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0355B1 -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355B1
KR102130355B1 KR1020200007998A KR20200007998A KR102130355B1 KR 102130355 B1 KR102130355 B1 KR 102130355B1 KR 1020200007998 A KR1020200007998 A KR 1020200007998A KR 20200007998 A KR20200007998 A KR 20200007998A KR 102130355 B1 KR102130355 B1 KR 102130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link
guide
variable
guid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금순
Original Assignee
주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순 filed Critical 주금순
Priority to KR102020000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3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00Attaching rim to wheel body
    • B60B23/12Attaching rim to wheel body by devices arranged to permit variation of axial position of rim relative to wheel body for track width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의 저면에 설치되는 메인베이스부재; 상기 메인베이스부재의 양측에 조향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부재;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의 폭을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베이스부재의 전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변조절부재; 상기 가변조절부재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바퀴부재의 폭을 가변시키도록 상기 메인베이스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의 폭이 조절되게 상기 메인베이스부재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링크부재;를 마련하여 트랙터의 경작지 주행 시 두둑의 간격에 따라 트랙터의 전륜 또는 후륜의 폭(또는 윤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트랙터의 주행에 따라 두둑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바퀴부재의 윤거가 조절된 상태에서도 트랙터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Variable width steering of tractor Wheels}
본 발명은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작지에 형성된 두둑의 너비에 따라 바퀴의 폭을 가변시켜 줌으로써 두둑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하면서 주행할 수 있는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작(耕作)에 주로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은 자주식 작업차량이나 후방에 견인식 작업차량를 장착하여 각각의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 중 트랙터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주행에 필요한 바퀴를 구동시키는 주행계 동력과, 농업용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PTO(Power take off)계 동력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은 전륜이 운전자가 조향 핸들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향장치에 의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전륜 차축이 전륜과 직접 결합되는 방식으로는 조향 핸들을 최대한으로 회전시킬 때 전륜의 선회 각도가 60도 이상 선회하지 못하여 조향 핸들을 최대한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농업용 작업차량의 최소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되므로, 농업용 작업차량의 방향 전환시 전,후진을 자주 반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트랙터는 경작물을 심을 수 있도록 두둑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땅을 뒤집어주는 로터리 작업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트랙터는 전륜과 후륜이 각각 소정의 폭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륜과 후륜의 폭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두둑이 형성된 경작지를 주행하는 경우 미리 형성된 두둑에 전륜 또는 후륜이 지나면서 두둑을 망가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는 차체프레임의 전,후방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조향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되고 그 일측에는 휠이 각각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전,후방의 양 회전축을 연결하여 양 회전축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드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 실린더의 로드와 양 회전축을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양 회전축의 조향 각도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게 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트랙터의 조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트랙터의 조향 장치는 운전자의 조향 핸들 조작에 의하여 조향된 조향력을 유압으로 전달받는 조향 실린더에 의하여 트랙터의 전륜을 선회시키는 조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향 실린더는 조향 실린더 본체와 상기 조향 실린더 본체로부터 좌우로 신축되는 좌우 한 쌍의 실린더 로드를 가지면서 전륜 차축 하우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실린더 로드의 양 단부가 각각 스윙 링크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조향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의하여 좌우로 스윙되는 4절 링크 구조를 가지게 하여 상기 전륜이 조향되게 하되, 그 일단이 상기 전륜 차축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향 실린더 본체에 힌지 결합된 고정 링크가 구비되어 상기 조향 실린더가 작동될 때 상기 조향 실린더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는 일정 길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로 되며, 상기 조향 실린더의 조향 각도를 감지하는 장치는 상기 조향 실린더와 나란한 방향으로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실린더 로드의 양단부와 고정 결합된 안내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안내 레일도 이동되어 상기 안내 레일에 형성된 감지턱에 의하여 상기 조향 실린더의 조향 각도를 감지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001796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082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랙터의 전륜 또는 후륜의 전폭(또는 윤거)을 조절할 수 있는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작지에 형성된 두둑의 폭(또는 너비)에 따라 트랙터의 전륜 또는 후륜의 폭을 조절하여 두둑의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는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는 트랙터의 저면에 설치되는 메인베이스부재(100);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양측에 조향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부재(200);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폭을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전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변조절부재(300); 상기 가변조절부재(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바퀴부재(200)의 폭을 가변시키도록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00); 상기 가이드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폭이 조절되게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링크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110); 상기 가변링크부재(5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심축(111); 상기 가이드부재(40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21, 122); 상기 중심축(111)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1, 122)가 안정되게 받쳐지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1, 122)의 저면에 설치되는 중심축고정플레이트(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조절부재(300)는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전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2 고정브래킷(311, 312); 상기 고정브래킷(311, 312)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일에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본체(321, 322); 상기 가이드부재(40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실린더본체(321, 