90도 까지 변화되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의 그래프에서 임의의 점이 x축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측면 빛샘이 측정된 방위각을 나타내며, 상기 방위각은 0도에서 360도까지 변화되었다.
도 7a는 대조군의 명암비 특성의 시뮬레이션 값을 나타낸다. 상기 대조군은 면내 위상 지연값이 65nm이며 두께 위상 지연값이 180nm인 이축성 필름 1매와 두께 위상 지연값이 90nm인 네거티브 C 플레이트를 구비한 기존의 위상차 필름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이다. 상기 대조군의 명암비 특성을 보면, 방위각이 0, 90, 180, 및 270도 인 경우에는 측면 빛샘의 양이 적으나, 경사각이 약 65도이고, 방위각이 65, 115, 245, 및 295도 인 경우에는 측면 빛샘의 양이 많다. 상기 대조군의 측면 빛샘은 경사각이 65도 이고 방위각이 65도 인 경우 제1 최대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최대값은 0.68 cd/m2 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 특성의 시뮬레이션 값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면내 위상 지연 값이 130nm인 A 플레이트 및 두께 위상 지연값이 200nm인 네거티브 C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실시예의 명암비를 보면, 방위각이 0, 45, 90, 135, 180, 225, 270, 및 315도에서 측면 빛샘의 양의 적다. 또한, 경사각이 약 65도이고 방위각이 20, 70, 160, 200, 290, 및 340인 경우 측면 빛샘의 양이 크다. 상기 제2 실시예에의 측면 빛샘은 경사각이 약 65도 이고, 방위각이 70에서 제2 최대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최대값은 0.33이다.
그러나 상기 제2 최대값은 상기 제1 최대값보다 현저하게 작다. 상기 제2 최대값은 상기 제1 최대값에 비해 약,
Figure 112013116083771-pat00003
정도로 측면 빛샘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인용부호 중 도 1 내지 도 6의 인용부호와 동일한 인용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액정표시장치(1001)은 도 1 내지 도 6의 액정표시장치(1000)와 비교하여, 상기 A 플레이트(810)를 이축성 필름(830)으로 치환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1001)는 위상차 필름(801)을 포함하며, 상기 위상차 필름(801)은 상기 이축성 필름(830)을 포함한다.
상기 이축성 필름(830)은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및 상기 제2 편광층(710) 사이에 개재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축성 필름(830)의 배치는 변형되어 실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축성 필름(830)은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축성 필름(83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굴절률을 제7 굴절률(n7)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굴절률을 제8 굴절률(n8), 상기 제3 방향(D3)으로의 굴절률을 제9 굴절률(n9)이라 정의 할 때, 상기 제7 내지 제9 굴절률(n7~n9)은 상기 아래의 수학식 3을 만족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13116083771-pat00004
상기 이축성 필름 (830)의 면내 위상 지연값은 120nm 내지 150nm이며, 두께 위상 지연값은 60nm 내지 80nm이다.
상기 이축성 필름(830)은 예를 들어,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01)를 사용자가 측면 시인 하는 경우, 상기 액정표시장치(1001)를 통과하는 광의 편광상태의 변화는 도 6에서 설명한 편광상태의 변화와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장치(1001)가 상기 암 상태인 경우, 상기 이축성 필름(830) 및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는 상기 측면광(OL)의 편광상태를 조절하여, 상기 측면광(OL)이 상기 제2 편광판(700)에 의하여 차광되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편광판(700)을 통과하는 상기 측면광(OL)을 시인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측면 빛샘을 방지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액정표시장치(1001)의 명암비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820)의 두께 위상 지연값이 190nm 내지 210nm이고, 상기 이축성 필름(830)의 면내 위상 지연값은 120nm 내지 150nm이며, 상기 이축성 필름(830)의 두께 위상 지연값이 60nm 내지 80nm 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편광 경로를 따라 상기 측면광(OL)의 편광 상태가 변하면 후술할 바와 같이(도 9a 및 도9b 참조) 명암비 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9a는 대조군의 명암비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 특성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다.
도 9a의 대조군은 도 7a의 대조군과 동일하므로, 9a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 특성의 시뮬레이션 값을 나타낸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면내 위상 지연 값이 145nm이며, 두께 위상 지연값은 60nm인 이축성 필름 및 두께 위상 지연값이 210nm인 네거티브 C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명암비를 보면, 방위각이 0, 50, 90, 130, 230, 270, 및 310도에서 측면 빛샘의 양의 값이 작다. 또한, 경사각이 약 65도이고 방위각이 20, 70, 160, 200, 250, 290, 및 340인 경우 측면 빛샘의 양이 크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측면 빛샘은 경사각이 약 65도이고 방위각이 20도에서 제3 최대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3 최대값은 0.325이다.
그러나 상기 제3 최대값은 상기 제1 최대값보다 현저하게 작다. 상기 제3 최대값은 상기 제1 최대값에 비해 약,
Figure 112013116083771-pat00005
정도로 측면 빛샘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축성 필름의 면내 위상 지연값을 120 내지 150nm로, 두께 위상 지연값을 60nm 내지 80nm로 최적화 하고, 두께 위상 지연값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의 면내 위상 지연값을 240 내지 300nm로 최적화 시켜 위상차 필름을 액정표시장치에 적용시키는 경우, 기존의 위상차 필름을 적용시킨 경우보다 액정표시장치의 명암비가 향상된다. 즉, 위와 같은 위상 지연값에 따른 편광 경로를 따라 광의 편광상태가 변하는 경우 측면 빛샘의 양을 현저하게 억제 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액정표시장치 100: 타이밍 컨트롤러
200: 게이트 드라이버 300: 데이터 드라이버
400: 액정표시패널 500: 백라이트 유닛
600: 제1 편광판 700: 제2 편광판
800: 위상차 필름

