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901B1 - Toe fitness equipment - Google Patents
Toe fitness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1901B1 KR102081901B1 KR1020200005569A KR20200005569A KR102081901B1 KR 102081901 B1 KR102081901 B1 KR 102081901B1 KR 1020200005569 A KR1020200005569 A KR 1020200005569A KR 20200005569 A KR20200005569 A KR 20200005569A KR 102081901 B1 KR102081901 B1 KR 102081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e
- bottom plate
- toes
- plate body
- press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10000000454 fifth to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0453 second to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1255 hallux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455 fourth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61159 Foot deform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963 Hallux Valg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1227561 Valg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593357 Austroderia fulv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70666 Testudin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72 metatars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07 p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32 should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가락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개의 발가락 모두가 그에 해당하는 눌림부재를 개별적으로 눌러서 5개 발가락 모두의 근력을 강화하도록 하되, 2,3,4번 발가락은 발끝 마디로 눌림부재를 누를 때, 둘째 마디의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2,3,4번 발가락의 근육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키도록 함으로써, 엄지와 새끼발가락의 근육이 단련됨은 물론이고 2,3,4번 3개의 발가락의 근육이 집중적으로 단련되어 2,3,4번 3개의 발가락에서도 아치 형태로 지지력이 증강되어 발바닥의 중앙 족궁 외에 또 다른 3개의 아치부가 추가되는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바닥판(10)의 전방 양측에 좌우 5개씩의 발가락 모두가 그에 해당하는 눌림부재를 개별적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구유닛(20)이 설치되며;
상기 누름구유닛(20)은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이 개별적으로 누르는 각각의 1,5번 누름구(30)와, 둘째부터 넷째발가락이 개별적으로 누르는 각각의 2~4번 누름구(40)를 포함하며;
상기 1,5번 누름구(30)는 하단설치부(32)가 바닥판(10)의 바닥판본체(11) 전방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3)의 상부에 엄지 및 새끼발가락으로 누르는 눌림부재(34)가 설치되고;
상기 2~4번 누름구(40)는 설치대(42)의 상부에 힌지브래킷(43)을 형성한 지렛대설치대(44)가 바닥판(10)의 바닥판본체(11) 전방에 설치되며, 힌지브래킷(43)의 상부에는 전후방 하측에 스프링(48)이 설치되는 지렛대(45)의 가운데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이 지렛대(45)의 전후방 단부 상측에는 발가락에 첫마디에 눌리는 눌림부재(46)와 발가락 둘째마디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풋싱부재(47)의 하단부가 힌지식으로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바닥판(10)이 좌우로 분리 형성되고, 좌우로 분리된 바닥판(10)의 바닥판본체(11) 상부에 발등을 감싸는 갑피(14)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e exercis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ll five toes to press the corresponding pressing member individually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all five toes, 2, 3, 4 toes to the tiptoe node When pressing the pressing member, by pushing the bottom of the second node upwards to concentrate the muscles of the toes 2, 3, 4, the muscles of the thumb and the little toe are strengthened, as well as the 2, 3, 4 3 The muscles of the dog's toes are intensively trained so that the support of the arches can be increased in three toes 2, 3, and 4, so that another three arches can be added in addition to the center foot arch of the sole of the foo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10 on which the foot can be placed, the pressing unit 20 which can press the pressing me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five toes individually;
The presser unit 20 presses the first and the fifth presses 30, respectively, which presses the toe and the little toe individually, and presses the second to fourth pressers 40, respectively, which the second to the fourth toes individually press. Includes;
The 1, 5 pusher 30 is a pressing member pressed by the thumb and the little to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33, the lower installation portion 32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body 11 of the bottom plate 10 ( 34) is installed;
The second to fourth press holes 40 ar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body 11 of the bottom plate 10 is a lever mounting bracket 44 formed with a hinge bracket 43 on the upper mounting bracket 42, the hinge bracke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43, the center of the lever 45, which is installed with a spring 48 at the front and rear, is installed in a hinged manner, and the pressing member 46 pressed by the first node on the toe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ever 45. The lower end of the footing member 47 for pushing up the second toe bottom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installed in each hinged type.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bottom plate 10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the upper plate 14 to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body 11 of the bottom plate 10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14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가락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개의 발가락 모두가 그에 해당하는 눌림부재를 개별적으로 눌러서 5개 발가락 모두의 근력을 강화하도록 하되, 2,3,4번 발가락은 발끝 마디로 눌림부재를 누를 때, 둘째 마디의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2,3,4번 발가락의 근육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키도록 함으로써, 엄지와 새끼발가락의 근육이 단련됨은 물론이고 2,3,4번 3개의 발가락의 근육이 집중적으로 단련되어 2,3,4번 3개의 발가락에서도 아치 형태로 지지력이 증강되어 발바닥의 중앙 족궁 외에 또 다른 3개의 아치부가 추가되는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e exercis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ll five toes to press the corresponding pressing member individually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all five toes, 2, 3, 4 toes to the tiptoe node When pressing the pressing member, by pushing the bottom of the second node upwards to concentrate the muscles of the toes 2, 3, 4, the muscles of the thumb and the little toe are strengthened, as well as the 2, 3, 4 3 The muscles of the dog's toes are intensively trained so that the support of the arches can be increased in three toes, 2, 3, and 4, so that another three arches can be added in addition to the center foot arch of the sole.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자연스럽게 건강에 대한 인식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에 발맞춰 발, 특히 신체의 기초가 되는 발가락이 체형 및 체질 개선에 영향을 주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올바른 형태의 발가락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line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health as the level of income increases naturally, the fact that the feet, especially the toe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the body, can affect the shape and constitution, prevent disease and improve health. As it becomes known, the importance of correct toes is on the rise.
