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8821B1 - 접착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접착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821B1
KR102118821B1 KR1020190004509A KR20190004509A KR102118821B1 KR 102118821 B1 KR102118821 B1 KR 102118821B1 KR 1020190004509 A KR1020190004509 A KR 1020190004509A KR 20190004509 A KR20190004509 A KR 20190004509A KR 102118821 B1 KR102118821 B1 KR 10211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adhesive
adhesive resin
formula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일
홍순희
Original Assignee
(주)원익비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익비엠텍 filed Critical (주)원익비엠텍
Priority to KR102019000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821B1/ko
Priority to CN202010032799.8A priority patent/CN11143474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8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8Metal shee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9J2201/61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프로필렌, 고무, 석유수지, 및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4198118-pat00058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벤젠 고리를 나타내고, A와 B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접착성 수지 조성물{ADHESIV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로 사용되는 다양한 고분자 물질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착제 고분자 물질은 최근에 다양한 기술 분야와 다양한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요구되고 있는 정밀하고 균일한 접착에 부응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수한 물성을 갖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프로필렌, 고무, 석유수지, 및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30 ~ 80중량부,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3 ~ 15중량부, 상기 고무 10 ~ 30중량부, 상기 석유수지 3 ~ 20중량부, 및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 3 ~ 12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난연제 1 ~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1 ~ 1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10 ~ 10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고무는 0.05 ~ 10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1 ~ 15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5 ~ 15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말레인산이 폴리프로필렌에 그라프트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는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EBR(Ethylene Butene Rubber), EOR(Ethylene Octene Rubber),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는 C5계 석유수지, C9계 석유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419811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벤젠 고리를 나타내고, A와 B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Figure 112019004198118-pat00002
Figure 112019004198118-pat0000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고, -A-는 -(CH2)a-(a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B-는 -(CH2)b-(b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Figure 112019004198118-pat00004
Figure 112019004198118-pat00005
의 비율은 1:1 ~ 10:1일 수 있다. -A-는 -(CH2)2-, -(CH2)3-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B-는 -(CH2)2-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하기 화학식 3의 부분의 분자량은 1,000 ~ 10,000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04198118-pat00006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은 100,000 ~ 200,000일 수 있다.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핫멜트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접착성, 가공성, 및 내전해액성이 우수하다. 또,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핫멜트 접착성을 가질 수 있고,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압출 코팅될 때 열 접착성이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프로필렌, 고무, 석유수지, 및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30 ~ 80중량부,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3 ~ 15중량부, 상기 고무 10 ~ 30중량부, 상기 석유수지 3 ~ 20중량부, 및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 3 ~ 12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난연제 1 ~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30중량부보다 작으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80중량부보다 크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3중량부보다 작으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중량부보다 크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흐름성이 높아져 코팅의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무의 함량이 10중량부보다 작으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30중량부보다 크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의 함량이 3중량부보다 작으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중량부보다 크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접착 필름의 표면이 끈적거릴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1중량부보다 작으면 난연성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5중량부보다 크면 필름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함량이 3중량부보다 작으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2중량부보다 크면 상기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용도나 가공 방법 등에 따라 내열안정제, 슬립제, 중화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5 ~ 15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터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130 ~ 164℃의 용융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온도가 130℃보다 낮으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압출 코팅되는 제품의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고, 164℃보다 높으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1 ~ 1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변성 폴리프로필렌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말레인산이 폴리프로필렌에 그라프트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0.90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10 ~ 10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고무
상기 고무는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EBR(Ethylene Butene Rubber), EOR(Ethylene Octene Rubber),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는 0.89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무는 0.05 ~ 10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석유수지
상기 석유수지는 C5계 석유수지, C9계 석유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난연제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1.0 ~ 1.5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1.2 ~ 1.3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70 ~ 145℃의 용융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4198118-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벤젠 고리를 나타내고, A와 B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Figure 112019004198118-pat00008
Figure 112019004198118-pat00009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0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1
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에서,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2
에 대하여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3
의 함량이 증가하면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접착력은 증가하나 녹는점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접착력과 녹는점을 고려하여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4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5
의 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6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7
의 비율은 1:1 ~ 10:1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8
Figure 112019004198118-pat00019
의 비율은 3:1 ~ 7:1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H2)a-(a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CH2)2-, -(CH2)3-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 수 있다. -B-는 -(CH2)b-(b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B-는 -(CH2)2-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하기 화학식 3의 부분의 분자량은 1,000 ~ 10,000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0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은 100,000 ~ 200,000이 수 있다.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우수한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우수한 핫멜트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 화학식 4를 갖는 프탈레이트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5를 갖는 디올 화합물을 중합반응(제1 중합반응)시켜 제1 중합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중합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6을 갖는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중합반응(제2 중합반응)시켜 제2 중합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1
[화학식 5]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2
[화학식 6]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3
상기 화학식 4 내지 6에서, Ar은 벤젠 고리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탄소수 1 내지 9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와 B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중합 화합물의 분자량을 증가시키는 중합반응(제3 중합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 내지 6에서, -Ar-은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4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A-는 -(CH2)a-(a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CH2)2-, -(CH2)3-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 수 있다. -B-는 -(CH2)b-(b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B-는 -(CH2)2-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탈레이트 화합물은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 및 이소프탈레이트 화합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탈레이트 화합물은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 및 이소프탈레이트 화합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에 대하여 상기 이소프탈레이트 화합물의 양이 증가하면 형성되는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접착력은 증가하나 녹는점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접착력과 녹는점을 고려하여 상기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과 상기 이소프탈레이트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과 상기 이소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몰비는 1:1 ~ 10:1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과 상기 이소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몰비는 3:1 ~ 7:1일 수 있다.
