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7576B1 -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576B1
KR102107576B1 KR1020120150490A KR20120150490A KR102107576B1 KR 102107576 B1 KR102107576 B1 KR 102107576B1 KR 1020120150490 A KR1020120150490 A KR 1020120150490A KR 20120150490 A KR20120150490 A KR 20120150490A KR 102107576 B1 KR102107576 B1 KR 102107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outermost
receiving
electrode part
cro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108A (ko
Inventor
안수창
이득수
유세종
이양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576B1/ko
Priority to EP13185067.9A priority patent/EP2746906B1/en
Priority to TW102134176A priority patent/TWI526892B/zh
Priority to CN201310629633.4A priority patent/CN103885656B/zh
Priority to US14/094,926 priority patent/US9405413B2/en
Publication of KR2014008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5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젤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의 배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일측면 중,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펄스가 입력되는 복수의 구동전극들; 상기 구동전극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일측면 중,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수신전극들;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전극 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수신전극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극 배선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된 베젤에서 하나 이상의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의 상단면에 부착되는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ELD), 전기 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화면과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장치의 한 종류이다.
터치패널은 표시장치에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첫째, 터치패널은, 패널의 상단면에 부착되는 형태(온셀 타입(On cell type))로 구성될 수 있다.
둘째, 터치패널은,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두 개의 전극들이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TFT기판의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형태(인셀 타입(In-cell type))로 구성될 수 있다.
셋째, 터치패널은,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두 개의 전극들 중 어느 하나는 액정표시장치의 TFT기판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컬러필터기판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형태(하이브리드 타입(Hybrid type))로 구성될 수 있다.
넷째, 터치패널은, 터치전극이 형성된 필름이 강화글래스에 부착된 형태, 또는 강화글래스 자체에 터치전극이 형성되는 애드-온 타입(Add-on type)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셀 타입의 터치패널 및 하이브리드 타입의 터치패널은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있으나, 온셀 타입 및 애드-온 타입의 터치패널은, 표시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패널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터치패널이 에드온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는 표시장치의 베젤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터치패널의 구동전극들과 수신전극들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터치패널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제품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패널 또는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에 해당되는 베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Bezel)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표시장치의 기능뿐만 아니라, 표시장치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Bezel')의 폭이 종래보다 줄어든 형태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베젤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의 외곽을 말하는 것으로서,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비표시영역을 말한다. 베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등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비표시영역이 될 수도 있으며, 패널 자체의 비표시영역이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의 베젤의 폭은, 패널의 베젤의 폭에 따라 좌우되므로, 패널의 베젤의 폭을 줄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표시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영역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표시장치 자체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표시영역의 크기는 커질 수 있도록, 베젤(Bezel)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표시장치의 디자인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베젤의 폭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첫째, 터치패널이 형성되어 있는 패널의 경우에는, 베젤의 폭을 줄이기 위해, 터치전극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라우팅(routing) 영역뿐만 아니라, 터치패널의 표시영역 중 터치감지를 위해 형성되어 있는 감지 확장 영역(Sensor expand) 및 글래스 커팅(glass cutting) 영역을 줄이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베젤의 크기가 일정크기보다 작아지게 되면, 라우팅 영역, 감지 확장 영역 및 글래스 커팅 영역의 마진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터치패널(30)이 패널(10)의 상단면에 자외선 수지(UV Resin)(20)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온 셀 타입 표시장치의 베젤에 포함되는 라우팅 영역의 단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종래의 터치패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31)의 일측면에 증착되어 있는 블랙메트릭스(32)의 상단에, 터치전극들과 연결되어 있는 금속 배선(Metal Routing)(34)들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배선들과 나란하게 터치전극으로부터 확장되어 있는 감지 확장 전극(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라우팅 영역의 폭, 즉, 베젤(Bezel)의 폭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상기 금속 배선(34)의 폭을 줄이고, 상기 금속 배선들 간의 간격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금속 배선(34)의 폭이 줄어들면 저항이 증가되어 터치감도가 감소될 수 있고, 줄일 수 있는 금속 배선(34)의 폭에도 한계가 있으며, 금속 배선들 간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금속 배선들 간에 발생되는 노이즈에 의해 터치감도가 감소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금속 배선(34)의 폭 및 금속 배선들 간의 간격을 줄이는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예를 들어, 구동펄스가 입력되는 5개의 구동전극들(TX1 내지 TX5) 및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6개의 수신전극들(RX1 내지 RX6)로 구성된 종래의 터치패널(30)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개의 터치좌표(36)가 발생될 수 있다.
