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219B1 - Apparatus for managing medicines carrying in/out and prescription prepar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aging medicines carrying in/out and prescription prepa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6219B1 KR102116219B1 KR1020180056072A KR20180056072A KR102116219B1 KR 102116219 B1 KR102116219 B1 KR 102116219B1 KR 1020180056072 A KR1020180056072 A KR 1020180056072A KR 20180056072 A KR20180056072 A KR 20180056072A KR 102116219 B1 KR102116219 B1 KR 1021162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medicines
- information
- prescription
- transfer ope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 G06Q50/2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방에 필요한 의약품이 자동으로 선택 제공될 수 있고, 의약품 반출입 및 투약 이력의 추적이 가능하고, 반출입 의약품 정보와 그 사용량을 포함하는 모든 취급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며, 인증된 사용자만이 조제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는 의약품 트레이, 중량센서, 통신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단말 및 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의약품 트레이는 의약품이 각각 수납되어 있는 다수의 캐리어; 상기 다수의 캐리어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의약품을 상기 캐리어로부터 반출하거나 상기 캐리어에 반입하기 위한 반출입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처방전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공받은 처방전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캐리어 이송동작(이하, '제1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동작은 상기 처방전 정보에 기록된 의약품(이하, '처방 의약품')이 수납된 캐리어(이하, '제1 캐리어')를 이송하여 상기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동작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edicines necessary for prescription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and provided, and the history of drug import and export and medication history can be tracked, and all handling processes including information about medicines and their use and the amount used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and only authorized users It is related to the drug import and export and drug management devices that enable participation in the preparation process.
The medicine carrying-in and dispens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dicine tray, a weight sensor,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first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The medicin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arriers each containing medicines;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lurality of carriers; And a delivery port for taking medicines out of the carrier or for carrying them into the carrier.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fer unit to generate the carrier transfer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ransfer operation') based on the provided prescrip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includes an operation of transferring a carr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arrier') containing medic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scription medicines') recorded in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positioning them at the side of the exit. .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약품 반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약품 반출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고, 처방전에 부합하는 정확한 조제를 유도할 수 있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carrying-in and dispen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ug carrying-in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that can more effectively manage and supervise drug carrying-in and out, and induce accurate preparations conforming to prescriptions.
종래의 통상적 조제 방법은 조제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즉, 조제자가 직접 종이로 된 처방전을 확인하고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들을 수집하기 위해 각 약재함에서 해당 의약품을 꺼내어 눈으로 식별하고 중량을 재어 투입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조제가 이루어졌다.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preparation method was made by the manual work of a preparation agent. In other words, the preparation was made by repeating the process of taking the medicine out of each medicine cabinet, identifying it with eyes, and weighing it in order to check the prescriptions made of paper and collect medicines 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이에 따라, 처방에 대한 정확한 조제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약품이 잘못 조제될 가능성이 존재하였고, 조제오류를 확인하거나 책임소재를 따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 correct preparation for the prescription has been mad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rug may be incorrectly prepa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preparation error or to take responsibility.
그리고, 조제실 내 의약품들의 재고조사를 실시함에 있어서도 관리자가 약재함에 수납된 의약품들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고 수동으로 중량을 측정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의약품 조제 및 관리 방법은 의약품의 취급, 관리에 있어서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inventory investigation of medicines in the preparation room, it was necessary for the manager to check the medicines stored in the medicine cabinets with the naked eye and to manually measure the weight. Therefore, the conventional pharmaceutical preparation and management methods have limitations in securing reliability and accuracy in handling and management of pharmaceuticals.
또한, 종래에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도 약재함에 접근할 수 있어 조제과정 및 의약품 관리의 투명성과 보안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특히, 향정신성 의약품 또는 마약류는 오용 또는 남용으로 인한 피해가 크므로 생산과정, 유통과정 및 처방과정이 명확하게 확인 및 관리되어야만 한다.In addition, it has been difficult to secure transparency and security of the preparation process and drug management since the unauthorized user can access the medicine box. In particular, since psychotropic drugs or drugs are highly damaged by misuse or abuse, the production process, distribution process, and prescription process must be clearly identified and managed.
예컨대, 병원에서 진통제로 사용되는 몰핀과 같은 마약류 의약품은 자물쇠 등의 시건장치를 사용하여 도난을 방지하고, 출입카드 등의 신원조회수단을 소지한 특정 담당자에 의해서만 반출입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있으나, 해당 담당자가 의약품 반출량을 허위로 기재하거나 필요 이상의 의약품을 반출할 경우, 이와 같은 부적법한 반출사실 및 그 수량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drugs such as morphine used as an analgesic in hospitals are managed to prevent theft by using a locking device such as a lock, and to be carried out only by a specific person who has an identity inquiry means such as an access card. A. If the drug delivery quantity is false or the drug is exported more than necessa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illegal export fact and the quantity thereof.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약품의 반출입을 감시하는 관리자를 별도로 배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기 경우, 실시간으로 의약품의 수량 파악이 어려워 의약품의 유효기간 및 재고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이 아니라, 필요로 하는 의약품이 아니 다른 의약품을 반출하거나 사용량 이상을 반출하는 경우가 생겨도 반출자가 이를 즉시 인지하기 어려워 반출된 의약품의 오사용으로 인한 의료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are cases where a manager who monitors the import and export of medicines is separately placed, but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quantity of medicines in real time, and the expiration date and inventory management of medicines have not been smoothly performed, but also necessary. There is a risk that medical accidents may occur due to misuse of the medicines that are exported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exporters to immediately recognize them even if other medicines are taken out or more than the amount used is taken out.
따라서, 의약품은 유통과정을 비롯하여 취급과정에 대한 관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이와 동시에 그 취급과정을 임의의 시간에 또는 실시간으로 확인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check and manage the handling process at any time or in real time, while the management of the handling process including the distribution process is automatically performed.
본 발명의 목적은 처방전과 연계되어 이 처방전에 기록된 의약품이 자동으로 선택 제공될 수 있고, 처방에 따른 수량과 품목만이 허락된 반출자에 의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으며, 의약품 처방, 반출입을 포함한 취급과정이 자동으로 관리 감독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임의의 시간에 또는 실시간으로 그 취급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마약류, 향정신성 의약품과 같은 특별관리 의약품의 경우 그 유효기간이나 약품정보가 약품코드에 의해 관리 및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a prescription, the medicines recorded in this prescription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and provided, and only the quantity and items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can be brought in and taken out by the permitted exporters, and the medicines are prescribed and taken out. The included handling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managed and supervised, and if necessary, the handling process can be monitored at any time or in real time. In the case of special management drugs such as drugs and psychotropic drugs, the expiration date or drug information is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carrying in and dispensing medicines that can be managed and displayed by a co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는 의약품 트레이, 중량센서, 통신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단말 및 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medicine carrying-in and dispens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edicine tray, a weight sensor,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first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의약품 트레이는 의약품이 각각 수납되어 있는 다수의 캐리어; 상기 다수의 캐리어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의약품을 상기 캐리어로부터 반출하거나 상기 캐리어에 반입하기 위한 반출입구를 포함한다.The medicin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arriers each containing medicines;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lurality of carriers; And a delivery port for taking medicines out of the carrier or for carrying them into the carrier.
