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383B1 - non-perforating construction type catch basin - Google Patents
non-perforating construction type catch bas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0383B1 KR102080383B1 KR1020180016592A KR20180016592A KR102080383B1 KR 102080383 B1 KR102080383 B1 KR 102080383B1 KR 1020180016592 A KR1020180016592 A KR 1020180016592A KR 20180016592 A KR20180016592 A KR 20180016592A KR 102080383 B1 KR102080383 B1 KR 102080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ide wall
- position fixing
- drainage
- fit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집수하기 위하여 교량 등에 설치되는 무타공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위치고정용 탄성편(50)과 위치고정용 걸림부(33)의 결합을 통하여 집수구 몸체(30)와 매입 프레임(40)의 합산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타공하지 않은 상태로도 집수구(1)의 시공이 가능하며, 이러한 길이 조절이 종래와 같은 스프링의 인장이나 압축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수관(70)의 연결을 위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배수관(70)을 손쉽게 조립 분해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re catchment pit provided in a bridge or the like for collecting rainwater.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osition fixing elastic piece 50 and the position fixing locking portion 33 can adjust the total length of the catch body 30 and the filling frame 40, even if the formwork is not perforated ( The construction of 1) is possible, and this length adjustment can be made more easily because it does not use the tension or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fasten bolts for the connection of the drain pipe 70, the drain pipe 70 may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빗물을 집수하기 위하여 교량 등에 설치되는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과정에서 거푸집을 타공시키지 않고도 집수구를 설치할 수 있는 무타공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llecting port installed in a bridge or the like for collecting rain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rous water collecting hole that can be installed without drilling the formwork in the initial process of installing the water collecting hole.
집수구는 빗물을 집수하기 위하여 교량 등에 일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집수구 시공과정은, 교량의 거푸집 상에 골조를 이루는 철근을 설치한 후에 이러한 철근 사이에 집수구를 끼워 넣어 고정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판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에 집수구가 고정되도록 한다. Sewers are generally installed in bridges and the like for collecting rainwater. In the conventional catchment construction process, after installing reinforcing bars on the formwork of the bridge, the catchment is interposed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then the concrete is poured to form the concrete bottom plate so that the catcher is fixed to the concrete floor plate. do.
그런데, 종래의 집수구는 상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집수구의 상하 길이가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보다 클 경우, 집수구를 철근 사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집수구의 윗단을 추후 타설될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맞추기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판의 밑에 있는 거푸집을 타공하여 집수구의 밑 부분인 배수부가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 나오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설치과정에서 거푸집을 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atchment is not adjustable up and down length, if the top and bottom length of the catchment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floorboard, the upper end of the catchment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catchment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loorboard to be poured later To fit, the formwork beneath the concrete deck should be drilled so that the drain, the bottom of the catch, penetrates under the formwork. Therefore, there is a hassle to form a formwork during installation.
이에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 과정에서 거푸집을 타공할 필요가 없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3956호(2016.08.09.공개)에서와 같이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무타공 집수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길이 가변 집수구는 스프링의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이용하여 길이를 맞추기 때문에 길이를 맞추는 작업과정에서 상당한 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집수구의 밑 부분인 배수부에 배수관을 연결할 때 볼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배수관의 체결과정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avoid the need to perforate the formwork in the initial process of installing the catch, the non-perforated catch has been proposed that can be changed in the length of the top and bottom as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93956 (public. .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variable length catcher adjusts the length by using the tension or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not only a considerable external force is required in the length adjusting process, but also a bolt is used to connect the drain pipe to the drain, which is the bottom of the catchmen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drain pipe is inconvenient.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길이 가변이 손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후단에 설치되는 배수관과의 연결에 볼트가 이용되지 않음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타공 집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orous water collecting port that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not only the variable length is easily made, but also the bolt is not used to connect to the drain pipe installed in the rear en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집수구는, The non-pore catchment ca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며 밑 부분에 호퍼(hopper)부가 형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서 밑으로 연장되는 관 형태의 배수부로 구분되며, 상기 배수부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고정용 걸림부가 형성되는 집수구 몸체;Water is formed into the inlet and the bottom of the hopper (hopper) is formed in the catchment portion, and the drainage portion of the tubular form extending from the collecting portion is divided into, the locking for fixing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age portion A catchment body formed with an additional portion;
상기 집수부에 설치되며 테두리로 둘러진 가운데 중공 부분에는 큰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레이팅(grating)이 형성되는 커버;A cover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surrounded by a rim, in which a grating is formed to prevent large foreign substances from passing through the hollow part;
상하로 개방되되 상부 개방부가 하부 개방부보다 좁도록 측벽의 상단이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가 상기 상부 개방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매입 프레임;A buried frame which is opened upward and downward but has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retracted inward so that the upper opening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lower opening portion, and the drainage frame is installed to be fitted to the upper opening portion;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매입 프레임이 상기 배수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용 탄성편; Position fixing elastic piece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embedding frame so as to be caught by the position fixing engaging portion to be fixed to the desired position of the drainage frame;
상기 매입 프레임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부의 바깥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측벽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배수관; 및A drain pipe installed to be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portion through a lower opening of the embedding frame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at a side wall thereof; And
상기 배수관의 결합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내측에 설치되는 레버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ever lock installed inside a side wall of the embedding frame to be fitted into a coupling hole of the drain pip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위치고정용 탄성편은, The position fixing elastic piece,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외측에서 상기 매입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embedded frame outside the sidewall of the embedded frame;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위쪽으로 절곡되는 세로부; 및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bent upwardly; And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세로부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 horizontal portion bent inward from the vertical portion so as to be caught by the position fixing latch portion;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a.
