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113B1 -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surveillance cameras in controlled space - Google Patents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surveillance cameras in controlled sp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8113B1 KR102118113B1 KR1020190153292A KR20190153292A KR102118113B1 KR 102118113 B1 KR102118113 B1 KR 102118113B1 KR 1020190153292 A KR1020190153292 A KR 1020190153292A KR 20190153292 A KR20190153292 A KR 20190153292A KR 102118113 B1 KR102118113 B1 KR 102118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space
- internal control
- outside
- inspection device
- monito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는, 차단부재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고, 작업자의 출입이 통제되는 내부통제공간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차폐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주변에 결합되는 외부함체; 상기 외부함체 내에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중공형의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함체와 상기 내부통제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부가 형성되며, 제2 차폐도어가 상기 외부함체 내에서 상기 연통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관부재; 상기 연통부에 마련되는 레일부재에 결합되고, 단부영역에 결합된 감시부의 위치가 상기 내부통제공간에서 상기 외부쪽으로 위치 변화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통제공간과 상기 외부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이중차폐되고, 상기 내부통제공간으로 작업자가 출입하지 않고 상기 감시부를 상기 외부방향으로 인출하여 점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하지 않은 통제된 공간 내부의 이상감지를 통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감시 카메라 등의 감시장치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Disclosed is a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 Withdrawal-type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onitoring an internal control space tha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by a blocking member and that is controlled by an operator, and includes a first shielding door and the blocking member An outer enclosure coupled around the through-hole formed in;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in the outer enclosur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the external enclosure with the internal control space is formed, and a second shielding door allows the communication unit within the external enclosure. A pipe member provided to open and close; It includes a mov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rail member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portion,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unit coupled to the end region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change from the internal control space to the outside, the interior control space and the outside completely separ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ouble-shielded so as to be made, and the monitor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and checked without an operator entering or leaving the interior contro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hrough an abnormality detection in a controlled space that is not easily accessible by workers, as well as to provide an effect of easily checking a monitoring device such as a surveillance camera from the outside. It becomes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상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 등의 감시장치가 외부와 차단된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로 출입하지 아니하고 외부에서 점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nd more specifically, a monitoring device such as a surveillance camera that monitors for abnormalities is provided inside and blocked outside to inspect the outside without going inside. It relates to a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 made possible.
일반적으로, 고압의 변압기 보관함이나 냉동탑차의 냉동고나 선적을 위한 컨테이너, 유해가스 작업장 등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 하지 않은 곳은 더 큰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의 상황, 즉 이상여부를 감시할 감시장치가 필요하다. In general, in places where it is not easy for workers to enter or exit, such as a storage box for high-voltage transformers, a freezer for a freezer, a container for shipping, or a hazardous gas workshop, monitor the internal situation, i.e. abnormalit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larger problems. Monitoring devices are required.
종래에 이러한 감시장치는 열악한 내부 상황 등에 따라 보수가 필요하기도 했는데, 보수 및 점검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인명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In the past, such a monitoring device had to be repaired according to a poor internal situation, but there was a difficulty in that an operator had to enter the interior for repair and inspection, and accordingly, a human accident occurred.
