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21775A -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775A
KR20150121775A KR1020140047516A KR20140047516A KR20150121775A KR 20150121775 A KR20150121775 A KR 20150121775A KR 1020140047516 A KR1020140047516 A KR 1020140047516A KR 20140047516 A KR20140047516 A KR 20140047516A KR 20150121775 A KR20150121775 A KR 2015012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lack box
driver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리온
Priority to KR102014004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775A/en
Publication of KR2015012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775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기능이 포함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주차 또는 정차된 차량이 무단으로 도난 또는 견인될 때에 실시간으로 원격의 운전자에게 알리거나 관할 경찰서 등에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의 제어부가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도어키로 도어의 잠금을 감지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난/견인감시 시작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면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운전자감지부, 시동감지부, 속도감지부 및 충격감지부에서 각각 감지되어 입력된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감지부에서 입력된 운전자유무에 관한 제1조건과 시동감지부에서 입력된 시동상태에 관한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에 만족하는 경우에 속도감지부에서 입력된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제3조건과 충격감지부에서 입력된 충격값 유무에 관한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건 내지 제4조건 모두가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차량의 도난으로 판단한 후 이미 설정해 놓은 스마트폰으로 도난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주정차 중인 차량이 무단으로 도난 또는 견인되고 있는 상태를 실제 차량 운전자에게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지리정보와 동영상정보로 서비스함으로써, 차량의 도난 때에 관할 경찰서의 신고와 동시에 수배 조치로 보다 신속한 차량 찾기가 가능하고, 차량의 견인 때에 견인된 차량의 위치나 견인보관소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차량의 운용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블랙박스의 기능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authorized movement information of an on-road vehicle that enables a remote driver to be notified in real time when a vehicle parked or stopped, or to report to a local police station when the vehicle is unlawfully stolen or towed by using a vehicle black box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a control unit of a vehicle black box installed in a vehicle detects a door lock by a door key of a vehicle through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or detects a door lock from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 phone, Performing a mode of monitoring theft or traction of a vehicle upon receiving an input of a start button; (b)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input signal detected and detected by the driver sensing unit, the startup sensing unit, the speed sensing unit, and the impact sensing unit, respectively, is detected while the vehicle is stolen or towed; (c)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first condition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river input from the driver detection unit and a second condition related to the startup state input from the startup detection unit satisfy a set reference value; (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third condition relat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inputted from the speed sensing unit, Determining whether a condition satisfies a set reference value; And (e) if the first condition to the fourth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stolen, and then transmits the stolen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that has been set in a text message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l vehicle driver with real time information on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oving picture information through a smart phone to inform a driver of a state that a vehicle in a parked vehicle is stolen or towed unauthorized by using a vehicle black box,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 vehicle more quickly by the picking-up action,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towed vehicle and the traction storage at the time of towing of the vehicl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reliability of the black box.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unauthorized moving information service of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vehicle black box,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기능이 포함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주차 또는 정차된 차량이 무단으로 도난 또는 견인될 때에 실시간으로 원격의 운전자에게 알리거나 관할 경찰서 등에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of unauthorized movement information of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vehicle black box,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an unauthorized mobile information service of an on-demand vehicle that enables a remote operator to notify a remote operator in real time when a vehicle is stolen or towed.

일반적으로 블랙박스(Black Box)는 항공기 사고의 경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블랙박스는 본래 항공기용으로 개발된 것으로, 해당 항공기의 상태, 즉 고도, 항로, 속도, 엔진 상황 등 및 교신 내용을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사고 후 이를 회수하여 분석하면 해당 항공기의 사고 경위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데 큰 도움이 된다.In general, the Black Box is a device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aircraft accidents. The black box is originally developed for aircraft and serves to record the status of the aircraft, such as altitude, route, speed, engine status, and communications. Therefore, it is very helpful to accurately identify the accident situation of the aircraft when the incident is recovered after analysis.

오늘날에는 항공기뿐 아니라 자동차에도 블랙박스가 설치되곤 한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EDR(Event Data Recorder)'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주로 카메라 형식의 제품이 많다. 차량 내부의 룸미러 근처나 대시 보드 위에 주로 설치하며,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으로 기록, 교통사고 발생 때 시시비비를 가리는 데 주로 사용한다.Today, black boxes are used in cars as well as aircraft. Car black boxes are sometimes called 'EDR (Event Data Recorder)', but they are mostly camera type products. It is mainly installed near the room mirror inside the vehicle or on the dashboard. It is mainly used to record the video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o record the video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o observe the time when the traffic accident occurs.

제품에 따라서는 2대 이상의 카메라를 설치하며 전면뿐 아니라 후면, 측면도 동시에 촬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택시나 버스 같은 차량의 경우에는 음성을 녹음하면서 차량 내부까지 촬영하는 블랙박스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충돌과 관계없이 주행 중에 상시 촬영을 하는 제품, 차량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감지하여 충돌 순간만을 촬영하는 제품, 혹은 주차 시에만 작동하는 제품 등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능 중 여러 가지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 외에도 내비게이션이나 하이패스와 기능을 함께 가진 일체형 블랙박스도 있다.Depending on the product, two or more cameras may be installed. In some cases, such as a taxi or a bus, an unspecified number may be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do. In addition to this, there are a product that always shoots while driving, a product which captures a sudden movement of a vehicle to capture only a collision moment, or a product that operates only when parking, and the like. There are many cases. There is also an integrated black box with navigation and high pass functions.

더욱이 운전자가 별도로 장착하는 경우 외에 자동차 제조사에서 최초부터 블랙박스를 장착하기도 한다. 이때는 페달(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나 스티어링 휠(핸들)의 조작 여부, 차량의 속도, 안전벨트의 상태 등이 기록되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사고 경위 조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o being fitted separately by the driver, the car maker may initially install a black box. In this case, the pedal (accelerator), the operation of the brake or the steering wheel (steering wheel),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status of the seat belt are recorded.

종래에 차량용 블랙박스에 장착된 촬영장치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차량의 주행 중 또는 주정차 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에 관한 기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블랙박스의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블랙박스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거나 저장장치를 블랙박스로부터 분리하여 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Conventionally, a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stores image data photographed in real time in a storage device, thereby providing a record of a safety accident occurring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or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of the black box can be checked by a monitor provided in the black box or by separating the storage device from the black box and reproducing the image data.

