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9538B1 -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538B1
KR102099538B1 KR1020190132298A KR20190132298A KR102099538B1 KR 102099538 B1 KR102099538 B1 KR 102099538B1 KR 1020190132298 A KR1020190132298 A KR 1020190132298A KR 20190132298 A KR20190132298 A KR 20190132298A KR 102099538 B1 KR102099538 B1 KR 10209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eight
curing
adhesive tape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19013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5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2201/128
    • C09J2201/622
    • C09J2205/31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소재의 표면을 보호 및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부착 전 1차 경화시에는 높은 점착력으로 인하여 피착체의 안정적인 표면보호가 가능하고, 부착되고 사용 완료 후 2차 경화시에는 점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착체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점착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Dual curing typ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소재의 표면을 보호 및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부착 전 1차 경화시에는 높은 점착력으로 인하여 피착체의 안정적인 표면보호가 가능하고, 부착되고 사용 완료 후 2차 경화시에는 점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착체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점착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점착 테이프는 물, 용제, 빛, 열 등의 원동력 없이 지압과 같은 압력으로도 단시간 내에 접착이 가능하게 하여 플라스틱, 목재, 유리 등 다양한 소재의 표면에 부착되어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재의 표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점착 테이프는 점착력,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그 역할을 다하여 피착체로부터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점착력의 조절이 필요하다.
만약 피착체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이 여전히 유지된다면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제거되더라도 점착제가 피착체의 표면에 잔존하여 피착체의 표면을 손상 또는 오염시킬 수 있다.
종래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즉 피착체에 부착 전 1차 경화를 통해 점착력을 향상시키고 부착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 2차 경화를 통해 점착력을 다시 급격히 저하시킬 수 있는 점착 테이프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나, 종래의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는 1차 경화 및 2차 경화에 의한 정밀한 점착력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소재의 표면을 보호 및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부착 전 1차 경화시에는 높은 점착력으로 인하여 피착체의 안정적인 표면보호가 가능하고, 부착되고 사용 완료 후 2차 경화시에는 점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착체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점착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소재의 가공 시 소재의 표면을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부착 전 1차 경화시에는 높은 점착력으로 인하여 피착체의 안정적인 표면보호가 가능하고, 부착되고 사용 완료 후 2차 경화시에는 점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착체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점착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 조성물을 도포 또는 코팅하여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아크릴계 점착제, 경화제, UV 경화형 올리고머 및 UV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UV 경화형 올리고머의 함량은 2 내지 7 중량부, UV 광개시제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부인,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내지 100만이고 하이드록시(OH) 또는 카르복실기(COOH)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아질리딘계 경화제 및 에폭시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UV 경화형 올리고머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UV 광개시제는 아조계 광개시제, 퍼옥사이드계 광개시제 및 아세탈계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UV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UV 광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릴니트릴(AIBN)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P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점착 조성물은 철(Fe), 은(Ag), 니켈(Ni), 구리(Cu) 및 코발트(Co)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이의 합금의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 입자는 크기가 0.1 내지 1 μm인 니켈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착 조성물은 구마론-인덴수지(coμmarone indene resin), 텔펜 페놀수지(Terpene phenolic resin), 폴리부텐(polybutene) 및 수소첨가 로진 에스테르(Hydrogenated ester of