각 터치좌표(36)에서의 터치가 감지되는 감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의 확대된 사각형(x)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는, 구동전극(TX3)과 수신전극(RX4)은 서로 교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교차하는 영역(이하, 간단히 '교차 영역'이라 함)(u)에서의 터치감도가,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단순히 인접되어 있는 영역(u')에서의 터치감도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터치패널에서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서로 교차되는 영역, 즉, 터치좌표(36)로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A/A: Active Area))에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곽 영역은 베젤(Bezel)에 형성되어 있다. 즉, 터치패널 중,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표시영역(A/A)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은 오버 스캔 영역(Over Scan Area)라 하며, 오버 스캔 영역은 베젤(Bezel)에 형성되어 있다. 즉, 오버 스캔 영역이 커질수록, 베젤의 폭은 증가된다.
한편, 베젤의 폭을 줄이기 위해, 종래의 터치패널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스캔 영역이 절단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터치패널(30')은, 도 3의 (a)에 도시된 터치패널(30)과 동일한 숫자의 터치좌표(36')가 표시영역(A/A)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의 (b)에 도시된 터치패널(30')의 베젤에 형성되는 오버 스캔 영역은, 도 3의 (a)에 도시된 터치패널(30)의 오버 스캔 영역과 비교해 볼 때, 매우 작게 형성되도록 절단되어 있다. 따라서, 오버 스캔 영역이 차지하는 부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베젤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b)의 확대된 사각형(y)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의 최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의 교차 영역 및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인접되는 영역이, 터치패널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의 교차 영역 및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인접되는 영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5개의 구동전극 및 6개의 수신전극에 의해, 터치패널(30')이 30개의 터치좌표(36)를 형성한다고 가정할 때, 표시영역(A/A)의 최외곽에 형성되는 18개의 터치좌표에서의 터치감도는 다른 12개의 터치좌표에서의 터치감도보다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터치패널의 외곽에 형성되는 오버 스캔 영역(Over Scan Area)을 줄이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젤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의 배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영역의 최외곽 에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을 포함한, 교차부를 형성하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이,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일측면 중,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펄스가 입력되는 복수의 구동전극들; 상기 구동전극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일측면 중,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수신전극들;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전극 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수신전극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극 배선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된 베젤에서 하나 이상의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터치패널은,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일측면 중,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펄스가 입력되는 복수의 구동전극들; 및 상기 구동전극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일측면 중,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수신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기판의 최외곽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전극 및 수동전극은, 상기 유리기판의 안쪽 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구동전극 및 수동전극의 모양과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터치패널은,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일측면 중,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펄스가 입력되는 복수의 구동전극들; 및 상기 구동전극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일측면 중,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수신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의 교차 영역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을 포함한, 교차부를 형성하는,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 교차영역마다 픽셀이 형성되어 있는 패널; 구동전극들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전극 배선들이, 베젤에서 하나 이상의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의 상단면에 부착되는터치패널; 상기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터치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IC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 교차영역마다 픽셀이 형성되어 있는 패널; 복수의 구동전극들과 수신전극들이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의 교차 영역들 중, 표시영역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을 포함한, 교차부를 형성하는,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이,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 상기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터치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I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전극 배선들이 복수의 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베젤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영역 중 최외곽 영역의 터치 터치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최외곽 전극의 뮤추얼 캐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값이, 최외곽 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전극의 뮤추얼 캐패시턴스와 동등 수준으로 맞춰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터치패널이 에드온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는 표시장치의 베젤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터치패널의 구동전극들과 수신전극들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로 구성된 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치패널의 각 부분을 확대시켜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액정표시장치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애드온 타입의 터치패널로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온셀 타입의 터치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로 구성된 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의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마다 픽셀이 형성되어 있는 패널(100), 구동전극들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전극 배선(133)들이 베젤(비표시영역)(B)에서 하나 이상의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100)의 상단면에 부착되는 터치패널(130), 상기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00) 및 상기 