또한, 종래에 차량을 도로변이나 골목 또는 주차장 등에 주차 또는 정차시켜 둔 후에 무단으로 차량을 도난당하거나 불법 주정차 등에 의하여 견인해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차량을 도난당하거나 견인된 경우에 차량의 위치나 소재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나마 차량이 견인된 경우에는 관할 견인차량보관소나 견인해 간 장소를 주차나 정차해 두었던 곳에 안내문이 부착된 경우가 있지만, 차량을 도난당한 경우에는 이를 찾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Further, it is often the case that a vehicle is stolen unauthorized after being parked or stopped on a roadside, an alley, a parking lot, or the like, or towed by an illegal driving car or the like. 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is stolen or towed, it is not easy to grasp the location and the material of the vehicle. If the vehicle is towed, it may be difficult to find the vehicle if the vehicle is stolen, although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trailer is attached to the place where the vehicle was towed or park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차량에 설치된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기능과 오디오 기능이 모두 탑재되어 있어 중계소를 통해 운전자의 핸드폰과도 영상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MTS 시스템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접촉이 있을 때 빛이 반사되지 않으면 저항 감소를 유도하여 저항 증감에 따른 감지를 수행하도록 설치된 광센서와, 상기 차량의 룸미러에 설치되어 운전 중에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감지하고, 차량이 파킹 상태에 있을 때는 감시 카메라의 역할을 하는 룸미러 감시 카메라와, 상기 광센서 및 룸미러 감시 카메라 등으로부터 신호를 받고, 상기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받아 상기 차량의 룸미러와 사이드 미러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ETACS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난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차량 도난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불법 주정차로 인하여 교통에 장애를 주는 경우에 차량을 이동시킬 수 없어 다른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MTS system equipped with both a navigation function and an audio function using telematics installed in a vehicl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s to / from a mobile phone of a driver through a relay station, An optical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installed to perform sensing according to increase or decrease of resistance by inducing a decrease in resistance when light is not reflected when the vehicle is in contact with the vehicle; A room mirror surveillance camera serving as a surveillance camera when the vehicle is in a parked state, a signal from the optical sensor and a room mirror surveillance camera, receiving the signal of the eyes of the driver, And an ETACS for allowing the position of the ETACS to be adjusted is disclos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have.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theft of the vehicle in advan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move the vehicle when the traffic is obstructed due to illegal parking, which causes another inconvenience.

특허문헌 2는 사고 전후의 소정 시간 동안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 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사고처리 대행업체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전송된 사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사고처리 기관에 사고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사고관리서버, 상기 사고관리 서버로부터 사고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사고처리 기관에 구비된 사고처리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통사고 발생시, 차량 도난이나, 차량 파손 때에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자동으로 사고 전후의 영상을 사고 대행업체의 서버로 전송하고, 사고 대행업체는 사고 발생 위치와 관련된 사고 발생 정보를 경찰서, 119, 보험회사, 견인업체 등에 연락하므로 운전자의 안전과 빠른 사고 처리가 가능하며, 사고 발생에 관한 증거가 자동으로 수집, 전송, 저장되므로 신속한 분쟁해결이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연동된 사고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에 따른 차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Patent Document 2 is installed in a vehicle black box and an accident processing agency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ccident-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image data record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an accident, and receives incident-relat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black box An accident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to an accident handling agency, and an accident handling terminal provided in an accident handling agency for receiving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accident management server.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 The accidental agency transmits the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to the police station, 119, the insurance company, the towing company, etc. Therefore, It is capable of rapid accident handling and automatically collects, transmits, and stores evidence of accidents An accident handling system and method linked to a vehicle black box capable of prompt dispute resolution are disclosed. This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vehicle due to theft or traction of the vehicle.

특허문헌 3은 차량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GPS; 상기 차량의 사고 처리를 담당하는 사고처리대행업체; 상기 사고처리 대행업체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기지국 및 상기 GPS를 통해 검출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감시하며,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외부 충격 등을 감지하여 사고의 여부를 판단한 후, 사고 발생시 상기 촬영한 사고 전후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차량의 사고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사고처리대행업체로 전송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에 따른 차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GPS which detects information on a current position of a vehicle; An accident handling agency responsible for accident handling of the vehicle; A wireless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ident handling agency, and 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tected through the GPS, photographs and monitors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detects a traveling speed and an external impact of the vehicle, A black box for a vehicle including a vehicle black box for extracting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when the accident occurs and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accident data to the accident handling agency through the wireless base station A used accident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This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vehicle due to theft or traction of the vehicle.

