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619B1 - Luggage supporting device of wing-body truck - Google Patents
Luggage supporting device of wing-body tru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0619B1 KR102100619B1 KR1020190145512A KR20190145512A KR102100619B1 KR 102100619 B1 KR102100619 B1 KR 102100619B1 KR 1020190145512 A KR1020190145512 A KR 1020190145512A KR 20190145512 A KR20190145512 A KR 20190145512A KR 102100619 B1 KR102100619 B1 KR 1021006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go
- screw rod
- wing
- truck
- 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윙바디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송시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후방쏠림현상을 방지하여 화물의 안정적인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cargo loaded in a loading box of a wing body truck, and in particular, to prevent a rearward phenomenon of cargo loaded in a loading box during transportation, stable transportation of cargo can be achieved.
일반적으로 트럭과 같은 화물을 적재하는 차량은 무개차와 유개차로 나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a vehicle that loads cargo such as a truck is divided into an open car and a closed car.
무개차는 우천 또는 눈이 내리는 경우에는 누수로 인한 화물의 손상을 막기가 어렵다. 근래에는 이삿짐이나 중요한 화물과 같이 화물의 손상이 발생하여서는 안되는 경우에는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차량으로서 윙바디 트럭 또는 탑차와 같은 유개차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Open cars are difficult to prevent cargo damage due to water leakage in rainy or snowy conditions. In recent years, when a damage to the cargo should not occur, such as moving or important cargo, a closed vehicle such as a wing body truck or a top truck has been developed and used as a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통상적으로 유개차형 화물차의 적재함은 폐쇄구조를 가지면서 후면에만 여닫이 형태의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위와 같은 화물차는 무게가 무거운 화물을 적재할 때엔 화물을 적재함의 전면까지 이송시켜 적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the loading box of a van with a closed type has a closed structure, and has a structure having a casement type door only on the rear side. When loading a heavy truck, the above truck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load the cargo by transporting it to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그래서 적재함의 양쪽면이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윙바디 트럭을 사용함으로써 무거운 화물을 보다 쉽게 적재할 수 있게 되었다.Therefore, wing body trucks that open and close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he use of this wingbody truck makes it easier to load heavy cargo.
그러나, 윙바디 트럭의 경우 상차된 화물을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결속장치가 마련되기 어려운 구조인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a wing body truck,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binding device for separately fixing the loaded cargo is difficult to be provided.
이에, 최근에는 별도의 고정고리 또는 홈을 적재함 바닥면에 형성하고, 라쳇 자동바와 고정끈을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을 하나의 대안으로 적용하고 있으나, 라쳇 자동바를 통해 고정끈 하나하나 상당한 인력에 의해 견고히 고정 시켜야 함과 동시에, 화물의 고정상태 해제시 역시 인력에 의해 하나하나 고정상태를 해제해야 함에 따른 불편함이 존재한다.Accordingly, recently, a method of forming a separate fixing ring or groov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box and fixing the cargo using a ratchet automatic bar and a strap is applied as one alternative, but one of the straps through a ratchet automatic bar In addition to having to be securely fixed by a considerable amount of manpower,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when the cargo is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the fixed state must be released one by one.
