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5549B1 - 다용도 채칼 - Google Patents

다용도 채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549B1
KR102115549B1 KR1020180139293A KR20180139293A KR102115549B1 KR 102115549 B1 KR102115549 B1 KR 102115549B1 KR 1020180139293 A KR1020180139293 A KR 1020180139293A KR 20180139293 A KR20180139293 A KR 20180139293A KR 102115549 B1 KR102115549 B1 KR 10211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control
cutting
shaft
thickness
fit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540A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한미그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그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그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5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5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5Household devices therefor cutting one single slice at each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6Household devices therefor having a detachable blade that is removable attached to th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7Household devices therefor having a holder for the product to b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썰기와 편썰기를 겸용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채와 편의 절삭 두께를 조절하고, 채썰기 작업시 제1,2채커터의 회전을 방지하며, 제1,2채커터가 몸체의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1,2채커터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채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측판(110)(120) 사이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받침판(130)과 손잡이(140) 및 받침판(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150)과 편커터(160)를 구비하는 몸체(100); 측판(110)(120) 사이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께조절판(200); 측판(110)(120)에 두께조절판(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캠(310)과 제1,2채커터(320)(330)를 구비하는 두께조절축(300); 두께조절축(300)을 회전시켜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조절하고 채썰기 작업시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두께조절놉(400); 측판(110)(120)의 하부에 두께조절축(300)의 제1,2채커터(320)(330)를 감싸도록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안전커버(500); 측판(110)(120) 사이 후방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1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용도 채칼{multi purpose slicer}
본 발명은 야채나 채소 등의 절삭물을 얇게 써는 다용도 채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채썰기와 편썰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채와 편의 절삭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채썰기 작업시 제1,2채커터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제1,2채커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1,2채커터가 몸체의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커버를 설치하여 세척시나 사용시 부주의로 인하여 제1,2채커터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채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식당에서는 조리시 당근, 무, 감자, 오이, 고구마 등의 각종 야채나 채소를 썰기 위해 조리용 칼을 사용하게 되는데, 조리용 칼의 경우에는 실수로 손을 베일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야채나 채소를 썰기에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힘을 들이지 않고 안전하게 야채나 채소를 썰 수 있는 조리용 채칼이 개발되어 가정이나 식당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용 채칼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대표적인 구성은 야채나 채소가 슬라이딩되는 미끄럼판의 일측에 칼날 또는 채썰기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칼날과 채썰기용 돌기는 일체형 또는 착탈형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조리용 채칼은 칼날의 절삭각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야채나 채소의 종류나 단단한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썰지 못하고 한 가지 형태로밖에 썰 수 없다. 따라서, 식당에서와 같이 그 사용빈도가 빈번한 곳에서는 칼날의 절삭각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조리용 채칼을 구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0762309호에는 도 1과 도 2a,2b,2c,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절삭물의 측면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측면판(10), 상기 측면판(10) 사이의 앞쪽에 수평 형성되되 선단부 양측은 상기 측면판(10)에 일체 형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측면판(10)과 분리 형성된 미끄럼판(20), 상기 측면판(10) 사이의 뒷쪽에 수평 형성되는 지지판(30), 상기 지지판(30)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미끄럼판(20)과 간극이 형성될 때 상기 미끄럼판(2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절삭물을 커팅하는 절삭날(40), 상기 미끄럼판(20)의 후단부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판(20) 후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절삭물의 커팅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수단(50), 상기 미끄럼판(20)을 따라 절삭물을 슬라이딩시킬 때 상기 절삭물을 눌러 밀 수 있도록 된 절삭물 밀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슬라이서에 있어서, 상기 절삭물 밀대(60)는, 저면에 상기 절삭물에 박히도록 된 복수 개의 박힘돌기(61a)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측이 하방으로 개방되며 측부가 절개된 캡부(62)가 형성된 몸체(61); 상기 캡부(62)의 개방된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되 그 저면에 상기 몸체(61)의 박힘돌기(61a)와 동일한 형태의 박힘돌기(63a)들이 저면에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캡부(62)의 절개부(62a)를 관통하는 체결돌기(63b)가 형성된 체결판(63); 및 상기 캡부(62)의 상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체결판(63)의 체결돌기(63b)와 체결되어 손으로 누르면서 파지하도록 된 누름부(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슬라이서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용도 슬라이서는 두께 조절수단을 이용해 절삭날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야채나 과일 등과 같은 절삭물의 종류나 사용용도에 따라 절삭물을 다양한 두께로 커팅할 수 있고, 또한 채썰기시에는 두께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채썰기 커터에 의해 채썰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절삭날과 더불어 절삭물을 다양한 형태로 커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용도 슬라이서는 도 2a 내지 2d에서와 같이 채썰기용 커터(80)(80')가 하부로 노출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세척시나 사용시 부주의로 인하여 채썰기용 커터(80)(80')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찰과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채썰기용 