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535B1 - Device for preventing contraflow of escalator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eventing contraflow of escal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7535B1 KR102147535B1 KR1020190179854A KR20190179854A KR102147535B1 KR 102147535 B1 KR102147535 B1 KR 102147535B1 KR 1020190179854 A KR1020190179854 A KR 1020190179854A KR 20190179854 A KR20190179854 A KR 20190179854A KR 102147535 B1 KR102147535 B1 KR 1021475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escalator
- prevention device
- reverse running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구동체인의 파손이나 에스컬레이터 구동용 감속기어 파손 등에 의해 정격속도 이상으로 과속이 발생되거나 역전 주행상태로 전환되어 운행하는 비상상황 발생 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 정지시키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내부의 터미널 기어축에 구성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부족에 따른 기계실 부품과의 간섭 발생과 공간부족에 의한 설치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 구성을 제동부의 제1투스와 작동부의 제2투스로 구성된 투스클러치 형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클러치가 안내봉 및 안내판으로 복잡하게 구성된 구조를 획기적으로 단순화 하고, 주축 최종단에 속도검출 및 회전방향 검출을 위해 플랜저와 포토센서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에 외부에 별도로 방향속도검출장치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기구 구조 단순화로 인한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조원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투스 및 제2투스의 외측에 복수의 요철부(凹凸部)로 구성되며 일측은 직각, 타측은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제동시는 직각인 면이 맞물려 완벽한 제동을 실행할 수 있으며 정전 시 수리를 위한 수동 운전이 필요한 경우에도 구동모터의 수동핸들을 제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투스가 제1투스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어있어 스탭를 해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도 수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역주행 방지장치의 개방완료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적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정상운행 상태에서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가 개방되지 않고 마찰구동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scalator reverse run that quickly and safely brakes and stops the escalato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overspeed occurs above the rated speed due to damage to the drive chain or damage to the reduction gear for driving the escalator while the escalator is running Provides a preven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by configuring the terminal gear shaft inside the step of the escalator to solve the interference with the machine room parts due to the lack of installation space and the difficulty of installation work due to the lack of space.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 a tooth clutch type consisting of the first tooth of the braking unit and the second tooth of the operating unit, the conventional clutch has a complicated structure consisting of a guide rod and a guide plate, and the speed at the end of the main shaft By applying a flanger and a photosensor for detection and rotation direction detec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due to simplification of the mechanism structure by eliminating the hassle of installing a separate direction speed detection device outside the existing one. 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One side is composed of a right angle and the other side is composed of an inclined surface. Even when manual operation is required, the second tooth can be rotated along the slope of the first tooth by rotating the manual handle of the driving mo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raking direction, so that manual operation is possible from outside without disassembling the staff. Has been. In addition, by applying a switch for detecting the completion of the opening of the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from being opened and friction driving in the normal operating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구동체인의 파손이나 에스컬레이터 구동용 감속기어 파손 등에 의해 정격속도 이상으로 과속이 발생되거나 역전 주행상태로 전환되어 운행하는 비상상황 발생 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 정지시키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overspeed occurs above the rated speed due to damage to a drive chain or a reduction gear for driving an escalator during escalator operation, or is switched to a reverse driving state. It relates to an escalator reverse run prevention device that brakes and stops an escalator quickly and safely when it occurs.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Escalator)는 사람이나 화물이 자동적으로 위아래 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계단 모양의 장치로, 탑승한 계단이 경사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사람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이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 및 백화점과 같은 대중 교통 시설 및 공공시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escalator is a stair-shaped device that allows people or cargo to automatically go up and down to the upper and lower floors, and is a transportation means in which a number of people or cargo is moved while the stairs on board are raised or lowered along a slope. to be. Such escalators are widely used in public transport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such as subways and department stores.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통해 전동체인이 이동하며, 다수의 계단을 경사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에스컬레이터는 한번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며 많은 시간을 운용하기 때문에, 상승 또는 하강 중에 기계적 또는 전자적인 결함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과속발생이나 역주행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1970년부터 건설이 추진되기 시작한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노후화로 인한 에스컬레이터의 피로도 누적으로 인해 감속기 주축절단 및 구동체인의 파손 등으로 인한 역주행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역주행이 발생하는 경우, 탑승객이 에스컬레이터 하부에 몰려 넘어지게 되고 에스컬레이터 하강 시에 감속기 주축절단 및 구동체인의 파손이 일어나면 과속 발생과 함께 탑승객의 대형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In such an escalator, the electric chain moves through a rotating shaft rotated by a drive motor, and a plurality of steps are sequentially moved along an inclined surface to move up or down. Since the escalator rides a large number of people at once and operates a lot of time, speeding or reverse driving may occur due to mechanical or electronic defects or malfunctions during ascent or desc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scalators installed in subway stations where construction began to be promoted in 1970, reverse driving often occurs due to the reduction of the main shaft of the reducer and damage to the drive chain due to the accumulation of fatigue of the escalator due to aging. In this case, when reverse driving occurs, passengers are concentrated under the escalator and fall, and when the reducer main shaft is cut or the drive chain is damaged when the escalator descends, speeding may occur and a large safety accident for the passenger may occur.