본 발명의 제어부는 처방전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공받은 처방전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캐리어 이송동작(이하, '제1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fer unit to generate the carrier transfer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ransfer operation') based on the provided prescription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동작은 상기 처방전 정보에 기록된 의약품(이하, '처방 의약품')이 수납된 캐리어(이하, '제1 캐리어')를 이송하여 상기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동작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includes an operation of transferring a carr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arrier') containing medic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scription medicines') recorded in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positioning them at the side of the exit. .
본 발명의 중량센서는 상기 제1 캐리어로부터 반출된 상기 처방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The weight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ct weight information of the prescription drug taken out from the first carrier.
본 발명의 제어부는 상기 반출된 처방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반출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반출내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tore an export history including weight information of the exported prescription medicine, and to provide the export history to the first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송부는 다수의 캐리어를 폐곡선 궤적 형태로 순환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transpor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irculate a plurality of carriers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trajectory.
상기 경우, 제1 이송동작은 상기 순환 이송을 구동함으로써 수행되고, 다수 개의 캐리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의약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캐리어(이하, '블랭크 캐리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by driving the circulating transfer,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rriers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rr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lank carrier') in which medicines are not stored.
제어부는 처방 의약품의 반출 완료시, 상기 블랭크 캐리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송동작(이하, '제2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transfer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transfer operation') to return the blank carrier to its original position upon completion of dispensing of the prescription drug.
그리고, 상기 제2 이송동작은 상기 순환 이송을 구동하여 상기 블랭크 캐리어를 상기 반출입구 측에 복귀시키는 동작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operation includes an operation of driving the circulating transfer to return the blank carrier to the carry-out entrance side.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에 의하면, 처방에 필요한 의약품이 자동으로 선택 제공될 수 있고, 의약품 반출입 및 투약 이력의 추적이 가능하고, 반출입 의약품 정보와 그 사용량을 포함하는 모든 취급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며, 인증된 사용자만이 조제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입고 의약품이 수납되어야 할 캐리어가 자동으로 선택 제공되는 바, 의약품 반입자는 착오없이 항시 올바른 캐리어에 정확히 의약품을 입고시킬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dicines necessary for prescription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and provided, and the history of drug delivery and administration can be tracked, and all handling processes including drug information and its usage are handled. Real-time monitoring is possible, and only authorized users can participate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as the carriers to which the medicines to be received are to be stored are automatically provided, the drug importer can always put medicines in the correct carrier at all times without error.
이에 따라, 의약품 관리의 효율성 및 보안성을 크게 높일 수 있고, 기존 조제자의 숙련도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조제공정 및 의약품 입고과정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의약품을 처방 외 목적으로 전용하거나 오남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의약품의 유통, 보관 및 처방을 포함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통합 관리 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efficiency and security of drug management, an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preparation process and the drug delivery process, which were entirely dependent on the skill of the existing preparation, and to divert or misuse drugs for purposes other than prescription.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problems and automatically supervising and managing the process including the distribution, storage, and prescription of medicin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에 의하면, 등록된 허가자의 접근시에만 반출입구를 개방하는 개폐도어에 의한 1차 잠금보안 외에, 의약품 트레이 내에서 순환 이송되고, 의약품 반출입 완료시 원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블랭크 캐리어에 의한 2차 잠금보안 기능을 더 구비함으로써 2중 잠금장치 효과를 구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순히 시건장치에만 의존하였던 종래 의약품 보관장치 대비 의약품의 무단반출 및 도난방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ug carrying-in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primary lock security by an opening / closing door that opens the carrying-in / out door only when the registered permission is approached, it is circulated and transported in the drug tray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drug carrying-in is completed. By providing the secondary locking security function by the blank carrier that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double locking device effect is realized, and accordingly, the drug's unauthorized release and anti-theft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dicine storage device that simply relied on the locking device. I was able to improve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랭크 캐리어가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랭크 캐리어의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의 확장 실시예.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harmaceutical t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harmaceutical t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an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Figure 6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blan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op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edicine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edicine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anded embodiment of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on or to the top"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based on the direction of gravity. Also, when a portion of an area, plate, or the like is said to be "on or above" another portion, this means that another portion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on or above" the other portion, as well as another portion in the middle. Also in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but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s long as there is no objection to the contrary, it may or may be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시스템은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 제1 단말(200) 및 관리서버(210)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제2 단말(220),..., 제N 단말(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drug carrying-in and dispens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g carrying-in and
본 발명의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는 의약품 트레이(110), 중량센서(120), 통신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단말(200), 제2 단말(220), 제N 단말(230) 및 관리서버(21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drug carrying-in and dispensing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는 식별태그 리더(130), 인증수단(140), 정보입력수단(150) 및 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drug carrying-in and dispensing
의약품 트레이(110)는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위한 의약품이 수납 보관되는 기기로서 함체(112) 내부에 다수의 캐리어(113)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캐리어(113)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의약품이 수납될 수 있다.The
의약품 트레이(110)는 의약품을 캐리어(113)로부터 반출하거나 캐리어(113)에 반입하기 위한 반출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의약품 트레이(110)의 반출입구(111)는 개폐도어(115)의 개폐동작에 의해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의약품 트레이(110)는 다수의 캐리어(113)를 이송하는 이송부가 설치되어, 처방전 연계의 의약품 자동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이와 같은 의약품 트레이(110)에 대한 상세 구조 및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detailed structure and specific operation of the
중량센서(120)는 의약품 트레이(110)의 반출입구(111) 측에 설치되어 캐리어(113)로부터 반출된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의약품의 중량정보는 수량정보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된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알약의 개수로 변환하여 제공할 경우, 관리자는 해당 의약품의 재고량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medicine measured by the
중량센서(120)에 의해 검출되는 의약품 중량정보를 통해 의약품의 처방에 맞는 사용량 여부, 의약품 재고량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roug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medicines detected by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센서(120)는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로서, 센서 표면에 부착한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힘 또는 하중의 크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중량센서(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상기 경우, 중량센서(120)는 의약품 반출입에 따른 중량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한 후, A/D 컨버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센서(120)는 의약품 트레이(110)의 반출입구(111) 전방의 하측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통신모듈은 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가 제1 단말(200), 제2 단말(220), 제N 단말(230) 및 관리서버(210)와 통신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예컨대, 반출입 내역 등)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구체적으로, 통신모듈은 유/무선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모듈은 제3세대 이동통신(3G) 모듈, 제4세대 이동통신(3G) 모듈을 비롯하여 와이브로(WiBro) 통신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 등의 원거리 유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거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거나, RS232, RS422, RS485, TCP/IP와 같은 유선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mposed of a wired / wireless short-range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omposed of a third-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3G) module, a fourth-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3G) module, a WiBro (WiBro) communication module, a Wi-Fi (Wifi) communication module, or a long-distanc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Zigbee It can be composed of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Zigbee),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modules, or wire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RS232, RS422, RS485, TCP / IP.
