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9167B1 - 몰드형 분로 리액터 - Google Patents

몰드형 분로 리액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167B1
KR102079167B1 KR1020190173736A KR20190173736A KR102079167B1 KR 102079167 B1 KR102079167 B1 KR 102079167B1 KR 1020190173736 A KR1020190173736 A KR 1020190173736A KR 20190173736 A KR20190173736 A KR 20190173736A KR 102079167 B1 KR102079167 B1 KR 10207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re
coke
leg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1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구조의 적용으로 요크와 레그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여 진동을 저감시키고, 코어지지판 삭제에 따른 손실을 감소시켜 저손실, 저진동,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몰드형 분로 리액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코어레그가 적층되며, 적층형성된 코어레그 각각의 상하부에는 절연부재가 결합되는 레그부; 상기 레그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일권선부; 상기 레그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코어요크; 상기 레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코어요크; 상기 상부코어요크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되며, 하부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의 상부 둘레부에 지지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코어요크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되며, 상부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의 하부 둘레부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코어요크와 밀착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체결되는 압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호간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레그부가 밀착지지되는 몰드형 분로 리액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몰드형 분로 리액터{MOLD TYPE SHUNT REACTOR}
본 발명은 몰드형 분로 리액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어의 에폭시 수지 주형 및 압축 구조의 적용으로 진동을 저감시키고, 손실을 감소시켜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몰드형 분로 리액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로 리액터는 콘덴서와 반대 기능을 갖고 있으며 무효 전력의 증가량을 흡수시켜 전압을 낮추는 설비를 말한다. 즉, 경부하 또는 무부하 운전시 정전용량 때문에 수전단의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게 상승한다. 이때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변압기 또는 선로 양단에 리액터를 병렬 접속시켜 지상 전류(전압 파형보다 위상이 느린 전류)를 흘려 진상 전류(전압 파형보다 위상이 빠른 전류)를 상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몰드형 분로 리액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일반적인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구성은 다단으로 구성된 코어레그(1)의 외측 둘레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코일권선부(2)로 구성되고, 하부코어요크(4)의 하부는 베이스프레임(7)의 상부에 안착지지되어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코어(3, 4)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상부프레임(5) 및 하부프레임(6)이 결합된다.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코어는 기본파와 고주파 전류의 일정 범위에 있어서 리액턴스를 유지하기 위해 다단으로 제작되며, 단과 단 사이의 공극은 절연판으로 채워넣는다. 또한, 코어의 단과 단 사이의 유동을 제거하기 위해 철이나 스텐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코어지지판(8)을 적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기존 몰드형 분로 리액터는 코어레그(1, core leg)를 개별 적층하는 구조이며, 이동 및 작업시 코어레그(1)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면 이탈될 수 있는 구조로써,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어지지판(8)이 필수적으로 취부된다.
하지만 몰드형 분로 리액터는 임피던스가 항상 100%이므로 누설자속이 상당히 많으며 몰드형 분로 리액터에서 발생한 자속 중 일부는 코어를 따라 흐르지 않고 인접한 금속성 구조물을 따라 흐르는 와전류(Eddy Current)로 인한 표류부하손이 발생된다. 표류부하손이 증가하면 변압기 손실이 증가하고, 손실을 발생시키는 금속성 구조물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인접한 절연물 및 권선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변압기 수명 저하의 요인이 된다.