특허문헌 4는 정보단말기는 GPS위성신호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GPS수신기와, GPS수신기에서 계산된 차량의 위치, 식별정보 및 도난신고정보를 정보센터로 송출하는 CDMA모뎀과, GPS수신기 및 CDMA모뎀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선의 단선시 GPS수신기, CDMA모뎀 및 마이콤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차량위치추적 시스템은 GPS수신기가 차량의 위치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 및 도난신고정보를 CDMA모뎀을 통해 송출하며, 근본적으로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나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의 단선시 내장된 예비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이 제공되는 차량정보단말기와, 차량정보단말기에서 보내오는 차량의 위치 및 식별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고, 차량의 도난신고 접수와 더불어 순찰차량에 통보하는 정보센터와, 정보센터와 연계하여 차량의 도난, 사고신고 접수시 차량의 위치정보 및 사고신고 정보를 토대로 관련차량을 급파하는 다수의 관련기관들로 구성된 차량의 위치 추적용 정보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에 따른 위치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Patent Document 4 discloses an information terminal includes a GPS receiver for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from a GPS satellite signal, a CDMA modem for transmitting a vehicle pos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ft report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GPS receiver to an information center, A CDMA modem, and a spar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GPS receiver, the CDMA modem and the microcomputer when the power line provided from the vehicle battery is disconnected, and the vehicle position trac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receiver,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positi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len report information through the CDMA modem. In the case wher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for the vehicle and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vehicle battery,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provided with power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 information center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nforms the patrol vehicle along with the receipt of the theft report of the vehicle, and an information center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center, There is disclosed an information terminal for positioning a vehic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lated agencies dispatched. This pose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judge the position information due to theft or traction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선행기술들에서 차량에 설치된 텔레매틱스나 차량용 블랙박스 등과 이동단말기 사이의 통신으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차량이 도난과 당한 것인지 견인당한 것인지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지 않고,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와 주변 영상을 용이하게 알 수 없어 실시간을 통하여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에 빠르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 등이 있었다.
In the prior art, alth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by telematics installed in the vehicle 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black box, it is not clear whether the vehicle is stolen or injur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images can not be easily understoo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can not be quickly stolen or tortured through the real tim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1127호(2005.06.22. 공개, 차량용 도난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61127 (published on Jun.22,2005,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0464호(2009.08.26. 공개, 차량용 블랙박스와 연동된 사고 처리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90464 (2009.08.26, disclosed, accident handling system and method linked with vehicle black box)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3893호(2010.07.01. 공개,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73893 (Published on Jul. 1, 2010, Black box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aging an accident using the same and system thereof)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42529호(2004.07.30. 공고, 차량의 위치 추적용 정보 단말기)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42529 (Bulletin issued on July 30, 2004, information terminal for tracking vehicle posi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정차된 차량에 대하여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운전자 유무, 시동상태, 차량속도 및 충격감지를 판단하여 차량이 무단으로 도난당한 것인지 아니면 견인조치를 당하였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using a vehicle black box to easily determine whether a vehicle has been stolen or towed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driver, The purpose is to recogniz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무단으로 도난이나 견인 때에 차량의 위치나 블랙박스에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을 운전자 스마트폰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차량의 수배나 견인위치 등에 따른 신속한 후속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position of a vehicle or a moving picture photographed in a black box in real time through a driver's smartphone when the vehicle is stolen or trotted unauthorizedly, so as to perform rapid follow- It is another purpos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의 제어부가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도어키로 도어의 잠금을 감지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난/견인감시 시작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면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운전자감지부, 시동감지부, 속도감지부 및 충격감지부에서 각각 감지되어 입력된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감지부에서 입력된 운전자유무에 관한 제1조건과 시동감지부에서 입력된 시동상태에 관한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에 만족하는 경우에 속도감지부에서 입력된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제3조건과 충격감지부에서 입력된 충격값 유무에 관한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건 내지 제4조건 모두가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차량의 도난으로 판단한 후 이미 설정해 놓은 스마트폰으로 도난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A) a control unit of a vehicle black box installed in a vehicle detects a door lock by a door key of the vehicle through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or detects a door lock from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 phone, Performing a mode for monitoring theft or traction of a vehicle upon receiving an input of a monitoring start button; (b)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input signal detected and detected by the driver sensing unit, the startup sensing unit, the speed sensing unit, and the impact sensing unit, respectively, is detected while the vehicle is stolen or towed; (c)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first condition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river input from the driver detection unit and a second condition related to the startup state input from the startup detection unit satisfy a set reference value; (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third condition relat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inputted from the speed sensing unit, Determining whether a condition satisfies a set reference value; And (e) if the first condition to the fourth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stolen, and then transmits the stolen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through the text messa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unauthorized moving information of a driving vehicle using a black box for a vehic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도어키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난/견인감시 해제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면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해제하여 정상적인 운전자의 차량의 시동에 의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a), the controller detects an opening of a door through a door key of a vehicle through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or inputs an input of a theft / traction surveillance release button from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And a step of releasing a mode for monitoring the theft or traction of the vehicle so as to enable the normal driver to start the vehicle by starting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감지부에서 입력된 운전자유무에 관한 제1조건과 시동감지부에서 입력된 시동상태에 관한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지 않고, 속도감지부에서 입력된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제3조건과 충격감지부에서 입력된 충격값 유무에 관한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차량의 견인으로 판단한 후 이미 설정해 놓은 스마트폰으로 견인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c),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condition relating to the presence of the driver input from the driver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dition related to the starting state input from the startup detection unit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third condition relat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inputted from the speed sensing unit and the fourth condition relat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mpact value inputted from the impact sensing unit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And transmitting the trailing information as a text messag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해 놓은 112신고전화로 통화 연결을 수행한 후 관할 경찰서의 112신고전화 수신자에게 차량의 도난에 관한 정보를 안내음성과 더불어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e), the control unit makes a call connection to the set 112 call phone number, and informs the caller of the 112 call telephone of the police station in charg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theft of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차량 도난에 관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고, 운전자로부터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차량위치 보기 또는 실시간 동영상 보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차량의 위치정보 또는 블랙박스의 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 화면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정보 및 실시간 동영상이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e), the smartphone automatically executes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after receiving a text message relating to vehicle theft from a black box for a vehicle, The user can select the vehicle position view or the live video view from the menu. By the driver's choice, the moving image captured in real time from the car position information or the black box shooting section in the vehicle black box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So that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real time moving picture can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3조건과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차량의 견인으로 판단한 후 이미 설정해 놓은 스마트폰으로 견인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e), when the third condition and the fourth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towed, and then transmits the tow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차량 견인에 관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고, 운전자로부터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차량위치 보기 또는 실시간 동영상 보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차량의 위치정보 또는 블랙박스의 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 화면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정보 및 실시간 동영상이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automatically receives a text message relating to vehicle towing from a black box for a vehicle, then automatically executes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and displays the vehicle position or real time The user can select a video view. By selecting the driver, the user can selec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black box or the moving picture which is photographed in real time from the photographing part of the black box to the smartphone, Real-time video can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위치 보기는 운전자 스마트폰에 설치된 지리정보 애플리케이션이나 구글맵이 연동되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location view can be implemented by linking a geospatial application installed in an operator smartphone or a Google Map.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장착되거나 블랙박스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 또는 측방카메라를 포함하고 해당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해상도 및 크기로 변환된 영상데이터로 저장하되, 촬영위치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에 장착되어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시간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GPS의 위치정보로부터 현재 차량의 위치를 지리정보로 제공하는 GIS;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작동상태를 알람신호나 음성신호로 표출하는 음성출력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어 차량용 블랙박스의 각종 설정이나 선택을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운전자 스마트폰과 접속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및 정보데이터 또는 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운전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이나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차량의 운전석시트로부터 운전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하는 운전자감지부; 차량의 시동키로부터 차량의 시동을 감지하는 시동감지부; 차량에 설치된 속도계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내에 장착되어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 차량의 도어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온/오프 또는 각종 설정이나 선택을 입력하는 버튼입력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와 외부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인터페이스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블랙박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일정 용량의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전원공급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조도감지센서의 조도감지량을 판단하여 촬영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하거나 통신수단을 거쳐 운전자 스마트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운전자감지부, 시동감지부, 속도감지부, 충격감지부 및 도어개폐감지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연산 및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image pickup apparatus comprising a front camera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or connected to a black box by a cable,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rear camera or a side camera and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 memory unit for storing image data including image data of a photograph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the image data being converted into imag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resolution and size; A GPS receiver mounted on the vehicle black box for receiving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A GIS installed in the vehicle black box to provide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as geographical information from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 audio output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black box as an alarm signal or a voice signal; An illuminance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black box for sensing an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utside;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 touch screen coupled to the display unit for inputting various settings and selections of a vehicle black box; The image data and the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or the image data captured in real time in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er's smartphone connected to the driver smartphone set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selection of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A driv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o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 star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tart of the vehicle from a start key of the vehicle; A speed sensing part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a speedometer installed in the vehicle; An impact sensing unit mounted in the vehicle black box for sensing an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A button input unit for inputting on / off or various setting or selection of the vehicle black box; An input / output interface for inputting / outputting data to / from the vehicle black box and an external device; A power supply unit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black box and has a constant capacity of rechargeable battery;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resolu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illuminance detection amount of the illumination sensor,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of the driver smartphone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calculating and determining signals input from the driver sensing unit, the starting sensing unit, the speed sensing unit, the impact sensing unit,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authorized mobil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black box for a vehic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에는 운전자감지부, 시동감지부, 속도감지부, 충격감지부 및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로부터 복수의 조건을 연산하는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for calculating a plurality of conditions from signals input through the driver sensing unit, the startup sensing unit, the speed sensing unit, the impact sensing unit,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ing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may be provided with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black box for vehicles.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주정차 중인 차량이 무단으로 도난 또는 견인되고 있는 상태를 실제 차량 운전자에게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지리정보와 동영상정보로 서비스함으로써, 차량의 도난 때에 관할 경찰서의 신고와 동시에 수배 조치로 보다 신속한 차량 찾기가 가능하고, 차량의 견인 때에 견인된 차량의 위치나 견인보관소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차량의 운용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블랙박스의 기능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eal vehicle driver with a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oving picture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a smart phone, a state in which a vehicle in a parked vehicle is steadily stolen or towed by using a vehicle black box, At the same time as the notification, it is possible to find the vehicle more quickly by searching for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owed and the towing room when the vehicle is tow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reliability of the black box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와 운전자 스마트폰이 근거리통신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를 위한 운전자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및 작동을 나타낸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제어부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신호의 변화에 따라 차량의 도난 또는 견인을 판단하는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FIG. 1 shows that a vehicle black box and an operator smartphone are connected through a local communication or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black box for an endless moving information service of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black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D information service of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11 illustrate menus and operations of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a driver's smartphone for an endless moving information service of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black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a condi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is stolen or towed according to a change in a signal sensed and inputted by a control unit of a black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endless moving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 차량 내부에 차량용 블랙박스(10)가 설치된다. 차량의 주정차나 운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녹화함으로써 사고 전이나 후의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10)는 방범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차량용 블랙박스(10)는 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50)과 같은 이동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와 접속된다. 그리고 차량용 블랙박스(10)는 스마트폰(50)과 근거리통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10)는 스마트폰(50)과 이동통신사에게 제공하는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차량용 블랙박스(10)와 스마트폰(50)이 별도의 통신망을 거치지 않고 적외선, 와이파이, 지그비 또는 NFC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1, a vehicle black box 10 is installed inside a vehicle. This is to record the images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driving or driving of the vehicle so that they can be used as evidence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Further, the vehicle black box 10 may be used for crime prevention. Furthermore, the vehicle black box 10 is connected to a terminal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50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vehicle black box 10 can be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50 by local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 vehicle black box 10 may be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5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However, the vehicle black box 10 and the smart phone 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infrared, Wi- Or NFC, as shown in FIG.