제어부는 의약품 트레이(110)의 처방전 연계 의약품 자동 배출, 의약품 입고, 투약정보 모니터링, 반출내역 관리, 입고내역 관리, 사용자 인증 등과 같이, 의약품의 반출입, 조제, 재고 관련 사항의 관리 감독을 위해 각 구성을 제어하고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는 회로장치로서,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또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upervise the management of drug import / export, dispensing, and inventory-related matters such as automatic dispensing of prescription medicines from the
제어부는 처방전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이송부를 제어하여 이 처방전 정보에 근거하는 캐리어(113) 이송동작(이하, '제1 이송동작'이라 칭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fer unit to generate 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정보입력수단(150)을 통해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처방전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거나, 통신모듈을 통해 제1 단말(200) 또는 관리서버(210)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처방전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prescrip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150, or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the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동작은 처방전 정보에 기록된 의약품(이하, '처방 의약품'이라 칭함)이 수납된 캐리어(113)(이하, '제1 캐리어'라 칭함)를 이송하여 반출입구(111) 측에 위치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transfers the
여기서, 상기 '반출입구(111) 측 위치'란 도 3 실시예와 같이 반출입구(111)와 대향하는 반출입구(111) 후방 위치일 수 있으나, 변형예로서 반출입구(111)의 수직 상/하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port position of the exit port 111' may be a rear position of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후술할 원점센서(Origin Sensor,171) 또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의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이송동작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driving of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by using sensing information of an
한편, 해당 처방전에 필요한 처방 의약품이 다수 종류일 경우, 이러한 제1 이송동작은 이 처방 의약품의 개수만큼 다수 회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처방전에 처방 의약품 A,B,C의 3종류가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제1 이송동작은 처방 의약품 A가 담긴 제1a 캐리어를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제1a 이송동작, 처방 의약품 B가 담긴 제1b 캐리어를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제1b 이송동작, 처방 의약품 C가 담긴 제1c 캐리어를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제1c 이송동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rescription drugs required for the prescription, this first transfer operation may be performed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prescription drug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ree types of prescription drugs A, B, and C are required for the prescription, the first transport action is the 1a transport action, the prescription drug B, in which the 1a carrier containing the prescription drug A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exit. The 1b transfer operation of placing the loaded 1b carrier on the side of the carry-in and out, and the 1c transfer operation of placing the 1c carrier containing the prescription medicine C on the side of the carry-out are performed.
제어부는 반출된 처방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반출내역을 저장하고, 이 반출내역을 통신모듈을 통해 제1 단말(200), 제2 단말(220), 제N 단말(230) 또는 관리서버(210)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stores the export history includ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exported prescription medicines, and the export history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제어부는 처방 의약품의 반출 완료시, 후술할 블랭크 캐리어(11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송동작(이하, '제2 이송동작'이라 칭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transfer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transfer operation') to retur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송동작은 이송부의 후술할 순환 이송을 구동하여 블랭크 캐리어(114)를 반출입구(111) 측으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transfer operation means an operation of returning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후술할 원점센서(Origin Sensor) 또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의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이송동작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driving of the second transfer operation by using sensing information of an origin sensor or a rotary encod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는 의약품 트레이(110)에 반입되는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 및 의약품 판독정보를 포함하는 입고내역을 저장하고, 이 입고내역을 제1 단말(200), 제2 단말(220), 제N 단말(230) 또는 관리서버(210)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stores the receipt history including the weight information and the drug reading information of the medicines to be loaded into the
제어부는 의약품 반출을 위한 개폐도어(115)의 개방동작을 발생시키고, 의약품의 반출 완료시, 개폐도어(115)의 폐쇄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전술한 제1 이송동작시 개폐도어(115)의 개방동작을 발생시키고,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위한 모든 의약품의 반출을 완료시, 개폐도어(115)의 폐쇄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도어(115)의 개방동작 발생 조건인 '제1 이송동작시'란 제1 이송동작의 발생과 동시, 제1 이송동작 발생 직후 수초 뒤 시점, 또는 제1 이송동작 완료 이후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
식별태그 리더(130)는 의약품 트레이(110)에 반입할 의약품에 부착된 식별태그를 판독하는 수단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태그는 바코드 또는 RFID 태그이고, 리더(130)는 바코드 리더 또는 RFID 리더일 수 있다.The
식별태그 리더(130)는 의약품 트레이(110)에 의약품을 입고시 사용될 수 있다. 즉, 의약품 트레이(110)에 입고하고자 하는 의약품을 리더(130)에 근접시키면, 이 리더(130)가 해당 의약품에 부착된 식별태그(예컨대, 일련번호)를 인식하여 그 인식정보가 저장된다. 예컨대, 입고 의약품이 마약류라면, 마약류 일련번호는 의약품 개별식별을 위해 의약품 최소유통단위 별로 부여하는 고유한 번호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유통단위'는 유통되는 최소한의 규격(예컨대, 30정/병, 5앰플/갑, 5패치/갑, 500mL/병 등)일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리더(130)에 의해 입고할 의약품의 식별태그가 판독되면, 해당 의약품의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캐리어(113)가 자동으로 반출입구(111) 앞에 위치하게 되고, 개폐도어(115)가 반출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개방된 반출입구(111)를 통해, 의약품 트레이(110)의 해당 캐리어(113)에 해당 의약품을 입고시, 중량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가 저장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dentification tag of the medicine to be received is read by the
그리고,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 입고자 관련 정보를 비롯하여,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통해 산출된 재고량 정보 등이 갱신 저장되며, 이와 같은 입고 관련 내역들은 제1 단말(200), 제2 단말(220), 제N 단말(230) 또는 관리서버(210)의 요청시 이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본인 소지의 단말을 통해 원격에서 의약품의 실시간 재고 잔량을 조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eceived dru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arer, and the inventory information calculated throug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eceived drug are updated and stored,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이처럼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가 식별태그 리더(130)를 더 포함할 경우, 제어부는 리더(130)에 의해 식별태그를 판독시, 상기 판독에 따른 정보에 근거하는 캐리어(113) 이송동작(이하, '제3 이송동작'이라 칭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In this way, when the drug carrying-in and dispensing
구체적으로, 제3 이송동작은 상기 판독정보에 해당하는 의약품(이하, '입고 의약품'이라 칭함)이 수납되는 캐리어(113)(이하, '입고 캐리어'라 칭함)를 이송하여 반출입구(111) 측에 위치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Specifically, the third transfer operation transports the carrier 1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ceiving carrier') for receiving the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readout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ceived medicine'), and then moves in and out 111 It means the action to be placed on the side.
