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8383B1 -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383B1
KR102088383B1 KR1020130028245A KR20130028245A KR102088383B1 KR 102088383 B1 KR102088383 B1 KR 102088383B1 KR 1020130028245 A KR1020130028245 A KR 1020130028245A KR 20130028245 A KR20130028245 A KR 20130028245A KR 102088383 B1 KR102088383 B1 KR 10208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diction
size
motion vector
co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854A (ko
Inventor
김성오
박찬식
문영호
이교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8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383B1/ko
Priority to US14/218,177 priority patent/US9635353B2/en
Publication of KR2014011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3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17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 H04N19/52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by predictive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비디오의 움직임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비디오 움직임 예측 부호화 방법은 픽처를 최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분할하고,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분할 모드들에 따라서 최대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들로 분할하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고,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한다.

Description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본 발명은 비디오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비디오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를 부호화 과정에서 하나의 픽처는 매크로 블록과 같은 소정 데이터 단위로 분할된다. 그리고, 인터 예측(inter prediction) 또는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을 이용해 각각의 매크로 블록은 예측 부호화된다.
인터 예측은 픽처들 사이의 시간적인 중복성을 제거하여 영상을 압축하는 방법으로 움직임 예측 및 보상을 이용한다. 움직임 예측 및 보상은 소정의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과 가장 유사한 참조 블록을 소정의 검색 범위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현재 블록과 가장 유사한 참조 블록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이다.
H.264와 같은 종래 비디오 코덱에서, 16x16 크기의 매크로블록은 16x16~4x4 크기의 블록들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한 움직임 예측을 통해 각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결정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큰 크기의 데이터 단위를 분할하여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는 경우, 움직임 예측이 실제로 수행되는 대상 데이터 단위의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움직임 예측시의 연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은 상기 비디오를 구성하는 픽처를 최대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분할하는 단계;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분할 모드들에 따라서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 및 현재 예측 단위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현재 예측 단위가 상기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인 경우,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의 부호화 장치는 상기 비디오를 구성하는 픽처를 최대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분할하고,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분할 모드들에 따라서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들로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 예측 수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 및 현재 예측 단위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현재 예측 단위가 상기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인 경우,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 보상 수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움직임 예측시의 연산량을 감소시키고 비디오의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움직임 예측에 필요한 하드웨어의 자원(resource)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파티션을 도시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정보들을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도 10,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주파수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3 은 표 1의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예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움직임 예측을 위한 예측 단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모드들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보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분할부(110),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 분할부(110)는 영상의 현재 픽처를 위한 최대 크기의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현재 픽처를 구획할 수 있다. 현재 픽처가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크다면, 현재 픽처의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는 크기 32x32, 64x64, 128x128, 256x256 등의 데이터 단위로, 가로 및 세로 크기가 8보다 큰 2의 제곱승인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는 최대 크기 및 심도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심도란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부호화 단위가 공간적으로 분할한 횟수를 나타내며, 심도가 깊어질수록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 분할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최상위 심도이며 최소 부호화 단위가 최하위 부호화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감소하므로,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복수 개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현재 픽처의 영상 데이터를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며,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분할되는 부호화 단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분할되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공간 영역(spatial domain)의 영상 데이터가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를 계층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총 횟수를 제한하는 최대 심도 및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심도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역이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 영역을 부호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할 영역 별로 최종 부호화 결과가 출력될 심도를 결정한다. 즉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현재 픽처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를 선택하여 부호화 심도로 결정한다. 결정된 부호화 심도 및 최대 부호화 단위별 영상 데이터는 출력부(130)로 출력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 내의 영상 데이터는 최대 심도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심도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부호화되고,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기반한 부호화 결과가 비교된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오차의 비교 결과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심도가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최대화 부호화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계층적으로 분할되어 분할되며 부호화 단위의 개수는 증가한다. 또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동일한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이라 하더라도,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오차를 측정하고 하위 심도로의 분할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터라 하더라도 위치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오차가 다르므로 위치에 따라 부호화 심도가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 부호화 심도가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으며, 최대 부호화 단위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따라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은,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모든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 중, 부호화 심도로 결정된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을 포함한다.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 내에서 동일 영역에서는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결정되고, 다른 영역들에 대해서는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영역에 대한 부호화 심도는, 다른 영역에 대한 부호화 심도와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분할 횟수와 관련된 지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총 분할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심도 레벨의 총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0이라고 할 때, 최대 부호화 단위가 1회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1로 설정되고, 2회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2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4회 분할된 부호화 단위가 최소 부호화 단위라면, 심도 0, 1, 2, 3 및 4의 심도 레벨이 존재하므로 제 1 최대 심도는 4, 제 2 최대 심도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 및 주파수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측 부호화 및 주파수 변환도 마찬가지로,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심도 이하의 심도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가 심도별로 분할될 때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생성되는 모든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대해 예측 부호화 및 주파수 변환을 포함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 중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기반으로 예측 부호화 및 주파수 변환을 설명하겠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데이터 단위의 크기 또는 형태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해서는 예측 부호화, 주파수 변환, 엔트로피 부호화 등의 단계를 거치는데, 모든 단계에 걸쳐서 동일한 데이터 단위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단계별로 데이터 단위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부호화 단위 뿐만 아니라,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부호화 단위와 다른 데이터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를 위해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 즉 더 이상한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를 기반으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예측 부호화의 기반이 되는 더 이상한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라고 지칭한다. 