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8695B1 - 원 컵 블렌더 - Google Patents

원 컵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695B1
KR102128695B1 KR1020200010793A KR20200010793A KR102128695B1 KR 102128695 B1 KR102128695 B1 KR 102128695B1 KR 1020200010793 A KR1020200010793 A KR 1020200010793A KR 20200010793 A KR20200010793 A KR 20200010793A KR 102128695 B1 KR102128695 B1 KR 102128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ontainer
sealing
blender
wa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심
Original Assignee
김복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심 filed Critical 김복심
Priority to KR102020001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6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 컵 블렌더는, 혼합 대상물인 내용물과 얼음의 분쇄 혼합에 따른 오염과 냄새 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일회용 컵에 내용물과 얼음을 넣고 컵이 밀폐되고 상하로 이동되는 분쇄날에 의해 사각형상의 보호 케이스에 의해 내용물의 비산을 차단한 후 내용물과 얼음을 분쇄 혼합할 수 있으며, 블렌딩 후에 컵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컵에 있는 내용물들의 블렌딩 후에 분쇄날의 세척이 고온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블렌딩 과일 음료의 제조 효율이 높고, 분쇄날의 사용 후에 분쇄날의 오염과 세균 번식이 차단되므로, 위생의 장점이 높고 여러 가지 과일 음료의 제조에서 그 고유한 과일 맛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 컵 블렌더{ONE CUP BLENDER}
본 발명은 원 컵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일회용 컵에 액상과 얼음이나 과일 등의 내용물을 넣고 분쇄하여 혼합시킬 수 있는 원 컵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호의 다양성에 따른 변화로 커피와 더불어 블렌더를 활용한 각종음료 시장이 커지고 있다.
블랜더를 활용한 음료의 내용물로서 생과일, 냉동과일, 농축과일 액상, 얼음과 물 또는 우유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일정 농도 이상의 과일 맛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원 컵 블렌더는 일회용 컵에 과일과 액상 및 얼음을 넣고 혼합하여 일반 음료, 아이스 음료 및 셔벗 등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명의 원 컵 블렌더의 하나로는, 본체의 상부에 이동할 수 있는 모터 고정 장치에 장착된 분쇄날이 본체의 하부에 놓인 내용물이 담긴 일회용 컵 홀더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있다.
기존 블렌더는, 블렌더볼에 고정된 칼날을 본체의 커플링에 결합하여 내용물을 분쇄 처리한 후, 일회용 컵이나 다른 용기로 내용물을 옴겨 담아 사용하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 재사용하는 때에, 블랜더볼 내의 분쇄날 뒤면에 이전 내용물이 그대로 묻어 있어 오염되거나 악취가 있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번 블렌더 볼을 사용 후에 분쇄날을 분리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사용자는 분쇄날을 매번 분리하여 세척할 수가 없고, 분리하는 과정과 세척시에 날카로운 부분에 다칠수 있어 물로 행구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세척방법이었다. 이로인해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블렌더 볼에서는 악취가 발생하고 비위생적인 문제로, 소비자로부터 컴플레인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분쇄날에 과일 찌꺼기나 과일 분말이 끼어 있고, 오래 방치되는 경우에는 세균이 번식하여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고, 과일 음료의 블렌딩 후에 맛의 변질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컵에 있는 내용물들의 블렌딩 후에 분쇄날의 세척이 고온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블렌딩 과일 음료의 제조 효율이 높고, 분쇄날의 사용 후에 분쇄날의 오염과 세균 번식이 차단되므로, 위생의 장점이 높고 여러 가지 과일 음료의 제조에서 그 고유한 과일 맛을 유지하게 만드는 원 컵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 컵 블렌더는, 바닥부가 배수 기능을 갖도록 마련된 블렌더 본체; 상기 블렌더 본체의 전면 일부에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컵 용기에 담긴 내용물들을 분쇄하도록 상하 일정구간에서 작동되는 분쇄날을 구비한 분쇄기; 상기 블렌더 본체의 전면부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분쇄기와 함께 설치되되, 상기 분쇄기의 분쇄날 작동 이전에 상기 컵 용기 측으로 하강되어 컵 용기의 상면부에 밀착됨으로써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차단시키는 밀폐수단; 상기 분쇄기와 밀폐수단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 상기 블렌더 본체의 바닥부 상에 인출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설치하며, 컵 용기가 위치 고정되는 컵 홀더와, 컵 용기를 수용하여 세척시키는 세척 노즐이 있는 세척통를 구비한 컵 트레이; 상기 블렌더 본체의 전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컵 트레이의 상면부에 접촉되어 상기 컵 홀더에 있는 컵 용기에 대한 내용물들의 분쇄 과정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분쇄 스크린; 상기 세척통과 연결되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세척수 라인의 개폐 단속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히터 보일러; 및 상기 분쇄기, 상하 이동수단, 및 히터 보일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블렌더 본체의 상부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블렌더 본체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스크류 환봉; 상기 스크류 환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 상기 블렌더 본체에서 상기 스크류 환봉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하 가이드; 및 상기 블렌더 본체의 하부에 평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 