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210B1 - Composite terminal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 Google Patents
Composite terminal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4210B1 KR102124210B1 KR1020180109118A KR20180109118A KR102124210B1 KR 102124210 B1 KR102124210 B1 KR 102124210B1 KR 1020180109118 A KR1020180109118 A KR 1020180109118A KR 20180109118 A KR20180109118 A KR 20180109118A KR 102124210 B1 KR102124210 B1 KR 102124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ident
- vehicle
- composite terminal
- byte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CAN 연결과 차량인터페이스를 통해 확보된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토대로 하여 E-call 서비스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영상 카메라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랙박스 기능과 하이패스 단말기 기능을 가짐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최소로 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공간효율을 극대화한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installed inside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an E-call service is possible based on a digital driving recorder that stores driving information secured through a CAN connection and a vehicle interface, as well as a video camera. By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nd a high-pass terminal function to store the data of, it relates to a composite terminal that not only minimizes the economic burden but also maximizes the space efficiency inside the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CAN 연결과 차량인터페이스를 통해 확보된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토대로 하여, E-call 서비스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영상 카메라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랙박스 기능과 하이패스 단말기 기능도 가짐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최소로 하면서 차량 내부의 공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terminal installed in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based on a digital driving recorder that stores driving information secured through a CAN connection and a vehicle interface, an E-call service is possible as well as a video. It also relates to a composite terminal capable of maximizing the space efficiency inside the vehicle while minimizing the economic burden by having a black box function for storing camera data and a high-pass terminal function.
현재 EU를 중심으로 하는 선진국에서는 자동차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골든타임(Golden Time) 이내에 소중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하여, Currently, in developed countries centered on the EU,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in order to save valuable lives within the Golden Time,
자동으로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응급대응센터(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에, 사고 발생 사실을 통지하는 e-Call 단말에 대한 연구가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있다.Research on e-call terminals that automatically detect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and notify the emergency response center (PSAP) of the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has been conducted.
그리고 최근 유럽에서는, 소형차를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e-Call 단말을 의무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며, 러시아에는 이미 소형차를 중심으로 의무화 장착을 시행하고 있다.In recent years, e-Call terminals are required to be installed in Europe in March 2018 for small cars, and in Russia, mandatory installations have already been implemented around small cars.
따라서 우리나라도 차량 ICT 기반의 긴급구난체계 도입을 결정하고 관련 표준 및 필요한 기술 개발과 관련 산업의 조기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부처에서 공동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모든 차량에 대하여 한국형 e-Call 시스템과 이를 위한 e-Call 단말을 개발하고, 이를 의무 장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Korea, various ministries are jointly conducting R&D to decide on the introduction of an emergency rescue system based on vehicle ICT and to induce related standards and necessary technology development and early settlement of related industries. The goal is to develop a system and an e-Call terminal for it and to equip it.
그러나 승용차 또는 소형 상용차의 경우에만 e-Call 단말과 VSM(Vehicle Status Monitoring) 단말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지, However, e-Call terminals and VSM (Vehicle Status Monitoring) terminals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only for passenger cars or small commercial vehicles.
중대형 화물차나 버스 또는 택시와 같은 운수용 혹은 영업용 차량(이하 차량으로 통칭함.)의 경우에는, 이미 차량 내부에 "교통안전법 시행규칙" "제29조의2제1항"에 의해, 운행기록분석시스템에 따라 해당 영업용 차량의 운행 상태 등을 분석할 수 있도록, 6개월 혹은 3개월에 한 번씩 운행정보를 제출하기 위한 디지털 운행기록계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case of transportation vehicles or commercial vehi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hicles), such as mid-sized or large-sized freight cars, buses, taxis, etc., the traffic records a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Traffic Safety Law" and "Article 29-2 (1)". Depending on the system, a digital tachograph is installed to submit operational information once every six or three months, so that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commercial vehicle can be analyzed.
따라서 종래의 영업용 혹은 운수용 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 계와 함께 e-Call 단말과 VSM(Vehicle Status Monitoring)단말도 같이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밖에 없고, Therefor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mmercial or transportation vehicle. In addition to the digital driving recorder, the e-Call terminal and the VSM (Vehicle Status Monitoring) terminal must also b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which is an economical burden.
특히 의무화 장착에 따른 기존 차량에 대한 정부의 막대한 보조금이 추가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overnment's enormous subsidies for the existing vehicles due to the installation of compulsory cars are inevitable.
그리고 이러한 운수용 혹은 영업용 차량의 운전자 좌석 주변에는,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 외에 중대형 차량을 대상으로 한 하이패스 단말기와 영상 카메라 그리고 차량용 무전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vicinity of the driver's seat of such a transportation or commercial vehicle, in addition to the digital driving recorder, a high-pass terminal, a video camera, and a radio for a medium-sized vehicle are installed.
즉, 좁은 차량의 내부에 추가로 e-Call 단말과 VSM 단말을 더 설치하는 것은, That is, to install the e-Call terminal and the VSM terminal further inside the narrow vehicle,
차량 내부의 공간이 협소해질 수밖에 없는 대다가 대쉬보드 주변이 지저분해지게 될 수밖에 없게 되면서, 차량 사고 발생시 상기 장치들로 인해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As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is forced to be narrowed, and the surroundings of the dashboard are forced to become dirty, there is a danger that a secondary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above devices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더욱이 e-Call 단말과 VSM 단말은 차량에 설치된 후, 사고가 나기 전까지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고장날 경우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중간 중간에 꾸준히 관리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Moreover, since the e-Call terminal and the VSM terminal are not used at all after being installed in a vehicle and before an accident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if a failure occurs due to lack of management. In other words, it should be managed steadily in the middle, and this situation is not considered at all.