상기 프탈레이트 화합물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탈레이트 화합물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 화합물은 에탄디올, 프로판디올, 및 부탄디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은 숙신산 및 아디프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 화합물은 상기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미반응물이 남지 않도록 상기 프탈레이트 화합물과의 반응 몰수 대비 더 많이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중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6
상기 화학식 2에서, Ar은 벤젠 고리를 나타내고, A는 탄소수 2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Ar-은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7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8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A-는 -(CH2)a-(a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CH2)2-, -(CH2)3-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 수 있다.
상기 제1 중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중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04198118-pat00029
[화학식 1]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0
상기 화학식 1 및 3에서, Ar은 벤젠 고리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탄소수 1 내지 9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A 및 B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Ar-은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1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A-는 -(CH2)a-(a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CH2)2-, -(CH2)3-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 수 있다. -B-는 -(CH2)b-(b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B-는 -(CH2)2-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중합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탈레이트 화합물 및 상기 디올 화합물과 제1 촉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촉매는 TNBT(Tetra-n-butyltitan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중합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합 화합물 및 상기 디카르복실산 화합물과 제2 촉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촉매는 TNBT 및 TPP(Triphenylphosph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중합 화합물의 분자량을 증가시키는 중합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중합 화합물과 제3 촉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촉매는 TNBT, ZA(Zinc acetate), 및 TMP(Trimethylphosphin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중합반응은 180 ~ 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중합반응 및 상기 제2 중합반응은 190℃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제3 중합반응은 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 상기 제3 중합반응은 190℃에서 수행되다가 220℃로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합 화합물의 분자량은 1,000 ~ 10,000일 수 있고, 상기 제2 중합 화합물의 분자량은 10,000 ~ 100,000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은 100,000 ~ 200,000일 수 있다.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예
반응기에 반응물인 1,4-부탄디올,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와 촉매인 TNBT(Tetra-n-butyltitanate)가 차례로 투입된다.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는 5:1의 몰비로 투입된다. 상기 1,4-부탄디올은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의 미반응물이 남지 않도록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과의 반응 몰수 대비 더 많이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는 각각 17.48kg와 3.5kg 투입되고, 상기 1,4-부탄디올은 21.9kg 투입된다. 상기 TNBT는 27g 투입된다. 상기 반응물 및 상기 촉매의 투입 전에 상기 반응기의 온도는 190℃로 설정된다.
상기 반응기 내 교반기가 작동되고,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100rp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반응물은 상기 촉매에 의해 중합반응(제1 중합반응)되고 하기 화학식 7을 갖는 제1 중합 화합물이 형성된다.
[화학식 7]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3
상기 화학식 7에서, -Ar-은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4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5
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중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8을 포함한다.
[화학식 8]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6
상기 화학식 8에서, -Ar-은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7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8
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중합 화합물은 1,000 ~ 10,000의 분자량을 갖는 올리고머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 중합 화합물은 190℃에서 투명한 액체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반응물이 반응하여 상기 제1 중합 화합물이 형성되면서 메탄올이 생성된다. 생성된 메탄올은 상기 반응기의 상부에 연결된 칼럼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메탄올의 배출량은 상기 칼럼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중합반응의 종료는 상기 메탄올의 배출량 및/또는 상기 칼럼의 온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중합반응의 종료 후 상기 반응기에 반응물인 아디프산과 촉매인 TPP(Triphenylphosphate) 및 TNBT가 차례로 투입된다. 상기 아디프산은 10.52kg 투입되고, 상기 TPP는 18g 투입되며, 상기 TNBT는 38g 투입된다.
상기 반응기 내 교반기가 작동되고,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100rp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제1 중합 화합물과 상기 아디프산은 상기 촉매에 의해 중합반응(제2 중합반응)되고 하기 화학식 9를 포함하는 제2 중합 화합물이 형성된다.
[화학식 9]
Figure 112019004198118-pat00039
상기 화학식 9에서, -Ar-은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0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1
을 나타낸다.