환봉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밀폐수단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스토퍼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기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스크류 환봉에 나선 결합되며, 상기 분쇄날이 상기 밀폐수단을 통과하여 컵 용기의 내부로 위치하며,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분쇄기와 함께 하방 이동하도록 상기 분쇄기에 연결되되, 상기 가이드 스토퍼 패널에 걸리어 그 하방 이동이 일정 거리로 제한되며, 상기 분쇄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탄력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분쇄기는, 분쇄모터; 상기 분쇄모터가 상부에서 하부로 수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하 가이드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밀폐수단이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부조; 및 상기 부조에서 상기 분쇄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분쇄날이 하단부에 결합되는 분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가이드 스토퍼 패널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폐통; 상기 밀폐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호통; 상기 이동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이동부에 걸림되며, 하단부가 상기 밀폐통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 패널에 걸리면서 상기 밀폐통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한 쌍의 밀폐 가이드; 상기 한 쌍의 밀폐 가이드에 연결되는 승강 스프링 가이드; 상기 밀폐통의 상부에서 상기 부조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단부가 상기 이동부의 저면부에 지지되며, 하단부가 상기 승강 스프링 가이드에 접촉되는 승강 스프링; 및 상기 밀폐통의 하부에 설치되며,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는, 컵 용기의 상부 개구에 차단하는 제1 밀폐면과 상기 제1 밀폐면과 다른 높이에서 단턱을 형성하는 제2 밀폐면을 구비한 실리콘 고무부재로 마련되며, 상기 실리콘 고무부재의 상부가 상기 밀폐통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히터 보일러는, 급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세척통과 연결되는 보일러 본체; 및 상기 보일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발열하는 히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보일러 본체와 세척통 사이에 세척 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보일러 본체에서 상기 세척통 측으로 급수를 단속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세척 라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 컵 블렌더는, 상기 분쇄 스크린이 상기 컵 트레이 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기는 상기 분쇄 스크린이 하강되어 상기 컵 용기와 분쇄날을 스크린한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컵에 있는 내용물들의 블렌딩 후에 분쇄날의 세척이 고온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블렌딩 과일 음료의 제조 효율이 높고, 분쇄날의 사용 후에 분쇄날의 오염과 세균 번식이 차단되므로, 위생의 장점이 높고 여러 가지 과일 음료의 제조에서 그 고유한 과일 맛을 유지하게 만드는 원 컵 블렌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 컵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렌더 본체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렌더 본체의 일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상하 이동수단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블록과 히터 보일러 및 그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 컵 블렌더의 블렌더 본체를 단면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쇄 동작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분쇄기와 밀폐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컵 트레이의 인출 및 분쇄날 세척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환형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히터 보일러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 컵 블렌더는, 혼합 대상물인 내용물과 얼음의 분쇄 혼합에 따른 오염과 냄새 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일회용 컵에 내용물과 얼음을 넣고 컵이 밀폐되고 상하로 이동되는 분쇄날에 의해 사각형상의 보호 케이스에 의해 내용물의 비산을 차단한 후 내용물과 얼음을 분쇄 혼합할 수 있으며, 블렌딩 후에 컵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원 컵 블렌더의 분쇄날 세척은 분쇄날이 세척통에 수용된 상태에서 노즐에서 물이 분사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세척수는 세척통 바닥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될 뿐만 아니라, 본체 배후에 히터 보일러가 설치됨으로써 고온수 세척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 컵 블렌더는, 블렌더 본체(10), 분쇄기(20), 밀폐수단(30), 상하 이동수단(40), 컵 트레이(50), 분쇄 스크린(60), 히터 보일러(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블렌더 본체(10)는 바닥부가 배수 기능을 갖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전면 커버(11), 측면 커버(12), 상부 커버(13), 배면 커버(14), 및 전면 커버(11)와 측면 커버(12) 그리고 배면 커버(14)가 기립 설치되며 배수부(16)가 내측에 마련되는 베이스 블록(15)을 포함한다.
블렌더 본체(10)의 내부에는, 내부 패널로서 각종 움직임 구동과 센싱 및 가이드 요소들이 설치되는 상부 패널 홀더(17)과 사이드 패널 홀더(18)가 구성된다.
분쇄기(20)는 블렌더 본체(10)의 전면 일부에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컵 용기에 담긴 내용물들을 분쇄하도록 상하 일정구간에서 작동되는 분쇄날(21)을 구비한 것이다.
분쇄기(20)는 상하 이동수단(40)에 의해 밀폐수단(30)과 함께 컵 용기 측으로 하강되며, 분쇄날(21)이 상하 일정 구간씩 왕복 승강되면서 컵 용기에 있는 내용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다.
