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6838B1 -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838B1
KR102096838B1 KR1020187023809A KR20187023809A KR102096838B1 KR 102096838 B1 KR102096838 B1 KR 102096838B1 KR 1020187023809 A KR1020187023809 A KR 1020187023809A KR 20187023809 A KR20187023809 A KR 20187023809A KR 102096838 B1 KR102096838 B1 KR 102096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teeth
housing
belt retracto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563A (ko
Inventor
바르그만 아르네
크뢰거 도리스
데쉬판데 아누룻다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8010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차량 감응 방식으로 작동되는 벨트 권취 축(1)용 차단 시스템(3)을 구비한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트리거 되는 경우에 차량 감응 방식으로 장착된 센서 질량체(5)가 치합 팁(8)을 갖는 잠금 레버(7)를 제어 디스크(4)의 톱니(9)와 치합되는 트리거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제어 디스크(4)가 벨트 권취 축(1)과의 관절 회전 운동시 정지되고 차단 시스템(3)이 작동되고, 상기 센서 질량체(5)는 지지부(6)의 접촉면 상에 위치하고 차량 가속 발생시 센서 질량체(5)는 지지부(6)의 접촉면 상에서 관성 제어에 의해 중립 위치에서 트리거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내부에 센서 질량체(5)를 구비하는 지지부(6)는 제어 디스크(4)를 포함하는 하우징(11) 내에 위치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본 발명은 적어도 차량 감응 방식으로 작동되는 벨트 권취 축용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트리거 되는 경우에 차량 감응 방식으로 장착된 센서 질량체가 치합 팁을 갖는 잠금 레버를 제어 디스크의 톱니와 치합되는 트리거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제어 디스크가 벨트 권취 축과의 관절 회전 운동시 정지되고 차단 시스템이 작동되고, 상기 센서 질량체는 지지부의 접촉면 상에 위치하고 차량 가속 발생시 센서 질량체는 지지부의 접촉면 상에서 관성 제어에 의해 중립 위치에서 트리거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내부에 센서 질량체를 구비하는 지지부는 제어 디스크를 포함하는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가 DE 195 39 619 C2에 기술되어 있다. 잠금 레버는 치합 팁에 대향하는 단부에서 센서 질량체에 형태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어 베어링을 형성하고, 센서 질량체는 차례로 베어링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일반적인 문제점은, 센서 질량체가 작동을 위해 공간 내에서 베어링 표면에 대해 특정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차량 감속이 소정의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센서 질량체가 중립 위치에서 트리거 위치로 안정되게 이동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센서 질량체 및 베어링 표면의 방향은 차량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설치 위치에 좌우되며, 이는 차체 구조 및 차량 상에 제공된 체결 부위에 의해 특정된다. 따라서, 차량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특정 설치 위치를 위해 센서는 베어링 표면과 함께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렬됨으로써, 센서 질량체 및 베어링 표면이 공간적으로 차량에 대해 기능상 중요한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해, WO 2009/143984 A1에는 외부의 센서를 덮는 센서 캡의 내측에 링 톱니가 마련되고 센서가 제어 디스크에 대해 다양한 각도의 방향에서 링 톱니에 거치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센서 캡 상의 링 톱니에 의하면, 센서 질량체 및 베어링 표면을 구비하는 센서가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구조 변화 없이 제어 디스크에 대해 다양한 방향 및 배치로 위치될 수 있는 체결 부착부가 생성된다. 이를 위해, 상보적인 톱니가 마찬가지로 센서 상에 제공됨으로써, 센서가 소정의 각도 방향으로 센서 캡의 톱니 내로 가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톱니의 형태 끼움 방식의 치합으로 인해 센서가 이후에 원주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후, 내부에 위치한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캡이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에 체결됨으로써, 센서가 센서 캡 및 시트 벨트 리트랙터 프레임 사이에 고정적으로 클램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작업 시 단순화된 수단을 이용하여 제어 디스크에 대한 센서의 방향을 매우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개선된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인 제1항의 특징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 도면, 및 관련 명세서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지지부 및 그 내부에 위치한 센서 질량체를 구비한 하우징이 제어 디스크에 대해 다양한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시트 벨트 리 트랙터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안된 개선 사항의 효과는, 센서의 방향성이 아직 제공되지 않은 사전 조립 단계에서 센서가 하우징에 장착됨으로써 간소화된 방식으로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센서가 매우 정밀한 부품이라는 점 때문에 특히 효용이 있다. 