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7643B1 -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643B1
KR102147643B1 KR1020190006506A KR20190006506A KR102147643B1 KR 102147643 B1 KR102147643 B1 KR 102147643B1 KR 1020190006506 A KR1020190006506 A KR 1020190006506A KR 20190006506 A KR20190006506 A KR 20190006506A KR 102147643 B1 KR102147643 B1 KR 102147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
cover plate
cavity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804A (ko
Inventor
윤봉남
Original Assignee
윤봉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봉남 filed Critical 윤봉남
Priority to KR102019000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6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64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커버플레이트를 사출 성형시 수지 흐름의 구멍, 즉 노즐에서 용융된 수지가 금형의 캐비티 안쪽으로 분출되는 통로를 플레이트 중앙으로 설정하여 사출 후 프레스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절단하여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의 외관이 깔끔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도장 등 추가공정 없이 납품 및 판매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향상되고 도장공정이 생략되어 최종품을 제조하는 비용이 절감되고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팅된 커버 플레이트가 제품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사용시 단차, 유격 등에 따른 먼지 쌓이 및 제품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plate for electrical apparatus and Cover plate for electrical apparatus manufacture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커버 플레이트를 사출 성형시 수지 흐름의 구멍 즉, 노즐에서 용융된 수지가 금형의 캐비티 안쪽으로 분출되는 통로를 플레이트 중앙으로 설정하여 사출 후 프레스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절단하여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는 터널게이트 또는 사이드게이트가 형성된 사출금형에 플라스틱 등의 수지를 녹여 고온과 고압으로 금형 내에서 사출시켜 냉각시킴으로써 커버 플레이트가 생성된다.
하지만 터널게이트, 사이드게이트를 통해 금형에 주입된 수지는 수지의 흐름방향으로 인해 수지가 만나는 부분에 웰드라인과 같은 경계면이 형성된다. 이는 미관상으로 보기좋지 않기 때문에 추가로 도장작업을 통해서 외관을 깔끔한 형태로 만들어 시중으로 납품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는 제조공정 단계가 많을 뿐만 아니라 도장작업으로 인한 비용적, 환경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인 사출공정 시 사이드게이트, 터널게이트 등을 이용하여 사출시 도 8과 같이 웰드라인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로 인해 도장작업 등 추가 공정을 수행해야하므로 공정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공보 제10-0330669호 (2002.03.18) 특허등록공보 제10-1710777호 (2017.02.21)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 성형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의 외관이 깔끔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도장 등 추가공정 없이 납품 및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프레스가공방식을 이용하여 가공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 및 심미적인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출재료(10)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 사출재료가 주입될 캐비티(130)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130)로 사출재료가 투입되기 위한 통로인 주입부(111)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금형(100)을 장착하는 금형장착단계(s2); 상기 금형장착단계(s2)를 통해 금형(100)이 장착된 후 상기 금형(100)의 캐비티(130)로 사출재료(10)가 사출될 조건인 사출재료의 투입 속도, 압력, 사출시간, 온도를 포함하는 사출조건을 설정하는 성형조건설정단계(s3); 상기 성형조건설정단계(s3)를 통해 설정된 조건대로 금형장착단계(s2)의 금형(100)의 주입부(111)로 사출재료(10)를 투입시키어 사출물(20)을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s4); 상기 사출성형단계(s4)를 통해 성형된 사출물(20)의 주입자국(22) 주위를 커팅하여 홀부(21)를 형성하는 커팅단계(s5); 상기 성형조건설정단계(s3)의 사출조건은 사출재료의 투입 속도 10~20 mm/s, 압력 600~700Kg/f, 온도 200~300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성형조건설정단계(s3)의 금형(100)은 사출재료가 주입되기 위한 주입부(111)가 형성되는 제1금형(110)과, 상기 제1금형(110)과 맞물리어 형성되는 제2금형(120)와, 상기 제1금형(110)과 제2금형(120)이 맞물림으로써 형성되되 사출재료가 주입되는 공간으로 제1금형(110)에 형성된 공간인 제1캐비티(130a)와 제2금형(120)에 형성된 공간인 제2캐비티(130b)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캐비티(130)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금형(110)의 주입부(111)는 커팅단계(S5)를 통해 사출물(20)의 표면 일부가 커팅되어 형성되는 홀부(21)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개수의 주입부(111)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사출물(20)의 홀부(21)가 형성될 위치가 결정됨에 따라 주입부(111)에 연결되는 주입장치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출성형단계(s4)는 제1금형(110)의 주입부(111)를 통해 사출재료(10)가 주입된 부분에 주입자국(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팅단계(s5)의 홀부(21)는 사출물(20)의 일측에 공기압 20~40Kg/f, 프레스 기동속도 20~40RPM의 공정 조건을 가진 프레스공정을 통해 사출물(20)의 주입자국(22) 주위가 커팅되어 홀부(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은 사출 성형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의 외관이 깔끔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도장 등 추가공정 없이 납품 및 판매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향상되고 최종품을 제조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스가공방식을 이용하여 가공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금형(100)에 관한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사출성형단계(s4)를 실시한 예시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버 플레이트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종래의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커버 플레이트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이하, 커버 플레이트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커버 플레이트는 사출될 때 생기는 웰드라인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추가 도장없이 납품 및 판매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버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로, 본 발명의 커버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재료준비단계(s1), 금형장착단계(s2), 성형조건설정단계(s3), 사출성형단계(s4), 커팅단계(s5)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s1) 재료준비단계
재료준비단계(s1)는 사출재료(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출재료는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재료로 준비한다.
