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4761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761B1
KR102094761B1 KR1020150033825A KR20150033825A KR102094761B1 KR 102094761 B1 KR102094761 B1 KR 102094761B1 KR 1020150033825 A KR1020150033825 A KR 1020150033825A KR 20150033825 A KR20150033825 A KR 20150033825A KR 102094761 B1 KR102094761 B1 KR 102094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arizing plate
adhesive
layer
polariz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445A (ko
Inventor
문제욱
안혜진
정유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76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7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9/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61/00 - C09J177/00
    • C09J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J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편광판의 휨량 대비 하부 편광판의 휨량을 제어하여 전체적으로 휨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종래 패널의 신뢰도 테스트 중 하나인 내열 테스트 이후에도 빛샘 현상을 저감하여, 고품위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빛샘 현상이 저감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화상표시장치의 하나로서, 전형적인 화상표시장치인 음극선관((Cathode-ray tube, CRT)에 비해 경박단소화 및 저소비전력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CRT와는 달리 스스로 빛을 내는 소자가 아니기 때문에, 액정패널 이외에 광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으로는 주로 형광램프가 사용되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의 양면에는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이 각각 부착된다. 이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은 램프에서 나오는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켜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는 광원(11), 반사판(12), 도광판(13) 및 확산판(14)이 구비된 백라이트유닛(10)과 함께, 그 상부로 액정패널(30), 이의 상하부에 상부 편광판(20)과 하부 편광판(40)이 각각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부 및 하부 편광판(20, 40)은 한 쌍의 투명 보호필름 사이에 편광자가 위치하는 적층체의 한 면에는 액정패널과의 접합을 위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또한, 편광자로는 일정 방향으로 연신되고 2색성 염료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이 사용된다.
이때 상부 편광판(20)은 단변 방향(90도)으로 연신된 PVA 필름을 편광자로 포함하며, 하부 편광판(40)은 장변 방향(0도)으로 연신된 PVA 필름을 포함한다. 그러나 연신된 PVA 필름은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에 따라 연신축 방향으로 수축되며, 이로 인하여 액정패널도 휘게 되는 패널 휨 현상이 발생한다.
그 결과 액정패널(30)의 양면에 부착된 편광판(20, 40)의 수축 응력 차이로 인해 액정패널(30)이 백라이트유닛(10)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게 된고, 이로 인하여 액정패널(30)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게 된다.
상기 패널 휨 현상은 열 또는 습열 조건에서 더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빛이 새는 현상(즉, 빛샘 현상), 정전기 문제 등을 발생하며, 얼룩이 발생하여 액정패널의 불량을 야기한다. 특히 패널 휨은 하부 편광판에서 더욱 심각하게 발생한다.
이에 패널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일례로, 편광자와 접하는 보호필름의 재질을 한정하는 방법이 있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16382호는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흡수 팽창률을 갖는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편광판의 휨 발생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점착제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20037호는 액정패널의 제1 및 제2편광판용 점착제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조절하는 휨을 방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제2007-0035749호는 액정패널의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점착제 구성을 다르게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제2006-0060264호에서도 편광판의 휨 방향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점착력의 차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37001호에서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에 두께방향 굴절률이 한정된 λ/4 위상차판을 각각 배치하여 측면에서의 빛샘을 개선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상기한 재질적인 변경과 함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빛샘 현상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32961호는 하부 편광판을 상부 편광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여 액정패널의 휨 밸런스를 유지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고, 제2013-0036904호에서는 상기 특허와 반대로 하부 편광판의 두께를 상부 편광판보다 얇게 하여 액정패널의 휨 밸런스를 유지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고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아직까지 액정표시장치에서의 빛샘 현상을 만족스럽게 해소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빛샘 현상은 상기 특허들에서 언급하고 있는 패널 휨은 편광자의 수축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에 의해 더욱 심화된다.