상기 위치고정용 탄성편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position fixing elastic piece consists of a metal plate.
상기 레버락은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세로부와 상기 세로부의 윗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ㄱ'자 형태를 하고 상기 'ㄱ'자의 절곡부에 가로핀이 끼워져 상기 가로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내측에는 상기 레버락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로핀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양팔이 뻗어 있는 레버락 체결편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ver lock comprises a vertical portion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bent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has a 'b' shape and the horizontal pin is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of the 'b' to the horizontal pin as the axis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t is preferable that a lever lock fastening piece having both arms extending to suppor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in with the lever lock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위치고정용 탄성편과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집수구 몸체와 상기 매입 프레임의 합산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타공하지 않은 상태로도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의 시공이 가능하며, 이러한 길이 조절이 종래와 같은 스프링의 인장이나 압축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의 연결을 위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상기 배수관을 손쉽게 조립 분해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m of the catchment body and the embedding fram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osition fixing elastic piece and the catch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 the catch of the catc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unched out. Construction is possible, and this length adjustment can be made more easily because it does not use the tension or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as conventional.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fasten bolts for the connection of the drain pip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rain pipe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도 3은 매입 프레임(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매입 프레임(3)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and gutter type non-perforated
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and gutter type non-perforated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mbedding frame 3;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and gutter type non-perforated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mbedded frame (3).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esented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조립단면도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and gutter type non-perforated
도 3은 매입 프레임(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mbedding frame 3.
도 5 및 도 6은 매입 프레임(3)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mbedded frame (3).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는 커버(10), 모래받이(20), 집수구 몸체(30), 매입 프레임(40), 및 배수관(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o 6, sand gutter
집수구 몸체(30)는 집수부(31)와 배수부(32)로 구분된다. 집수부(31)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도록 상하로 개방되며 밑 부분에는 호퍼(hopper)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부(32)는 집수부(31)에서 밑으로 연장된 관 형태를 한다. 따라서 집수구 몸체(30)는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상을 한다. The
배수부(32)의 외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고정용 걸림부(33)가 설치된다. 위치고정용 걸림부(33)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산볼트가 배수부(32)의 외측면에 일부 매립되게 결합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산볼트의 나사산 부분이 걸림부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모래받이(20)는 집수부(31) 내에 위에서 밑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모래받이(20)는 외측 테두리(21)와 내측 테두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측 테두리(21)와 내측 테두리(22) 사이에는 빗물과 함께 휩쓸려 유입되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밑이 막힌 고랑(23)이 형성된다. 내측 테두리(22)로 둘러진 가운데 부분에는 물이 밑으로 빠져나가도록 상하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된다. The
커버(10)는 모래받이(20)를 위에서 덮도록 설치된다. 커버(10)의 테두리로 둘러진 가운데 중공 부분에는 큰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레이팅(grating, 12)이 형성된다. The
커버(10)와 모래받이(20)가 견고하게 교합되도록 모래받이(20)의 외측 테두리(21)와 내측 테두리(22)에 위에서 밑으로 체결홈(21a, 22a)을 형성하고, 커버(1)의 그레이팅(12)이 체결홈(21a, 22a)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astening