분쇄기(20)의 분쇄날(21)은 분쇄 작동 동안에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되며, 얼음과 과일 알갱이나 조각들을 충분히 절단 분쇄할 수 있는 속도와 토크를 제공하도록 고속 회전된다.
분쇄기(20)는 분쇄날(21)에 연결되는 분쇄모터(22), 분쇄모터(22)가 상부에서 하부로 수용되어 설치되며 상하 가이드(46)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밀폐수단(30)이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는 이동부(23), 이동부(23)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부조(24), 및 부조(24)에서 분쇄모터(22)에 커플링 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분쇄날(21)이 하단부에 결합되는 분쇄축(25)을 포함한다.
분쇄기(20)는 상하 이동수단(40)의 구동모터(41)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이동부(23)가 블렌더 본체(10)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된다. 이에 따라 분쇄축(25)과 분쇄날(21)이 밀폐수단(30)의 내부에서 컵 용기 측으로 내려온다. 분쇄날(21)은 구동모터(41)에 의해 상하 일정구간을 이동하면서 컵 용기에 있는 내용물을 분쇄시킨다.
밀폐수단(30)은 블렌더 본체(10)의 전면부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분쇄기(20)와 함께 설치되며, 분쇄기(20)의 분쇄날(21) 작동 이전에 컵 용기 측으로 하강되어 컵 용기의 상면부를 폐쇄하도록 밀착됨으로써 분쇄날(21)의 분쇄 작업 동안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차단시킨다.
밀폐수단(30)은 가이드 스토퍼 패널(47)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폐통(31), 밀폐통(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호통(32), 이동부(2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부가 이동부(23)에 걸림되는 한 쌍의 밀폐 가이드(33)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밀폐 가이드(33)는 하단부가 밀폐통(31)의 양측에 결합되며 가이드 스토퍼 패널(47)에 걸리면서 밀폐통(31)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밀폐 가이드(33)는 밀폐통(31)의 양측에서 수평 결합되며 수직으로 뻗어 있는 형상으로서, 수평 및 수직의 절곡 형상이 마련된다.
밀폐통(31)은 밀폐 가이드(33)의 절곡 형상에 따른 굴절부(34)가 가이드 스토퍼 패널(47)에 접촉되어 걸릴 때까지 상하 이동수단(40)에 의해 하강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승강 스프링(36)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밀폐통(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밀폐부(37)는 컵 용기를 차단한다.
밀폐수단(30)은 한 쌍의 밀폐 가이드(33)에 연결되는 승강 스프링 가이드(35), 밀폐통(31)의 상부에서 부조(24)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단부가 이동부(23)의 저면부에 지지되며 하단부가 승강 스프링 가이드(35)에 접촉되는 승강 스프링(36), 및 밀폐통(31)의 하부에 설치되며,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37)를 더 포함한다.
승강 스프링 가이드(35)는 밀폐 가이드(33)에 결합되어 있으며, 분쇄모터(22)가 수용된 이동부(23)에 의해 가압되는 승강 스프링(36)에 의해 가압된다. 이에 따라 밀폐 가이드(33)에 연결된 밀폐통(31)과 밀폐부(37)는 컵 용기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밀폐부(37)는 컵 용기의 상부 개구에 차단하는 제1 밀폐면(38)과 제1 밀폐면(38)과 다른 높이에서 단턱을 형성하는 제2 밀폐면(39)을 구비한 실리콘 고무부재로 마련되며, 실리콘 고무부재의 상부가 밀폐통(31)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밀폐면(38)은 컵 용기의 차단에 사용되며, 제2 밀폐면(39)은 후술되는 분쇄날(21)을 위한 세척통(55)의 차단에 사용된다.
상하 이동수단(40)은 블렌더 본체(10)에 후방 측에 분쇄기(20)의 상하 이동을 위해 설치되며, 분쇄기(20)와 밀폐수단(30)을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하 이동수단(40)은, 블렌더 본체(10)의 상부 내부에 있는 상부 패널 홀더(17)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 구동모터(41)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동풀리(42), 및 구동모터(41)에 의해 회전되도록 블렌더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스크류 환봉(43)를 포함한다.
