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8211B1 -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211B1
KR102098211B1 KR1020130104289A KR20130104289A KR102098211B1 KR 102098211 B1 KR102098211 B1 KR 102098211B1 KR 1020130104289 A KR1020130104289 A KR 1020130104289A KR 20130104289 A KR20130104289 A KR 20130104289A KR 102098211 B1 KR102098211 B1 KR 102098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data session
update
receiving
ims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016A (ko
Inventor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2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2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이 제공되며, 단말 교환 장치로부터 무선 단말의 핸드오버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Invite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기초하여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인바이트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단계, IMS 망에 포함된 어느 한 노드로부터 재전송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DATA SESSION}
본 발명은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업데이트 시점에 SRVCC 동작이 발생하여 호가 종료되지 않도록 데이터 세션을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단말(UE)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3G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LTE 망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 늘어나고 있다.
이때, 무선 단말에서 통화 연속성을 지원하는 방법은 식별자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5897호(2012.08.29 공개)에는, 무선 단말에서 제 1 통신망으로부터 제 2 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중에 식별자를 이용하여 영상 베어러 및 음성 베어러를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다만, 무선 단말의 갱신 시간(Refesh Timer)에 무선 단말이 핸드오버(SRVCC)가 될 경우, 갱신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무선 단말의 데이터 세션이 업데이트되지 못하므로 무선 단말의 호는 종료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5897호(2012.08.29 공개)에는 "핸드오버 중에 단일 무선 영상 통화 연속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CC AS에서 데이터 세션을 전달하고 원격 레그를 갱신한 직후, 바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IMS 망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전달하는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교환 장치로부터 무선 단말의 핸드오버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Invite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기초하여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인바이트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단계, IMS 망에 포함된 어느 한 노드로부터 재전송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업데이트 시점에 발생되는 SRVCC 동작으로 인하여 호가 종료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은 UE(User Equipment, 100), 제 1 네트워크 망(300), 제 2 네트워크 망(500), IMS 망(IP Multimedia Subsystem, 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네트워크 망(300)은 Node B(310), RNC(Radio Network Control, 320), MSC(Mobile switching center, 330), GMSC(Gateway MSC, 340),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350),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360),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370), PDN(Public Data Network, 3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망(500)은 eNB(Evolved Node B, 510), SGW(Serving Gateway, 52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530), PGW(PDN Gateway, 540), OCS(Online Charging System, 550), OFCS(Offline Charging System, 560),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570),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580), PDN(Public Data Network, 590)를 포함할 수 있다. IMS 망(700)은,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710),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 720),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730), SCC AS(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 740), MGW(Media Gate Way, 750), HLR(Home Location Register, 760), MRF(Multimedia Resource Function, 7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UE(100)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이때, UE(100)는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UE(1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DN(590)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Node B(310)는 UE(10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기지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Node B(310)는 UE(100)와의 연결에 이용되는 주파수를 확보하고, UE(100)와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NC(320)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고, 복수개의 Node B(310)를 제어하며 다른 망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SC(330)는 착신 또는 발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제 1 네트워크 망(300)이 운용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중앙통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SC(330)는 무선 링크와 유선 링크를 제어하고, UE(100)의 위치를 관리하고 HLR(760)로부터 UE(100)의 위치 등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HLR(760)은 MSC(330)로 UE(100)의 발신 상태, 착신 상태, 부가 서비스 등 각종 정보와 UE(100)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GMSC(340)는, HLR(760)에 기억된 UE(100)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 교환국(VMSC)을 결정하고, 호를 선택 지정하는 자동 추적 접속 기능을 가질 수 있다.
PSTN(350)는, 공중 전화 교환망일 수 있다. 여기서, MSC(330)-GMSC(340)-PSTN(350)의 경로를 통하여 음성 호(Circuit Service)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SGSN(360)은, 서비스 지역 내에서 데이터 패킷 전달을 담당하는 노드일 수 있다. 이때, SGSN(360)은,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인증 및 요금 부과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고, SGSN(360)의 위치 레지스터는 SGSN(360)에 등록된 GPRS 사용자 위치 정보, 사용자 프로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GGSN(370)은,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 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일 수 있다. GGSN(370)은, SGSN(360)으로부터 전송되는 GPRS 패킷을 적당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착신 패킷 데이터의 PDP 주소를 수신자의 GSM 주소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GGSN(370)은, SGSN(360)의 위치 레지스터에 존재하는 현 사용자의 SGSN(360)의 주소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요금 부가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PDN(380)은 공중 데이터망으로, 예를 들어 인터넷, IP 네트워크일 수 있다. 여기서, SGSN(360)-GGSN(370)-PDN(380)의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호(Packet Service)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eNB(510)는 LTE 기지국일 수 있으며, UE(100)와 LTE 네트워크 간의 무선 연결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eNB(510)는 SGW(520)와 UE(100) 간을 연결할 수 있고, UE(100)의 핸드오버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eNB(510)와 UE(100)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SGW(520)는 3GPP/E-UTRAN 간의 UE(100) 이동을 제어하고, eNB(510)의 UE(100)에 대한 핸드오버시 앵커링(Ancho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eNB(510)로부터 다른 하나의 eNB(510)로 UE(100)가 핸드오버되는 경우, SGW(520)를 축으로 UE(100)의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SGW(520)는 Intra-LTE 모빌리티(Mobility)에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로 동작할 수 있다.