센서의 중요성 및 그 정밀 설계로 인해 상기 센서는 설치 중에 매우 조심스럽게 취급되어야 하며, 그럼으로써 설치 중에 어떤 식으로든 손상됨 없이 구속력에 중요한 기능이 추후에 안정적으로 충족될 수 있어야 한다. 센서가 하우징에 사전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손상될 가능성이 낮은 단순화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센서의 방향성은 내부에 이미 부착된 센서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제어 디스크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설치하여 제공된다. 시트 벨트 리트렉터 상에 하우징을 설치하고 회전 각도의 방향을 조정하는 동안, 상기 섬세한 센서는 접촉되거나 압박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설치도 매우 간단해진다. 상기 설치 단계에서 하우징은 기본적으로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으로부터 센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제1 톱니가 구비되고,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체결된 체결링에는 제2 톱니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이 제1 톱니가 체결링의 제2 톱니와 치합됨으로써 제어 디스크에 대한 특정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체결될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톱니들은 톱니 간격을 통해 회전각의 증분이 구체화되며, 하우징 및 그에 따른 센서는 다양한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링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체결되며, 소정의 방향으로 하우징을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고정시키는 용도로만 사용된다. 체결링과 하우징의 톱니는 기본적으로 하우징이 다양한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센서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회전 각도 설정은, 제1 및 제2 톱니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향된 링 톱니로 형성된 경우에 특히 단순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동일 직경 및 동축 배열을 갖는 링 톱니와 같이 톱니가 설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은 톱니가 치합 해제되지 않고도 체결링에 대해 및 이에 따라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대해 다양한 회전 각도의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이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체결링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체결링을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체결하면 하우징도 동시에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은 기본적으로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체결링 사이에 클램프된다.
또한, 하우징의 제1 톱니가 시트 벨트 리트랙터로부터 비대면하는 방향으로 하우징의 측면 상에 위치하고, 체결링의 제2 톱니가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대면하도록 체결링의 측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은 제1 단계에서 소정의 회전 각도의 위치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부착된다는 점에서,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에 단순화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체결링이 제2 단계에서 장착됨으로써, 제안된 배치로 인해, 2개의 톱니가 소정의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하우징을 자동으로 결합 및 고정시킨다. 하우징은 설정된 회전 각도로 톱니의 치합에 의해 고정되며, 동시에 체결링이 시트 벨트 리트랙터 상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이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톱니는 하우징의 반경 방향 외측 에지에 위치함으로써, 설치를 위해 체결링이 하우징에 대해 안내되며, 하우징의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톱니와 밀착되어 치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톱니는 비스듬하게 배향된 톱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톱니 측면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배향되고 벨트 권취 축의 축방향으로도 배향된다. 톱니의 바람직한 설계에 따르면, 톱니들은 추가적으로 체결링에 대해 하우징을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2개의 톱니가 바람직하게는 벨트 권취 축의 회전축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어 하우징이 벨트 권취 축의 회전축에 대하여 중심에 위치된다.
