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3826B1 -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826B1
KR102063826B1 KR1020140008215A KR20140008215A KR102063826B1 KR 102063826 B1 KR102063826 B1 KR 102063826B1 KR 1020140008215 A KR1020140008215 A KR 1020140008215A KR 20140008215 A KR20140008215 A KR 20140008215A KR 102063826 B1 KR102063826 B1 KR 102063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s
antenna device
resonators
radiato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963A (ko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826B1/ko
Priority to CN201580010042.6A priority patent/CN106063036B/zh
Priority to US15/113,722 priority patent/US10224619B2/en
Priority to PCT/KR2015/000675 priority patent/WO2015111932A1/ko
Publication of KR2015008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8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8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side-mounted antennas, e.g. bumper-mounted, door-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6Microstrip transmission lin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8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parallel coplanar travelling wave or leaky wave aerial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01Q9/265Open ring dipoles; Circular di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과, 기판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방사체들과, 기판의 하부면에 배열되고, 방사체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된 링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공진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체들과 공진기들이 함께 동작하여, 안테나 장치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ANTENNA APPARATUS FOR RADAR SYSTEM}
본 발명은 레이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더 시스템이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 때 레이더 시스템이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레이더 시스템은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탐지한다. 그리고 해당 정보가 차량의 이동에 이용됨에 따라, 차량 이동성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이더 시스템은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다. 즉 레이더 시스템은 안테나 장치를 통해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이 때 안테나 장치는 다수개의 방사체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사체들은 일정한 사이즈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는, 방사체들의 성능이 균일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는,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체들의 위치에 따라, 손실율과 같은 환경 요인이 상이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는 일정 탐지 범위를 갖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레이더 시스템이 하나의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여, 넓은 범위의 정보를 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는 레이더 시스템이 다수개의 안테나 장치들을 구비하는 경우, 레이더 시스템의 사이즈가 확대되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체들의 성능을 균일하게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이더 시스템을 대형화하지 않고도, 레이더 시스템의 탐지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방사체들과,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배열되고, 상기 방사체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된 링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공진기들을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들은, 상기 방사체 별로 미리 설정되는 가중치에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들은, 상기 방사체들에 대응하여 상기 가중치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상기 슬릿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들은,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슬릿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방사체들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서 상기 방사체들의 일 측에 배치되는 급전부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들은,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플링부와,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되는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들은,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들은, 상기 방사부를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는, 방사체들이 각각의 가중치에 따라 형성됨에 따라, 방사체들의 성능이 균일하게 확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체 별로 원하는 공진 주파수 및 방사 계수가 확보되고, 임피던스가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의 빔 폭이 보다 확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안테나 장치에서, 다양한 탐지 거리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이더 시스템이 하나의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여, 원하는 탐지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레이더 시스템을 대형화하지 않고도, 레이더 시스템의 탐지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더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레이더 시스템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A-A’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 4는 도 1에서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C-C’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D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 8은 도 5에서 D’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에서 공진기들의 변형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감지 각도 별 이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빔 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서 A-A’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서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100)는 기판(110), 급전부(120) 및 다수개의 방사체(130)들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급전부(120)와 방사체(130)들을 지지한다. 이 때 기판(110)은 평판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기판(110)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기판(110)은 유전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판(110)의 도전율(conductivity; σ)이 0.02일 수 있다. 또한 기판(110)의 유전율(permittivity; ε)이 4.4일 수 있다. 게다가, 기판(110)의 손실 탄젠트(loss tangent)는 0.02일 수 있다.
급전부(120)는 안테나 장치(100)에서 방사체(130)들에 신호를 공급한다. 그리고 급전부(120)는 기판(11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이 때 급전부(120)는 제어 모듈(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또한 급전부(120)는 제어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방사체(130)들에 신호를 공급한다. 이 때 급전부(120)에서, 급전점(121)이 정의된다. 즉 급전부(120)는, 급전점(121)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게다가, 급전부(12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급전부(120)는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급전부(120)는 다수개의 급전 선로(123)들과 분배부(125)를 포함한다.
급전 선로(123)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급전 선로(123)들은 타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다. 여기서, 급전 선로(123)들은 상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급전 선로(123)에서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신호가 전달된다.