예측 단위가 분할된 파티션은, 예측 단위 및 예측 단위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가 분할된 데이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단, N은 양의 정수)의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경우, 크기 2Nx2N의 예측 단위가 되며, 파티션의 크기는 2Nx2N, 2NxN, Nx2N, NxN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타입은 예측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대칭적 파티션들뿐만 아니라, 1:n 또는 n:1과 같이 비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파티션들, 기하학적인 형태로 분할된 파티션들, 임의적 형태의 파티션들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는, 인트라 모드, 인터 모드 및 스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는, 2Nx2N, 2NxN, Nx2N, NxN 크기의 파티션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킵 모드는 2Nx2N 크기의 파티션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이내의 하나의 예측 단위마다 독립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예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부호화 단위 뿐만 아니라, 부호화 단위와 다른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주파수 변환을 위해서는,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주파수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변환을 위한 데이터 단위는, 인트라 모드를 위한 데이터 단위 및 인터 모드를 위한 데이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주파수 변환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단위는 '변환 단위'라고 지칭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부호화 단위 내의 변환 단위도 재귀적으로 더 작은 크기의 변환 단위로 분할되면서,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데이터가 변환 심도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에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에 대해서도,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가 분할하여 변환 단위에 이르기까지의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변환 심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의 크기가 2Nx2N이라면 변환 심도 0, 변환 단위의 크기가 NxN이라면 변환 심도 1, 변환 단위의 크기가 N/2xN/2이라면 변환 심도 2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변환 단위에 대해서도 변환 심도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가 설정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심도 뿐만 아니라 예측 관련 정보 및 주파수 변환 관련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킨 부호화 심도 뿐만 아니라, 예측 단위를 파티션으로 분할한 파티션 타입, 예측 단위별 예측 모드, 주파수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의 크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의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파티션의 결정 방식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12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오차를 라그랑지 곱(Lagrangian Multiplier) 기반의 율-왜곡 최적화 기법(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 및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의 레지듀얼 데이터의 부호화 결과일 수 있다.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 심도 정보,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심도 정보는, 현재 심도로 부호화하지 않고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부호화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심도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는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부호화되므로 현재 심도의 분할 정보는 더 이상 하위 심도로 분할되지 않도록 정의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가 아니라면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한 부호화를 시도해보아야 하므로, 현재 심도의 분할 정보는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가 아니라면,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에 대해 부호화가 수행된다.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 내에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가 하나 이상 존재하므로, 각각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동일한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재귀적(recursive)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 안에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며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부호화 단위의 데이터는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획되어 위치 별로 부호화 심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3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어 있는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해당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할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단위는, 최하위 부호화 심도인 최소 부호화 단위가 4분할된 크기의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이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모든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정사각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부호화 정보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와 예측 단위별 부호화 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는, 예측 모드 정보, 파티션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별로 전송되는 부호화 정보는 인터 모드의 추정 방향에 관한 정보, 인터 모드의 참조 영상 인덱스에 관한 정보, 움직임 벡터에 관한 정보, 인트라 모드의 크로마 성분에 관한 정보, 인트라 모드의 보간 방식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픽처, 슬라이스 또는 GOP별로 정의되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 및 최대 심도에 관한 정보는 비트스트림의 헤더에 삽입될 수 있다.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가장 간단한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한 계층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를 반분한 크기의 부호화 단위이다. 즉,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2Nx2N이라면,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NxN 이다. 또한, 2Nx2N 크기의 현재 부호화 단위는 NxN 크기의 하위 심도 부호화 단위를 최대 4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처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된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최대 심도를 기반으로,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적의 형태 및 크기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여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다양한 예측 모드, 주파수 변환 방식 등으로 부호화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상 크기의 부호화 단위의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부호화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해상도가 매우 높거나 데이터량이 매우 큰 영상을 기존 매크로블록 단위로 부호화한다면, 픽처당 매크로블록의 수가 과도하게 많아진다. 이에 따라, 매크로블록마다 생성되는 압축 정보도 많아지므로 압축 정보의 전송 부담이 커지고 데이터 압축 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영상의 크기를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영상 압축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수신부(210),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 및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각종 프로세싱을 위한 부호화 단위, 심도, 예측 단위, 변환 단위, 각종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 등 각종 용어의 정의는, 도 1 및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수신부(205)는 부호화된 비디오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파싱(parsing)한다.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따라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현재 픽처에 대한 헤더로부터 현재 픽처의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된다. 즉, 비트열의 영상 데이터를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가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도록 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심도 정보에 대해 설정될 수 있으며,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해당 부호화 단위의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및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심도 정보로서, 심도별 분할 정보가 추출될 수도 있다.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가 추출한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와 같이 부호화단에서, 최대 부호화 단위별 심도별 부호화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이다. 따라서,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부호화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대한 부호화 정보는, 해당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중 소정 데이터 단위에 대해 할당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소정 데이터 단위별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소정 데이터 단위별로, 해당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동일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소정 데이터 단위들은 동일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터 단위로 유추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현재 픽처를 복원한다. 즉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가운데 각각의 부호화 단위마다, 판독된 파티션 타입, 예측 모드, 변환 단위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 과정은 인트라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포함하는 예측 과정, 및 주파수 역변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정보 및 예측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마다 각각의 파티션 및 예측 모드에 따라 인트라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별 주파수 역변환을 위해,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마다 각각의 변환 단위에 따라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심도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심도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에서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면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이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예측 모드 및 변환 단위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중 소정 데이터 단위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정보를 관찰하여, 동일한 분할 정보를 포함한 부호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단위가 모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에 의해 동일한 부호화 모드로 복호화할 하나의 데이터 단위로 간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 과정에서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재귀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킨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픽처에 대한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적 부호화 단위로 결정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복호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높은 해상도의 영상 또는 데이터량이 과도하게 많은 영상이라도 부호화단으로부터 전송된 최적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특성에 적응적으로 결정된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부호화 모드에 따라 효율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원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결정 방식이 상술된다.
도 3 은 계층적 부호화 단위의 개념을 도시한다.
부호화 단위의 예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너비x높이로 표현되며, 크기 64x64인 부호화 단위부터, 32x32, 16x16, 8x8를 포함할 수 있다.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64x64, 64x32, 32x64, 32x32의 파티션들로 분할될 수 있고,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32x32, 32x16, 16x32, 16x16의 파티션들로,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16x16, 16x8, 8x16, 8x8의 파티션들로,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8x8, 8x4, 4x8, 4x4의 파티션들로 분할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1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1920x1080,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64, 최대 심도가 2로 설정되어 있다. 비디오 데이터(32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1920x1080,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64, 최대 심도가 3로 설정되어 있다. 비디오 데이터(33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352x288,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16, 최대 심도가 1로 설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총 분할 횟수를 나타낸다.