예를 들어, 사출재료로 열가소성 플라스팅의 일종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사출재료로 ABS 재질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BS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C) 대비 성형성이 우수하며, 온도변화에 따른 황변현상이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물성이 다른 재질 대비 우수하기 때문에 난연제 추가 및 UV안정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열에 강한 특징과 장기적으로 사용시 변색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s2) 금형장착단계
금형장착단계(s2)는 사출재료가 주입될 캐비티(130)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주입부(111)가 형성되는 금형(100)을 장착하는 단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금형(100)에 관한 사진으로, 상기 금형(100)은 제1금형(110)과 제2금형(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금형(110)은 사출재료가 주입되기 위한 주입부(111)가 형성되고, 제2금형(120)은 상기 제1금형(110)과 맞물리어 형성된다.
제1금형(110)의 주입부(111)는 하기 커팅단계(S5)를 통해 사출물(20)의 표면 일부를 커팅할 때 커팅되어 형성되는 홀부(21)의 중앙을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주입부(111)가 형성되어 사출재료가 주입되도록 한다.
캐비티(130)는 상기 제1금형(110)과 제2금형(120)이 맞물림으로써 형성되되 사출재료가 주입되는 공간이다. 편의상 제1금형(110)에 형성된 공간을 제1캐비티(130a)라 명명하고 제2금형(120)에 형성된 공간을 제2캐비티(130b)라 명명한다.
상기 금형(100)에 사출재료가 주입되는 실시예는 하기 사출성형단계(s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3) 성형조건설정단계
성형조건설정단계(s3)는 상기 금형장착단계(s2)를 통해 금형(100)이 장착된 후 사출재료(10)가 사출될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성형조건설정단계(s3)를 통해 설정하는 조건들은 사출재료가 투입되는 속도, 압력, 사출시간, 온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성형조건설정단계(s3)는 사출재료(10)가 사출될 조건을 설정하는 것으로, 사출온도 200~300도, 사출압력 600~700Kg/f, 사출속도 10~20 mm/s 등을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출 온도의 경우,
1) 노즐 히터 온도: 220도
2) 수지 믹싱 노즐 온도(2개): 215도, 216도
3) 원재료 빨아들이는 노즐 온도: 205도
이다.
즉, 1)번은 노즐 구멍을 통해 금형 속으로 수지를 쏘아 넣는 범위로써, 노즐 구멍 2~6 파이로 수지를 쏘아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노즐히터는 높은 온도로 설정하여 수지를 물처럼 용융시켜 금형 내 제품 성형시 낮은 압력으로 제품을 성형(생산)함으로써 과다 압력에 따른 버(burr)나 금형, 장비 스트레스 감소하여 장기적인 안정성이 좋다.
2)번의 경우, 노즐 안에 있는 수지를 믹싱하는 구간의 온도로써 2개의 노즐 안에 있는 수지를 믹싱하여 노즐히터로 보낼 수 있다.
3)번의 경우 수지 호퍼에서 노즐로 수지가 처음 들어오는 구간으로, 원재료(수지)를 빨아들이는 구간이다.