또한, 별도의 고정 장치를 적재함 내부에 구비하는 경우, 적재함 내부의 적재 공간이 감소됨에 따라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유형 및 그 양에 있어서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when a separate fix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ing space inside the loading box is restricted, thereby being restricted in the type and amount of cargo that can be loaded.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화물의 고정 및 해제가 용이하고, 고정 및 해제 시에 요구되는 인력 및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윙바디 트럭용 화물 결속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a situation in which a cargo binding device for a wing body truck is urgently required to easily fix and release cargo and to minimize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fixing and release so a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윙바디트럭의 화물지지장치에 관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479477호 "화물이탈방지 윙바디트럭"(특허문헌 1)과, 특허 제10-1842213호 "적재화물의 쓰러짐이 방지되는 화물용 윙바디 특장차"(특허문헌 2)와, 특허 제10-1961627호 "화물결속장치를 구비한 윙바디 특장차"(특허문헌 3) 등이 제공되고 있다.Looking at the prior art of the cargo support device of the wing body truck,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9477 "Cargo Departure Prevention Wing Body Truck"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No. 10-1842213 "Prevent cargo from falling over There are provided a "Wing body special vehicle for cargo" (Patent Document 2), Patent No. 10-1961627, "Wing body special vehicle equipped with a cargo binding device" (Patent Document 3), and the like.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가 구비된 화물용 트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의 중앙 상단부를 연결하는 센터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의 측면을 폐쇄하고,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의 측면을 개폐하는 날개; 상기 내부 프레임의 양측면 상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과홀; 상기 적재부의 바닥에 상기 통과홀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홈; 및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Looking at the technical contents of Patent Document 1, a cargo truck equipped with a loading unit for loading cargo, comprising: an inner frame of a square fram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unit; A center frame connecting the upper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inner frame; A wing that is hinged to the center frame, closes a side surface of the inner frame, and pivots around the combined hinge to open and close a side surface of the inner fram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inner frame;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assage holes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part; And a plurality of pillars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being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커버하는 한 쌍의 윙바디날개가 형성되어 적재부의 양측면이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화물용 윙바디 특장차에 있어서, 상기 윙바디날개의 측벽면에 설치되는 측부 홀딩부와, 상기 윙바디날개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부 홀딩부로 구분되는 화물 홀딩부가 구성되며, 상기 화물 홀딩부는, 사각형의 중공형 빔 구조로 윙바디날개의 측벽면 및 상부면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윙바디날개의 측면벽 및 상부면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프레임부; 단면이 원형인 봉 형태의 빔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삽입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링 삽입홈 및 고정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고정핀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점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핀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손잡이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홀딩바; 편평한 판형형상으로 상기 각 홀딩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고 일단은 홀딩바의 외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홀딩 플레이트; 및 상기 홀딩바의 고정핀 가이드홈 내에 위치되어 홀딩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다각형의 고정핀과, 상기 홀딩바의 손잡이 가이드홈에 관통 결합되어 일단은 상기 고정핀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홀딩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와, 내경이 상기 고정핀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 삽입 가능하고, 상기 삽입홀 하측의 프레임바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홀딩바의 고정링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홀딩바의 회전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Looking at the technical contents of Patent Document 2, a loading unit for loading cargo and a pair of wing body wings that cover the loading unit are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loading unit can be opened or closed. It comprises a side holding portion installed on the side wall surface, and a cargo holding portion divided into an upper hold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g body blade, and the cargo holding portion comprises a square hollow beam structure,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ide of the wing body blade A frame portion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urface and disposed on the side wall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ing body blades,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t regular intervals; The cross-section is formed of a rod-shaped beam member so that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rame portion, and a fixing ring insertion groove and a fixing pin guide groove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side, and a fixing pin guide groove is formed. A holding bar having a handle guide groove communicating with a fixing pin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lding bar; A plurality of holding plates which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holding bar in a flat plate shape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bar at one end; And a fixing pin of a polygon located in the fixing pin guide groove of the holding bar and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bar, and one end coupled to the side of the fixing pin through the coupling guide groove of the holding bar. Is a hand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ing bar,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of a polyg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in, the fixing pin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bar below the insertion hole of the holding bar It is composed of a fixing ring tha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ring insertion groov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restraining and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holding bar.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윙바디 특장차는 운전석과 엔진이 구성되고, 일측에 유압컨트롤 박스가 구성되는 차체 프레임; 상기 차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안착 고정되며 한 쌍의 윙바디날개가 형성되는 적재함; 및 상기 적재함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결속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 양측 하부에 형성되는 화물 결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examining the technical contents of Patent Document 3, the wing body specially equipped vehicle has a driver's seat and an engine, and a body frame comprising a hydraulic control box on one sid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A storage box seated on the support frame and formed with a pair of wing body wing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rgo binding devic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loading box to bind the cargo loaded inside the loading box.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서도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되게 지지케 한다는 수단이 제공되고 있으나, 적재된 화물의 안정적인 지지에는 다소 미흡한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In Patent Documents 1 to 3, however, a means for stably supporting the cargo loaded in the loading box is provided, but the stable support of the loaded cargo has disadvantages such as somewhat insufficient.