상기 제2 중합 화합물은 10,000 ~ 100,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중합 화합물과 상기 아디프산이 반응하여 상기 제2 중합 화합물이 형성되면서 물이 생성된다. 생성된 물은 상기 반응기의 상부에 연결된 칼럼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물의 배출량은 상기 칼럼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중합반응의 종료는 상기 물의 배출량 및/또는 상기 칼럼의 온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중합반응의 종료 후 상기 반응기에 촉매인 ZA(Zinc acetate), TMP(Trimethylphosphine), 및 TNBT가 차례로 투입된다. 상기 ZA는 18g 투입되고, 상기 TMP는 25g 투입되며, 상기 TNBT는 38g 투입된다.
상기 반응기 내 교반기가 작동되고,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100rp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제2 중합 화합물은 상기 촉매에 의해 중합반응(제3 중합반응)되어 분자량이 증가하여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9를 포함할 수 있고, 100,000 ~ 200,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 및 MFI(melt flow index)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100rpm에서 15rpm으로 감소한 후 35rpm으로 증가하여 유지되다가 95rp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응기의 온도는 190℃에서 220℃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조예와 달리 상기 제3 중합반응은 별도의 반응기에서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반응기(제1 반응기)에 상기 촉매가 투입되고 10분 정도 경과 후 상기 제3 중합반응이 안정화가 되면 상기 제1 반응기 내 혼합물이 상기 제1 반응기에 연결된 다른 반응기(제2 반응기)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1 반응기 내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는 100rpm에서 15rpm으로 감소한다. 상기 혼합물의 이송 전에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반응기 내부의 불필요한 가스 등이 제거되고, 상기 제2 반응기의 온도는 220℃로 설정된다. 상기 제2 반응기 내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 및 용융지수(melt flow index, MFI)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물이 상기 제2 반응기로 이송되면 상기 제2 반응기 내 교반기의 회전 속도는 35rpm으로 유지되다가 95rp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성분들과 첨가제를 혼합한 후 압출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니더, 롤밀, 벤버리 믹서 등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압출은 1축 또는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압출 코팅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T-다이법에 의해 압출 코팅되어 접착 필름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접착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 강도가 우수하고 가공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알루미늄 필름의 접착 필름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실시예 ]
실시예 1
5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77kg, 2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고, 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5kg, 1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와 0.89g/㎤의 밀도를 갖는 EOR(Ethylene Octene Rubber) 10kg, 석유수지 5kg, 및 상기 화학식 9를 포함하는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2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3
의 비율이 5:1) 3kg을 혼련하고 압출하여 1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5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56kg, 2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고, 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7kg, 1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와 0.89g/㎤의 밀도를 갖는 EOR(Ethylene Octene Rubber) 25kg, 석유수지 7kg, 및 상기 화학식 9를 포함하는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4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5
의 비율이 5:1) 5kg을 혼련하고 압출하여 12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5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65kg, 2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고, 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8kg, 1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와 0.89g/㎤의 밀도를 갖는 EOR(Ethylene Octene Rubber) 15kg, 석유수지 5kg, 및 상기 화학식 9를 포함하는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6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7
의 비율이 5:1) 7kg을 혼련하고 압출하여 1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
5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53kg, 2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고, 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10kg, 1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와 0.89g/㎤의 밀도를 갖는 EOR(Ethylene Octene Rubber) 20kg, 석유수지 10kg, 및 상기 화학식 9를 포함하는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8
Figure 112019004198118-pat00049
의 비율이 5:1) 7kg을 혼련하고 압출하여 15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5
5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47kg, 2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고, 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15kg, 1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와 0.89g/㎤의 밀도를 갖는 EOR(Ethylene Octene Rubber) 25kg, 석유수지 5kg, 및 상기 화학식 9를 포함하는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
Figure 112019004198118-pat00050
Figure 112019004198118-pat00051
의 비율이 5:1) 8kg을 혼련하고 압출하여 8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6
인계 난연제 10kg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7
인계 난연제 10kg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
인계 난연제 10kg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9
인계 난연제 10kg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0
인계 난연제 10kg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다이법을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알루미늄 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접착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의 접착 필름에 대한 물성(가공성, 접착성, 난연성, 및 내전해액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가공성은 압출기를 100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코팅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때 알루미늄 필름에 대한 접착력이 떨어지지 않는 범위의 속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접착성은 접착 필름이 코팅된 알루미늄 필름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알루미늄 필름으로부터 상기 접착 필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난연성은 UL 94 규정에 따라 평가하였다. 상기 내전해액성은 접착 필름이 코팅된 알루미늄 필름을 85℃의 전해액에 24시간 침적한 후 꺼내어 상기 알루미늄 필름으로부터 상기 접착 필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접착 필름은 20m/분 이상의 가공성과 600g/15mm 이상의 접착력을 가져 가공성과 접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접착 필름은 전해액 침적 후에도 접착력을 유지하여 내전해액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기 실시예 6 내지 10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접착 필름은 모두 30초 또는 60초 이내에 소화되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프로필렌;
