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0997B1 -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997B1
KR102100997B1 KR1020180128673A KR20180128673A KR102100997B1 KR 102100997 B1 KR102100997 B1 KR 102100997B1 KR 1020180128673 A KR1020180128673 A KR 1020180128673A KR 20180128673 A KR20180128673 A KR 20180128673A KR 102100997 B1 KR102100997 B1 KR 102100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rmrest
upper bracket
friction member
lower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김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2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9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퍼브라켓과 일체로 회동되는 샤프트의 외주면 전둘레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스프링 구조의 마찰부재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된다. 상기 마찰력에 의해 암레스트의 개방 각도가 용이하게 유지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HINGE DEVICE OF CONSOLE ARMRES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터콘솔의 상부에 암레스트를 회동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센터콘솔이 설치된다. 센터콘솔의 중간 부분에는 변속레버, 컵홀더 등이 설치되고, 후방 부분에는 내부에 물품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수납공간의 상부를 덮어주는 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는 통상 쿠션재 및 외피재를 더 구비하여 운전석과 조수석 탑승자의 팔을 지지해주는 암레스트로 이용된다.
상기 암레스트는 일측 단부가 힌지 장치를 매개로 센터콘솔에 장착됨으로써 장착부의 반대쪽 자유단부가 힌지 장치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면서 상기 물품 수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는, 로워브라켓(1), 어퍼브라켓(2), 샤프트(3), 스프링(4)을 포함한다.
로워브라켓(1)은 센터콘솔의 바디에 볼트로 고정되고, 어퍼브라켓(2)에는 암레스트의 내측 코어가 볼트로 고정된다. 로워브라켓(1)과 어퍼브라켓(2)은 샤프트(3)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샤프트(3)의 외주에 감겨지는 형태로 스프링(4)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4)은 일종의 토션스프링으로서 중간부는 로워브라켓(1)에 고정되고 양단부는 어퍼브라켓(2)의 연결아암 단부를 암레스트 개방 방향으로 밀어주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스프링(4)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 로워브라켓(1)에 대해 상기 어퍼브라켓(2)이 항상 개방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되어 있다.
암레스트의 전방 단부에는 록킹(locking)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암레스트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록킹장치의 일 구성으로서 록킹(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노브가 암레스트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를 개방하고자 할 때, 해제노브를 조작하여 록킹장치를 해제시키면 상기 스프링(4)의 작용에 의해 어퍼브라켓(2)이 상방으로 회동됨으로써 암레스트가 열리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4)에 의한 암레스트의 개방각도는 수평의 잠금 상태에 대해 약 15°이고, 그 이후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원하는 만큼 암레스트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워브라켓(1)의 양단부에는 어퍼브라켓(2)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암레스트의 최대개방각도가 일정 각도로 제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서는, 해제노브 조작시 스프링의 개방력에 의해서 암레스트가 소정 각도로 일단 열리기는 하나 사용자가 암레스트의 개방 각도를 자유로이 조정하여 그 위치에 암레스트를 고정해둘 수는 없었다. 즉, 스프링에 의해 개방된 각도 이외에서는 암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수납공간에 물품을 넣거나 빼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암레스트의 개방된 상태를 인위적으로 유지해주어야만 하였으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확대 개방된 암레스트를 놓으면 스프링에 의한 1차 개방위치로 복귀됨).
또한, 상기 스프링(4)이 항상 암레스트를 소정 위치로 개방시키는 작동력을 가하고 있으므로 암레스트를 닫힌 상태(물품 수납공간을 폐쇄하는 수평의 상태로서 암레스트에 팔을 지지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별도의 록킹장치를 설치해야만 했고, 이러한 상태에서 물품 수납공간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제노브를 조작하여 록킹 상태를 해제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6135호(2016.06.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개방 위치에 암레스트를 용이하게 고정해 둘 수 있고, 별도의 록킹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암레스트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터콘솔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양단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연결부에 샤프트홀이 형성된 로워브라켓과, 암레스트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양단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연결부에 샤프트홀이 형성된 어퍼브라켓과, 상기 로워브라켓의 샤프트홀과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삽입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고정되어 어퍼브라켓과 함께 회동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샤프트의 회동을 억제하는 마찰력을 발생시켜 암레스트의 위치를 유지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는 중앙에 원판형 헤드부가 형성되고, 그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원주형의 내측바디와 외측바디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가 로워브라켓의 연결부 내측면측에 위치되도록 외측바디가 로워브라켓의 샤프트홀과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삽입되고, 상기 외측바디가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회전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의 외측바디가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세레이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코일이 상기 샤프트의 내측바디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코일의 양단부에는 로워브라켓의 연결부쪽으로 절곡 연장된 한 쌍의 레그가 형성되며, 그 레그들은 로워브라켓의 연결부에 형성된 한 쌍의 레그홀에 각각 삽입되어 마찰부재의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한 쌍의 레그홀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레그홀에 마찰부재의 각 레그들이 삽입되었을 때 마찰부재의 코일 내경이 감소되어 코일의 내경부가 샤프트 내측바디의 외주면에 밀착 가압되어 마찰이 발생할 수 있도록, 마찰부재 조립 전 상태의 레그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로워브라켓의 연결부와 어퍼브라켓의 연결부 사이에 이들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와셔가 설치된다.