즉, 편광판과 같은 다층 구조의 경우 각 필름의 접합을 위해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사용하는데, 이때 필름 간의 접착력이 약할 경우 접착력 또는 점착력이 약해져 필름 간 박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박리는 보호필름과 점착제층에서 심각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패널이 휠 뿐만 아니라 빛샘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필름 간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점착제 또는 접착제의 조성을 변경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고, 특히 UV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UV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어느 정도 필름 간 밀착력 향상 효과를 확보할 수 있었으나, 이를 사용하고도 편광판의 신뢰도 테스트 중의 하나인 내열 테스트에서 박리로 인해 여전히 패널 휨 및 빛샘 현상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02003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03574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06026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3700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3296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36904호
이에 본 출원인은 빛샘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연구한 결과, 내열 테스트 이후 필름 간의 박리를 저감시키는 방법과 패널 휨 밸런스를 동시에 조절할 경우 상기 내열 테스트 이후에도 빛샘 현상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다는 개념에 착안하여, 필름 간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편광판에 접착용이층을 도입하되, 하부 편광판의 휨 량을 늘려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휨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용이층의 도입 위치를 제어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 테스트 이후에도 빛샘 현상이 저감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측필름, 접착제, 편광자, 접착제, 보호필름 및 점착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부 및 하부 편광관과,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상부 및 하부 편광판 사이에 위치한 액정 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부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상기 하부 편광판은 점착제층과 보호필름 사이에 접착용이층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용이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접착용이층은 그 두께가 2.0 내지 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외측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추가의 기능성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외측필름, 편광자 및 보호필름은 광경화성 접착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는 5㎛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의 휨량 대비 하부 편광판의 휨량을 제어하여 전체적으로 휨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종래 패널의 신뢰도 테스트 중 하나인 내열 테스트 이후에도 빛샘 현상을 저감하여, 고품위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액정패널과 편광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액정패널과 편광판들의 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액정패널과 편광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액정패널과 편광판들의 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휨 변형량의 차이가 클 경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B)는 작은 경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과 편광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편광판의 휨 상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접착용이층을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과 액정 패널로 구성된 액정표시장치에서, 빛샘 현상이 저감된 액정표시장치를 제시한다.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편광자의 연신 방향이 단변에 위치한 하부 편광판보다는 편광자의 연신 방향이 장변에 위치한 상부 편광판의 휨량이 증가한다. 이는 내열 신뢰성 조건에서 더욱 심각하게 발생한다. 이에하부 편광판의 구성 요소로서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위치한 접착제 구성 대비 밀착력이 낮은 보호필름과 점착제층 사이에 접착용이층을 배치함으로써 밀착력을 높여 내열상태에서 편광자의 수축력이 편광판 휨량에 많은 영향을 주어 결국 하판 편광판의 휨량이 높아져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휨 밸런스를 맞춘다. 이와 더불어, 상부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접착용이층을 배치하고, 상기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의 접착을 수계 접착제가 아닌 광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분에 의해 편광판의 휨을 최소화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구현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액정패널과 편광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액정패널과 편광판들의 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보면, 액정표시장치는 통상 액정패널(30a)을 가운데 두고 상부 편광판(20a)과 하부 편광판(40a)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편광판(20a)의 흡수축은 80 내지 100도이고, 하부 편광판(40a)의 흡수축은 -10 내지 10도이고, 이들은 서로 흡수축이 90도를 이루도록 배치한다. 도 2에서의 상부 편광판(20b)의 흡수축은 0도이고, 하부 편광판(40b)의 흡수축은 90도이다.
도 3을 보면, 상부 편광판(20a)의 흡수축이 0도이고, 하부 편광판(40a)의 흡수축이 90도일때, 상기 상부 편광판(20a)은 좌우 수축이 일어나 ∪ 타입으로 휨이 발생하고, 하부 편광판(20a)은 상하 수축이 일어나, 상부 편광판(20a) 및 하부 편광판(40a)의 휨이 발생한다.
[제2구현예]
휨 현상과 관련하여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흡수축을 달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액정패널과 편광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액정패널과 편광판들의 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구현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통상 액정패널(30b)을 가운데 두고 상부 편광판(20b)과 하부 편광판(40b)을 배치한다.
