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3630B1 - 실외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실외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630B1
KR102063630B1 KR1020180007904A KR20180007904A KR102063630B1 KR 102063630 B1 KR102063630 B1 KR 102063630B1 KR 1020180007904 A KR1020180007904 A KR 1020180007904A KR 20180007904 A KR20180007904 A KR 20180007904A KR 102063630 B1 KR102063630 B1 KR 102063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flat tubes
heat exchange
exchange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433A (ko
Inventor
류병진
유윤호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6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6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2009/0285Other particular headers or en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는 복수개의 플랫튜브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연결된 제 1 열교환부, 복수개의 플랫튜브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연결된 제 2 열교환부, 복수개의 플랫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교환부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상기 제 2 열교환부로 유출하는 제 3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열교환부에서 유출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된 혼합 냉매 중 상기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상기 제 2 열교환부로 공급하고, 상기 기상 냉매를 상기 제 3 열교환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외 열교환기{Outdo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실외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사이클 장치에서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는 차량, 냉장고 등에 설치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열교환기는 구조에 따라 핀 튜브형 열교환기,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핀 튜브형 열교환기는 구리 재질로 제작되고,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는 내부에 미세한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비해 효율이 좋은 장점이 존재한다.
실외기에서 가장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부품은 실외 열교환기 및 유로부이며, 이를 현재 대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고효율 방열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 일반적인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 방식은 컴프 출구의 고온 고압의 기상냉매가 열교환기의 다수 패스(여러 개의 튜브로 구성)로 나누어 유입되고 순차적으로 튜브를 거치며 실외공기와 열교환을 진행해 가며 2상 냉매의 건도가 '0'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액상 냉매의 비중이 증가된다. 종반부 튜브들에서 방열을 하며 최종 단상인 액상 냉매(과냉도 3~5℃)로 열교환기를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방열 과정 중에 발생하는 액상냉매로 인해 방열 열교환 특성을 방해하고 압손의 증가로 인한 열교환 효율의 손실을 커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실외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응축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상냉매를 응축기 후단으로 유동시켜서, 적은 부피로도 열교환 효율이 우수한 실외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는 제 1 열교환부, 제 2 열교환부, 제 3 열교환부와 상기 제 1 열교환부에서 유출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된 혼합 냉매 중 상기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상기 제 2 열교환부로 공급하고, 상기 기상 냉매를 상기 제 3 열교환부로 공급하는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출 측 및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입 측을 연결하는 액추출 헤더와,
상기 액추출 헤더의 하측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의 유입 측을 연결하는 액상 바이패스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외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기상 냉매가 액상 냉매로 응축되는 열교환기에서, 기상 냉매가 액상과 기상의 혼합냉매로 응축되면, 액상 냉매를 열교환기의 후단으로 공급하여서, 중간의 열교환기에서 기상냉매의 비율을 높이게 되므로, 액상 냉매의 비율이 줄어들어서 열교환 특성이 향상되고, 압손이 증가되는 것이 제한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둘째, 열교환기에서 중간에 응축된 혼합냉매에서 액상냉매를 열교환기 후단으로 공급하여서, 적은 용량으로 원하는 열교환기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셋째, 복수의 플랫튜브의 양단의 2개의 헤더를 사용하고, 2개의 헤더의 내부공간을 베플을 사용하여 구획하여서, 액추출 헤더 등을 형성하므로, 열교환기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사이클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 외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실외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외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사이클 장치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 외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동사이클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와,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11)와,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12)와,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내열교환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1)를 통과하면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1)는 응축기로 사용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1)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구(12)로 유동되어 팽창될 수 있다. 팽창기구(12)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13)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2)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사용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2)에서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10)로 회수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10), 실외열교환기(11), 팽창기구(12) 및 실내열교환기(13)를 순환하면서 냉동사이클로 작동된다.
압축기(10)에는 실내열교환기(13)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기(10)로 안내하는 압축기(10) 흡입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0) 흡입유로에는 액냉매가 축적되는 어큐물레이터(14)가 설치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3)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는 실내기(I)와 실외기(O)가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압축기(10) 및 실외열교환기(11)는 실외기(I)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 장치는 냉장고일 수 있고, 실내열교환기가(13)가 식품저장소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게 배치되고, 실외열교환기(11)가 식품저장소 외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냉장고의 경우, 실내기(I)와 실외기(O)가 본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팽창기구(12)는 실내기(I) 또는 실외기(O) 중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실내열교환기(13)는 실내기(I)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O)에는 실외열교환기(11)로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팬(15)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외기(O)의 기계실에는 압축기(10)가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I)에는 실내 열교환기(13)로 실내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내팬(16)이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실외 열교환기는 복수의 마이크로 채널을 가지는 다수의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열교환부를 통과하며 기상냉매가 액상냉매로 전환되게 된다. 다만, 다수의 열교환부 중에 중간에 위치한 열교환부는 액상과 기상이 혼합된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혼합 냉매 중의 액상 냉매의 비중이 높아지면, 압손이 증가되고,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1)를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실외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외열교환기(11)는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이다. 실외열교환기(11)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실외 열교환기는 복수 개의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의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실외 열교환기가 하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실외열교환기(11)는 하부 열교환기(100)와 상부 열교환기(2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의 열교환기는 도 6 및 도 7에서 하부 열교환기(100)와 동일하다.
