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734B1 -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8734B1 KR102108734B1 KR1020170177070A KR20170177070A KR102108734B1 KR 102108734 B1 KR102108734 B1 KR 102108734B1 KR 1020170177070 A KR1020170177070 A KR 1020170177070A KR 20170177070 A KR20170177070 A KR 20170177070A KR 102108734 B1 KR102108734 B1 KR 1021087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ar
- wall
- delete delete
- lower surfac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06B2003/26352—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hollow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06B2003/26361—Openings, incisions or ind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또한 ㄷ자형 단열바는 외측면으로는 공간부의 상하로 등분된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요부와 돌부가 구비되고, 내측면으로는 상기 상면과 하면의 일측으로 구비된 외벽의 내측으로 내벽이 ㄱ구비되면서 내입테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외벽과 내입테를 구비하는 내벽의 사이에는 절곡홈부가 구비되며 절곡홈부와 상면 및 하면의 사이에는 다수의 중공부가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ㅏ자형 단일바는 외측면으로는 공간부의 상하로 등분된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요부와 돌부가 구비되고, 내측면으로는 상기 상면과 하면의 일측으로 구비된 외벽의 내측으로 중공돌부가 구비되고 중공돌부와 외벽의 사이에는 절곡홈부가 구비되고, 절곡홈부와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는 중공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한상의 프레임 바는 철판을 절곡하여 양단의 절곡된 절곡단이 단열바의 절곡홈부에 삽입되어지면서 간단하게 조립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쌍의 프레임 바의 다양한 형태의 변형에 의하여 다양한 벽면에 다양한 형태로의 유리창 벽면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이러한 간단한 포밍작업에 의하여 간단하게 다양한 형태로 프레임 바를 제공하게 됨으로 저렴한 제공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레임바에 유리부재가 연결되는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부재가 프레임 바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열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유리창 벽면이 벽체에 구비되는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ㄷ자형 단열바의 일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ㅏ자형 단일바의 일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2개의 ㄷ자형 단열바의 외측면이 서로 맞물림되어진 상태의 일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ㄷ자형 단열바와 ㅏ자형 단일바의 외측면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2개의ㅏ자형 단일바의 외측면이 서로 맞물림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맞물림된 2개의 ㄷ자형 단열바에 프레임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ㄷ자형 단열바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사용되어 프레임 바와 결합된 상태의 일 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ㄷ자형 단열바와 ㅏ자형 단일바의 외측면이 서로 맞물림된 상태에서 프레임바가 결합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2개의 ㅏ자형 단일바의 외측면이 서로 맞물림된 상태에서 프레임바가 결합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2개의 ㄷ자형 단열바의 외측면이 서로 맞물림되어진 상태에서 프레임 바가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ㅏ자형 단일바를 각각 분리 사용하여 프레임바로 코너프레임을 구현한 단면도.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5에 도시된 ㄷ자형 단열바(310)는 외측면으로는 공간부(311)의 상하로 등분된 상면(312)과 하면(313)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요부(314)와 돌부(315)가 구비되고, 내측면으로는 상기 상면과 하면의 일측으로 연장된 외벽(316)의 내측으로 내입테(317)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외벽과 내입테의 사이에는 절곡홈부(318)가 구비되며 상기 내입테와 상면 및 하면의 사이에는 연결대(319a)에 의하여 다수의 중공부(319)가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6에 도시된 ㅏ자형 단일바(320)는 외측면으로는 공간부(321)의 상하로 등분된 상면(322)과 하면(323)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요부(324)와 돌부(325)가 구비되고, 내측면으로는 상기 상면과 하면의 일측으로 연장된 외벽(326)의 내측으로 중공돌부(327)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돌부와 외벽의 사이에는 절곡홈부(328)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홈부와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는 연결대(329a)에 의한 중공부(329)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열바(300)는 