이와 같은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 최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동 장치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escalators with various braking devices have recently been installed to prevent the escalator from running in reverse.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의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방지장치'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루프로 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체인(100)의 중간에 결합되며, 상기 스텝체인(100)이 정방향으로 회전 중 정지 시 스텝체인(10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방향 차단기어(200)와, 상기 역방향 차단기어(200)의 이(齒)(210)에 걸리는 걸쇠(300)와, 상기 걸쇠(300)에 힘이 가해질수록 상기 스텝체인(100)을 역방향 차단기어(200)에 밀착시키는 조임부(500)와, 상기 걸쇠(300)에 작용되는 힘으로 조임부(50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is, in'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of
그러나, 상기의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방지장치는 스텝체인에 역주행 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과속 발생 후 작동 시는 충분한 감속에 의한 감속거리를 확보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급정지로 인한 전도발생으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escalator's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is a structure in which a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step chain, and it is a structure that cannot secure a sufficient deceleration distance due to deceleration when operating after overspeed occurs.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secured.
또한, 특허문헌 2의 '에스컬레이터용 완속 제동 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텝체인에 맞물리는 스텝 스프로켓(100)이 구동축(10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04) 회동축에 끼워진 구동체인(103)은 상기 구동스프로켓(102)을 회동시켜 줌으로써 스텝이 구동되도록 하되 상기 구동축(101)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102)과 상기 제동스프로켓(105)에 연동되도록 제동체인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로켓(302)과 상기 종동 스프로켓(302) 및 변속기어(200)의 연결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300)와 상기 변속기어(200)에 의하여 중심축이 회전하는 제동모터(400)와 상기 제동모터(400)의 고정자인 복수개 권선에 연결된 복수개의 스위칭 수단과 선택된 스위칭 수단에 작동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slow braking device for escalator' of
그러나, 상기의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방지장치는 변속기어(200)의 배치가 스텝 진행방향으로 구성되어(실제 제품은 특허의 단열배치가 될수 없으며 다단의 기어 감속배열로 구성되어 진다) 외형이 커질 수밖에 없으며 에스컬레이터의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좁은 기계실에 배치가 되는 경우 기존의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에 의해 설치성이 매우 불합리하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the arrangement of the
그리고, 감속을 위한 제동모터(400)와 콘트롤러의 구성은 일반적인 마찰제동에 비해 원가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합리한 설계 구성이다.And, the configuration of the
그리고, 특허문헌 3의 '에스컬레이터의 완속 제동을 위한 클러치 장치'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에 연동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종동스프로켓(201)과, 클러치판(310) 및 변속기어(200)의 대기어(211)가 같은 고정축(2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종동스프로켓(201)의 측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체결되고, 머리가 종동스프로켓(20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볼트(320)와, 상기 볼트(302)의 머리가 삽입 가능한 요홈(312)이 형성되고, 에스컬레이터의 제동 필요 시 상기 종동스프로켓(201)의 측면으로 이동되어 종동스프로켓(201)과 일체로 회전되는 클러치판(310)과, 상기 대기어(211)의 측면을 관통하여 클러치판(310)의 측면에 고정된 연동부(321)와, 상기 연동부(321)를 밀어서 클러치판(310)이 회전하는 종동스프로켓(201)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작동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clutch device for slow braking of the escalator' of
그러나 상기 에스컬레이터용 완속 제동장치의 클러치 구조는 일반적으로 EN CODE 및 국내 승강기 안전검사 기준(국민안전처 고시 제2016-143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구조 5.4.2.1.2 전자-기계 브레이크에서 규정하는 “브레이크의 정상 개방은 지속적인 전류의 흐름에 의해야 한다”는 규정을 벗어나 설계되어 있다.However, the clutch structure of the escalator slow braking system is generally defined in EN CODE and domestic elevator safety inspection standards (Ministry of Public Safety Notice No. 2016-143) structure of escalator and moving walk 5.4.2.1.2 Electro-mechanical brake It is designed outside of the regulation that “normal opening of the brake must be driven by a continuous current flow”.
이와 같이 종래기술의 동력전달부는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 클러치가 분리되어 있고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자력을 발생시켜 클러치를 작동하는 구성으로 이 경우 만약 자력을 발생해야 하는 클러치 동작부로 연결된 전선이 절단되었거나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단선 또는 소손이되어 작동이 불가한 경우에도 에스컬레이터는 정상상태로 인식하게 되어 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실제 제동력이 필요한 비상시에는 전원공급이 되지않아 제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발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clutch by generating magnetic force when the clutch is disconnected in the absence of power and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is case,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clutch operation unit that must generate magnetic force is cut or the magnetic force Even if the coil that generates is disconnected or burned out and cannot be operated, the escalator is recognized as a normal state and can be operated. In case of an emergency that requires actual braking power, power is not supplied, causing a state in which braking is impossible.