커터(80)(80')가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세척시나 사용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채썰기용 커터(80)(80')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상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용도 슬라이서는 미끄럼판(20)의 선단부에 고정 손잡이(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절첩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휴대 및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작업시 슬라이서를 경사지게 지지시킬 수 없고 수평으로 지지시켜야 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다용도 슬라이서는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52)를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놓으면 원형 고리부(523)의 걸림돌기(524)가 역회전 방지돌부(11a)에 걸림으로써 회전 손잡이(52)와 높낮이 조절부재(51)의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절삭물을 밀 때는 역회전이 방지되므로 채썰기용 커터(80)(8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하지 않지만, 사용자가 절삭물을 밀고 당기면서 채를 썰 경우 절삭물을 당길 때 정회전은 방지할 수 없어 채썰기용 커터(80)(8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회전하게 되므로 다시 절삭 두께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10-0762309호(등록일자 : 2007.09.2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야채나 채소 등의 채썰기와 편썰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채와 편의 절삭 두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채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썰기 작업시 제1,2채커터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제1,2채커터의 역회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2채커터의 정회전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채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채커터가 몸체의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커버를 설치하여 세척시나 사용시 부주의로 인하여 제1,2채커터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채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휴대 및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채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축지지부가 형성된 측판 사이 전,후방으로 받침판과 손잡이가 각각 배치된 몸체의 받침판 상부에 고정판과 편커터를 고정하고, 상기 측판 사이 후방에 두께조절판의 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측판의 축지지부에 두께조절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캠과 제1,2채커터가 구비된 두께조절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두께조절축을 회전시켜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조절하고 채썰기 작업시 두께조절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두께조절놉을 두께조절축에 연결하며, 상기 측판의 하부에 두께조절축의 제1,2채커터를 감싸는 안전커버를 분리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측판 사이 후방에 몸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절첩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측판의 축지지부는 상부가 개방된 "U"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축지지부의 하부에는 결합공과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에는 두께조절축의 회전축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탄성지지편이 구비된 축지지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측판의 전방 하부와 손잡이의 하부 및 받침대의 하부에는 미끄럼방지패드를 각각 부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두께조절축의 캠은 호형부와 평면부로 형성하고, 상기 호형부는 회전축으로부터 서로 거리를 달리하는 제1두께조절호와 제2두께조절호 및 제3두께조절호로 형성하며, 상기 평면부는 회전축으로부터 서로 거리를 달리하는 제1두께조절면과 제2두께조절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2채커터은 제1두께조절면과 제2두께조절면에 서로 다른 높이와 다른 간격으로 각각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두께조절놉은 두께조절축의 회전축에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상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축지지부에 끼워지는 회전방지부와, 상기 원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내관을 구비하는 고정원판; 상기 안내관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면 하부로 돌출된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회전방지링; 상기 안내관의 외경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방지링이 끼워지는 안내공과, 외면에 형성된 캡홈을 구비하는 회전손잡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사각돌기와 조립되는 사각홈을 구비하여 회전방지링의 내경으로 끼워지는 회전봉과, 상기 제1채커터 또는 제2채커터로 채를 썰 때 걸림돌기가 끼워지도록 내면에 형성된 제1,2걸림홈을 구비하여 두께조절축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고정캡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판의 양측에는 탄성돌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회전손잡이의 내경에는 탄성돌부와 접촉되는 요철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관의 내경에는 다수의 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방지링의 외경에는 철부에 끼워지는 다수의 요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캡홈의 양측에는 호형장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고정캡에는 호형장공에 끼워지는 호형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축의 사각돌기에는 키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봉의 사각홈에는 키에 끼워지는 키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캡의 외면에는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안내하는 표시부를 부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커버의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측판의 하부에는 안전커버의 고정돌기가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고정홈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용도 채칼에 따르면, 두께조절축을 회전시켜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야채나 채소 등의 채썰기와 편썰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채와 편의 절삭 두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썰기 작업시 제1,2채커터가 정역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2채커터의 역회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2채커터의 정회전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채커터가 몸체의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커버가 설치되기 때문에, 세척시나 사용시 부주의로 인하여 제1,2채커터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휴대 및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용도 슬라이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a,2b,2c,2d는 종래의 다용도 슬라이서의 작용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절결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께조절놉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께조절놉의 캠을 보인 확대도.