따라서, 내부 상황을 감시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내부에서 감시역할을 하는 장치를 외부에서 보수 및 점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monitoring the internal situation, as well as externally repairing and inspecting a device that serves as a monitoring function internally without an operator entering the interior.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 하지 않은 곳에서 구동되는 감시 카메라를 출입하지 아니하고 보수 및 점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without entering and exiting a surveillance camera driven in a place where the operator is not easily accessibl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단부재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고, 작업자의 출입이 통제되는 내부통제공간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차폐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주변에 결합되는 외부함체; 상기 외부함체 내에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중공형의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함체와 상기 내부통제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부가 형성되며, 제2 차폐도어가 상기 외부함체 내에서 상기 연통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관부재; 상기 연통부에 마련되는 레일부재에 결합되고, 단부영역에 결합된 감시부의 위치가 상기 내부통제공간에서 상기 외부쪽으로 위치 변화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통제공간과 상기 외부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 차폐도어에 의해 다중 차폐되고, 상기 내부통제공간으로 작업자가 출입하지 않고 상기 감시부를 상기 외부방향으로 인출하여 점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blocked from the outside by a blocking member, and to monitor an internal control space in which an operator's access is controlled, provided with a first shielding door and arou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An outer enclosure to be combined;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in the outer enclosur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the external enclosure with the internal control space is formed, and a second shielding door allows the communication unit within the external enclosure. A pipe member provided to open and close; It includes a mov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rail member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portion,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unit coupled to the end region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change from the internal control space to the outside, the interior control space and the outside completely separated Multi-shielded by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doors so as to be possibl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withdraw and monitor the monitoring part in the external direction without an operator entering or exiting the internal control space, and withdraw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It is achieved by the expression inspection device.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관부재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설치되고, 단면이 개방된 방향으로 마주보는 디귿자 형상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부재의 상기 외부쪽 최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에 각각 안착되어 왕복 이동하는 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파지하여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외부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시부가 상기 내부통제공간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레일부재에서 이탈하지 않고, 전기의 사용 없이 작업자의 동작만으로 상기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감시부를 상기 외부로 수동 인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ail member is installed in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tube member, the cross-section is made of a pair of deguza in the direction facing the open directio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lowermost end of the rail member Including, the moving member is made of an elongated plate shape that is seated on the rail member and reciprocally moved, and a gripp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moving member to facilitate gripping and withdrawal by an operator Including, when the monitoring unit moves toward the internal control space, the gripping part is caught in the locking portion so that the moving member does not deviate from the rail member, and is located in the internal control space only by an operator's operation without using electricity. It may be made to manually withdraw the monitoring unit to the outside.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 일측에 마련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감시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게 상기 이동부재에 마련되는 랙기어를 더 포함하고, 전원을 공급받은 구동부가 상기 피니언기어를 구동시켜 상기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감시부를 상기 외부로 자동 인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ving member includes a pinion gea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ail member; And a rack gear provided on the moving member in engagement with the pinion gea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inion gear, and a drive unit supplied with power drives the pinion gear to drive the pinion gear to the internal control space. It may be made to automatically withdraw the monitoring unit located in the outside.
상기 관부재는, 상기 연통부를 상기 내부통제공간쪽에서 커버하는 완전차단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전차단도어는, 상기 관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완전차단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내부통제공간쪽 끝단이 상기 연통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할 때에는 탄성변형되고, 상기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외부쪽으로 인출되었을 때에는 탄성복원되어 상기 완전차단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ipe member further includes a complete blocking door that covers the communication portion at the inner control space, and the complete blocking door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member and the complete blocking door, and The inner control space end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it is located in the inner control space based on the communication part, and is elastically restored when it is not located in the inner control space and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torsion spr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plete blocking door. It can be made including.
상기 관부재와 상기 완전차단도어가 맞닿는 영역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부재가 마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region where the tube member and the complete blocking door abut, a packing member for sealing may be provided.
상기 감시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상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적외선카메라, 온도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may be configured of any one or more of an image camera, a thermal image camera, an infrared camera, a temperature sensor,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상기 제1, 2 차폐도어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doors may be made of an aluminum alloy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상기 외부함체 및 상기 관부재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uter enclosure and the tube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하지 않은 통제된 공간 내부의 이상감지를 통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감시 카메라 등의 감시장치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hrough an abnormality detection in a controlled space that is not easily accessible by workers, as well as to provide an effect of easily checking a monitoring device such as a surveillance camera from the outside. It becomes possible.
특히, 외부함체 및 관부재에 구비되는 제1, 2 차폐도어에 의해 내부와 외부를 2중으로 분리 및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separating and block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 a double by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doors provided on the outer enclosure and the tube member.
또한, 중공형의 관부재의 연통부에 완전차단도어가 설치됨으로써, 감시부가 감시할 때 완전차단도어는 개방된 상태로 있고, 감시부를 수거하여 점검할 때 완전차단도어는 폐쇄되어 내부와 외부를 철저하게 분리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mplete blocking door i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hollow tube member, so that the complete blocking door remains open when the monitoring unit monitors, and the complete blocking door is closed when inspecting by collecting the monitoring unit, thereby closing the inside and outsi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thoroughly separating.
