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8366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366B1
KR102078366B1 KR1020130030996A KR20130030996A KR102078366B1 KR 102078366 B1 KR102078366 B1 KR 102078366B1 KR 1020130030996 A KR1020130030996 A KR 1020130030996A KR 20130030996 A KR20130030996 A KR 20130030996A KR 102078366 B1 KR102078366 B1 KR 10207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dcch
transmission
dmrs
resource
pr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192A (ko
Inventor
서인권
서한별
김학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PCT/KR2013/00240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41654A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380015741.0A priority patent/CN104205685B/zh
Priority to JP2015501585A priority patent/JP6110472B2/ja
Priority to US14/384,142 priority patent/US9445413B2/en
Publication of KR2013010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192A/ko
Priority to US15/209,451 priority patent/US9615365B2/en
Priority to US15/414,245 priority patent/US10028266B2/en
Priority to JP2017043831A priority patent/JP2017127014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3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2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identifying th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 각각에 대해, 복수의 자원 단위 중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위한 자원 단위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 각각에 대해, 상기 EPDCCH를 위한 자원 단위들 상에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 각각은, 국부형(Localised) EPDCCH 전송 또는 분산형(Distributed) EPCCH 전송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설정된 것인, 제어정보 수신 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THE METHOD OF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hannel)에 의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EPDCCH의 블라인드 복호를 통한 제어정보 수신 방법 관련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 각각에 대해, 각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자원 단위 상에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원 단위는 하향링크 대역폭에 관련된 자원 단위들 중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위한 자원 단위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 각각은, 국부형(Localised) EPDCCH 전송 또는 분산형(Distributed) EPCCH 전송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설정된 것인, 제어정보 수신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 각각에 대해, 각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자원 단위 상에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하며, 상기 자원 단위는 하향링크 대역폭에 관련된 자원 단위들 중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위한 자원 단위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 각각은, 국부형(Localised) EPDCCH 전송 또는 분산형(Distributed) EPCCH 전송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설정된 것인, 단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원 단위는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페어이고, 상기 자원 세트는 PRB 세트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 각각이 국부형 EPDCCH 전송 또는 분산형 EPCCH 전송 중 어느 것을 위해 설정된 것인지는, 상위계층시그널링으로 상기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EPDCCH를 위한 자원 단위들의 결정은, 상위계층시그널링으로 전달된 자원 세트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가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해 설정된 제1 자원 세트 및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해 설정된 제2 자원 세트이며, 상기 EPDCCH를 위한 자원 단위들 중 상기 제1 및 제2 자원 세트에 모두 포함되는, 오버랩 자원 단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오버랩 자원 단위에서는, 국부형 EPDCCH 전송에 관련된 안테나 포트 중 분산형 EPDCCH 전송에 관련된 안테나 포트 이외의 안테나 포트만 유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자원 세트가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해 설정된 제1 자원 세트 및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해 설정된 제2 자원 세트이며, 상기 EPDCCH를 위한 자원 단위들 중 상기 제1 및 제2 자원 세트에 모두 포함되는, 오버랩 자원 단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오버랩 자원 단위에서의 국부형 EPDCCH를 위한 블라인드 복호 수행시, 미리 설정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안테나 포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전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국부형 EPDCCH 전송에 관련된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107, 108, 109, 110을 포함하며, 상기 분산형 EPDCCH 전송에 관련된 안테나 포트는 107, 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RB 페어는 4개의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ECCE는 4개의 EREG(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국부형 EPDCCH 전송은 집합 레벨에 따른 하나 이상의 연속된 ECCE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분산형 EPDCCH 전송은 각 PRB 페어에 포함된 EREG들로 이루어진 ECCE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EPDCCH의 전송 타입에 따라 효율적으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탐색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참조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EPDCCH를 위한 블라인드 복호/탐색공간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 포트 매핑 및 복호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EPDCCH 후보 설정 방법 및 복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EPDCCH 자원 세트와 안테나 포트 매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PRB 페어에 국부형 EPDCCH 전송과 분산형 EPDCCH 전송이 혼재할 경우, 포트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 PRB 페어별 안테나 포트 수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탐색공간의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EPDCCH와 복조참조신호 포트와의 관계에 관련된 도면이다.
도 19는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를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전송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NDL의 개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과 이용가능한 비트 수는 CCE의 개수와 CCE에 의해 제공되는 코딩 레이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에 따라서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DCI 포맷
현재 LTE-A(release 10)에 의하면 DCI 포맷 0, 1, 1A, 1B, 1C, 1D, 2, 2A, 2B, 2C, 3, 3A, 4 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DCI 포맷 0, 1A, 3, 3A는, 후술할 블라인드 복호 횟수를 줄이기 위해 동일한 메시지 크기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DCI 포맷들은 전송하려는 제어정보의 용도에 따라 i)상향링크 승인에 사용되는 DCI 포맷 0, 4, ii)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사용되는 DCI 포맷 1, 1A, 1B, 1C, 1D, 2, 2A, 2B, 2C, iii)전력제어 명령을 위한 DCI 포맷 3, 3A로 구분할 수 있다.
상향링크 승인에 사용되는 DCI 포맷 0의 경우, 후술할 반송파 병합에 관련하여 필요한 반송파 오프셋(carrier indicator), DCI 포맷 0과 1A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오프셋(flag for format 0/format 1A differentiation), 상향링크 PUSCH 전송에서 주파수 호핑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호핑 플래그(frequency hopping flag), 단말이 PUSCH 전송에 사용해야 할 자원블록 할당에 대한 정보(resource block assignment), 변조 및 부호화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HARQ 프로세스와 관련해 초기전송을 위해 버퍼를 비우는데 사용되는 새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PUSCH를 위한 전송전력 제어명령(TPC command for scheduled for PUS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위한 순환이동 정보(cyclic shift for DMRS and OCC index), TDD 동작에서 필요한 상향링크 인덱스(UL index) 및 채널품질정보(Channel Quality Indicator) 요구 정보(CSI reques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DCI 포맷 0의 경우 동기식 HARQ를 사용하므로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관련된 DCI 포맷들처럼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을 포함하지 않는다. 반송파 오프셋의 경우, 크로스 반송파 스케줄링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DCI 포맷에 포함되지 않는다.
DCI 포맷 4는 LTE-A 릴리즈 10에서 새로이 추가된 것으로서 LTE-A에서 상향링크 전송에 공간 다중화가 적용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DCI 포맷 4의 경우 DCI 포맷 0과 비교하여 공간 다중화를 위한 정보들을 더 포함하므로 더 큰 메시지 크기를 가지며, DCI 포맷 0에 포함되는 제어정보에 추가적인 제어정보를 더 포함한다. 즉, DCI 포맷 4의 경우, 두 번째 전송블록을 위한 변조 및 부호화 방식, 다중 안테나 전송을 위한 프리코딩 정보, 사운딩참조신호 요청(SRS request) 정보를 더 포함한다. 한편, DCI 포맷 4는 DCI 포맷 0보다 큰 크기를 가지므로 DCI 포맷 0과 1A를 구분하는 오프셋은 포함하지 않는다.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관련된 DCI 포맷 1, 1A, 1B, 1C, 1D, 2, 2A, 2B, 2C는 크게 공간 다중화를 지원하지 않는 1, 1A, 1B, 1C, 1D 와 공간 다중화를 지원하는 2, 2A, 2B, 2C 로 구분될 수 있다.