도 2에서, 차량용 블랙박스(10)에는 촬영부(20)가 설치된다. 촬영부(20)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카메라(21),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22), 그리고 차량의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을 각각 촬영하는 측방카메라(23)가 포함된다. 차량용 블랙박스(10)의 기능이나 용도에 따라 블랙박스에 전방카메라(21)가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전방카메라(21)와 더불어 블랙박스(10)와 케이블로 연결된 후방카메라(22)가 설치되거나 또는 전방카메라(21)와 후방카메라(22)와 더불어 블랙박스(10)와 케이블로 연결된 측방카메라(23)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촬영부(20)는 전후좌우 방향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전방위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In Fig. 2, the vehicle-mounted black box 10 is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section 20. Fig. The photographing section 20 includes a front camera 21 for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a rear camera 22 for photographing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lateral camera 23 for photograph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 The front camera 21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black box or the rear camera 22 connected to the black box 10 by a cable may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r use of the vehicle black box 10, A front camera 21 and a rear camera 22, and a side camera 23 connected to the black box 10 via a cable. Further, the photographing unit 20 can be applied to the omnidirectional camera which can photograph the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s at one time.

메모리부(30)는 촬영부(2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롬(ROM)이나 램(RAM), 이이피롬(EEPROM)이나 플래시메모리 등이 적용될 수 있고, 탈착이 가능한 카드형이 적용되는 것이 좋다. 메모리부(30)는 촬영부(2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해상도 및 크기로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 차량의 촬영위치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30)에는 제어부(11)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일정 시간동안의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이벤트 발생 저장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30 stores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0. The memory unit 30 may be a ROM, a RAM, an EEPROM, a flash memory, or the like, . The memory unit 30 stores image data obtained by convert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0 into a predetermined resolution and size, and stores image data including photograph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memory unit 30 may include an event generation and storage module for separately storing images photograph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rom the control unit 1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기(31)는 차량용 블랙박스(10)에 장착되어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시간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32)는 차량용 블랙박스(10)에 설치되어 GPS수신기(31)의 위치정보로부터 현재 차량의 위치를 지리정보로 제공하는 것이다. GIS(32)는 도로를 포함하여 각종 지형과 지물 등의 지리적인 공간정보를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GIS(32)의 지리정보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31 is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10 and receives time and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A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32 is provided in the vehicle black box 10 to provide the position of the current vehicle as geographical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PS receiver 31. The GIS 32 visually expresses geographical spatial information such as various terrain and objects including roads.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GIS 32 is preferably updated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음성출력부(33)는 제어부(11)의 제어로 알람신호나 음성신호를 표출하는 것으로, 음성출력부(33)는 제어부(11)의 작동상황이나 제어상태, 비상상황 등을 청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The audio output unit 33 displays an alarm signal and an audi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 The audio output unit 33 audibly expresses the operation state, control state, emergency situation, .

조도감지센서(34)는 차량용 블랙박스(10)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것이다. 조도감지센서(34)는 차량의 외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로 출력한다.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34 is mounted on the vehicle black box 10 and detects the amount of light radiated from the outside.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34 converts the amount of light radiat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

디스플레이부(35)는 제어부(11)의 제어로 촬영부(20)에서 촬영된 영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제어부(11)의 작동상태나 알람신호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5)는 차량용 블랙박스(10)에 일체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부(35) 표면에는 입력수단, 즉 정전식이나 감압식의 터치스크린(36)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터치스크린(36)은 통상 디스플레이부(35)에 결합되어 차량용 블랙박스의 각종 설정이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이다.The display unit 35 visually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 and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11 and an alarm signal. The display unit 3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vehicle black box 10 and an input means such as an electrostatic or pressure sensitive touch screen 36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5 to touch the user's finger or the like . The touch screen 36 is gener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5 and is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various settings and selections of the vehicle black box.

통신수단(37)은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운전자 스마트폰(50)과 접속하여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영상 및 정보데이터 또는 촬영부(2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운전자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이나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또한, 통신수단(37)은 통신망에 접속되어 차량정보를 포함하여 블랙박스(10)의 각종 업데이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수단(37)은 통상의 셀룰러 방식이나 와이파이, 와이브로, LTE 또는 LTE-A 등으로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기기이다. 통신수단(37)은 적외선(IR),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방식으로 운전자용 스마트폰(50)과 접속되거나, 스마트폰(50)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리고 통신수단(20)은 GPS 음영지역에서 스마트폰(50)을 통해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수단(37)은 기존 이동통신망에 직접 접속이 가능한 것이 좋지만, 스마트폰(50) 등을 통해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도 좋다.The communication means 37 is connected to the driver smartphone 50 set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image and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30 or the image data photographed in real time in the photographing unit 20 to the driver's smartphone 50, Or transmits or receives a selection or a control signal of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The communication means 37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updat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10 including the vehicle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means 37 is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by a normal cellular system, Wi-Fi, WiBro, LTE or LTE-A. The communication means 37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r's smartphone 50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infrared (IR), Wi-Fi, ZigBee 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20 can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smart phone 50 in the shadow area of the GPS and transmit and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Therefore, the communication means 37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t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smart phone 50 or the like.

운전자감지부(38)는 차량의 운전석시트로부터 운전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운전자감지부(38)은 운전석시트에 중량을 감지하여 스위칭되는 부재가 설치되거나 접촉스위치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촬영부(20)에서에서 운전석을 촬영하거나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유무를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river detection unit 38 detects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o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The driver sensing unit 38 may be equipped with a member to be switched by sensing the weight on the driver's seat, or a contact switch or the like may be incorporated. The driver's seat may be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ng unit 20 of the vehicle black box 10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may be detected using an infrared sensor.

시동감지부(39)는 차량의 시동키로부터 차량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즉 차량의 시동키가 위치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유무를 감지한다. The startup detecting unit 39 detects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starting key of the vehicle. That is, the start key of the vehicle judges the position and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or not.

속도감지부(40)는 차량에 설치된 속도계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즉 속도감지부(40)는 차량의 휠의 움직임에 관한 신호로 속도를 산출한다. 더욱이 속도감지부(40)는 차량이 지하에서 주행하거나 GPS수신기(31)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지역에서 차량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peed sensing unit 40 senses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a speedometer installed in the vehicle. That is, the speed sensing unit 40 calculates the speed by using a signal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wheel of the vehicle. Further, the speed sensing section 40 is capable of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in an area where the vehicle can not travel underground or can not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31. [

충격감지부(41)는 차량용 블랙박스(10) 내에 장착되어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을 감지하는 것이다. 충격감지부(41)에는 차량의 진행방향(X축), 측면(Y축) 및 위아래(Z축)에 대한 흔들림을 감지하는 G-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G-센서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과 같은 동적 힘을 측정하여 단위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능을 포함한다.The impact detection unit 41 is mounted in the vehicle black box 10 and detects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The impact detection unit 41 includes a G-sensor for sensing the shaking motion of the vehic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X axis), the side (Y axis), and the up and down (Z axis). The G-senso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function that measures dynamic force such as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of an object and detects a change in velocity per unit time.