상기 와셔의 일측 단부에 직경이 감소된 삽입단이 돌출 형성되고, 그 삽입단은 샤프트의 외측바디와 로워브라켓의 샤프트홀 사이의 틈에 삽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어퍼브라켓과 일체 회동되는 샤프트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가 샤프트에 설치됨으로써 암레스트의 개방 각도를 임의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암레스트를 원하는 위치로 개방시킨 후, 암레스트의 개방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노력 없이 편리하게 물품 수납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암레스트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암레스트를 소정 각도로 개방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스프링의 개방력에 대응하여 암레스트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록킹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암레스트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물품 수납공간 개방시 암레스트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노브 조작 과정이 필요 없음으로써 암레스트의 사용이 더욱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찰부재로서 토션스프링을 이용하는 바, 새로운 형태의 마찰부재를 개발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사양의 암레스트 장치에 대응하여, 마찰력 조정을 위해서는 토션스프링의 양측 레그 사이의 거리만 조정하면 되므로 그 설계적 대응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는 양측 레그가 로워브라켓의 레그홀에 고정되어 그 회전이 불가함으로써 암레스트 개폐 작동시 샤프트가 어퍼브라켓과 함께 회전됨에도 불구하고 항상 정상적으로 마찰력이 발생하여 암레스트 개방 위치 유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에서 일측 힌지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의 암레스트가 닫힌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의 암레스트가 최대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는 로워브라켓(10)과 어퍼브라켓(20)과 샤프트(30) 및 마찰부재(40)를 포함한다.
로워브라켓(10)은 평평한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의 양측 단부에 절곡 형성된 연결부(12)와, 연결부(12) 상단에 외측 방향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스토퍼(1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에는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볼트를 매개로 센터콘솔의 바디에 고정된다. 연결부(12)의 단부에는 샤프트홀(12a)이 형성된다.
어퍼브라켓(20)은 평평한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의 양단에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되 단부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2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에는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볼트를 매개로 암레스트의 코어에 고정된다. 연결부(22)의 단부에는 샤프트홀(22a)이 형성된다.
어퍼브라켓(20)의 연결부(22) 사이의 거리는 로워브라켓(10)의 연결부(12)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조립시 로워브라켓(10)의 연결부(12) 외측에 어퍼브라켓(20)의 연결부(22)가 위치된다.
샤프트(30)는 원기둥 형상의 바디 중간 부분에 원판형의 헤드부(31)가 형성된 것으로, 조립 상태에서 헤드부(31)를 기준으로 힌지 장치의 외측 방향쪽 부분을 '외측바디', 내측 방향쪽 부분을 '내측바디'로 칭하기로 한다.
샤프트(30)는 조립을 위해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로워브라켓(10) 연결부(12)의 샤프트홀(12a)과 어퍼브라켓(20) 연결부(22)의 샤프트홀(22a)에 상기 외측바디가 힌지 장치의 내측부분에서 외측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로워브라켓(10)과 어퍼브라켓(20)을 연결함과 더불어 센터콘솔 바디에 고정된 로워브라켓(10)에 대해 어퍼브라켓(20)이 회동하는 회전 중심이 된다.