322)에 길이 가변되게 결합되는 피스톤로드(323, 324); 상기 피스톤로드(323, 324)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3, 4 고정브래킷(325, 326);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 내부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411) 및 제2 가이드프레임(4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23, 324)의 작동에 따라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411) 및 제2 가이드프레임(412);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타면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23, 324)의 작동에 따라 소정 각도 선회 또는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가이드프레임(413) 및 제4 가이드프레임(414);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상기 제3 가이드프레임(41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차륜베이스(421);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412)과 상기 제4 가이드프레임(41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차륜베이스(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가변링크부재(500)는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에 고정된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511); 상기 제1 링크(511)와 교차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에 고정된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512); 일측이 상기 제1 링크(511) 및 제2 링크(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1 차륜베이스(4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3 링크(521); 일측이 상기 제1 링크(511) 및 제2 링크(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차륜베이스(4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4 링크(5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에 의하면, 트랙터의 경작지 주행 시 두둑의 간격에 따라 트랙터의 전륜 또는 후륜의 폭(또는 윤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트랙터의 주행에 따라 두둑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바퀴부재의 윤거가 조절된 상태에서도 트랙터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메인베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메인베이스부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가변조절부재, 가이드부재 및 가변링크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바퀴부재와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바퀴부재와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가변링크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가변링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가견조절부재, 가이드부재 및 가변링크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가변조절부재, 가이드부재 및 가변링크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퀴부재의 폭이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퀴부재의 폭이 신장된 상태에서 바퀴부재가 조향되는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퀴부재의 폭이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퀴부재의 폭이 수축된 상태에서 바퀴부재가 조향되는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는 트랙터의 저면에 설치되는 메인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양측에 조향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부재(200)와,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폭을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전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변조절부재(300)와, 상기 가변조절부재(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바퀴부재(200)의 폭을 가변시키도록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00)와, 상기 가이드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폭이 조절되게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링크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는 트랙터(미도시)의 전륜 또는 후륜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바퀴부재(200)와,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일면에 설치되는 가변조절부재(300)와, 상기 가변조절부재(300)에 의해 바퀴부재(200)의 폭을 조절함은 물론 바퀴부재(200)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메인베이스부재(100)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00) 및 상기 가변조절부재(300)에 의해 바퀴부재(20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가변링크부재(500)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메인베이스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메인베이스부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는 소정의 크기로 메인플레이트(11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11)의 중앙에는 중심축(111, 도 3 참조)이 결합되도록 중심구멍(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심구멍(112)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중심축(111)이 안정되게 결합되게 보강플레이트(113)가 고정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양면에는 가이드플레이트(121, 122)에 각각 대응되는 측면판(1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양측에는 트랙터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측면판(115)이 고정되며, 메인플레이트(110)의 상면 및 측면에는 다수의 고정브래킷(116)이 고정된다.
또 상기 측면판(114)에는 메인플레이트(1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조립파이프(117)가 고정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측면판(114)에는 단면 형상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플레이트(121)와 제2 가이드플레이트(122)가 구비된다.
이들 측면판(114) 및 제1 가이드플레이트(121)의 내측에는 가이드부재(400)의 제1 가이드프레임(411) 및 제2 가이드프레임(412)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면판(114)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122)의 내측에는 제3 가이드프레임(413) 및 제4 가이드프레임(414)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제1 가이드플레이트(121)와 제2 가이드플레이트(122)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며, 제2 가이드플레이트(122)는 제1 가이드플레이트(1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411) 및 제2 가이드프레임(412)은 가변조절부재(300)에 의해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3 가이드프레임(413) 및 제4 가이드프레임(414)은 가변조절부재(30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바퀴부재(200)의 조향이 이루어지므로, 가이드프레임(413, 414)이 측면판(114)과 제2 가이드플레이트(122)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제2 가이드프레임(412)은 직선 이동이 되고, 제3 가이드프레임(413) 및 제4 가이드프레임(414)은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하면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플레이트(121)와 제2 가이드플레이트(122)의 저면에는 중심축(111) 및 가이드플레이트(121, 122)를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중심축고정플레이트(123)가 고정되고, 상기 중심축(111)을 지지하면서 중심축(11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싱(124)이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바퀴부재(200)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타이어(211)의 내측에는 휠(212)이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가변조절부재, 가이드부재 및 가변링크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바퀴부재와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바퀴부재와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212)의 일측면에는 드럼(213)이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휠(212)을 회전시키는 드럼축(214)이 설치되며, 상기 드럼(213)의 일측에는 고정판(215)이 고정된다.