바람직하기로, 상부 편광판(20a)의 흡수축은 -10 내지 10도이고, 하부 편광판(40a)의 흡수축은 80 내지 100도이고, 이들은 흡수축이 90도를 이루도록 배치한다. 도 4에서의 상부 편광판(20b)의 흡수축은 90도이고, 하부 편광판(40b)의 흡수축은 0도이다.
도 5를 보면, 상기 상부 편광판(20b)은 상하 수축이 일어나 n 타입으로 휨이 발생하고, 하부 편광판(40b)은 좌우 수축이 일어나, 상부 편광판(20a)과 하부 편광판(40b)의 휨이 발생한다.
상기 도 3 및 도 5에서 제시하는 휨은 상부 편광판(20a, 20b)에서 더욱 심각하게 일어나며 결과적으로 빛샘을 유발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부 편광판(40a, 40b)의 휨을 상부 편광판(20a, 20b)의 휨 정도에 맞춰서 상부 및 하부 편광판(20a, 40a)의 휨 밸런스를 조절한다.
도 6의 (A)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휨 변형량의 차이가 클 경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B)는 작은 경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휨 변형량의 차이가 작으면 적을수록 전체 액정 표시장치의 휨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부 편광판과 하부 편광판의 휨 변형량이 절댓값으로 1.0 이하의 범위를 갖도록 한다.
패널 휨은 유리 기판을 80도에서 250시간 방치한 후 23도, 상대습도 50%의 조건하에서 2시간 동안 방치 후 3차원 측정기(장비명: VMR-6555, 회사명:Nikon)로 패널휨의 높이 차이를 측정하였다.
패널 휨은 ∪형은 +휨, ∩형은 -휨으로 표시하고, 이때 측정된 절댓값의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패널 휨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기로 0.9mm 이하의 수치를 갖는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의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휨 제어는 각 편광판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배치 및 재질에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은 외측필름, 편광자, 보호필름 및 점착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외측필름, 편광자 및 보호필름은 이들 사이에 위치한 접착제층으로 접합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서는 각 층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접착용이층(프라이머층, 앵커층, 또는 앵커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부 및 하부 편광판에서 그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부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상기 하부 편광판은 점착제층과 보호필름 사이에 접착용이층을 배치한다.
상기 구성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30)과 이의 상하부에 위치한 상부 편광판(20)과 하부 편광판(4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편광판(20)은 위에서부터 제1외측필름(21), 제1접착제층(22), 제1편광자(23), 제2접착제층(24), 제1접착용이층(25), 제1보호필름(26), 및 제1점착제층(27)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하부 편광판(40)은 하부에서부터 제2외측필름(41), 제3접착제층(42), 제2편광자(43), 제4접착제층(44), 제2보호필름(46), 제2접착용이층(45), 및 제2점착제층(47)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점착제층(27)과 제2점착제층(47)은 액정 패널(30)과 접합한다.
도 7에서, 상부 편광판(20)과 하부 편광판(40)에 배치된 제1 및 제2접착용이층(25, 45)은 이와 접하는 층간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하부 편광판(40)에 제2점착제층(47)과 제2보호필름(46) 사이에 제2접착용이층(45)을 배치하여 이들 사이의 밀착성을 더욱 높임으로써 상기 하부 편광판(40)의 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예를 살펴보면, 하부 편광판(40)의 제2접착용이층(45)의 배치에 따라 하부 편광판(40)의 휨 량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제2편광자(43)와 제2보호필름(46) 사이에 위치할 때보다, 제2점착제층(47)과 제2보호필름(46) 사이에 제2접착용이층(45)을 위치시키는 경우 하부 편광판(40)의 휨량을 높여, 전체 편광판의 휨 밸런스를 맞출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부 편광판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발명의 상부 편광판(20)에서의 제1접착용이층(25)은 제1편광자(23)와 제1보호필름(25)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때 상기 제1접착용이층(25)이 하부 편광판(40)에서처럼 제1보호필름(26)과 제1점착제층(27)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 편광판(20)의 휨 량이 더욱 커지게 되어, 이를 보상하기 위한 하부 편광판(40)의 휨 량 제어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구현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광자
상부 및 하부 편광판(20, 40)의 제1 및 제2편광자(23, 43)는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8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내지 100몰%이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에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올레핀류, 비닐 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불포화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정도이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편광 필름의 원반으로서는, 두께가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미연신 필름이 이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편광자(23, 43)는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연신된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상기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색소가 흡착된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수세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2색성 색소로는 요오드나 2색성의 유기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보호필름
상부 및 하부 편광판(20, 40)의 제1 및 제2보호필름(26, 46)은 각각의 편광자(23, 43)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이다.