상하 이동수단(40)은 스크류 환봉(43)의 상부에 결합되는 종동풀리(44), 구동풀리(42)와 종동풀리(44)를 연결하는 벨트(45), 블렌더 본체(10)에서 스크류 환봉(43)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하 가이드(46), 및 블렌더 본체(10)의 하부에 평평하게 설치되며 스크류 환봉(43)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밀폐수단(3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스토퍼 패널(47)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스토퍼 패널(47)에는 밀폐수단(30)의 밀폐통(31)이 상하 이동되기 위한 통로부(48)가 마련되며, 밀폐 가이드(33)의 굴절부(34)가 지지되기 위한 지지홈부(49)가 통로부(48)에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 이동수단(40)이 구성됨에 따라, 분쇄기(20)의 일부는 구동모터(41)에 의해 상하 이동되도록 스크류 환봉(43)에 나선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 이동수단(40)에 의해 구동에 의해 분쇄날(21)이 밀폐수단(30)을 통과하여 컵 용기의 내부로 위치한다. 밀폐수단(30)은 분쇄기(20)와 함께 하방 이동하도록 분쇄기(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스토퍼 패널(47)에 걸리어 그 하방 이동이 일정 거리로 제한되고, 분쇄기(20)에 의해 가압되면서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탄력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컵 트레이(50)는 블렌더 본체(10)의 바닥부인 베이스 블록(15) 상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설치하며, 컵 용기가 위치 고정되는 컵 홀더(51)와, 컵 용기를 수용하여 세척시키는 세척 노즐(56)이 있는 세척통(55)를 구비한 것이다.
분쇄 스크린(60)은, 스크린 가이드(61)에 의해 블렌더 본체(10)의 전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컵 트레이(50)의 상면부에 접촉되어 컵 홀더(51)에 있는 컵 용기에 대한 내용물들의 분쇄 과정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것이다.
분쇄 스크린(60)은 내부 투시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분쇄 스크린(60)은 분쇄기(20)의 분쇄날(21)이 컵 용기 측으로 내려오기 전에 컵 트레이(50) 상의 분쇄 작업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컵 트레이(50) 측으로 이동되며, 분쇄물의 비산이나 분쇄날(21)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분쇄 작업의 완료 후에 분쇄 스크린(60)은 분쇄 작업 공간을 개방하도록 스크린 가이드(61)를 따라 위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히터 보일러(70)는 세척통(55)과 연결되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라인(71)을 구비하며, 세척수 라인(71) 측으로 급수의 개폐 단속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72)를 구비한 것이다.
히터 보일러(70)는 급수관(73)이 연결되며 세척통(55)과 연결되는 보일러 본체(75), 및 보일러 본체(75)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발열하는 히터 라인(76)을 포함한다. 히터 라인(76)은 나선형 또는 반원으로 연결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히터 보일러(70)는 급수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구조로서, 기본적으로 히터 라인(76)과 같은 내부 히터와 급수된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급수구와 배출구가 마련된 보일러 본체(75)를 구비하며, 물을 수용하고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히터 보일러(70)는 후술되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일러 본체(75)와 세척통(55) 사이에 세척 라인이 설치되며, 보일러 본체(75)에서 세척통(55) 측으로 급수를 단속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72)가 세척 라인에 설치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72)가 개방됨에 따라 보일러 본체(75)에서 가열된 고온수가 세척 라인을 따라 세척통(55)의 세척 노즐(56)로 공급되며, 세척 상태에서 세척통(55)에 위치하는 분쇄날(21)은 회전 작동되면서 고온수에 의해 살균 세척될 수 있다.
분쇄 스크린(60)은 분쇄날(21)의 세척 작업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분쇄기(20), 상기와 같은 분쇄기(20), 상하 이동수단(40), 및 히터 보일러(70)의 작동을 그 작동 상태에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분쇄기(20)는 분쇄 스크린(60)이 하강되어 컵 용기와 분쇄날(21)을 스크린한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후술되는 스크린 감지부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실시예에 따른 원 컵 블렌더는, 컵에 있는 내용물들의 블렌딩 후에 분쇄날의 세척이 고온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블렌딩 과일 음료의 제조 효율이 높고, 분쇄날의 사용 후에 분쇄날의 오염과 세균 번식이 차단되므로, 위생의 장점이 높고 여러 가지 과일 음료의 제조에서 그 고유한 과일 맛을 유지하게 만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 컵 블렌더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 컵 블렌더는, 바닥부(105)가 배수 기능을 갖도록 마련된 블렌더 본체(100), 블렌더 본체의 전면 일부에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분쇄기(110), 컵 용기(10) 측으로 하강되어 컵 용기(10)의 상면부에 밀착됨으로써 컵 용기(10)의 상부 개구를 차단시키는 밀폐수단(120), 분쇄기(110)와 밀폐수단(120)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130), 컵 용기(10)가 놓이도록 인출되며 분쇄기(110)의 세척을 수행하는 컵 트레이(140), 분쇄 과정의 안전을 제공하는 분쇄 스크린(145),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보일러(150) 및 상기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블렌더 본체(100)는 전면부(101)가 분쇄기(110)의 설치를 위해서 돌출된 형태로 조립되며, 상부 개방되도록 커버(102)가 있으며, 바닥부(105)가 배수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블렌더 본체(100)는 박스 형상의 철재 케이스로서, 바닥부(105)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한다. 실질적으로 철재 케이스가 플라스틱 바닥부(105) 상에 조립된 구조이다.