또는, 제1 및/또는 제2 톱니는 각각 설치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된 톱니 측면을 갖는 링 원통형 톱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링은 톱니 측면이 톱니에서 치합 해제되지 않고도 하우징에 대해 설치 방향으로 약간이라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톱니 측면이 벨트 권취 축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됨으로써, 센서를 구비한 하우징이 벨트 권취 축의 축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센서에 외측 반경 방향으로 톱니를 가진 제어 디스크와 맞물려 차단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 아암이 구비된다는 점에 있어서 특히 효용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차량 감속 상태에서, 상기 레버 아암은 제어 디스크의 톱니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 배향되어, 상기 소정의 차량 감속이 초과되면 제어 디스크의 톱니와 치합되도록 회전된다. 내부에 장착된 센서를 구비한 하우징의 제안된 밀림 방향으로 인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레버 아암이 시트 벨트 권취 축 및 그 위에 장착된 제어 디스크에 대해 소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걸쇠 부위가 바람직하게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쇠 연결부를 통해 체결링에 연결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걸쇠 연결부는 별도의 보조 장치가 불필요한 설계로 인해 단독으로 연결을 구현할 수 있고 도구 없이 설치도 가능하기 때문에, 걸쇠 연결부는 원칙적으로 제조 및 설치가 매우 경제적이다. 상기 걸쇠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걸쇠 부위로 형성되어, 하우징 및 체결링이 반경 방향의 형태 끼움 방식으로 중첩됨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는, 톱니에 의해 하우징과 체결링 두 부분이 원주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구현하면서도 하우징과 체결링이 벨트 권취 축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축 방향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효용을 갖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걸쇠 연결부는 치합된 톱니 측면에 응력을 가하지 않고도 하우징만 인출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이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응력을 받지 않음으로써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차단 장치의 반응 임계치가 변화될 수 있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상기 걸쇠 부위 및 톱니는 바람직하게 하우징 또는 체결링의 동일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쇠 부위가 톱니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필요한 설치 공간이 더욱 최적화된다. 이를 위해, 걸쇠 부위 및 톱니는, 예컨대, 외측 반경 방향을 향한 필요한 설치 공간이 증가되지 않도록 체결링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쇠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다른 부분에 위치된 톱니와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규격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걸쇠 부위는, 예컨대, 체결링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하우징의 톱니와 반경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 삽입시 하우징의 톱니가 걸쇠 부위를 지나 걸쇠 부위가 톱니 뒤로 탄성 복귀할 때까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상기와 같이 제안된 접근법에 의하면, 하우징을 잠그기 위한 톱니가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톱니는 바람직하게는 톱니 없이 걸쇠 부위와 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부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톱니는 체결링 및 시트 벨트 리트랙터 프레임에 대해 소정의 각도 방향으로 하우징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톱니는 비연속적으로 설계되고 걸쇠 부위 사이에서만 연장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걸쇠 부위와 축 방향으로의 중첩에 톱니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걸쇠 부위 및 그 위에 배치된 톱니를 구비한 특정 부품을 제조하는 것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센서 질량체를 구비한 지지부가 한 방향으로만 수용 가능한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한 방향으로만 센서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센서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위치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소정의 방향 및 배치로 하우징 내에 위치될 필요가 있으므로, 하우징의 방향 및 제어 디스크에 대한 하우징의 회전 각도 설정으로 인해 센서는 제어 디스크에 대해 및 공간 내에서 높은 위치 정밀도를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안된 개선 사항에 의하면, 특히 자동화된 설치 단계에서 설치가 더욱 단순화될 수 있는데, 이는 수용부의 설계 및 방향에 의해 특정된 하우징 내에서 센서가 단일한 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장착된 센서 질량체를 구비하는 지지부가 바람직하게는 제어 디스크에 대면하는 면을 제외한 모든 면을 둘러싸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음향의 전달을 회피하기 위한 차음부 또는 이를 위해 특별히 구성하여 차폐시킨 방음부가 제공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소정의 차량 감속 한계치가 초과되면 센서 질량체가 관성 제어에 의해 의도된 기능에 따라 변위되고, 이에 따라, 차단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 디스크와 치합하여 벨트 축에 대해 제어 디스크를 정지시키는 잠금 레버가 변위된다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는 베어링면이 구비되는 베어링부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부는 벨트 권취 축의 회전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피벗 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지지부에 대해 배향될 수 있다. 제안된 접근법에 의하면,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경사 위치를 보상하기 위해, 센서는 벨트 권취 축의 회전 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피벗 축을 중심으로 추가적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아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체결링 및 다양한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다
도 2는 체결링이 결합된 하우징을 바깥 쪽에서 도시한다
도 3은 체결링이 결합된 하우징을 안쪽에서 도시한다
도 4는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향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경사되게 배향된 톱니를 갖는 하우징 및 체결링과 함께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회전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직선형으로 배치된 톱니를 갖는 하우징 및 체결링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부위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걸쇠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센서용 하우징 및 체결링과 함께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다.