DCI 포맷 1C는 컴팩트 하향링크 할당으로서 주파수 연속적 할당만을 지원하며, 다른 포맷들과 비교해 반송파 오프셋, 리던던시 버전을 포함하지 않는다.
DCI 포맷 1A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포맷이다. 여기에는 반송파 오프셋, 하향링크 분산형 전송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자, PDSCH 자원 할당 정보, 변조 및 부호화 방식, 리던던시 버전, 소프트 컴바이닝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서를 알려주기 위한 HARQ 프로세서 번호, HARQ 프로세스와 관련해 초기전송을 위해 버퍼를 비우는데 사용되는 새 데이터 오프셋, PUCCH를 위한 전송전력 제어명령, TDD 동작에서 필요한 상향링크 인덱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 1의 경우 대부분의 제어정보가 DCI 포맷 1A과 유사하다. 다만, DCI 포맷 1A가 연속적인 자원 할당에 관련된 것과 비교해, DCI 포맷 1은 비연속적 자원 할당을 지원한다. 따라서 DCI 포맷 1은 자원할당 헤더를 더 포함하므로 자원할당의 유연성이 증가하는 것의 트레이드 오프로서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다소 증가한다.
DCI 포맷 1B, 1D의 경우에는 DCI 포맷 1과 비교해 프리코딩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공통된다. DCI 포맷 1B는 PMI 확인을, DCI 포맷 1D는 하향링크 전력 오프셋 정보를 각각 포함한다. 그 외 DCI 포맷 1B, 1D에 포함된 제어정보는 DCI 포맷 1A의 경우와 대부분 일치한다.
DCI 포맷 2, 2A, 2B, 2C는 기본적으로 DCI 포맷 1A에 포함된 제어정보들을 대부분 포함하면서, 공간 다중화를 위한 정보들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는 두 번째 전송 블록에 관한 변조 및 부호화 방식, 새 데이터 오프셋 및 리던던시 버전이 해당된다.
DCI 포맷 2는 폐루프 공간 다중화를 지원하며, 2A는 개루프 공간 다중화를 지원한다. 양자 모두 프리코딩 정보를 포함한다. DCI 포맷 2B는 빔 포밍과 결합된 듀얼 레이어 공간 다중화를 지원하며 DMRS를 위한 순환이동 정보를 더 포함한다. DCI 포맷 2C는 DCI 포맷 2B의 확장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덟개의 레이어까지 공간 다중화를 지원한다.
DCI 포맷 3, 3A는 전술한 상향링크 승인 및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을 위한 DCI 포맷들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전력 제어정보를 보완, 즉 반-지속적(semi-persistent)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3의 경우 단말당 1bit, 3A의 경우 2bit의 명령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DCI 포맷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PDCCH를 통해 전송되며,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PDCCH 프로세싱
PDCCH를 RE들에 매핑할 때 연속된 논리할당단위인 제어채널요소(CCE)가 사용된다. 하나의 CCE는 복수(예를 들어, 9개)의 자원요소그룹(REG)을 포함하고, 하나의 REG는 참조 신호(RS)를 제외한 상태에서 이웃하는 네 개의 RE로 구성된다.
특정한 PDCCH를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는 제어정보의 크기인 DCI 페이로드, 셀 대역폭, 채널 부호화율 등에 따라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특정한 PDCCH를 위한 CCE의 개수는 다음 표 1과 같이 PDCCH 포맷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PDCCH 포맷 CCE 개수 REG 개수 PDCCH 비트 수
0 1 9 72
1 2 18 144
2 4 36 288
3 8 72 576
PDCCH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네가지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단말에게 알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의 입장에서는 PDCCH 포맷을 알지 못한 채 복호를 하여야 하는데, 이를 블라인드 복호라 한다. 다만, 단말이 하향링크에 사용되는 가능한 모든 CCE를 각 PDCCH 포맷에 대하여 복호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되므로, 스케줄러에 대한 제약과 복호 시도 횟수를 고려하여 탐색공간(Search Space)이 정의된다.
즉, 탐색공간은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 상에서 단말이 복호를 시도해야 하는 CCE들로 이루어진 후보(candidate) PDCCH의 집합이다. 여기서 집합 레벨 및 PDCCH 후보의 수는 다음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탐색공간 PDCCH 후보수
집합레벨 크기(CCE 단위)
단말 특정

1 6 6
2 12 6
4 8 2
8 16 2
공통 4 16 4
8 16 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4가지의 집합레벨이 존재하므로, 단말은 각 집합레벨에 따라 복수개의 탐색공간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탐색공간은 단말 특정 탐색공간과 공통 탐색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단말 특정 탐색공간(User specific search space, USS)은 특정한 단말들을 위한 것으로서 각 단말은 단말 특정 탐색공간을 모니터링(가능한 DCI 포맷에 따라 PDCCH 후보 집합에 대해 복호를 시도하는 것)하여 PDCCH에 마스킹되어 있는 RNTI 및 CRC를 확인하여 유효하면 제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공통 탐색공간(Common search space, CSS)은 시스템 정보에 대한 동적 스케줄링이나 페이징 메시지 등 다수의 단말 또는 모든 단말들이 PDCCH를 수신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위한 것이다. 다만, CSS는 자원 운용상 특정 단말을 위한 것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CSS는 단말 특정 탐색공간과 오버랩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단말을 위한 제어정보에는 랜덤액세스식별자(RA-RNTI), 시스템정보식별자(SI-RNTI) 또는 페이징식별자(P-RNTI) 중 어느 하나가 마스킹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탐색공간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3025106282-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3025106282-pat00002
은 집합레벨,
Figure 112013025106282-pat00003
는 RNTI 및 서브프레임 번호 k에 의해 결정되는 변수,
Figure 112013025106282-pat00004
는 PDCCH 후보 수로서 반송파 병합이 적용된 경우
Figure 112013025106282-pat00005
로,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112013025106282-pat00006
로서
Figure 112013025106282-pat00007
이며
Figure 112013025106282-pat00008
은 PDCCH 후보 수,
Figure 112013025106282-pat00009
는 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제어영역의 전체 CCE 개수,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0
는 PDCCH 에서 각 PDCCH 후보에서 개별 CCE를 지정하는 인자로서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1
이다. 공통 탐색공간의 경우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2
는 항상 0으로 결정된다.
도 5는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정의될 수 있는 각 집합레벨에서의 단말 특정 탐색공간(음영부분)을 나타낸다. 여기서 반송파 병합은 사용되지 않았으며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3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2개로 예시되었음을 밝혀둔다.