특히 발가락은 인간이 직립 보행을 시작한 이후 모든 신체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써, 발가락(지골과 중족골)은 서고 걸을 때 가장 아래쪽에서 가장 많은 움직임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인체의 혈액순환 및 체형의 균형과 이동, 운동 등 가장 많은 부분을 담당하는 스위치 센서와 같은 일을 하고, 따라서 올바른 자세로 걷거나 서있는 것만으로도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In particular, the toes are the basic part of every body after the human starts walking upright, and the toes (the phalanges and the metatarsal bones) play an important role with the most movements at the bottom when standing and walking, and the human body's blood circulation and body balance Doing the same thing as a switch sensor that takes care of the most, such as overwork, movement, and exercise, can help you stay healthy just by walking or standing in the correct position.
그런데 바른 걸음걸이 또는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발가락을 이루는 관절들이 변형되어 관절 연쇄원리에 따라 발가락에서부터 발, 발목에서 무릎, 골반, 허리, 척추, 내장기관, 어깨, 목, 머리까지 파급되어 O자 다리, X자 다리, 골반 불균형, 어깨 불균형, 척추 디스크, 측만증, 혈액순환장애, 보행 장애 등이 신체 전반에 걸쳐 일어나게 된다. However, if you do not maintain the correct gait or standing posture, the joints that make up the toes are deformed, an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joint chain, the toes, feet, ankles, knees, pelvis, waist, spine, internal organs, shoulders, necks, and heads are distributed. Legs, X-shaped legs, pelvic imbalances, shoulder imbalances, spinal discs, scoliosis, blood circulation disorders, and walking disorders occur throughout the body.
더욱이 현대인들은 발, 특히 발가락을 포함한 하지 건강의 중요성을 간과한 채 미(美)적 관심에만 급급하여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키높이 같은 신발 등의 사용함으로써, 발가락으로 체중이 쏠리면서 발가락이 변형되어, 종국적으로 신체 균형이 깨지게 되면서 어깨 등이 쑤시고 피로감을 더욱 빨리 느끼고,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쉬워 국민 건강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고, 이에 따라 무지외반증과 같은 발가락 질환이 국민 건강을 해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In addition, modern people have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of their legs, especially their toes, by using only high-heeled shoes and high-heeled shoes, such as high-heeled shoes. As the balance of the body is broken, the shoulders are swelled, the fatigue is felt more quickly, and the immunity is lowered, and it is easy to be affected by various diseases, which causes the health of the toes. It's working.
특히 발가락은 신체 중 가장 약하면서 가장 많은 움직임과 활동량을 소화하고, 체중이 가장 많이 쏠리는 중요한 부위임에 비하여 현대인들은 그 중요성을 간과한 채 발가락을 비롯한 발의 관리를 소홀히 하여 신체의 기초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건강의 불균형, 각종 질환의 발병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toes are the weakest part of the body, digesting the most amount of movement and activity, and the weight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body, while modern people overlook the importance of neglecting the management of the toes and feet, the body becomes unstabl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an imbalance in health and the onset of various diseases are increased.