도 8은 절연 소자 및 차음 관성 질량체를 갖는 센서와 함께 하우징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9 내지 13은 체결링 및 하우징을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걸쇠 부위를 갖는 하우징과 함께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은 차량에 체결 가능한 프레임(2) 및 상기 프레임(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벨트 권취 축(1)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다. 차량의 탑승자를 구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 벨트(미도시)는 벨트 권취 축(1) 상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벨트 권취 축(1)은 토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초기 장력을 받음으로써, 버클에 장착된 상태의 시트 벨트가 탑승자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약간 느슨하게 안착되고, 버클 해제시 파킹 위치로 팽팽하게 권취된다.
또한, 시트 벨트 리트렉터는 제어 디스크(4) 및 차단 포울(blocking pawl; 미도시)을 갖는 차단 시스템(3)을 구비하며, 상기 차단 포울은 작동시 프레임의 차단 톱니(19)로 이동하게 되어, 시트 벨트가 더 당겨지지 않도록 벨트 권취 축(1)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 시스템(3)은 벨트 권취 축(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벨트 권취 축(1)에 대해 풀림 방향으로 스프링을 통해 초기 장력을 받는 제어 디스크(4)를 더 포함한다. 차단 포울(미도시)이 저널을 통해 결합되는 제어 구조가 제어 디스크(4) 상에 구비된다. 시트 벨트의 인출 운동 중에 제어 디스크(4)가 벨트 권취 축(1)에 대해 정지되는 경우, 제어 디스크(4)는 제어 구조를 통해 차단 포울이 차단 톱니(19)로 작동 운동되도록 강제함으로써, 벨트 권취 축(1)이 시트 벨트의 인출 방향으로 차단된다.
또한, 차단 시스템(3)은 본 명세서에서 직립 버섯 형상의 질량체로 설계된 센서 질량체(5) 및 지지부(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6)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어링부(10)가 지지부(6)에 대해 회전축(A)을 중심으로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향되고 형태를 갖는 보링 구멍을 갖는다. 상기 보링 구멍은 베어링부(10)가 변위 가능한 회전축(A)이 벨트 권취 축(1)의 회전축(C)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향된다.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각도가 설정된 후, 상기 베어링부(10)는 지지부(6)와 고정된 유닛을 형성하며, 센서 질량체(5)가 놓이는 베어링면(미도시)을 갖는다. 또한, 차단 시스템(3)은 센서 질량체(5)가 안착되는 잠금 레버(7)를 구비한다. 소정의 한계치를 초과하는 차량 감속으로 인해 센서 질량체(5)가 중립 위치로부터 트리거 위치로 회전되면, 잠금 레버(7)는 자신의 치합 팁(8)이 제어 디스크(4)의 톱니(9) 안으로 치합할 때까지 변위됨으로써 차단이 촉발되도록 제어 디스크(4)를 벨트 권취 축(1)에 대해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디스크 (4) 상에 위치하여 제어 디스크(4)에 대해 권취 방향으로 스프링 로딩되는 관성 질량체(자세히는 미도시)는 시트 벨트가 인출되는 가속도가 소정의 한계치를 초과하면 제어 디스크(4)에 대해 및 하우징(11)의 WS 톱니(16) 내로 변위됨으로써, 제어 디스크(4)를 벨트 권취 축(1)에 대해 정지시킨다.
차량 감속의 소정의 한계치가 초과하는 경우에 센서 질량체(5) 및 지지부(6)와 함께 센서가 벨트 권취 축(1)을 의도된 대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중립 위치에서의 센서 질량체(5)가 소정의 직립 위치에 세워져 있되, 잠금 레버(7)가 제어 디스크(4)의 톱니(9)와 맞물리지 않으면서 제어 디스크(4)가 벨트 권취 축(1)과 함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차량에 상이한 설치 방향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지지부(6) 및 그 내부에 장착된 센서 질량체(5)는 소정의 차량 감속 하에서 센서 질량체(5)가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특정 설치 위치에서 중립 위치에 있는 방식으로 시트 벨트 리트랙터와 개별적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단계에서, 지지부(6)에 대해 회전축(A)을 중심으로 베어링부(10)를 회전시킴으로써 센서 질량체(5)가 제1 회전각 중심으로 배향된다.