또한 사출압력의 경우 645Kg/f, 사출속도의 경우 15mm/s로 설정함으로 불량을 사출성형단계(s4)에서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보조압력의 경우 10mm/s의 속도에서 400Kg/f로 추가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s4) 사출성형단계
사출성형단계(s4)는 상기 성형조건설정단계(s3)를 통해 설정된 조건대로 금형장착단계의 금형(100)의 주입부(111)로 사출재료(10)를 투입시키어 사출물(20)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출성형단계(s4)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금형(100)의 주입부(111)로 사출재료(10)가 투입되는 모습이다. 도 5(a)는 도 4를 상방에서 바라봤을 때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도시한 도면으로, 사출물(20)의 홀부(21)가 형성될 위치(21a)의 중심에 주입부(111)가 위치하며, 주입부(111)로 사출재료(10)를 투입하여 사출물(20)을 형성시킨다.
도 5(b)는 사출물(20)의 홀부(21)가 도 5(a)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5(b)와 같이 홀부(21)의 위치(21a)를 바꾸기 위해 금형(100)의 주입부(111)의 위치도 바뀌게 된다.
또한 상기 사출성형단계(s4)를 통해 성형된 사출물(20)은 주입부(111)를 통해 주입된 부분의 주변에 주입자국(22)이 남게 된다.
s5) 커팅단계
커팅단계(s5)는 상기 사출성형단계(s4)를 통해 성형된 사출물(20)의 일부 표면을 커팅하는 단계이다. 즉, 사출물(20)의 주입자국(22) 주위를 커팅함으로써 홀부(21)를 형성하며, 주입자국(22)이 위치한 부분이 완전히 커팅되어 깨끗한 부분만 남게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지의 흐름자국(웰드라인) 등이 제거됨으로 상품성이 우수한 제품이 제조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출물(20)의 홀부(21)를 커팅한 커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팅단계(s5)는 프레스공정을 이용하여 사출물(20)에 홀부(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홀부(21)의 테두리가 깔끔하게 커팅될 수 있다.
프레스공정 시 공정 조건은 공기압을 20~40Kg/f, 프레스 기동속도 20~40RPM이며, 바람직하게는 공기압 30Kg/f, 프레스 기동속도 30RPM의 공정 조건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수치를 벗어나게 되면 제품 간 단차, 즉 플라스틱 제품 커팅 시 칼날에 따른 밀림 현상으로 커팅면이 계단처럼 단이 생기는 현상과 버(burr)가 과다하게 발생하거나 제품이 제대로 커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금형(200)에 소정 개수의 주입부(111)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주입부(111)가 소정 갯수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물(20)의 홀부(21)가 형성될 위치가 결정됨에 따라 주입부(111)에 연결되는 주입장치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사출재료
20 사출물
21 홀부
22 주입자국
100 금형
110 제1금형
111 주입부
120 제2금형

Claims (3)

  1. 사출재료(10)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
    사출재료가 주입될 캐비티(130)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130)로 사출재료가 투입되기 위한 통로인 주입부(111)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금형(100)을 장착하는 금형장착단계(s2);
    상기 금형장착단계(s2)를 통해 금형(100)이 장착된 후 상기 금형(100)의 캐비티(130)로 사출재료(10)가 사출될 조건인 사출재료의 투입 속도, 압력, 사출시간, 온도를 포함하는 사출조건을 설정하는 성형조건설정단계(s3);
    상기 성형조건설정단계(s3)를 통해 설정된 조건대로 금형장착단계(s2)의 금형(100)의 주입부(111)로 사출재료(10)를 투입시키어 사출물(20)을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s4);
    상기 사출성형단계(s4)를 통해 성형된 사출물(20)의 주입자국(22) 주위를 커팅하여 홀부(21)를 형성하는 커팅단계(s5);

    상기 성형조건설정단계(s3)의 사출조건은
    사출재료의 투입 속도 10~20 mm/s, 압력 600~700Kg/f, 온도 200~300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성형조건설정단계(s3)의 금형(100)은
    사출재료가 주입되기 위한 주입부(111)가 형성되는 제1금형(110)과,
    상기 제1금형(110)과 맞물리어 형성되는 제2금형(120)와,
    상기 제1금형(110)과 제2금형(120)이 맞물림으로써 형성되되 사출재료가 주입되는 공간으로 제1금형(110)에 형성된 공간인 제1캐비티(130a)와 제2금형(120)에 형성된 공간인 제2캐비티(130b)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캐비티(130)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금형(110)의 주입부(111)는
    커팅단계(S5)를 통해 사출물(20)의 표면 일부가 커팅되어 형성되는 홀부(21)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개수의 주입부(111)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사출물(20)의 홀부(21)가 형성될 위치가 결정됨에 따라 주입부(111)에 연결되는 주입장치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출성형단계(s4)는 제1금형(110)의 주입부(111)를 통해 사출재료(10)가 주입된 부분에 주입자국(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팅단계(s5)의 홀부(21)는 사출물(20)의 일측에 공기압 20~40Kg/f, 프레스 기동속도 20~40RPM의 공정 조건을 가진 프레스공정을 통해 사출물(20)의 주입자국(22) 주위가 커팅되어 홀부(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6506A 2019-01-18 2019-01-18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 Expired - Fee Related KR10214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506A KR102147643B1 (ko) 2019-01-18 2019-01-18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506A KR102147643B1 (ko) 2019-01-18 2019-01-18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04A KR20200089804A (ko) 2020-07-28