이에 본 발명은 디지털 운행기록계와 e-call 단말와 VSM 단말을 하나로 통합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블랙박스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하나의 단말기로 통합하여,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 digital driving recorder, an e-call terminal and a VSM terminal into one, and in some embodiments, integrates a black box and a high-pass terminal into one terminal.
소비자와 정부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While minimizing the economic burden on consumers and government,
대쉬보드 주변을 클리어하게 하여 차량 내부의 공간 효율을 최대로 하면서 2차 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minimize the risk of secondary accidents while maximizing the space efficiency inside the vehicle by clearing the area around the dashboard.
더불어 본 발명은 방치될 수밖에 없는 e-Call 단말이 꾸준히 관리되어, 사고시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e-Call terminal, which is forced to be left unattended, is operated steadily and operates normally in case of an acciden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디지털 운행기록계와, e-Call 단말이나 VSM(Vehicle Status Monitoring) 단말를 같이 설치할 필요없이,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install digital driving recorder and e-Call terminal or VSM (Vehicle Status Monitoring) terminal inside the vehicle.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가 수집하는 챠량의 운행정보를 토대로 사고시 응대응센터(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에, 사고 발생 사실을 통지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Based on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gital driving recorder, the accident response center (PSAP: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is configured to be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평상시에는 운행정보를 기록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사용되게 하다가, 사고시에는 e-Call 단말로 사용되게 하는 복합 단말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by a composite terminal that is usually used as a digital driving recorder that records driving information, and then used as an e-Call terminal in case of an accident.
더불어 상기 복합 단말기는 운행정보를 수집할 때, 영상 카메라의 영상데이터도 같이 저장하여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mposite terminal is configured to store the image data of a video camera together and perform a black box function when collecting driving information.
더불어 상기 복합 단말기는 결제정보를 저장하거나 안내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기능도 같이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mposite terminal is configured to perform a high-pass terminal function for storing or guiding payment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실시간으로 운행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동작하다가 사고시에는 e-call 서비스 제공하는 단말기로 사용됨에 따라,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digital driving recorder that secures and stores driving information in real time during normal times, and in case of an accident, it is used as a terminal that provides an e-call service.
정부 또는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차량 내부의 공간을 최대화하면서도 사고시 상기 E-call 단말이나 VSM 단말의 낙하나 충돌로 발생하는 2차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to the government or consumers. In addition, while maximizing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minimize secondary accidents caused by a drop or collision of the E-call terminal or VSM terminal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또한, 본 발명은 3~6개월에 한 번씩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백업데이터를 확보하여 제출할 때 e-call 기능 역시 같이 테스트되면서, 용이하게 안정성 및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call function is also tested when securing and submitting the backup data of the digital tachograph once every 3 to 6 months, so that stability and management can be easily achieved.
즉, 종래 e-Call 단말과 VSM 단말은 차량에 설치된 후, 사고가 나기 전까지 전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중간에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고장나더라도 확인이 어렵지만, 본 발명은 운행정보를 제출할 때 같이 테스트되면서 용이하게 안정성 및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conventional e-Call terminal and the VSM terminal are not used at all after being installed in a vehicle and before an accident occurs, it is difficult to check even if a failure occurs because there is no management in the midd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tested when submi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s it is, stability and management are easily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말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말기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말기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말기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말기의 사고 판단의 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말기의 복합 신호의 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말기의 MSD 메시지 포멧의 표.1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table of the accident determination of the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able of a composite signal of a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able of MSD message format of a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 features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말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복합 단말기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복합 단말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First, 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shows a state of a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평상시에 차량의 운행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사용되다가, 사고시에는 상기 운행정보를 토대로 MSD 메시지를 생성하여 응급대응센터(3)로 사고발생 사실을 알려 긴급 구조를 요청하는 e-Call 단말로 사용되는 복합 단말기(1)이다.Referring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digital driving recorder that secures and stores the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t normal time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n MSD message is generat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to report an accident to the emergency response center (3). It is a composite terminal (1) used as an e-Call terminal to request an emergency rescue.