또한 걷거나 뛰어갈 때, 산에 오르거나 내려올 때, 운동을 할 때, 심지어 서 있는 경우라도 발가락은 체중이 집중되어 신체를 지지하는 가장 기초된 것으로, 이러한 신체의 기초인 발가락의 균형이 무너질 경우 신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질병과 통증, 장애 등을 유발함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의 관리 소홀로 인하여 이러한 발가락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toes are also the most basic to support the body when it is walking, running, climbing up or down the mountain, exercising, or even standing. Although causing a number of diseases, pains, and disorders throughout, the importance of these toes is overlooked due to the neglect of modern peop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습관으로 꾸준한 발 마사지, 자극 요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마사지, 자극요법은 발뿐만 아니라 신체 전반에 걸친 질병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크기 때문에 근래 들어 여러 방법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으나, 신체의 기초가 되는 발가락을 올바른 형태로 교정시키는 효과가 없어 질환 예방 및 건강 증진 효과의 한계가 명확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constant foot massage, stimulation therapy, etc. as a habit of managing the foot health, such massage, stimulation therapy is not only because of the foot, but also effective in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throughout the body in recent years Although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ways, there is no effect of correcting the toes, which are the basis of the body, in the correct form, and thus the limitations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effects are clea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69870호(발명의 명칭 : 발가락 운동장치)로 출원되어 특허공개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t is fil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69870 (name of the invention: toe exercise device) is known by the patent publication.
상기 종래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발가락 운동장치(1) 상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 발가락(9)의 끝부분을 구부려서 발가락(9)의 목 부분이 볼록부(6)에 걸리게 한 뒤에, 구부린 발가락을 후방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면, 뒤꿈치를 제외한 발바닥이 얹힌 하여 슬라이드 운동판 (5A)이 후방측으로 당겨지게 된다.The conventional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user bent the end of the toes (9) in the state raised the foot on the toe exercise device (1) so that the neck portion of the toes (9) caught on the convex portion (6) When the bent toe is pulled to the rear side, the
이때, 발바닥은 둥글게 만곡되게 되고, 슬라이드 운동판 (5A)의 하부에는 스프링(7)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서 슬라이드 운동판 (5A)을 후방으로 당길 때,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볼록부(6)가 당져지는 방향으로 저항력이 발생하여 발가락부터 발바닥까지 근력운동이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ole is rounded, and the
위와 같이 발가락(9)으로 볼록부(6)를 움켜쥐도록 걸리게 한 상태에서 볼록부(6)를 후방으로 당겨 슬라이드 운동판 (5A)을 후방으로 당겼다가 발가락(9)을 펴면 스프링(7)의 탄력에 의해 볼록부(6)를 포함한 슬라이드 운동판 (5A)이 원위치로 복귀하는데, 발가락으로 슬라이드 운동판 (5A)을 후방으로 당겼다가 놓는 동작을 반복하여 발바닥의 근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Pull the
그러나, 이는 볼록부(6)를 발가락 끝으로 걸어서 당길 때, 도 1의 (나)와 같이 발가락이 갈퀴형태로 구부려짐과 동시에 발등도 하측으로 구부려지려고 하기 때문에 발등 부분과 발바닥 부분의 근육, 그리고 발가락 부분의 근육이 동시에 긴장하게 되는데, 발가락 근육은 발등이나 발바닥 부분의 근육에 비해 작고 약하기 때문에 발가락 근육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키지 못하게 되고, 움켜쥐는 힘은 강화되나 지면을 눌러주는 힘은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is is because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5개의 발가락 모두가 그에 해당하는 눌림부재를 개별적으로 눌러서 5개 발가락 모두의 근력을 강화하도록 하되, 2,3,4번 발가락은 발끝 마디로 눌림부재를 누를 때, 둘째 마디의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2,3,4번 발가락의 근육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키도록 함으로써, 엄지와 새끼발가락의 근육이 단련됨은 물론이고 2,3,4번 3개의 발가락의 근육이 집중적으로 단련되어 2,3,4번 3개의 발가락에서도 아치 형태로 지지력이 증강되어 발바닥의 중앙 족궁 외에 또 다른 3개의 아치부가 추가되는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ll five toes to press the corresponding pressing member individually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all five toes, 2, 3, 4 toes are the pressing member to the toe node When you press, push the bottom of the second node upward to strengthen the muscles of the 2nd, 3rd and 4th toes, thereby strengthening the muscles of the thumb and the toe, as well as the 3rd toes of the 2nd, 3rd and 4th toes. It is a technical task that the muscles of the intensively trained 2, 3, 4 toes No. 3 to increase the support in the form of an arch to see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another three arches in addition to the center foot arch of the so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바닥판의 전방 양측에 좌우 5개씩의 발가락 모두가 그에 해당하는 눌림부재를 개별적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구유닛이 설치되며;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sing devic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that can put the foot to press the pressing me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ssing me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five;