해상도가 높거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 부호화 효율의 향상 뿐만 아니라 영상 특성을 정확히 반형하기 위해 부호화 사이즈의 최대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330)에 비해, 해상도가 높은 비디오 데이터(310, 320)는 부호화 사이즈의 최대 크기가 64로 선택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10)의 최대 심도는 2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10)의 부호화 단위(31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2회 분할하며 심도가 두 계층 깊어져서 장축 크기가 32, 16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비디오 데이터(330)의 최대 심도는 1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30)의 부호화 단위(335)는 장축 크기가 16인 부호화 단위들로부터, 1회 분할하며 심도가 한 계층 깊어져서 장축 크기가 8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20)의 최대 심도는 3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20)의 부호화 단위(32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3회 분할하며 심도가 세 계층 깊어져서 장축 크기가 32, 16, 8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심도가 깊어질수록 세부 정보의 표현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40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포함한다. 즉, 인트라 예측부(410)는 현재 프레임(405) 중 인트라 모드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는 인터 모드의 현재 프레임(405) 및 참조 프레임(495)를 이용하여 인터 추정 및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주파수 변환부(430) 및 양자화부(440)를 거쳐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 출력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역양자화부(460), 주파수 역변환부(470)을 통해 공간 영역의 데이터로 복원되고,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는 디블로킹부(480) 및 루프 필터링부(490)를 거쳐 후처리되어 참조 프레임(495)으로 출력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450)를 거쳐 비트스트림(455)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영상 부호화부(400)의 구성 요소들인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움직임 보상부(425), 주파수 변환부(430), 양자화부(440), 엔트로피 부호화부(450), 역양자화부(460), 주파수 역변환부(470), 디블로킹부(480) 및 루프 필터링부(490)가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심도를 고려하여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중 각각의 부호화 단위에 기반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 및 최대 심도를 고려하여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중 각각의 부호화 단위의 파티션 및 예측 모드를 결정하며, 주파수 변환부(430)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중 각각의 부호화 단위 내의 변환 단위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비트스트림(505)이 파싱부(510)를 거쳐 복호화 대상인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및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부호화에 관한 정보가 파싱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및 역양자화부(530)를 거쳐 역양자화된 데이터로 출력되고, 주파수 역변환부(540)를 거쳐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복원된다.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인트라 예측부(550)는 인트라 모드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움직임 보상부(560)는 참조 프레임(585)를 함께 이용하여 인터 모드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550) 및 움직임 보상부(560)를 거친 공간 영역의 데이터는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를 거쳐 후처리되어 복원 프레임(595)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를 거쳐 후처리된 데이터는 참조 프레임(585)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에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500)의 파싱부(510) 이후의 단계별 작업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영상 복호화부(500)의 구성 요소들인 파싱부(510),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역양자화부(530), 주파수 역변환부(540),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가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기반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각각마다 파티션 및 예측 모드를 결정하며, 주파수 역변환부(540)는 부호화 단위마다 변환 단위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파티션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영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계층적인 부호화 단위를 사용한다. 부호화 단위의 최대 높이 및 너비, 최대 심도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높이 및 너비가 64이며, 최대 심도가 4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세로축을 따라서 심도가 깊어지므로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가 각각 분할한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가로축을 따라,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의 기반이 되는 예측 단위 및 파티션이 도시되어 있다.
즉, 부호화 단위(610)는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 중 최대 부호화 단위로서 심도가 0이며, 부호화 단위의 크기, 즉 높이 및 너비가 64x64이다. 세로축을 따라 심도가 깊어지며, 크기 32x32인 심도 1의 부호화 단위(620), 크기 16x16인 심도 2의 부호화 단위(630), 크기 8x8인 심도 3의 부호화 단위(640), 크기 4x4인 심도 4의 부호화 단위(650)가 존재한다. 크기 4x4인 심도 4의 부호화 단위(65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이다.
각각의 심도별로 가로축을 따라,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 및 파티션들이 배열된다. 즉, 심도 0의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610)가 예측 단위라면, 예측 단위는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610)에 포함되는 크기 64x64의 파티션(610), 크기 64x32의 파티션들(612), 크기 32x64의 파티션들(614), 크기 32x32의 파티션들(61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1의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의 예측 단위는,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에 포함되는 크기 32x32의 파티션(620), 크기 32x16의 파티션들(622), 크기 16x32의 파티션들(624), 크기 16x16의 파티션들(62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2의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630)의 예측 단위는,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630)에 포함되는 크기 16x16의 파티션(630), 크기 16x8의 파티션들(632), 크기 8x16의 파티션들(634), 크기 8x8의 파티션들(63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3의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의 예측 단위는,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에 포함되는 크기 8x8의 파티션(640), 크기 8x4의 파티션들(642), 크기 4x8의 파티션들(644), 크기 4x4의 파티션들(64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도 4의 크기 4x4의 부호화 단위(65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이며 최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이고, 해당 예측 단위도 크기 4x4의 파티션(650)으로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부호화 심도를 결정하기 위해, 최대 부호화 단위(610)에 포함되는 각각의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야 한다.
동일한 범위 및 크기의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는, 심도가 깊어질수록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도 증가한다. 예를 들어, 심도 1의 부호화 단위 한 개가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심도 2의 부호화 단위는 네 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동일한 데이터의 부호화 결과를 심도별로 비교하기 위해서, 한 개의 심도 1의 부호화 단위 및 네 개의 심도 2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각각 부호화되어야 한다.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를 위해서는,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가로축을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들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 해당 심도에서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인 대표 부호화 오차가 선택될 수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세로축을 따라 심도가 깊어지며, 각각의 심도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 심도별 대표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가 검색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610) 중 최소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 및 파티션이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부호화 심도 및 파티션 타입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로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한다. 부호화 과정 중 주파수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의 크기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보다 크지 않은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에서, 현재 부호화 단위(710)가 64x64 크기일 때, 32x32 크기의 변환 단위(720)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64x64 크기의 부호화 단위(710)의 데이터를 64x64 크기 이하의 32x32, 16x16, 8x8, 4x4 크기의 변환 단위들로 각각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여 부호화한 후, 원본과의 오차가 가장 적은 변환 단위가 선택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정보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출력부(130)는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로서, 각각의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 변환 단위 크기에 대한 정보(820)를 부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파티션 타입에 대한 정보(8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데이터 단위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가 분할된 파티션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의 현재 부호화 단위 CU_0는, 크기 2Nx2N의 파티션(802), 크기 2NxN의 파티션(804), 크기 Nx2N의 파티션(806), 크기 NxN의 파티션(808)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분할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는 크기 2Nx2N의 파티션(802), 크기 2NxN의 파티션(804), 크기 Nx2N의 파티션(806) 및 크기 NxN의 파티션(808)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는, 각각의 파티션의 예측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를 통해,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가 가리키는 파티션이 인트라 모드(812), 인터 모드(814) 및 스킵 모드(816) 중 하나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되는지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변환 단위 크기에 관한 정보(82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어떠한 변환 단위를 기반으로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변환 단위는 제 1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2), 제 2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4), 제 1 인터 변환 단위 크기(826), 제 2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8)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10)는,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마다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 변환 단위 크기에 대한 정보(820)를 추출하여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심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분할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가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지 여부를 나타낸다.