도어개폐감지부(42)는 차량의 도어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도어키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정시킨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무선 도어키의 경우에도 차량의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정시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42 sense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and detects the state in which the driver locks or unlocks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using the door key. Further, even in the case of the wireless door key, it is possible to detect a state in which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is locked or unlocked.

버튼입력부(43)는 터치스크린(36)과 달리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온/오프를 위한 전원버튼이나 수동 촬영을 위한 촬영버튼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각종 설정이나 선택을 입력하는 것이다. 더욱이 차량용 블랙박스(10)에는 차량용 블랙박스와 외부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복수의 접속단자가 구비된 입출력인터페이스부(44)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좋다. 입출력인터페이스부(44)는 차량용 블랙박스(10)와 외부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복수의 접속단자가 구비된 것이다.Unlike the touch screen 36, the button input unit 43 is used to input various settings or selections by a user such as a power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vehicle black box 10 or a photographing button for manual photographing. Furthermore, the vehicle black box 10 preferably includes an automotive black box and an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44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to / from an external device.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4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for data input / output of the vehicle black box 10 and an external device.

전원공급부(45)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블랙박스(1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전원공급부(45)에는 일정 용량의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일정 시간동안 블랙박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좋다. 즉 블랙박스(10)를 차량에서 독립적으로 분리하더라도 블랙박스의 기본적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ower supply unit 45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f the vehicle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black box 10. The power supply unit 45 may be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black box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n a situation where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That is, even if the black box 10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independently, basic functions of the black box can be performed.

제어부(11)는 촬영부(2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부(30)에 저장되도록 하고, 조도감지센서(34)의 조도감지량을 판단하여 촬영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수단(37)을 통해 전송하거나 통신수단을 거쳐 운전자 스마트폰(5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운전자감지부(38), 시동감지부(39), 속도감지부(40), 충격감지부(41) 및 도어개폐감지부(42) 등에서 입력된 신호를 연산 및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11 stor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0 in the memory unit 30 and determines the resolu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by judging the illuminance detection amount of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34, 30 via the communication means 37 or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er smartphone 50 via the communication mean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r sensing unit 38, the startup sensing unit 39, the speed sensing unit 40 The shock detection unit 41,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42, and the lik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더욱이 도 12에서, 제어부(11)에는 운전자감지부(38), 시동감지부(39), 속도감지부(40), 충격감지부(41) 및 도어개폐감지부(42) 등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로부터 복수의 조건을 연산하는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12)이 포함된다.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12)은 차량의 상태, 즉 제1조건으로 운전자의 유무, 제2조건으로 차량의 시동상태, 제3조건으로 차량의 속도신호 및 제4조건으로 차량의 충격감지 유무 등을 판단하여 주정차된 차량이 도난당하는 것인지 아니면 견인당하는 것인지를 연산 및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12, the control unit 11 receives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driver sensing unit 38, the startup sensing unit 39, the speed sensing unit 40, the impact sensing unit 41,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ing unit 42, And a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12 for calculating a plurality of conditions from the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The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1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a first condition, whether the vehicle is in a first condition, a starting condition of the vehicle in a second condition, a vehicle speed signal in a third condi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judge whether or not the stolen vehicle is stolen or towed.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10)와 데이터통신을 하는 운전자 스마트폰(50)에는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블랙박스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와 호환이 가능한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원격에서 블랙박스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driver smart phone 50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black box 10.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s compatible with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black box, and can be operated remotely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black box or transmit / receive the control signal.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차량 인식정보 통합 서비스 방법에 관하여 도 3 내지 도 5의 흐름도와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 method for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3 to 5 and FIGS. 6 to 12. FIG.

도 3에서,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도어개폐감지부(42)를 통해 차량의 도어키로 도어의 잠금을 감지한다. 즉 운전자가 차량을 주정차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 도어키 또는 무선도어키 등으로 도어를 잠금상태로 전환시킨 것을 도어개폐감지부(42)를 통해 감지하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운전자가 운전자 스마트폰(50)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도난/견인감시 시작버튼을 입력하면, 스마트폰(50)에서 무선으로 차량용 블랙박스(10)의 통신수단(37)을 통해 제어부(11)로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가 수행되도록 명령신호를 전송한다(S1). 이 또한 운전자가 차량을 주정차시킨 후에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 스마트폰(50)의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용 블랙박스(10)에서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3, 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installed in the vehicle detects the door lock by the door key of the vehicle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42. [ That is, when the driver turns off the vehicle in order to park the vehicle,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42 senses that the door is locked by the door key or the wireless door key. 6, when the driver inputs a start / stop surveillance start button after executing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river smartphone 50, the smartphone 50 wirelessly transmits the black box 10 The control unit 11 transmits a command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7 so that a mode for monitoring theft or traction is performed (S1). Also, in a state where the driver turns off the vehicle, the vehicle black box 10 uses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50 to perform a mode for monitoring theft or traction of the vehicle .

이때, 운전자가 주정차된 차량을 이용하기 위하여 도어키 또는 무선도어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도난/견인감시 해제버튼이 입력되면, 차량용 블랙박스(10)는 이를 감지하여 도난이나 견인감시를 해제시킨다(S2). 그리고 운전자는 차량의 운행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도어개폐감지부(42)를 통해 차량의 도어키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거나 스마트폰(50)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난/견인감시 해제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면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해제하여 정상적인 운전자의 차량의 시동에 의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S3).At this time, if the driver opens the door using the door key or the wireless door key to use the vehicle, or if the theft / tow monitoring cancel button of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is inputted, ) Detects this and releases theft or tow monitoring (S2). And the driver will be able to operate the vehicle normally. That is, 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senses the opening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key of the vehicle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42 or detect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from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50 When the input of the button is received, the mode for monitoring the theft or traction of the vehicle is canceled so that the normal driver can start the vehicle by starting the vehicle (S3).

그러나 상기 단계(S1) 이후에 운전자가 도난/견인감시 해제를 위한 어떠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에 차량용 블랙박스(10)는 차량의 도난/견인감시를 수행한다. 그리고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운전자감지부(38), 시동감지부(39), 속도감지부(40) 및 충격감지부(41)로부터 각각 변화가 발생되는 신호를 감시한다. 즉 제어부(11)는 제1조건으로 운전자감지부(38)로부터 운전자의 유무를 감지하고, 제2조건으로 시동감지부(39)에서 시동상태를 감지하며, 제3조건으로 속도감지부(40)에서 차량의 속도가 있는지 감지하고, 제4조건으로 충격감지부(41)에서 차량에 가해진 충격값을 감지하게 된다(S4).However, if the driver does not take any measures for theft / traction surveillance after step S1, the vehicle black box 10 performs theft / traction surveillance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monitors signals generated by the driver sensing unit 38, the startup sensing unit 39, the speed sensing unit 40, and the impact sensing unit 41, respectively. That is, the control unit 11 detects the presence of the driver from the driver sensing unit 38 under the first condition, senses the starting state from the starting sensing unit 39 under the second condition, And the shock sensor 41 senses the impact value applied to the vehicle under the fourth condition (S4).

이는 도 12에서, 차량이 주정차된 상태에서는 운전자감지부(38)는 운전자를 인식하지 못하고, 시동감지부(39)는 시동이 OFF된 상태를 인식하며, 속도감지부(40)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지 못하고, 충격감지부(41)는 차량에서 어떠한 충격값을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이다.12,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the driver detection unit 38 does not recognize the driver, the startup detection unit 39 recognizes the state where the start is OFF, and the speed detection unit 40 detects the vehicle speed And the impact detection unit 41 can not detect any impact value in the vehicle.