터치패널(130)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IC(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패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수지(UV Resin)에 의해 상기 터치패널(130)과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패널(100)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패널(100)의 하부기판(TFT기판)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TFT들(Thin FilmTransistor), 픽셀에 데이터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픽셀전극들 및 픽셀전극과 함께 액정층에 충전된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공통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라인들과 상기 게이트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패널(100)의 상부기판(CF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BM)와 컬러필터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100)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각각에는 편광판(POL1, POL2)이 부착되고 액정과 접하는 내면에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패널(110)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사이에는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CS)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100)은 액정패널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100)은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영역(A)과, 상기 표시영역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비표시영역(B), 즉, 베젤로 구분된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30)은 사용자의 터치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터치패널(130)은 뮤츄얼(mutual) 방식을 이용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이다. 뮤추얼 방식을 이용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130)은 구동전극들 및 수신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패널(100)의 표시영역(A)과, 베젤(B)에 대응되는 표시영역과 베젤을 포함한다. 즉,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터치패널을 지시하는 도면부호인 '130'이, 상기 표시영역(A)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표시영역(A) 외부의 베젤(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표시영역(A) 및 상기 베젤(B)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 및 상기 수신전극 배선(134)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전극(131)들 및 상기 수신전극(132)들은 격자 형태로 유리기판(135) 상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전극(131)들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전극 배선(133)들 및 상기 수신전극(132)들과 연결되어 있는 수신전극배선(134)들은 상기 베젤(B)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 및 상기 수신전극배선(134)들은,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상기 터치IC(300)와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상기 터치IC(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젤(B)에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은, 상기 표시영역(A)의 외곽에 형성된 베젤(B)에서 하나 이상의 절연막(137)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 중 제1그룹의 구동전극 배선(133a)들은, 상기 유리기판(135)에 증착되어 있는 블랙메트릭스(136)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 중 제2그룹의 구동전극 배선(133b)들은, 상기 제1그룹의 구동전극 배선(133a)들 상에 증착된 절연막(137)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그룹의 구동전극 배선(133a)들과, 상기 제2그룹의 구동전극 배선(133b)들은 다시, 2 개 이상의 세부그룹들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세부그룹들은, 상기 제1그룹의 구동전극 배선(133a)들 및 상기 제2그룹의 구동전극 배선(133b)들과 마찬가지로, 또 다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 각각은, 상기 표시영역(A)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전극(131)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감지 확장 영역(138)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라인으로 스캔펄스를 입력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 상기 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라인으로 데이터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칩(DDI)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칩(DDI)으로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형태(GIP)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부(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터치IC(300)는 상기 구동전극(131)으로 구동펄스를 인가한 후, 상기 수신전극을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130)에서의 터치여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IC(300)는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출력부(310) 및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IC(300)는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 및 상기 수신전극 배선(134)들과 연결될 수 있으나, 상기 구동전극 배선(133)들 및 상기 수신전극 배선(134)들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터치패널(130) 중 표시영역(A)만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터치패널(130)은 표시영역(A)과 베젤(B)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터치패널은 표시영역(A)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치패널의 각 부분을 확대시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구성들 중,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터치패널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간단히 설명되거나 또는 생략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기본적으로, 도 3의 (b)를 참조하여 설명된 터치패널의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터치패널에서는, 터치패널의 베젤(B)을 줄이기 위해, 터치패널의 베젤(B)이 최소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유리기판(135), 상기 유리기판의 일측면 중, 표시영역(A)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펄스가 입력되는 복수의 구동전극(131)들, 및 상기 구동전극(131)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일측면 중, 상기 표시영역(A)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수신전극(132)들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서는, 상기 구동전극(131)과 상기 수신전극(132)의 교차 영역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180)을 포함한, 교차부(190)를 형성하는,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180)이란, 교차 영역들 중,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영역(A)의 네 개의 최외곽 라인의 내측부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교차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교차 영역이란, 종래 기술 설명 시, 도 3의 (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교차하는 영역(u)을 말한다. 도 7에서도, 상기 교차 영역은 도면부호 'u'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터치패널(130)에는, 다섯개의 구동전극(TX1 내지 TX5) 및 여섯개의 수신전극(RX1 내지 RX6)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총 30개의 교차 영역(u)에서 상기 구동전극들과 상기 수신전극들이 교차되고 있다.