분배부(125)는 급전점(121)과 급전 선로(123)들을 연결한다. 이 때 분배부(125)는 급전점(121)으로부터 연장된다. 그리고 분배부(125)는 각각의 급전 선로(123)에 연결된다. 또한 분배부(125)는 급전점(121)으로부터 급전 선로(123)들로 신호를 공급한다. 이 때 분배부(125)는 급전 선로(130)들로 신호를 분배한다.
방사체(130)들은 안테나 장치(100)에서 신호를 방사한다. 즉 방사체(130)들이 안테나 장치(100)의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형성한다. 그리고 방사체(130)들은 기판(11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이 때 방사체(130)들은 급전부(120)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방사체(130)들은 급전 선로(123)들을 따라 배열된다. 이를 통해, 급전부(120)로부터 방사체(130)들로, 신호가 공급된다. 또한 방사체(130)들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방사체(130)들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방사체(130)들에, 개별적으로 가중치(weight)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방사체(130) 별로, 고유의 가중치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안테나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 방사 계수(radiation coefficient), 빔 폭 및 탐지 거리를 획득하고,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위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가중치는 테일러(Taylor) 함수 또는 체비셰프(Chebyshev) 함수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즉 가중치는 방사체(130)들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다. 이 때 급전부(120)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두 개의 축들이 정의된다. 일 축은 급전부(12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며 급전 선로(123)들에 나란하고, 타 축은 급전부(12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며 일 축에 수직하다. 이를 통해, 가중치는 방사체(130)들에 대하여, 일 축 및 타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각각의 방사체(130)는 각각의 가중치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parameter)로 형성된다. 이 때 방사체(130)를 위한 변수가 방사체(130)와 급전부(120)의 배치 관계, 방사체(130)의 사이즈 및 방사체(130)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방사체(130)들은 제 1 방사체(140)들과 제 2 방사체(150)들을 포함한다.
제 1 방사체(140)들은 급전 선로(123)들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급전부(120)로부터 제 1 방사체(140)들로, 직접적으로 신호가 공급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방사체(140)는 연결부(141)와 제 1 방사부(143)를 포함한다. 이 때 각각의 제 1 방사체(140)를 위한 변수는 제 1 방사부(143)의 길이(l1) 및 제 1 방사부(143)의 폭(w1)을 포함한다.
연결부(141)는 급전 선로(123)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부(141)는 일 단부를 통해 급전 선로(123)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141)는 급전 선로(123)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연결부(141)는 급전 선로(123)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급전 선로(123)로부터 연결부(141)로, 신호가 전달된다.
제 1 방사부(143)는 연결부(141)에 연결된다. 이 때 제 1 방사부(143)는 연결부(141)의 타 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방사부(143)는 일 단부를 통해 연결부(141)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방사부(143)는 연결부(141)로부터 연장된다. 이 때 제 1 방사부(143)는 연결부(1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서, 제 1 방사부(143)는 타 단부를 통해 연장된다. 또한 제 1 방사부(143)의 타 단부가 개방(open)된다. 이를 통해, 연결부(141)로부터 제 1 방사부(143)로, 신호가 전달된다. 이 때 제 1 방사부(143)의 길이(l1) 및 제 1 방사부(143)의 폭(w1)이 정의된다. 제 1 방사부(143)의 길이(l1)는 제 1 방사부(143)의 연장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방사부(143)의 폭(w1)은 제 1 방사부(143)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될 수 있다.
제 2 방사체(150)들은 급전 선로(123)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방사체(150)들은 급전 선로(123)들에 커플링(coupling)된다. 바꿔 말하면, 제 2 방사체(150)들은 급전 선로(123)들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제 2 방사체(150)들이 여기 상태(excited state)로 되며, 급전부(120)로부터 제 2 방사체(150)들로, 신호가 공급된다. 또한 각각의 제 2 방사체(150)는 커플링부(151)와 제 2 방사부(153)를 포함한다. 이 때 각각의 제 2 방사체(150)를 위한 변수는 커플링부(151)와 급전 선로(123)들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간격(d), 커플링부(151)의 길이(l2), 커플링부(151)의 폭(w2), 제 2 방사부(153)의 길이(l3) 및 제 2 방사부(153)의 폭(w3)을 포함한다.