그리고 이러한 복합 단말기(1)는 실시 예에 따라 영상카메라(4)와 연결되어, 평상시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사용될 때, 영상 카메라(4)의 영상데이터도 같이 저장하고,In addition, the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고시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e-Call 단말로 사용될 때, 영상 카메라(4)의 사고 시점의 영상 데이터도 같이 응급대응센터(3)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when used as an e-Call terminal that transmits th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in case of an accident, the image data at the time of the accident of the
그리고 이러한 복합 단말기(1)는, 일측에 하이패스 카드(5)가 삽탈되는 소켓부(46)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DSRC모뎀(43)이 설치되어 있어, 평상시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사용될 때, 상기 결제정보를 톨게이트로 전송하여 톨비를 처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이러한 복합 단말기(1)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사용 가능하도록 중대형 화물차나 버스 또는 택시 등의 영업용 혹은 운수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In addition, the
특히 평상시에는 관제센터(2)로 차량의 운행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차량의 운행상태를 판독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vehicle to read the driv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by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the
그리고 이러한 복합 단말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에는 고정편(14)이 설치되어, 차량의 센터 페이시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이나 크기에 대해서는 한정하지는 않는다.And such a
더불어 상기 복합 단말기(1)는, 전면에 SOS버튼(50)과 하이패스 카드(5)가 삽탈되는 소켓부(46)가 형성된 프런트 케이스(11)를 중심으로, 상부 케이스(12)와 하부케이스(13)가 서로 맞물리면서 조립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In addition, the
상기 복합 단말기(1)의 내측에 위치한 본체는, 하나의 컨트롤 보드(30)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The main body located inside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컨트롤 보드(20)를 중심으로, As shown in FIG. 2, centering on the
각각의 인터페이스(20a,20b,20c,20d)를 통해 e-Call 서비스를 위한 무선통신보드(21)와, 톨비 지불을 위한 하이패스 보드(24)와, 영상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처리보드(23)와, SOS 버튼이 형성된 프런트 패널(22)을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각각의 보드(21,23,24)가 분리 결합 되면서 선택적으로 일부 기능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required, each
이때의 컨트롤 보드(20)는, GPS(34)와 RTC(33)를 토대로 CAN 연결과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속도, RPM, 브레이크 신호, 안전벨트, 에어백 전개신호, ADAS 신호 등의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35)에 저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At this time, the
사고를 감지할 수 있도록 충격량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2축 가속도 센서(37)와, 방향각을 측정하기 위한 3축 자이로 센서(38)와, 방향각 측정시 상기 3축 자이로 센서의 기준이 되기 위한 콤파스 센서(39)가 설치되어,A two-
제어부(36)가 평상시에는 메모리(35)에 운행정보를 기록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 사용되게 하다가, 사고시에는 기록된 운행정보를 토대로 MSD 메시지를 생성하여 지정된 응급대응센터로 전송하여 구조요청하는 e-Call 단말로 사용되게 하는 것이다.E-Call that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 보드(20)는 제1인터페이스(20a)를 통해 무선통신보드(21)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통신보드(21)로 전원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무선통신보드로 MSD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의 답변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통신상태를 체크하고, 에러시 상기 무선통신보드(21)를 리셋할 수 있게 구성된다.And the
이때 무선통신보드(21)는 3G/4G/5G 이동통신망이나 WAVE/Wifi/Wimax와 같은 휴대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40)을 갖추고 있으며, 사고시에는 상기 컨트롤 보드(20)로부터 인가받은 MSD 메시지를 지정된 응급대응센터(3)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실시 예에 따라 평상시에 상기 관리센터(2)로 운행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관리센터(2)가 해당 차량의 운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더불어 상기 무선통신보드(21)는 실시 예에 따라 사고시 응급대응센터(3)의 구조요원과 통화하기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이러한 무선통신보드(21)가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 보드(20)에는, 제2인터페이스(20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20b)를 통해 프런트 케이스(11)에 장착된 프런트 패널(22)과 연결되어, In addition, a
상기 프런트 패널(22)로 전원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터치입력 혹은 버튼 동작시 이의 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운행정보를 인가하거나 MSD 메시지 처리결과를 인가하고, 상기 프런트 패널(22)과의 연결상태를 체크하고, 에러시 프런트 패널(22)을 리셋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to supplying power to the
이때 프런트 패널(22)은 MSD 메시지나 호출된 운행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49)이 설치되어 있고, 더불어 터치패널이나 메뉴버튼과, SOS 버튼(50)과, 운행데이터를 USB 스틱(6)에 백업하거나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USB포트(51)가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이때 SOS 버튼(50)은 프런트 케이스(11)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면에는 투명캡이 씌워져 있으며, 상기 투명캡을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혹은 상기 투명캡이 운전자의 타격에 의해 훼손시켰을 때에만 내측에 위치한 SOS 버튼(50)을 수동으로 눌러, 사고발생 사실을 응급대응센터(3)나 관리센터(2)로 알릴 수 있게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이러한 프런트 패널(22)과 연결된 컨트롤 보드(20)에는, 제3인터페이스(20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3인터페이스(20c)를 통해 영상처리보드(23)와 연결되어, In addition, a
상기 영상처리보드(23)로 전원을 공급하여 영상 카메라(4)가 차량 주변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영상 카메라(4)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의 연결상태를 체크할 뿐만 아니라, 에러시 상기 영상처리보드를 리셋할 수 있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power is supplied to the
이때 영상처리보드(23)는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4)와 연결되어 이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AV Encoder(42)에 의해 설정된 포멧에 맞춰 압축 변환하는 한편, 이의 영상 데이터를 컨트롤 보드(20)에 인가한다.At this time, the
이때 인코딩하기 위한 영상 코덱에는 MPEG-1/MPEG-2/MPEG-3/MPEG-4 등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지만, H.264을 기반으로 RTC(33)의 시간값에 따라 메모리(35)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영상 데이터와 운행정보를 매칭시켜 시간값을 토대로 대응하는 시간대의 영상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게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re may be various types of video codec for encoding, such as MPEG-1/MPEG-2/MPEG-3/MPEG-4, but based on H.264, the
