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9114B1 -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114B1
KR101709114B1 KR1020150043914A KR20150043914A KR101709114B1 KR 101709114 B1 KR101709114 B1 KR 101709114B1 KR 1020150043914 A KR1020150043914 A KR 1020150043914A KR 20150043914 A KR20150043914 A KR 20150043914A KR 101709114 B1 KR101709114 B1 KR 10170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oil
bead
surfact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380A (ko
Inventor
김수학
Original Assignee
김수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학 filed Critical 김수학
Priority to KR102015004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11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1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 cycloaliphatic ring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수에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등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정치시킨 후 여기에 활성방충성분과 투명 비드를 혼합하여 제조된 아쿠아 비드 방충제를 밀폐 공간으로 실내, 지하실, 창고, 스토어, 사일로나 야외 등에 설치해 둠으로써, 아쿠아 비드의 외부 표면으로 유효성분들이 방출되어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충, 방향성분 등을 발산하므로 곰팡이, 진균류, 해충 등을 퇴치하거나, 이를 거부하도록 하는 강한 활성 독성을 가지는 것에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A aqua bead Insect Repellent and Its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에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등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여기에 활성방충성분과 투명 비드를 첨가하여 아쿠아 비드 방충제를 제조함으로써, 아쿠아 비드에 흡수된 유효성분들이 아쿠아 비드의 외부 표면으로 방출되어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충, 방향성분 등을 발산하므로 곰팡이, 진균류, 해충 등에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제는 곰팡이, 진균류나 해충, 곤충이 접근할 수 있는 먹이 공급원 또는 서식지로부터 퇴치하거나, 이를 거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대부분 공지된 방충제는 활성 독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방충제에 함유되는 활성 독성은 대부분 DEET 기재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나, DEET는 농도가 높고 가소제의 성분이 있어 해충을 퇴치하는 효과는 좋으나 발산되는 향이 불쾌함을 가지며, 높은 농도로 인해 끈적한 느낌을 주거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제품의 경우 표면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내용들을 보면, 공개특허공보 특1988-0005861호에 1,3,5-트리옥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제가 알려져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특2002-0092774호에 테르펜 화합물의 무수 말레인산 부가물에 천연의 방부 및 방충 성분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방부 및 방충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7182호에 디히드로네페탈락톤 또는 디히드로네페탈락톤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충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공개특허 10-2011-0035504호에 정향 또는 팔각회향 중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과, 계면활성제와, 알콜과,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방부방충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나, 상기와 같은 조성물들은 DEET와 동등의 효능을 발산하기 위해 천연물이나 합성물질을 대체물질로 사용하고 있지만 발산되는 강한 향으로 사용할 때 불쾌함을 주거나 활성 독성의 저하로 곰팡이, 진균류, 해충 등의 퇴치나, 거부하는 방충효과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정제수에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등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정치시킨 후 여기에 활성방충성분과 투명 비드를 혼합하여 아쿠아 비드 방충제를 제조함으로 인해 투명 비드에 흡수된 유효성분들이 아쿠아 비드의 외부 표면으로 방출되어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충, 방향성분 등을 발산하므로 곰팡이, 진균류, 해충 등을 퇴치하거나, 이를 거부하도록 하는 강한 활성 독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정제수에 잘 용해되지 않은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를 별도의 교반기에서 가열 및 교반하면서 용해시킨 상태로 방충제의 첨가물로 혼합하므로 방충제의 혼합물들이 고르게 분산되어 투명 비드에 흡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5~10 중량부, 활성방충성분 0.5~1 중량부, 가용화제 2~4 중량부, 계면활성제 0.5~1 중량부, 방부제 0.1~0.5 중량부, 향료 0.1~0.5 중량부, 착색제 0.5~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다.
