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6140B1 -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140B1
KR102076140B1 KR1020180099204A KR20180099204A KR102076140B1 KR 102076140 B1 KR102076140 B1 KR 102076140B1 KR 1020180099204 A KR1020180099204 A KR 1020180099204A KR 20180099204 A KR20180099204 A KR 20180099204A KR 102076140 B1 KR102076140 B1 KR 102076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cross member
cargo
nut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드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드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드밴
Priority to KR102018009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1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게이트와 크로스 멤버를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사이드 게이트의 바깥쪽 면으로 힌지 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닥 패널을 지지하는 크로스 멤버의 양단에 고정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바깥쪽 아래로 여닫을 수 있는 사이드 게이트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크로스 멤버와 마주하는 안쪽에 상하 복수 개로 형성된 너트삽입홈과, 상기 크로스 멤버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너트삽입홈들과 통하는 볼트구멍이 다수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너트삽입홈 내에 끼움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브래킷의 볼트구멍을 관통시켜 상기 너트와 체결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크로스 멤버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CARGO BOX MODULE OF WING BODY CARGO TRUCK}
본 발명은 양측면의 날개형 도어를 들어올려 개폐하는 윙바디 타입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스 멤버의 양단에 사이드 게이트를 힌지 이음으로 연결 부착하여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차폭등 기능의 사이드 마커 램프를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고, 아울러 사이드 게이트의 바깥쪽 면으로 힌지 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개차형 상용화물차의 적재함은 비, 눈, 이슬, 서리 따위로부터 화물을 보호할 수 없고, 화물이 운반 중 쏠림현상 등에 의해 도로로 쉽게 쏟아질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각종 화물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탑재 및 적재할 수 있는 이른바 탑차, 윙바디 트럭 또는 밴형 화물자동차(vantype truck) 등과 같은 유개차형 화물차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유개차형 화물차량은 대부분이 완성차 업체에서 출고한 무개차형 상용화물차의 차대 위에 주로 상부가 막히고 적어도 한쪽 면에 도어가 달린 박스형이나 컨테이너형으로 적재함을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개조하여 제작한다.
이 중에서 특히 윙바디 트럭은 윙도어를 날개같이 상하로 회전시키거나 들어올려 적재함의 양측면을 개폐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화물을 싣고 내리는 상하차 작업이 편리하고 운송의 효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윙바디 트럭용 적재함을 예시한 것으로, 이는 바닥 패널(110)과 크로스 멤버(102)의 측면에 사이드 프레임(120)이 고정되어 있고, 이 사이드 프레임(120)에 사이드 게이트(172)가 힌지(140) 이음으로 부착되어 있어 바깥쪽 아래로 여닫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윙바디 트럭용 적재함은 용접공이 사이드 프레임(120)을 바닥 패널(110)과 크로스 멤버(102)의 측면에다가 용접 작업으로 조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조립 품질 및 작업능률이 크게 좌우되는 데다 인건비 및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효율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 게이트(172)가 사이드 프레임(120)에 별도의 힌지(14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적 특성상 힌지(140)의 고정 부분이 투박스럽게 돌출되면서 외관의 디자인적 완성도가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탑차, 윙바디 또는 밴형 화물자동차 등과 같은 박스형이나 컨테이너형 적재함이 설치된 각종 유개차형 화물차량의 앞뒤, 좌우 측면 또는 가장자리 등에는 차폭등 기능으로 야간에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차체를 쉽게 식별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사이드 마커 램프를 부착하고 있는데, 이를 부착하려면 적재함 등의 일정한 위치에 일일이 용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상당히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627751 B1(2016.05.31) KR 10-1856446 B1(2018.05.03) KR 10-1568285 B1(2015.11.05) KR 20-0439304 Y1(2008.03.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화물차량의 적재함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착안하여 사이드 프레임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차폭등 기능의 사이드 마커 램프를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고, 아울러 사이드 게이트를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 부착하는 힌지의 돌출 및 노출로 인한 군더더기를 없애고 전체적인 라인을 최소화해 디자인적인 완성도를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사이드 프레임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디자인적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바닥 패널을 지지하는 크로스 멤버의 양단에 고정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바깥쪽 아래로 여닫을 수 있는 사이드 게이트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크로스 멤버와 마주하는 안쪽에 상하 복수 개로 형성된 너트삽입홈과, 상기 크로스 멤버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너트삽입홈들과 통하는 볼트구멍이 다수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너트삽입홈 내에 끼움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브래킷의 볼트구멍을 관통시켜 상기 너트와 체결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크로스 멤버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사이드 프레임의 설치 및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바깥쪽에 형성된 힌지고정홈과, 상부에 상기 힌지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핀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너클 및 상기 사이드 게이트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수 개의 회전너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게이트의 연결 부분에 군더더기 없이 라인을 최소화해 디자인적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에 끼움 결합되는 사이드 마커 