상기 제1 및 제2보호필름(26, 46)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투명한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보호필름(26, 46)으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노르보르넨과 같은 환상 올레핀을 주요한 단량체로 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열가소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독일의 티코나(Ticona)사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토파스(Topas), JSR(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톤, 니혼제온(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제오노어나제오넥스, 미쓰이가가꾸(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아펠(모두 상품명) 등이 있다. 이러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부터 제막한 것을 보호 필름으로 하는 경우, 제막에는 용제 캐스팅법, 용융 압출법 등, 공지된 방법이 적절히 이용된다. 제막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도 시판되고 있고, 예를 들면 세키스이가가꾸 고교(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에스시나나 SCA40 등이 있다.
제1 및 제2보호필름(26, 46)의 두께는 얇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한편으로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적층 후에 필요한 양생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보호 필름의 적당한 두께는, 예를 들면 5 내지 2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보호필름(26, 46)과 접하는 제2 및 제4접착제층(24, 44) 또는 제1 및 제2편광자(23, 43)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편광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보호필름(26, 46)에는 눈부심 방지 처리, 반사 방지 처리, 하드 코팅 처리, 대전 방지 처리, 위상차 처리, 방오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 표면 보호층은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나, 페닐포스페이트계 화합물, 프탈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가소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제1 및 제2보호필름(26, 46)은 제1 및 제2편광자(23, 43)의 한쪽 면에 접합될 수도 있고, 양면에 접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호필름으로 위상차 보상 투명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였다.
아크릴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된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이며, 이것에 소량의 다른 코모노머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의 주성분이 되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는 통상 알킬메타크릴레이트이며, 특히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코모노머 성분으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화합물이나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비닐시안 화합물 등을 코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외측필름
제1 및 제2외측필름(21, 41)은 편광자 또는 편광판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추가로 기능성층을 더욱 포함한다.
보호필름과 함께 사용 가능한 기능성층은 접착제층, 점착제층,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방지층, 확산방지층, 눈부심 방지층, 위상차보상층, 시야각보상층, 휘도향상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층은 처리를 통해 층을 형성하거나 필름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층 형성 방법이나 필름 제조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따르며, 필름의 경우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각 층의 조성 및 두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성 및 두께 범위를 갖는 필름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티 글레어 처리된 아크릴레이트 필름을 사용하였다.
접착제층
제1 내지 제4접착제층(22, 24, 42, 44)은 제1 및 제2보호필름(26, 46) 또는 외측필름(21, 41)과 제1 및 제2편광자(23, 43)의 접합을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접착제층(22, 24, 42, 44)의 재질은 통상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 폴리머계 라텍스형 접착제,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친수기를 갖는 우레탄계 접착제와 같은 수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수계 접착제의 경우 접착제 내 존재하는 수분으로 인해 건조 이후에도 접착제 내 수분이 편광자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영향을 주고, 이로 인해 편광자의 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4접착제층(22, 24, 42, 44)의 재질로 수계 접착제가 아닌 광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한다.
사용 가능한 광경화형 접착제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모든 광경화형 접착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100695호, 제2010-0014583호, 제2011-0112217호 제2011-0000525호에 기재된 바의 접착제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A)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와 1개 이상의 방향환을 갖는 에폭시 화합물 20∼60중량%, (B) 에스테르 골격이 있어도 좋은 탄소수 5∼10개를 갖는 디올(단,에테르 화합물을 제외한다)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5∼45중량%, 및 (C)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0.5∼10중량%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에 있어서 (A)성분이 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와 적어도 1개의 방향환을 갖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각종 경화성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A)성분의 구체예로서는 비스페놀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F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및 브롬화 비스페놀A의 디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에폭시 수지; 기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히드로퀴논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테레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말단 카르복시산 폴리부타디엔과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의 부가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에 있어서 (B)성분이 되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는 (B) 에스테르 골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10개를 갖는 디올(단,에테르 화합물을 제외한다)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B)성분으로서 분자 내의 (메타)아크릴로일기의 수가 3 이상인 것을 사용하면 편광자로의 접착성이 불량해지기 쉽다. 또한, 분자 내의 (메타)아크릴로일기의 수가 1이면 자외선 조사량이 적은 경우에 잔존 모노머가 잔존하거나 해서 접착성이나 내구성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탄소수 5∼10개를 갖는 디올이어도 에테르 화합물인 것은 편광자로의 접착성이 불충분한 것이 되어버린다.