즉, 헤드부(31)가 로워브라켓(10)의 연결부(12) 내측면 쪽에 위치되고, 상기 외측바디의 단부가 어퍼브라켓(20)의 연결부(22)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에 헤드부(31)를 기준으로 내측바디는 로워브라켓(10)의 내측(로워브라켓(10)의 양쪽 연결부(12) 사이 부분) 공간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샤프트(30)의 상기 외측바디는 어퍼브라켓(20)의 연결부(22)에 회전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샤프트(30)의 외측바디 단부는 어퍼브라켓(20) 연결부(22)의 샤프트홀(22a)에 압입되어 고정되거나, 삽입 후 용접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의 외측바디 단부에 세레이션이 형성되고(세레이션부(32)), 이와 동일한 세레이션이 어퍼브라켓(20)의 샤프트홀(22a)에 형성되어 샤프트(30)의 외측바디 단부가 어퍼브라켓(20)의 샤프트홀(22a)에 세레이션 결합되어 회전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 개폐 회동시 샤프트(30)는 어퍼브라켓(20)과 일체로 회동된다.
마찰부재(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토션스프링이다. 마찰부재(40)는 코일의 양측 단부가 로워브라켓(10)의 연결부(12)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한 쌍의 레그(41)가 형성된 것이다.
마찰부재(40)는 상기 샤프트(30)의 내측바디 즉, 헤드부(31)를 기준으로 로워브라켓(10)과 어퍼브라켓(20)의 샤프트홀(12a,22a)에 삽입된 쪽의 반대쪽 부분에 설치된다.
마찰부재(40)는 코일이 샤프트(30)의 내측바디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한 쌍의 레그(41)는 로워브라켓(10)의 연결부(12)에 형성된 한 쌍의 레그홀(12b)에 각각 삽입된다. 레그홀(12b)은 레그(4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순 원형홀이 아니라 길이가 긴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 전 상태의 마찰부재(40)의 코일 내경은 샤프트(30)의 내측바디 내경보다 1mm ~ 2mm정도 큰 정도로서, 이러한 직경 차이에 의해 마찰부재(40)를 샤프트(30)의 내측바디 외주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립 전 상태의 마찰부재(40)의 두 레그(41) 사이의 거리는 로워브라켓(10)의 두 레그홀(12b)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즉, 마찰부재(40)의 레그(41)를 로워브라켓(10)의 레그홀(12b)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두 레그(4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도록 양측 레그(41)의 사이를 오므린 후 각각 대응하는 레그홀(12b)에 맞추어 삽입해야 한다.
이와 같이 양측 레그(41)가 오므려지면 코일의 내경이 감소되며, 따라서 코일의 내경과 샤프트(30) 내측바디의 외경 사이의 간극이 감소되어 코일 내경의 감소 정도에 따라 결국은 코일 내경부가 샤프트(30)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30)의 내측바디 외경, 마찰부재(40)의 코일 내경, 상기 레그홀(12b) 사이의 거리 등을 적절히 설정하여 샤프트(30)와 마찰부재(4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마찰부재(40)는 레그(41)가 로워브라켓(10)의 레그홀(12b)에 삽입되어 걸려진 것에 의해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샤프트(30)는 암레스트가 개폐될 때 회동되는 어퍼브라켓(20)과 일체로 회동된다.
따라서, 샤프트(30)와 마찰부재(4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샤프트(30)의 회전을 억제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적절한 크기의 마찰력이 확보될 경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샤프트(30)의 회전이 방지되어 암레스트를 임의 각도의 열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암레스트 장치의 사양이 변경되어 필요한 마찰력의 크기가 변화할 경우에는 위에 설명한 마찰력 조정 인자- 샤프트(30)의 내측바디 외경, 마찰부재(40)의 코일 내경, 상기 레그홀(12b) 사이의 거리 등-들을 적절히 변경하여 필요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마찰부재(40)는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샤프트(30)의 외주면 전둘레에 걸쳐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기본적으로 강력한 마찰력이 발생하며, 이에 필요한 크기의 마찰력을 확보하기가 유리하다.