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적재함의 길이에 따라 사이드 마커 램프를 적당한 위치에 신속하게 용이하면서 임의로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사이드 게이트와 사이의 틈을 통해 빗물이 적재함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빗물유입방지턱과, 상기 빗물유입방지턱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바닥 패널과 마주하는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결합턱 및 상기 바닥 패널의 단부에 상기 결합턱과 대응 결합을 위해 형성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우천 시 등에 빗물이 적재함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 적재함 내의 화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묶는 로프나 벨트 등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사이드 게이트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하면에 패킹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끼움홈에 상기 사이드 게이트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틈새를 차단하는 패킹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우천 시 등에 빗물이 적재함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이중으로 완벽하게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으로 사이드 프레임과 크로스 멤버를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의 설치 및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의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대폭 줄이고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 용접으로 조립하는 방식에 비해 균일하고 양호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이드 게이트가 그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 개의 회전너클과, 이 회전너클들 사이에 배치된 고정너클 및 핀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돌출 부분 등의 군더더기 없이 전체적인 라인을 최소화해 심플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등 디자인적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더구나 사이드 프레임에 차폭등 기능의 사이드 마커 램프를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중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을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을 나타낸 국부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중 사이드 프레임을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중 사이드 게이트의 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중 고정너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중 사이드 마커 램프 장착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은 크게 바닥 패널(10), 크로스 멤버(20), 사이드 프레임(30), 사이드 게이트(4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30)을 크로스 멤버(20)의 양단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50)과, 너트(60) 및 볼트(70)가 구비되어 있다.
즉, 크로스 멤버(20)는 화물차량의 차대 위해 고정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100) 위에 적재함의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막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 및 고정되어 있고, 이 크로스 멤버(20) 위에 바닥 패널(10)이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30)은 바닥 패널(10)을 지지하는 크로스 멤버(20)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30)은 가로부(30a)와 이 가로부(30a)의 하부에 세로부(30b)를 일체로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30)은 단면이 마치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사이드 프레임(30)의 크로스 멤버(20)와 마주하는 안쪽에는 상하로 복수 개의 너트삽입홈(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너트삽입홈(31)은 너트(60)의 삽입 시 외부로 노출 및 회전되지 않도록 세로부(30b)의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크로스 멤버(20) 및 사이드 프레임(30)은 휨 강성을 보장하는 두께와 공동(중공)을 가지는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제나 복합소재 등을 압출 또는 인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사이드 게이트(40)는 바깥쪽 아래로 여닫을 수 있도록 사이드 프레임(30)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게이트(40)의 사이드 프레임(30)의 상면과 마주하는 하면에는 패킹끼움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킹끼움홈(42)에는 외력을 받을 시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 및 밀착되면서 사이드 게이트(40)와 사이드 프레임(30)의 틈새를 차단하는 패킹(43)이 끼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게이트(40)는 휨 강성을 보장하는 두께와 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등의 공동(중공)을 가지는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제 등을 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아울러 패킹(43)은 사이드 게이트(40)와 사이드 프레임(30) 사이의 틈을 기밀하게 차단하여 빗물의 유입을 막기 위해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패킹끼움홈(42)에 더브테일 이음(dovetail joint) 방식으로 끼워서 결합할 수 있다.
즉, 패킹(43)은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는 패킹끼움홈(42)에 끼워지면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사이드 프레임(30)의 상면과 밀착 시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중공을 갖는 튜브 또는 여러 개의 돌기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킹끼움홈(42) 및 이와 대응되는 패킹(43)의 상부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대응되는 테이퍼진 단면을 갖는 더브테일(dovetail) 및 더브테일홈(dovetail groove)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브래킷(50)은 크로스 멤버(20)의 양쪽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너트삽입홈(31)들과 통하는 볼트구멍(51)이 상하 및 좌우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브래킷(50)은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쪽은 크로스 멤버(2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90도 방향으로 꺾인 다른 한쪽은 사이드 프레임(30)의 안쪽과 접촉되어 있다.
너트(60)는 사이드 프레임(30)을 크로스 멤버(20)에 고정하기 위해 너트삽입홈(31) 내에 끼워서 회전됨 없이 결합되어 있다.
즉, 너트(60)는 너트삽입홈(31)에 슬라이딩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볼트(70)는 사이드 프레임(30)을 크로스 멤버(20)에 고정하기 위해 브래킷의 볼트구멍(51)을 관통시켜 너트(60)와 체결되어 있다.