커플링부(151)는 급전 선로(123)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커플링부(151)의 일 단부가 개방(open)된다. 그리고 커플링부(151)의 적어도 일부가 급전 선로(12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커플링부(151)의 적어도 일부가 급전 선로(123)에 나란하게 연장된다. 또한 커플링부(151)가 실질적으로 급전 선로(123)에 커플링된다. 이 때 커플링부(151)와 급전 선로(123) 사이의 간격(d), 커플링부(151)의 길이(l2) 및 커플링부(151)의 폭(w2)이 정의된다. 커플링부(151)와 급전 선로(123) 사이의 간격(d)은 급전 선로(123)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될 수 있다. 커플링부(151)의 길이(l2)는 커플링부(151)의 연장 방향에 대응된다. 커플링부(151)의 폭(w2)은 커플링부(151)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될 수 있다.
제 2 방사부(153)는 커플링부(151)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방사부(153)는 커플링부(151)의 타 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방사부(153)는 커플링부(1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커플링부(151)로부터 연장된다. 이를 통해, 커플링부(151)로부터 제 2 방사부(153)로, 신호가 전달된다. 이 때 제 2 방사부(153)의 길이(l3) 및 제 2 방사부(153)의 폭(w3)이 정의된다. 제 2 방사부(153)의 길이(l3)는 제 2 방사부(153)의 연장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방사부(153)의 폭(w3)은 제 2 방사부(153)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 C-C’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서 D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5에서 D’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이 때 도 7 및 도 8에서, (a)는 평면도이며, (b)는 배면도이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에서 공진기들의 변형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200)는 기판(210), 급전부(220), 다수개의 방사체(230)들 및 다수개의 공진기(260)들을 포함한다. 급전부(220)에서, 급전점(221)이 정의된다. 그리고 급전부(220)는 다수개의 급전 선로(223)들과 분배부(225)를 포함한다. 방사체(230)들은 제 1 방사체(240)들과 제 2 방사체(250)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제 1 방사체(240)는 연결부(241)와 제 1 방사부(243)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제 2 방사체(250)는 커플링부(251)와 제 2 방사부(253)를 포함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기판(210), 급전부(220) 및 방사체(230)들은, 전술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공진기(260)들이 방사체(230)들의 동작을 지원한다. 즉 공진기(260)들이 안테나 장치(200)의 방사 패턴을 조절한다. 이 때 공진기(260)들은 고차 공진 모드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200)의 방사 패턴을 조절한다. 그리고 공진기(260)들은 기판(210)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이 때 공진기(260)들은 방사체(230)들의 하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공진기(260)들과 방사체(230)들이 일대일로 대응하여, 상호 대향한다. 이를 통해, 방사체(230)들로부터 공진기(260)들로, 신호가 전달된다. 또한 공진기(260)들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진기(260)들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진기(260)들은 링(ring) 형태를 갖는다. 이 때 각각의 공진기(260)는 제 1 방사부(243) 또는 제 2 방사부(253)를 둘러싼다. 바꿔 말하면, 각각의 공진기(260)에서 내측에, 제 1 방사부(243) 또는 제 2 방사부(253)가 배치된다. 여기서, 각각의 공진기(260)에서 적어도 일 부분이 연결부(241) 또는 커플링부(251)에 상하부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진기(260)에, 두 개의 슬릿(slit; 261)들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각각의 공진기(260)가 슬릿(261)들에 의해 개방된다. 여기서, 각각의 공진기(260)에서, 슬릿(261)들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다. 즉 슬릿(261)들은 각각의 공진기(260)에서 중심을 통과하는 일 직선 상에 배치된다. 이 때 각각의 공진기(260)는 슬릿(261)들에 의해 두 개의 공진부들로 구분된다. 여기서, 각각의 공진부의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전기장의 세기가 최고일 수 있다.