분쇄기(110)는 컵 용기(10)에 담긴 내용물들을 분쇄하도록 하점의 일정 위치에서 작동되는 분쇄날(111)을 구비한 것이다.
분쇄기(110)는 밀폐수단(120)에 의해 컵 용기(10)가 밀폐된 상태에서, 분쇄날(111)을 컵 트레이(140) 상에 놓인 컵 용기(10) 측으로 하강시키며, 분쇄 스크린(145)에 의해 외부와 차단이 이루어지면, 분쇄날(111)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분쇄기(110)는 블렌더 본체(100)의 전면부(101)에 위치하는 분쇄모터(112), 분쇄모터(112)에 상하로 연결된 분쇄축(115), 및 분쇄축(115)에 설치 결합된 분쇄날(111)을 포함한다.
분쇄기(110)는 상하 이동수단(130)에 의해 밀폐수단(120)이 먼저 컵 용기(10) 측으로 내려온 후, 분쇄축(115)에 있는 분쇄날(111)이 상하 이동수단(130)에 의해 컵 용기(10) 내로 하강되도록 동작된다.
분쇄날(111)은 분쇄되는 내용물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맞춤 제작되며 교환 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밀폐수단(120)은 블렌더 본체(100)의 전면부(101)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분쇄기(110)와 함께 설치된 것으로서, 분쇄기(110)의 분쇄날(111) 작동 이전에 컵 용기(10)를 밀폐시키도록 작동된다.
밀폐수단(120)은 분쇄날(111)에 의한 분쇄 과정에서 내용물들이 컵 용기(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밀폐수단(120)은 제1 이동부(133)에 결합되며 블렌더 본체(100)의 전면부(10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분쇄기(110)를 감싸는 밀폐통(121), 및 밀폐통(121)의 하부에 결합되며 컵 용기(10)의 상면부에 밀착되며, 분쇄날(111)이 통과 가능한 개구부가 마련된 밀폐부(123)를 포함한다.
밀폐부(123)는, 컵 용기(10)의 상부 개구에 차단하는 제1 밀폐면(125)과 세척통(142)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는 제2 밀폐면(126)을 구비한 실리콘 고무부재(127)로 마련되며, 실리콘 고무부재(127)는 제1 밀폐면(125)과 제2 밀폐면(126)이 다른 높이에서 단턱을 형성하며, 밀폐통(121)의 하단부에는 실리콘 고무부재(127)의 상부가 지지되는 환형 플랜지(128)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렌더 본체(100)의 전면부(101)에는 밀폐통(121)의 상하 안내를 위한 원형 통로(129)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렌더 본체(100)에는 분쇄기(110)와 밀폐수단(120)을 상하로 각각 작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130)과 컵 용기(10)를 놓고 분쇄를 수행할 수 있는 컵 트레이(140)가 설치된다.
상하 이동수단(130)은, 분쇄기(110)와 밀폐수단(120)에 각각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하 이동수단(130)은 밀폐수단(120)의 상하 이동을 위한 제1 구동모터(131), 제1 구동모터(131)에 의해 구동되며 밀폐수단(120)의 상하 이동을 위한 제1 스크류(132), 제1 스크류(132)에 나선 결합되며 밀폐수단(120)이 설치되는 제1 이동부(133), 제1 이동부(13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134), 분쇄기(110)의 상하 이동을 위한 제2 구동모터(135), 제2 구동모터(135)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스크류(136), 및 제2 스크류(136)에 나선 결합되며 밀폐수단(12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분쇄기(110)가 연결된 제2 이동부(137), 제2 이동부(137)의 안내를 위한 제2 가이드(138)을 포함한다.
제1 구동모터(131)는 블렌더 본체(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며, 제1 스크류(132)와 벨트와 풀리의 조합으로 연결된다.
제1 스크류(132)는 블렌더 본체(100)의 전면부(101)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제1 구동모터(131)에 의해 회전되어 제1 이동부(13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동부(133)는 밀폐통(1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에 의해 상하로 안내 이동된다.
제2 구동모터(135)는 제1 구동모터(131)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스크류(132)를 관통하여 제1 이동부(133)의 하부로 연장된 제2 스크류(136)에 직결되거나 벨트 및 풀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크류(136)는 제1 이동부(133)의 하부에서 밀폐통(121)에 위치하는 제2 이동부(137)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2 이동부(137)에 연결된 분쇄모터(112)가 상하로 이동된다.
제1 구동모터(131)과 제2 구동모터(135)는 분쇄기(110)와 함께 밀폐수단(12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함께 구동될 수 있으며, 제2 구동모터(135)는 밀폐수단(120)의 내부에서 분쇄기(110)를 하강시키기 위해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분쇄기(110)는 제2 구동모터(135)에 의해 정역 구동에 의해 컵 용기(10)나 세척통(142)의 일정거리 상하로 동작될 수 있다.
