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870B1 -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9870B1 KR102119870B1 KR1020180133732A KR20180133732A KR102119870B1 KR 102119870 B1 KR102119870 B1 KR 102119870B1 KR 1020180133732 A KR1020180133732 A KR 1020180133732A KR 20180133732 A KR20180133732 A KR 20180133732A KR 102119870 B1 KR102119870 B1 KR 102119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t
- shift
- stage
- output speed
- ped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2059/183—Rate of change of accelerator position, i.e. pedal or throttle change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장치를 개략 도시한 장치 개략도.
도 3은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다운 시프트 요청 라인이 반영된 변속 라인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순서도.
도 5는 구체적인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흐름도.
20 : 변속 제어 유닛(TCU)
30 : 속도센서
Claims (13)
- (A) 가속 페달의 페달량(현재 위치)과 페달 변화량(단위시간당 페달 변화율), 변속기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완 가속 판정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완 가속 판정 상태에서 현재의 페달량이 변속 선도 상에서 제1 다운 시프트 요청 라인을 구성하는 제1 설정값보다 크고, 변속기 출력 속도가 현재의 엔진 RPM에 대해 현재 변속단이 낼 수 있는 출력 최고 속도 이하이면, 현재의 변속단 보다 1단 낮은 변속단으로 강제적인 다운 시프트를 요청하는 단계; 및
(D) 1단 다운 시프트 요청에 따른 변속 완료 후, 계속되는 완 가속 판정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에서 현재의 페달량이 변속 선도 상에서 제2 다운 시프트 요청 라인을 구성하는 제2 설정값보다 크고, 변속기 출력 속도가 현재의 엔진 RPM에 대해 현재 변속단이 낼 수 있는 출력 최고 속도 이하이면, 1단 더 낮은 변속단으로 강제적인 다운 시프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를 통한 1단 다운 시프트 요청에 따른 변속 완료 후 가속감 확보를 위하여 설정된 딜레이 타임 동안 업 시프트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업 시프트를 제한하는 도중 변속기 출력 속도가 현재의 엔진 RPM에 대해 현재의 변속단이 낼 수 있는 출력 최고 속도를 초과하면, 초과하는 시점부터 업 시프트 제한을 즉시 중지하고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를 통한 1단 더 낮은 다운 시프트 요청에 따른 변속 완료 후 가속감 확보를 위하여 설정된 딜레이 타임 동안 업 시프트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업 시프트를 제한하는 도중 변속기 출력 속도가 현재의 엔진 RPM에 대해 현재의 변속단이 낼 수 있는 출력 최고 속도를 초과하면, 초과하는 시점부터 업 시프트 제한을 즉시 중지하고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변속기 출력 속도가 현재의 엔진 RPM에 대해 현재 변속단이 낼 수 있는 출력 최고 속도 이하이며, 상기 가속 페달의 페달량이 기준값 이상이고 페달 변화량이 다른 기준값 이하인 경우, 완 가속 판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이후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 완 가속 판정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엔진 제어 유닛(ECU); 및
상기 엔진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완 가속 판정에 필요한 정보와, 속도센서가 제공하는 변속기 출력 속도를 분석하여 현재의 차량 상태가 완 가속 판정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변속 제어 유닛(TCU);을 포함하며,
상기 변속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정보들로부터 파악되는 현재의 차량 상태가 완 가속 판정 조건에 부합하면 완 가속으로 판정하고, 완 가속 판정 상태에서 현재의 페달량과 현재의 페달량에 매칭되어 입력된 변속기 출력 속도에 기초하여 다운 시프트 실행을 위한 요청 명령을 출력하되,
완 가속 판정 상태에서 현재의 페달량이 변속 선도 상에서 제1 다운 시프트 요청 라인을 구성하는 제1 설정값보다 크고, 변속기 출력 속도가 현재의 엔진 RPM에 대해 현재 변속단이 낼 수 있는 출력 최고 속도 이하이면, 현재의 변속단 보다 1단 낮은 변속단으로 강제적인 다운 시프트를 요청하고,
1단 다운 시프트 완료 후, 계속되는 완 가속 판정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에서 현재의 페달량이 상기 변속 선도 상에서 제2 다운 시프트 요청 라인을 구성하는 제2 설정값보다 크고, 변속기 출력 속도가 현재의 엔진 RPM에 대해 현재 변속단이 낼 수 있는 출력 최고 속도 이하이면, 1단 더 낮은 변속단으로 강제적인 다운 시프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완 가속 판정에 필요한 정보는, 가속 페달의 페달량(현재 위치)과 페달 변화량(단위시간당 페달 변화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 유닛은,
변속기 출력 속도가 현재의 엔진 RPM에 대해 현재 변속단이 낼 수 있는 출력 최고 속도 이하이며, 상기 가속 페달의 페달량이 기준값 이상이고 페달 변화량이 다른 기준값 이하인 경우, 완 가속 판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이후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장치.