resin)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점착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기재층은 폴리올레핀(PO),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필름 및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상기 기재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의 함량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의 열경화 및 광경화 후 점착력은 열경화 후 점착력을 기준으로 70% 이상까지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는 1차 열경화시 점착력이 높아져 피착체의 표면을 안정적으로 보호 및 고정하기 위한 부착이 가능하고, 사용 완료 후 2차 광경화시 점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착체의 표면으로부터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고 제거 후 피착체 표면에 점착제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또는 회피함으로써 잔류하는 점착체가 피착체 표면을 손상 또는 오염시키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 시 소재의 표면을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부착 전 1차 경화시에는 높은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부착되고 사용 종료 후 2차 경화시 상기 점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쉽게 제거가 가능하고, 따라서 피착체 표면에 점착제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잔류하는 점착제에 의한 피착체 표면의 손상 또는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는 다양한 소재, 예를 들면, 플라스틱 사출문, 하이그로시(high glossy),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판재, 칼라 강판(pre-coated metal) 등에 0.3 내지 3mm의 두께 및 100 내지 700g의 중량으로 제작되어, 피착체의 표면에 2개월 이내의 짧은 기간 동안 부착되었다가 다시 용이하게 제거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스 가공, 절곡 가공 등 성형 가공시 물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이에 부착되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력이 높아야 할 필요성이 있으나, 작업이 끝나고 난 뒤에는 물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기 위해 점착력이 다시 낮아져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PO),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소재로 형성된 필름 등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 조성물을 도포 또는 코팅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상기 점착층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경화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투명색, 투명한 청색 등의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자외선으로부터 상기 기재층의 광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안정제를 첨가한다. 이는 기재층에 도달하는 자외선을 먼저 흡수함으로써 상기 기재의 변색, 표면 갈라짐, 기계적 물성 저하 등을 방지한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 켄처(Quencher), 과산화물 분해제, 라디칼 스케빈저(Radical scavernger) 및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 가능하고, 상기 기재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의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1차 열경화를 위한 성분으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내지 100만 수준이고 하이드록시(OH) 또는 카르복실기(COOH)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와 이소시아네이트계, 아질리딘계, 에폭시계 등의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2차 광경화를 위한 성분으로서 UV 경화형 올리고머인 비스페놀(Bisphenol) A형 등의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과 상기 경화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UV 광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릴니트릴(AIBN) 등의 아조계, 벤조일 퍼옥사이드(BPO) 등의 퍼옥사이드계, 아세탈계 등의 UV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UV 경화형 올리고머의 함량은 2 내지 7 중량부, UV 광개시제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의 1차 열경화 후 점착력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1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점착력이 과도하여 점착제가 피착체 표면으로 전이되어 피착체 표면이 손상 또는 오염될 수 있다.
또한, UV 경화형 올리고머의 함량 또는 UV 광개시제의 함량이 기준 미달인 경우 2차 광경화 후 점착력 저하가 불충분하여 점착 테이프의 제거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와 경화제는 열경화 단계, 즉 60 내지 150℃의 열숙성에 의한 라디칼 생성이 개시되고 가교반응에 의하여 가교도가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점착력이 향상되고, 이후 점착제가 다양한 소재의 표면에 부착되어 안정적으로 보호 및 고정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UV 경화형 올리고머와 UV 광개시제는 상기 점착층에 254 내지 365nm의 UV를 조사되는 경우 경화되어 3차원 그물 망상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고분자 사슬의 유동성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이 크게 저하되어 상기 점착 테이프를 피착제로부터 용이하게 박리 및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온에서 액상 또는 고형이고 연화점이 70 내지 150 ℃인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구마론-인덴수지(coμmarone indene resin), 텔펜 페놀수지(Terpene phenolic resin), 폴리부텐(polybutene) 및 수소첨가 로진 에스테르(Hydrogenated