다시 말하면, 차단부재에 관통공과 같이 구멍이 뚫려 있으면 불안정한 상태가 되지만, 이러한 관통공을 2중 또는 3중으로 보호함으로써 안정된 상태, 즉, 내부와 외부를 철저히 분리하는 상태를 가져 서로의 요인으로부터 영향받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if a hole is drilled in the blocking member such as a through hole, it becomes an unstable state, but by protecting these through holes as double or triple, it has a stable state, that is, a state of thoroughly separ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is not affected by factors of each other. Can provide an effect that does not.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의 수동식 이동감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의 자동식 이동감시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도 1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1의 변형예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al movement monitoring means of a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movement monitoring means of the withdrawal-type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FIG. 1.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ull-out type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FIG.
5(a) and 5(b) are plan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의 수동식 이동감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의 자동식 이동감시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4의 (a) 내지 (c)는 도 1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도 1의 변형예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al movement monitoring means of a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movement monitoring means of the withdrawal type insp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FIG. 1. In addition, FIGS.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thdrawal type inspection device for the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FIG. 1, and (a) and (b) of FIG. 5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raw-out type inspection device for the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1.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x, y, z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앞, 화살표 쪽), 후(뒤)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화살표 쪽),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위, 화살표 쪽), 하(아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In addition, the x, y, and z axe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not for the purpose of limiting rights, and the x-axis indicates the forward (front, arrow-side) and rear (back) directions, and the y-axis is left (Arrow side), indicating the right direction, z-axis is defined as pointing up (up, arrow side), down (down) direction, and each direction described below, except as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It is based on this.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개략적인 라인으로 나타내거나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is shown or enlarged as schematic lines to clearly distinguish various areas. It was shown.
본 발명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100)는, 외부와 차단되고 작업자의 출입이 쉽지 않은 내부를 감시하고, 이러한 장치를 쉽게 보수 및 점검하기 위해 안출되었다. The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draw-out
첨부된 도면 중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100)는, 차단부재(W)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H)의 외부쪽으로 마련되는 외부함체(110), 외부함체(110) 내에서 관통공(H)을 통과하여 연장 형성되는 중공형의 관부재(120), 및 중공형의 관부재(120)의 뚫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감시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internal control space monitoring camera for draw-out
설명의 앞서, 여기서 "차단부재(W)"라 함은, 위험으로 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거나 외부와 분리된 공간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변압기보관함, 냉동탑차, 물탱크, 컨테이너 등 따위의 측벽을 일컫는다.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term "blocking member W" is intended to protect the operator from danger or to have a space separate from the outside, and refers to a side wall such as a transformer storage box, a refrigeration truck, a water tank, a container, and the like. .
또한, 설명에 사용될 "내부"는, 이러한 '차단부재(W)'에 의해 내부가 아닌 모든 영역인 '외부'와 차단되고, 궁극적으로는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내부통제공간"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 둘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to be used in the description is cut off from the'outside', which is all areas that are not inside by the'blocking member (W)', and ultimately represents an area to be monitored, called an "internal control space". I will name it. Also, the two can be used interchangeab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내부통제공간의 일례로, 고압의 변압기 보관함, 냉동탑차의 냉동고, 선적을 위한 컨데이너, 물탱크, 또는 작업자가 들어가기 작은 공간 중 어느 하나의 내부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providing such an inner cylinder, it may be any one of a high-voltage transformer storage box, a freezer of a refrigerator truck, a container for shipping, a water tank, or a small space for a worker to en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외부함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H)을 개폐 가능하게 외부 쪽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제1 차폐도어(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외부함체(110) 형체의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직육면체 상자형태로 한 면이 차단부재(W)에 대응되도록 맞닿아,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되고, 이 맞닿은 면에는 맞닿은 면보다 작고 관통공(H)과 같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한다. 즉, 관통공(H)의 크기보다 이 맞닿은 면의 크기가 더 크도록 이루어진다.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그리고 이 맞닿은 면 반대쪽에는 개폐가 가능한 제1 차폐도어(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 차폐도어(112)의 개폐에 따라 내부와 외부를 1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관통공(H)은 차단부재(W)의 일측면에 소정 크기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 크기는 후술할 감시부(C)의 입출이 자유롭되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통공(H)의 크기가 커질수록 내부와 외부의 완전한 분리가 어려워지고, 나아가서는 내부를 밀폐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The through hole (H) is to be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size on one side of the blocking member (W), this size is preferably formed into a minimum size freely entering and exiting the monitoring unit (C)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because the larger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H, the more difficult it is to completely sepa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seal the inside.