(B)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면서 건조도가 높은 편광자로 접착하는 경우라도 접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B)성분에 있어서 탄소수 5∼10개를 갖는 디올의디(메타)아크릴레이트의구체예로서는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틸-1,5-펜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B)성분은 에스테르 골격을 가져도 좋고, 구체예로서는 네오펜틸글리콜과히드록시피발산과 (메타)아크릴산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경화 성분으로서 상술한 에폭시 화합물(A) 및 필요에 따라서 후기하는 옥세탄 화합물을 함유하고, 이들은 모두 양이온 중합에 의해 경화되므로 (C)성분으로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가 배합된다. 이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키고, 에폭시기나 옥세타닐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한다.
(C)성분으로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배합함으로써 상온에서의 경화가 가능해지고, 편광자의 내열성이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한 변형을 고려할 필요가 감소하고, 보호막을 양호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촉매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에폭시 화합물(A) 및 옥세탄 화합물(B)에 혼합해도 보존 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이나 루이스산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드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과 같은 오늄염, 철-알렌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는 옥세탄 화합물,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레벨링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금속 산화물 미립자, 소포제, 색소, 유기용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광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접착제층(22, 24, 42, 44)은 접착 성능을 고려하여 그 두께가 5㎛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용이층
제1 및 제2접착용이층(25, 45)은 프라이머층, 앵커층 또는 앵커 코팅층이라고도 하며, 두 종류의 필름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제1 및 제2접착용이층(25, 45)은 우수한 투명성, 열 안정성, 낮은 복굴절성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1 및 제2접착용이층(25, 45)은 제1 및 제2접착용이층(25, 45)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조성물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커플링제, 가교제, 가소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윤활제, 산화 방지제, UV 흡수제, 난연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상용화제, 증점제, 왁스, 유기 미립자, 무기 미립자, 소포제 등과 같은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커플링제는 동일 분자 내에 아미노기, 비닐기, 에폭시기, 메르캅토기, 클로르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와 가수 분해성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실란계 커플링제, 동일 분자 내에 티탄을 함유하는 가수 분해성 친수성기와 유기 관능성기를 갖는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및 동일 분자 내에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가수 분해성 친수성기와 유기 관능성기를 갖는 알루미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이 가능하다.
또한, 가교제로는 아크릴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폴리비닐알코올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유기 실란계 가교제, 블록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유기티타네이트계 가교제, 유기지르코네이트계 가교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가능하다.
이들 첨가제의 함량은 제1 및 제2접착용이층(25, 45) 내 총 고체 함유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비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중량비 이하로 사용한다.
상기 제1 및 제2접착용이층(25, 45)의 형성은 예를 들어, 각 필름에 접착용이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도포 및 건조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기술을 따른다.
제1 및 제2접착용이층(25, 45)은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으며, 2.0 내지 500nm, 바람직하기로 10 내지 200nm의 두께를 갖는다. 만약 그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접착 강화 효과가 충분치 않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편광판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점착제층
제1 및 제2점착제층(27, 47)은 액정패널(30)과 접합하기 위한 층으로서,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테르계, 플루오르계 또는 고무계 등의 통상의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층은 흡습에 의한 벗겨짐 현상, 기포발생 현상의 방지와 열팽창계수들 간의 차이에 의한 액정셀의 뒤틀림, 광학 특성 저하의 방지와 같이 품질과 내구성에서 우수한 화상표시장치의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흡습율이 낮고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경화 또는 건조와 같은 어떠한 고온처리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장기간의 경화 또는 건조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때 제1 및 제2점착제층(27, 47)은 필요한 경우 알칼리금속염, 이온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금속산화물, CNT 등의 공지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중에서 이온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가교제 및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점착제층(27, 47)의 두께는 사용 목적과 재박리성(rework)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 내지 500㎛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인 것이다.