상기 누름구유닛은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이 개별적으로 누르는 각각의 1,5번 누름구와, 둘째부터 넷째발가락이 개별적으로 누르는 각각의 2~4번 누름구를 포함하며;The presser unit includes a pressurized foot and a toe each
상기 1,5번 누름구는 하단설치부가 바닥판의 바닥판본체 전방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의 상부에 엄지 및 새끼발가락으로 누르는 눌림부재가 설치되고;The first and fifth press holes are provided with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thumb and the little to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main body of the bottom plate;
상기 2~4번 누름구는 설치대의 상부에 힌지브래킷을 형성한 지렛대설치대가 바닥판의 바닥판본체 전방에 설치되며, 힌지브래킷의 상부에는 전후방 하측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지렛대의 가운데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이 지렛대의 전후방 단부 상측에는 발가락에 첫마디에 눌리는 눌림부재와 발가락 둘째마디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풋싱부재의 하단부가 힌지식으로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urizers 2 to 4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of the bottom plate of the lever mounting bracket formed with the hinge bracket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and the middle of the lever is installed in the hinged type in which the spring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lower side of the hinge bracket. The upper and rear ends of the lever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member of the pressing member pressed to the first node on the toe and the bottom of the footing member for pushing up the bottom of the second toe to the upper side are hinged.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바닥판이 좌우로 분리 형성되고, 좌우로 분리된 바닥판의 바닥판본체 상부에 발등을 감싸는 갑피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bottom plate is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surrounding the instep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body of the bottom plate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발가락 운동기구는, 5개 발가락 모두의 근력을 강화되는 효과와, 2,3,4번 3개의 발가락은 아치 형태로 지지력이 증강되어 발바닥의 중앙 족궁 외에 또 다른 3개의 아치부가 추가되는 효과로 인하여 건강 증진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To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muscle strength of all five toes, two, three, four times three toes are arched in the form of support for the other 3 Due to the added effect of the arch of the dog is a very useful effect in promoting health.
도 1의 (가)(나)는 종래발명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운동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의 (가)(나)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1,5번 누름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1,5번 누름구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2~4번 누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운동기구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운동기구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 (a)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prior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to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vention shown in FIG.
Figure 4 (a)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and fifth pushbutton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and fifth pushbutton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umber 2 to 4 push sphe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is embodiment of the to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to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운동기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2 to 9 for the to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가락운동기구(100)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바닥판(10)의 전방 양측에 좌우 5개씩의 발가락 모두가 그에 해당하는 눌림부재를 개별적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구유닛(20)이 설치된다.2 to 5 and 7 in the
상기 바닥판(10)은 바닥판본체(11)의 중앙부 상면에 발바닥의 아치부(족궁)에 대응되는 아치대응 만곡부(1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바닥판본체(11)의 전방에는 바닥판본체(11) 보다 높이가 낮은 바닥부(13)가 형성된다. 이 낮은 바닥부(1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바닥이 평탄한 상태에서 각각의 발가락 하방에 누름구유닛(20)가 설치되도록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누름구유닛(20) 전방의 낮은 바닥부(13)에는 발끝지지대(50)를 설치하되, 이 발끝지지대(50)의 전방 양측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지지벽(51)을 형성한 장공(52)이 설치되어 발끝지지대(50)의 설치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누름구유닛(20)은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이 개별적으로 누르는 각각의 1,5번 누름구(30)와, 둘째부터 넷째발가락(2,3,4번 발가락)이 개별적으로 누르는 각각의 2~4번 누름구(40)를 포함한다.The