중공형의 관부재(120)는, 외부함체(110) 내에서 관통공(H)에 삽입 및 연장 되어 외부함체(110)와 내부통제공간이 연통되도록 연통부(121)가 형성되고, 이런한 연통부(121)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차폐도어(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제2 차폐도어(122)의 개폐에 따라 내부와 외부를 2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The
또한, 관통공(H)의 단면과 관부재(120)의 단면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통공(H)과 관부재(120)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through hole H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상술한 외부함체(110)와 중공형의 관부재(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2 차폐도어(112, 122)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first and
이동감시수단(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121)에 마련되는 레일부재(131)에 결합되고, 단부영역에 결합된 감시부(C)의 위치가 내부통제공간에서 외부쪽으로 위치 변화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재(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movement monitoring means 130, as shown in Figure 2, is coupled to the
여기서 감시부(C)는, 이동부재(13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상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적외선카메라, 온도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내부통제공간의 상황에 따라, 필요 목적에 따라 구성이 결정될 수 있다. Here, the monitoring unit C may be configured of any one or more of an image camera, a thermal image camera, an infrared camera, a temperature sensor,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레일부재(131)는, 이동부재(133)의 왕복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안내로로, 관부재(120)의 연장된 길이와 같은 방향 및 길이로, 관부재(120)의 내측면 상단에 각각 설치되고, 단면이 개방된 방향으로 마주보는 디귿자 형상의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또한, 레일부재(131)의 외부쪽 최하단부에서 하방으로 걸림부(13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이동부재(133)는, 이러한 레일부재(131)에 각각 안착되어 왕복 이동하는 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긴' 정도는 단부영역에 결합된 감시부(C)를 내부통제공간의 어느 곳에 위치하게 하여 감시할 것인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moving
또한, 작업자가 파지하여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이동부재(133)의 외부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파지부(135)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pping
보수 및 점검이 끝난 감시부(C)를 다시 내부통제공간 쪽으로 이동시킬 때, 파지부(135)가 걸림부(132)에 걸려 이동부재(133)가 레일부재(13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moving the repaired and inspected monitoring unit C back toward the internal control spac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133)는, 감시부(C)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의 사용 없이 작업자의 동작만으로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감시부(C)를 외부로 수동 인출할 수 있어, 전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오작동의 염려를 줄여주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한편,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감시부(C)를 외부로 자동으로 인출하기 위해 전원을 요할 수도 있다. Meanwhile, power may be required to automatically withdraw the monitoring unit C located in the internal control space to the outside.
예컨대, 전기의 사용으로 감시부(C)의 위치를 조정(인출)하는데 있어서, 랙 앤 피니언 기어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adjusting (withdrawing)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unit C by the use of electricity, a combination of rack and pinion gears can be us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31) 일측에 피니언기어(P)가 마련되고, 피니언기어(P)와 맞물리도록 이동부재(131)에 랙기어(R)가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pinion gear P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전원을 공급받은 구동부(D)가 피니언기어(P)를 구동시켜 랙기어(R)가 움직이면 감시부(C)의 위치가 가변된다.When the drive unit D supplied with power drives the pinion gear P to move the rack gear R,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unit C is changed.