심도 0 및 2N_0x2N_0 크기의 부호화 단위(900)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단위(910)는 2N_0x2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2), 2N_0x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4), N_0x2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6), N_0x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8)을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파티션들(912, 914, 916, 918)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파티션 타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대칭적 파티션, 임의적 형태의 파티션, 기하학적 형태의 파티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타입마다, 한 개의 2N_0x2N_0 크기의 파티션, 두 개의 2N_0xN_0 크기의 파티션, 두 개의 N_0x2N_0 크기의 파티션, 네 개의 N_0xN_0 크기의 파티션마다 반복적으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크기 2N_0x2N_0, 크기 N_0x2N_0 및 크기 2N_0xN_0 및 크기 N_0xN_0의 파티션에 대해서는,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스킵 모드는 크기 2N_0x2N_0의 파티션에 예측 부호화가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크기 2N_0x2N_0, 2N_0xN_0 및 N_0x2N_0의 파티션 타입(912, 914, 916) 중 하나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더 이상 하위 심도로 분할할 필요 없다.
크기 N_0xN_0의 파티션 타입(91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심도 0를 1로 변경하며 분할하고(920), 심도 2 및 크기 N_0xN_0의 파티션 타입의 부호화 단위들(930)에 대해 반복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검색해 나갈 수 있다.
심도 1 및 크기 2N_1x2N_1 (=N_0xN_0)의 부호화 단위(930)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단위(940)는, 크기 2N_1x2N_1의 파티션 타입(942), 크기 2N_1xN_1의 파티션 타입(944), 크기 N_1x2N_1의 파티션 타입(946), 크기 N_1xN_1의 파티션 타입(9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기 N_1xN_1 크기의 파티션 타입(94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심도 1을 심도 2로 변경하며 분할하고(950), 심도 2 및 크기 N_2xN_2의 부호화 단위들(960)에 대해 반복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검색해 나갈 수 있다.
최대 심도가 d인 경우, 심도별 분할 정보는 심도 d-1일 때까지 설정되고, 분할 정보는 심도 d-2까지 설정될 수 있다. 즉, 심도 d-2로부터 분할(970)되어 심도 d-1까지 부호화가 수행될 경우, 심도 d-1 및 크기 2N_(d-1)x2N_(d-1)의 부호화 단위(980)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단위(990)는, 크기 2N_(d-1)x2N_(d-1)의 파티션 타입(992), 크기 2N_(d-1)xN_(d-1)의 파티션 타입(994), 크기 N_(d-1)x2N_(d-1)의 파티션 타입(996), 크기 N_(d-1)xN_(d-1)의 파티션 타입(998)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가운데, 한 개의 크기 2N_(d-1)x2N_(d-1)의 파티션, 두 개의 크기 2N_(d-1)xN_(d-1)의 파티션, 두 개의 크기 N_(d-1)x2N_(d-1)의 파티션, 네 개의 크기 N_(d-1)xN_(d-1)의 파티션마다 반복적으로 예측 부호화를 통한 부호화가 수행되어, 최소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파티션 타입이 검색될 수 있다.
크기 N_(d-1)xN_(d-1)의 파티션 타입(99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더라도, 최대 심도가 d이므로,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 CU_(d-1)는 더 이상 하위 심도로의 분할 과정을 거치지 않으며,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900)에 대한 부호화 심도가 심도 d-1로 결정되고, 파티션 타입은 N_(d-1)xN_(d-1)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심도가 d이므로,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952)에 대해 분할 정보는 설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단위(999)은,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한 '최소 단위'라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단위는, 최하위 부호화 심도인 최소 부호화 단위가 4분할된 크기의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 부호화 과정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900)의 심도별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를 선택하여, 부호화 심도를 결정하고, 해당 파티션 타입 및 예측 모드가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심도 0, 1, ..., d-1, d의 모든 심도별 최소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작은 심도가 선택되어 부호화 심도로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 및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및 예측 모드는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로써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심도 0으로부터 부호화 심도에 이르기까지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야 하므로, 부호화 심도의 분할 정보만이 '0'으로 설정되고, 부호화 심도를 제외한 심도별 분할 정보는 '1'로 설정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부호화 단위(900)에 대한 부호화 심도 및 예측 단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부호화 단위(912)를 복호화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심도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 정보가 '0'인 심도를 부호화 심도로 파악하고, 해당 심도에 대한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0,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주파수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부호화 단위(10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가 결정한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이다. 예측 단위(1060)는 부호화 단위(1010) 중 각각의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들의 파티션들이며, 변환 단위(1070)는 각각의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들이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1010)은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0이라고 하면, 부호화 단위들(1012, 1054)은 심도가 1, 부호화 단위들(1014, 1016, 1018, 1028, 1050, 1052)은 심도가 2, 부호화 단위들(1020, 1022, 1024, 1026, 1030, 1032, 1048)은 심도가 3, 부호화 단위들(1040, 1042, 1044, 1046)은 심도가 4이다.
예측 단위들(1060) 중 일부 파티션(1014, 1016, 1022, 1032, 1048, 1050, 1052, 1054)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된 형태이다. 즉, 파티션(1014, 1022, 1050, 1054)은 2NxN의 파티션 타입이며, 파티션(1016, 1048, 1052)은 Nx2N의 파티션 타입, 파티션(1032)은 NxN의 파티션 타입이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1010)의 예측 단위 및 파티션들은 각각의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다.