도 8a,8b,8c는 본 발명에 따른 편썰기 작업시 캠의 호형부 작용을 보인 예시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썰기 작업시 캠의 평면부 작용을 보인 예시도.
도 10a,10b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용도 채칼은 도 3 내지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지지부(111)(121)가 형성된 측판(110)(120) 사이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는 받침판(130)과 손잡이(140) 및 받침판(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150)과 편커터(160)를 구비하는 몸체(100); 상기 측판(110)(120) 사이 후방에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께조절판(200); 상기 측판(110)(120)의 축지지부(111)(121)에 두께조절판(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캠(310)과 제1,2채커터(320)(330)를 구비하는 두께조절축(300); 상기 두께조절축(300)을 회전시켜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조절하고 채썰기 작업시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두께조절놉(400); 상기 측판(110)(120)의 하부에 두께조절축(300)의 제1,2채커터(320)(330)를 감싸도록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안전커버(500); 상기 측판(110)(120) 사이 후방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1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용도 채칼은 야채나 채소 등의 절삭물 채썰기와 편썰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채와 편의 절삭 두께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용도 채칼은 몸체(100), 두께조절판(200), 두께조절축(300), 두께조절놉(400), 안전커버(500), 받침대(600)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다용도 채칼은 도 3에서와 같이 절삭물을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 별도의 도구로 눌러 밀 수 있도록 한 안전손잡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다용도 채칼의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몸체(100)의 양측에는 축지지부(111)(121)가 형성된 측판(110)(120)이 형성되고, 몸체(100)의 전,후방에는 양측 측판(110)(120)을 연결하는 받침판(130)과 손잡이(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판(110)(120)의 축지지부(111)(121)에는 두께조절축(300)의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301)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끼워진다.
상기 받침판(130)의 상부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고정판(150)과 편커터(160)가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50)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50)의 후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편커터(160)는 고정판(150)의 후방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판(110)의 축지지부(111)는 상부가 개방된 "U"형으로 형성되어 하부에는 결합공(112)과 결합홈(113)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113)에는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축(301)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탄성지지편(114a)이 구비된 축지지구(11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축(301)을 축지지부(111)에 상부에서 하부로 끼우고, 상기 축지지구(114)를 결합홈(113)에 하부에서 상부로 끼우면, 탄성지지편(114a)이 결합공(112)을 통해 회전축(301)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회전축(30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조립 후 회전축(301)이 축지지부(111)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께조절판(200)은 측판(110)(120) 사이 후방에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두께조절판(200)은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두께조절판(200)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두께조절판(200)의 선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두께조절판(200)의 후단부 양측에는 측판(110)(120)에 나사(201)체결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편(210)이 하부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나사(201)를 축으로 하여 두께조절판(200)의 전방부는 하중에 의해 두께조절축(300)의 캠(310) 상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두께조절축(300)은 측판(110)(120)의 축지지부(111)(121)에 두께조절판(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두께조절축(300)에는 캠(310)과 제1,2채커터(320)(3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두께조절축(300)은 두께조절판(20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캠(310)은 두께조절판(200)의 전방 하부를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2채커터(320)(330)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다수의 커터가 등간격으로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두께조절축(300)의 캠(310)은 호형부(311)와 평면부(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형부(311)는 회전축(301)으로부터 서로 거리를 달리하는 제1두께조절호(311a)와 제2두께조절호(311b) 및 제3두께조절호(311c)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12)는 회전축(301)으로부터 서로 거리를 달리하는 제1두께조절면(312a)과 제2두께조절면(312b)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채커터(320)(330)은 제1두께조절면(312a)과 제2두께조절면(312b)에 서로 다른 높이와 다른 간격으로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310)의 호형부(311)는 도 8a 내지 도 8c에서와 같이 절삭물의 편썰기 작업시 이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호형부(311)의 제1두께조절호(311a)를 도 8a에서와 같이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절삭물을 9㎜ 두께로 절삭할 수 있고, 호형부(311)의 제2두께조절호(311b)를 도 8b에서와 같이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절삭물을 6㎜ 두께로 절삭할 수 있으며, 호형부(311)의 제3두께조절호(311c)를 도 8c에서와 같이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절삭물을 3㎜ 두께로 절삭할 수 있다.