상기 교차 영역(u)들 중, 특히, 상기 표시영역의 최외곽 쪽에 형성되어 있는 교차 영역을 상기한 바와 같이, 최외곽 교차 영역(180)이라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상기 터치패널(130)에서,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180)은 18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네 개의 최외곽 라인이란, 상기 표시영역(A)과 상기 베젤(B)을 경계짓는 라인을 말하는 것으로서, 도 6에서는 상기 표시영역(A)의 외곽을 형성하는 라인을 말한다.
상기 교차부(190)는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18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동일한 터치좌표를 발생시키는 영역을 말한다. 즉, 상기 교차부(190) 및 상기 교차부(190)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180) 중 어느 일부분이 터치되면, 동일한 터치좌표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교차부(190)에서 상기 구동전극(131)과 상기 수신전극(132)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7의 b의 확대된 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차부(190)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상기 구동전극(131, TX1) 및 상기 수신전극(132, RX3)의 면들 중 일부는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인접되어 있는 면들이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과 같은, 뮤추얼 캐피시턴스 타입의 터치패널에서는,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의 프린지 캐패시턴스(Fringe cap.)의 터치 전후의 변화량으로 터치 성능이 판단된다. 즉, 프린지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이 클수록 터지 감도가 좋아진다. 따라서,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의 구조는, 프린지 캐패시턴스(Fringe cap.)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터치패널에서는, 베젤의 폭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베젤(B)에 형성되어 있던 구동전극 및 수신전극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교차부(190)에서의 프린지 캐패시턴스가 줄어들게 된다. 줄어든 프린지 캐패시턴스를 보상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차부(190)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구동전극(131)과 수신전극(132)의 면들이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터치패널의 교차부(190)에서는, 프린지 캐패시턴스(Fringe cap.) 형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 교차부(190)에 형성된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의 마주보는 면들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굴곡진 면들의 형상은, 도 7과 같은 형태 이외에도, 물결처럼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굴곡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차부(190)는 터치패널의 각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최외곽 라인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들 중, 상기 수신전극들과 나란한 제1최외곽 라인(k1)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190)들 각각에는, 상기 제1최외곽(k1) 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1구동전극부,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구동전극부,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 사이의 제1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수신전극부 및 상기 제1수신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수신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최외곽 라인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들 중, 상기 수신전극들과 나란한 제1최외곽 라인(k1)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190)에는, 도 6 및 도 7에서, d영역 및 h영역이 포함된다.
