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1558B1 -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558B1
KR102091558B1 KR1020190125001A KR20190125001A KR102091558B1 KR 102091558 B1 KR102091558 B1 KR 102091558B1 KR 1020190125001 A KR1020190125001 A KR 1020190125001A KR 20190125001 A KR20190125001 A KR 20190125001A KR 102091558 B1 KR102091558 B1 KR 10209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mulching film
cylind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박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열 filed Critical 박정열
Priority to KR102019012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558B1/ko
Priority to PCT/KR2020/006635 priority patent/WO2021071047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A01G13/027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2Mats; Nets; Sheets or films
    • A01G13/33Sheet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 C08L23/0853Ethene vinyl acetat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52Mul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배합물, 방충/방균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배합물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1 수지 및 에틸렌계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배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충/방균 물질을 55 내지 70 중량부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멀칭필름 조성물의 배합비율, 배합속도 및 배합온도와 멀칭필름 제조 시 압출 온도 등의 조건을 조절하여 멀칭필름의 방향성 및 방향 지속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해충 기피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Mulching film with improved insect repellent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멀칭농법은 친환경 농법 중 한가지로서 농작물을 재배할 때 토양의 표면을 덮어주는 자재 예컨대, 볏짚, 보릿짚, 목초 등으로 토양의 상면을 피복하여 잡초의 생육을 차단하고 병충해를 예방하며 농약사용을 절감하며, 토양침식을 방지하고 토양수분을 유지하는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농법을 의미한다.
농업용 멀칭필름은 농작물의 뿌리를 덮어 줌으로써 지온 상승효과로 동절기 농작물의 동사를 방지하고 토양내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농작물의 재배를 용이하게 하는 제품으로 기존에는 짚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80년대 중반 이후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대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칭 필름의 기능으로는 지온의 보온 효과, 토양내 보양, 보수 효과 이외에 지표면의 빛을 차단함으로써 바이러스, 진딧물과 같은 해충 제거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멀칭 필름으로는 원색 멀칭필름, 흑색 멀칭필름, 배색 멀칭필름, 흑ㅇ백색 멀칭필름, 은회색 멀칭필름, 산파 멀칭필름이 있으며 이들 각각의 기능 및 제품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색 멀칭필름은 베이스수지 자체색의 박막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단독으로 단순히 지온의 보온효과를 지니며, 흑색 멀칭필름은 흑색칼라로 빛을 차단하여 잡초 및 해충의 생육을 방지하고 필름 내후성 향상 및 비료성분의 과잉 분해방지 효과를 지닌다. 배색 멀칭필름은 2중막으로 가장자리(Edge)부의 흑색층은 빛을 차단하여 흑색 멀칭필름의 효과를 얻고 중앙부의 원색층은 광선 투과로 지온 상승을 유도한다. 또한 흑ㅇ백색멀칭필름은 표면의 백색칼라로 빛을 반사, 차단하여 지온의 하강 및 잡초, 해충의 생육을 억제하고 보수력 우수하여 주로 고랭지용으로 사용되며 표면부는 백색, 지면접촉부는 흑색으로 구성되어 있다.은회색 멀칭필름은 표면의 은회색으로 빛을 반사하여 해충의 생육을 방지하고 2중 필름으로 빛을 차단하여 잡초, 해충의 생육을 방지하고 보수, 보비, 보온성이 우수하여 균일한 저온유지가 가능하여 주로 고랭지용으로 사용되며 표면부는 은회색, 지면접촉부는 흑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수구조의 산파 멀칭필름은 일반 멀칭필름에 씨앗 파종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으로 가로, 세로방향으로 절개된 구조이다.