    고무;
    석유수지; 및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030514087-pat00059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벤젠 고리를 나타내고,
    A와 B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r-은
    Figure 112020030514087-pat00060
    Figure 112020030514087-pat00061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A-는 -(CH2)a-(a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며,
    -B-는 -(CH2)b-(b는 2 이상 9 이하의 정수)를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30 ~ 80중량부,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3 ~ 15중량부,
    상기 고무 10 ~ 30중량부,
    상기 석유수지 3 ~ 20중량부, 및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 3 ~ 1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제를 더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난연제 1 ~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1 ~ 1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고,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10 ~ 10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고,
    상기 고무는 0.05 ~ 10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고,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1 ~ 15g/10분(190℃, 2.16kg)의 용융지수를 가지며,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5 ~ 15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말레인산이 폴리프로필렌에 그라프트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EBR(Ethylene Butene Rubber), EOR(Ethylene Octene Rubber),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수지는 C5계 석유수지, C9계 석유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Figure 112020030514087-pat00055
    Figure 112020030514087-pat00056
    의 비율은 1:1 ~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12. 제 1 항에서,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H2)2-, -(CH2)3-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B-는 -(CH2)2- 및 -(CH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하기 화학식 3의 부분의 분자량은 1,000 ~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20030514087-pat00057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은 100,000 ~ 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고분자 화합물은 핫멜트 접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20190004509A 2019-01-14 2019-01-14 접착성 수지 조성물 Active KR10211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09A KR102118821B1 (ko) 2019-01-14 2019-01-14 접착성 수지 조성물
CN202010032799.8A CN111434743A (zh) 2019-01-14 2020-01-13 粘合性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09A KR102118821B1 (ko) 2019-01-14 2019-01-14 접착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821B1 true KR102118821B1 (ko) 2020-06-04

Family

ID=7108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509A Active KR102118821B1 (ko) 2019-01-14 2019-01-14 접착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8821B1 (ko)
CN (1) CN11143474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734A (ko) * 2005-06-24 2008-04-10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작용화된 프로필렌 공중합체 접착제 조성물
KR20160054206A (ko) * 2014-11-06 2016-05-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식품 포장용 다층 필름에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20160056526A (ko) * 2014-11-12 2016-05-2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1637994B1 (ko) * 2016-01-18 2016-07-08 주식회사 수연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80048737A (ko) * 2015-08-31 2018-05-10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작용화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다층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2681B2 (ja) * 2005-10-27 2013-05-08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親水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CN103205228B (zh) * 2013-03-19 2015-11-11 广州鹿山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阻氧管用热熔胶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734A (ko) * 2005-06-24 2008-04-10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작용화된 프로필렌 공중합체 접착제 조성물
KR20160054206A (ko) * 2014-11-06 2016-05-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식품 포장용 다층 필름에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20160056526A (ko) * 2014-11-12 2016-05-2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20180048737A (ko) * 2015-08-31 2018-05-10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작용화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다층 구조
KR101637994B1 (ko) * 2016-01-18 2016-07-08 주식회사 수연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34743A (zh)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97791C (en) Maleated high acid number high molecular weight polypropylene of low color
JP5300482B2 (ja) 低光沢性の弾塑性プラスチック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CN101910295B (zh) 原位湿气生成和用于硅烷-官能化树脂交联的多官能醇的使用
CA3044157C (en) Polymer composition for adhesive applications
JP2009511683A6 (ja) 低光沢性の弾塑性プラスチック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007217625A (ja) 変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11094416A (zh) 用于湿气固化硅烷官能化的乙烯属聚合物的包含锡基催化剂和二氧化钛的组合物
KR102118821B1 (ko)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2009619B1 (ko) 전지 포장재
CA3024778A1 (en) Polymer composition for adhesive applications
KR100572915B1 (ko)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00114288A (ko) 고분자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JP6732803B2 (ja) ハイブリッドスコーチ遅延剤/硬化助剤
KR102186639B1 (ko) 고분자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0511755A (ja) 低硬度及び低光沢性の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015007247A (ja) オレフィンポリマー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重金属不活性化剤/阻害剤
TWI433884B (zh) 具有低硬度與低光澤之聚烯烴組成物
CN113439102B (zh) 催化剂体系
JP272022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11203682B2 (en) Ethylene-methoxy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copolymers
JP272022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80098880A (ko)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차전지
JP2001323113A (ja) 樹脂組成物
CN111117135A (zh) 一种油井用硅烷交联电缆料及制备方法
JPS6195051A (ja) 透明性の改良されたポリエチレ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