이 때 공진기(260)들의 두께는 안테나 장치(200)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값으로 결정된다. 즉 공진기(260)들은, 예컨대 50 Ω 매칭을 위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공진기(260)들의 둘레 길이는 안테나 장치(200)의 공진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파장(λ)에 따라, 결정된다. 즉 공진기(260)들의 둘레 길이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7077651-pat00001
여기서, r은 공진기(260)들의 반지름을 나타내고, ε은 기판(210)의 유전율을 나타낸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방사체(230)들과 공진기(260)들에, 개별적으로 가중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각각의 방사체(230)와 그에 대향하는 공진기(260) 별로, 고유의 가중치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안테나 장치(200)의 공진 주파수, 방사 계수, 빔 폭 및 탐지 거리를 획득하고,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가중치는 테일러 함수 또는 체비셰프 함수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즉 가중치는 방사체(230)들과 공진기(260)들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다. 이 때 급전부(220)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두 개의 축들이 정의된다. 일 축은 급전부(22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며 급전 선로(223)들에 나란하고, 타 축은 급전부(22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며 일 축에 수직하다. 이를 통해, 가중치는 방사체(230)들과 공진기(260)들에 대하여, 일 축 및 타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각각의 방사체(230)와 그에 대향하는 공진기(260)는 각각의 가중치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로 형성된다. 이 때 방사체(230)와 그에 대향하는 공진기(260)를 위한 변수가 방사체(230)와 급전부(220)의 배치 관계, 방사체(230)의 사이즈, 방사체(230)의 형상 및 공진기(260)에서 슬릿(261)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방사체(240)와 그에 대향하는 공진기(260)를 위한 변수는 제 1 방사부(243)의 길이(l1), 제 1 방사부(243)의 폭(w1) 및 공진기(260)에서 슬릿(261)들의 위치를 포함한다. 제 1 방사부(243)의 길이(l1)는 제 1 방사부(243)의 연장 방향에 대응된다. 제 1 방사부(243)의 폭(w1)은 제 1 방사부(243)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된다. 슬릿(261)들의 위치는 공진기(260)의 중심을 통과하고 급전 선로(223)들에 나란한 수직 축과 공진기(260)의 중심을 통과하고 수직축에 수직한 수평 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상에서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방사체(250)와 그에 대향하는 공진기(260)를 위한 변수는 커플링부(251)와 급전 선로(223)들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간격(d), 커플링부(251)의 길이(l2), 커플링부(251)의 폭(w2), 제 2 방사부(253)의 길이(l3), 제 2 방사부(253)의 폭(w3) 및 공진기(260)에서 슬릿(261)들의 위치를 포함한다. 커플링부(251)의 길이(l2)는 커플링부(251)의 연장 방향에 대응된다. 커플링부(251)의 폭(w2)은 커플링부(251)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될 수 있다. 제 2 방사부(253)의 길이(l3)는 제 2 방사부(253)의 연장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방사부(253)의 폭(w3)은 제 2 방사부(253)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될 수 있다. 슬릿(261)들의 위치는 공진기(260)의 중심을 통과하고 급전 선로(223)들에 나란한 수직 축과 공진기(260)의 중심을 통과하고 수직축에 수직한 수평 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상에서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공진기(260)에, 두 개의 슬릿(261)들이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각각의 공진기(260)에, 두 개의 슬릿(261)들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진기(260)에 하나의 슬릿(2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진기(260)의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전기장의 세기가 최고일 수 있다. 다만, 각각의 공진기(260)에 하나의 슬릿(261)이 형성되는 경우, 공진기(260)의 둘레 길이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7077651-pat0000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 때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나타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방사 패턴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의 방사 패턴은, 각각의 주엽(main lobe)과 부엽(side lobe)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주엽은, 신호가 집중하여 방사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부엽은 주엽 이외의 영역으로, 신호가 미세하게 방사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부엽은 간섭 영역으로 간주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주엽 폭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의 주엽 폭이 더 넓다. 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에서 보다 넓은 영역으로 신호가 집중됨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부엽 폭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의 부엽 폭이 더 좁다. 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에서 간섭이 보다 억제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가 공진부(260)들을 포함함에 따라, 보다 향상된 성능을 갖는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방사체(130, 230)들이 제 1 방사체(140, 240)들과 제 2 방사체(150, 250)들을 포함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방사체(130, 230)들이 제 1 방사체(140, 240)들과 제 2 방사체(150, 250)들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방사체(130, 230)들은 제 1 방사체(140, 240)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방사체(130, 230)들이 모두 급전 선로(123, 223)들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방사체(13, 230)들은 제 2 방사체(150, 250)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방사체(130, 230)들은 모두 급전 선로(123, 223)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감지 각도 별 이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이득은 안테나 장치에서 원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신호를 집중하여 방사한 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빔 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안테나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주엽 폭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 200)의 주엽 폭이 더 넓다. 