상기의 농업용 멀칭 필름은 원색 또는 흑, 백색의 필름으로 그린하우스 또는 옥외경작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기상조건을 적절하게 조성해 주기 위해 농작물의 성장환경에 적합한 햇빛을 공급하기 위한 차광효과와, 흡열을 방지하고 야간이나 동절기에 보온효과를 유지하며 과습에 의한 병충해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지금까지 토양중의 뿌리혹 선충을 죽이기 위해 메틸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독성 살충제를 사용하였으나 살충제에 의한 방법은 살충제 살포시, 또한 식용으로 사용 시 인체에 유해하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62727호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28210호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19454호
본 발명은 방향 성분으로 인한 해충 기피 효과를 갖는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향성 및 방향 지속성이 향상된 멀칭필름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 배합물, 방충/방균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배합물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1 수지 및 에틸렌계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배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충/방균 물질을 55 내지 70 중량부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지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및 프로필렌-기재 엘라스토머(Propylene Based Elastomer) 중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지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및 프로필렌-기재 엘라스토머(Propylene Based Elastomer)를 6:4 내지 8:2 비율로 혼합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충/방균 물질은 살균 물질 및 살충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 물질은 피톤치드 원액 및 이온화된 칼슘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틸렌계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수지와 방충/방균 물질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배합 수지를 제조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 수지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원료를 컴파운드하여 컴파운드 수지를 제조하는 컴파운드단계; 및 상기 컴파운드 수지를 압출하여 멀칭필름을 제조하는 압출단계;를 포함하는 멀칭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합단계는 배합속도 40 내지 60 rpm, 배합시간 25 내지 45분, 배합온도 25 내지 45℃로 수행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컴파운드단계는 상기 원료를 직렬로 연결된 제1 실린더, 제2 실린더 및 제3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부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가열 및 컴파운드하는 단계이며, 컴파운드 속도는 50 내지 70 rpm 이고, 제1 실린더의 온도는 80 내지 100℃, 제2 실린더의 온도는 100℃ 내지 120℃, 제3 실린더의 온도는 120 내지 140℃로 구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출단계는 압출속도 50 내지 70 rpm이며, 실린더를 통해 압출되는 경우 압출 온도가 135 내지 165℃ 범위에서 상승 또는 유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칭필름 조성물의 배합비율, 배합속도 및 배합온도와 멀칭필름 제조 시 압출 온도 등의 조건을 조절하여 멀칭필름의 방향성 및 방향 지속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해충 기피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멀칭 필름의 GC-MS 측정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칭필름 조성물은 수지 배합물, 방충/방균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멀칭필름 조성물은 수지 배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충/방균 물질을 55 내지 70 중량부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한다.
상기 수지 배합물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1 수지 및 에틸렌계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 배합물은 제1 수지를 70 내지 90 중량%, 제2 수지를 10 내지 30 중량%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지를 80 내지 90 중량%, 제2 수지를 10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수지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수지는 에틸렌계 코폴리머를 포함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및 프로필렌-기재 엘라스토머(Propylene Based Elastomer) 중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에틸렌계 코폴리머를 1종 포함할 경우 프로필렌-기재 엘라스토머(Propylene Based Elastomer)를 포함하는 것이 좋고, 2종 포함할 경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및 프로필렌-기재 엘라스토머(Propylene Based Elastomer)를 6:4 내지 8:2 비율로 혼합하여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방충/방균 물질은 살균 물질 및 살충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살균 물질은 편백, 구상, 삼, 전나무 등에서 추출한 피톤치드 원액 및 이온화된 칼슘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살충 물질은 제충국제를 포함한다.
상기 방충/방균 물질은 살균 물질 및 살충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살균 물질을 50 내지 55 중량%, 살충 물질을 40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상기 살균 물질이 피톤치드 원액 및 이온화된 칼슘 분말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피톤치드 원액을 5 내지 10 중량% 포함하고, 이온화된 칼슘 분말을 40 내지 50 중량%, 제충국제를 40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및 분산제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Phenolic primary antioxidant) 및 인계 2차 산화방지제(phosphite secondary antioxidant)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를 30 내지 35 중량% 포함하고, 상기 분산제를 65 내지 70 중량% 포함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를 2종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를 15 내지 20 중량%, 상기 인계 2차 산화방지제를 15 내지 20 중량%, 상기 분산제를 65 내지 7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칭필름 제조방법은 전술한 멀칭필름 조성물의 배합비율에 따라 제2 수지와 방충/방균 물질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배합 수지를 제조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 수지 및 제1 수지를 혼합한 원료를 컴파운드하여 컴파운드 수지를 제조하는 컴파운드단계 및 상기 컴파운드 수지를 압출하여 멀칭필름을 제조하는 압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합단계는 배합 장치에 제2 수지와 방충/방균 물질 및 첨가제를 투입한 후 혼합하여 배합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이 때 배합속도는 40 내지 60 rpm, 배합시간은 25 내지 45분, 배합온도는 25 내지 45℃로 수행된다. 배합속도는 45 내지 55 rpm, 배합시간은 30 내지 40분, 배합온도는 30 내지 40℃로 수행되는 것이 좋다.