도 2는 종래 분로 리액터의 코어 열에 의해 페인트가 녹아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자계안에 배치된 코어와 공극에서의 투자율 차이는 각각의 접속 부분에서 기계력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때 발생되는 기계력은 계통 주파수의 2배로 맥동되는 자기 왜곡에 의한 손실 및 진동을 발생시킨다. 참고로, 자기력은 자속 밀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진동 주파수는 전류 주파수의 2배가 된다. 따라서, 공극을 최소화하는 것은 투자율 차이로 인한 손실 및 맥동하는 기계력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기존 몰드형 분로 리액터는 공극을 절연판(1-1)으로 메꾸기는 하나 상하를 강제적으로 압축하는 구조없이 코어의 자중으로만 누르는 방식으로 코어(1, 3, 4)와 절연판(1-1)간 완전 밀착이 되지 못하고 유격이 존재하게 되어 이로 인한 손실 및 진동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발생한 진동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화성 페인트를 도포하고는 있으나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특성상 코어에 많은 열이 발생되므로 코어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도 2와 같이 페인트가 녹아내려 페인트의 고정력 저하 문제가 발생되며, 실제 사용 상태에서는 효과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자계안에 배치된 코어와 공극에서의 투자율 차이로 인해 발생된 기계력의 크기는, 후크의 법칙(힘의 크기가 어떤 한도를 넘지 않는 한 변형의 양은 힘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법칙)에 따라 공극 길이의 변화는 공극의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에 비례하며, 이는 공극에 삽입된 물질의 탄성력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절연판(1-1)의 탄성력이 좋으면 공극의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이 적어져서 진동이 감소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공극에 삽입된 절연판(1-1)은 탄성이 나쁘고 경도가 높은 딱딱한 재질의 에폭시 글라시판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탄성력 저하에 따른 공극의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이 커져서 맥동하는 기계력 증대에 따른 진동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142634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코어지지판의 구조를 생략하고 코어를 에폭시 합성수지로 몰딩처리함으로써 코어 손상 및 이탈 방지는 물론, 코어 떨림에 의한 진동 및 코어지지판 삭제에 따른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몰드형 분로 리액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축볼트를 통해 코어와 절연판간의 압축력을 최대화시킴은 물론, 누름판을 통해 코어 전체를 한 번 더 압축함으로써 공극 발생에 따른 손실 및 진동을 저감지시킬 수 있는 몰드형 분로 리액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열성 및 탄성이 우수한 재질의 절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몰드형 분로 리액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몰드형 분로 리액터는, 다수의 코어레그가 적층된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상, 하부코어요크로 구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레그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고경도 재질의 절연부재와, 상기 코어의 유동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코어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를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코어지지판과, 상기 코어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상기 코어지지판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상, 하부프레임 및 상기 코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일권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분로 리액터에 있어서, 다수의 코어레그가 적층되며, 적층형성된 코어레그 각각의 상하부에는 절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코어지지판의 구성을 생략하고 에폭시 합성수지로 주형몰딩 처리된 레그부; 상기 레그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일권선부; 상기 레그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코어요크; 상기 레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코어요크; 상기 상부코어요크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되며, 하부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의 상부 둘레부에 지지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코어요크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되며, 상부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의 하부 둘레부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코어요크와 밀착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체결되는 압축볼트; 및 상기 상부코어요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볼트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호간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1차적으로 가압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결합을 통해 상기 상부코어요크와 상기 레그부 및 상기 하부코어요크 전체가 하방으로 2차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1차 가압력 100%를 기준으로 상기 2차 가압력은 80~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압축성이 5~15%이고, 복원력이 45~65%인 아라미드 섬유 2~10 중량%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90~98 중량%의 혼합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상, 하부프레임 및 압축볼트를 통해 레그부를 가압함으로써, 코어레그와 절연부재 각각의 상호간에 형성된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누름부재를 통해 상부코어요크, 하부코어요크 및 레그부로 구성된 코어 전체를 한 번 더 가압함으로써, 전체적인 공극 발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진동 및 소음 저감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를 종래와 달리 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저감 효과를 증대시킴은 물론, 코어레그와 절연부재 상호간의 공극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레그부를 내열성이 우수한 에폭시 합성수지로 몰딩처리함으로써, 레그부에 발생하는 공극을 줄임과 동시에 종래 사용하던 코어지지판의 구조를 생략함으로써, 코어 손상과 이탈 방지 및 진동 저감과 함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저손실성, 내열성, 내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몰드형 분로 리액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몰드형 