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2731B1 -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 Google Patents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731B1
KR102142731B1 KR1020140155166A KR20140155166A KR102142731B1 KR 102142731 B1 KR102142731 B1 KR 102142731B1 KR 1020140155166 A KR1020140155166 A KR 1020140155166A KR 20140155166 A KR20140155166 A KR 20140155166A KR 102142731 B1 KR102142731 B1 KR 102142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
door
checker arm
arm
eff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422A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7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7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E05C17/20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with elastomeric springs to hold wing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필요한 힘인 체커 에포트를 차량 이용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커암과, 도어에 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롤러 어셈블리의 양측 롤러가 체커암을 압착하도록 된 하우징과, 차체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커암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이 힌지 어셈블리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양측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체커암의 각 면에 도어 열림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굴곡진 홈면과 돌출면이 체커암의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커암의 각 면 중에 체커암 횡단면상에서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어느 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이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또 다른 면과 상기 또 다른 면의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과 차이를 가짐으로써 체커암의 축 회전에 의해 도어 개폐시 요구되는 체커암 에포트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필요한 힘인 체커 에포트를 차량 이용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차체에서 소정 각도까지 열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차체와 도어 사이에는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힌지와 도어 체커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힌지는 차체와 도어 사이에서 자중으로 인한 도어 처짐을 방지하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도어 개폐 기능을 담당하고, 도어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도어 체커로 규제하고 있는데, 상기 도어 체커는 차체와 도어 사이에서 도어 개폐시의 절도감을 제공하면서 도어가 정해진 각도만큼 열려 있도록 하는 홀드 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한다.
자동차의 도어는 도어 체커의 홀드 기능에 의해 최대가 아닌 중간 정도로 열려 있는 상태에서 승객의 승하차 등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 체커가 도어의 열림정도 및 각도를 규제하므로 도어가 임의로 더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체커는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최대 열림각도)에서 더 이상 열리지 않게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면서도 도어의 개폐시에 바람이나 경사진 도로에서의 자중으로 인해 도어가 원하지 않게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닫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상기 도어 체커(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굴곡진 홈면(11a)과 돌출면(11b)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체커암(10)과, 스프링(12a)에 의해 탄성 지지된 롤러 어셈블리(12b)가 내장되어 롤러를 통해 체커암(10)에 밀착된 상태로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하우징(12)과, 체커암(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2)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최대 열림위치를 설정하는 스토퍼(14), 그리고 체커암(10)의 타단부를 차체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브라켓(15) 및 힌지핀(16)을 포함한다.
이때, 체커암(10)이 도어 패널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2)의 삽입부(13)를 통해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시에 롤러 어셈블리(12b)의 롤러가 체커암(10)의 상부와 하부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것과 더불어 스프링(12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러 어셈블리(12b)가 홈면(11a)에 밀착됨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도어 체커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어 닫힘시, 도어 1단 열림시, 도어 2단 열림 상태시, 도어 3단(full) 열림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측에 고정된 하우징(도 1에서 도면부호 12임) 및 그 내부의 스프링(12a), 롤러 어셈블리(12b)가 차체측에 고정된 체커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 병진운동을 하게 되고, 체커암(10)은 힌지브라켓(15)에 대해 힌지핀(16)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체커암(10)이 롤러 어셈블리(12b)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스프링 장력에 따른 마찰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특정한 