따라서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운전자감지부(38), 시동감지부(39), 속도감지부(40) 및 충격감지부(41)에서 각각 감지되어 입력된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5).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controls the driver sensing unit 38, the startup sensing unit 39, the speed sensing unit 40, and the impact sensing unit 38 41), and determines whether a change in the input signal has occurred (S5).

한편, 제어부(11)는 차량에서 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12)에서 운전자감지부(38)에서 입력된 운전자유무에 관한 제1조건과 시동감지부(39)에서 입력된 시동상태에 관한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6). 이때,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12) 운전자감지부(38)의 제1조건과 시동감지부(39)의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였을 경우에 속도감지부(40)에서 입력된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제3조건과 충격감지부(41)에서 입력된 충격값 유무에 관한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7). 그리고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12)은 속도감지부(40)의 제3조건과 충격감지부(41)의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였을 경우에 차량의 도난으로 판단하게 된다(S8).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condition relat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input from the driver detection unit 38 in the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12 and the first condition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input from the start detection unit 3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condition regarding the state satisfies the set reference value (S6). If the first condition of the driver detection unit 38 and the second condition of the start detection unit 39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speed detection unit 40 detects the vehicle speed (S7) whether the fourth condition regar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mpact value input from the impact sensing unit 41 satisfies the set reference value. Then, the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12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stolen if the third condition of the speed sensing unit 40 and the fourth condition of the impact sensing unit 41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S8).

그러므로 제어부(11)는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12)의 연산에 따라 도 12에서 차량의 도난은 운전자가 없다가 있음으로 변화되고, 시동상태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며, 차량속도가 없다가 있음으로 변화되고, 차량의 충격, 즉 G-센서가 차량의 주행으로 인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게 되었다면, 이는 차량이 정상적인 운전자가 운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차량이 도난 중임을 판단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the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12, the control unit 11 changes the state of the vehicle stolen in Fig. 12 to the absence of the driver, changes the starting state from OFF to ON, And the impact of the vehicle, that is, the G-sensor, detects vibration or shock due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len because the normal driver is not operating.

또한, 도 7에서,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제1조건 내지 제4조건 모두가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차량의 도난으로 판단한 후 이미 설정해 놓은 스마트폰(50)으로 통신수단(37)을 통해 도난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한다(S9).7, 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judges that the vehicle is stolen when both of the first condition to the fourth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and then the smart phone 50 Thef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37 via a text message (S9).

이와 더불어 제어부(11)는 이미 설정해 놓은 112신고전화로 통화 연결을 수행한 후 관할 경찰서의 112신고전화 수신자에게 차량의 도난에 관한 정보를 안내음성과 더불어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한다(S10). 따라서 차량의 도난에 대하여 차량의 운전자 스마트폰(50)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차량의 도난 사실을 고지하고, 112신고전화를 통하여 도난 차량에 대한 빠른 수배가 가능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 carries out a call connection with the already set up 112 call telephone number, and then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theft of the vehicle to the caller of the 112 call telephone of the police station concerned, . Accordingly, a tex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driver's smartphone 50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theft of the vehicle, thereby notifying the driver of the stolen vehicle and prompting the stolen vehicle to be quickly picked up by calling 112.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가 운전자 스마트폰(50)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면, 스마트폰(50)은 차량 도난에 관하여 차량용 블랙박스(10)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50)은 도난에 관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S11). When 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transmits a text message to the driver smartphone 50, the smartphone 50 confirms the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vehicle black box 10 regarding the vehicle stolen . Here, the smartphone 50 may automatically execute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fter receiving the text message relating to theft. Of course, the driver may directly execute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need (S11).

운전자가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차량위치 보기를 선택하면(S12),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GPS수신기(31)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GIS(32)에서 추출된 지리정보를 운전자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한다(S13). 따라서 도 9에서, 운전자 스마트폰(50) 화면에 차량의 위치정보가 지도상에 표시된다(S14). 더욱이 제어부(11)는 GPS수신기(31)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하면, 스마트폰(50)은 구글맵(Google Map)과 연동하여 지리정보가 스마트폰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거나 운전자 스마트(50)에 설치되어 있는 지리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화면에 지리정보가 표출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운전자가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실시간 동영상 보기를 선택하면(S12),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촬영부(20)의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 정보를 운전자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한다(S13). 따라서 도 10에서, 운전자 스마트폰(50) 화면에 촬영부(20)의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이 표출된다(S14).When the driver selects the vehicle position view from the black box control menu (S12), the controller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displays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31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GIS 32 To the driver's smartphone 50 (S13). Therefore, in FIG. 9,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map on the screen of the driver smartphone 50 (S14). When the controller 11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31 to the smartphone 50, the smart phone 5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Google Map so that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Or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us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river smart 50. 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displays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being photographed in real time by the camera of the photographing unit 20 in the driver's smartphone 10, (S13). Therefore, in FIG. 10, the moving picture being photographed in real time from the camera of the photographing unit 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river smartphone 50 (S14).

또한, 운전자가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차량위치 보기와 실시간 동영상 보기를 모두 선택하면(S12), 도 11에서,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차량용 블랙박스(10)에서 차량의 위치정보와 블랙박스의 촬영부(2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을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하고(S13), 이를 수신한 스마트폰(50)은 화면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정보 및 실시간 동영상이 동시에 표출되도록 한다(S14).When the driver selects both the vehicle position view and the real-time video view from the black box control menu (S12),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black box The mobile phone 50 transmits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ed in real time to the smart phone 50 in step S13 and the smart phone 5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al time moving picture simultaneously on the screen in step S14, .

한편, 상기 단계(S6)에서, 제어부(11)는 차량에서 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12)에서 운전자감지부(38)의 제1조건과 시동감지부(39)의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지 않았지만, 속도감지부(40)에서 입력된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제3조건과 충격감지부(41)에서 입력된 충격값 유무에 관한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은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21). 따라서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12)은 제1조건과 제2조건은 만족하지 않지만, 속도감지부(40)의 제3조건과 충격감지부(41)의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였을 경우에 차량의 견인으로 판단하게 된다(S22).In the step S6,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condition of the driver sensing unit 38 in the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12 and the second condition of the driver sensing unit 38 in the second state The third condition relat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inputted at the speed sensing unit 40 and the reference value set for the fourth condition relat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mpact value inputted from the impact sensing unit 41 are satisfied (S21). Therefore, when the third condition of the speed sensing unit 40 and the fourth condition of the impact sensing unit 41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vehicle condition recognition algorithm 12 does not satisfy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towed (S22).

따라서 제어부(11)는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12)의 연산에 따라 도 12에서 차량의 도난은 운전자를 인식하지 못하고, 시동상태가 OFF인 상태에서, 차량속도가 없다가 있음으로 변화되고, 차량의 충격, 즉 G-센서가 차량의 주행으로 인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게 되었다면, 이는 차량이 정상적인 운전자가 운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차량이 견인 중으로 판단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the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12, the control unit 11 changes the state of Fig. 12 such that theft of the vehicle does not recognize the driver, the state of the starting state is OFF, If the shock, that is, the G-sensor, detects vibration or shock due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being towed because the normal driver is not operating.