커버(10)가 모래받이(20)를 완전히 뒤덮도록 모래받이(20)보다 커버(10)의 크기가 커서 커버(10)의 테두리가 모래받이(20)의 외측 테두리(21) 바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집수부(31)가 호퍼 형상을 하기 때문에 모래받이(20)가 집수부(31)에 끼워질 때 모래받이(20)는 집수부(31)의 호퍼 경사면에 걸터앉게 설치된다. Since the
집수부(30)의 측벽 내측에는 커버(10)의 테두리 밑단이 받쳐지거나 또는 모래받이(20)가 받쳐지도록 단턱부(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커버(10)의 테두리 밑단이 받쳐지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단턱부(34)가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면 커버(10)나 모래받이(20)가 수평인 상태로 안정적으로 밑에서 받쳐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매입 프레임(40)은 상하로 개방된 형태를 하는데, 이 때 상부 개방부가 하부 개방부보다 좁도록 측벽의 상단(40a)이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부(32)는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하여 매입 프레임(40)에 끼워진다. The embedding
이와 같이 매입 프레임(40)의 상부 개방부를 좁게 하고 하부 개방부를 넓게 하는 이유는 집수구(1)의 시공 과정에서 매입 프레임(40)과 배수부(32)의 결합 틈새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기도 하고, 매입 프레임(40)의 하부 개방부와 배수부(32) 사이에 배수관(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을 부여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The reason for narrowing the upper opening of the embedding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은 리벳(51) 등을 통하여 매립 프레임(40)의 측벽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두께가 너무 얇으면 탄성력이 너무 약하고 너무 두꺼우면 탄성력이 없게 되므로 재질에 따라 다르겠지만 적절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sition fixing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은 매입 프레임(40)에 결합되는 결합부(50a)와, 결합부(50a)에서 연장되어 위쪽으로 절곡되는 세로부(50b)와, 세로부(50b)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5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가로부(50c)가 위치고정용 걸림부(33)에 걸리게 된다. Position fixing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 상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에 매입 프레임(40)을 상하로 슬라이딩 시키면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를 덜컥거리면서 넘어가게 되고, 이 때 원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딩을 멈추면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에 걸린 채로 그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When the positioning
물론, 슬라이딩 시에는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에서 벗어나도록 옆으로 위치시켰다가 원한 위치에서 슬라이딩을 멈춘 후에는 매입 프레임(40)을 회전시켜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에 끼워지도록 하여도 좋다. Of course, when sliding the position fixing
배수관(70)은 매입 프레임(40)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배수부(32)의 바깥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The
배수관(70)과 매입 프레임(40)의 체결을 위해서 배수관(70)의 측벽에는 결합공(71)이 형성되며, 매입 프레임(40)의 측벽 내측에는 결합공(71)에 끼워지도록 레버락(60)이 설치된다. A
레버락(60)은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세로부(60b)와, 세로부(60b)의 윗단에서 안쪽을 절곡되는 가로부(60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를 하고 'ㄱ'자의 절곡부에 가로핀(62)이 끼워져 가로핀(62)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매입 프레임(40)의 측벽 내측에는 레버락(60)을 사이에 두고 가로핀(62)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양팔이 안쪽으로 뻗어 있는 레버락 체결편(61)이 설치된다.
배수관(70)은 매입 프레임(40)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밑에서 위로 끼워지는데, 이 때 레버락(60)은 배수관(70)에 의해 밀려 가로핀(62)을 축으로 위로 회전하여 들어 올려지다가 가로부(60a)가 살짝 들어 올려진 채로 결합공(71)에 약간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관(70)을 약간 밑으로 내리면 가로부(60a)가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내려오면서 숙여져 배수관(70)의 결합공(71)에 깊숙이 끼워지게 된다. 이 때 세로부(60b)가 매입 프레임(40)의 벽 쪽에 부딪힘으로써 가로부(60a)가 수평하게 뻗어질 때까지만 내려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공(71)이 레버락(60)이 있는 위치에 오면 결합공(71)에 끼워지게 된다. When the
배수관(70)을 빼는 과정은, 배수관(70)을 위로 밀어 올리면 레버락(60)이 가로핀(62)을 축으로 위로 회전하여 들어 올려지면서 결합공(71)에서 빠지게 되고 이렇게 레버락(60)이 빠진 상태에서 결함공(71)이 레버락(60)에 걸리지 않도록 배수관(70)을 회전시켜 빼내면 된다. The process of removing the drain pipe (70) is pushed up the drain pipe (70), the lever lock (60) is rotated upward by lifting the horizontal pin (62) is lifted out of the coupling hole (71) and thus the lever lock (60) ),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에 휩쓸려 집수구(1)로 유입되는 모래와 같은 작은 이물질이 모래받이(20)에 수집되어 걸러지기 때문에 후단의 배수관(70)이 절곡 부위에서 막히거나 많은 이물질이 그대로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mall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swept into the
또한, 위치고정용 탄성편(50)과 위치고정용 걸림부(33)의 결합을 통하여 집수구 몸체(30)와 매입 프레임(40)의 합산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타공하지 않은 상태로도 집수구(1)의 시공이 가능하며, 이러한 길이 조절이 종래와 같은 스프링의 인장이나 압축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수관(70)의 연결을 위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배수관(70)을 손쉽게 조립 분해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otal length of the