체커 에포트(effort)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체커 에포트의 크기는 차량 제조사가 정한 체커암의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결정되므로, 종래의 도어 체커는 차량 이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필요한 힘인 체커 에포트를 차량 이용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체커암과, 도어에 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롤러 어셈블리의 양측 롤러가 체커암을 압착하도록 된 하우징과, 차체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커암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이 힌지 어셈블리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양측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체커암의 각 면에 도어 열림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굴곡진 홈면과 돌출면이 체커암의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커암의 각 면 중에 체커암 횡단면상에서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어느 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이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또 다른 면과 상기 또 다른 면의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과 차이를 가짐으로써 체커암의 축 회전에 의해 도어 개폐시 요구되는 체커암 에포트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서는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체커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 이용자의 편의성과 차량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도어 체커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도어 열림시에 체커암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이 조인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의 형상에 따라 설정되는 각 에포트단의 체커 에포트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 회전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에포트단 조절을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체커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어 열림시에 체커암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이 조인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또한,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체커암의 형상에 따라 설정되는 각 에포트단의 체커 에포트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도어 체커(1)는, 상부와 하부에 굴곡진 홈면(11a)과 돌출면(11b)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체커암(10)과, 스프링(도 11에서 도면부호 12a임)에 의해 탄성 지지된 롤러 어셈블리(도 11에서 도면 부호 12b임)가 내장되어 롤러(도 11에서 도면부호 12c임)를 통해 체커암(10)에 밀착된 상태로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하우징(12)과, 체커암(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2)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최대 열림위치를 설정하는 스토퍼(14), 상기 체커암(10)의 타단부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인트 브라켓(17), 그리고 상기 조인트 브라켓(17)이 힌지 결합되고 차체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인트 브라켓(17)을 통해 연결된 체커암(10)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힌지 어셈블리(18)를 포함한다.
이때, 체커암(10)이 도어 패널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2)의 삽입부(13)를 통해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조립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18)는 차체에 장착되는 힌지브라켓(19a)과, 상기 힌지브라켓(19a)에 조인트 브라켓(17)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19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어의 개폐시에 롤러 어셈블리의 롤러가 체커암(10)의 상부와 하부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것과 더불어 스프링(12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러 어셈블리(12b)가 홈면(11a)에 밀착됨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통상의 도어 체커에서 도어의 현 열림 상태를 규제하기 위한 체커암(10)의 홈면(11a) 개수에 따라 도어의 열림위치 규제 단수, 즉 도어 열림단 수가 정해지는데, 도면에 예시한 실시예에서는 홈면(11a)을 체커암(10)의 축방향 길이상에 2개, 스토퍼(14)가 설치된 체커암 단부 끝에 1개로 하여 총 3개를 형성함으로써 총 3단의 도어 열림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도어 체커(1)에서 도어 열림단 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커암(10)의 홈면(11a) 개수 및 홈면 개수에 따른 도어 열림단 수가 3개 및 3단이 아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체커(1)에서는 에포트단 변경을 위해 체커암(10)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체커암(10)의 단부가 조인트 브라켓(17)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체커암이 힌지 어셈블리에 직접 결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회전만 가능하도록 한 종래의 구성과 달리, 본 발명의 도어 체커(10)에서는 체커암(10)이 조인트 브라켓(17)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인트 브라켓(17)이 힌지 어셈블리(18)에 힌지 결합된다.
즉, 조인트 브라켓(17)이 힌지 어셈블리(18)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으로, 체커암(10)이 차체에 대해 도어 개폐에 따른 회전을 하게 될 때 조인트 브라켓(17) 역시 힌지 어셈블리(18)의 힌지핀(19b)을 중심으로 체커암(10)과 일체 회전된다.