따라서 모든 안전장치의 전기 회로는 개방 중에는 지속적으로 전류가 공급되어야 하는 EN81-20EK의 5.9.2.2.2.3 및 “국내 승강기 안전검사 기준(국민안전처 고시 제2016-143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구조 5.4.2.1.2 전자-기계 브레이크”내용에 위배되는 구조이다.Therefore, 5.9.2.2.2.3 of EN81-20EK and “Korea Elevator Safety Inspection Standard (Notification No. 2016-143 of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of EN81-20EK, in which electric circuits of all safety devices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current during opening, structure of escalators and moving walks. 5.4.2.1.2 It is a structure that violates the content of “electro-mechanical brake”.
이미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내에 역주행 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기계실의 좁은 공간에서도 남은 공간에 제약 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소형화된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며 기존 부품들과의 간섭을 피하고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In the case of installing a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in an already installed escalator,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miniaturized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restrictions on the remaining space even in a narrow space of the machine room, avoiding interference with existing parts and securing sufficient working space. There is a need.
또한, EN CODE 및 국내 승강기 안전검사 기준에 적합한 클러치의 제공이 필요하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lutch suitable for EN CODE and domestic elevator safety inspection standards.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본 발명자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를 출원하여 등록 받은 바, 특허문헌 4의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15)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터미널 기어축(12)의 양측에 스텝체인(20)을 통해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스텝(14)으로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방지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기어축(12)의 일측에 체인(18)을 통해 연결되는 동력전달부(1)와; 상기 동력전달부(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가속부(2)와; 상기 가속부(2)의 제동을 위한 제동부(2)와; 상기 스텝(14)의 상하 이동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방향속도검출부(4)와; 정전발생 시 급제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발생 검출부(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ue to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ors have applied for and registered an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nd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of
그러나, 상기의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는 복수개의 기어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량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noise is generated by a plurality of gears,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by improving thi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구동체인의 파손이나 에스컬레이터 구동용 감속기어 파손 등에 의해 정격속도 이상으로 과속이 발생되거나 역전 주행상태로 전환되어 운행되는 비상상황 발생 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 정지시키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overspeed occurs above the rated speed due to damage to the drive chain or damage to the reduction gear for driving the escalator while operating the escalator or is switched to the reverse driving state.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n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that brakes and stops the escalator quickly and safely when it occurs.
특히, 에스컬레이터 상부의 스텝 회전 부 내부에 구성된 터미널 기어축에 주동기어가 설치되고 종동기어를 포함한 복수의 마찰판과 투스 클러치와 방향속도검출장치와 개방완료 검출장치로 구성된 제동장치를 제공하여 설치 공간의 부족에 따른 기계실 부품과의 간섭 발생과 공간부족에 의한 설치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하는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the main driving gear is installed on the terminal gear shaft configured inside the step rotation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escalator, and a braking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iction plates including the driven gear, tooth clutch, direction speed detection device, and opening completion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It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that solves the difficulty of installation work due to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with machine room parts due to shortage and lack of spa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구동모터(15)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터미널 기어축(12)의 양측에 스텝체인(20)을 통해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스텝(14)으로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방지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터미널 기어축(12)에 결합된 주동기어(13) 및 종동기어(200)의 중심측에 결합되는 주축(204)을 갖는 동력전달부(1)와; 상기 동력전달부(1)의 주축(204)으로부터의 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동부(2)와; 상기 제동부(2)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부(3)와; 상기 스텝(14)의 상하 이동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방향속도검출부(4)와; 상기 작동부(3)의 작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개방완료판별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상기 주동기어(13)는 분할되어 형성되고, 내주면 상에 스플라인(13a)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기어축(1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동부(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이 상기 동력전달부(1)의 주축(204)과 연결되며,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복수개의 요철부(凹凸部)(205a)가 형성되는 제1투스(205)와; 중심측이 상기 동력전달부(1)의 주축(204)과 연결되고, 상기 제1투스(205)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판(208)과; 상기 제1투스(205)의 양측에 결합되는 라이닝(206)과; 상기 제1투스(205)의 타측을 통해 관통하고, 너트(210)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208)을 상기 제1투스(205)에 체결하기 위한 탄성부재(209)가 장입된 샤프트(207)와; 상기 샤프트(207)의 끝단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부재(209)를 압축하기 위한 너트(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상기 작동부(3)는 코일케이스(2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213)과; 상기 코일케이스(212)와 내부 전측에 형성되는 스퍼기어(212a)와; 상기 스퍼기어(212a)에 조립되도록 톱니형태의 내치차(211b)가 형성되고 외측면은 복수개의 요철부(凹凸部)(211a)가 형성되는 제2투스(211)와; 상기 코일케이스(212)의 자속면에 장입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1투스(205)와 제2투스(211)의 요철부(205a, 211a)는 일측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되고, 에스컬레이터가 역주행시 상기 제1투스(205)와 제2투스(211)의 요철부(205a, 211a)의 직각부분이 걸리어 역주행을 방지하고, 수동운전시 경사부분이 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작동부(3)의 개방완료 여부를 판별하여 개방완료 검출시 상기 구동모터(15)가 동작하도록 하는 개방완료판별부(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power is applied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상기 개방완료판별부(5)는 상기 작동부(3)의 제2투스(211)에 의해 이동되는 누름핀(215)을 갖고, 상기 누름핀(215)의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217)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부(3)의 제2투스(211)가 개방되면 상기 스위치(217)를 작동시키고 에스컬레이터 제어부(17)에 개방완료 신호를 보낸 후에 상기 구동모터(15)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상기 방향속도검출부(4)는 상기 주축(204)의 끝단에 설치된 플랜저(219)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통해 상기 스텝(14)의 상하 이동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동부(2)는 상기 제1투스(205)와 회전판(208) 사이에 복수개의 마찰판(300) 및 라이닝(206)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 의하면,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구동체인의 파손이나 에스컬레이터 구동용 감속기어 파손 등에 의해 정격속도 이상으로 과속이 발생되거나 역전 주행상태로 전환되어 운행하는 비상상황 발생 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overspeed occurs above the rated speed due to damage to the drive chain or the reduction gear for driving the escalator while the escalator is running, or is switched to the reverse running st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quickly and safely stop the escalator brake.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내부의 터미널 기어축에 구성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부족에 따른 기계실 부품과의 간섭 발생과 공간부족에 의한 설치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configuring the terminal gear shaft inside the steps of the escalator, interference with the machine room parts due to insufficient installation space and difficulty in installation work due to insufficient space can be solved, thereby reducing installation cost.