그리고 이러한 영상처리보드(23)와 연결된 컨트롤 보드(20)에는, 제4인터페이스(20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4인터페이스(20d)를 통해 하이패스 보드(24)와 연결되어, In addition, a
상기 하이패스 보드(24)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상기 하이패스 보드(24)가 처리한 결과를 전송받고, 이의 연결상태를 체크할 뿐만 아니라, 에러시 상기 하이패스 보드(24)를 리셋할 수 있게 구성된다.While supplying power to the high-
이때 상기 하이패스 보드(24)는 DSRC모뎀(43)이 설치되어 있어, 톨게이트 통과시 프런트 케이스(13)에 설치된 소켓부(46)를 활성화시켜 내측에 장착된 하이패스 카드(5)에 기록된 결제정보를 리드하고, 이를 상기 DSRC모뎀(43)을 통해 톨게이트로 전송하여 톨비를 처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high-
더불어 상기 하이패스 보드(24)는 결제 완료시, 상기 컨트롤 보드(20)로 결제된 금액을 전송하여, 프런트 패널(22)의 디스플레이 창(49)에 결제된 금액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시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ayment is completed, the high-
이때 하이패스 보드(24)에는 하이패스 OBU 인터페이스가 형성되어 있어, 소켓부(46)가 형성된 별도의 OBU단말이 상기 하이패스 OB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복합 단말기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a high-pass OBU interface is formed on the high-
더불어 도 3은 복합 단말기(1)의 케이스 안쪽에 장착되는 본체가 하나의 컨트롤 보드(30)로 이루어졌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써,In addi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the body mounted inside the case of the
이때 컨트롤 보드(30)는 CAN/Wire 연결을 통해 속도, RPM, 브레이크 신호, 차량전압, 연료 잔량, 안전벨트 장착 여부, ADAS 신호, 에어백 전개신호 등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CAN 트랜시버(31)와 차량 인터페이스(32)와 함께, 실시간으로 상기 운행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RTC(33)와, 위치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GPS(34)와, 상기 RTC(33)와 GPS(34)를 토대로 전송받은 운행정보를 메모리(35)에 저장하는 한편, 사고시 MSD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t this time, the control board 30 is a
더불어 사고 발생을 감지하기 위하여, 충격량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2축 가속도 센서(37)와, 방향각을 측정하기 위한 3축 자이로 센서(38)와, 방향각 측정시 상기 3축 자이로 센서의 기준이 되기 위한 콤파스 센서(3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he 2-
상기 제어부(36)가 사고를 감지하게 되면, 수집된 운행정보를 토대로 사고를 판별하여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를 생성하는 한편, 이를 무선통신모듈(40)을 통해 지정된 응급대응센터(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로 전송하여 긴급 구조를 요청하는 것이다.When the
이때, 무선통신모듈(40)은 컨트롤 보드(30)에 마운트 되어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USB 포트(51)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더불어 상기 컨트롤 보드(30)는 실시 예에 따라 WIFI/Bluetooth/NFC 기반의 근거리통신모듈(4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스마트 단말(7)과 페어링을 이루면, 메모리(35)에 저장된 운행정보를 다운로드하여, 해당 차량의 운행정보를 용이하게 운수회사나 교통안전공단에 제출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board 30 includes a WIFI/Bluetooth/NFC-based short-
또한, 상기 컨트롤 보드(30)는 영상카메라(4)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받았을 때, 설정된 코덱에 따라 AV Encoder(42)에 의해 압축 변환되어 제어부(36)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36)는 운행정보 저장시 상기 영상 데이터도 같이 저장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board 30 is connected to the
이때 제어부(36)는 실시 예에 따라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응급대응센터(3)로 전송할 때 사고 시점의 영상데이터도 같이 전송할 수게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컨트롤 보드(30)는 엔트리 통과시 결제정보를 톨게이트에 전송하기 위한 DSRC모뎀(43)과, 결제가 완료되었을 때 이를 음성 안내하기 위한 Audio DAC(44) 및 스피커(45)와, 상기 결제정보가 기록된 하이패스 카드(5)가 삽/탈되는 소켓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In addition, the control board 30 includes a
상기 제어부(36)가 소켓부(46)를 활성화시켜 내측에 장착된 하이패스 카드(5)에 기록된 결제정보를 확보하여, 상기 DSRC모뎀(43)을 통해 톨게이트로 전송하는 한편, 결제 완료되었을 때에는 갱신된 정보를 상기 하이패스 카드(5)에 기록하고 프런트 패널(22)의 디스플레이 창(49)에 결제된 금액을 안내하도록 지시하는 것이다.The
이때 복합 단말기에는 하이패스 OBU 인터페이스가 형성되어 있어, 소켓부가 형성된 OBU단말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a high-pass OBU interface is formed in the composite terminal, and the OBU terminal having the socket portion can be detachably coupled.
또한, 상기 컨트롤 보드(30)는 온도 센서(47)가 설치되어 복합 단말기(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때 측정된 값은 ADC(48)에 의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제어부(36)에 인가되어,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팬을 작동시켜 실내 온도를 낮춰 주고, 차량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정해진 시간만큼 온풍기를 가동시켜 적정 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trol board 30 is equipped with a
이때 제어부(36)는 전원단의 전류상태나, 운행정보 수집시 확보된 차량 전압을 토대로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게 설정된 범위 안쪽에서 팬 또는 온풍기가 동작하도록 컨트롤한다. At this time, the
또한, 도 5는 제어부가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사고 판단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센서별 사고 판단의 기준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7은 복합신호생성시 위험운전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의 포멧을 보여주는 것이다.In addition, FIG. 5 shows the accident determination process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FIG. 6 shows the criteria for the accident determination for each sensor, FIG. 7 shows the dangerous driving pattern when generating the composite signal, and FIG. 8 shows the minimum It shows the format of accident information data (MSD).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트롤 보드(20,30)는 운전자에 의해 프런트 패널에 설치된 “SOS 버튼”(50)이 눌려졌는지 감지한다.Referring to this, the
이때 “SOS 버튼”이 눌려졌을 경우에는, 제어부(36)가 “수동 e-Call 또는 테스트 e-Call 인지를 구분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SOS 버튼”이 눌려지지않았을 경우에는 “자동사고판단 프로세스”를 진행한다.At this time, when the “SOS button” is pressed, the
참고로 “수동 e-Call 또는 테스트 e-Call 인지를 구분하는 프로세스”는 “SOS 버튼”(50)이 설정된 시간(예, 5초) 이상 눌려졌는지 확인하고, 만일 설정된 시간 이하로 눌려지면 바로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를 생성하여 응급대응센터(3)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For reference, the “process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a manual e-Call or a test e-Call” checks whether the “SOS button” 50 is pressed for more than a set time (eg, 5 seconds), and if it is pressed for less than the set time, the minimum Create and send accident information data (MSD) to the emergency response center (3),
