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1794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794B1
KR102101794B1 KR1020130084330A KR20130084330A KR102101794B1 KR 102101794 B1 KR102101794 B1 KR 102101794B1 KR 1020130084330 A KR1020130084330 A KR 1020130084330A KR 20130084330 A KR20130084330 A KR 20130084330A KR 102101794 B1 KR102101794 B1 KR 102101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ompensation film
substr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042A (ko
Inventor
김지훈
김광현
김대원
박승범
변병훈
이승희
장윤
신나영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794B1/ko
Priority to US14/160,055 priority patent/US9513509B2/en
Publication of KR2015001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7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3Number of plates being 3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5Single plate on one side of the LC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6Two plates on one side of the LC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12Biaxial compens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는 색필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 상기 제1 편광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보상 필름, 상기 제2 기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보상 필름, 상기 제2 보상 필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 보상 필름, 및 상기 제3 보상 필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상 필름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negative C-plate)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상 필름은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갖는 제1 기판, 제1 기판과 대향하며 공통 전극을 갖는 제2 기판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층 내의 액정들은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수직 배향(vertical alignment, VA)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을 때,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블랙 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때 여러 계조의 영상을 구현한다.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때, 화소 전극 또는 공통 전극에 대한 액정층 내의 액정들의 각도는 90도보다 작게 배열되면서 점차 밝아지는 영상을 구현한다. 액정들이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액정 표시 패널의 정면으로 광이 입사하는 경우에는 휘도가 낮은 우수한 블랙 영상이 표시되지만, 액정 표시 패널의 측면으로 광이 입사하는 경우에는 정면에 비하여 블랙 영상의 휘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는 액정 표시 패널의 측면으로 진행하는 광은 액정 표시 패널을 비스듬히 통과하기 때문에 정면으로 진행하는 광에 비해서 액정들에 의해 더 많은 위상 지연을 겪고, 박막 트랜지스터와 색필터를 통과할 때 빛의 산란이 일어나기 때문에 편광 상태가 변화하여 빛 샘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수직 배향 모드로 동작되는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블랙 영상의 휘도가 높기 때문에 명암비(Contrast Ratio)가 낮은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수직 배향 모드 액정 표시 장치의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는 색필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 상기 제1 편광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보상 필름, 상기 제2 기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보상 필름, 상기 제2 보상 필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 보상 필름, 및 상기 제3 보상 필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상 필름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negative C-plate)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상 필름은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축성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150nm 내지 230nm일 수 있다.
상기 이축성 필름의 면내 위상 지연값(Ro)은 45nm 내지 75nm일 수 있다.
상기 이축성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180nm이고, 면내 위상 지연값(Ro)은 65nm일 수 있다.
상기 네거티브 C-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40nm 내지 120nm일 수 있다.
상기 네거티브 C-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90nm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상 필름은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지연층의 면내 위상 지연값(Ro)은 0이고,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0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상 필름 내지 상기 제3 보상 필름은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계열, 및 아크릴 계열의 고분자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계열의 고분자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기판 위에 위치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수직 전계에 의하여 상기 액정층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간격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재 및 상기 차광 부재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격재와 상기 차광 부재는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색필터 및 차광 부재가 하부 표시판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에서 최적의 광학 설계를 통해 블랙 영상의 휘도를 최소화하여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빛의 경로에 따른 편광 상태를 나타내는 뽀앙카레 구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6은 비교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방위각에 따른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하부 표시판(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광학 유닛(10), 및 상부 표시판(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광학 유닛(20)을 포함한다. 제1 광학 유닛(10)은 제1 보상 필름(12) 및 제1 편광판(15)을 포함하고, 제2 광학 유닛(20)은 제2 보상 필름(22), 제3 보상 필름(23), 및 제2 편광판(25)을 포함한다.