또한, 랙 앤 피니언 기어의 조합 외 유압모터, 공압실린더 장치, 볼스크류 구조, LM 가이드 등 선형운동을 가능케 하는 구동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특별한 한정은 없다.In addition, a combination of a rack and pinion gear, a hydraulic motor, a pneumatic cylinder device, a ball screw structure, a drive means that enables linear motion such as an LM guide may be used, but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본 발명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도 4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ng state of the draw-out
먼저, 내부와 외부가 분리된 상태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H)은 제1 차폐도어(112)에 의해 1차적으로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었고, 제2 차폐도어(122)에 의해 2차적으로 내부와 외부가 분리된 상태이다. 이때, 감시부(C)는, 내부통제공간을 감시하고 있는 상태이다. First, as shown in (a) of FIG. 4, in which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separated, the through hole H is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by the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부(C)에 이상이 생겨 점검 및 보수가 필요할 때, 작업자는 통제된 공간인 내부통제공간에 들어갈 필요가 전혀 없으며, 제1 차폐도어(112)를 열고, 제2 차폐도어(122)를 열어 이동부재(133)를 인출하여 감시부(C)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As shown in (b) of FIG. 4,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monitoring unit C and inspection and repair are necessary,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enter the internal control space, which is a controlled space, and the first shielding door 112 ), and the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단지 파지부(135)를 잡아 당기는 것만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감시부(C)를 관부재(120), 외부함체(110)의 내측 또는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감시부(C)의 보수 및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4 (c), the operator simply pull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하지 않은 내부통제공간의 이상감지를 통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감시 카메라 등의 감시장치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hrough an abnormality detection between the provision of internal cylinders, which is not easy for the operator to enter, an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pect a monitoring device such as a surveillance camera from the outside.
특히, 외부함체(110) 및 관부재(120)에 구비되는 제1, 2 차폐도어(112, 122)에 의해 내부와 외부를 2중으로 분리 및 차단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first a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로,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121)을 커버하는 완전차단도어(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5, it may be made to further include a
완전차단도어(140)는, 관부재(120)의 외측면과 완전차단도어(140)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부재(133)의 내부통제공간쪽 끝단이 연통부(121)를 기준으로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할 때에는 탄성변형되고,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탄성복원되는 작용을 하는 토션스프링(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즉, 토션스프링(142)은 완전차단도어(140)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통부(121)를 폐쇄시키려 하는 탄성복원력(F)을 토대로 설치된다. That is, the
본 발명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100) 변형예의 작동상태를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ification example of the draw-out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33)가 관부재(120)의 외측(내부통제공간 쪽으로)으로 나와 있는 경우에는, 양쪽에 결합된 완전차단도어(140)는 이동부재(133)에 의해 개방되어 있게 된다. As shown in (a) of Figure 5, when the moving
그러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35)를 당겨 이동부재(133)가 관부재(120)의 내측 공간인 연통부(121)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양쪽에 결합된 완전차단도어(140)는 토션스프링(142)의 탄성복원력(F)에 의해 연통부(121)를 커버하게 된다. Then, as shown in (b) of FIG. 5, when the moving
이때, 관부재(120)와 완전차단도어(140)가 맞닿는 영역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부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region wher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100)의 변형예는, 관부재(120)에 연통부(121)을 커버하기 위한 완전차단도어(140)가 설치됨으로써, 감시부(C)가 감시할 때 완전차단도어(140)는 개방된 상태로 있고, 감시부(C)를 수거하여 점검할 때 완전차단도어(140)는 연통부(121)를 폐쇄하여 내부와 외부를 철저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 modified example of the pull-out
다시 말하면, 차단부재(W)에 관통공(H)과 같이 구멍이 뚫려 있으면 불안정한 상태가 되지만, 이러한 관통공(H)을 2중 또는 3중으로 보호함으로써 안정된 상태, 즉, 내부와 외부를 철저히 분리하는 상태를 가져 서로의 요인으로부터 영향받지 않게 된다. 가령, 내부통제공간에 유해가스가 있을 때 감시부(C)를 인출하기 위해 관통공(H)이 개방되어 유출되는 유해가스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if a hole is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W, such as a through hole H, it becomes unstable, but by protecting the through hole H in double or triple, it is in a stable state, that is, the inside and outside are thoroughly separated. It has a state that does not become influenced by each other's factors. For example, when there is harmful gas in the internal control space, the through hole H is opened to withdraw the monitoring unit C,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harmful gas flowing ou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100)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withdrawal-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of this technology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
110 : 외부함체
112 : 제1 차폐도어
120 : 관부재
121 : 연통부
122 : 제2 차폐도어
130 : 이동감시수단
131 : 레일부재
132 : 걸림부
133 : 이동부재
135 : 파지부
140 : 완전차단도어
142 : 토션스프링
C : 감시부
D : 구동부
H : 관통공
P : 피니언기어
R : 랙기어
W : 차단부재100: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 pull-out inspection device
110: outer enclosure
112: first shielding door
120: pipe member
121: communication department
122: second shielding door
130: movement monitoring means
131: rail member
132: jam
133: moving member
135: gripping part
140: complete blocking door
142: Torsion spring