추가 가능층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하부 편광판(20, 40)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한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광학층이 편광자 상에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편광자를 보호하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적층된 구조;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 또는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방지층(anti-sticking), 확산방지층, 눈부심 방지층 등의 표면 처리층이적층된 구조;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 또는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시야각을 보상하는 배향 액정층 또는 또 다른 기능성 막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각종 화상표시장치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편광변환장치와 같은 광학막, 리플렉터, 반투과판, 1/2 파장판 또는 1/4 파장판과 등의 파장판(λ판 포함)을 포함하는 위상차판, 시야각 보상막, 휘도 향상막 중의 하나 이상이 광학층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의 한 면에 편광자 보호필름이 적층된 구조의 편광판으로서, 적층된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리플렉터 또는 반투과 리플렉터가 적층된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위상차판이 적층된 타원형 또는 원형 편광판; 시야각 보상층 또는 시야각 보상막이 적층된 넓은 시야각 편광판; 또는 휘도 향상막이 적층된 편광판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제조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다.
일례로, 편광자는
(S1) 접착용이층이 형성된 보호필름, 편광자 및 외측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S2) 편광자를 사이에 두고 보호필름 및 외측필름을 양 측에 배치시키는 단계,
(S3) 이들 필름 중 한 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접합하는 단계,
(S4) 광 조사를 통해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하는 단계, 및
(S5) 상기 보호필름의 일 면에 점착제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편광자는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접착용이층의 배치를 점착제층 측으로 배치하여 제조한다.
이하 각 단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접착용이층이 형성된 보호필름, 편광자 및 외측필름을 준비한다(S1).
접착용이층은 통상의 도포 공정을 거쳐 보호필름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때 도포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닥터 블레이드, 와이어 바, 다이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어코터 등 여러 가지의 도포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편광자를 사이에 두고 보호필름 및 외측필름을 양 측에 배치시킨다(S2).
다음으로, 이들 필름 중 한 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이들을 접합한다(S3).
이때 도포는 상기 언급한 바의 방법을 따른다.
접합은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를 유연시킨 후 롤 등으로 가압해서 균일하게 압착하는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롤의 재질은 금속이나 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면에 배치되는 롤은 동일한 재질이어도 좋고, 다른 재질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광조사를 통해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한다(S4).
광조사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취급이 용이하고 경화 속도도 충분하므로 일반적으로는 자외선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400㎚ 이하로 발광 분포를 갖는, 예를 들면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칼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 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LED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 광조사 시간, 조사 강도 등은 사용되는 광경화성 접착제의 조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필름의 일 면에 점착제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거쳐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을 제조한다(S5).
상기 단계를 거쳐 제조된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은 각 편광판의 점착제층을 액정패널에 부착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패널의 휨 현상이 거의 없어 빛샘 수준 또한 양호한 수준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액정표시장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반사형, 투과형 및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LCD)와 TN형, STN형, OCB형, HAN형, VA형, IPS형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액정표시장치(LCD)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5
(1) 상부 및 하부 편광판 제작
편광자 필름의 아크릴 수지 필름을 배치하되, 이들 필름 표면을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UV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하고, 압연 롤로 밀착시켰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표면에 벨트 컨베이어가 부착된 자외선 조사 장치(램프는 Fusion사 제의 "Fusion H밸브" 사용)에서 적산 광량 300 mJ/㎠(UV-B)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를 수행한 후, PSA 점착시트를 부착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때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은 OXIS 필름의 방향을 달리하여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필름>
1. PMMA: 아크릴 수지필름, 두께 60㎛, 상품명 "테크노로이 S001", 스미토모 화학㈜제품. 이 필름의 일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나서 편광자와의 접합에 제공했다.