도 5의 (a), (b), (c), (d)는 각각 집합레벨 1, 2, 4, 8의 경우를 예시하며 숫자는 CCE 번호를 나타낸다. 도 5에서 각 집합레벨에서 탐색공간의 시작 CCE는 상술한 바와 같이 RNTI 및 서브프레임 번호 k로 결정되는데 하나의 단말에 대해 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모듈로 함수와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4
로 인해 집합레벨마다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5
로 인해 항상 집합 레벨의 배수로만 결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6
는 예시적으로 CCE 번호 18로 전제되었다. 시작 CCE부터 단말은 해당 집합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CCE들 단위로 순차적으로 복호를 시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서 단말은 시작 CCE인 CCE 번호 4부터 집합레벨에 따라 2개의 CCE 단위로 복호를 시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탐색공간에 대해 복호를 시도하는데, 이 복호시도의 횟수는 DCI 포맷 및 RRC 시그널링을 통해 결정되는 전송모드(Transmission mode)로 결정된다. 반송파 병합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공통 탐색공간에 대해 PDCCH 후보수 6개 각각에 대해 두 가지의 DCI 크기(DCI 포맷 0/1A/3/3A 및 DCI 포맷 1C)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최대 12번의 복호 시도가 필요하다. 단말 특정 탐색공간에 대해서는, PDCCH 후보수(6 + 6 + 2 + 2 = 16) 에 대해 두 가지의 DCI 크기를 고려하므로 최대 32번의 복호 시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반송파 병합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최대 44회의 복호 시도가 필요하다.
한편, 반송파 병합이 적용되는 경우 하향링크 자원(구성 반송파)의 수 만큼의 단말 특정 탐색공간과 DCI 포맷 4를 위한 복호가 더 추가되므로, 최대 복호횟수는 더 증가하게 된다.
참조 신호 (Reference Signal; R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전송되는 패킷은 무선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과정에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왜곡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올바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왜곡을 보정하여야 한다. 채널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모두 알고 있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신호가 채널을 통해 수신될 때의 왜곡 정도를 가지고 채널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 신호를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또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라고 한다.
다중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각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상황을 알아야 올바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송신 안테나 별로, 좀더 자세하게는 안테나 포트(안테나 포트)별로 별도의 참조신호가 존재하여야 한다.
참조신호는 상향링크 참조신호와 하향링크 참조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LTE 시스템에는 상향링크 참조신호로써,
i) PUSCH 및 PUCCH를 통해 전송된 정보의 코히런트(coherent)한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을 위한 복조 참조신호(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i) 기지국이, 네트워크가 다른 주파수에서의 상향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있다.
한편, 하향링크 참조신호에는,
i) 셀 내의 모든 단말이 공유하는 셀-특정 참조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ii) 특정 단말만을 위한 단말-특정 참조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
iii) PDSCH가 전송되는 경우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 (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v) 하향링크 DMRS가 전송되는 경우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상태정보 참조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v)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모드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 MBSFN 참조신호(MBSFN Reference Signal)
vi) 단말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위치 참조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가 있다.
참조신호는 그 목적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채널 정보 획득을 위한 목적의 참조신호와 데이터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참조신호가 있다. 전자는 UE가 하향 링크로의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광대역으로 전송되어야 하고,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이라도 그 참조신호를 수신하여야 한다. 또한 이는 핸드 오버 등의 상황에서도 사용된다. 후자는 기지국이 하향링크를 보낼 때 해당 리소스에 함께 보내는 참조신호로서, 단말은 해당 참조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측정을 하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게 된다. 이 참조신호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에 전송되어야 한다.
CRS는 채널 정보 획득 및 데이터 복조의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며, 단말 특정 참조신호는 데이터 복조용으로만 사용된다. CRS는 광대역에 대해서 매 서브 프레임마다 전송되며, 기지국의 전송 안테나 개수에 따라서 최대 4개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참조신호가 전송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2개일 경우, 0번과 1번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전송되고, 4개인 경우 0~3번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각각 전송된다.
도 6은 기존의 3GPP LTE 시스템 (예를 들어, 릴리즈-8)에서 정의하는 CRS 및 DRS가 하향링크 자원블록 쌍 (RB pair) 상에 매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신호가 매핑되는 단위로서의 하향링크 자원블록 쌍은 시간 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주파수 상으로 12 부반송파의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자원블록 쌍은 시간 상으로 일반 CP의 경우(도 6(a))에는 14 개의 OFDM 심볼 길이, 확장된 CP의 경우(도 6(b))에는 12 개의 OFDM 심볼 길이를 가진다.
도 6은 기지국이 4 개의 전송 안테나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참조신호의 자원블록 쌍 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6에서 '0', '1', '2' 및 '3'으로 표시된 자원 요소(RE)는, 각각 안테나 포트 인덱스 0, 1, 2 및 3에 대한 CRS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에서 'D'로 표시된 자원 요소는 DMRS의 위치를 나타낸다.
릴리즈 11 이후의 LTE 시스템에서는 CoMP(Coordinate Multi Point), MU-MIMO(Multi User-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등으로 인한 PDCCH의 용량 부족 및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으로 인한 PDCCH 성능 감소 등에 대한 해결책으로 Enhanced-PDCCH(EPDCCH)가 고려되고 있다. 또한 EPDCCH에서는 프리코딩(pre-coding) 이득 등을 얻기 위해 기존의 CRS 기반의 PDCCH와 다르게 DMRS를 기반으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PDCCH의 전송이 REG, REG로 이루어진 CCE에 기반하는 것과 비교하여, EPDCCH 전송은 EREG(Enhanced REG), ECCE(Enhanced CCE), PRB 페어에 기반할 수 있다. 여기서, ECCE는 4개의 EREG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PRB 페어는 4개의 ECCE로 이루어질 수 있다. PDCCH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EPDCCH에서도 집합 레벨의 개념이 사용되며, 다만 EPDCCH에서의 집합 레벨은 ECCE에 기반한다.