상기에서 투명 비드는 식물성 추출물 또는 아보카도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마란스 오일, 아르간 오일, 코코넛 오일, 호호바씨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방충제는 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로서 (RS)-1-에티닐-2-메틸펜텐-2-에닐[(RS)-1-ethynyl-2-methylpenten-2-enyl], (1RS)-시스, 트란스-크리산테마트[(1RS)-cis, trans-chrysanthemate] 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방부제는 소듐 벤조네이트(sodium benzoate), 디메틸올디메틸히단토인(dimethyloldimethylhydantoin), 이미다졸디닐 우레아(imidazolldinyl urea),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5-chloro-2-methyl-4-isothiazoline-3-one)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5~10 중량부와 방부제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2℃에서 60±5 rpm/min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방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용화제 2~4 중량부, 계면활성제 0.5~1 중량부, 방부제 0.1~0.5 중량부, 향료 0.1~0.5 중량, 착색제 0.5~ 1 중량부를 혼합한 교반기를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100℃에서 30~40분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30~40℃될 때까지 정치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정치시켜 30~40℃될 때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5~10 중량부와 활성방충성분 0.5~1 중량부를 혼합하여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5~6시간 동안 정치시켜 아쿠아비드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아쿠아비드를 포장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은 정제수에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등을 첨가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정치시킨 후 활성방충성분과 투명 비드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투명 비드에 방충제 유효성분들을 중량으로 투명 비드의 100~150배를 흡수시켜 제조된 아쿠아 비드는 밀폐 공간으로서 실내, 지하실, 창고, 스토어, 사일로나 야외 등에 설치해 둠으로써, 아쿠아 비드의 외부 표면으로 유효성분들이 방출되어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충, 방향성분 등을 발산하므로 방충제의 설치장소에 상쾌한 느낌을 주면서, 곰팡이, 진균류, 해충 등을 퇴치하거나, 이를 거부하도록 하는 강한 활성 독성을 가지는 것에 장점이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쿠아 비드 방충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5~10 중량부, 활성방충성분 0.5~1 중량부, 가용화제 2~4 중량부, 계면활성제 0.5~1 중량부, 방부제 0.1~0.5 중량부, 향료 0.1~0.5 중량부, 착색제 0.5~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매인 정제수은 활성 독성을 가지는 방충제를 제형화시키는 혼합성분들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용매이다.
본 발명에서 투명 비드는 용매에 의해 용해시킨 방충제의 성분들을 흡수시켜 아쿠아비드를 생성하고 비드의 외부표면으로 방충제의 유효성분들을 방출시켜 방충, 방향성분 등을 발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비드의 혼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투명 비드의 혼합량 부족으로 용해된 방충제의 유효성분이 과도하게 흡수되어 아쿠아비드의 표면으로 방충제의 유효성분들이 흐를 우려가 있고, 투명 비드의 혼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명 비드의 혼합량 과다로 용해된 방충제 유효성분의 흡수량이 부족하여 생성되는 아쿠아 비드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비드에 흡수되는 방충제의 유효성분의 흡수량은 중량기준으로 투명 비드의 100~150배를 흡수하여 아쿠아 비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충제의 유효성분이 100배 미만으로 흡수될 경우 투명 비드의 팽창이 저하되어 생성되는 아쿠아 비드의 표면으로 방출되는 방충제 유효성분의 발산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방충제의 유효성분이 150배를 초과하여 흡수될 경우 투명 비드의 과도한 팽창으로 인해 생성되는 아쿠아 비드의 기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투명 비드는 용해된 유효성분들을 투명 비드 중량의 100~150배를 흡수할 수 있을 경우 특별히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추출물 또는 아보카도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마란스 오일, 아르간 오일, 코코넛 오일, 호호바씨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활성방충성분은 곰팡이, 진균류이나 해충 등이 접근할 수 있는 먹이 공급원으로부터 또는 서식지로부터 퇴치하거나, 이를 거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방충성분의 혼합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활성방충성분의 혼합량 저하로 곰팡이, 진균류 등이 접근할 수 있는 먹이 공급원이나 서식지로부터 퇴치 등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활성방충성분의 혼합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활성방충성분의 혼합량 과다로 장기적으로 환경생태계에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활성방충성분은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로서 (RS)-1-에티닐-2-메틸펜텐-2-에닐[(RS)-1-ethynyl-2-methylpenten-2-enyl], (1RS)-시스, 트란스-크리산테마트[(1RS)-cis, trans-chrysanthemate] 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가용화제는 혼합되는 각 성분들을 정제수로 용해시킬 때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2~4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용화제의 혼합량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혼합물들이 정제수에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가용화제의 혼합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혼합물들이 정제수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으나 혼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용화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 프로판올, 아세톤, 