하부 표시판(100)은 제1 기판(110), 제1 기판(110)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선(121), 게이트선(121)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140),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154), 반도체층(154) 위에 위치하는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 위에 위치하고,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을 포함하는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180), 보호막(180) 위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191), 화소 전극(191) 위에 위치하는 색필터(230)를 포함한다. 색필터(230)는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달리 화소 전극(191)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색필터(230) 위에 차광 부재(220)가 위치한다. 차광 부재(220)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라고도 하며 화소 전극(191) 사이의 빛 샘을 막는다. 차광 부재(220)는 게이트선(121) 및 데이터선(171)에 대응하는 부분과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이웃하는 색필터(230) 사이에 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는 하부 표시판(100)에 위치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색필터(230)는 하부 표시판(100)에 위치하고, 차광 부재는 상부 표시판(200)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부 표시판(200)은 제2 기판(210) 위에 위치하는 덮개막(250), 덮개막(250) 위에 위치하는 공통 전극(270)을 포함한다. 공통 전극(27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공통 전압을 인가 받는다. 덮개막(250)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표시판(200)은 패턴 형상의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산란 요소가 완전히 제거되어 정면에서의 산란 빛 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을 더 포함한다. 또한, 액정층(3)의 셀 갭을 유지하는 간격재(320)가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사이에 위치한다. 간격재(320)는 차광 부재(22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간격재(320)와 차광 부재(220)가 반드시 동시에 그리고 동일 공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물질 또는 다른 공정 단계에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173), 드레인 전극(175)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형성하고,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화소 전극(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화소 전극(191)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전압들을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통해 인가 받는다.
상기 액정층(3)은 수직 배향(vertical alignment)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층(3)의 액정들은 제1 기판(110)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면, 액정층(3)의 액정들은 제1 기판(110) 표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전기장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기울어지는 각도가 커져 궁극적으로는 제1 기판(110) 표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1 광학 유닛(10)은 하부 표시판(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15), 제1 편광판(1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보상 필름(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상 필름(12)은 위상 지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편광판(15)의 하부에 배치된 광원(BU)에서 발생된 광은 제1 보상 필름(12) 및 제1 편광판(15)을 투과하여 하부 표시판(100)으로 입사한다.
제2 광학 유닛(20)은 상부 표시판(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보상 필름(22), 제2 보상 필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 보상 필름(23), 및 제3 보상 필름(23)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2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상 필름(22)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negative C-plate)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3 보상 필름(23)은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상 필름은 각각 x, y, z축 방향의 굴절율(nx,ny,nz) 값을 갖고, 네거티브 C-플레이트는 nx=ny>nz의 굴절률 관계를 만족하며, 이축성 필름은 nx?ny?nz의 굴절률 관계를 만족한다. 그리고, 면내 위상 지연값(Ro)과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각각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하여 정의된 값이며, d는 보상 필름의 두께이다.
[수학식 1]
Ro= (nx-ny)*d
[수학식 2]
Rth = ((nx+ny)/2- nz)*d
제3 보상 필름(23)이 이축성 필름으로 이루어질 때, 이축성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150nm 내지 230nm이고, 이축성 필름의 면내 위상 지연값(Ro)은 45nm 내지 75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축성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180nm이고, 면내 위상 지연값(Ro)은 65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보상 필름(22)이 네거티브 C-플레이트로 이루어질 때, 네거티브 C-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40nm 내지 12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네거티브 C-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90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보상 필름(12)이 위상 지연층으로 이루어질 때, 면내 위상 지연값(Ro)이 0이고,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상 필름(12) 및 제2 보상 필름(22)은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계열, 및 아크릴 계열의 고분자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계열의 고분자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표시판(100), 액정층(3), 상부 표시판(200)을 차례로 투과한 광은 제2 광학 유닛(20)을 통과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통과하는 광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빛의 경로에 따른 편광 상태를 나타내는 뽀앙카레 구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1 광학 유닛(10) 하부에 위치하는 광원(미도시)에서 발생한 빛(L1)이 제1 광학 유닛(10)을 통과한다. 이 때, 제1 보상 필름(12)의 위상차가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뽀앙카레 구면상 편광 상태는 거의 선편광 상태에 가깝다. 제1 광학 유닛(10)을 통과한 빛은 하부 표시판(100)으로 입사하고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색필터(230)를 만나 산란(L2, L3)이 일어난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의한 산란(L2) 및 색필터(230)에 의한 산란(L3)은 선편광 상태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빛 샘이 최소화된다. 추가적으로 제1 광학 유닛(10)을 통과한 빛이 차광 부재(220)를 만나 산란이 일어날 수 있으며 산란 형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색필터(230)에서 일어나는 산란 형태와 유사하다. 하부 표시판(100)을 통과한 빛이 액정층(3)을 통과하면서 뽀앙카레 구면 상 편광 상태가 ?을 따라 이동하여 북극점(N)에 매우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액정층(3)을 통과한 빛은 상부 표시판(200)에 입사하고, 상부 표시판(200)을 통과한 빛은 제2 보상 필름(22)을 통과하면서 뽀앙카레 구면상 편광 상태가 ?를 따라 이동하여, ?의 경로와 반대방향으로 조금 내려오게 된다. 