ester of resin)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점착부여제나 노화방지제, 변성실리콘 오일, 용매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철(Fe), 은(Ag), 니켈(Ni), 구리(Cu), 코발트(Co) 등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입자, 바람직하게는 니켈(Ni) 입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금속 입자는 상기 점착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태양광 등의 자연 UV 광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경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니켈(Ni) 입자는 액상석출법과 열분해법에 의한 카보닐 분해법(Carbonyl Decomposition Process)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내산화 특성이 우수하여 점착제와 혼용하였을 때 점착제의 응집력 저하에 유리하며 산화에 의한 물성저하, 변색 등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금속 입자는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0.1 내지 1 μm의 크기를 보유할 수 있고, 여기서 금속 입자의 크기는 동일한 부피를 갖도록 환산된 구의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금속 입자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 입자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층의 내구성이 불충분하고 보관시 태양광 등에 의해 의도치 않게 과도하게 경화되어 부착 전에 이미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점착제의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는 부착 전 1차 열경화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된 점착력을 보유하는 동시에 부착되고 사용 완료 후 2차 광경화에 의해 점착력이 충분히 저하되어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에 의한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거시 피착체 표면에 점착제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잔류하는 점착제에 의한 피착체 표면의 손상 및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는 부착 전 1차 열경화에 의해 구현되는 점착력이 50 내지 1,000 gf/25mm이고, 사용 완료 후 2차 광경화에 의해 저하된 점착력이 1 내지 350 gf/25mm일 수 있으며, 특히 2차 광경화에 의해 저하된 점착력은 1차 열경화에 의해 구현되는 점착력의 2 내지 3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열경화후 점착력이 800 ~ 1000 gf/25mm 일 경우 2차 광경화 후에는 50 ~ 350 gf/25mm 수준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1차 열경화 후 점착력이 500 ~ 800 gf/25mm 일 경우 2차 광경화 후에는 20 ~ 250 gf/25mm 수준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1차 열경화후 점착력이 200 ~ 500 gf/25mm 수준일 경우 2차 광경화 후에는 10 ~ 150 gf/25mm 수준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1차 열경화후 점착력이 50 ~ 200 gf/25mm 수준일 경우 2차 광경화 후에는 1 ~ 50 gf/25mm 수준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2차 광경화 후 점착력은 UV 조사 시간과 광경화 올리고머 등의 함량에 따라 추가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실시예]
[a] 점착 테이프의 제조
아래 실시예 1 내지 8의 점착 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 점착층은 점착제의 콤마코팅 또는 그라비아코터 등의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기재 필름에 코팅하고 열풍흐름식 건조 덕트로 60 내지 150℃수준에서 20 내지 60초의 빠른 시간 내에 건조한 후 24 내지 60 시간 정도 숙성과정을 거쳐 점착 테이프를 제조했다.
실시예 1
아크릴점착제 100 중량부에 아질리딘계 경화제 1 중량부를 혼용하고, UV올리고머(Bisphenol A epoxy diacrylate) 3 중량부, UV개시제 AIBN 1 중량부를 혼용한 후에 1μm의 니켈분말 0.5 중량부를 EA에 희석하여 점착제를 제조하고, 상기 점착제를 50μm의 PE Film에 그라비아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두께 5μm으로 코팅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했다.
실시예2
아크릴점착제 100 중량부에 아질리딘계 경화제 3 중량부를 혼용하고, UV올리고머(Bisphenol A epoxy diacrylate) 5 중량부, UV개시제 AIBN 1 중량부를 혼용한 후에 1μm의 니켈분말 0.3 중량부를 EA에 희석하여 점착제를 제조하고, 상기 점착제를 50μm의 PE Film에 그라비아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두께 3μm으로 코팅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실시예3
아크릴점착제 100 중량부에 아질리딘계 경화제 0.5 중량부를 혼용하고, UV올리고머(Bisphenol A epoxy diacrylate) 3 중량부, UV개시제 AIBN 0.5 중량부를 혼용한 후에 0.5μm의 니켈분말 0.1 중량부를 EA에 희석하여 점착제를 제조하고, 상기 점착제를 150μm의 PE Film에 콤마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두께 20μm으로 코팅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실시예4
아크릴점착제 100 중량부에 아질리딘계 경화제 0.5 중량부를 혼용하고, UV올리고머(Bisphenol A epoxy diacrylate) 5 중량부, UV개시제 AIBN을 0.5 중량부를 혼용한 후에 0.5μm의 니켈분말 0.2 중량부를 혼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고, 상기 점착제를 50μm의 PE Film에 그라비아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두께 7μm으로 코팅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실시예5
아크릴점착제 100 중량부에 이소시안계 경화제 5 중량부를 혼용하고, UV올리고머(Bisphenol A epoxy diacrylate) 3 중량부, 점착부여제(텔펜페놀) 10 중량부, UV개시제 AIBN 0.5 중량부를 혼용한 후에 0.3μm의 니켈분말 0.5 중량부를 혼용하여 점착제를 제조한다. 70μm의 PE Film에 그라비아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두께 5μm으로 코팅하여 테이프를 제조한다.