1: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
10: 커버 12: 그레이팅
20: 모래받이 21: 외측 테두리
21a, 22a: 체결홈 22: 내측 테두리
23: 고랑 30: 집수구 몸체
31: 집수부 32: 배수부
33: 위치고정용 걸림부 34: 단턱부
40: 매입 프레임 40a: 측벽상단
50: 위치고정용 탄성편 50a: 결합부
50b: 세로부 50c: 가로부
51: 리벳 60: 레버락
60a: 가로부 60b: 세로부
61: 레버락 체결편 62: 가로핀
70: 배수관 71: 결합공 1: sand gutter free hole catcher
10: Cover 12: Grating
20: sand tray 21: outer frame
21a, 22a: fastening groove 22: inner edge
23: furrow 30: catchment body
31: collecting part 32: draining part
33: latching position fixing portion 34: stepped portion
40: embedding
50: position fixing
50b:
51: rivet 60: lever lock
60a:
61: lever lock fastening piece 62: horizontal pin
70: drain pipe 71: coupling hole
Claims (4)
상기 집수부에 설치되며 테두리로 둘러진 가운데 중공 부분에는 큰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레이팅(grating)이 형성되는 커버;
상하로 개방되되 상부 개방부가 하부 개방부보다 좁도록 측벽의 상단이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가 상기 상부 개방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매입 프레임;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매입 프레임이 상기 배수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용 탄성편;
상기 매입 프레임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부의 바깥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측벽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결합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내측에 설치되는 레버락; 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용 탄성편이,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외측에서 상기 매입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위쪽으로 절곡되는 세로부; 및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세로부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집수구. A water inlet is formed into a water inlet and a bottom portion is formed with a hopper (hopper), and the drainage portion of the tubular form extending from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is divided into, the locking for fixing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age A catchment body formed with an additional portion;
A cover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surrounded by a rim, in which a grating is formed to prevent large foreign substances from passing through the hollow part;
A buried frame which is opened upward and downward but is formed such th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retracted inward so that the upper opening is narrower than the lower opening, and the drainage part is fitted to the upper opening;
Position fixing elastic piece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embedding frame to be caught in the position fixing engaging portion to be fixed to the desired position of the drainage frame;
A drain pipe installed to be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portion through a lower opening of the embedding frame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at a side wall thereof; And
A lever lock installed inside a side wall of the embedding frame to be fitted into a coupling hole of the drain pipe; Including,
The position fixing elastic piece,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embedded frame outside the sidewall of the embedded frame;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bent upwardly; And
A horizontal portion bent inwardly from the vertical portion so as to be caught by the position fixing latch portion; Mutagong catchmen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집수부에 설치되며 테두리로 둘러진 가운데 중공 부분에는 큰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레이팅(grating)이 형성되는 커버;
상하로 개방되되 상부 개방부가 하부 개방부보다 좁도록 측벽의 상단이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가 상기 상부 개방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매입 프레임;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매입 프레임이 상기 배수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용 탄성편;
상기 매입 프레임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부의 바깥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측벽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결합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내측에 설치되는 레버락; 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락은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세로부와 상기 세로부의 윗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ㄱ'자 형태를 하고 상기 'ㄱ'자의 절곡부에 가로핀이 끼워져 상기 가로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내측에는 상기 레버락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로핀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양팔이 뻗어 있는 레버락 체결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집수구.