상기 캠(310)의 평면부(312)는 도 9a와 도 9b에서와 같이 절삭물의 채썰기 작업시 이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평면부(312)의 제1두께조절면(312a)을 도 9a에서와 같이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절삭물을 3㎜ 두께로 절삭할 수 있고, 평면부(312)의 제2두께조절면(312b)을 도 9b에서와 같이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절삭물을 9㎜ 두께로 절삭할 수 있다.
상기 두께조절놉(400)은 두께조절축(3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두께조절놉(400)은 두께조절축(300)을 회전시켜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두께조절놉(400)은 제1,2채커터(320)(330)를 이용한 채썰기 작업시 두께조절축(300)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두께조절놉(400)은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축(301)에 끼워지는 축공(411a)이 형성된 원판(411)과, 원판(411)의 상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축지지부(111)에 끼워지는 회전방지부(412)와, 원판(4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내관(413)을 구비하는 고정원판(410); 상기 안내관(413)에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도록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면 하부로 돌출된 걸림돌기(421)를 구비하는 회전방지링(420); 상기 안내관(413)의 외경에 스프링(S2)의 탄력을 받도록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관(431)과, 회전방지링(420)이 끼워지는 안내공(432)과, 외면에 형성된 캡홈(433)을 구비하는 회전손잡이(430); 상기 회전축(301)에 형성된 사각돌기(302)와 조립되는 사각홈(441a)을 구비하여 회전방지링(420)의 내경으로 끼워지는 회전봉(441)과, 제1채커터(320) 또는 제2채커터(330)로 채를 썰 때 걸림돌기(421)가 끼워지도록 내면에 형성된 제1,2걸림홈(442)(443)을 구비하여 두께조절축(300)에 나사(B)체결로 고정되는 고정캡(4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원판(410)은 측판(110)의 축지지부(111)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원판(410)에는 원판(411)과 회전방지부(412)및 안내관(413)이 구비되고, 고정원판(410)은 회전손잡이(430)와 고정캡(4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원판(411)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411a)에는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축(301)이 공회전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원판(411)의 상부 내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부(412)는 측판(110)의 축지지부(111)에 끼워지며. 상기 원판(4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안내관(413)에는 회전방지링(420)이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도록 축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회전방지링(420)은 고정원판(410)의 안내관(413)에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도록 축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방지링(420)의 외면 하부에는 채썰기 작업시 고정캡(440)의 제1걸림홈(442) 또는 제2걸림홈(443)에 끼워지면서 로킹되어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돌기(421)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링(420)은 제1,2채커터(320)(330)를 이용한 채썰기 작업시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정회전 및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걸림돌기(421)를 고정캡(440)의 제1걸림홈(442) 또는 제2걸림홈(443)에 로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내관(413)의 내경에는 다수의 철부(413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링(420)의 외경에는 철부(413a)에 끼워지는 다수의 요부(4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철부(413a)와 요부(422)는 회전방지링(42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철부(413a)와 요부(422)들 중 상부 중앙에 위치하는 철부(413a)와 요부(422)는 나머지 다른 철부(413a)와 요부(422)보다 크기를 크게 또는 작게 형성하여 조립시 정확한 조립위치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손잡이(430)는 두께조절축(30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손잡이(430)의 회전관(431)은 고정원판(410)의 안내관(413) 외경에 스프링(S2)의 탄력을 받도록 회전 및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회전손잡이(430)의 안내공(432)에는 회전방지링(420)이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며, 회전손잡이(430)의 캡홈(433)에는 고정캡(440)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회전손잡이(430)는 두께조절축(3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430)는 회전방지링(420)의 로킹을 해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판(411)의 양측에는 