이와 같이, 입고할 의약품에 대응하는 캐리어(113)를 자동으로 반출입구(111) 앞에 위치시키는 제3 이송동작에 의해, 반입자는 해당 입고 의약품이 수납되어야 할 캐리어(113)를 착오없이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입고 의약품은 항시 올바른 캐리어(113)에 정확히 입고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the third transfer operation of automatically placing the
상기 경우, 중량센서(120)는 캐리어(113)에 반입되는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반입되는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 및 상기 판독정보를 포함하는 입고내역을 저장하고, 제1,2,N 단말(200,220,230) 또는 관리서버(210)에 해당 입고내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인증수단(140)은 처방 의약품을 반출하려는 사람의 정보를 인식하는 수단으로서, 인증수단(140)에 의한 판독정보를 통해 해당 조제작업에 할당된 조제인가자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The authentication means 140 is a means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f a person who intends to take out a prescription drug, and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or not the preparation is assigned to a corresponding preparation operation through reading information by the authentication means 140.
인증수단(140)은 의약품 반출 시도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기, 반출 시도자가 소지 또는 착용한 카드(사원증)나 손목밴드 등에 부착된 식별태그(예컨대, RFID 태그)를 판독하는 리더, 반출 시도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인식기, 비밀번호 입력기 등과 같은 공지의 인증 보안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means 140 is a fingerprint reader that recognizes the fingerprint of the drug delivery attempter, a reader that reads an identification tag (for example, an RFID tag) attached to a card (employee ID) or a wristband carried or worn by the export attempter, or the export attempter It may be configured with a known authentication security means such as an iris recognizer, a password input device, and the like.
이처럼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가 인증수단(140)을 더 포함할 경우, 제어부는 인증수단(140)을 통해 인식된 정보가 등록 인가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등록 인가자에 해당할 경우에만 의약품 트레이(110)의 반출동작(즉, 전술한 제1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In this way, when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한편, 상기 판단결과 등록되지 않은 비인가자일 경우, 무단 반출 시도를 외부에 알리는 경고음 내지 음성안내를 출력하고, 해당 사실을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음성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1,2,N 단말(200,220,230) 내지 관리서버(210)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unauthorized person who is not registe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warning tone or voice information is output to inform the unauthorized attempt to carry out, and a message or vo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rresponding fact is generated to generate the first or second terminal (200,220,230)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상기 경우, 제어부가 제1 단말(200), 제2 단말(220), 제N 단말(230) 내지 관리서버(210)에게 제공하는 반출내역은 이와 같은 인증수단(140)을 통해 인식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수단(140)을 통해 인식된 정보'는 해당 의약품 반출자의 인적사항, 반출시간(예컨대, 개폐도어(115)의 개폐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port history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관리자 내지 운영자는 본인 소지의 단말을 통해 원격에서도 의약품 반출입 관련 사용자 이력을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dministrator or the operator can monitor and manage the user's history related to carrying in and out of medicine even remotely through the terminal of his / her own.
정보입력수단(150)은 문자, 기호,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컨대 터치 스크린 내지 키보드 타입 입력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means 150 is a device capable of inputting letters, symbols, numbers, and the like, and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touch screen or keyboard type input device.
정보입력수단(15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예컨대 의약품 반출입 진행을 위한 호출, 의약품 잔량 체크 명령, 처방전 관련 정보 입력 등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150 may be, for example, a call for proceeding with taking in and out of a drug, a command for check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drug, or inputting prescription-related information.
표시부(150)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표현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예컨대, LCD, OLED 등)로서, 의약품 반출입, 조제 및 재고 관련 정보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The
이처럼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가 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경우, 제어부는 의약품 트레이(110)로부터 반출 완료된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의약품의 잔량정보를 갱신 및 저장한다.In this way, when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그리고, 정보입력수단(150)을 통한 요청시 또는 잔량정보 갱신 완료시, 제어부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이 표시부(150)에 상기 잔량정보를 표시하거나, 제1,2,N 단말 내지 관리서버(210)에게 상기 잔량정보 즉, 해당 의약품의 재고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n, upon reques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150 or when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update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본 발명의 제1 단말(200)은 전술한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 내지 관리서버(21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기로서, 의약품의 반출입, 조제 등과 관련하여 발생된 제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The
이러한 제1 단말(200)은 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넷북, PDA와 같은 휴대통신단말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데스크탑과 같은 일반 컴퓨터 장치일 수도 있다.The
한편, 제1 단말(200)은 처방전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210)에게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관리서버(210)가 해당 처방전 정보를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에게 재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1 단말(200)이 직접 해당 처방전 정보를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그리고, 제1 단말(200)이 제공받는 상기 '제반 정보'는 반출 의약품의 종류, 이의 투여량 내지 반출 중량정보, 의약품 반출자의 인적사항, 반출시간 등을 포함하는 반출내역을 포함하고,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 입고자 관련 정보,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 이 중량정보를 통해 산출된 재고량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입고내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ner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본 발명의 제2 단말(220)은 의약품의 반출입 및 조제를 관리 감독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단말기로서,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 내지 관리서버(21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예컨대, 제1 단말(200)은 관리자 내지 의사 등이 소지 및 사용하는 단말이라면, 제2 단말(220)은 환자 투약 유무, 투약 상태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원내 운영자 단말일 수 있고, 제N 단말(230)은 예컨대, 통합 관리자 내지 최종 관리자 등이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관리서버(210)는 원내 구비되는 전산 서버 장치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본 발명의 관리서버(210)는 전술한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기로서, 의약품의 반출입, 조제 등과 관련하여 발생된 제반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한다.The
그리고, 관리서버(210)는 제2 단말(220), 제N 단말(230)이 접근시, 관리서버(21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관리서버(210)는 제1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처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이 처방전 정보를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서버(210)는 세부적으로 조제작업관리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인증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상기 경우, 조제작업관리 서버는 조제 인가자, 조제 인가자에 할당된 처방전,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 목록 및 이의 재고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게 요청하고, 그 결과를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 제1 단말(200), 제2 단말(220) 또는 제N 단말(230)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preparation operation management server requests the database server for a prescription, a prescription assigned to the formulation approval, a list of medicines listed in the prescription, and inventory information thereof, and the results of the drug delivery and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조제작업관리 서버 및 인증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조제작업관리 서버, 인증서버,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 또는 제1,2,N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된 각종 정보(의약품 DB, 처방전 DB, 재고 DB 등)를 추가, 수정, 검색 및 삭제할 수 있다.The database server is connected to the preparation work management server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a network, and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preparation work management server, the authentication server, the drug import and export management device (100) or the 1, 2, N terminal (drug DB) , Prescription DB, inventory DB, etc.) can be added, modified, searched and dele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110)의 상세 구조, 구체적인 동작 및 바람직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describe the detailed structure, specific operation a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로서, 특히 다수의 캐리어(113)의 특징적인 배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특히 이송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top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edicine t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view showing a characteristic arrangement structure of a plurality of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110)는 함체(112), 다수의 캐리어(113), 이송부, 반출입구(111) 및 개폐도어(115)를 포함한다.3 and 4, the