C: Monitoring unit
D: drive unit
H: Through hole
P: Pinion gear
R: Rack gear
W: Blocking member
Claims (8)
제1 차폐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주변에 결합되는 외부함체;
상기 외부함체 내에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중공형의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함체와 상기 내부통제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부가 형성되며, 제2 차폐도어가 상기 외부함체 내에서 상기 연통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관부재;
상기 연통부에 마련되는 레일부재에 결합되고, 단부영역에 결합된 감시부의 위치가 상기 내부통제공간에서 상기 외부쪽으로 위치 변화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부재는,
상기 연통부를 상기 내부통제공간쪽에서 커버하는 완전차단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전차단도어는,
상기 관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완전차단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내부통제공간쪽 끝단이 상기 연통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할 때에는 탄성변형되고, 상기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외부쪽으로 인출되었을 때에는 탄성복원되어 상기 완전차단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통제공간과 상기 외부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 차폐도어 및 상기 완전차단도어에 의해 다중 차폐되고, 상기 내부통제공간으로 작업자가 출입하지 않고 상기 감시부를 상기 외부방향으로 인출하여 점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It is for monitoring the internal control space tha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by the blocking member and the access of workers is controlled.
An outer enclosure having a first shielding door and coupled to a perforation hole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n the outer enclosur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the external enclosure with the internal control space is formed, and a second shielding door is provided in the external enclosure. A pipe member provided to open and close;
It includes a mov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ail member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unit coupled to the end region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change toward the outside in the internal control space,
The tube member,
Further comprising a complete blocking door for covering the communication portion from the inner control space,
The complete blocking door,
It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member and the complete blocking door, and when the end of the moving member to the inner control space is located in the inner control space based on the communication part, it is elastically deformed and located in the inner control space When it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without elasticity, it is elastically restored and includes a torsion spr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plete blocking door,
Multi-shielded by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doors and the complete blocking door to completely separate the internal control space and the outside, and the operator does not enter the internal control space and draws the monitoring part outward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check,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s.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관부재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설치되고, 단면이 개방된 방향으로 마주보는 디귿자 형상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부재의 상기 외부쪽 최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에 각각 안착되어 왕복 이동하는 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파지하여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외부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시부가 상기 내부통제공간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레일부재에서 이탈하지 않고,
전기의 사용 없이 작업자의 동작만으로 상기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감시부를 상기 외부로 수동 인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member,
It is installed in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tube member, the cross-section is made of a pair of deguza-shaped facing the open direction, and includes a lock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most lower end of the rail member,
The moving member,
It is made of a long plate shape that is seated on the rail member and moves reciprocally, and includes a gripping part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outer end of the moving member to facilitate gripping and drawing out,
When the monitoring part moves toward the internal control space, the gripping part is caught by the locking part so that the moving member does not deviate from the rail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itor part located in the internal control space is manually withdrawn to the outside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without the use of electricity.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s.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 일측에 마련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감시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게 상기 이동부재에 마련되는 랙기어를 더 포함하고,
전원을 공급받은 구동부가 상기 피니언기어를 구동시켜 상기 내부통제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감시부를 상기 외부로 자동 인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member,
A pinion gea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ail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rack gear provided on the moving member in engagement with the pinion gea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unit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pinion g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unit is supplied with power to drive the pinion gear to automatically withdraw the monitoring unit located in the internal control space to the outside,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s.