상기 드럼축(214)은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럼축(214)의 회전에 의해 타이어(211)가 회전됨으로써 트랙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일면에는 가이드부재(400)의 차륜베이스(421, 422)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일면에는 가변조절부재(300)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조절부재(300)는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일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윤거(또는 폭)를 가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조절부재(300)는 메인베이스부재(100)의 가이드플레이트(121, 122) 내부에 결합된 제1 가이드프레임(411) 내지 제4 가이드프레임(414)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가변조절부재(300)는 메인베이스부재(100)에 설치되는 제1 실린더본체(321)와 제2 실린더본체(322)와, 상기 실린더본체(321, 322)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 2 고정브래킷(311, 312)과, 피스톤로드(323, 324)와 제1, 2 가이드프레임(411, 412) 사이에 고정되는 제3, 4 고정브래킷(325, 326)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11)의 측면판(114)에는 제1 고정브래킷(311)과 제2 고정브래킷(312)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브래킷(311)에는 제1 실린더본체(321)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고정브래킷(312)에는 제2 실린더본체(32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실린더본체(321)에는 길이 가변되는 제1 피스톤로드(323)가 결합되고, 제2 실린더본체(322)에는 길이 가변되는 제2 피스톤로드(324)가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본체(321, 322)는 고정브래킷(311, 31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1 피스톤로드(323)에는 제3 고정브래킷(325)이 설치되고, 제2 피스톤로드(324)에는 제4 고정브래킷(326)이 설치되며, 이들 피스톤로드(323, 324)와 고정브래킷(325, 326)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3 고정브래킷(325)은 메인베이스부재(10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가이드프레임(411)에 고정되고, 상기 제4 고정브래킷(326)은 메인베이스부재(10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가이드프레임(412)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실린더본체(321) 및 제2 실린더본체(322)에는 각각 유압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게 유압라인(327)이 연결됨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제1 실린더본체(321)에 의해 이동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제2 실린더본체(322)에 의해 이동되는 제2 가이드프레임(4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됨은 물론 조향 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가이드프레임(413) 및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412)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됨은 물론 조향 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4 가이드프레임(4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11~414)에는 차륜베이스(421, 4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결합구멍(4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제3 가이드프레임(41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차륜베이스(421)와, 제2 가이드프레임(412)과 제4 가이드프레임(414)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차륜베이스(422)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바퀴부재와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바퀴부재와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400)의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제2 가이드프레임(412)은 제1 가이드플레이트(12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가이드프레임(413)과 제4 가이드프레임(414)은 제2 가이드플레이트(122)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411)의 일측에는 제3 고정브래킷(325)이 고정되고, 제2 가이드프레임(412)의 일측에는 제4 고정브래킷(326)이 고정된다.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411)의 일측에는 제1 차륜베이스(421)가 설치되고, 제2 가이드프레임(412)의 일측에는 제2 차륜베이스(422)가 설치된다.