또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는 체결된 위치에서 제어 디스크(4)의 모든 면을 둘러싸는 하우징(11) 및 체결링(12)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에는 지지부(6)가 내부에서 한 방향으로만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태를 갖는 수용부(15)가 마련된다. 지지부(6), 베어링부(10), 및 센서 질량체(5)로 구성된 서브 어셈블리가 설치를 위해 미리 조립되고, 센서 질량체(5)가 삽입되기 전 또는 후에는 베어링부(10)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소정의 동일한 회전 각도로 체결부에 체결된다. 이후, 사전 조립된 조립체는 하우징(11)의 수용부(15) 내에 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음 단계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회전축(B)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2) 상에 배치되고, 체결링(12)은 장착 회전 각도 회전축(B)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 각도로 장착되어 체결된다.
외측 반경 방향의 에지 상의 하우징(11)은 프레임(2)으로부터 비대면하도록 위치하는 제1 환형 톱니(13)를 갖는다. 체결링(12)은 프레임(2)을 대면하는, 즉, 제1 톱니(13)와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한 제2 톱니(14)를 갖는다. 해당 체결 리벳 또는 스크류를 통해 해당 체결 개구(18)에서 한 방향으로만 체결링(12)이 프레임(2)에 체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체결링(12)에는 체결링(12)의 원주 상에 위치하는 4개의 체결 부착부(17)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2개의 톱니(13, 14)가 서로 치합되고, 제1 톱니(13)가 위치하는 하우징(11)의 반경 방향 플랜지가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2) 및 체결링(12) 사이에 클램프되는 방식으로 체결링(12)이 장착된다.
도 2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센서를 물리적 응력에 노출시키지 않고도 파지 및 배향될 수 있다. 센서는 하우징(11)에 미리 삽입되고,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체결하는 작업 중에 센서가 하우징(11)에 의해 보호된다. 톱니(13, 14)의 치형 간격에 의해 특정되는 회전 각도 증분에 따라 소정의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의 방향이 마련될 수 있다. 톱니(13, 14)가 미세할수록, 회전축(B)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각도의 조정성이 세밀해진다. 톱니(13, 14)는 환형으로 구성되며, 시트 벨트 리트랙터 상의 체결 위치에서 벨트 권취 축(1)의 회전축(C)에 대해 동심원으로 배향되도록 배치된다.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톱니(13, 14)가 벨트 권취 축(1)의 회전축(C)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향되면서 톱니(13, 14)의 직경은 프레임(2) 방향으로 증가한다. 톱니(13, 14)의 경사각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톱니(13, 14)의 치형이 서로에 대해 가능한 평탄하게 놓인다. 톱니(13, 14)의 비스듬한 방향성으로 인해, 하우징(11)이 체결링(12)에 대해 추가적으로 중심에 위치한다. 체결링(12)의 제2 톱니(14)가 환형으로 구성되고, 프레임(2) 내의 체결 개구(18) 및 체결링(12) 상의 체결 플랜지(17)의 위치 설정에 의해 체결링(12)이 베어링 개구의 중심에 대해 중심에 위치하므로, 하우징(11)도 내부에 지지된 벨트 권취 축(1)의 회전축(C)에 대해 중심에 위치한다. 따라서, 센서 및 특히 잠금 레버(7)의 치합 팁(8)이 제어 디스크(4) 및 그 톱니(9)에 대해 위치상 매우 높은 위치 정밀도를 가지고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체결링(12)이 프레임(2)에 우선 체결된다. 체결링(12)은 원통형 내경을 가지며 제2 톱니(14)가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21)를 구비한다. 또한, 이때 하우징(11) 상의 제1 톱니(13)는 일정한 외경을 갖는 환형 외측면 상에 축 방향으로 위치한다. 