절개부를 통해 탄성돌부(414)(41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손잡이(430)의 내경에는 탄성돌부(414)(415)와 접촉되는 요철(434)(4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판(411)의 탄성돌부(414)(415)는 회전손잡이(430)의 요철(434)(435)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이러한 탄성돌부(414)(415)와 요철(434)(435)은 회전손잡이(430)가 헐겁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회전손잡이(430)를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캡(440)은 회전손잡이(430)의 캡홈(433)에 끼워진 상태에서 두께조절축(300)과 나사(B)체결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캡(440)의 회전봉(441)은 회전방지링(420)의 내경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고정캡(440)의 회전봉(441)에 구비된 사각홈(441a)에는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축(301)에 형성된 사각돌기(302)가 끼워지며, 고정캡(440)의 내면에 형성된 제1걸림홈(442)에는 제1채커터(320)를 이용한 채썰기 작업시 회전방지링(420)의 걸림돌기(421)가 끼워지면서 로킹되고, 고정캡(440)의 내면에 형성된 제2걸림홈(443)에는 제2채커터(330)를 이용한 채썰기 작업시 회전방지링(420)의 걸림돌기(421)가 끼워지면서 로킹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440)의 중앙부에는 나사(B)가 끼워지는 나사공이 사각홈(441a)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두께조절축(300)의 사각돌기(302)에는 나사(B)가 체결되는 나사체결홈이 형성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방지링(420)의 외면 상부에는 걸림돌기(421)보다 작은 크기로 안내돌기(423)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고정캡(440)의 내면에는 제1,2채커터(320)(330)를 이용한 채썰기 작업시 안내돌기(423)가 끼워지는 제1,2걸림홈(442)(443)보다 작은 크기로 안내홈(442a)(443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301)의 사각돌기(302)에는 키(303)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봉(441)의 사각홈(441a)에는 키(303)에 끼워지는 키홈(44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키(303)와 키홈(441b)은 조립시 정확한 조립위치를 알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홈(433)의 양측에는 호형장공(436)(437)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440)에는 호형장공(434)(435)에 끼워지는 호형돌기(444)(4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호형장공(436)(437)과 호형돌기(444)(445)는 회전손잡이(430)의 회전시 고정캡(400)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일측 호형장공(436)과 호형돌기(444)는 타측 호형장공(437)과 호형돌기(445)보다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형성하여 조립시 정확한 조립위치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캡(440)의 외면에는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안내하는 표시부(45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450)는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표시부(450)를 통해 사용자는 작업시 원하는 모드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안전커버(500)는 측판(110)(120)의 하부에 두께조절축(300)의 제1,2채커터(320)(330)를 감싸도록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커버(500)는 몸체(100)의 하부로 제1,2채커터(320)(330)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세척시나 사용시 부주의로 인하여 제1,2채커터(320)(330)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커버(500)의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돌기(510)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110)(120)의 하부에는 안전커버(500)의 고정돌기(510)가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고정홈(110a)(1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510)를 돌기고정홈(110a)(120a)에 일치시켜 끼우면 안전커버(500)를 측판(110)(120)의 하부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600)는 측판(110)(120) 사이 후방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대(600)는 작업시 몸체(1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600)를 도 10b에서와 같이 펼치면 몸체(10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받침대(600)를 도 10a에서와 같이 접으면 휴대 및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판(110)(120)의 전방 하부와 손잡이(140)의 하부 및 받침대(600)의 하부에는 미끄럼방지패드(P1)(P2)(P3)가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판(110)(120)의 전방 하부와 받침대(600)의 하부에는 미끄럼방지패드(P1)(P3)가 각각 부착되므로 작업시 몸체(10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140)의 