MME(530)는 eNB(510)와 SGW(520) 간의 신호를 제어하고,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으며, UE(100)를 인증(Authentication)할 수 있다. 이때, MME(530)의 인증 프로토콜은 EPS-AKA일 수 있고, UE(100)를 인증하기 위한 키 정보는 HLR(7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MME(530)는 키 정보를 HLR(760)로부터 수신하여 UE(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ME(530)는 EPS 베어러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EPS 베어러(Bearer)는 예를 들어, UE(100)와 PGW(540) 간(UE(100)-eNB(510)-SGW(520)-PGW(540)) 간에 생성되는 논리적인 터널일 수 있는데, MME(530)는 그 터널의 생성, 변경 및 해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PGW(540)는 UE(100)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IP 주소는 DHCP 프로토콜이 아닌 3GPP에서 규정한 UE(100) 접속 절차를 통하여 할당될 수 있다. 또한, PGW(540)는 SGW(520)에 대한 앵커링을 수행할 수 있다.
OCS(550)는 UE(100)에서 선불제(Prepaid)를 사용하는 경우, UE(100)별로 실시간 사용량에 대한 잔여 사용량(Balance 또는 Credit)을 중앙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사용량은 PGW(540)에서 관리하고 잔여 사용량을 OCS(5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OCS(550)는 잔여 사용량을 모두 사용한 UE(100)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PGW(540)에 해당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OFCS(560)는 PGW(540)가 전달하는 CDR을 수신하여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다.
SPR(570)는 UE(100)별로 정책 및 과금 룰(Policy and Charging Rule)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RF(580)는 SPR(570)로부터 UE(100)에 대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PCRF(580)는 UE(100)별로 정책과 과금에 대한 룰을 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정책은 UE(100)가 사용할 QoS 정보일 수 있고, 과금은 오프라인 과금을 할 것인지 또는 온라인 과금을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PDN(590)는 공중 데이터망으로, 예를 들어 인터넷, IP 네트워크일 수 있다.
CSCF(710)는 호 처리에 관련된 부분 담당하는 기능으로 ICGW(Incoming CAll GateWay)와 CCF(CAll Control Function), SPD(Serving Profile Database), AH(Address handl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TAS(720)는 호를 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TAS(720)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연동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과금,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GCF(730)는, SIP와 회선교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PSTN(350), ISUP(ISDN User Part), CDMA와의 연동을 위하여 신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로부터 PSTN(350)을 통하여 올라오는 음성 호를 변환할 수 있다.
SCC AS(740)는 UE(100)의 무선 자원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또는 VoLTE를 이용한 음성 통화 중, LTE 망이 없는 곳에서 음성 통화가 끊어지지 않도록 3G나 2G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SCC AS(740)는, 예를 들어 VoLTE에 기반한 음성 호를 2G 또는 3G에 기반한 음성 호로 로밍시킬 수 있다. 이때, 로밍 방식은 VoIP 호를 CS(Circuit Switched) 호로 핸드오버하는 방식일 수 있다.
MGW(750)는 MGCF(730)와 연결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일 수 있고, CSCF(710)에 연결된 제 1 네트워크 망(300)과 제 2 네트워크 망(500)과의 연동을 위하여,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고, 미디어를 변환할 수 있다.
HLR(760)은 UE(100)별로 인증을 위한 키 정보와, 가입자 프로파일, 가입자 위치 정보 등을 보유하고 있는 LTE 네트워크의 중앙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때, 가입자 프로파일은 각 가입자가 가입한 서비스 상품에 맞는 QoS(Quality of Service) 등급 정보, 예를 들어 우선 순위, 최대 사용 가능 대역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RF(770)는, IMS 망(700)에서 미디어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MRF(700)는 UE(100)에게 제공하는 통화 안내 방송을 관리할 수 있고, 그룹 통화를 위한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단말(UE)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3G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LTE 망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 늘어나고 있다.