상기 컴파운드단계는 컴파운드 장치에 배합 수지 및 제1 수지를 투입한 후 컴파운드하여 컴파운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컴파운드 장치는 배합 수지 및 제1 수지가 투입되는 호퍼부; 및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호퍼부를 통하여 투입된 수지를 이송시키면서 가열 및 컴파운드하는 원통형의 실린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컴파운드 장치는 기타 컷팅부, 냉각부, 사일로부 등을 더 포함하여 컴파운드된 원료가 실린더부를 통과하여 나올 때 컷팅부를 통해 컷팅을 한 후 냉각부를 통해 공냉시킨 원료를 사일로부로 보내 사일로부에 원료가 일정 부분 들어간 후 하부로 특정 중량으로 포대에 개별 포장할 수 있다.
상기 컴파운드 장치의 실린더부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실린더, 제2 실린더 및 제3 실린더를 포함하며, 호퍼부를 통하여 투입된 원료는 제1 실린더, 제2 실린더 및 제3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 때 실린더부의 모터에 의한 컴파운드 속도는 50 내지 70 rpm 이며, 컴파운드 온도는 80 내지 140℃로 수행된다. 제1 실린더, 제2 실린더 및 제3 실린더로 이송될수록 컴파운드 온도가 적어도 10℃ 이상 상승한다. 예를 들어, 제1 실린더의 온도는 80 내지 100℃, 제2 실린더의 온도는 100℃ 내지 120℃, 제3 실린더의 온도는 120 내지 140℃로 상승하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압출단계는 압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컴파운드 수지를 압출하여 멀칭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압출장치는 컴파운드 수지가 투입되는 호퍼부;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호퍼부를 통해 투입된 컴파운드 수지를 이송(압출)시키면서 가열 및 압출하는 원통형의 압출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끝단에 구비되는 헤드 노즐을 포함하는 압출부 및 필름을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다이 및 튜브를 포함하는 성형부; 및 기타 권취부, 와인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 장치의 압출실린더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압출실린더, 제2 압출실린더 및 제3 압출실린더를 포함하며, 호퍼부를 통하여 투입된 컴파운드 수지는 제1 압출실린더, 제2 압출실린더, 제3 압출실린더, 헤드 노즐 및 다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 때 압출실린더부의 모터에 의한 압출속도는 50 내지 70 rpm이며, 제1 압출실린더, 제2 압출실린더, 제3 압출실린더, 헤드 노즐 및 다이로 압출될수록 압출 온도가 적어도 5℃ 이상 상승하거나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1 압출실린더의 온도는 135 내지 145℃, 제2 압출실린더의 온도는 145 내지 155℃, 제3 압출실린더의 온도는 145 내지 155℃, 헤드 노즐의 온도는 150 내지 160℃, 다이의 온도는 155 내지 165℃로 상승 또는 유지하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칭필름 조성물 및 멀칭필름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멀칭필름은 제조시 동일한 함량으로 방충/방균 물질을 첨가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제조된 멀칭필름 내에 포함된 방충/방균 물질의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배합 장치에 EVA, PBE, 제충국제(pyrethrum insecticide), 피톤치드 원액(phytoncide), 중탄, 산화방지제 및 분산제를 투입한 후 50rpm 으로 35℃에서 35분간 배합하여 배합 수지를 얻었다.