2. AG-PMMA: 상기 PMMA필름의 일면에 방현처리(Anti Glare)를 실시한 필름으로, 두께는 65㎛이며, 방현도는 1%인 필름이다.
3. OXIS: 일면에 접착용이층을 구비한 위상차 보상 아크릴계 보호필름, 오쿠라고교사, 두께 40㎛
접합용이층은 우레탄계 수지로써 두께 약 500nm.
4. 편광자: 일본 쿠라레사의 폴리비닐알코올(제품명 VF-PE6000)을
1축 연신된 필름으로써 두께 약 23㎛.
5.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써, 에폭시 수지 조성물 (아데카사 제조 [KR 시리즈], 점도: 44mPa·s, 양이온 중합 개시제 포함)
6. PSA: 부틸아크릴계 모노머와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함유 점착제. 두께 20 ㎛.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상부 편광판(층구성)

AG-PMMA AG-PMMA AG-PMMA AG-PMMA AG-PMMA AG-PMMA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편광자 편광자 편광자 편광자 편광자 편광자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접착용이층 접착제 OXIS 접착제 OXIS 접착용이층
OXIS OXIS OXIS 접착용이층 OXIS
PSA PSA PSA PSA PSA PSA
액정셀 액정셀 액정셀 액정셀 액정셀 액정셀
하부 편광판
(층구성)
PSA PSA PSA PSA PSA PSA
접착용이층 OXIS OXIS OXIS OXIS OXIS
OXIS 접착제 접착제 접착용이층 접착제 접착용이층
접착제 편광자 편광자 접착제 편광자 접착제
편광자 편광자 편광자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접착제
PMMA PMMA PMMA PMMA PMMA PMMA
(2) 액정 패널 접합
LG 디스플레이사의 5.5인치 패널(0.4T)의 상부 및 하부에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제작한 상부 및 편광판을 장착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편광판 부착 액정 패널의 내열 테스트 이후 휨량을 측정하고, 빛샘 현상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패널 휨 측정
패널 휨(mm)은 액정패널을 80℃에서 250시간 방치한 후 23도, 상대습도 50%의 조건하에서 2시간 동안 방치 후 3차원 측정기(장비명: VMR-6555, 회사명:Nikon)로 패널휨의 높이 차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편광판들에 대한 곡률 이미지와 관련된 FOS Image 및 Bent 3D-Image와 더불어 Bent 3D-Image에서의 평균 휨량을 도 8에 나타내었다.
(2) 빛샘 관찰
상기 제작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 패널을 80℃의 오븐에 250시간 방치하고 다시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백라이트 위에 거치하여 사진을 찍어 빛샘이 발생하는지 관찰하였다. 이때 도 9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여부를 보여주는 사진을 나타내었다.
◎: 에지부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
△: 에지부에서 빛샘 현상이 미세하게 발생.
×: 빛샘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
상부 편광판의
평균 휨량(mm)
하부 편광판의
평균 휨량(mm)
상부-하부 편광판의
휨량 차이(mm)
빛샘 발생
실시예 1 1.818 0.954 0.864 ×
비교예 1 1.564 0.835 0.729
비교예 2 1.818 0.835 0.983
비교예 3 1.564 0.862 0.702
비교예 4 1.929 0.835 1.094
비교예 5 1.818 0.862 0.956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패널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비교하여, 접착용이층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휨량 차이가 0.729mm로 실시예 1보다 그 수치가 낮았으나, 실질적으로 도 8을 보면 빛샘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접착용이층을 상부 또는 하부 편광판에만 사용한 비교예 2 내지 4의 경우 빛샘 현상이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부 편광판에만 접착용이층을 사용한 비교예 2 및 4의 경우 빛샘 현상이 심각하였으며, 하부 편광판에만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에서도 빛샘 현상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하부 편광판의 접착용이층의 위치를 달리한 비교예 5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휨량 뿐만 아니라 빛샘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접착용이층은 그 존재 여부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느냐에 따라 빛샘 발생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액정표시장치 10: 백라이트유닛
11 : 광원 12 : 반사판
13 :도광판 14 : 확산판
20, 20a, 20b: 상부 편광판 21: 제1외측필름
22: 제1접착제층 23: 제1편광자
24: 제2접착제층 25: 제1접착용이층
26: 제1보호필름 27: 제1점착제층
41: 제2외측필름 42: 제3접착제층
43: 제2편광자 44: 제4접착제층
45: 제2접착용이층 46: 제2보호필름
47: 제2점착제층

Claims (10)

  1. 외측필름, 접착제, 편광자, 접착제, 보호필름 및 점착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부 및 하부 편광관과,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상부 및 하부 편광판 사이에 위치한 액정 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상기 하부 편광판은 점착제층과 보호필름 사이에 접착용이층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 편광판에서 편광자 및 보호필름은 접착제를 통해 직접 적층되며,