특히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되, 적재화물의 량이 많지 않아 적재함 후방에 공간을 남겨둔채 운송하고자 할 때, 급발진시나 오르막을 주행시 화물의 후방쏠림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나, 이러한 현상을 만족하게 해결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는 것이었다.In particular, when loading cargo, but there is not much amount of cargo, and there is not much space to transport, leaving the space behind the cargo box,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cargo occurs severely during an emergency or ascent, but it is not enough to solve this phenomenon satisfactorily. It was.
본 발명은 윙바디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송시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후방쏠림현상을 방지하여 화물의 안정적인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cargo loaded in a loading box of a wing body truck, and in particular, to prevent a rearward phenomenon of cargo loaded in a loading box during transportation, stable transportation of cargo can be achiev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윙바디트럭의 중앙프레임 저면에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나사봉을 연결하고, 상기 나사봉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이동체를 나사결합하여, 나사봉의 정역회전에 의해 이동체가 내외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이동체의 연결고리에 지지밴드 상단부를 연결하고, 양측 하단부는 적재함 외측면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고정하여, 적재함에 실린 화물의 후단부를 지탱하여 화물의 후방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screw rod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frame of the wing body truck, and screw-couple the moving body formed with a connection ring to the screw rod,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crew rod The moving body is moved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of the moving body, and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are fixed to the fixing ring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cargo loaded in the loading box to rearward the cargo. Thi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본 발명은 윙바디트럭의 중앙프레임 저면에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나사봉을 연결하고, 상기 나사봉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이동체를 나사결합하여, 나사봉의 정역회전에 의해 이관체가 내외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이동체의 연결고리에 지지밴드 상단부를 연결하고, 양측 하단부는 적재함 외측면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고정하여, 적재함에 실린 화물의 후단부를 지탱하여 화물의 후방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안정적인 화물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screw rod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frame of the wing body truck, and screw-connects a moving body having a connection ring formed on the screw rod, so that the bilateral tube is moved inward and outward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crew rod. , Stable cargo b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nd to the connecting ring of the moving body, and fixing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by fixing ring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cargo loaded in the loading box to prevent rearward sliding of the cargo It made transportation possible.
도 1 : 본 발명 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2 : 도 1의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지지시킨 상태도
도 3 : 도 2의 상태를 배면에서 도시한 상태도
도 4 : 본 발명 장치 구동부의 구성도
도 5 : 본 발명 장치에서 나사봉 연결부의 사시도
도 6 : 본 발명 장치에서 나사봉 연결부의 분해사시도
도 7 : 본 발명에서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나사봉이 회전되게 한 상태도
도 8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측면구성도