하부에는 미끄럼방지패드(P2)가 부착되므로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 채칼을 사용하지 않을 때 도 10a에서와 같이 받침대(600)를 접으면 채칼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휴대 및 보관시 제1,2채커터(320)(330)가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두께조절놉(400)을 조절하면, 제1,2채커터(320)(330)는 몸체(10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고, 또한 안전커버(500)에 의해 제1,2채커터(320)(330)는 몸체(100)의 하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제1,2채커터(320)(330)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작업시 도 10b에서와 같이 받침대(600)를 펼치면 몸체(100)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두께조절놉(400)의 회전손잡이(430)를 원하는 모드로 회전시키면 고정캡(440)과 두께조절축(30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회전손잡이(430)의 내경에 형성된 요철(434)(435)은 고정원판(410)의 원판(411)에 형성된 탄성돌부(414)(415)에 탄력적으로 걸리면서 단계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두께조절축(300)의 캠(310)은 회전하면서 도 8a 내지 도 9b에서와 같이 두께조절판(200)의 선단부를 승강시켜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조절하게 되고, 원하는 모드로 조절한 후 두께조절판(200)의 상부에 야채나 채소 등의 절삭물을 올려놓고 손이나 안전손잡이(700)로 절삭물을 전후로 밀고 당기면 절삭물이 편커터(160)에 의해 원하는 두께로 절삭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편썰기 작업시 캠(3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에서와 같이 캠(310)의 제1두께조절호(311a)가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절삭물을 9㎜ 두께의 편으로 절삭할 수 있고, 도 8b에서와 같이 캠(310)의 제2두께조절호(311b)가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절삭물을 6㎜ 두께의 편으로 절삭할 수 있으며, 도 8c에서와 같이 캠(310)의 제3두께조절호(311c)가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절삭물을 3㎜ 두께의 편으로 절삭할 수 있다. 이때, 절삭물의 절삭 두께는 두께조절판(200)의 선단과 편커터(160) 사이 간극에 의해 결정된다.
도 9a와 도 9b는 채썰기 작업시 캠(310)과 제1,2채커터(320)(33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에서와 같이 캠(310)의 제1두께조절면(312a)이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제1채커터(320)가 두께조절판(200)의 상부로 돌출되므로 절삭물을 3㎜ 두께의 채로 절삭할 수 있고, 도 9b에서와 같이 캠(310)의 제2두께조절면(312b)이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제2채커터(330)가 두께조절판(200)의 상부로 돌출되므로 절삭물을 9㎜ 두께의 채로 절삭할 수 있다.
이때, 도 9a에서와 같이 캠(310)의 제1두께조절면(312a)이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손잡이(430)를 회전시키면, 회전방지링(420)의 걸림돌기(421)와 고정캡(440)의 제1걸림홈(442)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S1)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421)가 제1걸림홈(442)으로 끼워지면서 로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의해 제1채커터(320)를 이용한 채썰기 작업시 두께조절축(300)이 회전(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b에서와 같이 캠(310)의 제2두께조절면(312b)이 두께조절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손잡이(430)를 회전시키면, 회전방지링(420)의 걸림돌기(421)와 고정캡(440)의 제2걸림홈(443)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S1)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421)가 제2걸림홈(443)으로 끼워지면서 로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의해 제2채커터(330)를 이용한 채썰기 작업시에도 두께조절축(300)이 회전(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는 두께조절축(300)과 회전손잡이(430)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회전손잡이(430)가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 채칼을 다른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회전손잡이(430)를 두께조절축(300)의 방향으로 밀면, 스프링(S2)을 압축하면서 회전손잡이(430)와 회전방지링(420)이 동시에 두께조절축(30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회전방지링(420)의 걸림돌기(421)가 고정캡(440)의 제1걸림홈(442) 또는 제2걸림홈(443)에서 빠져나오면서 로킹이 해지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회전손잡이(430)를 두께조절축(300)의 방향으로 밀면서 돌리면 회전손잡이(430)를 원하는 모드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두께조절축(300)을 회전시켜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야채나 채소 등의 채썰기와 편썰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채와 편의 절삭 