또한 양측 레그(41)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마찰부재(40)의 코일 내경을 조절하여 마찰부재(40)가 샤프트(30)의 표면에 밀착되는 가압력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찰력의 크기 조절이 용이한 바, 암레스트의 신규 사항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로워브라켓(10)의 연결부(12)와 어퍼브라켓(20)의 연결부(22)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와셔(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와셔(50)의 갭 유지 작용에 의해 콘솔 바디에 볼트 고정되어 일정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로워브라켓(10)에 대한 어퍼브라켓(20)의 횡방향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어퍼브라켓(20)에 장착된 암레스트도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50)의 로워브라켓(10) 연결부(12)측 단부에는 와셔(50)의 직경이 축소되어 단차지게 돌출된 삽입단(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삽입단(51)은 로워브라켓(10)의 연결부(12)에 형성된 샤프트홀(12a)과 샤프트(30) 외측바디의 틈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틈을 형성하기 위해 로워브라켓(10)의 샤프트홀(12a)은 샤프트(30) 외측바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와셔(50)의 삽입단(51)이 샤프트홀(12a)과 샤프트(30) 사이의 틈에 삽입되면 샤프트(30)와 샤프트홀(12a) 내주면 사이의 직접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30)가 회전하면서 로워브라켓(10)의 샤프트홀(12a) 내주면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금속성 마찰 소음의 발생을 방지-와셔(50)는 플라스틱 사출물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레스트 개폐시에 불쾌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차량 감성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와 같은 금속성 소음 감소 효과는 와셔(50) 삽입단(51)의 축방향 길이를 증가시켜 삽입단(51)의 단부가 로워브라켓(10)의 샤프트홀(12a)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샤프트(30)의 헤드부(31)가 로워브라켓(10)의 연결부(12) 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도 3 내지 도 6과 함께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7은 암레스트가 닫혀 있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8은 암레스트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암레스트가 닫혀 있는 경우, 어퍼브라켓(20)의 베이스부(21)는 대략 수평을 이루며, 그 상태에서 암레스트의 전방 단부(도 7에서 왼쪽 방향에 위치함)가 들려지면 즉, 암레스트가 상방으로 회동되면 샤프트(30)와 함께 어퍼브라켓(20)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암레스트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어퍼브라켓(20)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은 도 8과 같이 어퍼브라켓(20)의 연결부(22) 일측면이 로워브라켓(10)의 스토퍼(13)에 접촉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어퍼브라켓(20)이 스토퍼(13)에 접촉하면 더 이상 어퍼브라켓(20)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이 불가하며, 그 때가 암레스트가 최대로 열린 상태가 된다.
한편, 암레스트를 닫는 작동은 위 설명과 반대 방향으로 즉, 도 8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어퍼브라켓(20)이 회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어퍼브라켓(20)이 상향 회동하거나 하향 회동하는 중에, 상기 샤프트(30)는 항상 어퍼브라켓(20)과 함께 회동되며, 그에 대해 상기 마찰부재(40)는 두 레그(41)가 로워브라켓(10)에 형성된 각각의 레그홀(12b)에 삽입되어 회전이 불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마찰부재(40)는 그러한 설치 상태에서 조립 전 상태에 비해 양측 레그(41)가 오므려져 코일의 내경이 감소됨으로써 코일의 내경부가 샤프트(30)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있으므로 마찰부재(40)와 샤프트(30)의 사이에는 항상 샤프트(30)의 회전을 억제하는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마찰력에 의해 암레스트가 그 때의 개방 각도를 유지(열린 상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암레스트를 임의의 위치(각도)로 개방시킨 후, 암레스트를 붙잡고 있지 않아도 상기 마찰부재(40)와 샤프트(3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암레스트가 다시 닫히지 않고 개방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암레스트를 열고 물건을 넣거나 꺼낼 때 암레스트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노력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암레스트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개방 각도 유지 성능은 암레스트가 닫혀 있는 상태로부터 최대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이르기까지 전 범위에서 동일하게 발생되므로 암레스트 개방각도가 0도인 상태 즉, 암레스트가 닫혀 있는 상태 역시 마찰력에 의해 유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는 암레스트의 닫힌 상태 유지를 위한 록킹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닫혀 있는 암레스트를 개방하고자 할 때 록킹 장치 해제를 위해 해제노브를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암레스트의 사용 편의성이 한층 향상되며, 록킹 장치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암레스트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마찰부재(40)가 토션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레그(41)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코일의 내경 크기를 조절하여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용이하고, 또한 코일의 내경 전둘레가 샤프트(30)의 외주면 전둘레에 밀착되어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구조적으로 강력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찰부재(40)가 토션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져 2개의 레그(41)가 로워브라켓(10)의 레그홀(12b)에 삽입된 구조에 의해 마찰부재(40)의 회전이 억제된다. 즉, 마찰부재(40)의 회전 방지를 위해 레그(41)를 레그홀(12b)에 삽입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복잡한 구조가 필요치 않으므로 힌지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로워브라켓 11 : 베이스부
12 : 연결부 12a : 샤프트홀
12b : 레그홀 13 : 스토퍼
20 : 어퍼브라켓 21 : 베이스부
22 : 연결부 22a : 샤프트홀
30 : 샤프트 31 : 헤드부
32 : 세레이션부 40 : 마찰부재
41 : 레그 50 : 와셔
51 : 삽입단

Claims (7)