실시예6
아크릴점착제 100중량부에 이소시안계 경화제 3 중량부를 혼용하고, UV올리고머(Bisphenol A epoxy diacrylate) 5 중량부, 점착부여제(텔펜페놀) 15 중량부, UV개시제 AIBN을 0.3 중량부를 혼용한 후에 0.3μm의 니켈분말 0.5 중량부를 혼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고, 상기 점착제를 50μm의 PE Film에 그라비아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두께 5μm으로 코팅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실시예7
아크릴점착제 100 중량부에 이소시안계 경화제 3 중량부를 혼용하고, UV올리고머(Bisphenol A epoxy diacrylate) 3 중량부, 점착부여제(텔펜페놀) 15 중량부, UV개시제 AIBN을 0.3 중량부를 혼용한 후에 점착제를 제조하고, 상기 점착제를 50μm의 PE Film에 그라비아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두께 5μm으로 코팅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실시예8
아크릴점착제 100 중량부에 이소시안계 경화제 3 중량부를 혼용하고, UV올리고머(Bisphenol A epoxy diacrylate) 5 중량부, 점착부여제(텔펜페놀) 15 중량부, UV개시제 BPO 0.3 중량부를 혼용한 후에 0.3μm의 니켈분말 0.5 중량부를 혼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고, 상기 점착제를 50μm의 PE Film에 그라비아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두께 5μm으로 코팅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다.
[b]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 평가
규격 KS T 1028에 따른 점착력 시험방법에 준하여 실시예 1 내지 8의 점착 테이프를 60℃항온조에서 숙성시간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하여 열경화를 실시한 후 STS304BA 시편에 부착 후 300mm/min의 속도로 180°로 당겨 소요되는 힘을 측정함으로써 1차 열경화 후 점착력을 측정했고, STS304BA 시편에 부착 후 365 nm의 파장이 나오는 수은 UV 램프 혹은 철(Fe)계 Metal Halide 램프를 이용하여 5 내지 20초간 UV 조사를 실시한 후 300mm/min의 속도로 180°로 당겨 소요되는 힘을 측정함으로써 2차 광경화 후 점착력을 측정했다. 측정은 각각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했고 평가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경화방식 점착력(gf/25mm)
1회 2회 3회 평균값
실시예1 열경화 256 277 281 271
광경화 80 65 54 66
실시예2 열경화 145 154 125 141
광경화 5 12 7 8
실시예3 열경화 555 613 573 580
광경화 120 78 143 113
실시예4 열경화 344 356 312 337
광경화 122 113 89 108
실시예5 열경화 211 145 205 187
광경화 45 42 38 41
실시예6 열경화 277 286 267 276
광경화 56 61 45 54
실시예7 열경화 377 345 366 362
광경화 122 65 111 99
실시예8 열경화 289 311 289 296
광경화 77 78 67 7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로 제조된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는 열경화가 진행될 시 점착력이 140 내지 580 fg/25mm 수준의 높은 점착력을 나타내었으나, 자외선에 의한 광경화 후에는 1차 점착력의 약 70퍼센트 이상까지 감소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열경화 시에 비해 약 5% 수준의 점착력만 구현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중경화제 점착 테이프는 아크릴 점착제에 열경화제를 혼입함으로서 열경화시 점착력 향상으로 인하여 소재에 부착될 시 더욱 안정적인 보호가 가능하며, 또한 자외선 경화시에는 상기 점착력의 급속한 하강으로 인하여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9)

  1. 열경화 후 피착제의 표면에 부착되어 피착제의 표면을 보호 또는 고정하고 사용 완료 후 광경화되어 피착제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로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 조성물을 도포 또는 코팅하여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아크릴계 점착제, 경화제, UV 경화형 올리고머, UV 광개시제, 금속 입자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상기 UV 경화형 올리고머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 입자는 크기가 0.1 내지 1 μm인 니켈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텔펜 페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UV 경화형 올리고머의 함량은 2 내지 7 중량부, 상기 UV 광개시제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부, 상기 금속 입자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부, 상기 점착부여제의 함량은 10 내지 15 중량부이고,
    상기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의 열경화 및 광경화 후 점착력은 열경화 후 광경화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70% 이상까지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내지 100만이고 하이드록시(OH) 또는 카르복실기(COOH)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아질리딘계 경화제 및 에폭시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V 광개시제는 아조계 광개시제, 퍼옥사이드계 광개시제 및 아세탈계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UV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V 광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릴니트릴(AIBN)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P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올레핀(PO),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필름 및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상기 기재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의 함량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9. 삭제
