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282B1 - Vehicle body having impact member - Google Patents
Vehicle body having impact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2282B1 KR102142282B1 KR1020140142070A KR20140142070A KR102142282B1 KR 102142282 B1 KR102142282 B1 KR 102142282B1 KR 1020140142070 A KR1020140142070 A KR 1020140142070A KR 20140142070 A KR20140142070 A KR 20140142070A KR 102142282 B1 KR102142282 B1 KR 1021422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panel
- impact member
- bending
- impact
- vehicle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는 차량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이너판넬, 상기 이너판넬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차량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판넬, 및 상기 이너판넬과 상기 아우터판넬 사이에 배치되되, 길이방향 양단부의 측면은 상기 이너판넬에 직접 용접되고, 폭방향 양쪽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이너판넬과 직접 용접되며, 상기 양단부 사이에는 상기 이너판넬 측으로 설정거리 돌출되는 절곡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절곡돌출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임팩트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판넬의 중심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크로싱부재가 설정된 폭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임팩트멤버는 상기 크로싱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홀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anel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a vehicle, an outer panel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Arranged therebetween, the side surfaces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directly welded to the inner panel, and the edge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re directly welded to the inner panel, and between both ends, a bending protrusion integrally protruding a set distance toward the inner panel is integrally formed. It is formed, the bent projection may include an impact member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panel, and a crossing member formed across the hole is formed with a set width, and the impact member may be disposed across the ho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crossing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이 충돌하고, 이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골고루 분산시킴으로써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하고, 차체의 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that protects a driver and a passenger and improves the rigidity and durability of the vehicle body by colliding the vehicle and evenly dispersing the impact energy generated therefrom.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정면 충돌시의 승객상해를 감소시키는데 치중하였으나, 측면충돌사고에 의한 사망자의 비율이 매년 증가해 왔다. In general, the focus has been on reducing passenger injuries in the frontal collision of passenger cars, but the proportion of fatalities due to side collisions has increased every year.
자동차 설계자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도어 내부에 임팩트 빔(IMPACT BEAM)과 임팩트 프레임(IMPACT FRAME)이라는 보강재를 추가시켜 왔으며, 근래에는 굽힘강성이 높고, 제작성 및 중량이 가벼운 고장력강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적용해 왔다.Automotive designers have added reinforcement materials such as IMPACT BEAM and IMPACT FRAME to the interior of the door, and recently applied high-tensile steel pipe-shaped members with high bending stiffness, light manufacturability and light weight. I have done it.
상기 임팩트 빔은 자동차 도어의 이너 판넬과 아우터 판넬 사이에 설치되는 빔형태의 보강재로써, 점차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차량의 측면 충돌 법규 규제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The impact beam is a reinforcement in the form of a beam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of a vehicle door, and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regulations on side collision laws of a vehicle that is gradually strengthening.
도어는 아우터판넬과 인너판넬에 의해 형성되고, 도어 임팩트임팩트 빔은 일자형상의 빔으로서 인너판넬의 양단에 구비되는 빔고정브라켓트에 의해 도어의 이너판넬 상에 설치된다.The door is formed by an outer panel and an inner panel, and the door impact impact beam is a straight beam and is installed on the inner panel of the door by a beam fixing bracke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panel.
이때, 상기 빔고정브라켓트는 도어 인너판넬 상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임팩트 빔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나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의 상해치를 저감한다.At this time, the beam fixing bracket is fixed by welding on the door inner panel. The impact beam absorbs collision energy in a side collision of a vehicle to minimize impact transmitted to a driver or passenger, thereby reducing injury to the driver and passengers.
또한 상기 임팩트 빔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차량의 측면으로 충돌체가 뚫고 들어오거나, 도어 인너판넬이 굴곡되어 돌출되면서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상해를 유발시키는 것을 최소화한다.In addition, the impact beam minimizes the injuries to the driver and passengers as the colliding body enters the side of the vehicle or the door inner panel is curved and protrudes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ide.
그러나, 종래의 도어 임팩트 빔은 단순 중공부를 갖는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에너지 흡수율이 작으며, 탑승자에 상해를 입힐 수 있고, 충돌시 구부러져서 충돌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oor impact beam is composed of a cross section having a simple hollow portion, so that the energy absorption rate is small, it may cause injury to the occupant, and the collision stiffness may deteriorate due to bending.