제1 실시예의 함체(112)는 의약품 트레이(110)의 본체에 해당하는 박스형 부재로서, 내부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이 내부는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된다.The
제1 실시예의 반출입구(111)는 함체(112)의 일영역에 개방 형성되어, 함체(112) 내의 캐리어(113)에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을 외부로 반출하거나, 입고 의약품을 반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반출입구(111) 전방의 하측영역에 중량센서(120)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The carrying-in / out 111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to be open in one area of the
제1 실시예의 개폐도어(115)는 반출입구(11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성으로서, 의약품 반출 동작시 반출입구(111)를 개방하고, 의약품 반입 동작시 또는 리더(130)에 의한 의약품 식별태그 판독시 반출입구(111)를 개방하며, 의약품의 반출/반입 완료시 반출입구(111)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품 반출 동작시'는 전술한 제1 이송동작시로 구성되고, 상기 '의약품 반입 동작시'는 전술한 제3 이송동작시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ening /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도어(115)는 도 3, 6과 같이 반출입구(111) 전방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우 직선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 좌우 직선왕복동작에 의해 반출입구(111)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제1 실시예의 캐리어(113)는 다양한 종류의 의약품이 수납되는 카세트 내지 선반 형태로 구성되고, 다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캐리어(113)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의약품이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캐리어(113)는 서로 상이한 형상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 개의 캐리어(113)는 원판형의 턴테이블(116) 상에 설치되고, 턴테이블(116)의 원주를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턴테이블(116)이 회전동작하면, 이 턴테이블(116) 상에 배열되어 있는 다수 개의 캐리어(113)는 폐곡선 궤적 형태로 순환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다수 개의 캐리어(113)는 원형의 폐곡선 궤적을 그리며 순환 이송되도록 구성하였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폐곡선'이란, 원, 타원, 다격형 등과 같이 곡선이나 직선 위에 한 점을 찍었을 때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형태를 의미하고, 상기 '폐곡선 궤적'은 캐리어(113)의 순환 이송 경로의 궤적이 폐곡선 형태를 띠는 것을 의미한다.For reference, the term 'closed cur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orm in which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are the same when a point is drawn on a curve or a straight lin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multiplicity, etc., and the 'closed curve trajectory' is a carrier ( 113) means that the trajectory of the circulating transport path has a closed curve shape.
제1 실시예의 캐리어(113)에 있어서, 다수 개의 캐리어(113) 중 어느 하나는 의약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캐리어(이하, '블랭크 캐리어(114)'라 칭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블랭크 캐리어(114)는 의약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다만 블랭크 캐리어(114)가 반출입구(111) 측에 위치할 경우, 이 반출입구(111) 또는 이 반출입구(111) 근접후방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는 형상 내지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The
본 발명의 의약품 트레이(110)는 이와 같은 블랭크 캐리어(114)를 더 구비함으로써, 의약품 트레이(110) 내에 보관 중인 의약품의 도난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랭크 캐리어가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랭크 캐리어의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an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FIG. 6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ank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전술한 의약품 반출 동작이 발생되면, 블랭크 캐리어(114)는 반출구 측에서 벗어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의약품 반출 동작이 완료되면(즉, 의약품 반출 완료시), 제어부는 이송부를 제어하여 블랭크 캐리어(114)의 순환 이송 동작을 발생킴으로써 블랭크 캐리어(11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When the above-described medicine discharging operation occurs, the
여기서, 블랭크 캐리어(114)가 복귀하는 상기 '원위치'란 반출구입측 위치를 지칭한다. 예컨대, 도 5, 6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원위치'는 반출입구(111)를 정면으로 대향하는 반출입구(111) 후방 위치로 구성된다.Here, the 'original position' at which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품 반출 완료시'는 전술한 제1 이송동작의 완료시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hen the drug is taken out' may be configured when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마찬가지로, 전술한 의약품 반입 동작이 발생되면, 블랭크 캐리어(114)는 반출구 측에서 벗어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의약품 반입 동작이 완료되면(즉, 의약품 반입 완료시), 제어부는 이송부를 제어하여 블랭크 캐리어(114)의 순환 이송 동작을 발생킴으로써 블랭크 캐리어(11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Likewise, when the above-mentioned medicine carrying-in operation occur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약품 반출 완료시'는 전술한 제3 이송동작의 완료시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hen the drug is taken out' may be configured when the above-described third transfer operation is completed.
전술한 바와 같은 블랭크 캐리어(114)의 원위치 복귀동작에 의하면, 의약품의 반출입이 없는 통상의 대기상태에서는 항시 블랭크 캐리어(114)가 반출입구(111)를 자동 차폐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의약품 트레이(110) 내에 보관 중인 의약품의 무단 반출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return operation of the
결국, 본 발명의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100)는 등록된 허가자의 접근시에만 반출입구(111)를 개방하는 개폐도어(115)에 의한 1차 잠금보안 외에, 의약품 트레이(110) 내에서 다른 캐리어와 함께 순환 이송되고, 의약품 반출입 완료시 원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블랭크 캐리어(114)에 의한 2차 잠금보안 기능을 더 구비함으로써 2중 잠금장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시건장치에만 의존하였던 종래 의약품 보관장치 대비 의약품의 무단반출 및 도난방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fter all,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한편, 블랭크 캐리어(114)의 전술한 원위치 복귀동작(즉, 제2 이송동작)은 센서에 의한 센싱정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원점센서(Origin Sensor) 또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의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블랭크 캐리어(114)의 현위치를 파악하고, 이렇게 파악된 현위치에서 블랭크 캐리어(114)가 얼마만큼 이송되어야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지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 산출값에 근거하여 제2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return opera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blank carrier 114 (that is, the second transfer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sensing information by the sen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더 나아가, 이와 같이 의약품의 반출 또는 반입 완료이 완료되면, 항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블랭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술한 제1 이송동작과 제3 이송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when the dispensing or dispensing of medicines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first transfer operation and third transfer operation using a blank carrier that always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앞서 진행된 의약품 반출/반입 과정 완료 후 원위치로 복귀해 있는 블랭크 캐리어를 기준점으로 이용함으로써, 현 처방 의약품 반출을 위한 제1 필요 회전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술한 제1 이송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필요 회전량'이란 현재 요구되는 처방에 필요한 의약품이 수납되어 있는 캐리어를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기 위해 필요한 턴테이블 내지 이송벨트 회전량을 의미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first required amount of rotation for carrying out the current prescription medicine by using the blank carrier that ha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s a reference point after completion of the previously carried out medicine loading / carrying process, and through this, the first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transfer operation. Here, the 'first required amount of rotation' refers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turntable to the transfer belt required to position the carrier containing the medicine required for the prescription currently required at the exit side.