EPDCCH 전송은,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PRB 페어의 구성에 따라 국부형(localized) EPDCCH 전송과 분산형(distributed) EPDCCH 전송으로 나뉠 수 있다. 국부형 EPDCCH 전송은 하나의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세트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인접해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빔포밍 이득을 얻기 위해 특정 프리코딩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부형 EPDCCH 전송은 집합 레벨에 해당하는 개수의 연속된 ECCE에 기반할 수 있다. 반면에 분산형 EPDCCH 전송은 하나의 EPDCCH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리된 PRB 페어에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하며, 주파수 다이버시티 측면의 이득이 있다. 예를 들어, 분산형 EPDCCH 전송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리된 각 PRB 페어에 포함된 EREG 4개로 이루어진 ECCE에 기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EPDCCH 전송에 있어서, 블라인드 복호/탐색공간의 설정, 안테나 포트 매핑 등에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EPDCCH를 위한 블라인드 복호/탐색공간의 설정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EPDCCH 전송은 국부형 EPDCCH 전송과 분산형 EPDCCH 전송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은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자원 세트와 분산형 EPDCCH를 전송을 위한 자원 세트를 구분하여 탐색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세트는 PRB 세트 또는 ECCE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자원 세트의 전송 타입(국부형 EPDCCH 전송 또는 분산형 EPDCCH 전송)을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자원 단위(예를 들어, 상기 자원 세트가 PRB 세트인 경우 상기 자원 단위는 PRB 페어 혹은 ECCE (EREG)일 수 있으며, 자원 세트가 ECCE인 경우 ECCE 혹은 EREG가 자원 단위임을 의미함) 중 EPDCCH를 위한 자원 단위 상에서 집합 레벨별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자원 세트는 국부형 EPDCCH 전송 또는 분산형 EPDCCH 전송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도 7 내지 도 8의 예시를 통하여 살펴본다. 도 7 내지 도 8에서는 위 설명 중 자원 세트가 PRB 세트, 자원 단위는 ECCE 또는 PRB 페어임을 전제한다. 도 7 내지 도 8에서 PRB 세트에 포함된 PRB 페어는 2개 또는 4개로 예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정에 따라 2, 4 또는 8 개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서 분산형 PRB 세트(distributed PRB set)에 포함된 PRB 페어들이 주파수 축 상에서 연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식화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따라서 분산형 PRB 세트에 포함된 PRB 페어들은 주파수 축 상에서 불연속적인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도 7(a)는 단말에게 하나의 PRB 세트가 설정된 경우를, 도 7(b)는 단말에게 두 개의 PRB 세트가 설정된 것을 나타낸다. 도 7(a)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EPDCCH를 위한 PRB 세트가 1개이며, 서브프레임의 전제 PRB 페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PRB 페어가 EPDCCH 전송을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이 PRB 세트가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것인지를 알 수 있으며, 각 전송 타입(국부형 EPDCCH 전송 또는 분산형 EPDCCH 전송)에 따라 집합 레벨에 따른 EPDCCH 후보를 결정하고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단말에게 두 개의 PRB 세트가 설정되며, 하나의 PRB 세트는 국부형 EPDCCH를 위한 PRB 세트(Localised PRB set), 다른 하나의 PRB 세트는 분산형 EPDDCH를 위한 PRB 세트(Distributed PRB set)임이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단말은 각 PRB 세트에 대해, 각 전송 타입에 따라 EPDCCH 후보를 결정하고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b)에 예시된 것과 달리 두 개의 PRB 세트가 설정되는 경우 모든 PRB 세트가 국부형(또는 분산형) EPDCCH를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두 개의 PRB 세트(분산형 EPDDCH를 위한 PRB 세트 및 국부형 EPDDCH를 위한 PRB 세트)가 설정되는 경우, 각 PRB 세트에 포함되는 PRB는 반드시 배타적이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느 한 PRB 세트에 포함되는 PRB 페어가 다른 PRB 페어에도 속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이러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8을 참조하면, 국부형 EPDDCH 전송을 위한 PRB 세트가 PRB 페어 #n ~ PRB 페어 #n+3으로 이루어지며, 분산형 EPDDCH 전송을 위한 PRB 세트가 PRB 페어 #n-1 ~ PRB 페어 #n으로 이루어진다. 즉, PRB 페어 #n은 국부형 EPDDCH 전송을 위한 PRB 세트 및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PRB 세트에 모두 포함된다. 이와 같이, 각 PRB 세트에 오버랩되는 PRB 페어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오버랩 PRB 페어에서는, 국부형 EPDCCH 전송에 관련된 안테나 포트 중 분산형 EPDCCH 전송에 관련된 안테나 포트 이외의 안테나 포트만 유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형 EPDCCH에 관련된 안테나 포트는 107, 109이고, 국부형 EPDCCH에 관련된 안테나 포트는 107, 108, 109, 110인 경우, 단말은 오버랩 PRB 페어에서 국부형 EPDCCH에 대해 블라인드 복호 수행시, 108, 110번 안테나 포트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국부형 EPDCCH에 대해 블라인드 복호시, 포트 108, 109만을 이용하여 블라인드 복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PRB 페어의 ECCE 인덱스 0, 1, 2, 3에 사용되는 포트는 108(또는 109)로 고정하거나, ECCE 인덱스 0, 1은 108, ECCE 인덱스 2, 3은 109등을 사용하도록 미리 정의하거나,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자원 세트가 어떤 전송 타입인지를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써, 가능한 패턴을 미리 정의하고 기지국은 그 패턴의 인덱스를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이 때 패턴은 일정 개수의 자원 단위에 대해 정의되고 해당 패턴이 전체 자원 단위에 대하여 반복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표 3과 같은 매핑 테이블에 의할 수 있다.
자원 타입 인덱스 0 1 2 3 4 5 6 7 8
전송 타입 L L L L D D L L L
상기 표 3에서, L은 국부형 EPDCCH 전송, D는 분산형 EPDCCH 전송을 의미한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탐색공간의 자원 단위 인덱스가 2, 3, 4, 5, 6, 7이라면 단말은 시그널링 받은 인덱스 중 특정 타입의 자원 단위를 탐색공간에서 배제할 수 있으며 이 특정 타입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자원 단위를 배제하고자 한다면 단말이 구성하는 탐색공간의 자원 단위 인덱스는 2, 3, 6, 7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EPDCCH 후보 내에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와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가 혼재할 경우, 안테나 포트 매핑 및 복호 수행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9를 참조하면, 집합 레벨 2의 EPDCCH 후보를 구성하는 ECCE가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 및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이하 열거되는 방법들에 의해 블라인드 복호/탐색공간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단말은 동일 EPDCCH 후보 내에 속하지만 각 ECCE에 대한 포트는 서로 다르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는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해 정의된 포트와 PRB 페어(또는 ECCE)를 이용하여 복호를 수행한 후,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포트와 서로 다른 포트를 통해 전송됨)에 대한 복호 결과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9에서 국부형 EPDCCH에 대한 집합 레벨 2인 EPDCCH 후보는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와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로 구성되며, 각 ECCE에 대한 복호 결과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복호된다. 즉, 하나의 ECCE는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에 대한 포트로, 또 다른 ECCE는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에 대한 포트로 복호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각 ECCE에 대해 서로 다른 프리코딩이 수행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해당 EPDCCH 후보에 대한 블라인드 복호를 스킵(skip)할 수 있다. 즉, 하나의 EPDCCH 후보에 포함되는 ECCE 중 국부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ECCE와 분산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ECCE가 중복할 경우, 이를 인지한 단말은 해당 EPDCCH 후보에 대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세 번째로, 해당 EPDCCH 후보에 속하는 ECCE 중 특정 전송 타입에 의한 ECCE만을 해당 EPDCCH 후보에 대한 블라인드 복호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타입(국부형 또는 분산형) 중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인지는 우선순위 또는 ECCE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에 따르는 경우, 어떤 전송 타입의 ECCE를 복호할 것인지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등을 통해 지시할 수 있다. ECCE 개수에 따르는 경우는, 집합 레벨이 4 이상일 경우, 특정 전송 타입에 따른 ECCE가 또 다른 전송 타입에 따른 ECCE보다 많을 경우, 그 특정 전송 타입에 따른 ECCE만을 해당 EPDCCH 후보 복호에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블라인드 복호가 특정 전송 타입에 의한 ECCE만으로 수행되게 하는 다른 방법으로써, 단말을 위한 탐색공간 구성 과정에서 서로 다른 전송 타입의 ECCE는 하나의 탐색공간에 포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에게 국부형(또는 분산형) EPDCCH 전송만을 위한 탐색공간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높은 레벨의 집합 레벨에 대한 EPDCCH 후보가 낮은 집합 레벨에 기반하여 결정될 경우, 집합 레벨 1의 EPDCCH 후보를 특정 전송 타입에 의한 ECCE만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하나의 PRB 페어에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자원 세트와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자원 세트가 혼재하는 경우, EPDCCH 후보 설정 방법 및 복호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0에서는 하나의 PRB 페어가 8개의 EREG로 이루진 것을 전제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하나의 PRB 페어가 16개의 EREG로 이루어진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집합 레벨의 EPDCCH 후보에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REG가 포함될 경우, 이러한 EPDCCH 후보는 블라인드 복호에서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EREG 4~EREG 7이 집합 레벨 2의 EPDCCH 후보를 이루고 EREG 6와 EREG 7이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것인 경우, EREG 4~EREG 7로 이루어진 EPDCCH 후보는 블라인드 복호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또는,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집합 레벨의 EPDCCH 후보에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REG가 포함될 경우, 이러한 EPDCCH 후보에 대한 블라인드 복호는 국부형 EPDCCH 용도로 설정된 EREG(또는 ECCE)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0에서 EREG 4 및 EREG 5만을 이용하여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EREG 6와 EREG 7에 대하여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집합 레벨의 EPDCCH 후보들의 시작(starting) 위치는 서로 다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집합 레벨의 EPDCCH 후보에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REG가 포함될 경우, 이러한 EPDCCH 후보의 시작 위치는 국부형 EPDCCH를 위한 EREG가 하나의 PRB 페어에 모두 포함될 때까지 EPDCCH 후보의 시작 위치에 대해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10에서 PRB 페어 0은 국부형, PRB 페어 1은 국부형 및 분산형, PRB 페어 3은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것이고 EREG 6와 EREG 7이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것인 경우, PRB 페어 1에 위치하는 EPDCCH 후보는 PRB 페어 2로 시프트될 수 있다.