도 9 : 도 8의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시킨 상태도
도 10 : 도 9의 상태를 배면에서 본 상태도
도 11 : 도 8의 장치 구동부를 도시한 상태도
도 12 : 도 8의 장치에서 와이어줄의 장력조절부의 일예시도
도 13 : 본 발명에서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외측가이드롤러가 회전되게 한 상태도1: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and supported in the state of FIG. 1
Figure 3: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Figure 2 from the back
4: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perspective view of a screw rod connection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crew rod connection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state in which the screw rod is rotated manually without using a moto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tate loads the cargo in the state of Figure 8
Figure 10: State view of the state of Figure 9 seen from the back
11: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evice driver of FIG. 8
12: An example of an tension control unit of a wire string in the device of FIG. 8
Figure 13: State without using a mot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guide roller is rotated manual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윙바디트럭의 화물지지장치(10)는 윙바디트럭의 윙바디날개(20)를 지지하는 중앙프레임(30) 내저면에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이동수단을 통하여 이동체(40)가 내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케 구성하고, 상기 이동체(40)에 지지밴드(50)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밴드(50)를 통하여적재함(11)에 실린 화물(12)의 후단부(14)를 지지하여 운송도중 화물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실시예 1은 중앙프레임(30) 내저면에 내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케 구성되는 이동체(40)의 이동수단은,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나사봉(60)을 구성하고, 상기 나사봉(60)에 이동체(40)를 나사결합하여, 나사봉(60)의 정역회전에 의해 연결고리(41)가 형성된 이동체(40)가 내외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한 것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moving means of the
중앙프레임(30) 내저면에 설치되는 나사봉(60)의 설치 및 구동수단은 아래와 같다.The installation and driving means of the
나사봉(60)의 길이에 맞춰 중앙프레임(30) 내저면에 등간격으로 안내공(71)이 뚫린 브라켓(70)을 체결볼트(72)로 체결고정한다.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상기 브라켓(70)과 브라켓(70) 사이에 나사봉(60)을 배치하되, 인접한 나사봉(60)의 연결은 여러수단이 제공될 수 있겠으나, 실시예에서는 연결관체(62)의 연결공(61)에 연결하고자 하는 나사봉(60)을 양측에서 끼운 다음, 나사공(64)에 고정볼트(63)를 체결고정하여 연결공(61)에 끼워진 나사봉(60)이 체결고정되게 하며, 이때 고정볼트(63)는 나사공(64)에 매립되게 하여 연결관체(62)가 연결브라켓(70)의 안내공(71)에 끼워지는데 장애가 되지 않는다.A
따라서 선단부에 위치한 나사봉(60)이 회전하면 연결관체(62)와 고정볼트(63)로 연결된 각 나사봉(6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각 나사봉(60)을 연결하는 연결관체(62)는 브라켓(70)의 안내공(62)에 위치하고 있어 길게 연결된 나사봉(60)이 처짐현상없이 안정되게 지지된다.Therefore, when the
각 나사봉(60) 및 이동체(40) 외면에는 가이드커버(90)를 씌운 다음, 가이드커버(90) 하단에 구성된 절개공(91)을 통하여 나사봉(60)에 나사결합된 이동체(40)의 연결고리(41)가 가이드커버(90) 하단으로 돌출되게 하고, 가이드커버(90) 양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편(92)을 연결브라켓(70) 양측면에 위치되게 한 다음, 연결볼트(93)로 체결고정되게 한다.Each screw rod (60) and the moving body (40) are covered with a guide cover (90) on the outer surface, and then a moving body (40) screwed to the screw rod (60) through an incision hole (91)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cover (90) The connecting
중앙프레임(30) 선단부에 위치한 나사봉(60)에는 작동풀리(36)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풀리(36)는 벨트(37)를 통하여 모터(M)의 구동풀리(38)와 연결되게 함으로서, 모터(M)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면 나사봉(60)이 정,역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나사봉(60)에 나사결합된 이동체(40)가 이동하면서 가이드커버(90)의 절개공(91) 하단으로 돌출된 연결고리(41)가 내외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By installing an