즉, 실외 열교환기가 하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경우, 하부 열교환기(10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실외 열교환기는 하부 열교환기(100)를 포함하고, 하부 열교환기(100)는 복수개의 플랫튜브(50)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22)이 연결된 제 1 열교환부(110), 복수개의 플랫튜브(50)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24)이 연결된 제 2 열교환부(120), 복수개의 플랫튜브(50)를 포함하고,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제 2 열교환부(120)로 유출하는 제 3 열교환부(130) 및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유출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된 혼합 냉매 중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하고, 기상 냉매를 제 3 열교환부(130)로 공급하는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열교환기(100)는 냉매 및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복수개의 플랫튜브(50)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22)이 연결된 제 1 열교환부(110), 냉매 및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복수개의 플랫튜브(50)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24)이 연결된 제 2 열교환부(120), 냉매 및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복수개의 플랫튜브(50)를 포함하고,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제 2 열교환부(120)로 유출하는 제 3 열교환부(130), 제 1 열교환부(11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출 측 및 제 3 열교환부(13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입 측을 연결하는 액추출 헤더(75), 제 3 열교환부(13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출 측 및 제 2 열교환부(12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입측을 연결하는 연결 헤더(85) 및 액추출 헤더(75)의 하측 및 연결 헤더(85)의 하측을 연결하는 액상 바이패스관(2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열교환기(100)는 제 1 열교환부(110), 제 2 열교환부(120) 및 제 3 열교환부(130)로 구성된다.
제 1 열교환부(110), 제 2 열교환부(120) 및 제 3 열교환부(130)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교차되는 열교환면을 정의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부(110), 제 2 열교환부(120) 및 제 3 열교환부(130)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교차되고, 공기가 열교환하며 통과할 수 있는 열교환면을 형성한다.
제 1 열교환부(110), 제 2 열교환부(120) 및 제 3 열교환부(1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하나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열교환부(110), 제 2 열교환부(120) 및 제 3 열교환부(130)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교차되는 하나의 면을 정의하기 위해 수직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먼저, 각 열교환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제 1 열교환부(110), 제 2 열교환부(120) 및 제 3 열교환부(130)는 복수개의 플랫튜브(50)를 적층하여 제작한다. 제 1 열교환부(110), 제 2 열교환부(120) 및 제 3 열교환부(130)는 플랫튜브(50)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냉매가 수평으로 이동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열교환부(110), 제 2 열교환부(120) 및 제 3 열교환부(130)의 플랫튜브(50)는 공기의 흐름방향이 전후 방향일 때, 수평(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플랫튜브(50)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수직방향(종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플랫튜브(50)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플랫튜브(50) 내의 냉매와 열교환된다.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플랫튜브(50)들은 후술하는 핀(60)과 함께 열교환면을 정의한다.
제 1 열교환부(110)는 플랫튜브(50) 및 핀(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열교환부(110)는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플랫튜브(51)와, 제 1 플랫튜브(51)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키는 제 1 핀(61)을 포함한다.
제 1 플랫튜브(51)는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 1 플랫튜브(51)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 1 플랫튜브(51)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1 플랫튜브(51)가 적층된다. 제 1 플랫튜브(51)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핀(61)은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제 1 플랫튜브(51)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킨다.
제 1 열교환부(110)에는 압축기(10)에서 압축된 기상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22)이 연결된다. 유입관(22)은 복수 개의 제 1 플랫튜브(51)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균등한 냉매의 분배를 위해 유입 헤더(8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입 헤더(83)에는 유입관(22)과 복수 개의 제 1 플랫튜브(51)의 일단이 연결된다. 유입관(22)(22)은 압축기(10)와 연결되어 제 1 열교환부(110)에 고온 고압의 냉매를 공급한다.
제 1 플랫튜브(51)의 우측은 유입 헤더(83)와 연통되고, 제 1 플랫튜브(51)의 좌측은 액추출 헤더(75)와 연결된다. 제 1 플랫튜브(51)의 우측이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 측이 되고, 제 1 플랫튜브(51)의 좌측은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 측이 된다.
유입관(22)을 통해 공급된 기상 냉매는 우측 헤더(80)와 제 1 플랫튜브(51)를 통과하여 액추출 헤더(75)로 유입된다.