제2 보상 필름(22)을 통과한 빛은 제3 보상 필름(23)을 통과하면서 뽀앙카레 구면상 편광 상태가 ③을 따라 이동하여 뽀앙카레 구면의 적도면(EP)에 위치하는 소거 포인트(Ex-point)에 도달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하부 표시판(100)에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가 위치하는 구조에서 제1 편광판(15)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보상 필름(12)을 면내 위상 지연값(Ro)이 0이고,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0에 가까운 위상 지연층으로 형성하고, 상부 표시판(200)과 제2 편광판(25) 사이에 배치된 제2 보상 필름(22) 및 제3 보상 필름(23)을 각각 네거티브 C-플레이트(negative C-plate)와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으로 형성하는 광학 설계를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에서 발생하는 빛의 산란에 따른 빛 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네거티브 C-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 보상 필름을 생략하고, 이축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3 보상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을 더 높이는 경우 파장별 분산 효과가 커서 서로 다른 색을 나타내는 색필터(230)를 통과하는 광을 모두 소거 포인트(Ex-poing)로 보내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축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3 보상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을 상대적으로 낮추고, 역분산 효과를 가지는 네거티브 C-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 보상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파장의 분산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측면의 명암비(CR, contrast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명암비를 비교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명암비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6은 비교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방위각에 따른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보상 필름(22)이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90nm인 네거티브 C-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제3 보상 필름(23)이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180이고, 면내 위상 지연값(Ro)이 65인 이축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가장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은 방위각(azimuth angle)이 295도이고, 편각(polar angle)이 65도인 지점이며, 0.68cd/m2의 휘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보상 필름(22)이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120nm인 네거티브 C-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제3 보상 필름(23)이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150이고, 면내 위상 지연값(Ro)이 65인 이축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가장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은 방위각(azimuth angle)이 55도이고, 편각(polar angle)이 65도인 지점이며, 0.89cd/m2의 휘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보상 필름(22)이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40nm인 네거티브 C-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제3 보상 필름(23)이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230이고, 면내 위상 지연값(Ro)이 65인 이축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 가장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은 방위각(azimuth angle)이 65도이고, 편각(polar angle)이 65도인 지점이며, 0.85cd/m2의 휘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비교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로써, 제2 보상 필름은 포함하지 않고, 제3 보상 필름(23)은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270이고, 면내 위상 지연값(Ro)이 65인 이축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가장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은 방위각(azimuth angle)이 65도이고, 편각(polar angle)이 65도인 지점이며, 1.24cd/m2의 휘도를 나타낸다.
도 6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보상 필름의 위상차를 크게 하고, 제3 보상 필름을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 블랙 상태에서 가장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은 1.24cd/m2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도 3 내지 도 5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블랙 상태에서 가장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은 0.68cd/m2 내지 0.89cd/m2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블랙 상태에서 매우 낮은 휘도를 보이고 있는 바 빛 샘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블랙 상태의 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각 방위각에서 편각에 따른 블랙 상태의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 경우에서 편각이 0도에서 65도로 갈수록 블랙 상태의 휘도가 증가하고, 65도에서 90도로 갈수록 다시 감소한다. 모든 편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비교예에 대해 블랙 상태에서 낮은 휘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블랙 상태의 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보상 필름(22)이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90nm인 네거티브 C-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제3 보상 필름(23)이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이 180이고, 면내 위상 지연값(Ro)이 65인 이축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블랙 상태에서 가장 낮은 휘도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제1 광학 유닛 12: 제1 보상 필름
15: 제1 편광판 20: 제2 광학 유닛
22: 제2 보상 필름 23: 제3 보상 필름
25: 제2 편광판 100: 하부 표시판
110: 제1 기판 200: 상부 표시판
210: 제2 기판 220: 차광 부재
230: 색필터 230: 색필터

Claims (15)

  1.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위치하는 색필터,
    상기 제1 기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
    상기 제1 편광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보상 필름,
    상기 제2 기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보상 필름,
    상기 제2 보상 필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 보상 필름, 및
    상기 제3 보상 필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상 필름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negative C-plate)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상 필름은 이축성 필름(biaxial film)을 포함하고,
    상기 이축성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150nm 내지 230nm이고,
    상기 이축성 필름의 면내 위상 지연값(Ro)은 45nm 내지 75nm이고,
    상기 네거티브 C-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40nm 내지 120nm인,
    액정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성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180nm이고, 면내 위상 지연값(Ro)은 65nm인,
    액정 표시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 C-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90nm인,