만일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SOS 버튼"이 눌려지고 일정시간(예, 10초) 동안 대기 상태에 있다가 다시 상기 “SOS 버튼”이 눌려지면, Reset 되면서 종료된다. (S110), If the "SOS button" is pressed for more than the set time and is in the standby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10 seconds) and then the "SOS button" is pressed again, it resets and ends. (S110),
이때 “SOS 버튼”(50)이 다시 눌려지지 않으면 테스트용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를 생성하여 응급대응센터(3)나 관리센터(2)로 전송하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SOS button” 50 is not pressed again, th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MSD) for tes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또한, 상기 “자동사고판단 프로세스”는, 운행정보 수집시 차량의 에어백 전개 신호를 확인하게 되면, 바로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S130)In addition, the "automatic accident determination process", when checking the airbag deployment signal of the vehicle when collecting the driving information, instructs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MSD) immediately, (S130)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았을 때에는, 컨트롤 보드에 설치된 가속도센서(37)의 Z값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차량이 전복되거나 충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S140)When the airbag is not deployed, when the Z value of the
이때 Z값이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는, 자이로 센서(38)의 값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때에는, 해당 차량이 스핀(Spin)되거나 충돌로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를 생성하는 것이다. (S150)At this time, when the Z valu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value of the
더불어 상기 자이로 센서(38)의 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차량의 가속도 X, Y, X + Y 값을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때에는, 차량 충돌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S160)In addition, when the value of the
이때 차량의 가속도 X, Y, X + Y 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복합신호를 생성하여 임계치와 비교하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acceleration X, Y, and X + Y values of the vehicle ar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a composite signal is generated and compared with the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이때의 복합신호는 차량의 속도, RPM, ADAS 데이터, 브레이크 신호, 방위각, 가속도, 시간정보 등의 주행정보를 토대로 사고 여부를 결정한다. (S170)At this time, the composite signal determines whether an accident is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such as vehicle speed, RPM, ADAS data, brake signal, azimuth, acceleration, and time information. (S170)
그리고 이렇게 사고 판단이 이루어진 후에 생성되는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 메시지)는,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와 트레일(Trail)로 이루어지고,And, th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MSD message) generated after the accident determination is made of a header, a payload, and a trai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Header)는 1 Byte의 MSD 메시지의 시작을 알리는 식별자와 함께 1 Byte의 장치 ID와, 2 Byte의 데이터의 길이 및 이벤트 응답 또는 요청을 위한 2 Byte의 명령어 순으로 이루어지고,As shown in FIG. 8, the header includes a device ID of 1 Byte, a length of 2 Byte of data, and a command of 2 Byte for event response or request, along with an identifier indicating the start of a 1 Byte MSD message. In order,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1 Byte의 MSD 버전과 1 Byte의 MSD 순번 그리고 6 Byte의 연/월/일/시/분/초로 이루어진 사고발생시간과, 1 Byte의 자동 혹은 수동의 제어종류와, 1 Byte의 차량종류, 17 Byte의 차대번호와,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고 있는 사고발생위치와, 2 Byte의 차량 방위각, 그리고 2건의 이전 차량위치와, 탑승자수 혹은 탑승자 동승 여부와, 가솔린/디젤 등의 차량연료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The payload includes an MSD version of 1 byte, an MSD sequence number of 1 byte, and an accident occurrence time consisting of 6 bytes of year/month/day/hour/minute/second, and an automatic or manual control type of 1 byte, Accident occurrence location including 1 Byte vehicle type, 17 Byte undercarriage number, latitude and longitude value, 2 Byte vehicle azimuth, and 2 previous vehicle positions, number of occupants or occupants, and gasoline/ While including vehicle fuel information such as diesel,
상기 트레일(Trail)는 1 Byte의 오류 검출을 위한 Checksum 항목과, MSD 메시지의 끝을 알리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rail includes a checksum item for error detection of 1 byte and an identifier indicating the end of the MSD message.
이때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응급대응센터(PSAP)에서 전복, 스핀, 충돌 등의 차량 사고 내용과 사고 수준을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1 Byte의 에어백 상태(전개여부)와, 1 Byte의 안전벨트상태(착용여부)와, 도어상태(오픈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2 Byte의 X, Y축의 가속도와 6 Byte의 트래킹 시작 시간(년/월/일/시/분/초), 그리고 1 Byte의 차량 속도와 2 Byte의 차량 RPM, 그리고 1 Byte의 브레이크 상태(동작여부)와, 609 Byte의 구간정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payload (Payload) in the emergency response center (PSAP), so that the vehicle accident content such as rollover, spin, collision, etc.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and an additional 1 Byte of airbag status (whether deployed), 1 Byt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eat belt status (whether or not it is worn) and the door status (whether or not it is open), acceleration of the X and Y axes of 2 bytes, and tracking start time of 6 bytes (year/month/day/hour/minute/second), And it consists of 1 Byte of vehicle speed, 2 Byte of vehicle RPM, 1 Byte of brake status (whether it works), and 609 Byte of section information data.