그리고, 제어부는 앞서 진행된 의약품 반출/반입 과정 완료 후 원위치로 복귀해 있는 블랭크 캐리어를 기준점으로 이용함으로써, 입고 의약품의 반입을 위한 제2 필요 회전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술한 제3 이송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필요 회전량'이란 입고할 의약품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기 위해 필요한 턴테이블 내지 이송벨트 회전량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second required amount of rotation for carrying-in medicines by using the blank carrier that ha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s a reference point after completion of the above-mentioned medicine dispensing / carrying process, through which the third transfer described above You can implement the behavior. Here, the 'second required rotation amount' refers to a turntable or transfer belt rotation amount required to position the carrier corresponding to the medicine to be loaded at the exit side.
참고로,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는 로터리 엔코더로 구성하였다. 상기 경우, 제어부는 로터리 엔코더를 통해 검출되는 턴테이블(116) 회전정보를 이용하여, 블랭크 캐리어(114)의 원위치 복귀동작(즉, 제2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For reference, the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4 is configured as a rotary encode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return operation (ie, a second transfer operation) of the
제1 실시예의 이송부는 다수의 캐리어(113)의 순환 이송을 구동하여, 입력된 처방전의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을 자동 선택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이다.The transport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driving device that drives circulating transport of the plurality of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는 회전 테이블 방식으로 캐리어(113)를 순환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의 이송부는 턴테이블 (116), 구동모터(117), 구동벨트풀리(119) 및 구동제어부(118)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ure 4, the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턴테이블(116)은 원판형 부재로 구성되고, 일면 상에 다수의 캐리어(113)가 안착 고정되어, 이 턴테이블(116)의 구동에 따라 캐리어(113)들의 순환 이송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실시예의 캐리어(113)들은 턴테이블(116)의 원주를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The
구동모터(117)는 턴테이블(116)의 회전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장치이다.The driving
구동벨트풀리(119)는 구동모터(117)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턴테이블(116)로 전달하여 턴테이블(116)의 회전동작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The
구동제어부(118)는 구동모터(117)를 제어하여 턴테이블(116)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제어하는 회로장치이다. 참고로, 전술한 로터리 엔코더는 구동제어부 (118)에 일체형으로 탑재될 수 있고, 이 구동제어부(118)는 도 1,2에서 설명한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로서, 특히 다수의 캐리어의 특징적인 배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특히 이송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top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edicine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view showing a characteristic arrangement structure of a plurality of carriers.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edicine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ransport uni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트레이 (170)는 함체(172), 다수의 캐리어(173), 이송부, 반출입구 및 개폐도어(175)를 포함한다.7 and 8, the
제2 실시예의 함체(172)는 의약품 트레이(170)의 본체에 해당하는 박스형 부재로서, 내부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이 내부는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된다.The
제2 실시예의 반출입구는 함체(172)의 일영역에 개방 형성되어, 함체(172) 내의 캐리어(173)에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을 외부로 반출하거나, 입고 의약품을 반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arrying-in / out of the second embodiment is formed to be open in one area of the
제2 실시예의 개폐도어(175)는 반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성으로서, 의약품 반출 동작시 반출입구를 개방하고, 의약품 반입 동작시 반출입구를 개방하며, 의약품의 반출/반입 완료시 반출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The opening /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도어(175)는 반출입구 전방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우 직선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 좌우 직선왕복동작에 의해 반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ning /
제2 실시예의 캐리어(173)는 다양한 종류의 의약품이 수납되는 카세트 내지 선반 형태로 구성되고, 다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캐리어(173)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의약품이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캐리어(173)는 서로 상이한 형상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 개의 캐리어(173)는 이송벨트(176) 상에 설치되어 이송벨트(176)를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벨트(176)가 회전동작하면, 이 이송벨트(176) 상에 배열되어 있는 다수 개의 캐리어(173)는 폐곡선 궤적 형태로 순환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7 실시예의 경우, 다수 개의 캐리어(173)는 타원형의 폐곡선 궤적을 그리며 순환 이송되도록 구성하였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plurality of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캐리어(173) 중 어느 하나는 의약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캐리어(즉, 블랭크 캐리어(174))로 구성된다. 제2 실시예의 블랭크 캐리어(174)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의 블랭크 캐리어(11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한편, 도 7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는 DOG 방식의 원점센서(171)로 구성되고, 이송벨트(176)의 수직 하부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경우, 제어부는 원점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이송벨트(176)의 회전정보를 이용하여, 블랭크 캐리어(174)의 원위치 복귀동작(즉, 제2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sen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7 is configured as a
도 8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는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캐리어(173)를 순환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의 이송부는 이송벨트 (176), 구동모터(177), 스프로켓(179) 및 구동제어부(178)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8, the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이송벨트(176)는 타원형의 폐곡선 형태로 구성되고, 일면 상에 다수의 캐리어(173)가 안착 고정되어, 이 이송벨트(176)의 구동에 따라 캐리어(173)들의 순환 이송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The
구동모터(177)는 이송벨트(176)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장치이다.The driving
스프로켓(179)은 구동모터(177)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이송벨트(176)로 전달하여 이송벨트(176)의 회전동작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The
구동제어부(178)는 구동모터(177)를 제어하여 이송벨트(176)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제어하는 회로장치이다. 한편, 구동제어부(178)는 도 1,2에서 설명한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다.The drivin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의 확장 실시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실시예는 보관함, 제1 의약품 트레이, 제2 의약품 트레이 및 제3 의약품 트레이를 포함한다.Figure 9 is an expanded embodiment of a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an extend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box, a first medicine tray, a second medicine tray, and a third medicine tray.