다시 말해, 평상시의 도어 개폐 동안에는 체커암(10)과 조인트 브라켓(17)이 기존의 체커암 회전방향으로 힌지핀(19b)을 중심으로 일체 회전되는 것이며, 이때 체커암(10)이 도어측에 고정된 하우징(12)에 대해 상대 병진 운동을 하게 되어,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어 열림위치가 체커암(10)의 홈면(11a)에 의해 정해지는 단수로 규제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도어 체커(1)에서는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10) 및 조인트 브라켓(17)의 회전(체커암 회전방향이 종래와 동일함)과, 에포트 조절시 조인트 브라켓(17)에 대한 체커암(10)의 상대 축 회전이 이루어지는 2축 조인트 및 회전 구조가 적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 체커(1)에서 체커암(10)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이때 다각형의 각(角) 수는 에포트 조절 가능 단수(에포트단의 개수)의 두 배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체커암(10)의 단면 형상이 4각형이면 2단, 6각형이면 3단, 8각형이면 4단의 에포트 조절 가능한 단수가 구현될 수 있고, 2단인 경우 두 단계, 3단인 경우 세 단계, 4단인 경우 네 단계로 도어 개폐시 요구되는 힘인 에포트가 조절 가능하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는 체커암(10)을 6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제작하여 3단계로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이 도면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 가능한 에포트단의 개수를 3단 외에도 체커암의 다각형 단면 형상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체커암(10)을 축 회전시켜 하우징(12) 내 롤러 어셈블리(도 11에서 도면부호 12b)의 롤러(도 11에서 도면부호 12c)가 접촉하는 체커암 면을 변경해줌으로써 에포트를 조절하게 되는데, 다각형의 단면 형상에서 각 면과 그 반대면, 특히 양측 롤러(12c)에 의해 함께 압착되는 돌출면(11b)과 그 반대쪽 돌출면은 서로 평행한 면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도 7, 도 8, 도 11 참조).
또한, 롤러(12c)가 압착되는 면에 따라 에포트가 달라지도록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체커암(10)에서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직각 거리가 이웃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직각 거리와 상이하도록 체커암(10)이 제작된다.
이로써 체커암(10)이 축 회전됨에 따라 두 롤러(12c)가 양측에서 압착하게 되는 체커암에서의 면(양측의 롤러가 어느 한 면과 그 반대면을 압착함)이 달라지고, 이때 롤러가 압착하는 면에 따라 체커암과 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스프링력 및 압축력에 기인함)도 달라지게 된다.
결국, 체커암(10)을 축 회전시켜 에포트단을 조정 및 설정함에 따라서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는데 필요한 에포트가 달라지게 된다
즉, 체커암(10)을 축 회전 조작함으로써 설정되는 에포트단에 따라 체커 에포트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과 도 8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체커암(10)이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체커암의 각 면과 180°위치의 그 반대면이 서로 평행하고, 특히 이웃한 면 간에 직각 거리(단면상 면과 반대면 사이의 직각 거리, 면과 면 사이의 단면 폭)가 서로 다름을 볼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각각 선 'A-A', 'B-B', 'C-C'를 따라 취한 체커암의 종단면도로서, 양측의 롤러가 각 홈면(11a)에 밀착될 때 도어 열림이 규제되며, 1단, 2단, 3단의 도어 열림단에 해당하는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체커암(10)의 길이방향 동일 위치에서 각 단면의 폭에 차이가 존재하는바, 이러한 차이로 인해 체커 에포트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단면의 폭은 체커암(10)의 횡단면상에서 양측의 롤러(12c)가 맞닿아 압착하게 되는 두 면(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으로서, 양측의 롤러(12c)가 압착하게 되는 두 면 사이의 직각 거리가 된다.
도 8에서 단면 폭을 비교하면, 'SEC A-A < SEC B-B < SEC C-C'이다.
여기서, SEC A-A는 'A-A' 단면의 폭, SEC B-B는 'B-B' 단면의 폭, SEC C-C는 'C-C' 단면의 폭을 나타낸다.
결국, 체커암(10)의 축 회전에 따라 양측 롤러(12c)가 압착하게 되는 두 면 사이의 단면 폭이 달라지면, 롤러를 통해 체커암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스프링력, 압축력)이 달라지고, 이 스프링력에 의해 롤러와 체커암 사이의 마찰력 및 그로 인한 체커 에포트가 달라진다.
즉, 체커암(10)의 회전 조작(축 회전)에 의해 롤러(12c)가 압착하게 되는 두 면이 큰 단면 폭(직각 거리)을 가질수록 스프링력, 마찰력, 체커 에포트가 커지고, 반대로 작은 단면 폭을 가질수록 스프링력, 마찰력, 체커 에포트가 작아진다.