분로 리액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 분로 리액터의 코어 열에 의해 페인트가 녹아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코어레그(11), 절연부재(12) 및 상, 하부코어요크(30, 40)의 적층구조와 코일권선부(20) 및 베이스프레임(70) 등의 형성 구조 등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다수의 코어레그가 적층된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상, 하부코어요크로 구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레그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고경도 재질의 절연부재와, 상기 코어의 유동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코어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를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코어지지판과, 상기 코어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상기 코어지지판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상, 하부프레임 및 상기 코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일권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코어레그(11)가 적층되며, 적층형성된 코어레그(11) 각각의 상하부에는 절연부재(12)가 결합되고, 상기 코어지지판의 구성을 생략하고 에폭시 합성수지(EP)로 주형몰딩 처리된 레그부(10); 레그부(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일권선부(20); 레그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코어요크(30); 레그부(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코어요크(40); 상부코어요크(30)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되며, 하부에 위치한 레그부(10)의 상부 둘레부에 지지되는 상부프레임(50); 하부코어요크(40)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되며, 상부에 위치한 레그부(10)의 하부 둘레부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60); 하부프레임(60)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코어요크(40)와 밀착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70);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 사이에 체결되는 압축볼트(80); 및 상부코어요크(30)와 상부프레임(50)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부재(90);를 포함하며, 압축볼트(80)의 체결을 통해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 상호간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1차적으로 가압되고, 누름부재(90)의 결합을 통해 상부코어요크(30)와 레그부(10) 및 하부코어요크(40) 전체가 하방으로 2차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1차 가압력 100%를 기준으로 상기 2차 가압력은 80~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몰드형 분로 리액터는 레그부(10), 코일권선부(20), 상부코어요크(30), 하부코어요크(40), 상부프레임(50), 하부프레임(60), 베이스프레임(70) 및 압축볼트(80)를 포함하며, 누름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레그부(10)는 다수의 코어레그(11)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적층형성된 코어레그(11) 각각의 상하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12)가 결합된다. 코어레그(11)와 절연부재(12)는 단순히 쌓아올리는 구조로써, 공극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연부재(12)를 아라미드 섬유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가 혼합된 재료를 사용하며, 아라미드 섬유 2~10%,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90~98%의 비율로 혼합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라미드(aramid) 섬유는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의 일종으로 분자 내 벤젠환으로 인해 융점이 높고 내열성이 좋은 섬유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케블라와 노멕스가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 Styrene-Butadiene Rubber)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으로 얻어지는 고무 모양의 물질로 SBR로 불리고 있는 합성 고무의 일종이다. 천연 고무에 비해 내한성 등은 뒤떨어지지만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 가스 투과성이 뛰어나 타이어, 호스, 벨트, 패킹으로 사용되고, 라텍스(latex) 모양으로는 접착제, 종이의 사이징제(sizing)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혼합된 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절연부재(12)의 압축성이 5~15%로 형성되고, 복원력이 45~65%로 형성된다. 압축성이 5% 미만이거나 복원력이 45% 미만이면 압축시 크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압축성이 15%를 초과하거나 복원력이 65%를 초과하면 압축시 압축 편차에 의한 리액턴스의 편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압축성과 복원력 비율로 제작된 절연부재(12)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레그부(10)는 에폭시 합성수지(EP)로 몰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합성수지(EP)는 에폭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비스페놀계의 에폭시 30 ~ 60 중량%와 염소계의 경화제 70 ~ 40 중량%로 혼합된 에폭시 합성수지(EP)를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로는 MPDA(Meda Phenylen deamin), DDS(Dephenyl Deaminozl), DDM(Dephenyl Deamino Meta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화제를 상기 열거한 항목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및 작업시 레그부(10)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어도 이탈될 수 없도록 코어레그(11)와 절연부재(12)를 개별 적층한 후 에폭시 합성수지(EP)로 주형하여 고체화시킴으로써, 레그부(10)의 손상 및 이탈 방지는 물론, 레그부(10)의 떨림에 의한 진동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레그부(10는 고체화되어 코어레그(11)나 절연부재(12)의 이탈이 발생될 수 없는 구조이므로 기존 제품에 적용되었던 코어지지판의 구조를 생략함으로써, 이로 인한 표류부하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레그부(10)에 사용하는 에폭시 합성수지(EP)의 내열 온도는 100℃ 이상으로 몰드형 분로 리액터의 특성상 누설자속으로 인한 코어의 과열에 대한 내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에폭시 합성수지(E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권선부(20)는 레그부(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레그부(10)의 상부에는 상부코어요크(30)가 결합되고, 레그부(10)의 하부에는 하부코어요크(40)가 결합된다.