제 3 열교환부(130)는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제 2 열교환부(120)로 유출한다. 제 3 열교환부(130)는 플랫튜브(50)및 핀(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열교환부(130)는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 3 플랫튜브(53)와, 제 3 플랫튜브(53)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키는 제 3 핀(63)을 포함한다.
제 3 플랫튜브(53)는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 3 플랫튜브(53)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 3 플랫튜브(53)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3 플랫튜브(53)가 적층된다. 제 3 플랫튜브(53)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핀(63)은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제 3 플랫튜브(53)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킨다.
제 3 열교환부(130)에는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된다. 균등한 냉매의 분매를 위해 제 2 열교환부(120)에서 유출된 냉매는 액추출 헤더(75)를 통해 제 3 열교환부(130)로 분배된다.
제 3 플랫튜브(53)의 우측은 연결 헤더(85)와 연통되고, 제 3 플랫튜브(53)의 좌측은 액추출 헤더(75)와 연결된다. 제 3 플랫튜브(53)의 우측이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 측이 되고, 제 3 플랫튜브(53)의 좌측은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 측이 된다.
액추출 헤더(75)를 통해 제 3 플랫튜브(53)로 유입된 냉매는 연결 헤더(85)로 유동된다.
제 3 열교환부(130)는 제 1 열교환부(110)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3 열교환부(130)는 제 1 열교환부(110)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유출되는 기상 및 액상 혼합냉매 중에 액상 냉매는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진행되고, 기상 냉매는 가벼워서 위로 진행되게 된다. 제 3 열교환부(130)를 제 1 열교환부(110) 보다 상부에 배치하여서,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유출되는 혼합 냉매 중 기상 냉매가 제 3 열교환부(130)로 공급되기 용이하게 한다.
제 2 열교환부(120)는 제 3 열교환부(130)에서 유입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팽창기구(12)로 유출한다. 제 2 열교환부(120)는 플랫튜브(50)및 핀(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열교환부(120)는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플랫튜브(52)와, 제 2 플랫튜브(52)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키는 제 2 핀(62)을 포함한다.
제 2 플랫튜브(52)는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 2 플랫튜브(52)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 2 플랫튜브(52)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2 플랫튜브(52)가 적층된다. 제 2 플랫튜브(5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핀(62)은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제 2 플랫튜브(52)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킨다.
제 2 열교환부(120)에는 응축된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24)이 연결된다. 유출관(24)은 복수 개의 제 2 플랫튜브(52)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균등한 냉매의 분배를 위해 유출 헤더(7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출 헤더(73)에는 유출관(24)과 복수 개의 제 1 플랫튜브(51)의 일단이 연결된다. 유출관(24)은 팽창기구(12)와 연결된다.
제 2 열교환부(120)에는 제 3 열교환부(130)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된다. 균등한 냉매의 분매를 위해 제 3 열교환부(130)에서 유출된 냉매는 연결 헤더(85)를 통해 제 2 열교환부(120)로 분배된다. 연결 헤더(85)는 제 3 열교환부(13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출 측 및 제 2 열교환부(12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입측을 연결한다.
제 2 플랫튜브(52)의 우측은 연결 헤더(85)와 연통되고, 제 2 플랫튜브(52)의 좌측은 유출 헤더(73)와 연결된다. 제 2 플랫튜브(52)의 우측이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 측이 되고, 제 2 플랫튜브(52)의 좌측은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 측이 된다.
연결 헤더(85)를 통해 제 2 플랫튜브(52)로 유입된 냉매는 유출 헤더(73)를 통해 유출관(24)으로 유동된다.
제 2 열교환부(120)는 제 1 열교환부(110) 또는/및 제 3 열교환부(130)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열교환부(120)는 제 3 열교환부(130)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은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유출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된 혼합 냉매 중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제 3 열교환부(130)를 바이패스하여,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하고, 기상 냉매를 제 3 열교환부(130)로 공급하여서,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고, 압손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실외 열교환기가 제 1 열교환부(110)와 제 2 열교환부(120) 및 제 1 열교환부(110)와 제 2 열교환부(120) 사이에 복수의 중간 열교환부가 존재하는 경우,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은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유출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된 혼합 냉매 중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복수의 중간 열교환부를 바이패스하여,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하고, 중간 열교환부에서 유출된 혼합 냉매 중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은 제 1 열교환부(11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출 측 및 제 3 열교환부(13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입 측을 연결하는 액추출 헤더(75)와, 액추출 헤더(75)의 하측 및 제 2 열교환부(120)의 유입 측을 연결하는 액상 바이패스관(25)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출 헤더(75)는 중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즉, 액추출 헤더(75)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서, 중력에 의해 액추출 헤더(75) 내에 혼합 냉매 중 액상냉매는 하측으로 축적되고, 기상 냉매는 상측에 모이게 된다.