이때 609 Byte의 구간정보 데이터는 차량 내의 ADAS 시스템의 TTC(Time To Collision. 충돌까지 남은 시간)값과 현재의 차량 속도 변화율, TTC 구간에서의 브레이크 사용 여부 등을 토대로 주행하는 차량이 선행 차량과 추돌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게 차량위치부터 브레이크 상태까지는 저장한 정보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해당 시간 동안 기록된 영상 데이터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ction information data of 609 bytes is based on the time to collision (TTC) value of the ADAS system in the vehicle, the current rate of change of the vehicle speed, and whether or not the vehicle driving is colliding with the preceding vehicle. It is the information stored from the vehicle position to the brake state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and may be image data recorded during the corresponding tim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실시간으로 운행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동작하다가 사고시에는 e-call 서비스 가능함에 따라, 정부 또는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공간효율을 향상 시켜 대쉬보드 주변을 클리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digital tachograph that secures and stores driv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s an e-call service is possibl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to be paid by the government or consumers, as well as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By improving the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keep the area around the dashboard clear.
더불어 3~6개월에 한 번씩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백업데이터를 확보하여 제출할 때 e-call 기능 역시 같이 테스트되면서 용이하게 안정성 및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backup data of the digital tachograph is acquired and submitted once every 3 to 6 months, the e-call function is also tested, so that stability and management can be easily achiev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obvious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patent registration claims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of the patent registration to be described lat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of the claims of the patent registration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복합 단말기 2:관제센터
3:응급대응센터 4:영상카메라
5:하이패스 카드 6:USB stick
7:스마트 단말 11:프런트 케이스
12:상부 케이스 13:하부케이스
14:고정편 20:컨트롤 보드
21:무선통신보드 22:프런트 패널
23:영상처리보드 24:하이패스보드
30:컨트롤 보드 31:CAN 트랜시버
32:차량 인터페이스 33:RTC
34:GPS 35:메모리
36:제어부 37:가속도 센서
38:자이로 센서 39:콤파스 센서
40:무선통신모듈 41:근거리통신모듈
42:AV Encoder 43:DSRC모뎀
44:Audio DAC 45:스피커
46:소켓부 47:온도센서
48:ADC 49:디스플레이 창
50:SOS버튼 51:USB포트1: Composite terminal 2: Control center
3: Emergency Response Center 4: Video Camera
5: High Pass Card 6: USB stick
7: Smart terminal 11: Front case
12: upper case 13: lower case
14: Fixed flight 20: Control board
21: Wireless communication board 22: Front panel
23: image processing board 24: high pass board
30: Control board 31: CAN transceiver
32: vehicle interface 33:RTC
34: GPS 35: Memory
36: control unit 37: acceleration sensor
38: gyro sensor 39: compass sensor
4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42: AV Encoder 43: DSRC modem
44: Audio DAC 45: Speaker
46: socket portion 47: temperature sensor
48: ADC 49: Display window
50: SOS button 51: USB port
Claims (15)
상기 복합 단말기의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는 수집된 운행정보를 토대로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와 트레일(Trail)로 이루어진 최소사고정보데이터(MSD:Minisum Set of Data)를 생성하고,
상기 헤더(Header)는 1 Byte의 MSD 메시지의 시작을 알리는 식별자와, 1 Byte의 장치 ID와, 2 Byte의 데이터의 길이와, 이벤트 응답 또는 요청을 위한 2 Byte의 명령어 항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1 Byte의 MSD 버전과, 1 Byte의 MSD 순번과. 6 Byte의 사고발생시간과, 1 Byte의 제어종류와, 1 Byte의 차량종류와, 17 Byte의 차대번호와, 위도 및 경도값으로 이루어진 사고발생위치와, 2 Byte의 차량 방위각와, 2건의 이전 차량위치와, 탑승자수와, 차량연료 정보 항목으로 구성되고,상기 트레일(Trail)는 1 Byte의 오류 검출을 위한 Checksum과, MSD 메시지의 끝을 알리는 식별자 항목으로 구성된 복합 단말기.It is used as a digital driving recorder that collects and stores driving information when driving a vehicle.In case of an accident, it generates a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MSD:Minisum Set of Data) that contains the accident location and the content of the accident to the designated control center or emergency response center. It consists of a composite terminal used as a transmitting e-Call terminal,
Th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MSD:Minisum Set of Data) of the composite terminal is th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MSD:Minisum Set of Header, Payload, and Trail) based on the collected driving information. Data),
The header consists of an identifier indicating the start of a 1 Byte MSD message, a device ID of 1 Byte, a length of 2 Byte of data, and a command item of 2 Byte for an event response or request,
The payload is an MSD version of 1 Byte, and an MSD sequence number of 1 Byte. Accident occurrence time of 6 bytes, control type of 1 byte, vehicle type of 1 byte,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of 17 bytes, location of accident consisting of latitude and longitude value, vehicle azimuth of 2 bytes, and 2 previous vehicles A terminal comprising a location,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a vehicle fuel information item, wherein the trail is a checksum for error detection of 1 byte and an identifier item indicating the end of an MSD message.
상기 복합 단말기는 차량의 운행상태를 기록하기 위하여, GPS(34)와 RTC(33)를 토대로 CAN 트랜시버(31)와 차량 인터페이스(32)를 통해 확보된 운행정보를 메모리(35)에 저장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충격량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37)와, 방향각 또는 주행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38)와, 방향각 또는 주행방향 측정시 상기 자이로 센서(38)의 기준이 되기 위한 콤파스 센서(39)가 구비되어,
제어부(36)가 사고 발생시 CAN 연결과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된 운행정보와 가속도 및 방향각과 위치정보를 토대로, 사고 판단시, 사고 위치와 사고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되,
영상카메라(4)와 연결되어, 평상시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사용될 때, 영상 카메라(4)의 영상데이터도 같이 수집 저장되도록 구성된 복합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terminal is configured to store the driving information secured through the CAN transceiver 31 and the vehicle interface 32 in the memory 35 based on the GPS 34 and the RTC 33 to record the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In the state,
Acceleration sensor 37 for measuring the amount of impact or acceleration, gyro sensor 38 for measuring the direction angle or driving direction, and compass sensor for the reference of the gyro sensor 38 when measuring the direction angle or driving direction 39 is provided,
When the accident occurs, the control unit 36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accident location and the content of the accident, when determining the accident,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cceleration, direction angle, and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AN connection and the vehicle interface. ,
When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4), when used as a digital driving recorder to collect the normal operation information, a composite terminal configured to collect and store the video data of the video camera (4) as well.