상부프레임(50)은 상부코어요크(30)의 전방과 후방 둘레면에 결합된다. 상부프레임(50)의 수직 상하 길이는 상부코어요크(30)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며, 상부프레임(50)의 상하 길이가 상부코어요크(30)의 상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5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외측 수평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다. 상부프레임(50)의 하부에서 수평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의 길이는 코일권선부(20)의 외측 둘에 반경에 대응된다.
하부프레임(60)은 하부코어요크(40)의 전방과 후방 둘레면에 결합된다. 하부프레임(60)의 수직 상하 길이는 하부코어요크(40)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며, 하부프레임(60)의 상하 길이가 하부코어요크(40)의 상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6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외측 수평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다. 하부프레임(60)의 상부에서 수평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의 길이는 코일권선부(20)의 외측 둘에 반경에 대응된다.
베이스프레임(70)의 하부는 본 발명인 몰드형 분로 리액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지지된다. 베이스프레임(70)의 상부와 하부프레임(60)의 하부 상호간은 볼트 등으로 체결됨과 동시에 베이스프레임(70)의 상부가 하부코어요크(40)의 하부면을 밀착지지시킨다.
상부프레임(50)의 하부와 하부프레임(60)의 상부 상호간은 압축볼트(80)로 체결된다. 압축볼트(80)의 체결에 의해 상부프레임(50)은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고, 하부프레임(60)은 상부 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상부프레임(50)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레그부(10)의 상부도 하부 방향으로 함께 가압되며, 하부프레임(60)이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레그부(10)의 하부도 상부 방향으로 함께 가압된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코어레그(11)와 다수의 절연부재(12) 사이에 형성된 공극이 더욱 감소된다.
누름부재(90)는 상부코어요크(30)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어 상부프레임(50)의 상부에 결합된다. 누름부재(90)와 상부코어요크(30)의 상부 상호간은 볼트 등으로 체결된다. 체결시 누름부재(90)는 상부코어요크(30)의 상부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상부코어요크(30)가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레그부(10)도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며, 이와 함께 레그부(10)의 수직 하부에 위치한 하부코어요크(40)도 하부 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누름부재(90)를 체결함으로써 상부코어요크(30), 레그부(10) 및 하부코어요크(40)가 전체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상부코어요크(30), 코어레그(11), 절연부재(12), 에폭시 합성수지(EP) 및 하부코어요크(40)에 남아있는 공극이 더욱 감소된다.
본 발명인 몰드형 분로 리액터는 상부코어요크(30), 하부코어요크(40), 코어레그(11) 및 절연부재(12) 상호간을 완전 밀착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손실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상하 2중 압축 구조를 적용하였다.
즉, 압축볼트(80)로 1차 조임(1차 조임력)을 실시하여 레그부(10)의 압축력을 최대화시킨 후 상부의 누름부재(90)를 통해 2차 조임을 실시한다. 2차 조임(2차 조임력)시 레그부(10)는 물론 상부코어요크(30)와 하부코어요크(40)까지 전체적으로 압축력이 최대화된다.
한편, 누름부재(90)의 조임력은 압축볼트(80) 조임력의 80~90% 수준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누름부재(90)의 조임력이 80% 미만일 경우 조임력 부족에 의한 공극이 증대되고, 조임력이 90%를 초과할 경우 1차 조임력 + 2차 조임력의 합산력이 절연부재(12)의 탄성 구간을 벗어나게 되어 절연부재(12)의 탄성력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2중 압축 구조의 적용으로 요크와 레그 간의 공극을 최소화하여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키고,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저손실성, 내열성과 내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코어레그 1-1 : 절연판
2 : 코일권선부 3 : 상부코어요크
4 : 하부코어요크 5 : 상부프레임
6 : 하부프레임 7 : 베이스프레임
8 : 코어지지판
10 : 레그부 11 : 코어레그
12 : 절연부재 20 : 코일권선부
30 : 상부코어요크 40 : 하부코어요크
50 : 상부프레임 60 : 하부프레임
70 : 베이스프레임 80 : 압축볼트
90 : 누름부재 EP : 에폭시 합성수지

Claims (4)

  1. 다수의 코어레그가 적층된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상, 하부코어요크로 구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레그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고경도 재질의 절연부재와, 상기 코어의 유동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코어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를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코어지지판과, 상기 코어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상기 코어지지판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상, 하부프레임 및 상기 코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일권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분로 리액터에 있어서,
    다수의 코어레그가 적층되며, 적층형성된 코어레그 각각의 상하부에는 절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코어지지판의 구성을 생략하고 에폭시 합성수지로 주형몰딩 처리된 레그부;
    상기 레그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일권선부;
    상기 레그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코어요크;
    상기 레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코어요크;
    상기 상부코어요크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되며, 하부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의 상부 둘레부에 지지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코어요크의 전방과 후방에 결합되며, 상부에 위치한 상기 레그부의 하부 둘레부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코어요크와 밀착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체결되는 압축볼트; 및
    상기 상부코어요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볼트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호간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1차적으로 가압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결합을 통해 상기 상부코어요크와 상기 레그부 및 상기 하부코어요크 전체가 하방으로 2차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1차 가압력 100%를 기준으로 상기 2차 가압력은 8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형 분로 리액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압축성이 5~15%이고, 복원력이 45~65%인 아라미드 섬유 2~10 중량%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90~98 중량%의 혼합 재료로 구성된 몰드형 분로 리액터.