변환 단위들(1070) 중 일부(1052)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부호화 단위에 비해 작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로 주파수 변환 또는 주파수 역변환이 수행된다. 또한, 변환 단위(1014, 1016, 1022, 1032, 1048, 1050, 1052, 1054)는 예측 단위들(1060) 중 해당 예측 단위 및 파티션와 비교해보면,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태의 데이터 단위이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다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동일한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움직임 추정/움직임 보상 작업, 및 주파수 변환/역변환 작업이라 할지라도, 각각 별개의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영역별로 계층적인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재귀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최적 부호화 단위가 결정됨으로써, 재귀적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이 구성될 수 있다.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단위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에서 설정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다.
분할 정보 0 (현재 심도 d의 크기 2Nx2N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부호화) 분할 정보 1
예측 모드 파티션 타입 변환 단위 크기 하위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반복적 부호화
인트라
인터

스킵 (2Nx2N만)
대칭형 파티션 타입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변환 단위 분할 정보 0 변환 단위
분할 정보 1
2Nx2N
2NxN
Nx2N
NxN
2NxnU
2NxnD
nLx2N
nRx2N
2Nx2N NxN
(대칭형 파티션 타입)

N/2xN/2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출력부(130)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출력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현재 심도 d의 분할 정보가 0이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하위 부호화 단위로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심도가 부호화 심도이므로, 부호화 심도에 대해서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변환 단위 크기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분할 정보에 따라 한 단계 더 분할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분할된 4개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독립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예측 모드는, 인트라 모드, 인터 모드 및 스킵 모드 중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는 모든 파티션 타입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스킵 모드는 파티션 타입 2Nx2N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정보는, 예측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대칭적 파티션 타입 2Nx2N, 2NxN, Nx2N 및 NxN 과, 비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비대칭적 파티션 타입 2NxnU, 2NxnD, nLx2N, nRx2N를 나타낼 수 있다. 비대칭적 파티션 타입 2NxnU 및 2NxnD는 각각 높이가 1:3 및 3:1로 분할된 형태이며, 비대칭적 파티션 타입 nLx2N 및 nRx2N은 각각 너비가 1:3 및 3:1로 분할된 형태를 나타낸다.
변환 단위 크기는 인트라 모드에서 두 종류의 크기, 인터 모드에서 두 종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 이라면, 변환 단위의 크기가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 2Nx2N로 설정된다.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된 크기의 변환 단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크기 2Nx2N인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파티션 타입이 대칭형 파티션 타입이라면 변환 단위의 크기는 NxN,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이라면 N/2xN/2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단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할당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동일한 부호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데이터 단위들끼리 각각 보유하고 있는 부호화 정보들을 확인하면, 동일한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단위가 보유하고 있는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면 해당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 내의 부호화 심도들의 분포가 유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주변 데이터 단위를 참조하여 예측하기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인접하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 내의 데이터 단위의 부호화 정보가 직접 참조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현재 부호화 단위가 주변 부호화 단위를 참조하여 예측 부호화가 수행되는 경우, 인접하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심도별 부호화 단위 내에서 현재 부호화 단위에 인접하는 데이터가 검색됨으로써 주변 부호화 단위가 참조될 수도 있다.
도 13 은 표 1의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1300)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1302, 1304, 1306, 1312, 1314, 1316, 1318)을 포함한다. 이 중 하나의 부호화 단위(1318)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이므로 분할 정보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크기 2Nx2N의 부호화 단위(1318)의 파티션 타입 정보는, 파티션 타입 2Nx2N(1322), 2NxN(1324), Nx2N(1326), NxN(1328), 2NxnU(1332), 2NxnD(1334), nLx2N(1336) 및 nRx2N(1338)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정보가 대칭형 파티션 타입 2Nx2N(1322), 2NxN(1324), Nx2N(1326) 및 NxN(1328) 중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변환 단위 분할 정보(TU size flag)가 0이면 크기 2Nx2N의 변환 단위(1342)가 설정되고,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면 크기 NxN의 변환 단위(1344)가 설정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정보가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2NxnU(1332), 2NxnD(1334), nLx2N(1336) 및 nRx2N(1338) 중 하나로 설정된 경우, 변환 단위 분할 정보(TU size flag)가 0이면 크기 2Nx2N의 변환 단위(1352)가 설정되고,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면 크기 N/2xN/2의 변환 단위(1354)가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움직임 예측부(420), 움직임 보상부(425) 및 도 5의 영상 복호화 장치(200)의 움직임 보상부(550)에서 수행되는 움직임 예측 및 보상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예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의 움직임 벡터 부호화 장치(1400)는 도 4의 움직임 예측부(420)에 대응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예측 장치(1400)는 분할부(1410) 및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를 포함한다.
분할부(1410)는 픽처를 최대 크기의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분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는 2mx2n(m,n은 정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가 종래 16x16 크기의 매크로블록에 비하여 큰 크기를 갖도록 m,n의 값은 5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최대 부호화 단위는 크기 32x32, 64x64, 128x128, 256x256 등의 큰 크기의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그리고, 분할부(14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분할 모드들에 따라서 각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 구조의 예측 단위들로 분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공간적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심도에 기초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다시 움직임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을 위해 예측 단위(또는 파티션)로 분할될 수 있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각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각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블록 모드에 따라서 분할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는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지 않고,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만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그리고,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한다. 예측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움직임 예측을 위한 예측 단위를 도시한다. 도 15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64x64이며, 최대 심도가 3인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4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심도별 부호화 단위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움직임 예측을 위한 예측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심도 0의 크기 64x64인 최대 부호화 단위(1510)는 크기 64x64의 예측 단위(1510), 크기 64x32의 예측 단위들(1511), 크기 32x64의 예측 단위들(1512), 크기 32x32의 예측 단위들(1513)을 이용하여 움직임 예측될 수 있다.
심도 1의 크기 32x32인 부호화 단위(1520)는 크기 32x32의 예측 단위(1520), 크기 32x16의 예측 단위들(1521), 크기 16x32의 예측 단위들(1522), 크기 16x16의 예측 단위들(1523)을 이용하여 움직임 예측될 수 있다.