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중에서 1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0 내지 15의 알킬 그룹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함으로써, 가용화력, 방충력, 분산력 등이 우수하며, 아쿠아 비드가 표면으로 효과적으로 약효를 발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방충제의 활성 독성이 떨어져 방충력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방충제의 활성 독성을 향상시켜 방충력 등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는 방충력, 분산력 등의 향상과 아쿠아 비드의 표면으로부터 방충제를 효과적으로 발산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5의 알킬 그룹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중량비로 40~60:40~60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혼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보면,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알킬벤젠설포네이트,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리그닌설포네이트,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마린축합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설포네이트와 같은 설포네이트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알킬설페이트, 폴리옥시알킬렌알킬설페이트,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설페이트와 같은 설페이트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나프탈렌설포석시네이트, 폴리옥시알킬렌석시네이트와 같은 석시네이트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이 적합하며,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알킬암모늄 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암모늄 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방부제는 활성 방충제 유효성분들의 생리적 활동을 억제하고 생육을 저해하여 방충제의 성능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제의 혼합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방부제의 혼합량 저하로 인해 방충제 유효성분들의 생리적 활동 등을 활성화시켜 방충제의 성능이 조기에 저하될 우려가 있고, 방부제의 혼합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방충제 유효성분들의 활성 독성 억제력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부제는 소듐 벤조네이트(sodium benzoate), 디메틸올디메틸히단토인(dimethyloldimethylhydantoin), 이미다졸디닐 우레아(imidazolldinyl urea),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5-chloro-2-methyl-4-isothiazoline-3-one)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는 가용화력, 방충력은 물론 활성 방충제 유효성분들의 생리적 활동의 억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5~10 중량부와 방부제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2℃에서 60±5 rpm/min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0~60분 동안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시키는 조건이 상기 조건 미만일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와 방부제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 교반시키는 조건이 상기 조건을 초과할 경우에는 교반기에 투입한 계면활성제와 방부제가 완전히 용해되지만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특별한 효과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향료는 아쿠아 비드의 표면으로 발산되는 방충성분에서 향을 발산시켜 아쿠아 비트를 설치한 장소에서 상쾌함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의 혼합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아쿠아 비트로부터 발산되는 방충성분의 향이 약해 상쾌함을 느끼지 못할 우려가 있고, 향료의 혼합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아쿠아 비트로부터 발산되는 방충성분의 향이 너무 강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료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천연향료는 시트로넬라, 제라늄, 라벤더, 및 페퍼민트 정유 중에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향료는 피넨, 리모넨, 리날롤, 게라니올, 네롤, 시트로넬롤, 멘톨, 보르네올, 보르네일메톡시사이클로헥산올, 아니살 알콜, 신나밀 알콜, β-페닐에틸 알콜, 시스-3-헥산올, 테르핀올 중에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착색제는 투명 비드에 흡수되는 방충성분들의 색상을 나타내는 보조첨가제로서, 그 혼합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혼합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색상이 표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착색제의 혼합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색상이 너무 강해 색상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착색제는 유기염료 중에서 안트라퀴논염료, 아조염료, 인디고이드염료, 디페닐메탄염료, 트리페닐메탄염료, 프탈로시아닌염료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혼합물로 구성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는 밀폐 공간으로 실내, 지하실, 창고, 스토어, 사일로나 야외 등에 설치해 둠으로써, 아쿠아 비드에 흡수된 방충성분이 비드의 외부 표면으로 발산되어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곰팡이, 진균류, 해충 등을 퇴치하거나, 이를 거부하도록 하는 강한 활성 독성을 가지며, 주위 환경에는 상쾌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비드 방충제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방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용화제 2~4 중량부, 계면활성제 0.5~1 중량부, 방부제 0.1~0.5 중량부, 향료 0.1~0.5 중량, 착색제 0.5~ 1 중량부를 혼합한 교반기를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100℃에서 30~40분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30~40℃될 때까지 정치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정치시켜 30~40℃될 때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5~10 