또한, 동력전달 구성을 제동부의 제1투스와 작동부의 제2투스로 구성된 투스클러치 형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클러치가 안내봉 및 안내판으로 복잡하게 구성된 구조를 획기적으로 단순화 하고, 주축 최종단에 속도검출 및 회전방향 검출을 위해 플랜저와 포토센서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에 외부에 별도로 방향속도검출장치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기구 구조 단순화로 인한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조원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 a tooth clutch type consisting of the first tooth of the braking unit and the second tooth of the operating unit, the conventional clutch has a complicated structure consisting of a guide rod and a guide plate, and the speed at the end of the main shaft By applying a flanger and a photosensor for detection and rotation direction detec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due to simplification of the mechanism structure by eliminating the hassle of installing a separate direction speed detection device outside the existing one.
또한, 제1투스 및 제2투스의 외측에 복수의 요철부(凹凸部)로 구성되며 일측은 직각, 타측은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제동시는 직각인 면이 맞물려 완벽한 제동을 실행할 수 있으며 정전 시 수리를 위한 수동 운전이 필요한 경우에도 구동모터의 수동핸들을 제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투스가 제1투스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어있어 스탭를 해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도 수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One side is composed of a right angle and the other side is composed of an inclined surface. When braking, the right angle surface is engaged to perform perfect braking. Even when manual operation is required, the second tooth can be rotated along the slope of the first tooth by rotating the manual handle of the driving mo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raking direction, so that manual operation is possible from outside without disassembling the staff. Has been.
그리고, 역주행 방지장치의 개방완료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적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정상운행 상태에서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가 개방되지 않고 마찰구동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switch for detecting the completion of the opening of the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from being opened and friction driving in the normal operating state.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의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의 내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동력전달부의 외형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작동부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제동부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방향속도검출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제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5 is a block diagram of a platform installed with an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platform installed with an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ternal view of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braking unit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operation unit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raking unit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direction speed detection unit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raking unit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5 내지 도 13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in FIGS. 5 to 13. Meanwhile, in the illustr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of a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onl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riefly shown Explained.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100)는 구동모터(15)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터미널 기어축(12)의 양측에 스텝체인(20)을 통해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스텝(14)으로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터미널 기어축(12)에 주동기어(13), 종동기어(200) 및 서포터(16)를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구조물인 프레임(11)에 고정부재(19)를 통해 고정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터미널 기어축(12)과 연결되는 서포터(16)에는 윤활제를 충전할 수 있도록 홈(16a)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9)는 고정브라켓과 이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to 7,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한편, 주동기어(13)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할되어 형성되어 터미널 기어축(12)에 볼트(18)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내주면 상에 스플라인(13a)이 형성되어 터미널 기어축(12)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측이 터미널 기어축(12)에 결합된 주동기어(13) 및 종동기어(200)의 중심측에 결합되는 주축(204)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1)와, 동력전달부(1)의 주측(204)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동부(2)와, 제동부(2)의 제동을 위한 작동부(3)와, 스텝(14)의 상하 이동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방향속도검출부(4)와 작동부(3)의 개방완료 여부를 판별하는 개방완료판별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100)에서 동력전달부(1), 제동부(2), 작동부(3)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한 바디(224) 및 코일케이스(212)의 내부에 설치되고, 방향속도검출부(4) 및 개방완료판별부(5)는 코일케이스의(212) 후면에 설치되는 커버(226)에 의해 보호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동력전달부(1)는 주동기어(13), 종동기어(200) 및 종동기어(200)의 중심축에 결합되는 주축(2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주축(204)의 양측에는 베어링너트(203, 221) 및 베어링와셔(202, 220)가 형성되어 진다.The