  3. 삭제
  4. 삭제
KR1020190173736A 2019-12-24 2019-12-24 몰드형 분로 리액터 Active KR10207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736A KR102079167B1 (ko) 2019-12-24 2019-12-24 몰드형 분로 리액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736A KR102079167B1 (ko) 2019-12-24 2019-12-24 몰드형 분로 리액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167B1 true KR102079167B1 (ko) 2020-02-19

Family

ID=6967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736A Active KR102079167B1 (ko) 2019-12-24 2019-12-24 몰드형 분로 리액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2877B1 (ko) * 2023-06-15 2024-11-25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복합재료 로드가 적용된 리액터용 타이로드, 및 이를 적용한 리액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2395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Chem Co Ltd 電気・電子部品
JP2011071485A (ja) * 2009-07-31 2011-04-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及びリアクトル用部品
KR101426342B1 (ko) 2014-05-22 2014-08-06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몰드식 분로 리액터
KR20160117781A (ko) * 2015-03-31 2016-10-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압기 리액터 외곽 철심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2395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Chem Co Ltd 電気・電子部品
JP2011071485A (ja) * 2009-07-31 2011-04-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及びリアクトル用部品
KR101426342B1 (ko) 2014-05-22 2014-08-06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몰드식 분로 리액터
KR20160117781A (ko) * 2015-03-31 2016-10-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압기 리액터 외곽 철심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2877B1 (ko) * 2023-06-15 2024-11-25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복합재료 로드가 적용된 리액터용 타이로드, 및 이를 적용한 리액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167B1 (ko) 몰드형 분로 리액터
CN210531884U (zh) 一种中型变压器减振座
CN108806929A (zh) 一种变压器安装支架
US20110227683A1 (en) Induction Device
CN114300239A (zh) 一种干式变压器
CN206758242U (zh) 电力变压器
CN114278703B (zh) 一种双几何非线性结构集成的低频准零刚度隔振器
US2846598A (en) Vibration generator
CN214897996U (zh) 一种变压器夹件夹紧结构
CN207609229U (zh) 一种建筑防震基座
CN204045323U (zh) 变压器箱体及非晶合金变压器
CN201307481Y (zh) 抗震式变压器
CN215600189U (zh) 一种便于安装的油浸式变压器
CN108597755B (zh) 电抗器器身定位结构及电抗器垫脚
CN209993435U (zh) 一种新型悬挂式变压器安装结构
CN204677667U (zh) 一种阻尼弹簧隔振器
CN209312544U (zh) 一种具有保护框架的变压器
SU1703883A1 (ru) Амортизатор
CN218918605U (zh) 一种高频电抗器
KR102745185B1 (ko) 중신 하중 인가를 위한 고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리액터
CN207316373U (zh) 一种基于工程力学的整机调节底座
CN207409351U (zh) 散热器加固的变压器
CN204665936U (zh) 一种改进型感应电炉线圈紧固装置
CN206706544U (zh) 一种s形钢结构桥梁
CN210050246U (zh) 电力变压器减振隔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