또는, 국부형 EPDCCH에 대한 EPDCCH 후보이지만 해당 EPDCCH 후보 내에 분산형 EPDCCH 용도의 자원 세트(ECCE, EREG 세트)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해당 자원 세트를 제외하고 연이은 자원 세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EPDCCH 후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0에서 PRB 페어 전체가 집합 레벨 4의 국부형 EPDCCH 후보이고, EREG 4, 5, 6, 7이 분산형 EPDCCH용도로 설정된 경우, 해당 EPDCCH 후보에 포함되는 자원 세트는 EREG 0, 1, 2, 3, 8, 9, 10, 11으로 결정될 수 있다.
EPDCCH를 위한 안테나 포트의 설정/ 매핑
이하에서는 EPDCCH 자원 세트(PRB 세트, ECCE 세트, EREG 세트 등)에서의 안테나 포트의 매핑/설정 등에 관련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11은 EPDCCH 자원 세트와 안테나 포트 매핑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a), (b), (c)는 각각 집합 레벨 1, 2, 4인 경우, 안테나 포트가 1 ECCE, 2 ECCE, 4 ECCE 단위로 할당되어 있으며, 이는 집합 레벨에 따라 안테나 포트가 매핑된 것이다. 즉, 스케줄링 유연성(scheduling flexibility), 복호시간 감소 등을 위해, 하나의 EPDCCH는 하나의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ECCE와 포트의 매핑 관계는 미리 설정된 값(특정 자원이 포트를 결정함. 즉, 어떤 특정 위치의 자원은 특정 포트를 통해 전송됨)을 사용하거나,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특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에서는 하나의 PRB 페어에 국부형 EPDCCH 전송과 분산형 EPDCCH 전송이 혼재할 경우, 포트 할당에 대한 것이다.
도 12는,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들이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에 순서대로 할당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각 ECCE에 대한 포트는 PRB 페어 내에서 7, 8, 9, 10의 순서로 묵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 도 12(a)는 묵시적 할당을 예시하며, PRB 페어 내의 특정 ECCE에 할당되는 포트는 ECCE를 구성하는 자원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묵시적 할당에서는 ECCE의 위치에 따라 포트가 결정되기 때문에 하나의 PRB 페어내에 불연속적인 포트 할당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가 PRB 페어 내에 2개 또는 3개 존재할 경우, 포트 할당은 각각 {7, 9, 10}, {7, 10}일 수 있다. 도 12(b)에는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포트를 10으로 전제할 때 묵시적 할당의 또 다른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정리하며, 도 12(a), (b)에서는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의 위치, 포트에 따라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의 포트 할당이 변화될 수 있다.
도 12(c)에서는 명시적 할당을 도시하고 있다. 명시적 할당은 단말이 EPDCCH 복호에 사용할 포트를 상위계층 시그널링 등을 통해 시그널링 받는 방식을 의미한다. 도 12(c)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각 ECCE의 포트가 {7, 8, 9, 10} 순서로 매핑된다는 것을 알고, 분산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의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를 국부형 EPDCCH 전송을 위한 ECCE에 시그널링 받은 순서대로 배정할 수 있다.
도 13은 위 설명된 묵시적 할당 및 명시적 할당의 또 다른 예시로써, 특히, 묵시적 할당이 사용될 경우 분산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포트는, 해당 ECCE의 위치에 해당하는 포트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하나의 PRB 페어 내에 분산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ECCE가 복수 개일 경우, 분산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포트는 해당 ECCE에 할당된 포트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묵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자원 세트(ECCE, EPDCCH 후보, PRB 페어)의 포트 매핑을 결정한다고 가정할 때, 단말이 사용중인 매핑(즉, 단말의 현재 blind decoding에 해당하는 전송 방식)과 사용하지 않는 전송 타입(즉, 단말이 해당 자원에서의 전송 방식을 알고 있으나, 현재 단말이 blind decoding을 수행하는 전송 방식이 아닌 경우)의 매핑이 충돌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현재 단말이 사용하는 전송 모드에서 PRB 페어 내의 CCE에 대해 포트 7, 8, 9, 10의 순서로 묵시적/명시적으로 포트가 할당되고, 단말이 사용하지 않는 분산형 전송 타입에서 사용되는 포트가 7인 경우, 분산형 전송 타입에서 사용되는 포트 7은 단말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로, 단말이 사용하지 않는 전송 타입에 대한 안테나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를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에 차례로 할당할 수 있다. 즉, 도 14(a)와 같이, 단말은 PRB 페어 내의 ECCE 중 가운데 두 개의 자원 세트를 사용할 수 없고, 포트 7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나머지 자원 세트에 나머지 포트 (8,9,10)을 차례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차례로 할당된다는 의미는 하나의 PRB 페어 내의 EPDCCH를 위한 ECCE의 인덱스 순서대로 매핑된다는 의미이다.
두 번째로, 해당 단말이 서로 다른 전송 타입로부터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단말이 사용 가능한 포트 중 다른 전송 타입이 사용하는 포트가 속해 있지 않은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그룹의 포트를 먼저 할당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이 사용하지 않는 전송 타입의 포트가 속해있는 CDM 그룹의 포트들은 포트 재할당에 있어 낮은 우선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 14에서 분산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포트는 7이므로, 포트 7과 서로 다른 CDM 그룹에 속해 있는 포트 9, 10을 먼저 할당할 수 있다. 또는, 다른 CDM 그룹의 포트들을 먼저 할당한 후 분산형 타입에서 사용된 포트가 포함된 CDM 그룹의 나머지 포트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형 타입에 사용되는 포트가 8이고, ECCE 인덱스가 #1일 경우, ECCE 인덱스 #0, #2, #3에는 안테나 포트가 7, 9, 10 또는 9, 10, 7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위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포트 매핑에 근거하여 탐색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 단말이 사용하지 않는 전송 타입에 관련된 포트/자원은 탐색공간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사용하지 않는 전송 타입에 대한 DMRS 설정은 미리 설정된 매핑 규칙을 사용하거나 상위계층 시그널링 등을 통해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자원 및 포트 모두에 대한 제한이 있으나, 포트에만 한정하여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4에서 단말은 해당 PRB 페어내의 모든 자원 세트에 포트를 재할당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포트는 단말이 사용하지 않는 전송 타입의 포트를 제외하고 결정될 수 있다.