    액정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필름은 위상 지연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층의 면내 위상 지연값(Ro)은 0이고, 두께 방향 위상 지연값(Rth)은 0인,
    액정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필름 내지 상기 제3 보상 필름은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계열, 및 아크릴 계열의 고분자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계열의 고분자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기판 위에 위치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수직 전계에 의하여 상기 액정층이 배열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위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간격재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 및 상기 차광 부재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와 상기 차광 부재는 동시에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30084330A 2013-07-17 2013-07-17 액정 표시 장치 Active KR102101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30A KR102101794B1 (ko) 2013-07-17 2013-07-17 액정 표시 장치
US14/160,055 US9513509B2 (en) 2013-07-17 2014-01-21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30A KR102101794B1 (ko) 2013-07-17 2013-07-17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042A KR20150010042A (ko) 2015-01-28
KR102101794B1 true KR102101794B1 (ko) 2020-04-20

Family

ID=5234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330A Active KR102101794B1 (ko) 2013-07-17 2013-07-17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13509B2 (ko)
KR (1) KR102101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21B1 (ko) 2013-12-18 2020-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10673922B2 (en) * 2014-02-19 2020-06-02 RealCloud Imaging Inc. Cloud based 2D dental imaging system with HTML web browser acquisition
KR20160120837A (ko) 2015-04-08 2016-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4977739B (zh) * 2015-07-17 2018-09-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显示控制装置、显示系统
KR20180063415A (ko) 2016-12-01 2018-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868009B2 (en) 2020-12-28 2024-01-09 Beijing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601B1 (ko) * 1997-05-29 1999-10-1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US6504592B1 (en) * 1999-06-16 2003-01-07 Ne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4197404B2 (ja) * 2001-10-02 2008-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61066B1 (ko) 2004-01-08 2006-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야각이 개선된 수직 배향 액정 표시장치
CN1977192B (zh) * 2004-06-29 2010-05-12 夏普株式会社 相位差片、偏振片、液晶显示装置以及相位差片的设计方法
KR100767210B1 (ko) 2005-07-29 2007-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순화된 구조를 갖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JP4153945B2 (ja) 2005-11-28 2008-09-2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80034545A (ko) * 2006-10-17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203673B2 (en) * 2006-11-17 2012-06-19 Nippon Oil Corporation Elliptical polarizer and vertical alignmen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09036860A (ja) 2007-07-31 2009-0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1197162B1 (ko) 2008-08-27 2012-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 표시 장치
KR20100060091A (ko) 2008-11-27 2010-06-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상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260841B1 (ko) * 2008-12-23 2013-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US9057917B2 (en) * 2010-04-02 2015-06-16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electrode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ssembly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377424B2 (ja) 2010-06-18 2013-12-25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891540B1 (ko) 2010-12-27 2018-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시야각 액정표시소자
KR20120123840A (ko) 2011-05-02 2012-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525996B1 (ko) * 2011-11-14 2015-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KR20130110915A (ko) 2012-03-30 201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2944954B (zh) * 2012-11-21 2015-1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液晶面板的补偿系统及液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2763A1 (en) 2015-01-22
US9513509B2 (en) 2016-12-06
KR20150010042A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7203C (zh) 包括使用正双轴延迟膜的视角补偿膜的面内切换液晶显示器
KR102101794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4215347A (ja) 液晶パネル
JP2014215348A (ja) 液晶パネル
US2012028116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10018776A (ko) 표시장치
US2012003885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90071081A (ko)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TW20100322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0251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N111190305A (zh) 液晶显示装置
US2012024993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tardation compensation
KR20130110915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50293406A1 (en) Single-Layered Biaxial Compensation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Panels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s
TWI610096B (zh) 液晶顯示裝置及抬頭顯示器裝置
KR2016008597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00000793A (ko)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JP2008225083A (ja) 液晶表示装置
KR101948827B1 (ko) 투명 액정표시장치
JP2009031437A (ja) 液晶表示パネル
KR20090070053A (ko)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US20150286083A1 (en) Dual-layered biaxial compensation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panels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s
KR20130033618A (ko) 투명 액정표시장치
JP5650911B2 (ja) 液晶表示素子
KR101113782B1 (ko) 액정표시장치용 광보상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1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