상기 1,5번 누름구(30)의 일실시예는 도 2, 3 및 도 5에서와 같이 하단설치부(32)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장공(31)을 구비한 탄성부재(33)의 상부에 엄지 및 새끼발가락으로 누르는 눌림부재(34)가 설치되며, 이 1,5번 누름구(30)는 하단설치부(32)의 장공(31)으로 나사를 하향 관통하여 낮은 바닥부(13)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One embodiment of the 1, 5
그리고, 1,5번 누름구(30)의 이실시예는 슬라이드식 1,5번누름구(30a)라고 칭하며, 이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식 1,5번누름구(30a)는 도 6에서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장공(31)이 형성되어 나사로서 낮은 바닥부(13)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단설치대(35)의 상부에 하부수직관(36)이 설치되고, 이 하부수직관(36)의 상부에는 하부에 하부수직관(36)에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는 상부수직관(37)을 구비한 눌림부재(34)가 설치되며, 상부수직관(37)과 하부수직관(36)의 내측 공간에는 스프링(38)이 탄력적으로 설치된다.In addition, this embodiment of the 1,5
상기 2~4번 누름구(40)는 도 2, 3 및 도 7에서와 같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장공(41)을 구비한 설치대(42)의 상부에 힌지브래킷(43)을 형성한 지렛대설치대(44)가 나사에 의해 낮은 바닥부(13)의 상면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브래킷(43)의 상부에는 전후방 하측에 스프링(48)이 설치되는 지렛대(45)의 가운데가 힌지식으로 설치된다.The second to fourth pressing
또한, 상기 지렛대(45)의 전후방 단부 상측에는 발가락에 첫마디에 눌리는 눌림부재(46)와 발가락 둘째마디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풋싱부재(47)의 하단부가 각각 힌지식으로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pressing
그리고, 상기 누름구유닛(20) 전방의 낮은 바닥부(13)에는 발끝이 접촉하는 발끝지지대(50)를 전후방향으로 길이 조절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발끝지지대(50)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벽(51)의 전방 하측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장공(52)을 형성한 브래킷(53)이 설치되어 장공(52)으로 나사를 하향 관통하여 낮은 바닥부(13)에 발끝지지대(50)가 설치된다.And, in the
도 8에 도시된 발가락운동기구(100)의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2~4번 누름구(40)의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48)을 판스프링으로 설치한 것이고, 도 9에 도시된 발가락운동기구(100)의 삼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바닥판(10)을 좌우로 분리하여 신발밑창 형태로 형성하고 신발밑창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판(10)의 낮은 바닥부(13)에 설치되는 발끝지지대(50)를 설치하지 아니하며, 바닥판(10)의 바닥판본체(11) 상부에 발등을 감싸는 갑피(14)를 설치하여 슬리퍼 또는 샌들 형태로 발가락운동기구(100)를 구성하는 것이다.This embodiment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2 to 9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가락운동기구(100)는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끝지지대(50)와 누름구유닛(20)의 위치를 사용자의 발 모양에 맞게 조절한다.First, the
발 모양은 사람들 마다 각기 다르기 때문에 발끝지지대(50)와 누름구유닛(20)의 위치를 사용자의 발 모양에 맞게 조절하는데, 제일 먼저 바닥판(10)의 바닥판본체(11) 상면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 바닥판본체(11)의 중앙부에 둥글게 돌출된 아치대응 만곡부(12)에 사용자 발바닥의 족궁(아치부)이 얹히도록 한다.Since the shape of the foot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the position of the
이 상태에서 발끝지지대(50)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지지벽(51)의 내측에 발끝이 접촉하게 한 뒤에, 장공(52)에 관통된 나사를 조이면 발끝지지대(5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In this state, the tip of the
상기 발끝지지대(50)의 전후 이동은 장공(52)을 관통하여 낮은 바닥부(13)에 느슨하게 체결된 나사가 장공(52)을 관통하여서 그 장공(52)에 의해 발끝지지대(50)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의 발끝에 맞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이렇게 발끝지지대(50)의 위치를 조절 고정시킨 뒤에는 누름구유닛(20)에 포함되는 각각의 1,5번 누름구(30)와, 2~4번 누름구(40)의 설치위치를 그들에 형성된 장공(31,41)을 이용하여 조절한다.After adjusting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이 경우에도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에 눌리게 되는 1,5번 누름구(30)의 장공(31)과, 둘째부터 넷째발가락에 첫마디에 눌리는 2~4번 누름구(40)에 형성되는 장공(41)을 관통하여 낮은 바닥부(13)에 나사부가 느슨하게 체결된 나사를 기준하여 각각의 1,5번 누름구(30)와 2~4번 누름구(40)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자신의 5개발가락에 모두 맞는 위치에서 나사를 조이면 각각의 발가락 누름구(30,40)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long hole (31) of the 1st and 5th presses (30) pressed by the big toe and the little toe, and the 2nd to 4th pressers (40) which are pressed at the first node to the fourth toe toe ( 41, while pushing the 1, 5
위와 같이 발가락운동기구(100)에 포함되는 발끝지지대(50)와 누름구유닛(20)의 위치를 사용자 자신의 발 모양에 맞게 각각의 발가락 누름구(30,40)의 위치를 조절 설치한 상태에서 양측, 또는 좌측발이나, 우측발을 바닥판본체(11) 상에 올려놓으면서 발끝을 발끝지지대(50)의 지지벽(51) 내벽면에 접촉되게 하면, 각각의 발가락 누름구(30,40)에 설치된 각각 설치된 눌림부재(34,46) 상면에 발가락 끝마디의 지문이 있는 부분이 얹히게 된다.Adjust the position of each toe presser (30, 40) to fit the shape of the user's foot to the position of the
이 상태에서 5개(양발이면 10개)의 발가락 모두를 도 3, 4와 같이 각각의 누름구(30,40)에 설치된 각각 설치된 눌림부재(34,46)를 눌러주면, 엄지부터 새끼발가락 모두에 힘이 가해지면서 각각의 발가락 하측의 근육이 강화되게 된다.In this state, press all of the pressing members (34, 46) installed in each pressing hole (30, 40) as shown in Figs. As the force is applied, the muscles under each toe are strengthened.