PRB 페어에서의 포트 수 결정
이하에서는, EPDCCH를 위한 각 PRB 페어에서 사용하는 안테나 포트의 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주파수 도메인 및/또는 공간(spatial) 도메인에서의 자원 선택성(resource selectivity)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EPDCCH 전송이 수행되는 PRB 페어의 수와 집합 레벨 1의 EPDCCH 후보(또는 블라인드 복호 수)에 따라 각 PRB 페어에서의 포트 수가 결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한 PRB 페어내에 두 개 이상의 동일 레벨 EPDCCH 후보가 존재할 경우(예를 들어, 국부형 EPDCCH 전송에서 집합 레벨 1, 2), 각 EPDCCH 후보에 대해 서로 다른 포트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PRB 페어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 번호(즉, 어떤 안테나 포트가 해당 PRB 페어에서 사용되는지)는 MU-MIMO, DPS 등 전송 스킴에 따라 네트워크가 단말 특정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써, 단말별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각 PRB 페어의 포트 수(즉, 각 PRB 페어별 EPDCCH 후보 수)는 다음 수학식 2에서의 N+M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7
상기 수학식 2에서, N은 해당 단말에게 EPDCCH 전송 용도로 설정된 모든 PRB 페어에서 공통적으로 갖는 안테나 포트의 수, i는 집합 레벨 1을 위한 EPDCCH 후보 수(또는 블라인드 복호 횟수), j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설정되는 PRB 페어의 수, P는 EPDCCH 전송을 위해 설정된 PRB 페어 세트를 의미한다. 설정된 각 PRB 페어에서의 M값은 0 또는 1로 결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모든 PRB 페어에서 M의 총합은 집합 레벨 1의 EPDCCH 후보를 설정된 PRB 페어의 수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 단, 상기 수학식 2에서 분모가 분자에 비해 클 경우, 모든 PRB 페어에 대해 해당 단말은 하나의 안테나 포트만을 사용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각 PRB 페어의 M 값은 정해진 규칙(예를 들어, 가장 낮은 PRB 페어 인덱스부터 M 값을 1로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5는 상술한 수학식 2에 따라 각 PRB 페어별 안테나 포트 수를 결정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각 PRB 페어의 M 값은 가장 낮은 PRB 페어 인덱스부터 차례로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집합 레벨 1 EPDCCH 후보의 수인 i = 6, 단말에게 설정된 EPDCCH를 위한 PRB 페어의 수인 j = 6, 5, 4, 3, 2를 전제하였다.
추가적으로 각 PRB 페어에서 M값을 결정하는 방식은 위 예시와 같은 가장 낮은 PRB 페어 인덱스부터 M 값을 1로 설정하는 방식 외에도 주어진 PRB 페어에서 등간격을 유지하며 분배하는 방식 또는 특정 PRB 페어부터 채워 나가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 등간격 분배 방식의 경우, 도 15에서 EPDCCH 를 위한 PRB 페어의 수가 4일 경우에 대해 각 PRB 페어의 포트 수는 2, 1, 2, 1등의 순서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N값은 1,1,1,1이며, M값은 1,0,1,0으로 결정됨을 의미한다.)
채널 추정을 고려한 탐색공간의 설정
EPDCCH가 전송되는 PRB 페어에서는 PDSCH가 전송되지 않으며, EPDCCH 전송을 위해 필요한 자원에 비해 PRB 페어에서 가용한 자원이 많기 때문에 여러 개의 EPDCCH가 하나의 PRB 페어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단말의 탐색공간 할당은 EPDCCH 복조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EPDCCH 후보의 위치가 결정될 경우 채널 상황에 따라 EPDCCH 복호 성능이 크게 변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16에서는 각 집합 레벨 별 EPDCCH 후보가 주파수 축 상으로 연속되어 위치하는데, 이러한 경우 하나의 단말을 위한 EPDCCH 후보가 집중되어 있는 특정 주파수 대역이 깊은 페이딩(deep fading) 등의 상황에 처한 경우, 그 단말의 EPDCCH 복조 성능은 크게 떨어질 수 있다.
EPDCCH 탐색공간을 할당을 위한 또 다른 고려 사항은 하나의 단말에게 두 개의 EPDCCH가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하향링크 할당(DL grant)와 상향링크 승인(UL grant)에 대한 EPDCCH가 각각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EPDCCH들은 빔포밍 이득을 위해 동일 PRB 페어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탐색공간을 설정한다.
첫 번째로, 하나의 단말을 위한 탐색공간을 구성하는 각 PRB 페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리되어 할당된다.
두 번째로, 집합 레벨 1에 해당하는 EPDCCH 후보 위치는 각 PRB 페어당 2개의 ECCE로 제한된다. 여기서, 어떤 ECCE가 해당 단말의 EPDCCH 후보 위치로 쓰일 것인지는 RRC 시그널링등을 통해 각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다. 또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탐색공간이 RRC 시그널링등을 이용하여 지시될 때 PRB 페어 단위로 시그널링하고, 해당 PRB 페어내에서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EPDCCH 후보 위치가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규칙에 따른 탐색공간의 설정 예시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서 각 PRB 페어의 ECCE 대 포트 매핑은 {7, 8, 9, 10}의 조합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집합 레벨 1, 2, 4의 블라인드 복호 수는 각각 8, 8, 2로 가정하였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집합 레벨, 블라인드 복호 수에 관계없이 위 규칙에 따르는 한 다양한 예시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17에서 각 집합 레벨 별 EPDCCH 후보 위치의 숫자는 해당 EPDCCH 복조를 위한 안테나 포트이다.
도 17의 예시를 참조하면, 각 PRB 페어에서 모든 집합 레벨에 대해 EPDCCH 채널 추정 횟수는 두 번이면 완료된다. 따라서, 상술한 규칙에 의할 경우, 채널 추정 횟수를 최소화하는 탐색 공간의 설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7의 예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각 EPDCCH 후보별 포트는 자원(예를 들어, ECCE) 대 포트 매핑에 대한 시그널링과 탐색공간 정의에 대한 시그널링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자원 대 포트 매핑은 모든 PRB 페어(예를 들어, EPDCCH가 전송되는 PRB 페어)에서 동일한 포트 매핑(예를 들어, 각 PRB 페어에 4개의 ECCE가 존재하고, 각 PRB 페어내에서의 ECCE들을 0,1,2,3으로 인덱싱한다면, ECCE0은 포트 7, ECCE1은 포트 8, ECCE2는 포트 9, ECCE3는 포트 10)을 위한 패턴을 시그널링하거나, 또는 각 PRB 페어별로 서로 다른 패턴의 포트 매핑을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탐색공간 정의란, 기지국에 의해 단말이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해야 하는 EPDCCH 후보가 지시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EPDCCH 전송을 위해 설정된 각 PRB 페어당 집합 레벨 1의 EPDCCH 후보는 2개로 제한한다는 상술한 규칙을 적용하여 각 집합 레벨별 EPDCCH 후보를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독립적으로 시그널링 받은 포트 매핑과 연계하여 각 EPDCCH 후보 별 포트를 정의할 수 있다. 단, 집합 레벨 2 이상의 EPDCCH 후보에서는 해당 EPDCCH 후보를 구성하는 집합 레벨 1 EPDCCH 후보(또는 집합 레벨 1 EPDCCH 후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ECCE)들의 포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EPDCCH와 복조참조신호 포트와의 관계
이하에서는, 단말이 EPDCCH를 검출할 때 사용하는 DMRS 포트를 결정하는 방법(ECCE 대 포트 매핑)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EPDCCH 복조를 위해 EPDCCH가 전송되는 자원 세트(예를 들어, ECCE 등)와 DMRS 포트간의 매핑 방법 및 이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PRB 페어에 4개의 ECCE를 전제한다.