상기 d영역 및 상기 h영역에서, 상기 제1구동전극부 및 상기 제2구동전극부는, TX3' 및 TX3''가 된다. 상기 TX3' 및 TX3''은, 모두 제1구동전극(TX3)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편의상 표현을 달리하였다. 즉, 상기 TX3' 및 TX3''는 상기 교차부(190)의 상기 교차 영역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d영역에서, 상기 제1수신전극부 및 상기 제2수신전극부는, RX6' 및 RX6''가 된다. 상기 RX6' 및 RX6''은 제6수신전극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수신전극부와 상기 제2수신전극부는 상기 교차부(190)의 상기 교차 영역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h영역에서, 상기 제1수신전극부 및 상기 제2수신전극부는, RX1' 및 RX1''가 된다. 상기 RX1' 및 RX1''는 제1수신전극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수신전극부와 상기 제2수신전극부는 상기 교차부(190)의 상기 교차 영역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d영역에서, 상기 제2구동전극부(TX3'')와 상기 제1수신전극부(RX6')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구동전극부(TX3'')와 상기 제2수신전극부(RX6'')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h영역에서, 상기 제2구동전극부(TX1'')와 상기 제1수신전극부(RX1')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구동전극부(TX1'')와 상기 제2수신전극부(RX1'')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d영역 및 상기 h영역에서,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제1수신전극부, 또는,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제2수신전극부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면들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최외곽 라인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들 중, 상기 구동전극들과 나란한 제2최외곽 라인(k2)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들 각각에는, 상기 제2최외곽(k2) 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수신전극부, 상기 제3수신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4수신전극부, 상기 제3수신전극부와 상기 제4수신전극부 사이의 제2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구동전극부 및 상기 제3구동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4구동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최외곽 라인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들 중, 상기 구동전극들과 나란한 제2최외곽 라인(k2)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190)에는, 도 6 및 도 7에서, b영역 및 f영역이 포함된다.
상기 b영역 및 상기 f영역에서, 상기 제3수신전극부 및 상기 제4수신전극부는, RX3' 및 RX3''가 된다. 상기 RX3' 및 RX3''은, 모두 제3수신전극(RX3)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편의상 표현을 달리하였다. 즉, 상기 RX3' 및 상기 RX3''은 상기 교차부(190)의 상기 교차 영역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b영역에서, 상기 제1구동전극부 및 상기 제2구동전극부는, TX1' 및 TX1''가 된다. 상기 TX1' 및 상기 TX1''은 제1구동전극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는 상기 교차부(190)의 상기 교차 영역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f영역에서, 상기 제1구동전극부 및 상기 제2구동전극부는, TX5' 및 TX5''가 된다. 상기 TX5' 및 TX5''는 제5구동전극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는 상기 교차부(190)의 상기 교차 영역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b영역에서, 상기 제4수신전극부(RX3'')와 상기 제1구동전극부(TX1')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수신전극부(RX3'')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TX1'')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f영역에서, 상기 제4수신전극부(RX3'')와 상기 제1구동전극부(TX5')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수신전극부(RX3'')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TX1'')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b영역 및 상기 f영역에서, 상기 제1수신전극부와 상기 제1구동전극부, 또는, 상기 제1수신전극부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면들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최외곽 라인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들 중, 상기 수신전극들과 나란한 제1최외곽 라인(k1) 및 상기 구동전극들과 나란한 제2최외곽 라인(k2)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190)들 각각에는, 상기 제1최외곽 라인(k1)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1구동전극부,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구동전극부,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 사이의 제1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최외곽 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수신전극부 및 상기 제3수신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4수신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최외곽 라인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들 중, 수신전극들과 나란한 제1최외곽 라인(k1) 및 상기 구동전극들과 나란한 제2최외곽 라인(k2)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190)에는, 도 6 및 도 7에서, a영역, c영역, e영역 및 g영역이 포함된다.
상기 네 개의 영역들, 중 상기 c영역을 참조하여, 수신전극들과 나란한 제1최외곽 라인(k1) 및 상기 구동전극들과 나란한 제2최외곽 라인(k2)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19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c영역에서, 상기 제1구동전극부는 TX1'가 되고, 상기 제3수신전극부는 RX6'가 되고, 상기 제2구동전극부는 TX1''가 되며, 상기 제4수신전극부는 RX6''가 된다.