두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채썰기 작업시 제1,2채커터(320)(330)가 정역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2채커터(320)(330)의 역회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2채커터(320)(330)의 정회전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제1,2채커터(320)(330)가 몸체(100)의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커버(500)가 설치되기 때문에, 세척시나 사용시 부주의로 인하여 제1,2채커터(320)(330)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1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600)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휴대 및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몸체 110 : 측판
110a : 돌기고정홈 111 : 축지지부
112 : 결합공 113 : 결합홈
114 : 축지지구 114a : 탄성지지편
120 : 측판 120a : 돌기고정홈
121 : 축지지부 130 : 받침판
140 : 손잡이 150 : 고정판
160 : 편커터 200 : 두께조절판
300 : 두께조절축 301 : 회전축
302 : 사각돌기 303 : 키
310 : 캠 311 : 호형부
311a : 제1두께조절호 311b : 제2두께조절호
311c : 제3두께조절호 312 : 평면부
312a : 제1두께조절면 312b : 제2두께조절면
320 : 제1채커터 330 : 제2채커터
400 : 두께조절놉 410 : 고정원판
411 : 원판 411a : 축공
412 : 회전방지부 413 : 안내관
413a : 철부 414,415 : 탄성돌부
420 : 회전방지링 421 : 걸림돌기
422 : 요부 430 : 회전손잡이
431 : 회전관 432 : 안내공
433 : 캡홈 434,435 : 요철
436,437 : 호형장공 440 : 고정캡
441 : 회전봉 441a : 사각홈
441b : 키홈 442 : 제1걸림홈
443 : 제2걸림홈 444,445 : 호형돌기
450 : 표시부 500 : 안전커버
510 : 고정돌기 600 : 받침대
P1,P2,P3 : 미끄럼방지패드 S1,S2 : 스프링
B : 나사

Claims (11)

  1. 축지지부(111)(121)가 형성된 측판(110)(120) 사이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는 받침판(130)과 손잡이(140) 및 받침판(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150)과 편커터(160)를 구비하는 몸체(100); 상기 측판(110)(120) 사이 후방에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께조절판(200); 상기 측판(110)(120)의 축지지부(111)(121)에 두께조절판(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캠(310)과 제1,2채커터(320)(330)를 구비하는 두께조절축(300); 상기 두께조절축(300)을 회전시켜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조절하고 채썰기 작업시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두께조절놉(400); 상기 측판(110)(120)의 하부에 두께조절축(300)의 제1,2채커터(320)(330)를 감싸도록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안전커버(500); 상기 측판(110)(120) 사이 후방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1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600)로 구성되되,
    상기 두께조절놉(400)은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축(301)에 끼워지는 축공(411a)이 형성된 원판(411)과, 원판(411)의 상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축지지부(111)에 끼워지는 회전방지부(412)와, 원판(4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내관(413)을 구비하는 고정원판(410); 상기 안내관(413)에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도록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면 하부로 돌출된 걸림돌기(421)를 구비하는 회전방지링(420); 상기 안내관(413)의 외경에 스프링(S2)의 탄력을 받도록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관(431)과, 회전방지링(420)이 끼워지는 안내공(432)과, 외면에 형성된 캡홈(433)을 구비하는 회전손잡이(430); 상기 회전축(301)에 형성된 사각돌기(302)와 조립되는 사각홈(441a)을 구비하여 회전방지링(420)의 내경으로 끼워지는 회전봉(441)과, 제1채커터(320) 또는 제2채커터(330)로 채를 썰 때 걸림돌기(421)가 끼워지도록 내면에 형성된 제1,2걸림홈(442)(443)을 구비하여 두께조절축(300)에 나사(B)체결로 고정되는 고정캡(4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10)의 축지지부(111)는 상부가 개방된 "U"형으로 형성되어 하부에는 결합공(112)과 결합홈(113)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113)에는 두께조절축(300)의 회전축(301)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탄성지지편(114a)이 구비된 축지지구(11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10)(120)의 전방 하부와 손잡이(140)의 하부 및 받침대(600)의 하부에는 미끄럼방지패드(P1)(P2)(P3)가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조절축(300)의 캠(310)은 호형부(311)와 평면부(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형부(311)는 회전축(301)으로부터 서로 거리를 달리하는 제1두께조절호(311a)와 제2두께조절호(311b) 및 제3두께조절호(311c)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12)는 회전축(301)으로부터 