상기 ㄷ자형 단열바(310)와 ㅏ자형 단일바(320)의 외측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돌부와 요부를 사용하여 서로 대응토록 한 후 슬라이드 형태로 맞물림토록 함으로서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열바(300)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단열바의 외측면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부로 인하여 요부와 돌부가 슬라이드 맞물림할 경우에 약간의 유격이 존재할 경우에도 탄력작동되면서 결합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임의적인 분리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단열바(310,320)의 외벽(316)과 내입테(317) 또는 외벽(326)과 절곡홈부(328)의 사이에 연결대(319a,329a)에 의한 중공부(319,329)로 인하여 단열바(300)의 단열이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중공부는 연결대에 의하여 구획되어짐으로 지지력도 견고하게 될 수 있는 것이고 형태의 변형도 방지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쌍의 제1,2프레임 바(111a,111b)는 벽체(1)의 설치공간(2)의 형태에 따라서 또는 벽체(1)의 두께에 따라서 또는 프레임(110)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일정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철판을 절곡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절곡된 상태에서의 노출되는 양단을 단열바(300)의 절곡홈부(318,328)에 끼임토록 하기 위하여 절곡단(110a)을 구비토록 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10은 상단프레임을 예시한 것이고, 도11은 하단프레임을 예시한 것이며, 도 12는 측단프레임을 예시한 것이고, 도 13은 수직프레임을 예시한 것이며, 도 14는 중단프레임을 예시한 것이고, 도 15와 도16은 코너프레임을 예시한 것이다.
즉 유리창벽면(100)으로 조립되는 프레임(110)은 도10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부재(200)가 프레임바(111)에 결합될 경우에 벽면(1)의 설치공간(2)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어서 단열바(300)가 프레임바(111)와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홈부(300a)에 유리부재(200)의 일측변이 장착되어지고 타측변은 도13 및 도15와 도16과 같은 또 다른 프레임의 구조에 따라서 유리부재의 타측변이 밀착된 상태에서 실리콘으로 실링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10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바가 단열바에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바는 유리창벽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실내측이나 실외측이 상황에 따라서 바뀔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바의 양단에 구현된 절곡단은 프레임(110)의 종류에 따라서 다단으로 절곡될 수 있는 것으로, 단열바(300)의 절곡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빠지지 않게 걸림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프레임(110)은 롤 포밍에 의해 다단절곡되는 것으로써 이럴 경우 프레임(110)의 사이즈, 형태에 따라서 자유롭게 변경가능한 장점이 있ㄴ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부에서 실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 유리창 벽면을 이루는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 바를 플라스틱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구비된 단열바 2개를 사용하여 조립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0:벽면
110:프레임 110a:절곡단
111:프레임바 111a:제1프레임바
111b:제2프레임바 120:양측단프레임
130:상단프레임 140:하단프레임
150:중단프레임 160:수직프레임
170:코너프레임
200:유리부재
300:단열바 300a:홈부
310:ㄷ자형 단열바 311:공간부
312:상면 313:하면
314:요부 315:돌부
316:외벽 317:내입테
318:절곡홈부 319a:연결대
319:중공부
320:ㅏ자형 단일바 321:공간부
322:상면 323:하면
324:요부 325:돌부
326:외벽 327:중공돌부
328:절곡홈부 329a:연결대
329:중공부
Claims (8)
- 건축물의 벽체에 구비되는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채광 또는 환기를 위하여 설치되는 유리창 벽면이 설치공간의 외곽테두리를 따라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내에 유리부재가 단열바에 의하여 연결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설치공간의 양측으로 수직으로 직립된 양 측단프레임과, 상기 양 측단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상,하단프레임이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유리창벽면의 크기에 따라서 외력에 의해 유리부재가 파손되지 않도록 일정면적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수평의 중단프레임과, 상기 중단프레임과 직교하는 수직프레임과 유리창 벽면이 일정한 각도로 꺾이게 설치될 수 있도록 꺾여지는 코너에는 코너프레임이 추가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정강도를 갖기 위하여 금속재를 롤 포밍가공에 의하여 제조하여 이루어지는 한쌍의 제1,2프레임 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제1,2프레임 바는 절곡된 선단에 절곡단을 구비하여 ㄷ자형 단열바와 ㅏ자형 단일바를 각각으로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것이 둘이 외측면이 맞물리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절곡홈부에 끼임결합토록 하여 다양형태로 변형가능한 프레임 바와 연결가능토록 하고,