상기 복합 단말기는 영상카메라(4)와 연결되어, 사고시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e-Call 단말로 사용될 때, 영상 카메라(4)의 사고 시점의 영상 데이터도 관제센터나 응급대응센터(PSAP)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복합 단말기.According to claim 2,
The composit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4), when used as an e-Call terminal that transmits th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video data at the time of the accident of the video camera (4) also control center or emergency response center (PSAP) Composite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to.
상기 복합 단말기는 일측에 하이패스 카드(5)가 삽탈되는 소켓부(46)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DSRC모뎀(43)이 설치되어 있어, 평상시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사용될 때, 톨비 처리도 가능하게 구성된 복합 단말기.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composit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ocket 46 on which a high pass card 5 is inserted and removed on one side, and a DSRC modem 43 is installed inside, it is used as a digital driving recorder for collecting driving information during normal operation. A complex terminal configured to enable toll processing.
상기 복합 단말기는 WIFI 또는 Bluetooth 또는 NFC 기반의 근거리통신모듈(4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스마트 단말(7)과 페어링을 이뤘을 때, 제어부(36)가 메모리(35)에 기록된 운행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7)로 다운로드하여, 해당 차량의 운행정보를 용이하게 운수회사나 교통안전공단에 제출할 수 있게 구성된 복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4,
The composite terminal compris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41 based on WIFI or Bluetooth or NFC, and when paired with the smart terminal 7, the control unit 36 recalls the driving information recorded in the memory 35 A complex terminal configured to be downloaded to the smart terminal (7) and easily submit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a transportation company or a traffic safety agency.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응급대응센터(PSAP)로 사고 수준을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1 Byte의 에어백 상태와, 1 Byte의 안전벨트상태와, 1 Byte 도어오픈상태 항목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payload is made up of 1 Byte airbag status, 1 Byte seat belt status, and 1 Byte door open status item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ccident level with the Emergency Response Center (PSAP). Composite terminal.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응급대응센터(PSAP)로, 차량 전복이나 스핀 혹은 충돌 등의 차량 사고 내용과 사고 수준을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2 Byte의 X, Y축의 가속도와, 6 Byte의 트래킹 시작 시간, 그리고 1 Byte의 차량 속도와, 2 Byte의 차량 RPM과, 1 Byte의 브레이크 상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7,
The Payload is the Emergency Response Center (PSAP), which allows 2 x X and Y axis accelerations and 6 Byte acceleration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ontent and accident level of vehicle accidents such as vehicle rollover or spin or collision. The composit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tracking start time, a vehicle speed of 1 Byte, a vehicle RPM of 2 Byte, and a brake state of 1 Byte.
상기 페이로드(Payload)는 차량 내의 ADAS 시스템의 TTC값과, 현재의 차량 속도 변화율, TTC 구간에서의 브레이크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609 Byte의 구간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8,
The payload (Payload) is a composit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TTC value of the ADAS system in the vehicle, the current vehicle speed change rate, the section information data of 609 Byte that can check whether the brake is used in the TTC section.
상기 구간정보 데이터는 충돌 예상 시간과 차량의 속도 변화율, 브레이크 사용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9,
The section information data is a composit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l information for calling image data stored in a memory that can visually check whether a collision is expected, a vehicle's speed change rate, and whether a brake is used.
상기 복합 단말기의 프런트 패널에 형성된 SOS 버튼이 눌려졌을 때, “수동 e-Call 또는 테스트 e-Call 인지를 구분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만일 설정된 시간 이하로 상기 SOS버튼이 눌려졌으면 바로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응급구난센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수동 e-Call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만일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SOS버튼이 눌려지고, 일정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다시 SOS 버튼이 눌려지면 Reset되면서 종료하는 "테스트 e-Call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된 복합 단말기.It is used as a digital driving recorder that collects and stores driving information when driving a vehicle.In case of an accident, it generates a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MSD:Minisum Set of Data) that contains the accident location and the content of the accident to the designated control center or emergency response center. It consists of a composite terminal used as a transmitting e-Call terminal,
When the SOS button formed on the front panel of the composite terminal is pressed, a process of distinguishing whether it is a manual e-Call or a test e-Call is performed,
If the SOS button is pressed for less than the set time, immediately proceed to the "Manual e-Call process" instructing to generate th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and send it to the emergency rescue center.
If the SOS button is pressed for more than a set period of time, it wai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when the SOS button is pressed again, the composite terminal is configured to proceed with a "test e-Call process" that is reset and ends.
상기 복합 단말기는 운행정보 수집시 차량의 에어백의 전개 신호를 수집하였을 때,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응급대응센터로 전송하는 “자동사고판단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된 복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posite terminal is a composite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an “automatic accident determination process” that generates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s it to an emergency response center when collecting a deployment signal of a vehicle airbag when collecting driving information.