서로 거리를 달리하는 제1두께조절면(312a)과 제2두께조절면(312b)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채커터(320)(330)은 제1두께조절면(312a)과 제2두께조절면(312b)에 서로 다른 높이와 다른 간격으로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411)의 양측에는 절개부를 통해 탄성돌부(414)(41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손잡이(430)의 내경에는 탄성돌부(414)(415)와 접촉되는 요철(434)(4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413)의 내경에는 다수의 철부(413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링(420)의 외경에는 철부(413a)에 끼워지는 다수의 요부(4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홈(433)의 양측에는 호형장공(436)(437)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440)에는 호형장공(434)(435)에 끼워지는 호형돌기(444)(4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1)의 사각돌기(302)에는 키(303)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봉(441)의 사각홈(441a)에는 키(303)에 끼워지는 키홈(44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440)의 외면에는 절삭 두께와 채썰기 및 편썰기 모드를 안내하는 표시부(45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500)의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돌기(510)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110)(120)의 하부에는 안전커버(500)의 고정돌기(510)가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고정홈(110a)(1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KR1020180139293A 2018-11-13 2018-11-13 다용도 채칼 Active KR10211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93A KR102115549B1 (ko) 2018-11-13 2018-11-13 다용도 채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93A KR102115549B1 (ko) 2018-11-13 2018-11-13 다용도 채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40A KR20200055540A (ko) 2020-05-21
KR102115549B1 true KR102115549B1 (ko) 2020-05-26

Family

ID=7091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293A Active KR102115549B1 (ko) 2018-11-13 2018-11-13 다용도 채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20766B1 (ko) 2024-10-18 2025-06-12 임봉화 식재료 채칼 작업용 고정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979B1 (ko) * 2021-01-28 2021-09-24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5124A (ja) * 2003-05-01 2006-11-09 ヘレン オブ トロイ リミテッド 食品スライサ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863B1 (ko) * 2001-07-10 2004-09-08 형진 채칼
KR100762309B1 (ko) 2006-09-18 2007-10-04 김계수 다용도 슬라이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5124A (ja) * 2003-05-01 2006-11-09 ヘレン オブ トロイ リミテッド 食品スライサ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20766B1 (ko) 2024-10-18 2025-06-12 임봉화 식재료 채칼 작업용 고정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40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2622B2 (en) Safety manual vegetable cutter
US6438850B2 (en) Roller cutter with retractable and removable cutter wheel
JP4843666B2 (ja) 汎用おろし器
EP2996845B1 (en) Slicer
EP1798010B1 (en) Adjustable slicing device
US8069571B2 (en) Spring back safety and film cutter
EP1955628B1 (en) Food Slicer and Grater
US20060081108A1 (en) Manual safety vegetable cutter
EP3213892B1 (en) A food holder for a food slicer, and a food slicer
KR102115549B1 (ko) 다용도 채칼
HK1214207A1 (en) Mandolin slicer
US10414056B2 (en) Cooking knife
KR20160059701A (ko) 3중으로 형성된 주방용 칼
KR100762309B1 (ko) 다용도 슬라이서
US7913600B2 (en) Tourne cutting method and device
KR20130080378A (ko) 여러개의 모드를 갖는 다용도 슬라이서
KR101024682B1 (ko) 다기능 주방용 슬라이서
KR200480268Y1 (ko) 식품 절삭 장치
US20050005783A1 (en) Device for cutting vegetables into ribbons or into strips including housing therefor
JP2019013721A (ja) 野菜調理器
JP4956326B2 (ja) 押さえ具付スライサ
JP3022202U (ja) 野菜等の調理器
US7278346B2 (en) Tourne cutting method, device and kit
JP2005198972A (ja) 包丁
KR101696345B1 (ko)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