보관함(160)은 그 상부 영역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 트레이를 지지하고, 내부에 약품 재고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제1 의약품 트레이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의약품 트레이(110) 구조로 구성되고, 중량센서(120), 정보입력수단(150), 표시부(150), 인증수단(150), 식별태그 리더(130) 등이 장착되어 있으며, 보관함(16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first medicine tray is composed of the
제2 의약품 트레이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의약품 트레이(170) 구조로 구성되고, 제1 의약품 트레이 상에 배치되며, 실온 보관의 일반 의약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medicine tray is configured as the
제3 의약품 트레이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의약품 트레이(170) 구조로 구성되고, 제2 의약품 트레이 상에 배치되며, 저온의 냉장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탑재하여, 냉장보관을 요구하는 냉장 의약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third medicine tray is configured with the
한편, 제2 의약품 트레이 또는 제3 의약품 트레이는 제1 실시예의 의약품 트레이(110)와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of course, the second medicine tray or the third medicine tray may be configured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그리고, 이러한 의약품 트레이는 도 9의 실시예(즉, 3개의 의약품 트레이)보다 더 많은 개수로 연결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may be understood that such a medicine tray may be used in a larger number than the embodiment of FIG. 9 (ie, three medicine trays).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only intended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nd described te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viating from.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170: 의약품 트레이 111: 반출입구
112,172: 함체 113,173: 캐리어
114,174: 블랭크 캐리어 115,175: 개폐도어
116: 턴테이블 117,177: 구동모터
118,178: 구동제어부 119: 구동벨트풀리
120: 중량센서 130: 식별태그 리더
140: 인증수단 150: 정보입력수단, 표시부
160: 보관함 171: 원점센서
179: 스프로켓 200: 제1 단말
210: 관리서버 220: 제2 단말110,170: Medicine tray 111: Carry-out
112,172: Enclosure 113,173: Carrier
114,174: Blank carrier 115,175: Opening and closing door
116: turntable 117,177: drive motor
118,178: drive control unit 119: drive belt pulley
120: weight sensor 130: identification tag reader
140: authentication means 150: information input means, display unit
160: storage box 171: origin sensor
179: sprocket 200: first terminal
210: management server 220: second terminal
Claims (20)
상기 의약품 트레이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고, 의약품이 수납될 수 있게 형성되는 다수의 캐리어;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고, 의약품을 수납할 수 없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의약품이 수납되지 않는 블랭크 캐리어; 상기 다수의 캐리어와 상기 블랭크 캐리어를 함께 폐곡선 궤적 형태로 순환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함체의 일 영역에 개방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에 수납된 의약품을 외부로 반출하거나 상기 캐리어에 의약품을 반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반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처방전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공받은 처방전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캐리어 이송동작(이하, '제1 이송동작'이라 칭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이송동작은,
상기 순환 이송을 구동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처방전 정보에 기록된 의약품(이하, '처방 의약품'이라 칭함)이 수납된 캐리어(이하, '제1 캐리어'라 칭함)를 이송하여 상기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방 의약품의 반출 완료시, 상기 블랭크 캐리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송동작(이하, '제2 이송동작'이라 칭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이송동작은,
상기 순환 이송을 구동하여 상기 블랭크 캐리어를 상기 반출입구 측으로 복귀시키는 동작이고,
상기 블랭크 캐리어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와 동일한 폐곡선 궤적을 따라 순환 이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이송동작에 의해 상기 원위치로 복귀시, 상기 반출입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반출입구의 후방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 drug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medicine tray and a control unit,
The medicine tray,
Enclosure; A plurality of carrier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formed to accommodate medicines; A blank carrie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medicines cannot be stored or medicines are not stored; A transfer unit for circulating the plurality of carriers and the blank carrier together in a closed curve trajectory; It includes; And an opening formed in one area of the housing, configured to allow the medicine stored in the carrier to be taken out or to carry the medicine into the carrier;
The control unit,
It is configured to receive prescription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fer unit, to generate the carrier transfer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ransfer operation') based on the provided prescription information,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by driving the circulating feed,
And transporting a carr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arrier') containing medic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scription medicines') recorded in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positioning them on the side of the exit,
The control unit,
When the dispensing of the prescription drug is completed,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transfer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transfer operation') to return the blank carrier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econd transfer operation,
It is an operation of driving the circulating conveyance to return the blank carrier to the carry-out entrance side,
The blank carrier,
It is configured to be circulated along the same closed curve trajectory as the plurality of carriers,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second transfer operation, the drug dispensing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ry-out or the rear area of the carry-out.
제1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캐리어로부터 반출된 상기 처방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중량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출된 처방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반출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반출내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And a weight sensor configured to detect weight information of the prescription drug taken out from the first carrier,
The control unit,
Device for carrying out and dispensing medicin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tore the export history includ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exported prescription medicines and to provide the export history to the first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의약품 트레이에 구비되는 원점센서 또는 로터리 엔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점센서 또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rigin sensor or a rotary encoder provided in the pharmaceutical tray,
The control unit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origin sensor or the rotary encoder, the drug transport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second transfer oper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점센서 또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origin sensor or the rotary encoder,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상기 이송부는,
일면 상에 상기 다수의 캐리어와 상기 블랭크 캐리어가 배치되는 턴테이블 또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unit,
And a turntable or a transfer belt on which the plurality of carriers and the blank carrier are disposed on one surface.
상기 의약품 트레이에 반입할 의약품에 부착된 식별태그를 판독하는 리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에 의해 상기 식별태그를 판독시, 상기 판독에 따른 정보(이하, '판독정보'라 칭함)에 근거하는 상기 캐리어 이송동작(이하, '제3 이송동작'이라 칭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이송동작은,
상기 순환 이송을 구동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판독정보에 해당하는 의약품(이하, '입고 의약품'이라 칭함)이 수납되는 캐리어(이하, '입고 캐리어'라 칭함)를 이송하여 상기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reader for reading the identification tag attached to the medicine to be carried in the medicine tray,
The control unit,
When reading the identification tag by the reader,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carrier transfer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transfer operation') based on the readout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ding information'). And
The third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by driving the circulating feed,
A medic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on of transporting a carr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rrival carrier') containing medicines corresponding to the readout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ceipt medicines') and placing them at the side of the exit. A device for carrying in and out and preparing medicines.
상기 중량센서는,
상기 입고 캐리어에 반입되는 상기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입되는 입고 의약품의 중량정보 및 상기 판독정보를 포함하는 입고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입고내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weight sensor,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drug to be loaded into the carrier carrier,
The control unit,
Device for storing and receiving the medicines, including weight information and the readout information of the medicines to be brought in, and configured to provide the receipts to the first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식별태그는 바코드 또는 RFID 태그이고,
상기 리더는 바코드 리더 또는 RFID 리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identification tag is a barcode or RFID tag,
The reader is a barcode reader or an RFID reader,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반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송동작시,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동작을 발생시키고,
상기 처방 의약품의 반출 완료시, 상기 개폐도어의 폐쇄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opening or closing the take-out entrance,
The control unit,
During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an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is generated,
When the dispensing of the prescription drug is completed,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generate a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상기 처방 의약품을 반출하려는 사람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증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수단을 통해 인식된 정보가 등록 인가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등록 인가자에 해당할 경우에만 상기 제1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 trying to take out the prescription drug,
The control uni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means corresponds to a registered licensor,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is configured to occur only when the registered authenticator is applie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제1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수단을 통해 인식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The control unit,
Device for importing and dispensing medicin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means to the first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처방전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부터 상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처방전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input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ans, o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Pharmaceutical import and export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반출된 상기 처방 의약품의 중량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캐리어에 수납된 의약품의 잔량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잔량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게 상기 잔량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Reflect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prescription medicines taken out, the remaining information of medicines stored in the first carrier is updated and stored,
Device for carrying out and dispensing medici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r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고 의약품의 반입 완료시, 상기 블랭크 캐리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송동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랭크 캐리어는,
상기 입고 의약품의 반입 완료에 따른 원위치로 복귀시, 상기 반출입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반출입구의 후방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loading of the medicines is completed,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transfer operation to return the blank carrier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blank carrier,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upon completion of the loading of the medicines, the medicines carrying-in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ry-in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area of the carry-out.