KR102147643B1 true KR102147643B1 (ko) 2020-08-25

Family

ID=7183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506A Expired - Fee Related KR102147643B1 (ko) 2019-01-18 2019-01-18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6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150A (ja) 2003-03-20 2004-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貫通穴を有する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金型並びにその成形方法
JP2007250248A (ja) 2006-03-14 2007-09-27 Toyota Motor Corp シール一体型膜電極接合体製造技術
KR101370848B1 (ko) * 2013-07-08 2014-03-07 주식회사 신성화학 파스너의 제조방법
KR101594801B1 (ko) 2015-04-06 2016-02-18 금능정밀(주) 웰드라인이 없는 제품의 성형 금형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421U (ko) * 1995-08-23 1997-03-27 사출금형구조
KR100330669B1 (ko) 1999-10-25 2002-04-03 김연준 칠보스위치 커버의 제조방법
KR20090094949A (ko) * 2008-03-04 2009-09-09 김현수 사출금형의 주입로 응고물 절단장치
KR101048625B1 (ko) * 2009-11-05 2011-07-12 나라엠앤디(주) 웰드레스 프로세스가 구비된 사출성형금형
KR101710777B1 (ko) 2015-02-26 2017-0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콘센트 커버
KR20180043665A (ko) * 2016-10-20 2018-04-30 대산전자(주) 배터리 커버, 금형 및 금형을 통해 배터리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150A (ja) 2003-03-20 2004-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貫通穴を有する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金型並びにその成形方法
JP2007250248A (ja) 2006-03-14 2007-09-27 Toyota Motor Corp シール一体型膜電極接合体製造技術
KR101370848B1 (ko) * 2013-07-08 2014-03-07 주식회사 신성화학 파스너의 제조방법
KR101594801B1 (ko) 2015-04-06 2016-02-18 금능정밀(주) 웰드라인이 없는 제품의 성형 금형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04A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1039A (en) Synthetic resin layered lens for a vehicle lighting device, method of molding the same and apparatus therefore
TW200724604A (en) Reinforced polyamide moulding materials
EP2531345A1 (en) Thick lens molded with embedded layers of the same resin using a two step injection molding process.
TW200745258A (en)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rticles made therefro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30241188A1 (en) Production method for a splash shield using a continuous extrusion-injection-foaming moulding process
CN102924815A (zh) 一种连续长玻璃纤维增强聚丙烯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47643B1 (ko) 전기장치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장치용 커버플레이트
TW200745259A (en)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rticles made therefrom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8068287B (zh) 一种led用pc材料成型厚壁件光导注塑工艺
DE502007003261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aus mindestens zwei unterschiedlichen Kunststoffen
MX2022007449A (es) Herramienta y método para el moldeo por inyección de una pieza moldeada por inyección en una herramienta.
CN107226957A (zh) 一种抗虎皮纹注塑缺陷的改性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394069A (zh) 包括竖直折断式浇口装置的注射模具以及使用其生产成型制品的方法
JP2011005743A5 (ko)
WO2002038351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folienhinterspritzter kunststoffformteile sowie folienhinterspritzte kunststoffformteile
JPH05301251A (ja) 熱可塑性樹脂の金型内塗装方法
CN106079471B (zh) 硅胶热水袋的制备方法
CN105440625A (zh) 一种车灯灯罩制备工艺
KR20110113313A (ko) 심부패턴을 포함하는 pvc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CN110480935A (zh) 一种汽车顶灯的注塑方法及其模具结构
CN2895025Y (zh) 制作护眼罩的模具结构改进
WO2003016385A1 (fr) Procede de traitement de surface du caoutchouc, procede de production d'articles en caoutchouc, moulages en caoutchouc et procede de production correspondant
CN209320183U (zh) 一种空调底座注塑模具的模芯结构
CN108276657B (zh) 一种高刚性低翘曲的聚丙烯改性塑料及其制备方法
CN207273727U (zh) 双色汽车内饰件的注塑成形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