상기 ㄷ자형 단열바는 외측면으로는 공간부의 상하로 등분된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요부와 돌부가 구비되고, 내측면으로는 상기 상면과 하면의 일측으로 연장된 외벽의 내측으로 내입테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외벽과 내입테의 사이에는 절곡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입테와 상면 및 하면의 사이에는 연결대에 의하여 다수의 중공부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ㅏ자형 단일바는 외측면으로는 공간부의 상하로 등분된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요부와 돌부가 구비되고, 내측면으로는 상기 상면과 하면의 일측으로 연장된 외벽의 내측으로 중공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돌부와 외벽의 사이에는 절곡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홈부와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는 연결대에 의한 중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7070A KR102108734B1 (ko) | 2017-12-21 | 2017-12-21 |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7070A KR102108734B1 (ko) | 2017-12-21 | 2017-12-21 |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6083A KR20190076083A (ko) | 2019-07-02 |
KR102108734B1 true KR102108734B1 (ko) | 2020-05-12 |
Family
ID=6725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7070A Active KR102108734B1 (ko) | 2017-12-21 | 2017-12-21 |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87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2027B1 (ko) * | 2020-06-17 | 2022-12-28 | 주식회사 신우금속 |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465Y1 (ko) * | 2014-05-09 | 2014-09-17 | 변상득 | 창호용 단열프레임 |
KR101588288B1 (ko) * | 2015-03-10 | 2016-01-25 | (주)점보알텍 |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미닫이 창호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1502B1 (ko) * | 2013-06-17 | 2015-02-11 | 주식회사 포스코 | 열교 차단용 단열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
KR101771620B1 (ko) * | 2015-12-23 | 2017-08-25 | 신광철 | 단열구조체 |
-
2017
- 2017-12-21 KR KR1020170177070A patent/KR10210873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465Y1 (ko) * | 2014-05-09 | 2014-09-17 | 변상득 | 창호용 단열프레임 |
KR101588288B1 (ko) * | 2015-03-10 | 2016-01-25 | (주)점보알텍 |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미닫이 창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6083A (ko) | 2019-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1088B1 (ko) | 금속 단열창호 | |
KR101470525B1 (ko) | 알루미늄 단열 커튼월 | |
KR101472311B1 (ko) |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 |
KR101744540B1 (ko) | 커튼월 | |
KR101243416B1 (ko) |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 |
KR102345489B1 (ko) | 단열 커튼월 | |
KR101344734B1 (ko) | 단열재가 내장된 커튼월 | |
KR101716673B1 (ko) |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 |
KR20150118353A (ko) | 단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커튼월 및 그 설치방법 | |
KR20170074069A (ko) | 단열 창문틀 | |
KR101808504B1 (ko) | 커튼월의 수직바 연결재 | |
KR102067909B1 (ko) |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시스템의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스테인레스 단열바의 단열재 | |
KR20200068834A (ko) | 단열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유리받침대의 조립구조 | |
KR101859718B1 (ko) | 복합 단열구조를 갖는 커튼월 | |
KR200483809Y1 (ko) | 단열 창호 프레임 | |
KR102108734B1 (ko) |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 |
JP6283246B2 (ja) | サッシ | |
KR101616990B1 (ko) | 열관류율이 향상된 단열 샤시구조체 | |
KR20210037880A (ko) | 경량 단열 프레임 | |
KR101419659B1 (ko) | 단열고정창호 | |
KR20170038436A (ko) | 커튼 월 프레임 | |
KR101754619B1 (ko) | 단열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킨 커튼월 프레임 | |
KR20190032680A (ko) | 단열 커튼월 | |
KR101874578B1 (ko) | 중공형 단열 커튼월 | |
KR101169028B1 (ko) | 이중단열 커튼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