이때, 무선 단말은 LTE 망의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2G나 3G 망으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의 갱신 시간(Refesh Timer)에 무선 단말이 핸드오버(SRVCC)가 될 경우, 갱신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무선 단말의 데이터 세션이 업데이트되지 못하므로 무선 단말의 호는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은, SCC AS에서 데이터 세션을 전달하고 원격 레그를 갱신한 직후, 바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IMS 망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전달함으로써, 데이터 세션을 갱신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어 호가 종료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780)는, 메세지 수신부(781), 메세지 재전송부(783), 응답 수신부(785), 업데이트 전송부(78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UE(100)는 무선 단말(100)로 정의하고, MSC(330)는 단말 교환 장치(330)로 정의한다. 또한,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780)의 동작은 SCC AS(740)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서버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메세지 수신부(781)는, 단말 교환 장치(330)로부터 무선 단말(100)의 핸드오버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Invite Message)를 수신한다. 이때, 핸드오버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는, 세션 이동(STN-SR(Session Transfer Number for SRVCC))의 개시(Initiation of Session Transfer)에 기초한 메세지일 수 있다.
메세지 재전송부(783)는, 수신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기초하여 IMS 망(7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인바이트 메세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세지 재전송부(783)는, 수신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기초하여 IMS 망(700)에 포함된 모든 노드로 인바이트 메세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응답 수신부(785)는, IMS 망(700)에 포함된 어느 한 노드로부터 재전송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이때,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은 예를 들어, 200 OK일 수 있다.
업데이트 전송부(787)는,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IMS 망(7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100)의 데이터 세션을 업데이트하지 않으면, 대국 단말 뿐 아니라, 경유하는 IMS 망(700)의 노드도 호를 삭제하게 되므로, 모든 경유 노드에 업데이트 처리를 해야 한다. 따라서, 업데이트 전송부(787)는 IMS 망(7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바람직하게는 모든 경유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메세지는, 응답을 수신하고 무선 단말(100)의 데이터 세션을 전달하고, 원격 레그를 갱신한 후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업데이트 메세지는, 응답을 수신하고 무선 단말(100)의 데이터 세션을 전달하고 원격 레그를 갱신한 후, IMS 접속 레그의 해제 동작이 발생하기 전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 메세지는, 무선 단말(100)의 데이터 세션을 갱신(Refesh)하는 메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에서는, IMS 망(700)에 존재하는 SCC AS(740)를 주체로 설명하였으나, 무선 단말(100)이 SRVCC임을 판단할 수 있는 단말 교환 장치(330)가 업데이트 메세지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말 교환 장치(330)가, 무선 단말(100)의 핸드오버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를 IMS 망(700)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기초하여 IMS 망(700)에 포함된 어느 한 노드로부터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며,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IMS 망(7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의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통하여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때, 도 3에서는, 대문자 O는 Originating으로 정의하고, 대문자 T 는 Terminating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UE(0)는 발신 단말을 의미하고, UE(T)는 착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UE(0)(100(0)는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한 소스 eNB(510)로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s)를 전송한다(S3100). 그리고 나서, eNB(510)는 QoS, 할당된 베어러,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SRVCC 동작, 즉 핸드오버가 일어나야 하는지 결정하고(S3200), 핸드오버가 결정되면 이를 MME(530)로 알린다(S3300).
MME(530)는 베어러 분리를 시작하고(S3400), PS에서 CS로 변경하는 요청을 MSC(330)로 전송하면(S3500), MSC(330)는 MSC(T)(330(T))로 핸드오버를 준비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S3610).
MST(T)(330(T))는 RNC(320)로 위치 재설정 요청을 전송하고(S3620), RNC(320)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S3630), MSC(330)로 핸드오버가 준비되었다는 응답을 전송한다(S3640).
그리고 나서, MSC(330)와 MSC(T)(330(T)) 간에 회선을 연결하고(S3700), MSC(330)는 SCC AS(740)로 세션 이동 개시에 기반한 인바이트 메세지를 전송하면(S3800), SCC AS(740)는 IMS 망(700)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720(O), 720(T))를 경유하여 UE(T)(100(T))까지 인바이트 메세지를 재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는다(S3810~3860).
SCC AS(740)는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MSC(330)로 응답 메세지를 전송하고(S3870), 세션 이동 및 원격 레그 갱신을 수행하고 난 후(S3880), IMS 접속 레그의 해제를 수행하기 전(S3893), IMS 망(700)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하여(S3890~S3892) 데이터 세션이 갱신(Refesh)되고, 호의 연결이 종료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MSC(330)는 SCC AS(74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MME(530)로 SRVCC 응답을 전달하고(S3900), 이를 수신한 MME(530)는 eNB(510)로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하고(S3910), eNB(510)는 이를 다시 UE(O)(100(O))로 전송한다(S3920). 이때, UE(O)(100(O))는, 제 2 네트워크(500), 예를 들어 LTE 망으로부터 제 1 네트워크(300), 예를 들어 3G 망으로 핸드오버된다(S3930).