상기 관부재와 상기 완전차단도어가 맞닿는 영역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gion where the tube member and the complete blocking door abu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member is provided for sealing,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s.
상기 감시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상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적외선카메라, 온도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y one or more of an image camera, a thermal image camera, an infrared camera, a temperature sensor,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s.
상기 제1, 2 차폐도어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doors,
It is made of aluminum alloy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Draw-out inspection device for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s
상기 외부함체 및 상기 관부재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통제공간 감시 카메라용 인출식 점검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enclosure and the tub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one piece,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internal control space surveillance camera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3292A KR102118113B1 (en) | 2019-11-26 | 2019-11-26 |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surveillance cameras in controlled sp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3292A KR102118113B1 (en) | 2019-11-26 | 2019-11-26 |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surveillance cameras in controlled spa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8113B1 true KR102118113B1 (en) | 2020-06-02 |
Family
ID=7109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3292A Active KR102118113B1 (en) | 2019-11-26 | 2019-11-26 |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surveillance cameras in controlled sp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811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44167A (en) * | 1997-11-06 | 1999-05-28 | Nohmi Bosai Ltd | Fire detecting device |
JP2004244963A (en) * | 2003-02-14 | 2004-09-02 | Tokimec Inc | Sliding door device hav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function |
JP5651409B2 (en) * | 2010-08-25 | 2015-01-14 | ニッタン株式会社 | Fire detector check box |
JP5757589B2 (en) * | 2013-09-06 | 2015-07-29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Smoke detector inspection port of elevator |
-
2019
- 2019-11-26 KR KR1020190153292A patent/KR1021181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44167A (en) * | 1997-11-06 | 1999-05-28 | Nohmi Bosai Ltd | Fire detecting device |
JP2004244963A (en) * | 2003-02-14 | 2004-09-02 | Tokimec Inc | Sliding door device hav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function |
JP5651409B2 (en) * | 2010-08-25 | 2015-01-14 | ニッタン株式会社 | Fire detector check box |
JP5757589B2 (en) * | 2013-09-06 | 2015-07-29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Smoke detector inspection port of elev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0320021B4 (en) | Refrigerant compressor arrangement | |
DE202020106332U1 (en) | Electrical security surveillance cabin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 |
DE69533303T2 (en) | fridge | |
DE102017009686A1 (en) | Climate chamber for testing high-voltage e-mobility batteries, fuel cells or other energy storage devices or drive units equipped or connected therewith with hazardous energy content | |
DE102010031909A1 (en) | sealing system | |
DE112011104556T5 (en) | Distributor for controlling air flow inside an explosion-proof enclosure | |
EP3396094B1 (en) | Safety cabinet | |
KR102118113B1 (en) | Pull-out inspection device for surveillance cameras in controlled space | |
WO2020035175A1 (en) | Method for monitoring valves | |
EP3885007B1 (en) | Fire detection and fire fighting apparatus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 |
DE102012207835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laser processing process | |
DE112011104580B4 (en) |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THROUGH A FILTER ASSEMBLY | |
DE19807804A1 (en) | Control cabinet with fire extinguishing system | |
DE69031414T2 (en) | Explosion-proof pressure room | |
AT523904A2 (en) | Compact cooling and extinguishing system | |
DE212015000079U1 (en) | fridge | |
EP3403064B1 (en) | Switchgear cabinet for exhaust gas measuring facilities | |
EP3977076A1 (en) | Light guiding arrangement, spark and/or flame detector and fire protection system | |
CH702754A2 (en) | Monitoring device for a sliding closure, a Giessrohrwechsler or the like on a metallurgical vessel. | |
EP1953517A1 (en) | Assembly for monitoring the permeability of an evacuated area | |
DE102016113822A1 (en) | Excerpt safety cabinet | |
DE3609929C1 (en) | Process analyzer system | |
KR20170122223A (en) | Inspection system | |
DE102010011475B4 (en) | Machine door and method of operation | |
EP1626426B1 (en) | Electrical switching unit with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