컴파운드 장치에 상기 배합수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투입한 후 컴파운드 속도 60rpm, 제1 실린더 온도 90℃, 제2 실린더 온도 110℃, 제3 실린더 온도 130℃로 컴파운드하여 컴파운드 수지를 얻었다.
압출 장치에 상기 컴파운드 수지를 투입한 후 모터 속도 60 rpm, 제1 압출실린더 온도 140℃, 제2 압출실린더 온도 150℃, 제3 압출실린더 온도 150℃, 헤드 노즐 온도 155℃, 다이 온도 160℃ 로 압출하여 멀칭필름을 얻었다.
투입한 원료의 종류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단위: g)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LLDPE 600 600 700
EVA - 100 -
PBE 100 - -
제충국제 200 200 200
피톤치드 원액 40 40 40
중탄 200 200 200
Irgafos168 1.5 1.5 1.5
Irganox1010 1.5 1.5 1.5
분산제 6 6 6
Total 1,149 1,149 1,149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멀칭필름의 방향족 성분(살충 및 살균 물질 관련)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GC-MS 측정하였다.
하기 표 2 및 도 1에는 실시예 1에 따른 멀칭필름의 GC-MS 측정결과를 나타내었고, 하기 표 3 및 도 2에는 실시예 2에 따른 멀칭필름의 GC-MS 측정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4 및 도 3에는 비교예에 따른 멀칭필름의 GC-MS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및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칭필름의 방산량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romatic compounds 성 분 함 량 (%) 방산량 (%)
2-Pinene 1.05 30.98
4(10)-Thujene
Bicyclo[3.1.0]hexane,4-methylene??1-(1- methylethyl)-
0.32
Benzene, ethyl-
Ethylbenzene
8.45
p-Xylene
Benzene, 1,3-dimethyl-
1.74
p-Xylene
Benzene, 1,3-dimethyl-
Xylene
5.85
Delta. 3 Carene
3-Carene
1.25
Benzene, (1-methylethyl)- 0.35
p-Xylene
Benzene, 1,3-dimethyl-
6.82
p-Cymene
o-Cymene
Benzene, 1-methyl-4(1-dimethylethyl)-
0.76
Terpinen-4-ol
3-Cyclohexen-1-ol, 4-methyl-1-(1-meth ylethyl)-
0.73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 3.35
phenol, 2,4-bis(1,1-dimethylethyl)
2,4-Di-tert-butylphenol
0.31
Aromatic compounds 성 분 함 량 (%) 방산량 (%)
2-Pinene
(1R)-2,6,6-Trimethylbicyclo[3.1.1]hept-2-ene
6.32 33.19
Camphene
2,2-dimethyl-3-methylen-bicyclo[2.2.1]heptane
0.97
4(10)-Thujene 0.83
Benzene, ethyl- 0.85
p-Xylene
Benzene, 1,3-dimethyl-
0.44
3-Carene
(+)-3-Carene
3.22
Cyclohexen,1-methyl-4-(1-methylethyl)-
D-limonene
0.44
o-Cymene
Benzene, 1-methyl-4-(1-dimethylethyl)-
0.69
Cyclohexen,1-methyl-4-(1-methyl ethyl idene )- 0.38
1-Methyl-1-ethenyl-2,4-bis(1'-methylethenyl)cyclohexane
Cyclohexane,1-ethenyl-1-methyl-2,4-bis(1-methylethenyl)-,[1S-(1.alpha.,2.beta.,4.beta)]-
.beta.-Elemene
0.85
Terpine-4-ol
3-Cyclohexen-1-ol,4-methyl- 1-(1-meth ylethyl)-, (R)-
3-Cyclohexen-1-ol, 4-methyl-1-(1-meth ylethyl)-
2.74
Cyclopropa[d]naphthalene,1,1a,4,4a,5,6,7,8-octahydro-2,4a,8,8-tetramethyl-, (1aS,4aS,8aS)-(-)-
cis-Thujopsene
0.94
Naphthalene,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 (1.alpha.,4a.beta.,8a.alpha.)-
6.alpha.-Cadine-4,9-diene, (-)-
1.00
3-Cyclohexen-1-methanol,.alpha.,.alpha.,4-trimethyl
2-(4-methyl-3-cyclohexen-1-YL)-2-PROPANOL
0.49
.alpha.-Muurolene 1.20
1-ISOPROPYL-4,7-DIMETHYL-1,24A,5,8,8A-HEXAHYDRONAPHTHALENE
.delta.-Cadinene
1.38
Naphthalene,1,2,3,4,4a,5,6,8a ??octahydro -7-methyl-4-methylene-(1-methylethyl)-, (1.alpha.,4a.beta.,8a.alpha)-
Naphthalene,1,2,4a,5,6,8a??hexa hydro-4,7-dimethyl-1-(1-methylethyl)-
.gamma.-Muurolene
1.70
PARA-CYMEN-8-OL
Bezenemethanol,.alpha.,.alpha.,4-trimethyl-
3.26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
Butylated Hydroxytoluene
2.18
alpha.,Cyclohexanemethanol,4-ethenyl-.alpha.,4-trimethyl-3-(1-methylethenyl)-,[1R-(1.alpha.,3.alpha.,4.beta.)]- 1.77
1-AMINO-3-[3-ETHOXY-4-(4-FLUORO-BENZYLOXY)-PHENYL]-BENZO[4,5]IMIDAZO[1,2-A]PYRIDINE-2,4-DICARBONITRILE