이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안테나 장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 200)에서 보다 넓은 영역으로 신호가 집중됨을 의미한다. 한편, 일반적인 안테나 장치의 부엽 폭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 200)의 부엽 폭이 더 좁다. 즉 일반적인 안테나 장치에 대응하여, -20 degree 내지 20 degree 사이에, 널(null) 구간이 형성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 200)는, -60 degree 내지 60 degree 사이에서, 널 구간이 필링(filling)되어, 부엽이 억제된다. 이는, 일반적인 안테나 장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 200)에서 간섭이 보다 억제됨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인 안테나 장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 200)가 보다 넓은 탐지 범위 및 탐지 거리를 갖는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 200)는 보다 확대된 빔 폭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 200)는 다양한 탐지 거리들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안테나 장치(100, 200)를 구비하여, 원하는 탐지 범위 및 탐지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반면에, 일반적인 레이더 시스템은, 원하는 탐지 범위 및 탐지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안테나 장치들을 구비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체(130, 230)들이 각각의 가중치에 따라 형성됨에 따라, 방사체(130, 230)들의 균일하게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사체(130, 230) 별로 원하는 공진 주파수 및 방사 계수가 확보되고, 별도의 구성 없이 방사체(130, 230)에서 임피던스가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100, 200)의 빔 폭이 보다 확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안테나 장치(100, 200)에서, 다양한 탐지 거리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이더 시스템이 하나의 안테나 장치(100, 200)를 구비하여, 원하는 탐지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레이더 시스템을 대형화하지 않고도, 레이더 시스템의 탐지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더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레이더 시스템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안테나 장치
110, 210: 기판
120, 220: 급전부 121, 221: 급전점
123, 223: 급전 선로 125, 225: 분배부
130, 230: 방사체
140, 240: 제 1 방사체
141, 241: 연결부 143, 243: 제 1 방사부
150, 250: 제 2 방사체
151, 251: 커플링부 153, 253: 제 2 방사부
260: 공진기 261: 슬릿

Claims (15)

  1.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제 1 방사체들 및 제 2 방사체들를 포함하는 방사체들과,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급전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들에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부와,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체들과 대응되는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된 링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공진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제 1 방사체들 및 상기 다수개의 제 2 방사체들은 상기 기판 상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은, 상기 급전 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1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제 2 방사체들 각각은, 상기 급전 선로와 이격되고 상기 급전 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부와 연결되는 제 2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의 상기 제 1 방사부는, 상기 제 1 방사부의 길이 및 폭을 포함하는 변수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 2 방사체들 각각의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급전 선로와의 간격, 상기 커플링부의 길이, 상기 커플링부의 폭을 포함하는 변수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 2 방사체들 각각의 상기 제 2 방사부는, 상기 제 2 방사부의 길이 및 폭을 포함하는 변수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 1 방사체들, 상기 다수개의 제 2 방사체들 및 상기 다수개의 공진기들 각각은 미리 설정되는 가중치에 따라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공진기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부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체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가중치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상기 슬릿이 형성된 안테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들은,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슬릿들이 형성된 안테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방사체들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안테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방사체들의 공진 주파수, 방사 계수, 빔 폭 및 탐지 거리를 확보하고,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값으로 설정되는 안테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의 일부는,
    상기 급전 선로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안테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급전부의 중심에서 상호 직교하는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설정되는 안테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들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들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 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의 일부 영역은,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커플링부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안테나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008215A 2014-01-23 2014-01-23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Active KR10206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215A KR102063826B1 (ko) 2014-01-23 2014-01-23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CN201580010042.6A CN106063036B (zh) 2014-01-23 2015-01-22 雷达系统的天线装置