KR1020190132298A 2019-10-23 2019-10-23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Active KR10209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298A KR102099538B1 (ko) 2019-10-23 2019-10-23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298A KR102099538B1 (ko) 2019-10-23 2019-10-23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538B1 true KR102099538B1 (ko) 2020-04-09

Family

ID=7027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298A Active KR102099538B1 (ko) 2019-10-23 2019-10-23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112B1 (ko) * 2022-10-24 2022-12-02 주식회사 국보화학 도트 형태로 코팅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자외선 경화형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3108B1 (ko) * 2022-10-24 2022-12-02 주식회사 국보화학 자외선 경화형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773A (ko) * 2011-01-14 2012-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턴형성 가능한 접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0591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케이씨씨 점착제 조성물, 반도체 웨이퍼용 다이싱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40038858A (ko) * 2012-09-21 2014-03-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몰드 언더필 공정의 마스킹 테이프용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마스킹 테이프
KR20160128748A (ko) * 2015-04-29 2016-11-08 주식회사 티엠에스케미칼 감압 접착 테이프
KR20180045505A (ko) * 2016-10-26 2018-05-04 (주)에버켐텍 Semi―IPN 구조를 도입한 무기재 타입 도전성 점착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773A (ko) * 2011-01-14 2012-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턴형성 가능한 접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0591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케이씨씨 점착제 조성물, 반도체 웨이퍼용 다이싱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40038858A (ko) * 2012-09-21 2014-03-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몰드 언더필 공정의 마스킹 테이프용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마스킹 테이프
KR20160128748A (ko) * 2015-04-29 2016-11-08 주식회사 티엠에스케미칼 감압 접착 테이프
KR20180045505A (ko) * 2016-10-26 2018-05-04 (주)에버켐텍 Semi―IPN 구조를 도입한 무기재 타입 도전성 점착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112B1 (ko) * 2022-10-24 2022-12-02 주식회사 국보화학 도트 형태로 코팅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자외선 경화형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3108B1 (ko) * 2022-10-24 2022-12-02 주식회사 국보화학 자외선 경화형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49015B (zh) 增强薄膜
JP4383531B2 (ja) 感圧性接着シ―ト類とその製造方法
KR101396749B1 (ko) 아크릴 핫멜트 접착제
KR101596212B1 (ko) 광학투명접착제 제거용 점착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광학투명접착제 제거방법
EP333296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member
WO2014156641A1 (ja)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2099538B1 (ko) 이중경화형 점착 테이프
KR20170086514A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JP5182465B2 (ja) プラスチック基板接着用紫外線硬化樹脂組成物
KR20180134926A (ko)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와 보호막이 형성된 반도체 칩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5443992B2 (ja) 帯電防止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23029905A (ja) t-ブチルシクロヘキシル(メタ)アクリレートを含有する粘着剤組成物
JP2006342222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US10745590B2 (en)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ured product and use thereof
JPWO2011145524A1 (ja) 組成物及び接着剤
CN110564318A (zh) 一种可视uv减粘程度的工艺过程膜生产方法及其产品
KR101918556B1 (ko) 자외선 경화 반응열의 제어를 위한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점착 테이프
KR101907910B1 (ko) 경화수축율이 작은 자외선 경화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007581A (ja) 感圧性接着シート
KR101804598B1 (ko) 광중합에 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JP2012241096A (ja) 紫外線硬化型マスキング剤組成物
JP2010065235A (ja) 感圧性接着シート
KR102704565B1 (ko) 아크릴 수지 조성물, 아크릴 필름 및 점착 시트
KR102677755B1 (ko) 웨이퍼 이면 연삭용 점착 필름
JP2009102647A (ja) 感圧性接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313

Appeal identifier: 2020101000388

Request date: 2020020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3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205

Effective date: 2020031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31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00205

Decision date: 20200313

Appeal identifier: 2020101000388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5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3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