A water inlet is formed into a water inlet and a bottom portion is formed with a hopper (hopper), and the drainage portion of the tubular form extending from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is divided into, the locking for fixing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age A catchment body formed with an additional portion;
A cover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surrounded by a rim, in which a grating is formed to prevent large foreign substances from passing through the hollow part;
A buried frame which is opened upward and downward but is formed such th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retracted inward so that the upper opening is narrower than the lower opening, and the drainage part is fitted to the upper opening;
Position fixing elastic piece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embedding frame to be caught in the position fixing engaging portion to be fixed to the desired position of the drainage frame;
A drain pipe installed to be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portion through a lower opening of the embedding frame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at a side wall thereof; And
A lever lock installed inside a side wall of the embedding frame to be fitted into a coupling hole of the drain pipe; Including,
The lever lock comprises a vertical portion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bent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o form a 'b' shape and the horizontal pin is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of the 'b' to the horizontal pin to the axis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the non-pore catch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ide of the embedding frame is provided with a lever lock fastening member extending both arms to suppor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in with the lever lock therebetwe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592A KR102080383B1 (en) | 2018-02-09 | 2018-02-09 | non-perforating construction type catch bas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592A KR102080383B1 (en) | 2018-02-09 | 2018-02-09 | non-perforating construction type catch basi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6771A KR20190096771A (en) | 2019-08-20 |
KR102080383B1 true KR102080383B1 (en) | 2020-02-21 |
Family
ID=6780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6592A Active KR102080383B1 (en) | 2018-02-09 | 2018-02-09 | non-perforating construction type catch bas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38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35158B (en) * | 2020-03-26 | 2021-05-18 | 华中科技大学 | A floating bridge deck runoff collection device |
CN111691313B (en) * | 2020-07-09 | 2022-05-03 | 重庆交通大学 | Bridge construction is with combination support of turning |
CN111794095B (en) * | 2020-07-23 | 2021-05-14 | 广东昇华建设工程有限公司 | Road and bridge engineering drainage structure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24539A (en) * | 1998-07-09 | 2000-01-25 | Komatsu Ltd | Self propelled type wood crushing machine |
JP2000328737A (en) * | 1999-05-17 | 2000-11-28 | Sekisui Chem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of drain cylinder and joint member |
KR101098900B1 (en) * | 2011-03-04 | 2011-12-26 | (주)스템즈 건설 | Bridge catch |
JP5261472B2 (en) * | 2008-02-29 | 2013-08-14 | 株式会社松井製作所 | Crusher |
JP2017209595A (en) * | 2016-05-23 | 2017-11-30 | クボタ環境サ−ビス株式会社 | Crusher remote monitoring system, crusher monitoring device, crusher management server, and termina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900Y1 (en) * | 2008-04-07 | 2010-11-09 |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 Adjustable length catch for bridges |
KR20160093956A (en) | 2015-01-30 | 2016-08-09 | 고재용 | Catch basin useful to initial installation without perforating form |
-
2018
- 2018-02-09 KR KR1020180016592A patent/KR1020803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24539A (en) * | 1998-07-09 | 2000-01-25 | Komatsu Ltd | Self propelled type wood crushing machine |
JP2000328737A (en) * | 1999-05-17 | 2000-11-28 | Sekisui Chem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of drain cylinder and joint member |
JP5261472B2 (en) * | 2008-02-29 | 2013-08-14 | 株式会社松井製作所 | Crusher |
KR101098900B1 (en) * | 2011-03-04 | 2011-12-26 | (주)스템즈 건설 | Bridge catch |
JP2017209595A (en) * | 2016-05-23 | 2017-11-30 | クボタ環境サ−ビス株式会社 | Crusher remote monitoring system, crusher monitoring device, crusher management server, and termin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6771A (en) | 2019-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0383B1 (en) | non-perforating construction type catch basin | |
US20010030150A1 (en) | Sewer basket and its support | |
KR101085466B1 (en) | Prefabricated drainage system on the balcony of the building structure | |
KR102080382B1 (en) | non-perforating construction type catch basin having sand pit | |
KR100969488B1 (en) | 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and sand inflow for opening and closing point in time adjustable storm overflow chamber | |
KR100681845B1 (en) | Road drainage box structure | |
KR101067610B1 (en) | Double manhole cover with hinged lifting structure | |
KR20110006299A (en) | Sewage collection device of bridge catchment | |
KR100913209B1 (en) | Drain cover for preventing odor and blocking foreign substances | |
WO2008099182A1 (en) | Surface water drainage | |
KR20190096770A (en) | catch basin having sand pit | |
KR200446850Y1 (en) | Drainage catch | |
KR200440804Y1 (en) | Improvement | |
KR20180003206A (en) | a filter for grating | |
KR100807744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Sewer and Drain | |
KR100614912B1 (en) | Sewer cover | |
KR200490589Y1 (en) | A Rainwater Gutter | |
JP3286267B2 (en) | Self-cleaning device for drains | |
KR100637761B1 (en) | Drain lid | |
KR200367648Y1 (en) | A gully hole cover | |
KR100625017B1 (en) | Sewage filter | |
KR100708302B1 (en) | Odor prevention drainage | |
KR100741695B1 (en) | Odor blocking device of sewage collection basin | |
JP6001754B1 (en) | Rain drainage device for gutter | |
KR101383819B1 (en) | Rain receptacle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