심도 2의 크기 16x16인 부호화 단위(1530)는 크기 16x16의 예측 단위(1530), 크기 16x8의 예측 단위들(1532), 크기 8x16의 예측 단위들(1532), 크기 8x8의 예측 단위들(1533)을 이용하여 움직임 예측될 수 있다.
심도 3의 크기 8x8인 부호화 단위(1540)는 크기 8x8의 예측 단위(1540), 크기 8x4의 예측 단위들(1541), 크기 4x8의 예측 단위들(1542), 크기 4x4의 예측 단위들(1543)을 이용하여 움직임 예측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64x64이며, 최대 심도가 3이고, 각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측 단위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 최대 심도가 다른 값을 갖거나 도 15에 도시된 예측 단위와는 다른 형태의 예측 단위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움직임 벡터 결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모드들을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 최대 심도 및 각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을 위한 예측 단위의 형태에 따라서, 최대 부호화 단위는 무수히 많은 분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분할 모드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예측을 위한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분할 모드 0은 크기 64x64의 최대 부호화 단위가 그대로 예측 단위로 이용되는 모드, 즉 크기 64x64인 예측 단위에 대하여 움직임 예측이 수행되는 모드를 나타낸다. 분할 모드 1은 최대 부호화 단위를 수평 방향으로 2분할한 2개의 64x32 예측 단위들을 이용하여 움직임 예측이 수행되는 모드를 나타낸다. 분할 모드 n(n은 정수)는 최대 부호화 단위가 이용가능한 가장 작은 예측 단위들로 분할된 경우로, 최대 부호화 단위가 256개의 크기 4x4 예측 단위들로 분할된 경우를 나타낸다. 특정 넘버의 분할 모드가 최대 부호화 단위의 어떤 분할 형태를 나타내는지는 도 16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움직임 예측 부호화를 위해서는, 각 분할 모드에 따라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각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이 수행되어 각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벡터가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구조의 부호화 단위에 기초하여 움직임 예측을 수행할 때 큰 크기의 최대 부호화 단위가 이용되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모드의 개수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움직임 예측시의 연산량 역시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다양한 크기의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들에 대해서만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들의 움직임 벡터들을 획득한다. 그리고,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는 별도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지 않고, 하위 계층의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에 의하여 획득된 움직임 벡터를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움직임 예측 수행 여부의 기준이 되는 예측 단위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16x16을 기준으로 가로축 길이나 세로축 길이 중 하나라도 16보다 큰 예측 단위에 대해서는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지 않고, 크기 16x16 이하인 예측 단위에 대해서만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그리고,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크기, 예를 들어 16x16의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에 의하여 획득된 움직임 벡터를 16x16 보다 큰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들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위치에 존재하며 소정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32x32인 예측 단위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크기 16x16 예측 단위가 갖는 움직임 벡터가 크기 32x32인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이용될 수 있다.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갖는 소정 크기의 예측 단위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며 소정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들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 중 하나를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64x64의 최대 부호화 단위가 분할 모드에 따라서 16x16의 예측 단위들로 분할된 경우,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16x16 예측 단위들이 갖는 움직임 벡터들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이 크기 64x64의 최대 부호화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와 다른 예측 단위에 포함되며 소정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64x64의 최대 부호화 단위가 분할 모드 1에 따라서 2개의 64x32의 예측 단위들로 분할된 경우, 어느 하나의 64x32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다른 64x32의 예측 단위에 존재하는 16x16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소정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크기 16x16을 기준으로 16x16보다 큰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크기 64x64인 예측 단위(1710)에 대하여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지 않고, 크기 64x64인 예측 단위(1710)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16x16 예측 단위(1711)의 움직임 벡터를 최대 부호화 단위(17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1711)에 대응되는 예측 단위로서, 소정의 분할 모드 n에 따라 분할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16x16 예측 단위(1721)의 움직임 벡터 mv1를 크기 64x64인 예측 단위(17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크기 64x32, 32x64, 32x32, 32x16, 16x32의 예측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들로써 크기 64x32, 32x64, 32x32, 32x16, 16x32의 예측 블록들 각각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움직임 예측 수행 여부의 기준이 되는 예측 단위의 크기는 16x16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이용되는 소정 크기의 예측 단위의 위치 역시 변경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분할 모드 1에 따라 분할된 2개의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들(1910, 1920)에 대하여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지 않고,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들(1911, 1921)의 움직임 벡터 각각을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들(1910, 192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1910)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1911)에 대응되는 예측 단위로서, 소정의 분할 모드 b에 따라 분할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16x16 예측 단위(1931)의 움직임 벡터 mv1를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19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1920)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1921)에 대응되는 예측 단위로서, 소정의 분할 모드 b에 따라 분할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16x16 예측 단위(1932)의 움직임 벡터 mv3를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192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크기 64x64인 예측 단위(1810)에 대하여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지 않고, 최대 부호화 단위(1810)를 분할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위치에 존재하며 크기 16x16인 복수 개의 예측 단위들의 움직임 벡터들의 평균값이나 중간값을 최대 부호화 단위(18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분할 모드 a에 따라서 최대 부호화 단위(1820)가 크기 16x16인 예측 단위들로 분할되어 움직임 예측이 수행된 경우, 소정 위치의 크기 16x16 예측 단위들(1821, 1822, 1823, 1824)이 갖는 움직임 벡터들 mv1, mv2, mv3, mv4의 평균값인 avg(mv1, mv2, mv3, mv4)이 크기 64x64인 예측 단위(18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위치의 크기 16x16 예측 단위들(1821, 1822, 1823)이 갖는 움직임 벡터들 mv1, mv2, mv3의 중간값인 med(mv1, mv2, mv3)이 크기 64x64인 예측 단위(18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16x16 예측 단위의 위치 및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와 다른 예측 단위에 포함되며 소정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분할 모드 1에 따라 분할된 2개의 64x32 예측 단위들(2010,2020) 중 상측의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010)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분할 모드 n에 따라 분할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상측의 크기 64x32 예측 단위(2010)의 좌상측 코너 위치에 대응되는 16x16 예측 단위(2031)의 움직임 벡터 mv1를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0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하측의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020)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분할 모드 n에 따라 분할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상측의 크기 64x32 예측 단위(2010)의 좌상측 코너 아래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2032)의 움직임 벡터 mv3를 하측의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0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분할 형태에 기초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들의 