  1. 센터콘솔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양단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연결부에 샤프트홀이 형성된 로워브라켓과;
    암레스트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양단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연결부에 샤프트홀이 형성된 어퍼브라켓과;
    상기 로워브라켓의 샤프트홀과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삽입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고정되어 어퍼브라켓과 함께 회동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샤프트의 회동을 억제하는 마찰력을 발생시켜 암레스트의 위치를 유지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중앙에 원판형 헤드부가 형성되고, 그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원주형의 내측바디와 외측바디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가 로워브라켓의 연결부 내측면측에 위치되도록 외측바디가 로워브라켓의 샤프트홀과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삽입되고, 상기 외측바디가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마찰부재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코일이 상기 샤프트의 내측바디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코일의 양단부에는 로워브라켓의 연결부쪽으로 절곡 연장된 한 쌍의 레그가 형성되며, 그 레그들은 로워브라켓의 연결부에 형성된 한 쌍의 레그홀에 각각 삽입되어 마찰부재의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한 쌍의 레그홀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레그홀에 마찰부재의 각 레그들이 삽입되었을 때 마찰부재의 코일 내경이 감소되어 코일의 내경부가 샤프트 내측바디의 외주면에 밀착 가압되어 마찰이 발생할 수 있도록, 마찰부재 조립 전 상태의 레그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측바디가 어퍼브라켓의 샤프트홀에 세레이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브라켓의 연결부와 어퍼브라켓의 연결부 사이에 이들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와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플라스틱 사출물이고, 그 일측부에 직경이 감소된 삽입단이 돌출 형성되고, 그 삽입단은 샤프트의 외측바디와 로워브라켓의 샤프트홀 사이의 틈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1020180128673A 2018-10-26 2018-10-26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Active KR102100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73A KR102100997B1 (ko) 2018-10-26 2018-10-26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73A KR102100997B1 (ko) 2018-10-26 2018-10-26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997B1 true KR102100997B1 (ko) 2020-04-14

Family

ID=7029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673A Active KR102100997B1 (ko) 2018-10-26 2018-10-26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9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76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콘솔 암레스트 마찰 힌지 구조
CN114704170A (zh) * 2022-02-22 2022-07-05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铰链结构及扶手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786Y1 (ko) * 1996-01-18 1999-06-01 카토오 치아키 틸트힌지
KR101636135B1 (ko) 2014-07-24 2016-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 힌지
KR101652772B1 (ko) * 2015-04-22 2016-09-01 대주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786Y1 (ko) * 1996-01-18 1999-06-01 카토오 치아키 틸트힌지
KR101636135B1 (ko) 2014-07-24 2016-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 힌지
KR101652772B1 (ko) * 2015-04-22 2016-09-01 대주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376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콘솔 암레스트 마찰 힌지 구조
KR102419153B1 (ko) 2020-10-28 2022-07-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콘솔 암레스트 마찰 힌지 구조
CN114704170A (zh) * 2022-02-22 2022-07-05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铰链结构及扶手箱
CN114704170B (zh) * 2022-02-22 2023-06-3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铰链结构及扶手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144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102100987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102110134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US6916068B2 (en) Armrest apparatus
KR102100997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JP2018144803A (ja) シートバックラッチ
KR102052990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100805476B1 (ko)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US20080018088A1 (en) Seat belt assembly
JP3209117B2 (ja) 跳ね上げ式車両ドアの開き保持装置
KR20190016732A (ko)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JP4451549B2 (ja) 座席用テーブル
KR102213708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JPWO2020003790A1 (ja) ステー
JPH09267852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リッド枢支構造
JP2009023575A (ja) 蓋開閉装置
KR100731783B1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JP4093005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開速度緩和構造
KR10153452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JP3643859B2 (ja) 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WO2019124541A1 (ja) 脚体固定装置
JP4317294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54537A (ja) 蓋体の開閉制動装置
JP7426226B2 (ja) シフト装置
KR102419153B1 (ko) 차량의 콘솔 암레스트 마찰 힌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