엄지 및 새끼발가락의 경우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번 누름구(30)와 슬라이드식 1,5번누름구(30a)의 눌림부재(34)를 누르는 힘에 의해 눌림부재(34) 하측의 스프링(33,38)이 압축되면서 그 탄발력을 엄지 및 새끼발가락으로 누름에 따라 해당 근육이 강화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thumb and the little to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그리고, 둘째부터 넷째발가락의 경우에는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끝 첫마디의 저면 지문이 있는 부분이 눌림부재(46)를 누르면, 눌림부재(46)가 설치된 지렛대(45)가 눌림부재(46)를 누르는 힘에 의해 지렛대설치대(44)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고, 반대 후방측이 위로 올라가면서 그 후방측 단부 상측에 설치된 풋싱부재(47)가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to fourth toes, as shown in FIGS. 4 and 7, when the portion having the bottom fingerprint of the first toe presses the pressing
상기 눌림부재(46)을 누를 때, 눌림부재(46)의 하방에 설치된 스프링(48)이 압축되면서 탄발력이 발끝 첫마디에 작용하고, 풋싱부재(47)가 상승하는 힘에 의해 발가락 둘째마디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데, 발끝 첫마디는 누르는 하중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둘째마디를 상측으로 밀어올림에 따라 발가락 첫마디부터 그 후방까지 발가락 전체에 하중이 작용하여 발가락 근육이 강화되게 된다.When the pressing
이렇게 발끝 첫마디는 아래로 누르는 하중이 작용하고 둘째마디는 상측으로 밀어 올려질 때, 둘째마디의 전후방은 관절로 첫째와 셋째마디가 연결되어서 관절부분에 의해 발끝 첫마디는 아래로 누르는 힘이 계속 가해지고 둘째마디는 관절부분에 의해 조금만 구부려지면서 발가락 근육이 단련되면서 강화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irst tip of the toe is pressed downward and the second node is pushed upward, the first and third nodes of the second node are connected to the joint and the first part of the toe is pressed downward by the joint part. The second section is to be bent by the joints and to strengthen the toe muscles.
이와 같이 발가락에 힘이 가해질 때, 발바닥 중앙의 족궁부분은 바닥판본체(11)에 상측으로 둥글게 만곡된 아치대응 만곡부(12)에 지지되어서 5개 발가락 전체가 바른자세로 1,5번 누름구(30)와 2~4번 누름구(40)를 포함하는 누름구유닛(20)을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게 되며, 발의 족궁부분이 아치대응 만곡부(12)에 압력을 가하면서 누르게 되어 죽궁부분에 분포된 다수의 경혈점을 자극하여 발건강에 도움을 주게 된다.When the toes are applied to the toes in this way, the foot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sole of the foot is supported by the arch corresponding
위와 같이 각각의 발가락으로 누름구유닛(20)을 누를 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구유닛(20)이 설치되는 바닥판(10)의 전방이 바닥판본체(11)의 후방측 보다 낮게 형성되어서 낮은 바닥부(13)의 높이가 낮음만큼 발가락들이 위로 들리지 않아 발가락은 운동시키는 동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When pressing the
그리고, 상기 아치대응 만곡부(12)에 다수개의 지압돌기를 형성하면 발지압에 더욱더 우수한 발지압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arch corresponding
참고로, 발바닥에 우묵하게 들어간 것을 족궁(足弓)(arch)은, 터널입구나 교량 등의 건조물에서 거대한 하중을 지탱할 때 아치구조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원리가 작용하는 것으로, 전신의 체중과 이에 몇 배에 달하는 충격도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reference, the arch that is recessed in the sole of the foot is the same principle that the arch structure is used when carrying a huge load in a building such as a tunnel entrance or a bridge. Will be able to withstand the impact of the ship.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발바닥에는 1개의 족궁이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2~4번 누름구(40)에 의해 둘째부터 넷째발가락의 근육이 단련된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뛰는 경우에 지면을 딛는 순간에 둘째부터 넷째발가락은 작지만 활모양으로 만곡되면서 아치형이 되면서 지면을 지지하게 된다.In such a situation, the sole of the foot foot is present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to fourth muscles of the fourth toe muscles trained by the second to
따라서, 발바닥에 기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바닥 저면의 커다란 족궁 1개와, 둘째부터 넷째발가락에 형성되는 작은 3개의 족궁(아치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이 향상되게 된다.Therefore, one large foot arch of the bottom of the sole that is basically formed on the sole, and three small foot arches (arch) formed in the second to fourth toes are additionally formed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round.