본 발명의 목적은 임팩트빔을 이너판넬과 아우터판넬 사이에 설치할 때, 설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충돌시 강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넓은 영역에 설치되어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igidity during collision by improv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when the impact beam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and is provided in a wider area to provide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that can safely protect a passenger Is to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는 차량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이너판넬, 상기 이너판넬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차량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판넬, 및 상기 이너판넬과 상기 아우터판넬 사이에 배치되되, 길이방향 양단부의 측면은 상기 이너판넬에 직접 용접되고, 폭방향 양쪽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이너판넬과 직접 용접되며, 상기 양단부 사이에는 상기 이너판넬 측으로 설정거리 돌출되는 절곡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절곡돌출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임팩트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anel disposed on an inner side of a vehicle, an outer panel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panel, and the inner panel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outer panel, the side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rectly welded to the inner panel, the edge portions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re directly welded to the inner panel, and the bending between the both ends protrudes a set distance toward the inner panel. Although the protrusion is integrally formed, the bending protrusion may include an impact member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이너판넬의 중심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크로싱부재가 설정된 폭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임팩트멤버는 상기 크로싱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홀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panel, and a crossing member formed across the hole is formed with a set width, and the impact member may be disposed across the ho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crossing member.
상기 크로싱멤버의 폭방향 가장자리는 상기 임팩트멤버의 가장자리부와 직접 용접되고, 상기 크로싱멤버의 폭방향 중심부에는 상기 임팩트멤버의 상기 절곡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widthwise edge of the crossing member is directly welded to the edge of the impact member, and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bending protrusion of the impact member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crossing member.
상기 절곡돌출부는 상기 임팩트멤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절곡돌출부, 및 상기 제1절곡돌출부와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절곡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nding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bending protrus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act member, and a second bending protrusion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상기 임팩트멤버는 플레이트 형상의 플레이트부재를 절곡하여 상기 제1,2절곡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impact member may bend the plate-shaped plate member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rotrusions.
상기 제1,2절곡돌출부의 외측면과 상기 이너판넬의 내측면 사이에는 설정된 제1갭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절곡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측면은 상기 아우터판넬의 측면과 설정된 제2갭을 형성할 수 있다. A first gap is form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rotrusions and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panel, and a side surface of the plate memb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rotrusions is a side surface of the outer panel. The set second gap can be formed.
상기 임팩트멤버의 일측 가장자리와 상기 이너판넬이 용접되어 제1가장자리용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임팩트멤버의 타측가장자리와 상기 이너판넬의 용접되어 제2가장자리용접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너판넬, 및 상기 임팩트멤버는 상기 제1,2가장자리용접부를 통해서 하나의 폐곡선 단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One edge of the impact member and the inner panel are welded to form a first edge weld, and the other edge of the impact member is welded to the inner panel to form a second edge weld, and the inner panel and the impact member are welded. May form one closed curve cross-sectional spac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dge weld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에서, 임팩트멤버(120)의 양단부 측면이 이너판넬(110)에 직접 용접되고, 임팩트멤버(12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이너판넬(110)과 직접 용접됨으로서, 별도의 브라켓이 불필요하고, 이너판넬(110)과 임팩트멤버(120)의 구조적인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both side surfaces of the
아울러, 임팩트멤버(120)에는 이너판넬(110) 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돌출부(400)를 형성하여, 임팩트멤버(120)의 구조적인 강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측면 충돌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임팩트멤버(120)는 일반적인 빔과는 다르게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이너판넬(110)이나 상기 아우터판넬(1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어서 조립성과 강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체는 이너판넬(110), 아우터판넬(100), 및 임팩트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판넬(110)은 차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판넬(100)은 차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임팩트멤버(120)는 상기 이너판넬(110)과 상기 아우터판넬(100) 사이에 배치된다. 1, the vehicle body includes an
상기 이너판넬(110)의 중심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가로지르는 크로싱부재(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임팩트멤버(120)는 상기 크로싱부재(220)를 따라서 배치된다. A hole ()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양단부는 상기 이너판넬(110)의 측면에 직접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폭방향 가장자리는 상기 인터판넬()의 상기 크로싱부재(220)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판넬(100)과 상기 이너판넬(110)도 서로 가장자리부가 연결된다. Both ends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일단부의 측면은 상기 이너판넬(110)의 측면과 직접 용접되어 고정되어 일단용접부(2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는 상기 이너판넬(110)의 상기 크로싱부재(22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와 직접 용접된다. Referring to FIG. 2, a side surface of one end of the