또한, 도 8에서,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제1조건과 제2조건을 제외한 제3조건과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차량의 견인으로 판단한 후 이미 설정해 놓은 스마트폰(50)으로 통신수단(37)을 통해 견인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한다(S23). 따라서 차량의 견인에 대하여 차량의 운전자 스마트폰(50)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차량의 견인 사실을 고지함으로써, 차량의 견인에 대한 저지조치나 견인된 후의 견인장소에 대한 빠른 조치가 가능해지게 된다.8, the controller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judges that the vehicle is towed when the third condition and the fourth condition except for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And transmits the traction information via the communication means 37 to the set smart phone 50 via a text message (S23). Accordingly, by transmitting a text message to the driver's smartphone 50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trac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driver of the traction of the vehicle.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가 운전자 스마트폰(50)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면, 스마트폰(50)은 차량 견인에 관하여 차량용 블랙박스(10)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50)은 견인에 관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S24).When 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transmits a text message to the driver smartphone 50, the smartphone 50 confirms the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vehicle black box 10 . Here, the smartphone 50 may be able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after receiving the text message regarding the traction. Of course, the driver may directly execute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ccording to need (S24).

운전자가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차량위치 보기를 선택하면(S25),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GPS수신기(31)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GIS(32)에서 추출된 지리정보를 운전자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한다(S26). 따라서 도 9에서, 운전자 스마트폰(50) 화면에 차량의 위치정보가 지도상에 표시된다(S27). 더욱이 제어부(11)는 GPS수신기(31)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하면, 스마트폰(50)은 구글맵(Google Map)과 연동하여 지리정보가 스마트폰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거나 운전자 스마트(50)에 설치되어 있는 지리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화면에 지리정보가 표출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운전자가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실시간 동영상 보기를 선택하면(S25), 차량용 블랙박스(10)의 제어부(11)는 촬영부(20)의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 정보를 운전자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한다(S26). 따라서 도 10에서, 운전자 스마트폰(50) 화면에 촬영부(20)의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이 표출된다(S27).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displays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31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GIS 32 To the driver smartphone 50 (S26). Therefore, in FIG. 9,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map on the screen of the driver smartphone 50 (S27). When the controller 11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31 to the smartphone 50, the smart phone 5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Google Map so that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Or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us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river smart 50. The control unit 11 of the vehicle black box 10 displays the video information being photographed in real time from the camera of the photographing unit 20 in the driver's smartphone 10, (Step S26). Accordingly, in FIG. 10, the moving picture being photographed in real time from the camera of the photographing unit 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river's smartphone 50 (S27).

또한, 운전자가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차량위치 보기와 실시간 동영상 보기를 모두 선택하면(S25), 도 11에서,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차량용 블랙박스(10)에서 차량의 위치정보와 블랙박스의 촬영부(2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을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하고(S26), 이를 수신한 스마트폰(50)은 화면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정보 및 실시간 동영상이 동시에 표출되도록 한다(S27).11, when the driver selects both the vehicle position view and the real-time video view from the black box control menu (S25),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vehicle black box 10 and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black box The mobile phone 50 transmits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ed in real time to the smart phone 50 in step S26 and the smart phone 5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al time moving picture simultaneously on the screen in step S27, .

또한, 도 6에서, 운전자 스마트폰(50)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는 운전자의 임의조작으로 차량위치 보기, 실시간영상 보기, 녹화영상 보기 또는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외부의 충격에 의한 이벤트영상 보기가 가능하다. 또한, 블랙박스의 정보보기의 선택으로 블랙박스에 관한 각종 정보의 열람이나 입력 또는 각종 제어를 위한 선택 및 설정이 가능하다.
6, in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river's smartphone 50, an arbitrary operation of the driver is used to view the vehicle position, view the real time image, view the recorded image, or view the event image due to the external impact on the parked vehicle Is possible. Further, by selecting the information display of the black box,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set various information relating to the black box for viewing or inputting or for various controls.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has it will know it easily.

10: 블랙박스 11: 제어부 12: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 20: 촬영부 21: 전방카메라 22: 후방카메라 23: 측방카메라 30: 메모리부 31: GPS수신기 32: GIS 33: 음성출력부 34: 조도감지센서 35: 디스플레이부 36: 터치스크린 37: 통신수단 38: 운전자감지부 39: 시동감지부 40: 속도감지부 41: 충격감지부 42: 도어개폐감지부 43: 버튼입력부 44: 입출력인터페이스부 45: 전원공급부 50: 스마트폰[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 navigation system, a navigation system, a navigation system, a navig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shutting de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device, 50: Smartphone

Claims (12)