체결링(12)이 프레임(2)에 체결된 후, 하우징(11)은 제1 톱니(13)가 체결링(12)의 제2 톱니(14) 내로 삽입됨으로써, 걸쇠 연결부(20)를 통해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2) 및 체결링(12)에 연결된다. 걸쇠 연결부(20)로 인해 하우징(11)과 체결링(12) 사이에 반경 방향의 형태 끼움 중첩이 발생하여, 하우징(11)이 빠지지 않도록 보호된다. 이때, 체결링(12) 및 하우징(11) 상의 두 톱니(13, 14)는 각각 원통형 내면 또는 외면 상에 직선의 치형으로 형성된다. 톱니(13, 14)의 톱니 측면이 벨트 권취 축(1)의 축선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됨으로써, 벨트 권취 축(1)의 축 방향으로 하우징(11)이 체결링(12)에 직선형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우징(11) 및 체결링(12)이 마찬가지로 벨트 권취 축(1)의 축 방향으로 배향된 직선형의 톱니(13, 14)를 가지며(미도시), 각각 하우징(11) 및 체결링(12)의 원통형 원주면 상에 위치하는 톱니(13, 14)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이때, 체결링(12)은 3개의 핀 또는 리벳(23)을 통해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2)에 체결된다. 체결링(12)의 톱니(14)는 체결된 위치에서 벨트 권취 축(1)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된 직선형의 톱니 측면을 갖는다. 이후, 내부에 센서를 구비한 하우징(11)이 장착되고, 두 톱니(13, 14)는 서로 치합된다. 마찬가지로, 톱니(13)는 원통형의 원주면 상에 위치하는 직선형의 톱니 측면을 가지기 때문에, 하우징(11)이 벨트 권취 축(1)의 축 방향으로 체결링(1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형태 끼움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겹치는 2개의 걸쇠 부위(21, 22)에 의해 형성된 걸쇠 연결부(20)가 제공된다. 걸쇠 부위(21, 22) 자체는 탄력적으로 설계되어, 하우징(11) 삽입시 단부 위치에서 일측이 타측 뒤로 결합될 때까지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의도하지 않게 빠지지 않도록 하우징(11)을 보호한다. 이때, 걸쇠 연결부(20)는 축 방향 중첩에 의해서만 형성되며, 걸쇠 부위(21, 22)는 2개의 제2면(22a, 22b)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면서 걸쇠 부위(21, 22)의 제1면(21a, 22a) 상에서 반경 방향으로 서로 안착되도록 치수를 가짐으로써, 하우징(11)이 체결링(12), 벨트 권취 축(1), 및 특히 제어 디스크(4; 미도시)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면(21a, 22a)은 하우징(11)의 위치에 적어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히 높은 위치 정밀도로 제조되어야 한다.
도 8은 센서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센서는 지지부(6) 및 버섯 형태의 직립 센서 질량체(5)를 가지며, 센서 질량체(5)와 지지부(6) 사이에 차음 관성 질량체(23)가 추가로 마련된다. 지지부(6)는 생성된 노이즈를 추가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센서를 수용한다. 따라서, 지지부(6)는 차단 소자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13은 체결링(12)이 다수의 핀 또는 리벳(23)을 통해 프레임(2)에 클립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체결링(12)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며 체결링(12)의 체결 위치에서 프레임(2) 방향 및 내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스프링 텅 형태의 톱니(14) 및 5개의 걸쇠 부위(24)가 구비된다. 체결링(12) 상의 톱니(14)는 톱니 없이 축 방향으로 걸쇠 부위(24)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5개의 부위가 구비된다. 톱니 없는 부위를 갖는 톱니(14) 및 걸쇠 부위(24)는 모두 체결링(12)의 동일 측면, 즉 내측 반경 방향으로 위치되고, 체결링(12)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톱니(14) 및 걸쇠 부위(24)에 의해 체결링(12)의 외측 치수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걸쇠 부위(24)는 톱니가 없는 부위가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걸쇠 부위(24) 및 톱니(14)의 톱니 부위가 축 방향 돌기에서 번갈아 형성된다.