주축(204)과 종동기어(200)는 결합되는 면이 테이퍼지도록 테이퍼면(204a)이 형성되고, 테이퍼면(204a) 상에는 키(201)가 형성되며, 키(201)를 삽입 후 베어링너트(203)를 조일 경우 테이퍼면(204a)에서 발생하는 마찰력과 키(201)에서 발생하는 구속력으로 주동기어(13)의 동력을 미끄럼 없이 전달되도록 한다.The
제동부(2)는 마찰력을 발생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을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이 동력전달부(1)의 주축(204)의 외주에 설치되며,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복수개의 요철부(凹凸部)(205a)가 형성되는 제1투스(205)와, 제1투스(205)의 중심면은 회전판(208)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제1투스(205)의 양측에 결합되는 라이닝(206)의 일측은 주축(204)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타측은 회전판(208)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주축(204)에서 인출된 샤프트(207)에 의해 회전판(208)과 조립되어 회전판(208)에 구성된 홀에 장입된 탄성부재(209)를 너트(210)를 이용하여 압축 체결하도록 구성된다.The
작동부(3)는 동력전달부(1)의 후단에서 바디(224)에 볼트(225)에 의해 결합되는 코일케이스(212)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코일케이스(212)의 내부 전측에 형성되는 스퍼기어(212a)와 조합되는 제2투스(211)는 중심측에 톱니형태의 내치차(211b)가 형성되고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복수개의 요철부(凹凸部)(211a)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케이스(212)의 내부에는 코일(213)이 설치되고 또한 코일케이스(212)의 자속면에는 탄성부재(214)가 배치되어 제2투스(211)를 밀고 있다.The
이와 같은 작동부(3)는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가 정상 운행시 코일(213)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력을 발생시키고, 코일(213)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제2투스(211)는 탄성부재(214)를 압축시키고 코일(203)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부(2)의 제1투스(205)와 이격된다. 즉, 제1투스(205)의 요철부(205a)와 맞물려 있는 제2투스(211)의 요철부(211a)는 이격되어 회전하게 된다.As shown in (a) of FIG. 10,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정지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213)에 흐르는 전류는 차단되고, 제2투스(211)의 요철부(211a)는 탄성부재(214)의 탄성력에 의해 제1투스(205)의 요철부(205a)과 맞닿게 되어 에스컬레이터를 제동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scalator is stopped o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상술한 제1투스(205)와 제2투스(211)의 요철부(205a, 211a)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된다.As shown in FIG. 11,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투스(205) 및 제2투스(211)는 에스컬레이터가 정상 운행시에는 도 1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격되어 위치되고, 역주행시에는 도 1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투스(211)의 요철부(211a)가 작동부(3)의 탄성부재(214)의 탄성력에 의해 제1투스(205)의 요철부(205a)과 맞닿게 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제동된다. 즉, 역주행시에는 제2투스(211)의 직각부분과 제1투스(205)의 직각부분이 맞닿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전 또는 역주행으로 인해 보수가 필요할 시 도 11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에스컬레이터 구동모터(15) 끝에 구성된 수동핸들을 제동방향과 반대로 돌려서 에스컬레이터를 수동운전 시키게 되며 이때 제1투스(205)와 제2투스(211)는 경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The
방향속도검출부(4)는 스텝(14)의 상하 이동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동력전달부(1)의 주축(204) 후미에 다수의 홈으로 구성된 플랜저(219)가 조립되며 플랜저(219)의 외경이 포토스위치(218)의 감지부를 통과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이때 발생하는 펄스수 및 위상차로 스텝(14)의 상하 이동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도록 한다.The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100)는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부(3)의 개방완료 여부를 판별하여 개방완료 검출시 구동모터(15)가 동작하도록 하는 개방완료판별부(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동부(3)의 개방완료라 함은 작동부(3)의 제2투스(21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제1투스(205)와 분리되는 것을 말하며 이때 제동부(2)는 회전이 가능한 자유로운 상태가 되며 에스컬레이터 제어부에 개방완료 신호를 보낸 후에 구동모터(15)가 동작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개방완료판별부(5)는 제동부(2)의 제2투스(211)에 의해 이동되는 누름핀(215)을 갖고, 누름핀(215)의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217)를 포함하여, 작동부(3)의 제2투스(211)가 개방되면 스위치(217)를 작동시키고, 에스컬레이터 제어부(17)에 개방완료 신호를 보낸 후에 구동모터(15)가 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누름핀(215) 상에는 정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부재(216)가 형성된다. 즉, 제2투스(211)가 탄성부재(214)에 의해 이동 시 누름핀(215)도 제2투스(211)와 함께 이동하도록 한다.The ope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에스컬레이터가 정상 운행시 작동부(3)의 코일(213)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력을 발생시키고, 코일(213)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제2투스(211)는 탄성부재(214)를 압축시키고, 코일케이스(212)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투스(205)와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즉, 제1투스(205)의 요철부(205a)와 맞물려 있는 제2투스(211)의 요철부(211a)는 제동부(2)와 이격되고, 이때, 개방완료판별부(5)의 누름핀(215)이 제2투스(211)에 의해 동시에 이동하여 스위치(217)를 작동시킴으로써 개방완료를 검출하여 제어부(17)로 보낸다. 개방완료가 검출되면 제어부(17)에서는 구동모터(15)로 전류를 인가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구동 시키게 된다. 이때, 터미널 기어축(12)에 설치된 주동기어(13)와 연계된 종동기어(200)에 의해 주축(204)은 회전하게 되고 주축(204)의 후미에 설치된 플랜저(219)와 코일케이스(206)에 설치된 포토스위치(218)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속도 및 회전방향을 검출하게 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describe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역주행으로 인한 비상상황 발생시 검출은 다음과 같다.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due to reverse driving, the detection is as follows.