분쇄기(110)는 분쇄 과정에서 상하로 일정 거리 상하 이동되면서 내용물을 분쇄하거나, 세척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모터(131)과 제2 구동모터(135)와 그 연결된 각각의 스크류 및 이동부의 배치구조는, 분쇄기(110)와 밀폐수단(120)을 그 역할에 대응하여 적절히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설계 변형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제2 구동모터(135)는 제1 이동부(133) 상에 설치되고 벨트와 풀리로 제2 스크류(138)에 연결되도록 제2 스크류(138)가 변형 설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제2 구동모터(135)는 밀폐통(121)에 설치되는 리니어 모터나 리니어 스크류 모터로 대체 가능하다.
이처럼, 상하 이동수단(130)은 분쇄기(110)와 함께 밀폐수단(120)을 이동시키거나 각각 별도로 이동시키며, 분쇄기(110)의 분쇄날(111)을 상하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면 충분하다.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컵 트레이(140)는 블렌더 본체(100)의 바닥부(105) 상에 인출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설치하며 컵 용기(10)가 위치 고정되는 원형의 컵 홀더(141)와, 컵 용기(10)를 수용하여 세척시키는 세척 노즐(143)이 있는 세척통(142)를 구비한 것이다.
세척통(142)의 세척 노즐(143)은, 한 쌍 이상으로 마련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수직 라인에 대해 45 이내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세척 노즐(143)의 설치 양상은 회전되거나 고정된 분쇄날(111)의 세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세척통(142)에는 환형관(144)이 배치되며, 세척 노즐(143)은 환형관(144)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환형관(144)의 환형 배치 세척 노즐(143)은 분쇄날(111)을 구석구석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통(142)에서 환형관(144)에 의해 분쇄날(111)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경우, 세척통(142)의 상부 개구는 밀폐부(123)에 의해 폐쇄된다.
환형관(144)에는 히터 보일러(150)에 가열된 고온수가 공급된다. 고온수는 세척 노즐(143)을 통해 분쇄날(111) 측으로 분사되어 분쇄날(111)을 살균 세척할 수 있다.
분쇄날(111)의 세척 시간은 제어부(160)에 구현되며, 버튼이나 타이머로 설정될 수 있다.
컵 트레이(140)의 하부에는 배수 통로가 마련되되, 세척통(142)의 하부에는 배수 통로에 연결되는 경사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 배수구는 배수 통로 측으로 세척을 마친 세척수를 원만하게 안내하여 배수시킬 수 있다.
도 7과 도 8 및 도 10를 참조하면, 블렌더 본체(100)에는, 분쇄 스크린(145), 히터 보일러(150), 및 제어부(160)가 설치된다.
분쇄 스크린(145)은 블렌더 본체(100)의 전면부(10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컵 트레이(140)의 상면부에 접촉되어 컵 홀더(141)에 있는 컵 용기(10)에 대한 내용물들의 분쇄 과정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것이다.
분쇄 스크린(145)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 형상의 투명 케이스로 마련되며, 블렌더 본체의 전면부(101)에는 투명 케이스의 상하 안내를 위한 스크린 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스크린 안내부는 사각 형상의 투명 케이스를 상하로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구조이면 충분하다.
분쇄 스크린(145)은 수동으로 작동되지만,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분쇄 스크린(145)의 자동 작동을 위해서 제3 구동모터, 제3 스크류, 및 제3 이동부, 및 제3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단순히 리니어 액츄에이터와 가이드를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도 7과 도 12를 참조하면, 히터 보일러(150)는 세척통(142)와 연결되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라인(151)을 구비하며, 세척수 라인(151)의 개폐 단속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152)를 구비한 것이다.