걸쇠 부위(24)는 리벳 또는 핀(23)의 방향, 즉 체결 위치에서의 프레임(2) 방향으로 돌출하는, 내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스프링 텅의 형태로 설계된다. 또한, 하우징(11)은 걸쇠 부위(24)의 단부 측면에서 확장된 링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 칼라(25)를 갖는다. 따라서, 도 13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 부위(24)는 하우징(11)이 인입될 때 외측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칼라(25)가 통과된 후에 걸쇠 부위(24)는 탄성 복구되고, 칼라(25) 및 인접한 톱니(13)를 구비한 하우징(11)은 걸쇠 부위(24)의 단부 측면 및 체결링(12)의 베이스 사이에 잠기게 된다. 걸쇠 부위(24)는 체결링(12)의 벽 부위(26)에 의해 외측 반경 방향으로 덮이게 되어, 외부의 물리적 응력으로부터 보호된다.

Claims (15)

  1.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로서,
    적어도 차량 감응 방식으로 작동되는 시트 벨트 권취 축(1)용 차단 시스템(3)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시스템(3)에서는, 트리거 되는 경우, 차량 감응 방식으로 장착된 센서 질량체(5)가 치합 팁(8)을 갖는 잠금 레버(7)를 제어 디스크(4)의 톱니(9)와 치합되는 트리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벨트 권취 축(1)과 관절 회전 운동을 하는 상기 제어 디스크(4)가 정지되고 상기 차단 시스템(3)이 작동되며,
    상기 센서 질량체(5)는 접촉면 상의 지지부(6)에 위치하고, 차량 가속 발생시 상기 지지부(6) 내의 상기 센서 질량체는 상기 접촉면 상에서 관성 제어되어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트리거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6)는 내부에 위치한 상기 센서 질량체(5)와 함께 상기 제어 디스크(4)를 포함하는 하우징(11) 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6) 및 상기 센서 질량체(5)가 내부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제어 디스크(4)에 대해 다양한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 상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1)에 제1 톱니(13)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체결되는 체결링(12)에 제2 톱니(14)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링(12)의 상기 제2 톱니(14)와 상기 제1 톱니(13)가 치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제어 디스크(4)에 대해 특정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톱니(13, 14)는 직경이 동일하며,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향된 링 톱니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 및 상기 체결링(12)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의 제1 톱니(13)는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비대면하여 상기 하우징 (11)의 측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체결링(12)의 제2 톱니(14)는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대면하여 상기 체결링(12) 측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톱니(13)는 상기 하우징(11)의 반경 방향 외측의 에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톱니(13, 14)는 경사지게 배향된 톱니로 형성되며, 톱니 측면이 반경 방향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배향되고 상기 벨트 권취 축(1)의 축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톱니(13, 14)는 설치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된 톱니 측면을 갖는 링 원통형 톱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 측면은 상기 벨트 권취 축(1)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반경 방향의 외측 및/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쇠 부위(21, 22, 24)를 갖는 걸쇠 연결부(20)를 통해 상기 체결링(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 부위(21, 22, 24)와 톱니(13, 14)는 상기 하우징 (11) 또는 상기 체결링(12)의 동일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곳에 위치한 상기 걸쇠 부위(21, 22, 24) 및 상기 톱니(13, 14)는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13, 14)는 톱니가 없이 상기 걸쇠 부위(21, 22, 24)와 축 방향으로 겹치도록 위치하는 부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11)은 상기 지지부 (6)가 상기 센서 질량체(5)와 함께 한 방향으로만 수용되는 수용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1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는 베어링 면이 제공되는 베어링부(10)를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부(10)는 상기 벨트 권취 축(1)의 회전 축(C)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회전축(A)을 중심으로 다양한 회전 각도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6)에 대해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1020187023809A 2016-02-17 2017-02-16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102096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2383.7 2016-02-17
DE102016202383.7A DE102016202383B4 (de) 2016-02-17 2016-02-17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PCT/EP2017/053486 WO2017140769A1 (de) 2016-02-17 2017-02-16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563A KR20180101563A (ko) 2018-09-12
KR102096838B1 true KR102096838B1 (ko) 2020-04-06

Family

ID=5804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809A KR102096838B1 (ko) 2016-02-17 2017-02-16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6452B2 (ko)