그리고, RNC(320)에서 핸드오버 검출이 발생하면(S3940), UE(O)(100(O))는 핸드오버 완료 메세지를 MSC(T)(330(T))를 경유하여 MSC(330)로 전송한다(S3950, S3960). 여기서, MSC(330)는 MME(530)로 SRVCC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S3970), 보고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398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은, S3880 단계 후에 MSC(330)에서 IMS 망(700)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그 이외의 단계는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도 3의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및 도 2의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3100~S398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3100~S398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는, 단말 교환 장치로부터 무선 단말의 핸드오버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Invite Message)를 수신한다(S4100).
여기서,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는, 수신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기초하여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인바이트 메세지를 재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는, IMS 망에 포함된 어느 한 노드로부터 재전송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도 4의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GPP LTE 망과 레거시 망의 혼용 환경에서 VoLTE의 SRVCC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레거시 망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DMA 2000 이동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이 다양한 이동 통신 시스템이 혼용되는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GPP LTE 망과 레거시 망의 혼용 환경에서 VoLTE의 SRVCC 서비스를 제공할 때 업데이트 시점에 호가 종료되지 않도록 데이터 세션을 갱신할 수 있다.

Claims (5)

  1.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단말 교환 장치로부터 무선 단말의 핸드오버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Invite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기초하여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상기 인바이트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단계;
    상기 IMS 망에 포함된 어느 한 노드로부터 상기 재전송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의 데이터 세션을 전달하고 원격 레그를 갱신한 이후 그리고 IMS 접속 레그의 해제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메세지는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데이터 세션을 갱신(Refresh)하는 메세지인 것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에 있어서,
    단말 교환 장치로부터 무선 단말의 핸드오버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Invite Message)를 수신하는 메세지 수신부;
    수신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기초하여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상기 인바이트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메세지 재전송부;
    상기 IMS 망에 포함된 어느 한 노드로부터 상기 재전송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응답 수신부; 및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의 데이터 세션을 전달하고 원격 레그를 갱신한 이후 그리고 IMS 접속 레그의 해제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업데이트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의 핸드오버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를 IMS 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인바이트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IMS 망에 포함된 어느 한 노드로부터 상기 인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의 데이터 세션을 전달하고 원격 레그를 갱신한 이후 그리고 IMS 접속 레그의 해제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IMS 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업데이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KR1020130104289A 2013-08-30 2013-08-30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098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289A KR102098211B1 (ko) 2013-08-30 2013-08-30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289A KR102098211B1 (ko) 2013-08-30 2013-08-30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16A KR20150026016A (ko) 2015-03-11
KR102098211B1 true KR102098211B1 (ko) 2020-04-07

Family

ID=5302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289A Active KR102098211B1 (ko) 2013-08-30 2013-08-30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2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4860A1 (en) * 2011-10-04 2013-04-04 Nokia Siemens Networks Oy Minimal access transfer control function requirements for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handov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7104B1 (en) * 2009-05-26 2020-07-08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es for session transfer between access networks
JP5647257B2 (ja) 2009-11-09 2014-12-2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ハンドオーバー中に単一無線映像通話連続性を支援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4860A1 (en) * 2011-10-04 2013-04-04 Nokia Siemens Networks Oy Minimal access transfer control function requirements for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16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8279B2 (ja) 通信システムと方法と装置
US20180359672A1 (en) Quality of Service Initiated Handover
JP2012039219A (ja) 移動通信方法及び優先度制御ノード
US9888515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network states during handover between VoLTE and WiFi
US8958787B2 (en) Closing multiple network connections for a user equipment using one message exchange
JP2024015997A (ja) VoLTE-アウトバウンド・ローミングのためのインターワーキング機能
JP2012044556A (ja) 移動通信方法及びポリシー制御ノード
KR102098211B1 (ko)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102072713B1 (ko) 호 처리 통합형 통화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11763B1 (ko) 통화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05408A (ko) 호처리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58230B1 (ko) 패킷 스위칭된 도메인으로부터 서킷 스위칭된 도메인으로 호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20150027356A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55340B1 (ko) 복합 주파수 부호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2098216B1 (ko) 호 처리 결정 방법 및 장치와 그 호 처리 시스템
KR102166966B1 (ko)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1848510A (zh) 一种实现电路交换域业务的承载切换实现系统及方法
KR102092877B1 (ko)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30648B1 (ko)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가등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호 처리 서버
KR102113308B1 (ko) 위치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KR101463798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동기화 방법 및 장치
WO2016152095A1 (ja) ネットワーク装置、基地局、通信システム、ベアラ確立方法、通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150025890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30504A (ko) 그룹 영상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1511576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8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