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717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3717B1 KR102113717B1 KR1020130167052A KR20130167052A KR102113717B1 KR 102113717 B1 KR102113717 B1 KR 102113717B1 KR 1020130167052 A KR1020130167052 A KR 1020130167052A KR 20130167052 A KR20130167052 A KR 20130167052A KR 102113717 B1 KR102113717 B1 KR 1021137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output
- output voltage
- sensing unit
- sen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5—Internal voltage generators for integrated circuits, e.g. step down generato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61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parallel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2는 도1의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도3은 도1의 신호 생성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도4는 도1의 전압 생성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5는 도1의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다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100 : 제1 감지부
200 : 제2 감지부
300 : 신호 생성부
400 : 전압 생성부
Claims (18)
- 출력 전압의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감지부;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감지부;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의 변화에 대한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의 응답 속도는 서로 다른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의 하강에 대한 상기 제1 감지부의 응답 속도는 상기 제2 감지부의 응답 속도보다 더 빠른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의 하강에 대한 상기 제1 감지부의 응답 속도가 상기 제2 감지부의 응답 속도보다 더 빠르도록,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문턱 전압, 채널의 넓이, 채널의 길이 및 도핑량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의 상승에 대한 상기 제2 감지부의 응답 속도는 상기 제1 감지부의 응답 속도보다 더 빠른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의 상승에 대한 상기 제2 감지부의 응답 속도가 상기 제1 감지부의 응답 속도보다 더 빠르도록,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문턱 전압, 채널의 넓이, 채널의 길이 및 도핑량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레벨은 상기 제2 기준 전압의 레벨보다 높은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동일한 논리 레벨의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 중 더 빠르게 천이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출력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고,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분배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출력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고,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분배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출력 전압의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감지부;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감지부;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온/오프가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온될 때 상기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이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1 감지 신호는 상기 제2 감지 신호보다 앞서서 디스에이블되고, 상기 출력 전압의 레벨이 상승하는 동안 상기 제2 감지 신호는 상기 제1 감지 신호보다 앞서서 인에이블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생성부는 디스에이블된 상기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온되고, 인에이블된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오프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레벨은 상기 제2 기준 전압의 레벨보다 높은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생성부는,
인에이블 상태에서 디스에이블 상태로 천이하는 상기 제1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디스에이블 상태에서 인에이블 상태로 천이하는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될 때 온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출력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고,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분배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출력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 출력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고,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분배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052A KR102113717B1 (ko) | 2013-12-30 | 2013-12-30 | 반도체 장치 |
US14/242,994 US9494958B2 (en) | 2013-12-30 | 2014-04-02 | Semiconductor apparatus |
CN201410704848.2A CN104751892B (zh) | 2013-12-30 | 2014-11-26 | 半导体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052A KR102113717B1 (ko) | 2013-12-30 | 2013-12-30 | 반도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8020A KR20150078020A (ko) | 2015-07-08 |
KR102113717B1 true KR102113717B1 (ko) | 2020-05-21 |
Family
ID=5348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7052A Expired - Fee Related KR102113717B1 (ko) | 2013-12-30 | 2013-12-30 | 반도체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494958B2 (ko) |
KR (1) | KR102113717B1 (ko) |
CN (1) | CN10475189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9844A (ko) * | 2014-12-09 | 2016-06-17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전압 생성 장치 |
KR20220010125A (ko) * | 2020-07-17 | 2022-01-25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압 생성 회로 |
CN112102868A (zh) * | 2020-11-17 | 2020-12-18 |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 嵌入式Flash存储器擦写电压处理电路、方法及芯片 |
CN115541982A (zh) * | 2022-11-01 | 2022-12-30 | 星宸科技股份有限公司 | 电压侦测装置与防止系统故障的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16556B2 (ja) * | 1996-08-02 | 2004-04-05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内部電源回路 |
JPH10189877A (ja) * | 1996-12-26 | 1998-07-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装置 |
KR20000045321A (ko) | 1998-12-30 | 2000-07-15 | 김영환 | 펌프 장치 |
KR20080071072A (ko) * | 2005-11-22 | 2008-08-01 |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 인버터 및 그 제어 회로 및 그들을 이용한 발광 장치 및액정 텔레비전 |
CN101276228A (zh) * | 2007-03-28 | 2008-10-01 | 株式会社瑞萨科技 | 生成温度补偿用电压的半导体装置 |
KR20090080258A (ko) * | 2008-01-21 | 2009-07-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부하량에 따라 부스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부스팅 전압발생기 및 상기 부스팅 전압 발생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JP6063708B2 (ja) * | 2012-10-23 | 2017-01-18 | ローム株式会社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2013
- 2013-12-30 KR KR1020130167052A patent/KR10211371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4-02 US US14/242,994 patent/US9494958B2/en active Active
- 2014-11-26 CN CN201410704848.2A patent/CN104751892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751892B (zh) | 2019-11-05 |
CN104751892A (zh) | 2015-07-01 |
KR20150078020A (ko) | 2015-07-08 |
US9494958B2 (en) | 2016-11-15 |
US20150185745A1 (en) | 2015-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96367B2 (en) | Power supply circuit and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KR102113717B1 (ko) | 반도체 장치 | |
US20080159043A1 (en) | Negative voltage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0803363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 |
US8896366B2 (en) |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8525555B2 (en) | Power detector | |
KR20140145814A (ko) | 기준전압 생성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저전압용 내부전원 생성장치 | |
US6636451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ternal voltage generator and internal voltage generating method | |
KR20020057286A (ko) | 저전압 감지기를 내장한 고전압 검출기 | |
KR100812299B1 (ko) | 전압 강하 회로 | |
US7990206B2 (en) | Device for supplying temperature dependent negative voltage | |
US9753515B2 (en) | Anti-deadlock circuit for voltage regulator and associated power system | |
KR100860976B1 (ko) | 파워업신호 생성장치 | |
KR20080092085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발생회로 | |
KR20050095052A (ko) | 하프 전원 전압 발생 회로 | |
KR102605245B1 (ko) | 내부 생성 전압의 레벨을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는 레벨로 변환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레벨 변환 회로 | |
KR100771870B1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승압전압 검출회로 및 이를 제어하는방법 | |
KR20010061375A (ko) | 파워-업 회로 | |
KR101854620B1 (ko) | 저전압 파워-온 리셋 회로 | |
KR20100001835A (ko) | 파워업신호 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20120097979A (ko) | 반도체 장치 | |
KR20080070929A (ko) | 전압 레벨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압 발생 회로 | |
KR102010091B1 (ko) | 내부전압 생성회로 | |
KR101003129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 |
JP2014066528A (ja) | 半導体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