JP (1) JP6600416B2 (ko)
KR (1) KR102096838B1 (ko)
CN (1) CN109562735B (ko)
DE (1) DE102016202383B4 (ko)
WO (1) WO2017140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3417B4 (de) 2017-03-02 2020-09-1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m geräuschgedämpften Beschleunigungssensor
KR102225406B1 (ko) * 2019-08-27 2021-03-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를 갖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CN111185758B (zh) * 2020-03-04 2020-11-17 许昌学院 一种安全带卷收器自动组装设备
DE102023121701A1 (de) 2023-08-14 2025-02-20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4921A (ja) * 2001-11-16 2003-05-2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9120068A (ja) * 2007-11-15 2009-06-04 Tokai Rika Co Ltd 加速度センサ
WO2015169839A1 (de) 2014-05-07 2015-11-12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9619C2 (de) 1995-10-25 2001-08-16 Autoliv Dev Fahrzeugsensitiver Sensor für einen selbstsperrenden Gurtaufroller
KR100258326B1 (ko) * 1998-05-18 2000-08-01 이형찬 차량용 리트렉터
JP4658409B2 (ja) 2001-08-31 2011-03-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220043C1 (de) * 2002-05-04 2003-10-23 Autoliv Dev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abschaltbarem Fahrzeugsensor
DE102007049200B4 (de) 2007-10-13 2023-10-05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ES2380774T3 (es) 2008-05-27 2012-05-18 Autoliv Development Ab Enrollador de cinturón de seguridad con desconexión de sensor
DE102009018177B4 (de) * 2009-04-22 2019-08-14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m geräuschgedämpften Beschleunigungssensor
KR101152602B1 (ko) * 2010-05-25 2012-06-04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DE102011103113A1 (de) * 2011-05-25 2012-11-29 Trw Automotive Gmbh Baugruppe für einen Gurtaufroller
DE102014210396B4 (de) * 2014-06-03 2021-05-27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6549879B2 (ja) * 2015-04-03 2019-07-24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7203417B4 (de) 2017-03-02 2020-09-1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m geräuschgedämpften Beschleunigungs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4921A (ja) * 2001-11-16 2003-05-2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9120068A (ja) * 2007-11-15 2009-06-04 Tokai Rika Co Ltd 加速度センサ
WO2015169839A1 (de) 2014-05-07 2015-11-12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2735B (zh) 2021-06-01
US20190039563A1 (en) 2019-02-07
CN109562735A (zh) 2019-04-02
DE102016202383B4 (de) 2018-05-24
US10766452B2 (en) 2020-09-08
WO2017140769A1 (de) 2017-08-24
JP6600416B2 (ja) 2019-10-30
DE102016202383A1 (de) 2017-08-17
JP2019505436A (ja) 2019-02-28
KR20180101563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838B1 (ko)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100323845B1 (ko) 차량용 좌석벨트 리트랙터
US7832768B2 (en) Retaining system with seat belt retractor and pretensioner device
US3446454A (e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US10315617B2 (en) Seat belt retractor with load limiting stop mechanism
JP6566725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470626B1 (ko) 좌석 벨트 리트랙터
US6732967B2 (en) Webbing retra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webbing retractor
GB2026847A (en) Safety belt apparatus
JPH07121675B2 (ja) 自動車における安全ベルト抑止装置のベルトを事前に緊締する緊締手段またはガスバッグ抑止装置のための解放機構
KR102225406B1 (ko) 차량 센서를 갖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US9688242B2 (en) Seatbelt retractor
US9738249B2 (en) Self-locking belt retractor anti-rattle action on its belt-strap-sensitive control system that is effective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belt shaft
US5669573A (en) Belt retractor
CN109476278B (zh) 安全带伸缩器
US6902129B2 (en) Seat belt device
JPH085358B2 (ja) 安全ベルト収納器の製作方法
JP5970720B2 (ja) ロック装置
US5312066A (en) Restraint belt retractor
JP2012508136A (ja) 非作動可能のロッキングシステムを備える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CN108025658B (zh) 调整装置
US9738250B2 (en) Seatbelt retractor
KR101718692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로킹 장치
JPH0415558Y2 (ko)
JP6523001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