결국, 체커암(10)을 회전 조작하여 롤러(12c)에 의한 체커암에서의 압착 면을 변경하여 마찰력을 변경하면 체커 에포트가 달라지는바,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의 회전 조작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도어 개폐시의 체커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단면 폭이 클수록 체커 에포트가 커짐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1)에서 체커암(10) 회전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어를 열어 하우징(12)을 힌지 어셈블리(18)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조작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10)을 축 회전시키는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인트 브라켓(17)에 근접된 체커암 단부에 조작레버(20)를 돌출 형성한다.
이에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조작레버(20)를 잡고 체커암(10)을 축 회전시키면, 원하는 수준의 체커 에포트(도 8의 'HIGH', 'MIDDLE', 'LOW')에 맞는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HIGH'는 체커암(10)에서 단면 폭이 큰 면을 롤러(12c)가 압착하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큰 에포트가 필요한 모드(체커 에포트 대)이고, 'MIDDLE'은 단면 폭이 중간인 면을 롤러(12c)가 압착하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중간 수준의 에포트가 필요한 모드(체커 에포트 중)이며, 'LOW'는 단면 폭이 작은 면을 롤러(12c)가 압착하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작은 수준의 에포트가 필요한 모드(체커 에포트 소)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커암(10)은 스프링(12a)과 롤러(12c)에 의해 상시 압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체커암(10)의 축 회전이 발생하지 않지만,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스프링(12a)에 의한 압축력을 극복할 정도의 회전력을 조작레버(20)를 통해 가했을 경우에는 체커암(10)의 회전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체커 에포트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에포트단 조절을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브라켓(17)의 고정된 위치에 기준점(21)을 표시하고, 체커암(10)에는 회전 조작을 통한 각 에포트단 설정상태에서 상기 기준점(21)과 일치하는 각 위치에 에포트단을 구분하여 나타내는 문자 등의 표시부(22)를 표기하여 형성한다.
이를 통해 차량 이용자가 기준점(21)이 나타내고 있는 표시부(22)를 확인하여 현재 체커암 에포트 설정 수준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서는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체커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 이용자의 편의성과 차량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 이용자의 주차환경, 힘, 문화, 성향 등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상이한 도어 여닫힘 에포트 선호도에 맞추어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에포트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수석, 뒷좌석 등에 주로 탑승하는 승객이 주로 힘이 약한 아동, 노인, 여성인 경우 힘이 약하여 도어를 조작하기가 힘드므로 해당 좌석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 체커를 약한 에포트단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또한, 주거/근무지역의 주차환경이 내리막길인 경우 도어를 열 때 의도하지 않게 도어 자중에 의해 도어가 갑작스럽게 열리면서 승객 상해 및 도어 파손의 위험이 있는바, 도어 체커를 강한 에포트단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국가에서 판매되는 글로벌 차종에서 지역별 요구사항이 상이한 경우, 그 예로 아시아, 미국에서는 주로 도어를 열 때 에포트가 작고 부드럽게 열리는 것을 선호하며, 유럽에서는 주로 에포트가 크고 도어 열림시의 묵직한 느낌을 선호하는바, 차량 제조사에서 국가별 선호하는 체커 에포트로 설정한 후 차량을 출고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차량 이용자가 직접 체커 에포트단을 조절할 수도 있음).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체커암 11a : 홈면
11b : 돌출면 12 : 하우징
12a : 스프링 12b : 롤러 어셈블리
12c : 롤러 13 : 삽입부
14 : 스토퍼 17 : 조인트 브라켓
18 : 힌지 어셈블리 19a : 힌지브라켓
19b : 힌지핀 20 : 조작레버
21 : 기준점 22 : 표시부

Claims (10)

  1. 체커암과,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 개폐시 도어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내장된 롤러 어셈블리의 양측 롤러가 체커암을 압착하고 있는 상태로 도어 개폐시 체커암을 따라 이동하는 하우징과, 차체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커암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이 힌지 어셈블리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양측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체커암의 각 면에 도어 열림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굴곡진 홈면과 돌출면이 체커암의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커암의 각 면 중에 체커암 횡단면상에서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어느 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이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또 