US15/113,722 US10224619B2 (en) 2014-01-23 2015-01-22 Antenna device of radar system
PCT/KR2015/000675 WO2015111932A1 (ko) 2014-01-23 2015-01-22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215A KR102063826B1 (ko) 2014-01-23 2014-01-23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963A KR20150087963A (ko) 2015-07-31
KR102063826B1 true KR102063826B1 (ko) 2020-01-08

Family

ID=5368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215A Active KR102063826B1 (ko) 2014-01-23 2014-01-23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24619B2 (ko)
KR (1) KR102063826B1 (ko)
CN (1) CN106063036B (ko)
WO (1) WO2015111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4454A (zh) * 2015-02-24 2016-08-3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阵列天线装置
DE102018200758A1 (de) * 2018-01-18 2019-07-18 Robert Bosch Gmbh Antennenelement und Antennenarray
JP7574979B2 (ja) * 2020-04-07 2024-10-29 華為技術有限公司 中央給電アンテナアレイを備えた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装置
EP4123837A1 (en) * 2021-07-23 2023-01-25 ALCAN Systems GmbH Phased array antenna device
EP4123835A1 (en) * 2021-07-23 2023-01-25 ALCAN Systems GmbH Phased array antenna device
US12261378B2 (en) * 2021-09-23 2025-03-2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system of a stack series fed antenna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 lay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8144A1 (en) * 2002-02-09 2005-06-16 Armin Himmelstoss Device for emitting and receiv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KR101352000B1 (ko) * 2013-01-10 2014-01-22 주식회사 에스원 양방향 송수신 특성을 가지는 원편파 배열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7315B1 (fr) 1996-12-17 1999-03-05 Thomson Csf Antenne reseau imprimee large bande
KR100280871B1 (ko) 1998-07-13 2001-03-02 김남영 커플라인과 슬릿으로 구성된 마이크로 스트립 링 공진기
US7692601B2 (en) * 2002-12-13 2010-04-06 Andrew Llc Dipole antennas and coaxial to microstrip transitions
WO2008059509A2 (en) * 2006-11-16 2008-05-22 Galtronics Ltd Compact antenna
KR100917847B1 (ko) 2006-12-05 2009-09-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방향 복사패턴을 갖는 평면형 안테나
US7952531B2 (en) * 2007-07-13 2011-05-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lanar circularly polarized antennas
KR20120004188A (ko) * 2010-07-06 2012-0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CN102386482B (zh) * 2010-09-06 2014-06-18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多回圈天线系统及具有该多回圈天线系统的电子装置
US9124006B2 (en) 2011-03-11 2015-09-01 Autoliv Asp, Inc. Antenna array for ultra wide band radar applications
KR101389837B1 (ko) 2013-12-11 2014-04-29 국방과학연구소 커플링 라인을 이용한 레이더 시스템의 배열 안테나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8144A1 (en) * 2002-02-09 2005-06-16 Armin Himmelstoss Device for emitting and receiv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KR101352000B1 (ko) * 2013-01-10 2014-01-22 주식회사 에스원 양방향 송수신 특성을 가지는 원편파 배열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3036A (zh) 2016-10-26
US10224619B2 (en) 2019-03-05
CN106063036B (zh) 2020-01-03
KR20150087963A (ko) 2015-07-31
WO2015111932A1 (ko) 2015-07-30
US20170005405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826B1 (ko)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JP6395984B2 (ja) アレーアンテナ装置
KR101269711B1 (ko) 오픈 스터브를 이용한 레이더 배열 안테나
JP5554352B2 (ja) 広角アンテナ及びアレーアンテナ
US20170117638A1 (en) Array antenna
KR20180105484A (ko)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US10158181B2 (en) Antenna device for radar system
CN107528131A (zh) 阵列天线装置
WO2021192560A1 (ja) 平面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る高周波モジュール
JP2020174284A (ja) アンテナ装置
KR101865135B1 (ko) 배열 안테나
KR102083185B1 (ko)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EP3312934B1 (en) Antenna
KR102108834B1 (ko)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KR20170031527A (ko) 소형화된 구조의 반사형 셀 어레이 안테나
EP3059802B1 (en) Array antenna
JP7425868B2 (ja) 電磁バンドギャップ構造物
KR101971548B1 (ko)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KR102093902B1 (ko)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KR102083208B1 (ko)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KR102053085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KR101598853B1 (ko) 향상된 방사특성을 갖는 패턴 안테나
JP6519868B2 (ja) アレー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