움직임 벡터만을 이용하여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전술한 도 17 및 도 19와 같이,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지 않고 소정의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며,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소정 크기의 예측 단위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분할 모드에 따라서 최대 부호화 단위를 분할한 16x16 예측 단위들(2170)이 갖는 움직임 벡터들 중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소정 위치에 대응되는 16x16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64x64인 예측 단위(2110)의 좌상측 코너 위치의 16x16 예측 단위(2111)의 움직임 벡터 mv0가 크기 64x64인 예측 단위(21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120)의 좌상측 코너 위치의 16x16 예측 단위(2121)의 움직임 벡터 mv0가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12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130)의 좌상측 코너 위치의 16x16 예측 단위(2131)의 움직임 벡터 mv8이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13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크기 32x64인 예측 단위(2140)의 좌상측 코너 위치의 16x16 예측 단위(2141)의 움직임 벡터 mv0가 크기 32x64인 예측 단위(214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크기 32x64인 예측 단위(2150)의 좌상측 코너 위치의 16x16 예측 단위(2151)의 움직임 벡터 mv2가 크기 32x64인 예측 단위(215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크기 32x32인 예측 단위들(2161, 2163, 2165, 2167)의 좌상측 코너 위치의 16x16 예측 단위들(2162, 2164, 2166, 2168)의 움직임 벡터 mv0, mv2, mv8, mv10 각각이 크기 32x32인 예측 단위들(2161, 2163, 2165, 2167)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분할 형태에 기초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들의 움직임 벡터들만을 이용하여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분할 모드에 따라서 최대 부호화 단위를 분할한 16x16 예측 단위들(2270)이 갖는 움직임 벡터들 중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들(2271)의 움직임 벡터들만을 이용하여 16x16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wxh (w,h는 32이상의 정수)인 예측 단위(2210)의 움직임 벡터로서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들(2271) 중 좌상측에 위치한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 mv0가 결정될 수 있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는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위치에 따라서 mv0 또는 mv1을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크기 wxh인 부호화 단위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예측 단위 중 좌측의 크기 (w/2)xh인 예측 단위(2220)의 움직임 벡터는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들(2271) 중 좌상측에 위치한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 mv0로 결정되고, 우측의 크기 (w/2)xh인 예측 단위(2230)의 움직임 벡터는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들(2271) 중 우상측에 위치한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 mv1로 결정될 수 있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는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위치에 따라서 mv0 또는 mv4를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크기 wxh인 부호화 단위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예측 단위 중 상측의 크기 wx(h/2)인 예측 단위(2240)의 움직임 벡터는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들(2271) 중 좌상측에 위치한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 mv0로 결정되고, 하측의 크기 wx(h/2)인 예측 단위(2250)의 움직임 벡터는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들(2271) 중 좌하측에 위치한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 mv4로 결정될 수 있다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4분할한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는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위치에 따라서 mv0, mv1, mv2 및 mv4 중 하나를 소정 크기 이상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크기 wxh 부호화 단위를 4분할한 예측 단위 중 좌상측의 크기 (w/2)x(h/2)인 예측 단위(2261)의 움직임 벡터는 mv0, 우상측의 크기 (w/2)x(h/2)인 예측 단위(2262)의 움직임 벡터는 mv1, 좌하측의 크기 (w/2)x(h/2)인 예측 단위(2263)의 움직임 벡터는 mv2, 우하측의 크기 (w/2)x(h/2)인 예측 단위(2264)의 움직임 벡터는 mv3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분할 모드들에 따라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의 움직임 벡터가 결정될 수 있다.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인터 예측시의 예측 오차값과 인트라 예측 모드 등의 다른 예측 모드에 기초한 각 예측 단위의 예측 오차값이 서로 비교됨으로써, 각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의 예측 오차값이 서로 비교되어,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예측이 제한되는 예측 단위의 크기 정보가 비트스트림에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limit_motion_estimation_flag 라고 하면, limit_motion_estimation_flag가 1인 경우에는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이 제한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limit_motion_estimation_flag가 0인 경우에는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에 대해서도 움직임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limit_motion_estimation_flag)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PPS(Picture Parameter Set), 슬라이스 파라메터, 최대 부호화 단위 파라메터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움직임 예측이 제한되는 예측 단위의 크기 정보는 부호화측과 복호화 측에서 움직임 예측이 제한되는 예측 단위의 크기 정보가 미리 설정될 경우 별도로 비트스트림에 부가될 필요는 없다.
각 예측 단위에 대하여 결정된 움직임 벡터 정보는 각 예측 단위의 부호화 정보에 포함되어 부호화측으로부터 복호화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현재 예측 단위와 다른 예측 단위에 포함되며 소정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결정하는 경우,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는 다른 예측 단위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움직임 벡터 정보가 전송될 필요는 없으며, 단지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다른 예측 단위로부터 결정됨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만이 전송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단계 2310에서 분할부(2310)는 비디오를 구성하는 픽처를 최대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분할한다. 그리고, 단계 2320에서 분할부(14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분할 모드들에 따라서 각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 구조의 예측 단위들로 분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공간적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심도에 기초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다시 움직임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을 위해 예측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단계 2330에서,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한다.
단계 2340에서, 움직임 예측 수행부(1420)는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위치에 존재하며 소정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며 소정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들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 중 하나를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는 움직임 예측 과정을 스킵하고 하위 계층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함으로써 움직임 예측에 소요되는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큰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시에는 참조 프레임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역시 증가되어야 하는데, 큰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 과정을 스킵함으로써 움직임 예측에 필요한 메모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보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의 움직임 보상 장치(2400)는 도 5의 움직임 보상부(560)에 대응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보상 장치(2400)는 판단부(2410) 및 움직임 보상 수행부(2420)를 포함한다.
판단부(24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 및 현재 예측 단위의 크기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판단부(2410)는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limit_motion_estimation_flag 가 1인 경우에는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에 대한 움직임 예측이 제한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limit_motion_estimation_flag가 0인 경우에는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에 대해서 일반적인 움직임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임을 나타낼 수 있다.