- 삭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단 다운 시프트 요청에 따른 변속 완료 후 가속감 확보를 위하여 설정된 딜레이 타임 동안 업 시프트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단 더 낮은 다운 시프트 요청에 따른 변속 완료 후 가속감 확보를 위하여 설정된 딜레이 타임 동안 업 시프트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장치.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업 시프트를 제한하는 도중 변속기 출력 속도가 현재의 엔진 RPM에 대해 현재의 변속단이 낼 수 있는 출력 최고 속도를 초과하면, 초과하는 시점부터 업 시프트 제한을 즉시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732A KR102119870B1 (ko) | 2018-11-02 | 2018-11-02 |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732A KR102119870B1 (ko) | 2018-11-02 | 2018-11-02 |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0737A KR20200050737A (ko) | 2020-05-12 |
KR102119870B1 true KR102119870B1 (ko) | 2020-06-05 |
Family
ID=7067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3732A Active KR102119870B1 (ko) | 2018-11-02 | 2018-11-02 |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987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08795B2 (en) * | 2021-06-24 | 2025-01-28 | Paccar Inc. | Automated virtual launch torque generation |
US11999367B2 (en) | 2021-09-23 | 2024-06-04 | Paccar Inc | Automated dynamic throttle request filterin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3964B1 (ko) * | 2000-12-15 | 2003-05-1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
KR101305816B1 (ko) * | 2011-12-22 | 2013-09-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전기차의 작동특성 제어방법 |
KR20150104380A (ko) | 2014-03-05 | 2015-09-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완가속 주행시 스로틀 밸브 개도 제한 방법 |
-
2018
- 2018-11-02 KR KR1020180133732A patent/KR102119870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0737A (ko) | 2020-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06713B2 (ja) |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で実現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JP4335883B2 (ja) | 無段変速機のため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
US4947331A (en) | Upshift logic | |
JP2009513896A (ja) | 自動車のパワートレインを駆動機械と変速機とで制御するための方法 | |
JP5901760B2 (ja) |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 |
JP3605172B2 (ja) | 無段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KR101617450B1 (ko) | 토크 컨버터의 제어 장치 | |
US5730682A (en) | Method of operation of a drive unit and device for execution of the method | |
SE1050953A1 (sv) | Metod för styrning av en växellåda | |
CN106065941B (zh) | 车辆的控制装置 | |
JP6350595B2 (ja) | メータの表示制御装置 | |
KR102119870B1 (ko) | 완 가속 시 토크 정체 해소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 |
JP6628615B2 (ja) | 車両用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 |
US9671017B2 (en) | Shift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
US661657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shift control of automatic transmission | |
US5941796A (en) | Feedback control of the line pressure during a downshift | |
JP4538306B2 (ja) |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 |
US6648796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damper clutch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 |
JP2005214370A (ja) | 車両用パワートレインの制御装置 | |
KR20070008588A (ko) | 자동 변속비 조절방법 | |
KR101405586B1 (ko) | 오토크루즈 제어방법 | |
JP2002130466A (ja) |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 |
KR102485774B1 (ko) | 운전모드 변경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운전모드 변경에 따른 변속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 | |
JPS5881256A (ja) | 車輌用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 |
JP4543507B2 (ja) |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