한편, 무지외반증의 발생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주요 원인중 하나는 보행할 때나, 직립시 둘째발가락이 지면을 누르는 압력이 약해질 경우에 발은 체중을 지탱하기위해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의 부족한 힘을 보태기 위해 둘째발가락 쪽으로 이동하며 변형이 이루어지는데, 이렇게 변형된 것을 무지외반증이라고 칭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e occurrence of Hallux Valgus, but one of the main causes is the weakness of the big toe of the second toe to support the weight when walking or when the pressure on the ground becomes weak when the second toe is weak. To add to the second toe to go to the transformation is made, this transformation is called valgus valgus.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에 의해 둘째발가락이 제 위치에서 아치부를 형성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형성하게 되면,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측으로 휘게 되는 무지외반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둘째발가락의 약해진 힘을 길러주어 무지외반증의 치료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such a situation, when the second toe forms the arch in place to form a solid support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algus valgus that the big toe is bent to the second toe side, and also to raise the weakened force of the second toe Treatment of hallux valgus is also possible.
그리고, 발목의 불안정성 또는 무릎내측의 반월상 연골의 손상의 원인중 하나가 발의 족궁이 무너지면서 넷째발가락의 힘이 약화되면서 발의 바깥부분이 지면을 눌러주는 압력이 약해지면 바깥방향으로 발목이 돌아가는 발목의 외번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해 넷째발가락이 강화됨에 따라 발목의 불안정성을 줄이면서 발목의 외번을 호전시킬 수 있어 무릎의 안정성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And one of the causes of instability of the ankle or meniscus cartilage in the knee is that the foot's foot arch collapses and the force of the fourth toe weakens and the pressure of the outer part of the foot weakens the pressure on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extra, the fourth toe is strengthen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stability of the ankle while improving the ankle of the ankle is to help the stability of the knee.
또한, 발가락 전체가 지면을 눌리는 압력이 증가하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신체의 무게중심이 뒤꿈치에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것은 허리 통증과 거북목에 예방과 치료적 효과가 있고 무게중심과 허리와 목 그리고 골반과의 관계는 많은 논문에 제시되어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creased pressure on the entire toe presses the ground, caus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to move forward from the heel to those who do not, which has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n back pain and turtle neck, and the center of gravity, waist, neck and pelvis. It is not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is suggested in many papers.
도 9에 도시된 발가락운동기구(100)의 삼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발가락운동기구(100)을 슬리퍼나 샌들처럼 착용하고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가락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써, 삼실시예의 경우에 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을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바닥판(10)을 좌우로 분리하여 신발밑창 역할을 하게 하고, 발등을 감싸는 갑피(14)가 바닥판(10)의 바닥판본체(11) 상부에 설치되어 갑피(14)와 바닥판(10)의 사이로 발을 삽입시키면, 갑피(14)에 의해 발의 삽입깊이가 제한되므로 발끝지지대(50)를 설치하지 않고도 발가락운동기구(100)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10 : 바닥판 11 : 바닥판본체 12 : 아치대응 만곡부
13 : 낮은 바닥부 14 : 갑피 20 : 누름구유닛
30 : 1,5번 누름구 31 : 장공 32 : 하단설치부
33 : 탄성부재 34 : 눌림부재 35 : 하단설치대
36 : 하부수직관 37 : 상부수직관 38 : 스프링
40 : 2~4번 누름구 41 : 장공 42 : 설치대
43 : 힌지브래킷 44 : 지렛대설치대 45 : 지렛대
46 : 눌림부재 47 : 풋싱부재 48 : 스프링
50 : 발끝지지대 51 : 지지벽 52 : 장공
53 : 브래킷 100 : 발가락운동기구DESCRIPTION OF
13: lower bottom 14: upper 20: presser unit
30:
33: elastic member 34: pressing member 35: lower mounting table
36: lower vertical tube 37: upper vertical tube 38: spring
40: press 2 ~ 4 41: long hole 42: mounting table
43: hinge bracket 44: lever mounting bracket 45: lever
46: pressing member 47: pushing member 48: spring
50: toe support 51: support wall 52: long hole
53: bracket 100: toe exercise equipment
Claims (6)
상기 누름구유닛(20)은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이 개별적으로 누르는 각각의 1,5번 누름구(30)와, 둘째부터 넷째발가락이 개별적으로 누르는 각각의 2~4번 누름구(40)를 포함하며;
상기 1,5번 누름구(30)는 하단설치부(32)가 바닥판(10)의 바닥판본체(11) 전방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3)의 상부에 엄지 및 새끼발가락으로 누르는 눌림부재(34)가 설치되고;
상기 2~4번 누름구(40)는 설치대(42)의 상부에 힌지브래킷(43)을 형성한 지렛대설치대(44)가 바닥판(10)의 바닥판본체(11) 전방에 설치되며, 힌지브래킷(43)의 상부에는 전후방 하측에 스프링(48)이 설치되는 지렛대(45)의 가운데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이 지렛대(45)의 전후방 단부 상측에는 발가락에 첫마디에 눌리는 눌림부재(46)와 발가락 둘째마디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풋싱부재(47)의 하단부가 힌지식으로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운동기구.Pressing unit 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10 that can put the foot, each of the left and right five toes to press the corresponding pressing member individually;
The presser unit 20 presses the first and the fifth presses 30, respectively, which presses the toe and the little toe individually, and presses the second to fourth pressers 40, respectively, which the second to the fourth toes individually press. Includes;