첫 번째 방법은, 포트 조합 테이블을 구성한 후, 그 인덱스를 시그널링함으로써 모든 PRB 페어에서 해당 인덱스에 대응되는 포트 조합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각 ECCE에 안테나 포트를 매핑하기 위해 4 개의 RS 포트에 대한 모든 조합을 나열하고, 네트워크는 특정 단말 또는 셀 특정의 RS 포트 조합의 인덱스를 상위계층 시그널링등을 통하여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MU-MIMO 기반의 EPDCCH를 구현할 수도 있고, 셀간 RS 충돌을 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각 조합에 대한 인덱싱은 다음 표 4와 같을 수 있다.
인덱스 {ECCE0, ECCE1, ECCE2, ECCE3}
0 {7,8,9,10}
1 {7,8,10,9}
2 {7,9,8,10}
3 {7,9,10,8}
... ...
23 {10,9,8,7}
두 번째로, 첫 번째 방법에 기반하되, 각 PRB 페어별로 인덱스를 시그널링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그널링을 위하여 5비트가 필요하며,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일부 조합을 제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합을 구성할 때 연속하는 ECCE에 대한 안테나 포트는 서로 다른 CDM 그룹에 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7, 9, 8, 10}, {9, 7, 10, 8}과 같은 조합만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합을 사용할 경우, 인접 셀이 같은 시간/주파수 자원을 EPDCCH전송에 사용할 때, 동일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ECCE간의 RS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위 조합들은, 하나의 PRB 페어를 구성하는 ECCE들이 서로 다른 포트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연속되는 ECCE가 같은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위 표 4에 {7, 7, 9, 9}, {8, 8, 10, 10}, {7, 7, 8, 8}, {9, 9, 10, 10}, {7, 7, 7, 7}, {8, 8, 8, 8}등과 같은 패턴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들은 {a, a, b, b}, {a, b, b, b}, {a, a, a, b}, {a, b, b, a}, {a, a, a, a}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PRB 페어 내에서 동일 포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동일 포트를 갖는 ECCE들이 서로 다른 전송포인트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가상 셀 ID(virtual cell ID)들을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 위의 패턴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가상 셀 ID의 모듈로 연산 결과를 상술한 인덱스와 링키지 시키는 방법이 있다. 다시 말해 EPDCCH RS를 위해 시그널링되는 또 다른 파라미터에 위 인덱스를 타이(tie)시키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DMRS를 위한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다음 수학식 3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8
상기 수학식 3에서 X,
Figure 112013025106282-pat00019
등이 DCI 포맷등에 포함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는데, EPDCCH DMRS에서도 상기 수학식 3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EPDCCH에서는 DCI 포맷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Figure 112013025106282-pat00020
는 특정 값으로 고정하고 X 파라미터를 RRC 시그널링등을 통해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위해 시그널링되는 파라미터 X에 대하여 modulo 연산 등을 수행하여 ECCE 대 포트 매핑 테이블의 인덱스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써, ECCE 대 포트 매핑 데이블이 상기 표 4인 경우, 단말은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 인덱스를 (X modulo 24)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910)는, 수신모듈(1911), 전송모듈(1912), 프로세서(1913), 메모리(19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9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9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전송포인트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9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9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3)는 전송포인트 장치(19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910)의 프로세서(191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전송포인트 장치(1910)의 프로세서(1913)는 그 외에도 전송포인트 장치(19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9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920)는, 수신모듈(1921), 전송모듈(1922), 프로세서(1923), 메모리(1924) 및 복수개의 안테나(19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9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9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9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923)는 단말 장치(19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920)의 프로세서(192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장치(1920)의 프로세서(19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19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9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9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전송포인트 장치(19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19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910 : 전송포인트 장치
1920 : 단말 장치

Claims (13)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EPDCCH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EPDCCH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스크램블링 시퀀스에 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radio resource control)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브프레임의 다수의 PRB (physical resource block) 쌍들 상에서 EPDCCH DMRS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함으로써, EPDCCH를 통해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PDCCH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수학식
    Figure 112018036530415-pat00040
    에 기초하여 획득되고, 'ns'는 슬롯 넘버를 의미하고, 'X'는 상기 RRC 정보에 포함된 EPDCCH 스크램블링 시퀀스에 대한 파라미터를 의미하고, 'nSCID'는 상기 EPDCCH DMRS에 대해서 고정된 특정 값을 의미하고,
    상기 EPDCCH는 집합 레벨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ECCE (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들에 해당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다수의 PRB 쌍들 각각은 4개 CCE들을 포함하며,
    상기 집합 레벨 및 상기 EPDCCH의 해당 ECCE 인덱스에 기초하여 EPDCCH 안테나 포트가 결정되는, 제어정보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PDCCH DMRS에 대해서 고정된 특정 값인 'nSCID'는 상기 DCI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 제어정보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EPDCCH DMRS를 통해 상기 EPDCCH에 대한 복조(demodulation)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정보 수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다수의 PRB 쌍들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어정보 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1 ECCE는 4개의 EREG(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들을 포함하는, 제어정보 수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EPDCCH가 국부형 EPDCCH 전송에 해당하는지 또는 분산형 EPDCCH 전송에 해당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EPDCCH가 상기 국부형 EPDCCH 전송에 해당하는지 또는 상기 분산형 EPDCCH 전송에 해당하는지를 고려하여 상기 EPDCCH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제어정보 수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 수는 상기 분산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 수와 상이한, 제어정보 수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PDCCH DMRS는 4개의 연속하는 안테나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 송신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조합들의 총 개수 및 상기 EPDCCH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에 대한 파라미터 'X'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모듈로 연산에 의해 결정되는, 제어정보 수신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을 제어하여 EPDCCH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스크램블링 시퀀스에 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radio resource control) 정보를 수신하고, 서브프레임의 다수의 PRB (physical resource block) 쌍들 상에서 EPDCCH DMRS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함으로써 EPDCCH를 통해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EPDCCH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수학식
    Figure 112020500485514-pat00041
    에 기초하여 획득되고, 'ns'는 슬롯 넘버를 의미하고, 'X'는 상기 RRC 정보에 포함된 EPDCCH 스크램블링 시퀀스에 대한 파라미터를 의미하고, 'nSCID'는 상기 EPDCCH DMRS에 대해서 고정된 특정 값을 의미하고,
    상기 EPDCCH는 집합 레벨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ECCE (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들에 해당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다수의 PRB 쌍들 각각은 4개 CCE들을 포함하며,
    상기 집합 레벨 및 상기 EPDCCH의 해당 ECCE 인덱스에 기초하여 EPDCCH 안테나 포트가 결정되는,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EPDCCH DMRS에 대해서 고정된 특정 값인 'nSCID'는 상기 DCI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 단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다수의 PRB 쌍들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단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EPDCCH가 국부형 EPDCCH 전송에 해당하는지 또는 분산형 EPDCCH 전송에 해당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EPDCCH가 상기 국부형 EPDCCH 전송에 해당하는지 또는 상기 분산형 EPDCCH 전송에 해당하는지를 고려하여 상기 EPDCCH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 수는 상기 분산형 EPDCCH 전송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 수와 상이한, 단말.