중량부와 활성방충성분 0.5~1 중량부를 혼합하여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5~6시간 동안 정치시켜 아쿠아비드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아쿠아비드를 포장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용화제 2~4 중량부, 계면활성제 0.5~1 중량부, 방부제 0.1~0.5 중량부, 향료 0.1~0.5 중량, 착색제 0.5~ 1 중량부를 혼합한 교반기를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100℃에서 30~40분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30~40℃될 때까지 정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교반시키는 조건이 상기 조건 미만일 경우 교반기에 투입한 혼합물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 교반시키는 조건이 상기 조건을 초과할 경우 교반기에 투입한 혼합물은 완전히 용해되지만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특별한 효과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혼합물로 사용되는 각 성분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한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2)단계는 상기 1)단계에서 30~40℃될 때까지 정치시킨 상태에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5~10 중량부와 활성방충성분 0.5~1 중량부를 혼합하여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5~6시간 동안 정치시켜 아쿠아비드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교반 및 정치시간이 상기 조건 미만일 경우에는 교반기에 투입한 투명 비드의 흡수율이 떨어져 생성된 아쿠아 비드로부터 방충제의 유효성분들을 요구하는 만큼 방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 교반 및 정치시간이 상기 조건을 초과할 경우에는 교반기에 투입한 투명 비드의 흡수율 증가로 생성된 아쿠아 비드로부터 방출되는 방충제의 량이 요구량보다 많이 발산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 사용되는 투명비트와 활성방충성분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한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3)단계는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아쿠아비드를 포장하는 단계로서, 포장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법에 의해 포장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용기에 담아 밀폐되도록 포장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구성은 반드시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아쿠아 비드 방충제
(실시예 1)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알코올 2 중량부, 계면활성제와 방부제의 혼합액 9 중량부, 향료로서 리모넨 0.5 중량부, 착색제로서 네올란 바이올렛 브라운 B 1 중량부를 혼합한 교반기를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10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40℃될 때까지 정치시킨 후 여기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8 중량부와 활성방충성분으로서 (RS)-1-에티닐-2-메틸펜텐-2-에닐[(RS)-1-ethynyl-2-methylpenten-2-enyl] 1 중량부를 혼합하여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6시간 동안 정치시켜 중량기준으로 투명 비드의 140배의 유효성분을 흡수시켜 아쿠아비드 방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알킬벤젠설포네이트 5 중량부와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암모늄 염 5 중량부와 방부제인 소듐 벤조네이트 3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100±2℃에서 60±5 rpm/min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60분 동안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알코올 4 중량부, 계면활성제와 방부제의 혼합액 9 중량부, 향료로서 리모넨 0.1 중량부, 착색제로서 네올란 바이올렛 브라운 B 0.5 중량부를 혼합한 교반기를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10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40℃될 때까지 정치시킨 후 여기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8 중량부와 활성방충성분으로서 (RS)-1-에티닐-2-메틸펜텐-2-에닐[(RS)-1-ethynyl-2-methylpenten-2-enyl]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6시간 동안 정치시켜 중량기준으로 투명 비드의 140배의 유효성분을 흡수시켜 아쿠아비드 방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알코올 2 중량부, 계면활성제와 방부제의 혼합액 4 중량부, 향료로서 리모넨 0.1 중량부, 착색제로서 네올란 바이올렛 브라운 B 2 중량부를 혼합한 교반기를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10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40℃될 때까지 정치시킨 후 여기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3 중량부와 활성방충성분으로서 (RS)-1-에티닐-2-메틸펜텐-2-에닐[(RS)-1-ethynyl-2-methylpenten-2-enyl]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6시간 동안 정치시켜 중량기준으로 투명 비드의 140배의 유효성분을 흡수시켜 아쿠아비드 방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알코올 4 중량부, 계면활성제와 방부제의 혼합액 15 중량부, 향료로서 리모넨 1 중량부, 착색제로서 네올란 바이올렛 브라운 B 0.1 중량부를 혼합한 교반기를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10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40℃될 때까지 정치시킨 후 여기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15 중량부와 활성방충성분으로서 (RS)-1-에티닐-2-메틸펜텐-2-에닐[(RS)-1-ethynyl-2-methylpenten-2-enyl]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6시간 동안 정치시켜 중량기준으로 투명 비드의 140배의 유효성분을 흡수시켜 아쿠아 비드 방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2. 시험방법 및 결과
1) 향에 대한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한 아쿠아 비드 방충제를 가로 10cm×세로 5cm×높이 3cm의 플라스틱용기에 100알씩 담아 밀폐한 후 지름 1.5cm의 구멍을 내어 남,여 성인 각 3명에게 냄새를 맞게 한 후, 아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 방충제의 향이 매우 좋다.
○ : 방충제의 향이 좋다.
△ : 방충제의 향이 역겹다.