상기 차륜베이스(421, 422)는 가이드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바퀴부재(200)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퀴부재(20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차륜베이스(421, 422)는 소정의 크기로 베이스플레이트(423)와, 상기 가이드프레임(411~414)을 결합시킬 수 있게 고정되는 상부고정플레이트(424)와, 상기 가이드프레임(411~414)을 결합시킬 수 있게 고정되는 하부고정플레이트(4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3)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424)는 베이스플레이트(423)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425)는 베이스플레이트(423)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들 고정플레이트(424, 425)에는 2개의 플레이트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24, 425)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프레임(411~41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결합구멍(426)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플레이트(424, 425)에는 가변링크부재(50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2 결합구멍(427)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1 결합구멍(426)에는 가이드프레임(411~414)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부싱(428)이 설치되고, 제2 결합구멍(427)에는 가변링크부재(500)가 회전되게 고정축(429)이 설치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가변링크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가변링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차륜베이스(421)와 제2 차륜베이스(412) 사이에는 가변조절부재(400)에 의해 바쿠부재(200)의 폭을 가변시킴은 물론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가변링크부재(500)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링크부재(500)는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중심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511)와, 제2 링크(512) 및 링크(511, 512)와 제1 차륜베이스(421)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링크(521)와, 링크(511, 512)와 제2 차륜베이스(422) 사이에 설치되는 제4 링크(5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링크(511)와 제2 링크(512)는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들 제1 링크(511)와 제2 링크(51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교차되는 "X"자 형상으로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3 링크(521)는 제1 링크(511)에 설치되는 제1 이동링크(521a)와 제2 링크(512)에 설치되는 제2 이동링크(521b)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4 링크(522)는 제1 링크(511)에 설치되는 제3 이동링크(521a)와 제2 링크(512)에 설치되는 제4 이동링크(522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심축(111)과 제1 차륜베이스(421) 사이에는 제1 이동링크(521a)와 제2 이동링크(521b)가 설치되고, 중심축(111)과 제2 차륜베이스(422) 사이에는 제3 이동링크(522a)와 제4 이동링크(522b)가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가견조절부재, 가이드부재 및 가변링크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의 가변조절부재, 가이드부재 및 가변링크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는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일면에 가변조절부재(300)인 제1 실린더본체(321)와 제2 실린더본체(322)를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제1 가이드플레이트(121) 내부에는 가이드부재(400)의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제2 가이드프레임(412)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들 실린더본체(321, 322)와 가이드프레임(411, 412)은 각각 제1 고정브래킷(311)과 제2 고정브래킷(312)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411, 412)은 실린더본체(321, 322)에 결합된 피스톤로드(323, 324)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타면에는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동일하게 이동되는 제3 가이드프레임(413)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412)과 동일하게 이동되는 제4 가이드프레임(414)이 설치된다.
즉,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제3 가이드프레임(413)은 제1 실린더본체(321)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가이드프레임(412)과 제4 가이드프레임(414)은 제2 실린더본체(322)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제3 가이드프레임(413)의 일측에는 제1 차륜베이스(4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가이드프레임(412)과 제4 가이드프레임(414)의 일측에는 제2 차륜베이스(4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차륜베이스(421)는 제1 실린더본체(321)의 구동에 의해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제3 가이드프레임(413)이 동시에 이동됨에 따라 제1 차륜베이스(421)에 설치된 바퀴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차륜베이스(422)는 제2 실린더본체(322)의 구동에 의해 제2 가이드프레임(412)과 제4 가이드프레임(414)이 동시에 이동됨에 따라 제2 차륜베이스(422)에 설치된 바퀴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퀴부재(200)의 폭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실린더본체(321)와 제2 실린더본체(322)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바퀴부재(2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륜베이스(321, 322)의 외측에는 바퀴부재(200)가 각각 설치되고, 제1 차륜베이스(421)와 제2 차륜베이스(422) 사이에는 제1 실린더본체(321)와 제2 실린더본체(322)에 의해 회전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링크부재(500)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링크부재(500)는 중심축(111)에 제1 링크(511)와 제2 링크(512)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제1 링크(511)와 제2 링크(51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X"자 형상으로 중심축(111)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실린더본체(321)에 의해 제1 링크(511)가 회전될 때 중심축(111)을 기준으로 제1 이동링크(521a)와 제2 이동링크(522a)가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바퀴부재(200)를 조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실린더본체(322)에 의해 제2 링크(512)가 회전될 때 중심축(111)을 기준으로 제2 이동링크(521b)와 제4 이동링크(522b)가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바퀴부재(200)를 조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폭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제1 실린더본체(321)와 제2 실린더본체(322)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이에 가변링크부재(500)의 제1 링크(511)와 제2 링크(512)가 동일하게 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링크(511)와 제2 링크(512)에 결합된 제3 링크(521)와 제4 링크(522)는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되어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200)를 조향하는 경우에는 제1 실린더본체(321) 또는 제2 실린더본체(322)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바퀴부재(200)의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퀴부재의 폭이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퀴부재의 폭이 신장된 상태에서 바퀴부재가 조향되는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5는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양측에 설치된 바퀴부재(200)의 간격을 최대로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바퀴부재(200)가 최대한 이격된 상태에서 조향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본체(321) 및 제2 실린더본체(322)에 결합된 피스톤로드(323, 324)는 유압라인(327)을 통해 공급된 유압에 의해 실린더본체(321, 322)로부터 출몰하여 신장된다.