히터 보일러(150)는, 보일러 본체(153), 보일러 본체(153)에 수용되는 히터(154), 및 보일러 본체(153)에 수용되고 히터(154)에 접촉되며 직수관과 연결되되, 세척 라인에 연결되는 코일 파이프(157)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54)와 코일 파이프(157)는 세척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고온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히터(154)는 보일러 본체(153)의 내벽에 설치되는 전열판(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열판(155)은 코일 파이프(157)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코일 파이프(157)를 전반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히터(154)는 코일 파이프(157)를 감싸는 니크롬선(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니크롬선(156)은 코일 파이프(157)에 나선으로 감기어 코일 파이프(157)를 통과하는 세척수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도 7,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분쇄기(110), 상하 이동수단(130), 및 히터 보일러(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160)는 밀폐통(121)을 하강시켜 밀폐부(123)에 의해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차단한 후, 분쇄기(110)의 분쇄날(111)을 컵 용기 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분쇄날(111)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컵 블렌더는, 분쇄 스크린(145)이 컵 트레이(140) 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쇄기(110)는 분쇄 스크린(145)이 하강되어 컵 용기와 분쇄날(111)을 스크린한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60)는 스크린 감지부(165)를 통해 분쇄 스크린(145)이 내려와서 컵 용기를 외부와 차단한 상태를 감지한 후 분쇄기(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컵 용기의 분쇄 과정이 외부와 차단되므로 안전한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쇄날(111)의 정상 및 오작동에 의한 사고를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PLC나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탑재된 회로부로 구현되며, 전원 스위치와 전원 공급장치, 누전차단기, 회로보호기, 전류 분배기, 상하 이동수단이나 분쇄기, 및 히터 보일러의 가동을 위한 각종 버튼이나 타이머 및 스위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탑재된 터치스크린과 다른 장치와 통신하여 일련의 작동이나 작업 감시를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 연결되는 모터와 같은 구동 요소나 센서와 같은 감지 요소들의 신호 및 전류 라인은 일부 생략되어 있으나, 그 구동 및 감지 요소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블렌더 본체 11: 전면 커버
12: 측면 커버 13: 상부 커버
14: 배면 커버 15: 베이스 블록
16: 배수부 17: 상부 패널 홀더
20: 분쇄기 21: 분쇄날
22: 분쇄모터 23: 이동부
24: 부조 25: 분쇄축
30: 밀폐수단 31: 밀폐통
32: 보호통 33: 밀폐 가이드
34: 굴절부 35: 승강 스프링 가이드
36: 승강 스프링 37: 밀폐부
38: 제1 밀폐면 39: 제2 밀폐면
40: 상하 이동수단 41: 구동모터
42: 구동풀리 43: 스크류 환봉
44: 종동풀리 45: 벨트
46: 상하 가이드 47: 가이드 스토퍼 패널
48: 통로부 49: 지지홈부
50: 컵 트레이 51: 컵 홀더
55: 세척통 56: 세척 노즐
60: 분쇄 스크린 61: 스크린 가이드
70: 히터 보일러 71: 세척수 라인
72: 솔레노이드 밸브 75: 보일러 본체
76: 히터 라인 80: 제어부
100: 블렌더 본체 101: 전면15
105: 바닥부 110: 분쇄기
111: 분쇄날 112: 분쇄모터
115: 분쇄축 120: 밀폐수단
121: 밀폐통 123: 밀폐부
125: 제1 밀폐면 126: 제2 밀폐면
127: 실리콘 고무부재 128: 환형 플랜지
129: 원형 통로 130: 상하 이동수단
131: 제1 구동모터 132: 제1 스크류
133: 제1 이동부 135: 제2 구동모터
136: 제2 스크류 137: 제2 이동부
140: 컵 트레이 141: 컵 홀더
142: 세척통 143: 세척 노즐
144: 환형관 145: 분쇄 스크린
150: 히터 보일러 151: 세척수 라인
152: 솔레노이드 밸브 153: 보일러 본체
154: 히터 155: 전열판
156: 니크롬선 157: 코일 파이프
160: 제어부 165: 스크린 감지부

Claims (8)

  1. 바닥부가 배수 기능을 갖도록 마련된 블렌더 본체;
    상기 블렌더 본체의 전면 일부에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컵 용기에 담긴 내용물들을 분쇄하도록 상하 일정구간에서 작동되는 분쇄날을 구비한 분쇄기;
    상기 블렌더 본체의 전면부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분쇄기와 함께 설치되되, 상기 분쇄기의 분쇄날 작동 이전에 상기 컵 용기 측으로 하강되어 컵 용기의 상면부에 밀착됨으로써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차단시키는 밀폐수단;
    상기 분쇄기와 밀폐수단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
    상기 블렌더 본체의 바닥부 상에 인출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설치하며, 컵 용기가 위치 고정되는 컵 홀더와, 컵 용기를 수용하여 세척시키는 세척 노즐이 있는 세척통를 구비한 컵 트레이;
    상기 블렌더 본체의 전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컵 트레이의 상면부에 접촉되어 상기 컵 홀더에 있는 컵 용기에 대한 내용물들의 분쇄 과정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분쇄 스크린;
    상기 세척통과 연결되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세척수 라인의 개폐 단속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히터 보일러; 및
    상기 분쇄기, 상하 이동수단, 및 히터 보일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 컵 블렌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블렌더 본체의 상부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블렌더 본체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스크류 환봉;
    상기 스크류 환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
    상기 블렌더 본체에서 상기 스크류 환봉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하 가이드; 및
    상기 블렌더 본체의 하부에 평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 환봉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밀폐수단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스토퍼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기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스크류 환봉에 나선 결합되며, 상기 분쇄날이 상기 밀폐수단을 통과하여 컵 용기의 내부로 위치하며,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분쇄기와 함께 하방 이동하도록 상기 분쇄기에 연결되되, 상기 가이드 스토퍼 패널에 걸리어 그 하방 이동이 일정 거리로 제한되며, 상기 분쇄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탄력적으로 차단시키는 원 컵 블렌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분쇄모터;