× : 방충제의 향이 매우 역겹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
상기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2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범위 내로 방충제의 혼합물들이 첨가됨으로 인해 방충제의 향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은 향의 첨가량이 소량이고 활성방충성분이 과량 함유됨으로 인해 방충제의 향이 매우 역겨운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2는 향의 첨가량이 과량 함유되어 향의 발산이 강해 역겨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2) 바퀴벌레의 방충시험
상기 1에서 제조한 아쿠아 비드 방충제를 가로 10cm×세로 5cm×높이 3cm의 플라스틱 용기에 200알씩 담아 밀폐한 후 지름 1.5cm의 구멍을 내어 각각 별도로 설치된 20피트 알루미늄 컨테이너 바닥 중심부에 놓아두고 여기에 1달간 성장시킨 바퀴벌레 중에서 수컷성충 50마리, 암컷성충 50마리를 컨테이너에 넣었다. 그리고 이 바퀴벌레들을 1일 3회 관찰하여 일부 바퀴벌레들이 방충제 용기에 접근한 첫째 날을 체크하여 시험일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방출유효기간(일) 116 107 128 64
상기 표 2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2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범위 내로 방충제의 혼합물들이 첨가됨으로 인해 방충제의 유효기간이 107~116일 동안 유지되는데 반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활성방충성분이 과량 함유됨으로 인해 방충제의 유효기간이 128일 동안 유지되었고,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활성방충성분이 소량 함유됨으로 인해 방충제의 유효기간이 64일 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3) 모기의 방충시험
상기 1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의 아쿠아 비드 방충제를 시험대상자의 전박에 2g씩 균일하게 도포한 후 모기 30마리가 덜어 있는 상자에 1시간 간격으로 3분간 집어넣어 전박이 모기에 물리는 시간을 체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유효방충시간 24 22 27 13
상기 표 3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2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범위 내로 방충제의 혼합물들이 첨가됨으로 인해 유효방충시간이 22~24시간 동안 유지되는데 반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활성방충성분이 과량 함유됨으로 인해 유효방충시간이 27시간 동안 유지되었고,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활성방충성분이 소량 함유됨으로 인해 방충제의 유효방충시간이 13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응애의 방충시험
상기 1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의 아쿠아 비드 방충 제 10g을 10×10㎝로 재단된 카페트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시킨 시편을 챔버 내에 배치한 후 카페트 주위에 30℃, 습도 80% 조건에서 2주일간 성장시킨 응애를 배치하고, 카페트의 표면에는 수분함량이 20%인 분말형 먹이 10g을 균일하게 분포시켰다. 그리고 응애의 관찰을 위해 5×5㎝ 크기의 종이를 카페트 위에 놓은 다음 1일, 7일, 14일, 1개월, 2개월 후에 종이 양면에 생존해 있는 응애의 수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생존 중인 응애의 수
1일 7일 15일 1개월 2개월
실시예 1 0 0 0 0 0
실시예 2 0 0 0 0 0
비교예 1 0 0 0 0 0
비교예 2 12 77 203 422 965
상기 표 4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2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범위 내로 방충제의 혼합물들이 첨가됨으로 인해 생존 중인 응애가 1 일차부터 전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비교예 1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요구하는 이상의 활성방충성분이 혼합되어 생존 중인 응애가 1 일차부터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활성방충성분이 소량 함유됨으로 인해 생존 중인 응애가 1 일차에 소량 확인되었지만 기일이 경과하면서 그 수가 급속도로 증식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상기 시험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범위 내로 방충제의 혼합물들이 첨가됨으로 인해 향에 대한 관능검사, 바퀴벌레 방충시험, 모기 방충시험, 응애 방충시험에서 매우 만족한 결과가 나타난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향, 투명 비드, 활성방충성분 등에서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범위를 벗어남으로 인해 바퀴벌레 방충시험, 모기 방충시험, 응애 방충시험의 경우 만족한 결과가 나왔으나 향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냄새가 매우 역겨운 것으로 확인되어 방충제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비교예 2의 경우는 향, 투명 비드를 과량 함유하고, 활성방충성분을 소량 함유함으로 인해 방충제의 기능이 떨어져 방충제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5~10 중량부, 활성방충성분 0.5~1 중량부, 가용화제 2~4 중량부, 계면활성제 0.5~1 중량부, 방부제 0.1~0.5 중량부, 향료 0.1~0.5 중량부, 착색제 0.5~ 1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명 비드는 식물성 추출물 또는 아보카도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마란스 오일, 아르간 오일, 코코넛 오일, 호호바씨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방충성분은 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로서 (RS)-1-에티닐-2-메틸펜텐-2-에닐[(RS)-1-ethynyl-2-methylpenten-2-enyl], (1RS)-시스, 트란스-크리산테마트[(1RS)-cis, trans-chrysanthemate] 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소듐 벤조네이트(sodium benzoate), 디메틸올디메틸히단토인(dimethyloldimethylhydantoin), 이미다졸디닐 우레아(imidazolldinyl urea),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5-chloro-2-methyl-4-isothiazoline-3-one)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