Claims (16)

  1.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는 대향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 및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수직 배향된 액정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어레이 기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제1 투과축을 포함하는 제1 편광판;
    상기 대향 기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투과축과 수직하는 제2 투과축을 포함하는 제2 편광판;
    상기 제2 편광판 및 상기 액정층 사이에 구비되며, 120nm 내지 150nm의 면내 위상 지연값을 가지며, 240nm 내지 300nm의 두께 위상 지연값을 갖는 위상차 필름; 및
    상기 제1 편광판 측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표시면에 수직한 정면광 및 상기 표시면에 경사진 측면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상기 면내 위상 지연값 및 상기 두께 위상 지연값은 암상태에서 상기 제2 편광판으로 입사되는 상기 측면광의 편광 상태가 상기 제2 편광판의 흡수축과 평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A 플레이트 및 네거티브 C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A 플레이트의 면내 위상 지연값은 120nm 내지 150nm이며,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 위상 지연값은 190nm 내지 2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A 플레이트는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는 상기 A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A 플레이트 및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이축성 필름 및 네거티브 C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성 필름의 면내 위상 지연값은 120nm 내지 150nm이고, 두께 위상 지연값은 60nm 내지 80nm이며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 위상 지연값은 190nm 내지 2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는 상기 이축성 필름 및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성 필름은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성 필름 및 상기 네거티브 C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은 제로 리타더(zero-retar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기판은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기판은 광을 차광하는 차광물질로 이루어진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기판은 컬럼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스페이서는 상기 차광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30158437A 2013-12-18 2013-12-18 액정표시장치 Active KR102149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37A KR102149421B1 (ko) 2013-12-18 2013-12-18 액정표시장치
US14/303,248 US9753329B2 (en) 2013-12-18 2014-06-12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37A KR102149421B1 (ko) 2013-12-18 2013-12-1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414A KR20150071414A (ko) 2015-06-26
KR102149421B1 true KR102149421B1 (ko) 2020-08-31

Family

ID=5336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437A Active KR102149421B1 (ko) 2013-12-18 2013-12-1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53329B2 (ko)
KR (1) KR102149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78199A1 (en) * 2014-06-25 2015-12-3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optical compensation method applied in liquid crystal display
CN104035234B (zh) * 2014-06-25 2016-06-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光学补偿方法
TWI698688B (zh) * 2018-06-05 2020-07-1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器
JP7262720B2 (ja) * 2018-11-02 2023-04-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円偏光板
CN115268148B (zh) * 2022-08-19 2023-11-14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514A (ja) * 2007-01-09 2008-07-24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855A (ja) * 2002-05-01 2003-11-14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KR100462326B1 (ko) * 2003-01-28 2004-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네가티브 보상필름을 갖는 수직배향 액정표시장치
JP4907881B2 (ja) 2004-09-09 2012-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組成物、光学補償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WO2006095518A1 (ja) 2005-03-07 2006-09-14 Nitto Denko Corporation 液晶パネル、液晶テレビ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251050A (ja) 2005-03-08 2006-09-2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素子
JP4723590B2 (ja) 2005-03-10 2011-07-1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a‐フィルムと+c‐フィルムとを用いた広視野角補償フィルムを有する垂直配向の液晶表示装置
JP4153945B2 (ja) * 2005-11-28 2008-09-2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7898628B2 (en) * 2007-08-29 2011-03-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508543B1 (ko) 2008-11-24 2015-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1029287B1 (ko) * 2008-12-03 2011-04-18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108071B1 (ko) 2009-01-16 2012-01-3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의 에이-플레이트와 음의 씨-플레이트를 보상필름으로 사용하는 광시야각형 수직정렬 액정셀을 위한 광학구조
KR101319664B1 (ko) * 2009-02-13 2013-10-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광학체, 광학 필름, 그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적층 광학체의 제조 방법
KR101211745B1 (ko) * 2009-06-24 2012-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604650B1 (ko) * 2009-10-27 2016-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KR20120123840A (ko) 2011-05-02 2012-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30110915A (ko) 2012-03-30 201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101794B1 (ko) 2013-07-17 2020-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514A (ja) * 2007-01-09 2008-07-24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8762A1 (en) 2015-06-18
US9753329B2 (en) 2017-09-05
KR20150071414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7057B2 (en) Display device
CN107407833B (zh) 镜面显示器
US920779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function
TWI437325B (zh) 透明液晶顯示裝置
TWI569064B (zh) 顯示器及電子單元
US10845648B2 (en) Switching mirror panel and switching mirror device
KR102191082B1 (ko)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인-플레인 스위칭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KR102149421B1 (ko) 액정표시장치
US10871666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viewing angle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linear polarizer, an optically anisotropic layer, a viewing angle control cell, and a second linear polarizer
CN101149539A (zh) 液晶显示装置
TWI645236B (zh) 液晶顯示面板
US2019015508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0422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010042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5107501A (ja) 液晶表示装置
CN101750817B (zh) 显示图像的装置和方法
US10656467B2 (en) Liquid crystal module
KR20130110915A (ko) 액정 표시 장치
TWI610096B (zh) 液晶顯示裝置及抬頭顯示器裝置
KR20160085970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509173B1 (ko)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839332B1 (ko) 광시야각 액정표시소자
JP2007334147A (ja) 液晶表示装置
WO2025030030A2 (en) Privacy displays
KR20120026922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