상기 입고 의약품의 반입 완료시는 상기 제3 이송동작의 완료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drug delivery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letion of the third transfer operation, when the receipt of the medicines is completed.
상기 처방 의약품의 반출 완료시는 상기 제1 이송동작 완료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ispensing of the prescription drug is completed, the drug transporting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letion of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상기 제1 이송동작은,
처방 의약품 A가 수납된 제1a 캐리어를 이송하여 상기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제1a 이송동작, 처방 의약품 B가 수납된 제1b 캐리어를 이송하여 상기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제1b 이송동작, 및 처방 의약품 C가 수납된 제1c 캐리어를 이송하여 상기 반출입구 측에 위치시키는 제1c 이송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14,
The first transfer operation,
A 1a transfer operation to transfer the 1a carrier containing the prescription medicine A and place it at the carry-out entrance side, a 1b transfer operation to transfer the 1b carrier containing the prescription medicine B and place it at the carry-out entrance side, and a prescription And a first c transport operation for transporting the first c carrier in which the drug C is accommodated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arry-out port.
상기 이송부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와 상기 블랭크 캐리어를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폐곡선 궤적 형태로 순환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14,
The transport unit is configured to circulate and transport the plurality of carriers and the blank carrier in the form of a circular or elliptical closed curve trajectory.
상기 제어부는,
원위치에 있는 상기 블랭크 캐리어를 기준점으로 이용하여, 상기 제1 이송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턴테이블 또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A medicine carrying-in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amount of the turntable or the conveying belt for generating the first conveying operation is calculated by using the blank carrier in the original position as a reference point.
상기 이송부는,
일면 상에 상기 다수의 캐리어와 상기 블랭크 캐리어가 배치되는 턴테이블 또는 이송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원위치에 있는 상기 블랭크 캐리어를 기준점으로 이용하여, 상기 제3 이송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턴테이블 또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4,
The transfer unit,
A turntable or a transfer belt on which the plurality of carriers and the blank carrier are disposed on one surface,
The control unit,
A medicine carrying-in and dispens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blank carrier in its original position as a reference point, the rotation amount of the turntable or the transfer belt for generating the third transfer operation is calcul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072A KR102116219B1 (en) | 2018-05-16 | 2018-05-16 | Apparatus for managing medicines carrying in/out and prescription prepa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072A KR102116219B1 (en) | 2018-05-16 | 2018-05-16 | Apparatus for managing medicines carrying in/out and prescription prepar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331A KR20190131331A (en) | 2019-11-26 |
KR102116219B1 true KR102116219B1 (en) | 2020-05-28 |
Family
ID=6873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6072A Expired - Fee Related KR102116219B1 (en) | 2018-05-16 | 2018-05-16 | Apparatus for managing medicines carrying in/out and prescription prepa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621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65064B (en) * | 2020-03-18 | 2020-10-23 | 安徽贺林中药饮片科技有限公司 | Take medicine collator of medicinal material distribution function |
KR102325900B1 (en) * | 2020-03-26 | 2021-12-14 | (주)다이렉트테크 | Pesticide Container |
KR102304558B1 (en) * | 2020-12-21 | 2021-09-27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Medicin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CN113003163A (en) * | 2021-03-23 | 2021-06-22 | 深圳市瑞驰致远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medicine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34824A (en) * | 1997-02-26 | 1998-09-08 | Yuyama Seisakusho:Kk | Medicine delivering apparatus and quantity input device |
KR100744427B1 (en) | 2006-06-05 | 2007-08-01 | (주)제이브이엠 | Cassette Recognition Device for Automatic Pharmaceutical Packaging Device and Method |
KR20120047716A (en) * | 2010-11-04 | 2012-05-14 | (주)제이브이엠 | Medicine packing mechine |
NL2007384C2 (en) * | 2011-09-09 | 2013-03-12 | Ppm Engineering B V |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DOSED QUANTITIES OF SOLID MEDICINES |
KR101513691B1 (en) | 2013-09-09 | 2015-04-21 | 주식회사 인포피아 | Multi type tablet dispenser of drug packing apparatus |
KR20150106765A (en) * | 2014-03-12 | 2015-09-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ystem and method for releasing automatically medicine |
KR101595906B1 (en) | 2014-06-10 | 2016-02-22 | 주식회사 인포피아 | Apparatus for dispensing and packaging medication |
KR102406344B1 (en) | 2014-12-31 | 2022-06-09 | (주)제이브이엠 | Drug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2018
- 2018-05-16 KR KR1020180056072A patent/KR10211621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331A (en) | 2019-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5902B1 (en) | Automatic management system of psychotropic medicines with the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status such as the import / export and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f current psychotropic medicines automatically, stably, quickly and accurately in real time using the weight sensor | |
US10192036B2 (en) | Portable medication dispensing containers | |
KR102116219B1 (en) | Apparatus for managing medicines carrying in/out and prescription preparation | |
US10346590B2 (en) | Prescrip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 |
US11200773B2 (en) | Secure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and methods | |
US7175081B2 (en) | Pharmaceutical tracking | |
CN108604283B (en) | Relay box | |
US723206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pharmaceuticals within a facility | |
US2003016069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pharmaceuticals within a facility | |
US20120232692A1 (en) | Local access delivery control system | |
WO2019057690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onitoring and managing inventory | |
CN109363868A (en) | A medical drug cart that can automatically record usage traces | |
KR101816606B1 (en) | A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a Special Treated Medicine Article Including a Narcotic by Various Electric Sensor Module and a Method for the Same | |
KR102198610B1 (en) | Automated management of psychotropic medicines to control the func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o automatically transmit necessary information with the Internet technology of things | |
KR20230155041A (en) | A drug management method that automatically manages psychotropic drugs at drug handling institutions by convergence of RFID technology and IOT technology | |
US20240344766A1 (en) | Intelligent refrigerator for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pharmaceutical preparations | |
KR20210148612A (en) | Automatic medicines carrying in/out management apparatus | |
KR101759236B1 (en) | A Safe and Clearing Total Managing Type of a System for Treating a Special Managing Medicine Article Including a Narcotic with a Improved Efficiency and a Method for the Same with an Information Technolo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