The 1, 5 pusher 30 is a pressing member pressed by the thumb and the little to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33, the lower installation portion 32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body 11 of the bottom plate 10 ( 34) is installed;
The second to fourth pressing holes 40 ar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body 11 of the bottom plate 10, the lever mounting bracket 44 formed with a hinge bracket 43 on the upper mounting bracket 42, the hinge bracke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43, the center of the lever 45, which is installed with a spring 48 at the front and rear, is installed in a hinged manner, and the pressing member 46 pressed by the first node on the toe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ever 45. Toe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ooting member 47 for pushing up the second toe bottom surface is installed in a hinged man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5569A KR102081901B1 (en) | 2020-01-15 | 2020-01-15 | Toe fitness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5569A KR102081901B1 (en) | 2020-01-15 | 2020-01-15 | Toe fitness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1901B1 true KR102081901B1 (en) | 2020-02-26 |
Family
ID=6963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5569A Active KR102081901B1 (en) | 2020-01-15 | 2020-01-15 | Toe fitness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190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73023A (en) * | 2020-05-09 | 2021-06-18 | 陈焱龙 | To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medical orthopedics and using method |
AT525754B1 (en) * | 2022-03-01 | 2023-07-15 | Machura Dieter | Device for training the muscles of the soles of the feet |
WO2023164732A1 (en) * | 2022-03-01 | 2023-09-07 | GSCHMEIDLER, Gottfried | Device for training the muscles of the sole of the foot |
KR20240134071A (en) * | 2023-02-28 | 2024-09-06 | 최종영 | Footboard with training function using to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9870A (en) | 2003-09-30 | 2006-06-22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verse link data rate of mobile station |
KR101678117B1 (en) * | 2015-10-29 | 2016-11-23 | 안원경 | Apparatus for bending foot |
-
2020
- 2020-01-15 KR KR1020200005569A patent/KR1020819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9870A (en) | 2003-09-30 | 2006-06-22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verse link data rate of mobile station |
KR101678117B1 (en) * | 2015-10-29 | 2016-11-23 | 안원경 | Apparatus for bending foot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73023A (en) * | 2020-05-09 | 2021-06-18 | 陈焱龙 | To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medical orthopedics and using method |
AT525754B1 (en) * | 2022-03-01 | 2023-07-15 | Machura Dieter | Device for training the muscles of the soles of the feet |
AT525754A4 (en) * | 2022-03-01 | 2023-07-15 | Machura Dieter | Device for training the muscles of the soles of the feet |
WO2023164732A1 (en) * | 2022-03-01 | 2023-09-07 | GSCHMEIDLER, Gottfried | Device for training the muscles of the sole of the foot |
KR20240134071A (en) * | 2023-02-28 | 2024-09-06 | 최종영 | Footboard with training function using toes |
KR102750356B1 (en) * | 2023-02-28 | 2025-01-07 | 최종영 | Footboard with training function using to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1901B1 (en) | Toe fitness equipment | |
AU776603B2 (en) | Footwear for a dynamic, rolling walking-action | |
KR100960562B1 (en) |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 |
KR101615520B1 (en)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
JP3183996U (en) | Stretch board | |
KR20180002868U (en) | Foot arch achilles tendon sports equipment | |
KR102545261B1 (en) | Insole for flat foot correction | |
KR101588651B1 (en)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
KR102534388B1 (en) | Auxiliary correction device for flatfoot that can be used with both feet | |
CN201226862Y (en) | Health nursing soles | |
RU2759112C1 (en) | Footwear for strengthening and relaxing the foot and lower leg muscles (variants) and kit for increasing the overall physical fitness of the body | |
KR102534387B1 (en) | Auxiliary correction device for flatfoot | |
KR102559080B1 (en) | lower extremity training shoes | |
CN107280139B (en) | Shoes air-cushion device | |
CN111820528A (en) | Toe and sole muscle training shoes | |
KR101781059B1 (en)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
KR101620715B1 (en)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
CN2676675Y (en) | Muscle relaxing health shoes | |
KR101588650B1 (en)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 |
KR102493950B1 (en) | Apparatus of an exercise aid for body balance | |
RU2831879C1 (en) | Tropot-1 orthopaedic device-exerciser | |
KR200223931Y1 (en) | acupressure exercise slippers | |
KR200269523Y1 (en) | Foothold for Acupressure | |
JP2001340103A (en) | Footgear with risen toe part | |
KR200455782Y1 (en) | Ball toe correction and plantar acupressure exerci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