여기서, 상기 TX1' 및 TX1''는 상기 제1구동전극(TX1)을 형성하고, 상기 RX6' 및 RX6''는 상기 제6수신전극(RX6)을 형성한다.
즉, 상기 수신전극들과 나란한 제1최외곽 라인(k1) 및 상기 구동전극들과 나란한 제2최외곽 라인(k2)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190) 중,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구동전극(TX1') 및 상기 제3수신전극(RX6')들은, 상기 최외곽 라인들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주보고 있는 상기 제2구동전극부(TX1'') 및 상기 제4수신전극부X6'')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수신전극부(RX6')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TX1'')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도 서로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4수신전극부(RX6'')와 상기 제1구동전극부(TX1')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도 서로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영역, 상기 g영역 및 상기 a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교차부(190)들도, 상기 c영역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터치패널의 최외곽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전극 및 수동전극은, 상기 터치패널의 안쪽 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구동전극 및 수동전극의 모양과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c영역에서, 상기 터치패널의 최외곽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수신전극(RX6') 및 구동전극(TX1')의 모양은, 상기 터치패널의 안쪽 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신전극(RX6'') 및 구동전극(TX1'')의 모양과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결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베젤(B)에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 배선(133)들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영역(A) 중 최외곽 교차 영역(180)을 포함하는 교차부(190)에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의 면들이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패널 130 : 터치패널
200 : 구동부 300 : 터치IC
133, 133a, 133b : 구동전극 배선 134 : 수신전극 배선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일측면 중,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펄스가 입력되는 복수의 구동전극들; 및
    상기 구동전극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일측면 중,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수신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의 교차 영역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을 포함한, 교차부를 형성하는,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주름지게 형성되고,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 이외의 교차 영역들에서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이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주름지게 형성되지 않는, 터치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네 개의 최외곽 라인의 내측부에 밀접되게 형성된, 터치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라인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들 중, 상기 수신전극들과 나란한 제1최외곽 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들 각각에는, 상기 제1최외곽 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1구동전극부,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구동전극부,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 사이의 제1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수신전극부 및 상기 제1수신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수신전극부가 형성된, 터치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전극부와 상기 제1수신전극부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구동전극부와 상기 제2수신전극부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서로 주름지게 형성된, 터치패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라인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들 중, 상기 구동전극들과 나라한 제2최외곽 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를 각각에는, 상기 제2최외곽 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수신전극부, 상기 제3수신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4수신전극부, 상기 제3수신전극부와 상기 제4수신전극부 사이의 제2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구동전극부 및 상기 제3구동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4구동전극부가 형성된, 터치패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라인에 밀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들 중, 상기 수신전극들과 나란한 제1최외곽 라인 및 상기 구동전극들과 나란한 제2최외곽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교차부들 각각에는, 상기 제1최외곽 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1구동전극부,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구동전극부, 상기 제1구동전극부와 상기 제2구동전극부 사이의 제1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최외곽 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수신전극부 및 상기 제3수신전극부와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4수신전극부가 형성된, 터치패널.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 중 상기 표시영역 외부의 베젤에는,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전극 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수신전극 배선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극 배선들은, 상기 베젤에서 하나 이상의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터치패널.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전극 및 수신전극의 모양은, 상기 최외곽의 안쪽 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구동전극 및 수신전극의 모양과 다르게 형성된, 터치패널.