판단부(2410)의 판단 결과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 이하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움직임 보상 수행부(2420)는 현재 예측 단위가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이면,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측에서는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위치에 존재하며 소정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며 소정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들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 중 하나를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와 다른 예측 단위에 포함되며 소정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도 20을 참조하면, 움직임 보상 수행부(2420)는 분할 모드 1에 따라 분할된 2개의 64x32 예측 단위들(2010,2020) 중 상측의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010)의 움직임 벡터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 수행부(2420)는 하측의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020)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측의 크기 64x32 예측 단위(2010)의 좌상측 코너 아래에 위치한 16x16 예측 단위(2032)의 움직임 벡터 mv3를 하측의 크기 64x32인 예측 단위(2010)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 수행부(2420)는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결정되면, 참조 프레임의 데이터 중 결정된 움직임 벡터가 가리키는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값을 생성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단계 2510에서 판단부(24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 및 현재 예측 단위의 크기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2520에서, 판단부(2410)는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limit_motion_estimation_flag 의 값에 기초하여,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에 대해서 움직임 예측이 수행되어 움직임 예측이 수행된 경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2530에서, 움직임 보상부(2420)는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현재 예측 단위가 소정 크기보다 큰 예측 단위인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 이하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위치에 존재하며 소정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며 소정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들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 중 하나를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와 다른 예측 단위에 포함되며 소정 크기를 갖는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가 소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를 구성하는 픽처를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예측 단위들 중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보다 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들로 분할하는 단계는
    최대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픽처를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공간적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심도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를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며, 움직임 예측을 위해 상기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상기 예측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들 중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는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좌상측 코너에 위치한 예측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와 다른 예측 단위에 포함된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들 중,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들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 중 하나를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7.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보다 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 및 현재 예측 단위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현재 예측 단위가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인 경우,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최대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고,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공간적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심도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며, 움직임 예측을 위해 상기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상기 예측 단위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상기 현재 예측 단위와 다른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에 포함된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상기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10. 비디오의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를 구성하는 픽처를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들로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예측 단위들 중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크기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크기보다 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 예측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최대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픽처를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공간적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심도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구성되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며, 움직임 예측을 위해 상기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상기 예측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예측 수행부는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를 분할한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들 중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
  13. 비디오의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보다 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 및 현재 예측 단위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현재 예측 단위가 상기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인 경우, 상기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 보상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최대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고,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공간적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심도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며, 움직임 예측을 위해 상기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상기 예측 단위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보상 수행부는
    상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중, 상기 현재 예측 단위와 다른 제 2 크기의 예측 단위에 포함된 제 1 크기의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상기 현재 예측 단위의 움직임 벡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KR1020130028245A 2013-03-15 2013-03-15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08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45A KR102088383B1 (ko) 2013-03-15 2013-03-15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4/218,177 US9635353B2 (en) 2013-03-15 2014-03-18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45A KR102088383B1 (ko) 2013-03-15 2013-03-15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54A KR20140113854A (ko) 2014-09-25
KR102088383B1 true KR102088383B1 (ko) 2020-03-12

Family

ID=5152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24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8383B1 (ko) 2013-03-15 2013-03-15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5353B2 (ko)
KR (1) KR102088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564B1 (ko) 2015-05-12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인 순서로 결정되는 블록을 이용하여 영상을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866769A (zh) 2015-08-07 2022-08-05 Lg 电子株式会社 视频编译系统中的帧间预测方法和装置
KR102715635B1 (ko) 2016-03-28 2024-10-11 로즈데일 다이나믹스 엘엘씨 인터 예측 모드 기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28466A1 (ko) * 2017-01-09 2018-07-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82330A (ko) 2017-01-09 2018-07-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936641B2 (ja) 2017-07-05 2021-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6854716B2 (ja) * 2017-07-05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CN113489985A (zh) * 2021-05-26 2021-10-08 杭州博雅鸿图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分像素运动估计方法及估计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017B1 (ko) * 2011-11-23 2012-11-26 (주)휴맥스 비대칭 파티션에 대한 공통 병합 후보 블록 집합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0065A (zh) * 2008-07-10 2011-06-08 三菱电机株式会社 图像编码装置、图像解码装置、图像编码方法以及图像解码方法
KR101452859B1 (ko) * 2009-08-13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벡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SG10201802064VA (en) * 2010-09-30 2018-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Moving image encoding device, moving image decoding device, moving image coding method, and moving image decoding method
CA2808376C (en) * 2010-12-06 2018-11-13 Panasonic Corporation Image coding method, image decoding method, image coding device, and image decoding device
US10440373B2 (en) * 2011-07-12 2019-10-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unit partitioning
EP2942961A1 (en) * 2011-11-23 2015-11-11 HUMAX Holdings Co., Ltd. Methods for encoding/decoding of video using common merging candidate set of asymmetric partitions
US9544592B2 (en) * 2012-02-10 2017-01-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ncoding pictures associated with video d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017B1 (ko) * 2011-11-23 2012-11-26 (주)휴맥스 비대칭 파티션에 대한 공통 병합 후보 블록 집합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54A (ko) 2014-09-25
US9635353B2 (en) 2017-04-25
US20140269924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334B1 (ko) 움직임 벡터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95724B1 (ko)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2111768B1 (ko) 계층적 부호화 단위에 따라 스캔 순서를 변경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88383B1 (ko)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70431B1 (ko) 쌍방향 예측 및 블록 병합을 제한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179383B1 (ko) 병합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169608B1 (ko) 인트라 예측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한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01708A (ko) 움직임 정보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20104128A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169610B1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130116215A (ko) 병렬 처리를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86009A (ko) 병렬 처리를 위한 단일화된 신택스를 이용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106795A (ko)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스케일러블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50863A (ko) 참조리스트를 이용하는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576200B1 (ko)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2040316B1 (ko) 계층적 부호화 단위의 스캔 순서를 고려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835642B1 (ko)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775031B1 (ko)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732058B1 (ko)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577243B1 (ko)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576199B1 (ko)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576198B1 (ko)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20150045973A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52862B1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40684B1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