    상기 상부 편광판에서 보호필름 및 점착제층은 직접 적층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편광판의 외측필름, 편광자 및 보호필름은 광경화성 접착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이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이층은 그 두께가 2.0 내지 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측필름은 추가로 접착제층, 점착제층,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방지층, 확산방지층, 눈부심 방지층, 위상차보상층, 시야각보상층, 휘도향상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는 5㎛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편광판의 흡수측이 80 내지 100도이고, 하부 편광판의 흡수축이 -10 내지 10도이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편광판들은 흡수축이 서로 90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편광판의 흡수축이 -10 내지 10도이고, 하부 편광판의 흡수측이 80 내지 100도이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편광판들은 흡수축이 서로 90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50033825A 2015-03-11 2015-03-11 액정표시장치 Active KR102094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25A KR102094761B1 (ko) 2015-03-11 2015-03-11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25A KR102094761B1 (ko) 2015-03-11 2015-03-11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45A KR20160109445A (ko) 2016-09-21
KR102094761B1 true KR102094761B1 (ko) 2020-03-30

Family

ID=5708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825A Active KR102094761B1 (ko) 2015-03-11 2015-03-11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2302B2 (ja) * 2015-06-30 2017-08-0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1800A1 (en) 1999-01-22 2006-01-05 Sanelle Joseph J Super bright low reflectance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68669B1 (ko) * 2006-05-31 2010-07-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037A (ko)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0692695B1 (ko) 2004-11-30 2007-03-1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80064803A (ko) * 2005-09-14 2008-07-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사용한 액정 패널, 및 화상표시장치
KR20070035749A (ko) 2005-09-28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08010562A1 (fr) * 2006-07-18 2008-01-2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laque de polarisation composite,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élément optique composite et dispositif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KR101665598B1 (ko) 2009-10-05 2016-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JP2012032696A (ja) * 2010-08-02 2012-02-16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位相差板、複合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831650B1 (ko) 2011-05-30 2018-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820285B1 (ko) 2011-10-05 2018-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1800A1 (en) 1999-01-22 2006-01-05 Sanelle Joseph J Super bright low reflectance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68669B1 (ko) * 2006-05-31 2010-07-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45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883B1 (ko) 광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64094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155921B1 (ko) 광경화성 접착제,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CN107664788A (zh) 光学层叠体
US10353125B2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13769A (ko) 광학 적층체
KR102527505B1 (ko) 편광판
WO2016052732A1 (ja) 光学フィルム積層体、その光学フィルム積層体を用いた光学的表示装置、及び透明保護フィルム
CN108107499B (zh) 偏振板、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CN106054437B (zh) 带粘合剂层的偏振膜组、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CN106393922B (zh) 光学层叠体及液晶显示装置
KR102519866B1 (ko)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21755A (ko)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볼록면측 편광판
JP2020101815A (ja) 偏光板セット
JP6689031B2 (ja) 光学積層体
CN105885705A (zh) 固化性粘接剂组合物及使用其的偏振片
CN106468797B (zh) 用于曲面图像显示面板的偏振板
KR102565135B1 (ko) 편광판
JP2011242582A (ja) 偏光板のセッ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14514570B (zh) 柔性图像显示装置以及用于其的光学层叠体
KR102755811B1 (ko) 액정층 적층체
WO2021131152A1 (ja) 加飾付積層体、光学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KR10209476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210122699A (ko)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7298588B2 (ja) 調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3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