다른 면과 상기 또 다른 면의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과 차이를 가짐으로써 체커암의 축 회전에 의해 도어 개폐시 요구되는 체커암 에포트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의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다각형을 이루고 있는 각 면에 홈면과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에서 상기 양측 롤러가 압착하게 되는 돌출면이 서로 평행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의 횡단면 형상이 체커 에포트의 2단계 조절이 가능한 사각형과, 체커 에포트의 3단계 조절이 가능한 육각형과, 체커 에포트의 4단계 조절이 가능한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의 단부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커암이 조인트 브라켓을 통해 힌지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차체에 장착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에 조인트 브라켓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의 축 회전 조작을 위해 체커암에 조작레버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조인트 브라켓에 결합된 체커암 단부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9. 청구항 5에 있어서,
    체커암의 축 회전에 의해 조절된 체커 에포트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조인트 브라켓의 고정된 위치에 기준점이 표시되고, 체커 에포트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점과 일치하는 체커암 단부의 각 위치마다 상기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KR1020140155166A 2014-11-10 2014-11-10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Active KR102142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66A KR102142731B1 (ko) 2014-11-10 2014-11-10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66A KR102142731B1 (ko) 2014-11-10 2014-11-10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22A KR20160055422A (ko) 2016-05-18
KR102142731B1 true KR102142731B1 (ko) 2020-08-07

Family

ID=5611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166A Active KR102142731B1 (ko) 2014-11-10 2014-11-10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1261B2 (ja) * 2018-05-25 2021-07-2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355B1 (ko) 2004-04-2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체커
KR100764982B1 (ko) 2006-09-19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력 조절 도어 체커
KR100820107B1 (ko) 2006-11-07 2008-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체크링크 결합구조
JP4474339B2 (ja) 2005-07-15 2010-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355B1 (ko) 2004-04-2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체커
JP4474339B2 (ja) 2005-07-15 2010-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KR100764982B1 (ko) 2006-09-19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력 조절 도어 체커
KR100820107B1 (ko) 2006-11-07 2008-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체크링크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22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3284B2 (en) Articulating cushion bolster for ingress/egress
CN110435487B (zh) 轨道组件
US7841048B2 (en) Sliding assembly having a body for transversal sliding door
US20070220705A1 (en) Damper arrangement
KR101601106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CN101195364A (zh) 扶手锁定装置
JP6266114B2 (ja) 扉開閉装置
CN104141435A (zh) 机动车门的铰接装置
KR20150077498A (ko) 후석 승객용 테이블장치
CN116529452A (zh) 用于可运动地支承家具部件的家具配件
WO2006011294A1 (ja) 引戸の戸閉装置
KR102142731B1 (ko)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KR100862498B1 (ko)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JP5296893B2 (ja) 自閉式引戸の閉じ停止装置
JP2006105275A (ja) ヒンジ装置
CN106604840B (zh) 车门开度调整装置
JP6617943B2 (ja) 閉鎖機構付きピボットヒンジ
JP5131899B2 (ja) 自閉式引戸の閉じ停止装置
KR101652772B1 (ko)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1207763B1 (ko) 도어클로저
KR20170034198A (ko) 작동력 조절 도어체커 및 작동력 조절 도어체커 조립체
CN105888421B (zh) 一种门扇转轴和包括该门扇转轴的汽车
JP2021067171A (ja) 車両ドア低速開放装置
KR101662456B1 (ko)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3527479B2 (ja) 引戸フリースト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