(a)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의 제어부가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도어키로 도어의 잠금을 감지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난/견인감시 시작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면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운전자감지부, 시동감지부, 속도감지부 및 충격감지부에서 각각 감지되어 입력된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감지부에서 입력된 운전자유무에 관한 제1조건과 시동감지부에서 입력된 시동상태에 관한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에 만족하는 경우에 속도감지부에서 입력된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제3조건과 충격감지부에서 입력된 충격값 유무에 관한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건 내지 제4조건 모두가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차량의 도난으로 판단한 후 이미 설정해 놓은 스마트폰으로 도난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a)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black box installed in the vehicle detects the door lock by the door key of the vehicle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or receives the input of the theft / traction surveillance start button from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Performing a mode for monitoring theft or traction;
(b)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input signal detected and detected by the driver sensing unit, the startup sensing unit, the speed sensing unit, and the impact sensing unit, respectively, is detected while the vehicle is stolen or towed;
(c)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first condition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river input from the driver detection unit and a second condition related to the startup state input from the startup detection unit satisfy a set reference value;
(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third condition relat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inputted from the speed sensing unit, Determining whether a condition satisfies a set reference value; And
(e) if the first condition to the fourth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stolen, and then transmits the stolen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that has been set in the text message A Method of Information Service for Unauthorized Movement of Driving Vehicle using Car Black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차량의 도어키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난/견인감시 해제버튼의 입력을 수신하면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을 감시하는 모드를 해제하여 정상적인 운전자의 차량의 시동에 의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a)
When the controller detects the door opening by the door key of the vehicle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or receives the input of the theft / tow monitoring cancel button from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So as to allow the driver to operate the vehicle by starting the normal driving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감지부에서 입력된 운전자유무에 관한 제1조건과 시동감지부에서 입력된 시동상태에 관한 제2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지 않고, 속도감지부에서 입력된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제3조건과 충격감지부에서 입력된 충격값 유무에 관한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차량의 견인으로 판단한 후 이미 설정해 놓은 스마트폰으로 견인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c)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first condition relat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input from the driver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dition relating to the starting condition input from the startup detection unit do not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3 < / RTI > condition and the impact value input by the impact detection unit satisfies a set reference value,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the traction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already set in the text message A method of information service of unauthorized moving vehicle of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vehicle black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해 놓은 112신고전화로 통화 연결을 수행한 후 관할 경찰서의 112신고전화 수신자에게 차량의 도난에 관한 정보를 안내음성과 더불어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e)
The controller transmits 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vehicle together with a guidance voice to the information receiver about the theft of the vehicle to the 112 call receiver of the police station after performing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112 report phone set up, A method of information service for unauthorized movement of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the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차량 도난에 관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고, 운전자로부터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차량위치 보기 또는 실시간 동영상 보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차량의 위치정보 또는 블랙박스의 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 화면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정보 및 실시간 동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e)
The smartphone automatically executes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 phone after receiving a text message regarding a vehicle stolen from a black box for a vehicle, and allows the driver to select a vehicle position view or a live video view from a black box control menu And the moving picture being photographed in real time from the photographing part of the vehicle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black box for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by the driver's choice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real time moving picture are displayed through the smart phone screen A Method of Information Service for Unauthorized Movement of Driving Vehicle using Car Black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3조건과 제4조건이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는 경우에 차량의 견인으로 판단한 후 이미 설정해 놓은 스마트폰으로 견인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hird condition and the fourth condition satisfy the set reference value and then transmits the traction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that has been set in advance by a text message, A method of information service for unauthorized movement of a vehic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차량 견인에 관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고, 운전자로부터 블랙박스 제어메뉴에서 차량위치 보기 또는 실시간 동영상 보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차량의 위치정보 또는 블랙박스의 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 화면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정보 및 실시간 동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The smartphone of claim 6, wherein the smartphone receives a text message from a vehicle black box and then automatically executes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The user can select a video view. By selecting the driver, the user can selec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black box or the moving picture which is photographed in real time from the photographing part of the black box to the smartphone,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unauthorized moving information of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vehicle black box for real time video display.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위치 보기는 운전자 스마트폰에 설치된 지리정보 애플리케이션이나 구글맵이 연동되어 실행되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5 or 7, wherein the viewing of the vehicle location is performed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an operator smart phone or a Google map.
차량용 블랙박스에 장착되거나 블랙박스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 또는 측방카메라를 포함하고 해당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해상도 및 크기로 변환된 영상데이터로 저장하되, 촬영위치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에 장착되어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시간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GPS의 위치정보로부터 현재 차량의 위치를 지리정보로 제공하는 GIS;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작동상태를 알람신호나 음성신호로 표출하는 음성출력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어 차량용 블랙박스의 각종 설정이나 선택을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운전자 스마트폰과 접속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및 정보데이터 또는 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운전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이나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차량의 운전석시트로부터 운전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하는 운전자감지부;
차량의 시동키로부터 차량의 시동을 감지하는 시동감지부;
차량에 설치된 속도계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내에 장착되어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
차량의 도어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온/오프 또는 각종 설정이나 선택을 입력하는 버튼입력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와 외부기기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인터페이스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블랙박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일정 용량의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전원공급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조도감지센서의 조도감지량을 판단하여 촬영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하거나 통신수단을 거쳐 운전자 스마트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운전자감지부, 시동감지부, 속도감지부, 충격감지부 및 도어개폐감지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연산 및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시스템.
A front camera mounted on a vehicle black box or connected to a black box by a cable, a photographing part including a rear camera or a side camera and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 memory unit for storing image data including image data of a photograph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the image data being converted into imag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resolution and size;
A GPS receiver mounted on the vehicle black box for receiving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A GIS installed in the vehicle black box to provide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as geographical information from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 audio output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black box as an alarm signal or a voice signal;
An illuminance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black box for sensing an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utside;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 touch screen coupled to the display unit for inputting various settings and selections of a vehicle black box;
The image data and the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or the image data captured in real time in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er's smartphone connected to the driver smartphone set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selection of the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A driv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o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 star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tart of the vehicle from a start key of the vehicle;
A speed sensing part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a speedometer installed in the vehicle;
An impact sensing unit mounted in the vehicle black box for sensing an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A button input unit for inputting on / off or various setting or selection of the vehicle black box;
An input / output interface for inputting / outputting data to / from the vehicle black box and an external device;
A power supply unit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black box and has a constant capacity of rechargeable battery;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resolu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illuminance detection amount of the illumination sensor,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of the driver smartphone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calculating and determining signals input from the driver sensing unit, the starting sensing unit, the speed sensing unit, the impact sensing unit,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ing unit, A system for unauthorized moving information service of a parking space vehicle using a vehicle black box.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운전자감지부, 시동감지부, 속도감지부, 충격감지부 및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로부터 복수의 조건을 연산하는 차량상태 인지 알고리즘이 포함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vehicle black box including a vehicle state recognition algorithm for calculating a plurality of conditions from signals input through a driver sensing unit, a startup sensing unit, a speed sensing unit, an impact sensing unit,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Unauthorized Moving Vehicle Using th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블랙박스 원격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9, wherein the smartphone is provided with a black box remote control application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black box for a vehi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부에는 차량의 진행방향(X축), 측면(Y축) 및 위아래(Z축)에 대한 흔들림을 감지하는 G-센서를 포함하되, G-센서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과 같은 동적 힘을 측정하여 단위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시스템.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impact sensing unit includes a G-sensor for detecting shaking of the vehicle in a traveling direction (X-axis), a side (Y-axis) An event imag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impact detection of a vehicle black box,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function for detecting a change in speed per unit time by measuring dynamic forces such as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KR1020140047516A 2014-04-21 2014-04-21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Abandoned KR201501217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516A KR20150121775A (en) 2014-04-21 2014-04-21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516A KR20150121775A (en) 2014-04-21 2014-04-21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775A true KR20150121775A (en) 2015-10-30

Family

ID=5443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516A Abandoned KR20150121775A (en) 2014-04-21 2014-04-21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77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720A (en) * 2017-01-10 2018-07-19 주식회사 위자드랩 Notifying method of in-vehicle emergency and telematics device thereof
CN114387705A (en) * 2020-10-16 2022-04-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Vehicle intellig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vehicle-mounted controller and acceleration sensor
CN114408344A (en) * 2022-01-17 2022-04-29 茂名市广地化工有限公司 Sodium hydrosulfite box monitoring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20140053A (en) * 2021-04-08 2022-10-18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720A (en) * 2017-01-10 2018-07-19 주식회사 위자드랩 Notifying method of in-vehicle emergency and telematics device thereof
CN114387705A (en) * 2020-10-16 2022-04-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Vehicle intellig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vehicle-mounted controller and acceleration sensor
CN114387705B (en) * 2020-10-16 2023-10-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Vehicle intelligent monitoring method, system, vehicle-mounted controller and acceleration sensor
KR20220140053A (en) * 2021-04-08 2022-10-18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CN114408344A (en) * 2022-01-17 2022-04-29 茂名市广地化工有限公司 Sodium hydrosulfite box monitoring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534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information exchange in vehicles
US201601522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information exchange in vehicles
US8836784B2 (en) Automotive imaging system for recording exception events
US10504302B1 (en) 360 degree vehicle camera accident monitoring system
KR101428011B1 (en) Method for Recognizing Vehicle Information of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KR101473866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vehicl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using the same
JP5018613B2 (en) Road communicator and accident monitoring system
KR201501375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emergency call about vehicle accident using driving information of vehicle
CN104169155A (en) Multi-vehicle surveillance system
KR100775610B1 (en) Vehicle black box and vehic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N105667425B (en) A kind of automobile burglar and occupant's danger alarm and method
KR20150121529A (en) Method for Recording Event Video by Impact Detecting in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KR101157864B1 (en) Method for Making Automobile Driving Record Executed on Smart Phone
CN111818160A (en) Vehicle-mounted machine equipment
JP2016036067A (en) Smart Parking Assist system
JP2018028855A (en) On-vehicle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system
KR20150121775A (en)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KR101445370B1 (en) Multi black box mounted mdr module
KR1021137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lack Box Function Using Wire and Wireless Gateway
JP5939201B2 (en) Status monitoring apparatus, security system, program, and status monitoring method
KR101457764B1 (en) Vehicle black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eof
KR20150059490A (en) System for transmitting an accident data and method thereof
KR1023193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porting traffic rule violation vehicles using black box images
KR101391909B1 (en) Method for service image data of black box in the vehicle
CN109591724A (en) A kind of car crass alarm method and war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