나사봉(60)을 따라 내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40)의 연결고리(41)에 지지밴드(50)의 상고리(51)를 걸어 고정하고, 양측에 구성된 하고리(52)를 적재함(11) 바닥 양측에 구성된 고정고리(13)에 걸어 고정한 다음, 나사봉(60)을 통하여 이동체(40)를 화물(12)의 후단부(14)보다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장력조절구(53)를 이용하여 지지밴드(50)에 긴장력이 부여되게 하면 지지밴드(50)에 의해 화물(12)의 후단부(14)가 견고히 지지고정된다.The
지지밴드(50)의 이용시 적재함(11)에 실린 화물(12)의 크기에 따라 화물(12)과 지지밴드(50) 사이에 별도의 지지판(도시안됨)을 끼워 화물(12)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When the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7에서와 같이 모터(M)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봉(60)에 별도의 회전롤러(46)를 설치한 다음 회전줄(47)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줄(47)의 회전에 의해 나사봉(60)이 회전되게 할 수도 있다.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 motor (M) as in Figure 7, a separate
실시예 2는 중앙프레임(30) 내저면에 내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케 구성되는 이동체(40)의 이동수단은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와이어줄(100)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oving means of the
즉 중앙프레임(30) 내외측단부에 내측브라켓(111)과 외측브라켓(121)을 설치하고, 상기 내외측브라켓(111)(121)에 내측가이드롤러(110)와 외측가이드롤러(121)를 설치하고, 상기 내외측가이드롤러(110)(120) 사이에 와이어줄(100)을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줄(100)에 연결고리(41)가 형성된 이동체(40)를 고정설치하여 와이어줄(100)의 이동에 의해 이동체(40)가 내외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That is, the
이때 와이어줄(100)에 고정되는 이동체(40)는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또한 내측브라켓(111)에는 와이어줄(100)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내측가이드롤러(11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다.In addition, the
즉 도 12에서와 같이 내측브라켓(111) 상에 장공(112)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장공(112)에 내측가이드롤러(110)의 축봉(113)을 끼우고, 장공(112)을 관통한 축봉(113)에는 이동편(114)을 결합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2, the
이동편(114) 일측에는 나사관(115)을 용접하고, 상기 나사관(115)에 조정볼트(116)를 나사결합한 다음 조정볼트(116)의 회전에 의해 장공(112)을 따라 이동편(114)이 이동되게 함으로서 내측가이드롤러(110)가 이동하여 와이어줄(100)의 장력이 조정되게 한다.On one side of the moving
와이어줄(100)의 구동은 구동모터(M)에 의해 이루어지며, 구동수단은 외측가이드롤러(120)의 축봉(122)에 피동풀리(123)를 설치한 다음, 구동모터(M)의 구동풀리(125)와 벨트(124)로 연결되게 함으로서,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해 외측가이드롤러(120)가 회전되게 한다.The drive of the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13에서와 같이 구동모터(M)를 사용하지 않고, 축봉(122)에 회전롤러(14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롤러(140)에 회전줄(141)을 설치한 다음 상기 회전줄(141)의 작동에 의해 외측가이드롤러(120)가 회전되게 할 수도 있다.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without using a drive motor (M), the
와이어줄(100)을 따라 내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40)의 연결고리(41)에 지지밴드(50)의 상고리(51)를 걸어 고정하고, 양측에 구성되는 하고리(52)를 적재함(11) 바닥양측에 구성된 고정고리(13)에 걸어 고정한 다음 와이어줄(100)을 통하여 이동체(40)를 화물(12)의 후단부(14)보다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장력조절구(53)를 이용하여 지지밴드(50)의 긴장력이 부여되게 하면, 지지밴드(50)에 의해 화물(12)의 후단부(14)가 견고히 지지고정된다.The
지지밴드(50)의 이용시 적재함(11)에 실린 화물(12)의 크기에 따라 화물(12)과 지지밴드(50) 사이에 별도의 지지판(도시안됨)을 끼워 화물(12)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윙바디트럭의 적재함(11)에 화물(12)을 적재하되, 화물(12)을 적재한 상태에서 후방에 공간이 남아있을 경우, 화물(12) 후단부(14)를 지지밴드(50)로 지지고정되게 하여 화물(12)을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loads the