  4. 방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용화제 2~4 중량부, 계면활성제 0.5~1 중량부, 방부제 0.1~0.5 중량부, 향료 0.1~0.5 중량, 착색제 0.5~ 1 중량부를 혼합한 교반기를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100℃에서 30~40분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30~40℃될 때까지 정치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정치시켜 30~40℃될 때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명 비드 5~10 중량부와 활성방충성분 0.5~1 중량부를 혼합하여 60±2 rpm/min으로 교반하면서 5~6시간 동안 정치시켜 아쿠아비드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아쿠아비드를 포장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의 그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비드는 식물성 추출물 또는 아보카도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마란스 오일, 아르간 오일, 코코넛 오일, 호호바씨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5~10 중량부와 방부제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2℃에서 60±5 rpm/min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 비드 방충제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43914A 2015-03-30 2015-03-30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70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14A KR101709114B1 (ko) 2015-03-30 2015-03-30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14A KR101709114B1 (ko) 2015-03-30 2015-03-30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80A KR20160116380A (ko) 2016-10-10
KR101709114B1 true KR101709114B1 (ko) 2017-02-22

Family

ID=5714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914A Active KR101709114B1 (ko) 2015-03-30 2015-03-30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1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1240A (ja) * 2003-09-18 2007-08-0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ジヒドロネペタラクトンを含んでなる昆虫忌避組成物
JP2012143881A (ja) * 2011-01-07 2012-08-02 Nishimoto Koichi 防蟻性ポリスチレンフォーム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1736B2 (en) * 2004-01-30 2008-03-11 S.C. Johnson & Son, Inc. Aerosol spray resistant to discolo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1240A (ja) * 2003-09-18 2007-08-0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ジヒドロネペタラクトンを含んでなる昆虫忌避組成物
JP2012143881A (ja) * 2011-01-07 2012-08-02 Nishimoto Koichi 防蟻性ポリスチレンフォーム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80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8666A (en) Long-acting pyrethrum/pyrethroid based pesticides with silicone stabilizers
US5641499A (en) Insecticidal product
ES2206887T3 (es) Composicion adyuvante de uso fitosanitario.
AU2006238677A1 (en) Aerosol insecticide composition
KR102564753B1 (ko) 해충 기피제, 및 해충 기피 제품
CA2495826C (en) Ant spray containing d-limonen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EP2174546A1 (en) Formulation for the release of bioactive substances and use thereof as a pest control agent
JP7639197B2 (ja) コバエ防除用スプレー製品、及びコバエの発生を予防する方法
KR101709114B1 (ko) 아쿠아 비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CN103651546A (zh) 用于防治水稻螟蛾类害虫的组合物
JP5500796B2 (ja) 防黴防虫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防黴防虫方法
ES2621173T3 (es) Composición de tratamiento
CN114727605B (zh) 胶囊化的苯醚菊酯和乳化的右旋丙炔菊酯的混合物
KR101800227B1 (ko) 한천분말을 이용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JP3120393B2 (ja) 衣類用防虫剤
ES2364859T3 (es) Composición pesticida que comprende carboxilatos de tetrafluorobencil ciclopropano.
HU188391B (en) Insecticide composition containing salicylic acid derivatives as activators
KR20160116381A (ko) 한천분말을 이용한 방충제 및 그 제조방법
JP4278654B2 (ja) 害虫防除剤
KR20240139369A (ko) 친환경 유해동물 기피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169447A (ja) 害虫防除剤及びその使用方法
ES2909550T3 (es) Formulación repelente de insectos para la protección de superficies
US20240180138A1 (en) Heating Transpi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xterminating Harmful Arthropods Using Same
Matsunaga et al. New pyrethroid insecticides for indoor applications
ES2338823T3 (es) Producto compuesto apto para difundir un agente act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