2,4-heptadiene, 2,6-dimethyl-
Cyclopentane,2-ethylidene-1,1-dimethyl-
0.82
1H-Imidazole,2-ethyl-4,5-dihydro-4-methyl-
2H-Pyran,tetrahydro-2-methyl-4-methylene-
Thiophene, 3-ethyl-
0.72
Aromatic compounds 성 분 함 량 (%) 방산량 (%)
Oxime-, methoxy-phenyl-
2-Amino-6-methylbenzoic acid
1.40 4.09
Benzeneethanol
Phenylethyl Alcohol
0.73
Phenol, bis(1,1-dimethylethyl)-
Phenol, 2,4-bis(1,1-dimethylethyl)-
1.96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수지 배합물, 방충/방균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배합물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1 수지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및 프로필렌-기재 엘라스토머(Propylene Based Elastomer) 중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배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충/방균 물질을 55 내지 70 중량부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배합물은 제1 수지를 70 내지 90 중량%, 제2 수지를 10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및 프로필렌-기재 엘라스토머(Propylene Based Elastomer)를 6:4 내지 8:2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방균 물질은 살균 물질 및 살충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 물질은 피톤치드 원액 및 이온화된 칼슘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 조성물.
  5.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및 프로필렌-기재 엘라스토머(Propylene Based Elastomer) 중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수지와 방충/방균 물질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배합 수지를 제조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 수지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1 수지를 혼합하되, 상기 제1 수지가 70 내지 90 중량%, 상기 제2 수지가 10 내지 30 중량% 포함되도록 혼합한 원료를 컴파운드하여 컴파운드 수지를 제조하는 컴파운드단계; 및
    상기 컴파운드 수지를 압출하여 멀칭필름을 제조하는 압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합단계는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배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충/방균 물질이 55 내지 70 중량부 포함되며, 상기 첨가제가 0.1 내지 3 중량부 포함되도록 배합하는 단계인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단계는 배합속도 40 내지 60 rpm, 배합시간 25 내지 45분, 배합온도 25 내지 45℃로 수행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단계는 상기 원료를 직렬로 연결된 제1 실린더, 제2 실린더 및 제3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부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가열 및 컴파운드하는 단계이며,
    컴파운드 속도는 50 내지 70 rpm 이고,
    제1 실린더의 온도는 80 내지 100℃, 제2 실린더의 온도는 100℃ 내지 120℃, 제3 실린더의 온도는 120 내지 140℃로 구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단계는 압출속도 50 내지 70 rpm이며, 실린더를 통해 압출되는 경우 압출 온도가 135 내지 165℃ 범위에서 상승 또는 유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90125001A 2019-10-10 2019-10-10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091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01A KR102091558B1 (ko) 2019-10-10 2019-10-10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0/006635 WO2021071047A1 (ko) 2019-10-10 2020-05-21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01A KR102091558B1 (ko) 2019-10-10 2019-10-10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558B1 true KR102091558B1 (ko) 2020-03-20

Family

ID=6995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001A Active KR102091558B1 (ko) 2019-10-10 2019-10-10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1558B1 (ko)
WO (1) WO20210710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047A1 (ko) * 2019-10-10 2021-04-15 박정열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593058A (zh) * 2022-09-14 2023-01-13 南雄市金叶包装材料有限公司(Cn) 复合地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994A (ja) * 1994-11-10 1996-05-28 Mikado Kako Kk 農業用マルチングフィルム