상기 복합 단말기는, 에어백 전개 신호를 감지하지 않았을 때, 3축 자이로스코프 센서의 Z값과 임계치를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때에는 해당 차량이 전복되거나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는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응급대응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2,
The composite terminal generates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to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overturned or collided when the airbag deployment signal is not sensed, and the Z-axis and threshold values of the 3-axis gyroscope sensor are exceeded and exceeded. Composit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center.
상기 복합 단말기는, 3축 자이로스코프 센서의 Z값과 임계치를 비교하여 임계치 이하인 경우, 자이로 센서(38)의 값과 임계치를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때에는, 해당 차량이 스핀하거나 차선을 이탈한 것을 판단하는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응급대응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3,
The composite terminal compares the Z value of the 3-axis gyroscope sensor with a threshold value, and when it is below a threshold value, compares the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 of the gyro sensor 38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vehicle spins or leaves the lane. A composite terminal characterized by generating minimal accident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ting it to an emergency response center.
상기 복합 단말기는, 자이로 센서(38)의 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2축 가속도 센서를 통해 차량의 가속도 X, Y, X + Y 값을 각각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초과하였을 때에는, 충돌사고라고 판단하는 최소사고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응급대응센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복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value of the gyro sensor 38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the composite terminal determines that it is a collision accident when the vehicle's acceleration X, Y, and X + Y values are exceeded by comparing with the respective threshold values through a two-axis acceleration sensor. A composite terminal configured to generate minimum accident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 it to an emergency response cen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9118A KR102124210B1 (en) | 2018-09-12 | 2018-09-12 | Composite terminal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9118A KR102124210B1 (en) | 2018-09-12 | 2018-09-12 | Composite terminal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0708A KR20200030708A (en) | 2020-03-23 |
KR102124210B1 true KR102124210B1 (en) | 2020-06-18 |
Family
ID=6999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9118A Active KR102124210B1 (en) | 2018-09-12 | 2018-09-12 | Composite terminal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421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6624B1 (en) * | 2022-07-25 | 2022-09-23 | (주)아이트로닉스 | V2X communication-based integrated high-pass system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C-ITS system |
KR102594955B1 (en) * | 2022-12-29 | 2023-10-31 | 지트랙 주식회사 | Smart terminal that collects and stores battery information of commercial electric vehicles. |
KR102721218B1 (en) | 2023-10-26 | 2024-10-24 | 주식회사 이노카 | An integrated terminal capable of generating V2X messages and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s and a method using them. |
WO2025127702A1 (en) * | 2023-12-11 | 2025-06-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for emergency rescu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2087B1 (en) | 2014-04-26 | 2015-06-26 | 주식회사 라이더캠 | Motorcycle black box having external data collecting apparatus |
KR101702121B1 (en) * | 2016-02-11 | 2017-02-02 | 주식회사 이노카 | A digital tachograph having the high-pass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0023A (en) | 2010-11-10 | 2012-05-18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Vehicle running record system and vehicle running record method thereof, terminal and running information appratus for vehicle running information record |
KR101499508B1 (en) * | 2013-02-26 | 2015-03-06 |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An image recording system for a vehicle for performing accident style detection and settlemen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498367B1 (en) | 2013-06-05 | 2015-03-05 | 주식회사 웨이브엠 | Maintenance system of car digital tachograph and method of the same |
KR102186350B1 (en) | 2014-05-30 | 2020-12-0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emergency call about vehicle accident using driving information of vehicle |
KR102584581B1 (en) * | 2016-07-18 | 2023-10-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180088024A (en) * | 2017-01-26 | 2018-08-03 | 주식회사 포키비언 | Method for extracting black box emergency video considering drive-situation and apparatus thereof |
-
2018
- 2018-09-12 KR KR1020180109118A patent/KR1021242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2087B1 (en) | 2014-04-26 | 2015-06-26 | 주식회사 라이더캠 | Motorcycle black box having external data collecting apparatus |
KR101702121B1 (en) * | 2016-02-11 | 2017-02-02 | 주식회사 이노카 | A digital tachograph having the high-pass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0708A (en) | 2020-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4210B1 (en) | Composite terminal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 |
US952459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data acquisition using telematics-enabled portable devices | |
RU2207262C1 (en) | Vehicle telematic system | |
US20160152211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information exchange in vehicles | |
US20050185052A1 (en) | Automatic collision triggered video system | |
KR101428011B1 (en) | Method for Recognizing Vehicle Information of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 |
US2015037145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motely Assessing Vehicle Incidents and Dispatching Assistance | |
US1068555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inspection | |
CN105667425B (en) | A kind of automobile burglar and occupant's danger alarm and method | |
US9301116B2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n automobile crash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communication | |
JP2025067921A (en) | Systems and programs | |
KR102029456B1 (en) | A Digital Tachograph | |
KR101183217B1 (en) | A mobile combined user interactive black box for vehicles, and the method therefor | |
KR101157864B1 (en) | Method for Making Automobile Driving Record Executed on Smart Phone | |
CN104773074A (en) | Double protection-based intelligent vehicle-mounted alcohol measurement and control device and measurement and control method | |
JP2008225777A (en) |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camera device | |
KR101413409B1 (en) | System for managing car accident and Method thereof | |
KR20100076472A (en) | Video recording apparatus for car | |
CN204526840U (en) | A kind of intelligent vehicle-carried alcohol measure and control device based on duplicate protection | |
CN114212041A (en) | Vehicl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 |
KR20150121775A (en) |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 |
KR20200138457A (en) | Apparatus having functions of e-call service and electronic toll collection | |
KR20220095295A (en) | On-board unit for vehicles having functions of e-call service and electronic toll collection | |
CN217477206U (en) | Vehicle-mounted monitoring device and vehicle | |
EP2863616A1 (en) | Emergency call device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