KR1020130030996A 2012-03-22 2013-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07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15741.0A CN104205685B (zh) 2012-03-22 2013-03-22 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JP2015501585A JP6110472B2 (ja) 2012-03-22 2013-03-22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受信方法及び装置
US14/384,142 US9445413B2 (en) 2012-03-22 2013-03-22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through blind decoding of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PCT/KR2013/002407 WO2013141654A1 (ko) 2012-03-22 2013-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US15/209,451 US9615365B2 (en) 2012-03-22 2016-07-13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through blind decoding of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US15/414,245 US10028266B2 (en) 2012-03-22 2017-01-24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through blind decoding of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JP2017043831A JP2017127014A (ja) 2012-03-22 2017-03-08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受信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14495P 2012-03-22 2012-03-22
US61/614,495 2012-03-22
US201261617032P 2012-03-28 2012-03-28
US61/617,032 2012-03-28
US201261617673P 2012-03-30 2012-03-30
US61/617,673 2012-03-30
US201261621001P 2012-04-06 2012-04-06
US61/621,001 2012-04-06
US201261682743P 2012-08-13 2012-08-13
US61/682,743 2012-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192A KR20130108192A (ko) 2013-10-02
KR102078366B1 true KR102078366B1 (ko) 2020-04-07

Family

ID=4963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996A Active KR102078366B1 (ko) 2012-03-22 2013-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445413B2 (ko)
EP (1) EP2830244B1 (ko)
JP (2) JP6110472B2 (ko)
KR (1) KR102078366B1 (ko)
CN (1) CN104205685B (ko)
WO (1) WO2013141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61927A4 (en) * 2011-09-30 2015-08-12 Intel Corp METHODS OF SIMULTANEOUSLY TRANSPORTING INTERNET TRAFFIC ON MULTIPLE WIRELESS NETWORKS
CN104205685B (zh) 2012-03-22 2017-08-08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KR101709598B1 (ko) * 2012-09-14 2017-02-23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인핸스트 다운링크 제어 채널 자원과 안테나 포트 간의 맵핑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30353B1 (ko) * 2012-09-18 202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자원 구성 방법 및 장치
JP6356793B2 (ja) * 2013-10-25 2018-07-11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ータ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データ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基地局、および端末装置
US20160270038A1 (en) 2015-03-11 2016-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s of downlink control channels for low cost ues
US10111216B2 (en) * 2015-04-02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blind decoding in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CN113271132B (zh) * 2015-08-12 2024-10-18 苹果公司 多用户多输入多输出通信系统和方法
CN108432198B (zh) 2016-01-11 2021-07-23 苹果公司 用于IoT控制信道的装置和方法
JP2019510389A (ja) 2016-02-09 2019-04-1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効率的なharqフィードバック
KR102521728B1 (ko) * 2016-08-19 2023-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US10476647B2 (en) 2016-10-25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Coherence based pre-decoding pruning for control channel processing
CN108809505B (zh) * 2017-05-05 2019-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18227337A1 (en) * 2017-06-12 2018-12-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ignaling regarding bandwidth dependent control size
CN109150387B (zh) * 2017-06-16 2023-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参考信号的方法、接收参考信号的方法和通信装置
CN110892766B (zh) 2017-07-03 2022-12-2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多天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RU2743054C1 (ru) 2017-09-30 2021-02-15 Гуандун Оппо Мобайл Телекоммьюникейшнс Корп., Лтд. Способ указания ресурса канала,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EP3468061A1 (en) * 2017-10-03 2019-04-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Signaling aspects for indication of co-scheduled dmrs ports in mu-mimo
CN109699054B (zh) * 2017-10-24 2020-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下行控制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7231626B2 (ja) * 2017-11-14 2023-03-01 アイディーエ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物理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pdcch)候補決定のための方法
US11997185B2 (en) * 2021-06-23 2024-05-28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or configuration based on user equipment signal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384A2 (ko) 2009-09-21 2011-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중계기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21786B1 (pt) * 2008-11-04 2020-10-06 Apple Inc Método para comunicação sem fio, estação base e estação móvel
EP2371163A1 (en) * 2008-12-15 2011-10-05 Nokia Corporation Downlink control and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hich) configuration for extended bandwidth system
WO2010120088A2 (ko) * 2009-04-13 201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에서의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915271B1 (ko) * 2010-03-26 2018-1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지시 방법 및 장치
KR101684867B1 (ko) * 2010-04-07 2016-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다중화 이득을 이용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KR101673906B1 (ko) 2010-04-29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Ofdm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제어 채널 지원을 위한 상향 링크 ack/nack 채널의 맵핑 방법 및 장치
KR101770571B1 (ko) * 2010-06-28 201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동기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2109542A1 (en) 2011-02-11 2012-08-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control channel
WO2012148446A1 (en) * 2011-04-29 2012-11-01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transmission points
US8917679B2 (en) * 2011-08-16 2014-12-23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ignaling the overlap of downlink control and data channels
CN102316595B (zh) * 2011-09-30 2017-04-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大带宽系统物理上行控制信道资源确定方法及装置
US9166729B2 (en) * 2011-12-14 2015-10-20 Marvell World Trade Ltd. Enhanc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design
US9769806B2 (en) * 2012-01-17 2017-09-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source configuration for EPDCCH
US9179456B2 (en) * 2012-02-07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ownlink control channels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9924498B2 (en) * 2012-03-12 2018-03-20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ng a cell identifier based on a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9167561B2 (en) * 2012-03-12 2015-10-20 Zte (Usa) Inc. Sequence initialization for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US9445409B2 (en) * 2012-03-21 2016-09-13 Mediatek, Inc. Method for search space configuration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N104205685B (zh) 2012-03-22 2017-08-08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JP5996805B2 (ja) * 2012-09-28 2016-09-21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Lteシステムにおける間欠受信(drx)エンハンスメント
US9167574B2 (en) * 2012-09-28 2015-10-20 Intel Corporation Blind decoding for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384A2 (ko) 2009-09-21 2011-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중계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15365B2 (en) 2017-04-04
JP2017127014A (ja) 2017-07-20
US20150063236A1 (en) 2015-03-05
EP2830244B1 (en) 2019-05-08
CN104205685B (zh) 2017-08-08
JP2015516729A (ja) 2015-06-11
US20170135083A1 (en) 2017-05-11
US20160323858A1 (en) 2016-11-03
KR20130108192A (ko) 2013-10-02
EP2830244A4 (en) 2015-12-02
US10028266B2 (en) 2018-07-17
EP2830244A1 (en) 2015-01-28
JP6110472B2 (ja) 2017-04-05
US9445413B2 (en) 2016-09-13
CN104205685A (zh) 2014-12-10
WO2013141654A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45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7836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1862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US103345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974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2140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403140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3736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460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5819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US9848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140125774A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