이에 간격조절부재(300)인 제1 가이드프레임(411) 및 제3 가이드프레임(413)은 도 15의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가이드프레임(412) 및 제4 가이드프레임(414)은 도 15의 도면상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차륜베이스(421, 422) 및 바퀴부재(200)의 간격을 최대 거리만큼 이격시키게 된다.
이러한 바퀴부재(200)의 이격 거리는 트랙터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두둑의 간격에 따라 바퀴부재(200)의 간격이 조절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바퀴부재(200)가 최대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조향을 하게 되면 트랙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 실린더본체(321) 또는 제2 실린더본체(322)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된다.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실린더본체(322)의 제2 피스톤로드(324)를 실린더본체(321)로 인입시키면, 제2 차륜베이스(422)는 결합구멍(415)에 결합된 고정축(429)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 가이드프레임(412)은 메인베이스부재(100)를 향해 내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가이드플레이트(122)에 결합된 제4 가이드프레임(414)은 제2 차륜페이스(422)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함께 제4 링크(522)인 제3 이동링크(522a)와 제4 이동링크(522b)는 차륜베이스(42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중심축(111)에 결합된 제1 링크(511)와 제2 링크(51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제1 링크(511)와 제2 링크(512)에 결합된 제3 링크(521)인 제1 이동링크(521a)와 제2 이동링크(521b)를 제4 링크(522)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4 링크(522)는 제3 링크(521)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차륜베이스(422)를 제1 차륜베이스(421)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제1 차륜베이스(421)와 제2 차륜베이스(422)에 결합된 한 쌍의 바퀴부재(200)를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실린더본체(321)의 구동에 의해 제1 가이드프레임(411)을 중심축(11) 방향으로 인입시키면 한 쌍의 바퀴부재(200)를 도 16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퀴부재의 폭이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퀴부재의 폭이 수축된 상태에서 바퀴부재가 조향되는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가변조절부재(300)에 의해 바퀴부재(200)의 이격 거리를 최소의 거리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피스톤로드(323, 324)를 실린더본체(321, 322)의 내측으로 인입시키면, 각각 제1 차륜베이스(421)와 제2 차륜베이스(422)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에 바퀴부재(200)의 간격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바퀴부재(20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2 실린더본체(322)의 피스톤로드(324)를 인출시키면 제2 차륜베이스(422)가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다.
이에 제4 링크(522)가 이동면서 제1 링크(511) 및 제2 링크(512)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함께 제3 링크(521)를 이동시켜 제1 차륜베이스(421)를 제2 차륜베이스(422)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차륜베이스(421)와 제2 차륜베이스(422)를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켜 바퀴부재(2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메인베이스부재 110: 메인플레이트
111: 중심축 112: 중심구멍
114: 측면판 115: 상부측면판
121: 제1 가이드플레이트 122: 제2 가이드플레이트
123: 중심축고정플레이트 124: 부싱
200: 바퀴부재 211: 타이어
212: 휠 213: 드럼
214: 드럼축 215: 고정판
300: 가변조절부재 311: 제1 고정브래킷
312: 제2 고정브래킷 321: 제1 실린더본체
322: 제2 실린더본체 323: 제1 피스톤로드
324: 제2 피스톤로드 325: 제3 고정브래킷
326: 제4 고정브래킷 327: 유압라인
400: 가이드부재 411: 제1 가이드프레임
412: 제2 가이드프레임 413: 제3 가이드프레임
414: 제4 가이드프레임 415: 결합구멍
421: 제1 차륜베이스 422: 제2 차륜베이스
423: 베이스플레이트 424: 상부고정플레이트
425: 하부고정플레이트 426: 제1 결합구멍
427: 제2 결합구멍 428: 부싱
429: 고정축
500: 가변링크부재 511: 제1 링크
512: 제2 링크 521: 제3 링크
521a: 제1 이동링크 521b: 제2 이동링크
522: 제4 링크 522a: 제3 이동링크
522b: 제4 이동링크

Claims (5)

  1. 트랙터의 저면에 설치되는 메인베이스부재(100);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양측에 조향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부재(200);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폭을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전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변조절부재(300);
    상기 가변조절부재(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바퀴부재(200)의 폭을 가변시키도록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00);
    상기 가이드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바퀴부재(200)의 폭이 조절되게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링크부재(500);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조절부재(300)는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전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2 고정브래킷(311, 312);
    상기 고정브래킷(311, 312)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본체(321, 322);
    상기 가이드부재(40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실린더본체(321, 322)에 길이 가변되게 결합되는 피스톤로드(323, 324);
    상기 피스톤로드(323, 324)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3, 4 고정브래킷(325, 326);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로드(323, 324)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부재(400)의 제1 가이드프레임(411) 및 제2 가이드프레임(412)이 직선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110);