KR100367945B1 (ko) * 2000-03-21 2003-01-24 주식회사 덕일 화학 세탁물 커버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필름
KR20030019454A (ko) 2000-06-22 2003-03-06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블렌드
KR20150028210A (ko) 2013-09-05 2015-03-13 유영순 저가 진공포장용 필름
KR20160062727A (ko) 2014-11-25 2016-06-0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일반포장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847A (ja) * 2000-12-11 2002-06-18 Toyo Ink Mfg Co Ltd 農業用マルチフィルム
JP6041754B2 (ja) * 2012-06-05 2016-12-14 弘美 西井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虫忌避・抗菌用フィルム
KR102066722B1 (ko) * 2014-08-13 2020-01-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멀칭용 피복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91558B1 (ko) * 2019-10-10 2020-03-20 박정열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994A (ja) * 1994-11-10 1996-05-28 Mikado Kako Kk 農業用マルチングフィルム
KR100367945B1 (ko) * 2000-03-21 2003-01-24 주식회사 덕일 화학 세탁물 커버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필름
KR20030019454A (ko) 2000-06-22 2003-03-06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블렌드
KR20150028210A (ko) 2013-09-05 2015-03-13 유영순 저가 진공포장용 필름
KR20160062727A (ko) 2014-11-25 2016-06-0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일반포장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047A1 (ko) * 2019-10-10 2021-04-15 박정열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593058A (zh) * 2022-09-14 2023-01-13 南雄市金叶包装材料有限公司(Cn) 复合地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1047A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1940B2 (ja) 防虫成分含有樹脂ペレ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防虫製品
US20150072862A1 (en) Multilayered films capable of releasing active ingredients over a limited time period
KR102091558B1 (ko) 방충 효과가 향상된 멀칭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5936B1 (ko) 다기능성 멀칭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25415B1 (ko) 해충 기피용 비닐의 제조방법
KR101343090B1 (ko)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제제와 그 제조 방법
US987747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pelling coffee berry borer
CN102388923A (zh) 一种植物源杀菌制剂及其在防治枯萎病中的应用
US20240237642A1 (en) Controlled release semi-solid emulsion formulations of semiochemicals
JP745865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軟体動物忌避材および軟体動物を忌避するための樹脂成形体
Kim et al. Insect repellency and crop productivity of essential oil films
CN107593757A (zh) 一种蓝色杀虫驱虫母粒、制备方法及含有该母粒的农膜
US20040191290A1 (en) Solid pest control system
KR100501824B1 (ko) 서방성 해충방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0227B1 (ko) 한천분말을 이용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61462B1 (ko) 방충 유효성분을 함유한 마스터배치 제조방법
JP3190530B2 (ja) 農業用マルチング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12336533B2 (en) Pink bollworm control method
KR100553970B1 (ko) 방충성 및 방서성이 부가된 멀칭 필름용 수지조성물
KR20250095396A (ko) 해바라기 종자 유래 레시틴을 이용한 방제제 조성물
KR100579534B1 (ko) 병충해 방지 효과를 갖는 적색 멀칭필름
KR101709114B1 (ko)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6381A (ko) 한천분말을 이용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336046A (zh) 一种含有浏阳霉素和高效反式氯氰菊酯的水乳剂及应用
TW201325453A (zh) 含有揮發性藥劑之結構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