따라서,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제1가장자리용접부(20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다른 쪽 가장자리에는 제2가장자리용접부(204)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Therefore, a firs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이너판넬(110)의 측면과 직접 용접되어 고정되어 타단용접부(206)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마운팅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임팩트멤버(120)를 직접 상기 이너판넬(110)에 직접 용접함으로써, 조립비용과 중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임팩트멤버(120)가 상기 이너판넬(110)의 구부러짐을 감소시켜 운행자를 보호하고, 전체적인 차체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out using a separate mounting bracket (), by directly weld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임팩트멤버(120)는 플레이트부(406)와 상기 이너판넬(110)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절곡돌출부(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임팩트멤버(120)는 평평한 구조의 상기 플레이트부(406)를 성형하여, 상기 절곡돌출부(400)를 성형하고, 상기 이너판넬(110)과 용접되는 부분을 성형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406)의 양단부는 상기 이너판넬(110)에 직접 용접되고, 그 폭방향 가장자리는 상기 이너판넬(110)의 상기 크로싱부재(220)와 직접 용접된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상기 절곡돌출부(400)는 상기 이너판넬(11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절곡돌출부(4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절곡돌출부(402)와 제2절곡돌출부(404)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1,2절곡돌출부(400)는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강성을 높이고, 상기 임팩트멤버(120)와 상기 이너판넬(1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체적인 강성을 높이고, 차량의 충돌과정에서 상기 이너판넬(110)과 상기 임팩트멤버(120)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The first an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임팩트판넬()에는 상기 이너판넬(110)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되는 제1절곡돌출부(402)와 제2절곡돌출부(404)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돌출부(402)와 상기 제2절곡돌출부(404)를 수용하는 수용홈(500)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impact panel () is formed with a
상기 수용홈(500)의 내측면과 상기 제1절곡돌출부(402)와 상기 제2절곡돌출부(404)의 선단면 사이에는 설정된 제1갭(G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돌출부(402)와 상기 제2절곡돌출부(404)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아우터판넬(10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2갭()이 형성된다. A first gap G1 is form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아울러, 상기 임팩트멤버(12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이너판넬(110)의 상기 크로싱부재(220)와 직접 용접되는 제1가장자리용접부(202)와 제2가장자리용접부(204)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first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너판넬(110)의 상기 크로싱부재(220)와 상기 임팩트멤버(120)는 상기 제1가장자리용접부(202)와 상기 제2가장자리용접부(204)를 통해서 고정되고, 상기 크로싱부재(220)와 상기 임팩트부재()는 상기 제1가장자리용접부(202)와 상기 제2가장자리용접부(204)를 통해서 하나의 폐곡선단면공간(505)을 형성한다. As show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임팩트멤버(120)의 양단부 측면이 이너판넬(110)에 직접 용접되고, 임팩트멤버(12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이너판넬(110)과 직접 용접됨으로서, 별도의 브라켓이 불필요하고, 이너판넬(110)과 임팩트멤버(120)의 구조적인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de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아울러, 임팩트멤버(120)에는 이너판넬(110) 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돌출부(400)를 형성하여, 임팩트멤버(120)의 구조적인 강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측면 충돌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임팩트멤버(120)는 일반적인 빔과는 다르게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이너판넬(110)이나 상기 아우터판넬(1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어서 조립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s easily changed and equal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changes to the extent deemed acceptable.
100: 아우터판넬 110: 이너판넬
120: 임팩트멤버 200: 일단용접부
202: 제1가장자리용접부 204: 제2가장자리용접부
206: 타단용접부 220: 크로싱부재
400: 절곡돌출부 402: 제1절곡돌출부
404: 제2절곡돌출부 406: 플레이트부
500: 수용홈 505: 폐곡선단면공간100: outer panel 110: inner panel
120: impact member 200: once welded
202: first edge welding portion 204: second edge welding portion
206: the other end welding part 220: crossing member
400: bending projection 402: the first bending projection
404: second bending projection 406: plate portion
500: Receptive home 505: Closed curve section space
Claims (7)
상기 이너판넬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차량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판넬; 및
상기 이너판넬과 상기 아우터판넬 사이에서 상기 크로싱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홀을 가로질러 배치되되, 길이방향 양단부의 측면은 상기 이너판넬에 직접 용접되고, 폭방향 양쪽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크로싱부재의 폭방향 가장자리와 직접 용접되며, 상기 양단부 사이에는 상기 이너판넬 측으로 설정거리 돌출되는 절곡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절곡돌출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임팩트멤버;
를 포함하는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 An inner panel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vehicle, having a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a crossing member formed across the hole having a set width;
An outer panel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panel; And
Arranged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to cross the ho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crossing member, side surfaces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directly welded to the inner panel, and edge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re transverse edges of the crossing member. It is welded directly, and between the both ends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bend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a set distance toward the inner panel side, the bending protrus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mpact member;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comprising a.
상기 크로싱부재의 폭방향 중심부에는 상기 임팩트멤버의 상기 절곡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 In claim 1,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bending protrusion of the impact member is accommodated is formed at a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ing member.