    상기 가변링크부재(5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심축(111);
    상기 가이드부재(40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21, 122);
    상기 중심축(111)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1, 122)가 안정되게 받쳐지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1, 122)의 저면에 설치되는 중심축고정플레이트(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23, 324)의 작동에 따라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411) 및 제2 가이드프레임(412);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의 타면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23, 324)의 작동에 따라 소정 각도 선회 또는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가이드프레임(413) 및 제4 가이드프레임(414);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411)과 상기 제3 가이드프레임(41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차륜베이스(421);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412)과 상기 제4 가이드프레임(41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차륜베이스(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크부재(500)는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에 고정된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511);
    상기 제1 링크(511)와 교차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재(100)에 고정된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512);
    일측이 상기 제1 링크(511) 및 제2 링크(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1 차륜베이스(4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3 링크(521);
    일측이 상기 제1 링크(511) 및 제2 링크(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차륜베이스(4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4 링크(5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KR1020200007998A 2020-01-21 2020-01-21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Active KR10213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998A KR102130355B1 (ko) 2020-01-21 2020-01-21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998A KR102130355B1 (ko) 2020-01-21 2020-01-21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355B1 true KR102130355B1 (ko) 2020-07-06

Family

ID=7157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998A Active KR102130355B1 (ko) 2020-01-21 2020-01-21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31004A1 (en) * 2017-07-12 2020-07-23 Axletech International Ip Holdings, Llc Adjustable Axle Assembly For A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226A (ko) 2011-03-23 2012-10-05 대호 (주) 트랙터의 조향 장치
US20130062133A1 (en) * 2010-05-17 2013-03-14 Jaxa Networks Vehicle having variable track
KR20180035562A (ko) * 2016-09-29 2018-04-06 (주)드림티엔에스 가변식 액슬 장치를 구비한 트레일러형 사다리차
KR20200001796A (ko)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2133A1 (en) * 2010-05-17 2013-03-14 Jaxa Networks Vehicle having variable track
KR20120108226A (ko) 2011-03-23 2012-10-05 대호 (주) 트랙터의 조향 장치
KR20180035562A (ko) * 2016-09-29 2018-04-06 (주)드림티엔에스 가변식 액슬 장치를 구비한 트레일러형 사다리차
KR20200001796A (ko)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31004A1 (en) * 2017-07-12 2020-07-23 Axletech International Ip Holdings, Llc Adjustable Axle Assembly For A Vehicle
US11560017B2 (en) * 2017-07-12 2023-01-24 Axletech International Ip Holdings, Llc Adjustable axle assembly for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314B2 (en) Multi-configurable tractor
EP1892177B1 (en) Oscillating tandem steer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US6116362A (en) Articulated vehicle
US6176334B1 (en) Adjustable track suspension
CN111247055B (zh) 作业车
US7971886B2 (en) Steering for towed implements
US8033376B2 (en) Steerable conveyor
RU2008113625A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машина
JPS60226358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機構
KR102130355B1 (ko) 트랙터 바퀴의 가변폭 조향장치
US8109531B2 (en) Push-steer implement hitch
US4232775A (en) Structural and operational improvements for a two row harvester and piler
BR112020014192A2 (pt) trator articulado que tem um engate melhorado e método de controle do mesmo
US20230286601A1 (en) Tracked vehicle
ES2338552T3 (es) Tractor articulado con ruedas delanteras de direccion.
KR102727861B1 (ko) 농업용 4륜차의 볼 스크루를 이용한 윤거가변장치
CA2374267C (en) Towing device for an agricultural apparatus
US6840345B2 (en) Steering system for vehicle with four drive wheels
JP2021098475A (ja) 作業機
JP2000296790A (ja) 三輪式の乗用型管理作業車
CA2725261C (en) Steerable conveyor
JP7236989B2 (ja) 作業車
KR20190134127A (ko) 농업용 운반기의 궤도바퀴 가변장치
US4865343A (en) Steering mechanism for a vehicle
JP2881904B2 (ja) 苗植機等の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