즉, 볼트(70)는 그 몸체부(나사부)가 볼트구멍(51)을 통과하여 너트(60)와 체결됨으로써 그 조임력으로 사이드 프레임(30)과 크로스 멤버(30)를 고정시킨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30)의 바깥쪽에는 사이드 게이트(40)를 힌지 이음으로 부착하기 위한 힌지고정홈(32)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힌지고정홈(32)은 가로부(30a)의 바깥쪽 끝부분에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게이트(40)의 개폐 시 회전축 역할을 하는 핀(82)을 지지하는 고정너클(80)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즉, 고정너클(80)의 상부에는 힌지고정홈(3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서 결합되는 고정돌기(8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고정홈(32)과 고정돌기(81)는 그 단면이 마치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힌지고정홈(32)과 고정돌기(81)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대응되는 테이퍼진 단면을 갖는 형태, 예를 들면 더브테일(dovetail) 및 더브테일홈(dovetail groove)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이드 게이트(40)의 하단에는 그 개폐 시 핀(8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너클(4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사이드 게이트(40)는 다수 개의 회전너클(41)과 고정너클(80) 및 핀(82)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30)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30)의 하부에는 걸림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홈(33)에는 차폭등 기능으로 야간에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차체를 쉽게 식별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사이드 마커 램프(90)가 끼움 결합되어 있다.
즉, 걸림홈(33)은 세로부(30b)의 아래쪽 끝부분에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사이드 마커 램프(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91)에 부착되어 있고, 이 장착판(91)의 상부에는 외력을 받을 시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사이드 프레임(30)의 걸림홈(33)에 탄력적으로 끼워서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탄성후크(9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마커 램프(90)를 적재함의 길이에 맞춰 적당한 위치에 신속하게 용이하면서 임의로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30)의 상부에는 사이드 게이트(40)와 사이의 틈을 통해 우천 시 등에 빗물이 적재함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한 빗물유입방지턱(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빗물유입방지턱(34)의 상부에는 적재함 내의 화물을 움직이지 않도록 결박(고박) 시 로프 등을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30)의 바닥 패널(10)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바닥 패널(1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결합턱(36)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향하는 바닥 패널(10)의 단부에는 결합턱(36)과 대응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빗물유입방지턱(34)은 가로부(30a)의 안쪽 부분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걸고리(35)는 빗물유입방지턱(34)의 상측 끝부분에서 사이드 게이트(40) 쪽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천 시 등에 빗물이 적재함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완벽하게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함 내의 화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묶는 로프나 벨트 등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은 크로스 멤버(20)에다가 사이드 프레임(30)을 볼트(70)와 너트(60)의 조임력으로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30)의 설치 및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이로 인해 사이드 프레임(30)의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대폭 줄이고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게이트(4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 개의 회전너클(41)과, 이 회전너클(41)들 사이에 배치된 고정너클(80) 및 핀(81)에 의해 사이드 게이트(40)가 사이드 프레임(30)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바깥쪽 아래로 여닫을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바깥쪽으로 튀어나오거나 노출되는 부분 등의 군더더기 없이 라인을 최소화해 디자인적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화물차량의 적재함을 유지보수하거나 폐차 시 등에 해체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바닥 패널 11: 결합돌기
20: 크로스 멤버 30: 사이드 프레임
30a: 가로부 30b: 세로부
31: 너트삽입홈 32: 힌지고정홈
33: 걸림홈 34: 빗물유입방지턱
35: 걸고리 36: 결합턱
40: 사이드 게이트 41: 회전너클
42: 패킹끼움홈 43: 패킹
50: 브래킷 51: 볼트구멍
60: 너트 70: 볼트
80: 고정너클 81: 고정돌기
82: 핀 90: 사이드 마커 램프
91: 장착판 92: 탄성후크
100: 서브 프레임

Claims (5)

  1. 바닥 패널을 지지하는 크로스 멤버의 양단에 고정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바깥쪽 아래로 여닫을 수 있는 사이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크로스 멤버와 마주하는 안쪽에 상하 복수 개로 형성된 너트삽입홈;
    상기 크로스 멤버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너트삽입홈들과 통하는 볼트구멍이 다수 형성된 브래킷;
    상기 너트삽입홈 내에 끼움 결합되는 너트;
    상기 브래킷의 볼트구멍을 관통시켜 상기 너트와 체결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크로스 멤버에 고정하는 볼트;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사이드 게이트와 사이의 틈을 통해 빗물이 적재함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빗물유입방지턱; 및