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이나 과속 등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작동부(3)의 코일(212)에 흐르는 전류가 즉시 차단되고 제2투스(211)와 코일케이스(212) 사이에 형성되던 자속이 차단되고 자력이 없어지게 되면, 코일케이스(212) 상의 압축된 탄성부재(214)의 탄성력에 의해 제2투스(211)는 코일케이스(212) 측에서 이탈하여 제1투스(205)쪽으로 이동하며 이때 제1투스(205)의 요철부(205a)의 직각부분과 제2투스(211)의 요철부(211a)의 직각부분은 회전하면서 홈 맞춤이 일어나게 되어 제동부(2)의 제1투스(205)를 회전 불가능하게 구속시키게 되고 제동부(2)의 복수의 샤프트(207)로 구속된 회전판(208)의 측면과 주축(204)의 외주 마찰면이 제1투스(205)에 부착된 양측의 라이닝(206)면을 따라 마찰 구동하게 됨으로써 이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에스컬레이터를 제동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누름핀(215)은 탄성부재(216)의 반력으로 제2투스(211)와 같이 이동하며 이때 스위치(217)와 분리되어 개방검출이 되지 않는 상태로 복귀 한다.When an abnormal signal such as reverse running or overspeed of the escalator is detecte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 의하면,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구동체인의 파손이나 에스컬레이터 구동용 감속기어 파손 등에 의해 정격속도 이상으로 과속이 발생되거나 역전 주행상태로 전환되어 운행하는 비상상황 발생 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overspeed occurs above the rated speed due to damage to the drive chain or the reduction gear for driving the escalator while the escalator is running, or is switched to the reverse running st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quickly and safely stop the escalator brake.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내부의 터미널 기어축에 구성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부족에 따른 기계실 부품과의 간섭 발생과 공간부족에 의한 설치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configuring the terminal gear shaft inside the steps of the escalator, interference with the machine room parts due to insufficient installation space and difficulty in installation work due to insufficient space can be solved, thereby reducing installation cost.
또한, 동력전달 구성을 제동부의 제1투스와 작동부의 제2투스로 구성된 투스클러치 형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클러치가 안내봉 및 안내판으로 복잡하게 구성된 구조를 획기적으로 단순화 하고, 주축 최종단에 속도검출 및 회전방향 검출을 위해 플랜저와 포토센서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에 외부에 별도로 방향속도검출장치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기구 구조 단순화로 인한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조원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 a tooth clutch type consisting of the first tooth of the braking unit and the second tooth of the operating unit, the conventional clutch has a complicated structure consisting of a guide rod and a guide plate, and the speed at the end of the main shaft By applying a flanger and a photosensor for detection and rotation direction detec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due to simplification of the mechanism structure by eliminating the hassle of installing a separate direction speed detection device outside the existing one.
또한, 제1투스 및 제2투스의 외측에 복수의 요철부(凹凸部)로 구성되며 일측은 직각, 타측은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제동시는 직각인 면이 맞물려 완벽한 제동을 실행할 수 있으며 정전 시 수리를 위한 수동 운전이 필요한 경우에도 구동모터의 수동핸들을 제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투스가 제1투스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어있어 스탭를 해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도 수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One side is composed of a right angle and the other side is composed of an inclined surface. Even when manual operation is required, the second tooth can be rotated along the slope of the first tooth by rotating the manual handle of the driving mo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raking direction, so that manual operation is possible from outside without disassembling the staff. Has been.
그리고, 역주행 방지장치의 개방완료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적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정상운행 상태에서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가 개방되지 않고 마찰구동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switch for detecting the completion of the opening of the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from being opened and friction driving in the normal operating state.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제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raking unit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동력전달부(1), 작동부(3), 방향속도검출부(4) 및 개방완료판별부(5)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그에 따른 작용 효과도 동일하게 작용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한편, 제동부(20)의 일부 구성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변경된 구성만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some configurations of the
제동부(2)는 제1투스(205), 회전판(208), 라이닝(206) 및 제2투스(211)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투스(205)와 회전판(208) 사이에 복수개의 마찰판(300) 및 라이닝(206)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진다. 이때, 마찰판(300)의 중심측에는 내치차(300a)가 형성되고, 내치차(300a)와 맞물리도록 스퍼기어(208d)가 회전판(208)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투스(205)의 외주면 상에 톱니(301a)가 형성되며, 톱니(301a)와 맞물리도록 스퍼기어(205c)가 설치되어 진다.The
이와 같이 제동부(2)에 복수개이 마찰판(300) 및 라이닝(206)을 구성함으로써 소형으로 대용량의 제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긴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에도 높은 제동력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changes are possible.