즉 실시예 1의 경우, 화물(12)의 후단부(14) 부근에 위치한 이동체(40)의 연결고리(41)에 지지밴드(50)의 상고리(51)를 걸고, 양측 하고리(52)는 적재함(11) 양측에 구성된 고정고리(13)에 걸어 고정시킨 다음, 나사봉(60)을 회전시켜 이동체(60)가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지지밴드(50)가 화물(12)의 후단부(14)를 견고히 지탱하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따라서 화물(12)을 적재한 상태에서 급발진하거나 오르막주행시에도 지지밴드(50)가 화물(12)의 후단부(14)를 지지하게 되므로 화물(12)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또한 화물(12)의 종류에 따라 화물(2) 후단부(14)와 지지밴드(50) 사이에 지지판(도시안됨)을 위치시킬 경우 더욱 견고한 화물(12)의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실시예 2의 경우 구동모터(M)를 작동시켜 와이어줄(100)에 고정된 이동체(40)가 화물(12) 후단부(14)에 위치시킨 다음 지지밴드(50)의 상고리(51)를 이동체(40)의 연결고리(41)에 걸고, 양측 하고리(52)는 적재함(11) 양측에 구성된 걸림고리(13)에 걸어 고정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와이어줄(100)을 이동시켜, 이동체(40)가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지지밴드(50)가 화물(12)의 후단부(14)를 견고히 지탱하게 된다.In the case of Example 2, by moving the driving motor (M), the moving body (40) fixed to the wire string (100) is placed on the rear end (14) of the cargo (12), and then the upper ring (51) of the support band (50) Hanging on the connecting ring (41) of the movable body (40), the two side legs (52) is fixed to the hook (13)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11), and by moving the wire line (100) in the above state, When the
따라서 화물(12)을 적재한 상태에서 급발진하거나 오르막주행시에도 지지밴드(50)가 화물(12)의 후단부(14)를 지지하게 되므로 화물(12)의 후방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when the
또한 화물(12)의 종류에 따라 화물(12) 후단부(14)와 지지밴드(50) 사이에 지지관(도시안됨)을 위치시킬 경우 더욱 견고한 화물(12)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실시예 2의 경우, 사용중 와이어줄(100)이 느슨해지면 조정볼트(110)를 죄어 내측가이드롤러(110)가 장공(112)을 따라 이동되게 하면 와이어줄(100)이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슬립현상없이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동체(40) 이동을 위한 나사봉(60) 및 와이어줄(100)의 작동을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롤러(46)(140)에 연결된 회전줄(47)(141)을 이용하여 이동체(40)가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프레임(30) 하단에 연결고리(41)가 형성된 이동체(40)가 내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이동체(40)의 연결고리(41)와 바닥양측에 구성된 고정고리(13)에 지지밴드(50)를 결속고정시켜 적재함(11)에 실린 화물(12)의 후단부(14)를 지지케 함으로서, 운송 도중 화물(12)의 후방쏠림현상없이 안정적인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10)--화물지지장치 (11)--적재함
(12)--화물 (13)--고정고리
(14)--후단부 (20)--윙바디날개
(30)--중앙프레임 (36)--작동풀리
(37)--벨트 (38)--구동풀리
(40)--이동체 (41)--연결고리
(46)--회전롤러 (47)--회전줄
(50)--지지밴드 (51)--상고리
(52)--하고리 (53)--장력조절구
(60)--나사봉 (61)--연결공
(62)--연결관체 (63)--고정볼트
(64)--나사공 (70)--연결브라켓
(71)--안내공 (72)--체결볼트
(90)--가이드커버 (91)--절개공
(92)--연결편 (93)--연결볼트
(100)--와이어줄 (110)--내측가이드롤러
(111)--내측브라켓 (112)--장공
(113)--축봉 (114)--이동편
(115)--나사관 (120)--외측가이드롤러
(121)--외측브라켓 (122)--축봉
(123)--피동풀리 (124)--벨트
(125)--구동풀리 (140)--회전롤러
(141)--회전줄(10)-Cargo Support (11)-Load
(12)-Cargo (13)-Fixed hook
(14)-Rear end (20)-Wing body wing
(30)-Center frame (36)-Operating pulley
(37)-Belt (38)-Drive Pulley
(40)-Moving body (41)-Link
(46)-Rotating roller (47)-Rotating line
(50)-Support Band (51)-Sangori
(52)-Hagori (53)-Tension adjuster
(60)-Screw rod (61)-Connector
(62)-Connecting body (63)-Fixed bolt
(64)-Screw hole (70)-Connecting bracket
(71)-Guide (72)-Tightening bolt
(90)-Guide cover (91)-Incision
(92)-Connecting piece (93)-Connecting bolt
(100)-Wire Joule (110)-Inside Guide Roller
(111)-Inner Bracket (112)-Long Hole
(113)-Axial Stick (114)-Moving
(115)-Screw tube (120)-External guide roller
(121)-External bracket (122)-Shaft bar
(123)-Private Pulley (124)-Belt
(125)-Drive Pulley (140)-Rotating Roller
(141)-Rotating Cor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5512A KR102100619B1 (en) | 2019-11-14 | 2019-11-14 | Luggage supporting device of wing-body tru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5512A KR102100619B1 (en) | 2019-11-14 | 2019-11-14 | Luggage supporting device of wing-body tru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0619B1 true KR102100619B1 (en) | 2020-04-14 |