    상기 빗물유입방지턱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
    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바깥쪽에 형성된 힌지고정홈;
    상부에 상기 힌지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핀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너클; 및
    상기 사이드 게이트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수 개의 회전너클;
    을 더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에 끼움 결합되는 사이드 마커 램프;
    를 더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바닥 패널과 마주하는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결합턱; 및
    상기 바닥 패널의 단부에 상기 결합턱과 대응 결합을 위해 형성된 결합돌기;
    를 더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게이트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하면에 패킹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끼움홈에 상기 사이드 게이트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틈새를 차단하는 패킹이 끼움 결합된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KR1020180099204A 2018-08-24 2018-08-24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Active KR102076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04A KR102076140B1 (ko) 2018-08-24 2018-08-24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04A KR102076140B1 (ko) 2018-08-24 2018-08-24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140B1 true KR102076140B1 (ko) 2020-02-11

Family

ID=6956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204A Active KR102076140B1 (ko) 2018-08-24 2018-08-24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1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714B1 (ko) * 2020-12-17 2021-06-08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이중 적재함을 구비한 윙바디 화물차
KR102445462B1 (ko) * 2021-03-16 2022-09-20 주식회사 우리특장 윙바디용 화물 고정 브라켓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673U (ja) * 1981-07-06 1983-01-17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トラック荷台の床材とサイド・フレ−ムの防水結合装置
JPH10218039A (ja) * 1997-02-07 1998-08-18 Showa Alum Corp トラックのアオリにおける侵入雨水抜き装置
KR200439304Y1 (ko) 2007-07-26 2008-04-03 오한웅 윙 바디용 사이드 레일의 결합 구조
KR101568285B1 (ko) 2014-03-13 2015-11-11 한국차체 주식회사 화물차용 적재함
KR101627751B1 (ko) 2015-12-30 2016-06-07 (주)원일하이텍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하중 분산장치
KR101856446B1 (ko) 2017-12-29 2018-05-10 이윤완 화물차량용 적재함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673U (ja) * 1981-07-06 1983-01-17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トラック荷台の床材とサイド・フレ−ムの防水結合装置
JPH10218039A (ja) * 1997-02-07 1998-08-18 Showa Alum Corp トラックのアオリにおける侵入雨水抜き装置
KR200439304Y1 (ko) 2007-07-26 2008-04-03 오한웅 윙 바디용 사이드 레일의 결합 구조
KR101568285B1 (ko) 2014-03-13 2015-11-11 한국차체 주식회사 화물차용 적재함
KR101627751B1 (ko) 2015-12-30 2016-06-07 (주)원일하이텍 모듈 조립형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하중 분산장치
KR101856446B1 (ko) 2017-12-29 2018-05-10 이윤완 화물차량용 적재함의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714B1 (ko) * 2020-12-17 2021-06-08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이중 적재함을 구비한 윙바디 화물차
KR102445462B1 (ko) * 2021-03-16 2022-09-20 주식회사 우리특장 윙바디용 화물 고정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908B2 (en) Endgate hinge for motor vehicle having dual pivot axes
US7730668B2 (en) Motor vehicle egress window
US6874837B2 (en) Lift assisted tailgat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AU2018204102B2 (en) Waterproof top door for trailer
US8991889B1 (en) Work vehicle with integrated ladder rack
US7690710B2 (en) Motor vehicle endgate hinge having dual pivot axes
KR102076140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모듈
JP7162808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の上扉、荷室形成用構造体および貨物自動車
CN110191820B (zh) 货车车厢的盖装置
KR20050086654A (ko) 적재 박스 또는 적재면을 구비한 차량
JP5281616B2 (ja) コンテナ
KR102778020B1 (ko) 테일게이트와 루프 오픈 구조 및 그 장착 방법
US11059356B2 (en) Rear door of bodies of lorries or lorry trailers
CN210478368U (zh) 一种用于特种车辆的半开型后车门
FI90026B (fi) Bil
JP5629557B2 (ja) トラックのリヤ構造
KR200372907Y1 (ko) 화물차용 윙 바디장치
CN221213737U (zh) 一种驾驶室外置储物箱及其汽车
KR0139610Y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지지구조
JP4709808B2 (ja) 荷台後部側開口域拡張型ウイング車両
KR20220021937A (ko) 테일게이트용 힌지 결합구조
KR20240111969A (ko) 루프개폐형 탑차
SK500902013U1 (sk) Systém dvier dopravného prostriedku
IE83969B1 (en) A method for extending the goods carrying floor space of a vehicle
JP2015093531A (ja) 車両用ドア、該車両用ドアの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