상기 절곡돌출부는
상기 임팩트멤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절곡돌출부; 및
상기 제1절곡돌출부와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절곡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 In claim 1,
The bending protrusion
A first bending protrus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act member; And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comprising a second bending protrusion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상기 임팩트멤버는
플레이트 형상의 플레이트부재를 절곡하여 상기 제1,2절곡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 In claim 4,
The impact member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rotrusions are formed by bending a plate-shaped plate member.
상기 제1,2절곡돌출부의 외측면과 상기 이너판넬의 내측면 사이에는 설정된 제1갭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절곡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측면은 상기 아우터판넬의 측면과 설정된 제2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 In claim 5,
A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rotrusion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anel,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side surface of the plate memb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rotrusions forms a second gap set with a side surface of the outer panel.
상기 임팩트멤버의 일측 가장자리와 상기 이너판넬이 용접되어 제1가장자리용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임팩트멤버의 타측가장자리와 상기 이너판넬의 용접되어 제2가장자리용접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너판넬, 및 상기 임팩트멤버는 상기 제1,2가장자리용접부를 통해서 하나의 폐곡선 단면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임팩트멤버를 갖는 차체. In claim 1,
One edge of the impact member and the inner panel are welded to form a first edge weld,
The other edge of the impact member and the inner panel are welded to form a second edge weld,
The inner panel, and the impact member is a vehicle body having an impac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losed curved cross-sectional spac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dge wel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2070A KR102142282B1 (en) | 2014-10-20 | 2014-10-20 | Vehicle body having impact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2070A KR102142282B1 (en) | 2014-10-20 | 2014-10-20 | Vehicle body having impact memb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6253A KR20160046253A (en) | 2016-04-28 |
KR102142282B1 true KR102142282B1 (en) | 2020-08-07 |
Family
ID=5591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2070A Active KR102142282B1 (en) | 2014-10-20 | 2014-10-20 | Vehicle body having impact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2282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26957A1 (en) | 2001-02-09 | 2004-02-12 | Hans Bodin | Vehicle door and a method to make such a door |
KR100885320B1 (en) | 2001-02-02 | 2009-02-25 | 게스탐프 하르트테크 아베 | Inner panel for vehicle door |
JP2014169032A (en) * | 2013-03-04 | 2014-09-18 | Mazda Motor Corp | Vehicle door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3443U (en) * | 1993-07-01 | 1995-02-16 | Reinforcement bar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ide door | |
KR970020571A (en) * | 1995-10-19 | 1997-05-28 | 전성원 | Multistage door impact bar for cars |
KR970035065A (en) * | 1995-12-28 | 1997-07-22 | 김태구 | Side Rigid Reinforcement Structure of Automobile |
DE19954647C2 (en) * | 1999-11-13 | 2003-12-11 | Benteler Werke Ag | Side impact beams |
SE0400602L (en) * | 2004-03-11 | 2005-06-07 | Ssab Hardtech Ab | Load-bearing part of vehicle door |
KR101090707B1 (en) * | 2009-10-29 | 2011-12-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Door impact beam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it |
-
2014
- 2014-10-20 KR KR1020140142070A patent/KR1021422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5320B1 (en) | 2001-02-02 | 2009-02-25 | 게스탐프 하르트테크 아베 | Inner panel for vehicle door |
US20040026957A1 (en) | 2001-02-09 | 2004-02-12 | Hans Bodin | Vehicle door and a method to make such a door |
KR100857631B1 (en) * | 2001-02-09 | 2008-09-08 | 게스탐프 하르트테크 아베 | Vehicle doo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2014169032A (en) * | 2013-03-04 | 2014-09-18 | Mazda Motor Corp | Vehicle door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6253A (en) | 2016-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19835B1 (en) | Structure for absorbing frontal collision energy of vehicle | |
CN204309904U (en) | A kind of automobile B-column | |
KR102142282B1 (en) | Vehicle body having impact member | |
KR100996589B1 (en) | Car door impact beam | |
KR101252206B1 (en) | Beam bracket for mounting impact beam in door | |
KR20170027212A (en) | Bumper beam for vehicle | |
JP7561021B2 (en) | Vehicle bumper structure | |
KR101689581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
WO2020241666A1 (en) | Impact absorbing body | |
KR20130070358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KR101967109B1 (en) | Integrated Type Impact Bar for a Vehicle Door | |
KR101057986B1 (en) | Bumper Unit for Vehicle | |
KR101252208B1 (en) | Vehicle doors with stiffness against side collisions | |
KR100997375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KR100979649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KR102456470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
KR101336589B1 (en) | Upper stiffener for automotive bumper | |
KR101523851B1 (en) | Front side member with collision avoidance structure for vehicle | |
KR20110109043A (en) | Car door impact beam | |
KR20120076412A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KR101272051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JP7040082B2 (en) | Vampari Information | |
KR20100131817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KR20090132980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KR20170027213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