Family
ID=7029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5512A Expired - Fee Related KR102100619B1 (en) | 2019-11-14 | 2019-11-14 | Luggage supporting device of wing-body tru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0619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0115U (en) * | 1996-12-21 | 1998-09-15 | 김영귀 | Cargo Support Structure of Van |
KR20120105963A (en) * | 2011-03-17 | 2012-09-26 | (주)서진엠텍 | Loading apparatus for trucks |
KR200479477Y1 (en) | 2014-08-21 | 2016-02-01 | 배흥수 | Wingbody truck that prevents cargo from breaking away |
KR101842213B1 (en) | 2017-11-16 | 2018-03-26 | 최시남 | A wingbody pecially equipped vehicle for cargo to prevent cargo collapse |
KR101961627B1 (en) | 2019-01-31 | 2019-03-25 | 오세덕 | A wingbody pecially equipped with cargo binding apparatus |
-
2019
- 2019-11-14 KR KR1020190145512A patent/KR10210061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0115U (en) * | 1996-12-21 | 1998-09-15 | 김영귀 | Cargo Support Structure of Van |
KR20120105963A (en) * | 2011-03-17 | 2012-09-26 | (주)서진엠텍 | Loading apparatus for trucks |
KR200479477Y1 (en) | 2014-08-21 | 2016-02-01 | 배흥수 | Wingbody truck that prevents cargo from breaking away |
KR101842213B1 (en) | 2017-11-16 | 2018-03-26 | 최시남 | A wingbody pecially equipped vehicle for cargo to prevent cargo collapse |
KR101961627B1 (en) | 2019-01-31 | 2019-03-25 | 오세덕 | A wingbody pecially equipped with cargo bind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32997B2 (en) | Lift apparatus mountable on a vehicle | |
US5485690A (en) | Lightweight modular snowplow for quick attachment to and simple, economical operation for small vehicle | |
US5487584A (en) | Swing away support system for a covering | |
US7591497B2 (en) | Utility trailer | |
US6149372A (en) | Cargo loader | |
EP0159206B1 (en) | Lateral access doors for bodies of vehicles and containers | |
FR2653478A1 (en) | Device for driving and displacing support elements for tarpaulins constituting a movable cover | |
US5666747A (en) | Lightweight modular snowplow for quick attachment to and simple economical operation for small vehicle | |
US7195435B2 (en) | Partition system | |
US4383792A (en) | Crane for detachable mounting on a truck bed | |
US11407361B2 (en) | Side folding tow behind motorcycle transporter | |
KR101663218B1 (en) | A cargo box equipped with the guard rail of the cargo truck | |
KR102100619B1 (en) | Luggage supporting device of wing-body truck | |
FR2550497A1 (en) | Trailer or lorry mounted loading mechanism | |
EP1681204B1 (en) | Carry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terior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 device | |
US10363857B1 (en) | Trailer trash kit | |
US10662042B2 (en) | Portable rumble strip retrieval system | |
KR102100618B1 (en) | Luggage supporting device of wing-body truck with position adjustable elastic sheet | |
GB2126273A (en) | Curtain sided vehicles | |
US7625166B2 (en) | Multi-function trailer apparatus | |
EP2042372A1 (en) | Tilting-sliding loading bed device for breakdown vehicle. | |
CA2515878A1 (en) | Atv lift and carry apparatus | |
KR20170002029A (en) | A cover apparatus for a cargo truck | |
AU2008100477B4 (en) | Utility motor vehicle. Tray divider | |
AU2004202905A1 (en) | Tipping trucks and trail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