  11.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 교차영역마다 픽셀이 형성된, 패널;
    복수의 구동전극들과 수신전극들이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의 교차 영역들 중, 표시영역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최외곽 교차 영역을 포함한, 교차부를 형성하는,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의 인접되어 있는 면들이, 주름지게 형성되고, 상기 최외곽 교차 영역 이외의 교차 영역들에서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이 인접되어 있는 면들은 주름지게 형성되지 않는, 터치패널;
    상기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터치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IC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삭제
KR1020120150490A 2012-12-21 2012-12-21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Active KR102107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490A KR102107576B1 (ko) 2012-12-21 2012-12-21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EP13185067.9A EP2746906B1 (en) 2012-12-21 2013-09-19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W102134176A TWI526892B (zh) 2012-12-21 2013-09-23 觸控面板及利用該觸控面板的顯示裝置
CN201310629633.4A CN103885656B (zh) 2012-12-21 2013-11-29 触摸板和使用触摸板的显示设备
US14/094,926 US9405413B2 (en) 2012-12-21 2013-12-03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490A KR102107576B1 (ko) 2012-12-21 2012-12-21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108A KR20140081108A (ko) 2014-07-01
KR102107576B1 true KR102107576B1 (ko) 2020-05-07

Family

ID=4922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490A Active KR102107576B1 (ko) 2012-12-21 2012-12-21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05413B2 (ko)
EP (1) EP2746906B1 (ko)
KR (1) KR102107576B1 (ko)
CN (1) CN103885656B (ko)
TW (1) TWI5268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818B1 (ko) * 2013-09-24 2020-06-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3729101A (zh) * 2013-12-16 2014-04-16 格林精密部件(惠州)有限公司 一种外嵌式电容触控屏
KR20150112093A (ko) * 2014-03-26 2015-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73055B (zh) * 2015-03-26 2017-03-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內嵌式觸控顯示面板
CN104698711B (zh) * 2015-04-01 2018-06-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电子设备
JP2016197293A (ja) * 2015-04-02 2016-11-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CN109313870B (zh) * 2016-06-09 2021-03-09 夏普株式会社 有源矩阵基板、显示装置以及附触摸面板的显示装置
KR102599283B1 (ko) * 2016-07-14 2023-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461720B1 (ko) 2017-08-03 2022-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인식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겸용 터치 스크린 장치
KR102819368B1 (ko) * 2018-11-19 2025-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00926A1 (ko) * 2019-11-22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9313A (zh) * 2012-05-07 2012-11-2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触控显示面板以及触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5484B2 (en) * 2009-06-02 2015-07-07 Pixart Imaging Inc. Sensor patterns for mutual capacitance touchscreens
JP5424494B2 (ja) 2010-08-20 2014-0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検知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616184B2 (ja) * 2010-09-28 2014-10-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9313A (zh) * 2012-05-07 2012-11-2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触控显示面板以及触控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85656A (zh) 2014-06-25
US9405413B2 (en) 2016-08-02
EP2746906B1 (en) 2017-04-19
KR20140081108A (ko) 2014-07-01
US20140176492A1 (en) 2014-06-26
EP2746906A1 (en) 2014-06-25
TW201426451A (zh) 2014-07-01
CN103885656B (zh) 2017-03-01
TWI526892B (zh)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576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7023904B2 (ja) タッチセンサを含む表示装置
US9841834B2 (en) In-cell touch liquid crystal panels and the array substrates thereof
US10318035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having dummy pixel eletrodes in a bezel region
US9619066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KR10154204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735386B1 (ko) 터치 센서가 내장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그 제조 방법
CN102096499B (zh) 触摸板和包括该触摸板的液晶显示设备
CN103577008B (zh) 具有触摸屏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4345984B (zh) 显示设备
TWI541712B (zh) 觸控螢幕、觸控板及其驅動方法
US20170351354A1 (en) Display panel, touch input apparatus, sensing apparatus for sensing touch position and touch pressure from display panel, and sensing method
KR20130017745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KR20120121705A (ko) 인셀 터치 패널
KR20130060883A (ko) 터치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CN104281306B (zh) 触控式显示装置与其制造方法
CN102650916A (zh) 集成触摸传感器的显示设备
US9886151B2 (en) Touch detection sensor structure of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JP2015109067A (ja) 入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5182582A (zh)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KR102305463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82684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558365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53370B1 (ko) 표시장치
US20140247400A1 (en) Touch scree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