100, 100' :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1: 동력전달부
13 : 주동기어 200 : 종동기어
204 : 주축
2 : 제동부
205 : 제1투스 205a : 요철부
206 : 라이닝 208 : 회전판
209 : 탄성부재
3 : 작동부
212 : 코일케이스 213 : 코일
211 : 제2투스 211a : 요철부
214 : 탄성부재
4 : 방향 속도 검출부
218 : 포토스위치 219 : 플랜저
5 : 개방완료판별부
215 : 누름핀 217 : 스위치
11 : 프레임 12 : 터미널 기어축
14 : 스텝 15 : 구동모터
17 : 제어부 20 : 스텝체인100, 100':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1: power transmission
13: main gear 200: driven gear
204: spindle
2: brake
205:
206: lining 208: rotating plate
209: elastic member
3: operation part
212: coil case 213: coil
211:
214: elastic member
4: Directional speed detection unit
218: photo switch 219: flanger
5: Opening completion judgment section
215: push pin 217: switch
11: frame 12: terminal gear shaft
14: step 15: drive motor
17: control unit 20: step chain
Claims (9)
일측이 상기 터미널 기어축(12)에 결합된 주동기어(13) 및 종동기어(200)의 중심측에 결합되는 주축(204)을 갖는 동력전달부(1)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이 상기 동력전달부(1)의 주축(204)과 연결되며,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복수개의 요철부(凹凸部)(205a)가 형성되는 제1투스(205)와; 중심측이 상기 동력전달부(1)의 주축(204)과 연결되고, 상기 제1투스(205)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판(208)과; 상기 제1투스(205)의 양측에 결합되는 라이닝(206)과; 상기 제1투스(205)의 타측을 통해 관통하고, 너트(210)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208)을 상기 제1투스(205)에 체결하기 위한 탄성부재(209)가 장입된 샤프트(207)와; 상기 샤프트(207)의 끝단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부재(209)를 압축하기 위한 너트(210)를 포함하여 상기 동력전달부(1)의 주축(204)으로부터의 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동부(2)와;
상기 제동부(2)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부(3)와;
상기 스텝(14)의 상하 이동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방향속도검출부(4)와;
상기 작동부(3)의 작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개방완료판별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In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reverse running of the escalator consisting of steps 14 connected up and down by being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terminal gear shaft 12 that rotates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15 through a step chain 20 In,
A power transmission unit (1) having one side of the main gear 13 coupled to the terminal gear shaft 12 and the main shaft 204 coupled to the center side of the driven gear 200;
A first tooth made of a cylindrical shape, the central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204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one surface to form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05a) ( 205) and; A rotating plate 208 having a central side connected to the main shaft 204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tooth 205; Linings 206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tooth 205; The shaft 207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ooth 205 and is loaded with an elastic member 209 for fastening the rotating plate 208 to the first tooth 205 using a nut 210 Wow; A braking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from the main shaft 204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 including a nut 210 fastened to the end of the shaft 207 and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209 ( 2) and;
An operation unit (3) for operating the braking unit (2);
A direction speed detection unit 4 for detecting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and speed of the step 14;
An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n open completion determining unit (5)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unit (3).
상기 주동기어(13)는 분할되어 형성되고, 내주면 상에 스플라인(13a)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기어축(1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gear (13) is formed by being divided, the spline (13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terminal gear shaft (12).
상기 작동부(3)는 코일케이스(2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213)과;
상기 코일케이스(212)와 내부 전측에 형성되는 스퍼기어(212a)와;
상기 스퍼기어(212a)에 조립되도록 톱니형태의 내치차(211b)가 형성되고 외측면은 복수개의 요철부(凹凸部)(211a)가 형성되는 제2투스(211)와;
상기 코일케이스(212)의 자속면에 장입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unit 3 includes a coil 213 installed in the coil case 212;
A spur gear 212a formed on the coil case 212 and the inner front side;
A second tooth 211 having a toothed inner tooth 211b formed on the spur gear 212a and having a plurality of uneven portions 211a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214) formed by being charged to the magnetic flux surface of the coil case (212).
상기 제1투스(205)와 제2투스(211)의 요철부(205a, 211a)는 일측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되고,
에스컬레이터가 역주행시 상기 제1투스(205)와 제2투스(211)의 요철부(205a, 211a)의 직각부분이 걸리어 역주행을 방지하고, 수동운전시 경사부분이 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4,
One side of the uneven portions 205a and 211a of the first tooth 205 and the second tooth 211 is formed at a right angle,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position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hen the escalator travels in reverse, the right angle portions of the uneven portions 205a and 211a of the first tooth 205 and the second tooth 211 are caught to prevent reverse travel, Escalator reverse run prevention device.