    상기 분쇄모터가 상부에서 하부로 수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하 가이드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밀폐수단이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부조; 및
    상기 부조에서 상기 분쇄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분쇄날이 하단부에 결합되는 분쇄축을 포함하는 원 컵 블렌더.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가이드 스토퍼 패널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폐통;
    상기 밀폐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호통;
    상기 이동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이동부에 걸림되며, 하단부가 상기 밀폐통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 패널에 걸리면서 상기 밀폐통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한 쌍의 밀폐 가이드;
    상기 한 쌍의 밀폐 가이드에 연결되는 승강 스프링 가이드;
    상기 밀폐통의 상부에서 상기 부조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단부가 상기 이동부의 저면부에 지지되며, 하단부가 상기 승강 스프링 가이드에 접촉되는 승강 스프링; 및
    상기 밀폐통의 하부에 설치되며,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원 컵 블렌더.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컵 용기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는 제1 밀폐면과, 상기 제1 밀폐면과 다른 높이에서 단턱을 형성하는 제2 밀폐면을 구비한 실리콘 고무부재로 마련되며,
    상기 실리콘 고무부재의 상부가 상기 밀폐통의 하단부에 지지되는 원 컵 블렌더.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보일러는,
    급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세척통과 연결되는 보일러 본체; 및
    상기 보일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발열하는 히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보일러 본체와 세척통 사이에 세척 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보일러 본체에서 상기 세척통 측으로 급수를 단속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세척 라인에 설치되는 원 컵 블렌더.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스크린이 상기 컵 트레이 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원 컵 블렌더.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상기 분쇄 스크린이 하강되어 상기 컵 용기와 분쇄날을 스크린한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원 컵 블렌더.
KR1020200010793A 2020-01-30 2020-01-30 원 컵 블렌더 Active KR102128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793A KR102128695B1 (ko) 2020-01-30 2020-01-30 원 컵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793A KR102128695B1 (ko) 2020-01-30 2020-01-30 원 컵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695B1 true KR102128695B1 (ko) 2020-06-30

Family

ID=7112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793A Active KR102128695B1 (ko) 2020-01-30 2020-01-30 원 컵 블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6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8249B2 (ja) 2020-08-25 2024-04-16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WO2024141810A1 (zh) * 2022-12-29 2024-07-04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驱动装置、洗料装置和烹饪器具
JP7574574B2 (ja) 2020-08-25 2024-10-29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および飲料製造装置の洗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2047A (ja) * 2007-02-07 2008-08-21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製造装置
JP2013509236A (ja) * 2009-10-28 2013-03-14 ディーン・ジェイ・ヴァスターディス 飲料を真空抽出する機械及び真空抽出方法
KR20140097406A (ko) * 2011-11-23 2014-08-06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디/비/에이 스타벅스 커피 컴퍼니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2047A (ja) * 2007-02-07 2008-08-21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製造装置
JP2013509236A (ja) * 2009-10-28 2013-03-14 ディーン・ジェイ・ヴァスターディス 飲料を真空抽出する機械及び真空抽出方法
KR20140097406A (ko) * 2011-11-23 2014-08-06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디/비/에이 스타벅스 커피 컴퍼니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8249B2 (ja) 2020-08-25 2024-04-16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JP7574574B2 (ja) 2020-08-25 2024-10-29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および飲料製造装置の洗浄方法
WO2024141810A1 (zh) * 2022-12-29 2024-07-04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驱动装置、洗料装置和烹饪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695B1 (ko) 원 컵 블렌더
US9272250B2 (en) Automated mix in-cup apparatus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82174B1 (ko) 착탈식 스핀들 및 모니터링된 저장조를 갖는 블렌더
CA2895071C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4216917A (en) Safety interlock for the food pusher in a food processor
JP5450152B2 (ja) 飲料製造装置
JP2019018000A (ja) 飲料製造装置
US4805649A (en) Beverage glass washer
WO2008044831A1 (en) Automated rice cooking system
MX2011006074A (es) Ensamble de bebida de mezcla y limpieza integrado y metodo del mismo.
GB2565162A (en) Automatic tea maker
JP2019017652A (ja) 飲料製造装置
CN208371666U (zh) 处理杯及食物处理装置
JP2011167394A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飲料製造装置
JP3960839B2 (ja) 飲料製造装置
CN210144497U (zh) 一种直落粉平磨咖啡机
CN118526085A (zh) 一种果昔机
JP5595752B2 (ja) 飲料製造装置
GB2101088A (en) Beverage-dispensing machine
JP2003187320A (ja) 飲料製造装置
JP2019017651A (ja) 飲料製造装置
JP2019033772A (ja) 飲料製造装置
CN109528502B (zh) 一种面膜机
KR20090003323U (ko) 블렌딩장치
JP2011167395A (ja) 飲料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