상기 개방완료판별부(5)는 상기 작동부(3)의 제2투스(211)에 의해 이동되는 누름핀(215)을 갖고, 상기 누름핀(215)의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217)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부(3)의 제2투스(211)가 개방되면 상기 스위치(217)를 작동시키고 에스컬레이터 제어부(17)에 개방완료 신호를 보낸 후에 상기 구동모터(15)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opening completion determining part 5 has a push pin 215 moved by the second tooth 211 of the operation part 3, and includes a switch 217 operated by the push pin 215 So,
An esca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motor 15 is operated after the second tooth 211 of the operation unit 3 is opened, the switch 217 is operated and an open completion signal is sent to the escalator control unit 17.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상기 방향속도검출부(4)는 상기 주축(204)의 끝단에 설치된 플랜저(219)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통해 상기 스텝(14)의 상하 이동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rection speed detection unit 4 detects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and speed of the step 14 through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flanger 219 installed at the end of the main shaft 204. Device.
상기 제동부(2)는 상기 제1투스(205)와 회전판(208) 사이에 복수개의 마찰판(300) 및 라이닝(206)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braking unit (2) is an escalator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riction plates (300) and linings (206) are sequential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tooth (205) and the rotating plate (20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854A KR102147535B1 (en) | 2019-12-31 | 2019-12-31 | Device for preventing contraflow of escal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854A KR102147535B1 (en) | 2019-12-31 | 2019-12-31 | Device for preventing contraflow of escal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7535B1 true KR102147535B1 (en) | 2020-08-24 |
Family
ID=7223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9854A Active KR102147535B1 (en) | 2019-12-31 | 2019-12-31 | Device for preventing contraflow of escal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753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74577A (en) * | 2022-06-21 | 2023-12-28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Dual motor actuato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14440A (en) * | 1997-10-13 | 1999-04-27 | Kinki:Kk | Rotary blade mounting structure of shearing crusher |
KR101438075B1 (en) | 2014-06-09 | 2014-09-12 | (주)미주하이텍 | Low Speed Braking Apparatus for Escalator |
KR101503707B1 (en) | 2014-12-31 | 2015-03-19 | (주)미주하이텍 | Prevent reverse drive device of escalator |
KR101647787B1 (en) | 2015-05-22 | 2016-08-11 | (주)미주하이텍 | Clutch device for low speed braking of escalator |
KR101933495B1 (en) | 2018-04-06 | 2018-12-28 | 주식회사 엘텍 | Device for preventing contraflow of escalator |
-
2019
- 2019-12-31 KR KR1020190179854A patent/KR10214753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14440A (en) * | 1997-10-13 | 1999-04-27 | Kinki:Kk | Rotary blade mounting structure of shearing crusher |
KR101438075B1 (en) | 2014-06-09 | 2014-09-12 | (주)미주하이텍 | Low Speed Braking Apparatus for Escalator |
KR101503707B1 (en) | 2014-12-31 | 2015-03-19 | (주)미주하이텍 | Prevent reverse drive device of escalator |
KR101647787B1 (en) | 2015-05-22 | 2016-08-11 | (주)미주하이텍 | Clutch device for low speed braking of escalator |
KR101933495B1 (en) | 2018-04-06 | 2018-12-28 | 주식회사 엘텍 | Device for preventing contraflow of escalator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비특허문헌 1 : EN81-20_EK : Safety rules for the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lifts - Lifts for the transport of persons and goods - Part 20: Passenger and goods passenger Lifts |
비특허문헌 2 : 승강기 안전검사 기준(국민안전처 고시 제2016-143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구조 5.4.2.1.2 전자-기계 브레이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74577A (en) * | 2022-06-21 | 2023-12-28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Dual motor actuato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653359B1 (en) | 2022-06-21 | 2024-04-0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Dual motor actuato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10514B (en) | Self-propelled elevators and elevator brake systems | |
KR101933495B1 (en) | Device for preventing contraflow of escalator | |
US5226508A (en) | Disc brake for elevator drive sheave | |
US7556126B2 (en) | Elevator escape arrangement | |
KR101888950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escalator | |
CA2875952C (en) | Safety brake for an escalator or for a travelator | |
EP0545369B1 (en) | Disc brake for elevator drive sheave | |
US6021872A (en) |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 |
US7392885B2 (en) |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elevator | |
CN1039000C (en) | A slant type passenger conveyer | |
KR100995059B1 (en) | Safety brake control apparatus for emergency stop of escalator | |
KR102147535B1 (en) | Device for preventing contraflow of escalator | |
EP3243784B1 (en) | Arrangement for releasing the operating brake of an elevator | |
US5201821A (en) | Disc brake elevator drive sheave | |
WO2013132587A1 (en) | Elevator governor and elevator device | |
US6966409B2 (en) | Backup power device for elevator | |
CN102381601A (en) | Manual lowering mechanism of elevator | |
EP3133037B1 (en) | Method for moving an elevator car | |
RU2444471C2 (en) | Elevator emergent braking system | |
US7419033B2 (en) |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 |
KR200200007Y1 (en) | Elevator governor which has emergency stopping device for up-down-direction | |
KR102336109B1 (en) | Main bracket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escalator | |
WO2005040026A1 (en) | Elevator rescue drive mechanism | |
JP6580275B2 (en) | Elevator interlock device | |
JP3780467B2 (en) | Passenger conveyor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