액추출 헤더(75)의 직경은 충분히 큰 직경을 가져서, 액추출 헤더(75) 내에서 상 분리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엑추출 헤더의 직경은 플랫튜브(50)의 직경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출 헤더(75)의 직경은 10mm 내지 50mm인 것이 보통이다.
액추출 헤더(75)는 제 3 열교환부(130)의 제 3 플랫튜브(53)들의 좌측과, 제 1 열교환부(110)의 제 1 플랫튜브(51)들의 우측과 연결된다.
제 3 열교환부(130)의 제 3 플랫튜브(53)들은 액상 바이패스관(25) 및 제 1 열교환부(110)의 제 1 플랫튜브(51)들 보다 액추출 헤더(75)에서 상부에 연결된다. 제 3 열교환부(130)의 제 3 플랫튜브(53)들은 액상 바이패스관(25) 및 제 1 열교환부(110)의 제 1 플랫튜브(51)들 보다 상부에 연결되어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기상 냉매가 제 3 열교환부(130)로 유동되게 된다.
제 1 열교환부(110)의 제 1 플랫튜브(51)들은 액상 바이패스관(25) 보다 액추출 헤더(75)에서 상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하로 길게 연장된 액추출 헤더(75)의 최하단에 액상 바이패스관(25)이 연결되면, 중력에 의해 액추출 헤더(75)의 하부로 축적된 액상냉매를 액상 바이패스관(25)을 통해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22)(22)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유입 헤더(83)를 통해 각각의 제 1 플랫튜브(51)에 공급되고, 제 1 플랫튜브(51)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하고, 액축출 헤더를 통해 분리된 기상 냉매가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된다. 액추출 헤더(75)를 통해 분리된 액상 냉매는 액상 바이패스관(25)을 통해 연결 헤더(85)로 공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액추출 헤더(75)의 하단은 제 1 열교환부(110)의 제 1 플랫튜브(51) 중 제일 하단에 위치된 플랫튜브(50) 보다 하측으로 위치된다.
액상 바이패스관(25)은 액추출 헤더(75)에서 상분리된 액상 냉매를 제 3 열교환부(130)를 바이패스하여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한다. 액상 바이패스관(25)은 액추출 헤더(75)의 하측 및 제 2 열교환부(120)의 유입 측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액상 바이패스관(25)은 액추출 헤더(75)의 하측 및 연결 헤더(85)의 하측을 연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2 열교환부(120)의 제 2 플랫튜브(52)들은 연결 헤더(85)에서 액상 바이패스관(25) 보다 상부에 연결된다.
제 2 열교환부(120)의 제 2 플랫튜브(52)들은 연결 헤더(85)에서 제 3 열교환부(130)의 제 3 플랫튜브(53)들 보다 상부에 연결되고, 제 3 플랫튜브(53)들은 연결 헤더(85)에서 액상 바이패스관(25) 보다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바이패스관(25)에는 하부 캐필러리 튜브(26)가 배치될 수 있다.
제 3 열교환부(130)의 제 3 플랫튜브(53)들에서 공급된 냉매와 액상 바이패스관(25)에서 공급된 액상 냉매는 연결 헤더(85)에서 혼합되고, 연결 헤더(85)에서 혼합된 냉매는 제 2 열교환부(120)의 제 2 플랫튜브(52)들로 분배된다.
연결 헤더(85)와 유입 헤더(83)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헤더의 내부가 분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헤더(85)와 유입 헤더(83)는 하나의 우측 헤더(80)의 내부 공간이 우측 베플(87)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액추출 헤더(75)와 유출 헤더(73)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헤더의 내부가 분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출 헤더(75)와 유출 헤더(73)는 하나의 좌측 헤더(70)의 내부 공간이 좌측 베플(77)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부(110)의 플랫튜브(50) 들의 단면적의 합은 제 3 열교환부(130)의 플랫튜브(50) 들의 단면적의 합과 동일하고, 제 2 열교환부(120)의 플랫튜브(50) 들의 단면적의 합 보다 크게 하여서,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열교환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열교환부(110)의 플랫튜브(50) 들의 단면적, 제 2 열교환부(120)의 플랫튜브(50) 들의 단면적 및 제 3 열교환부(130)의 플랫튜브(50) 들의 단면적은 플랫튜브(50)의 내경을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지만, 제조비용 및 제조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내경이 동일한 플랫튜브(50)의 개수를 달리하여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플랫튜브(51)의 내경, 제 2 플랫튜브(52)(52)의 내경 및 제 3 플랫튜브(53) 들의 단면적은 동일하고, 제 1 열교환부(110)의 플랫튜브(50)의 개수와 제 2 열교환부(120)의 플랫튜브(50)의 개수는 동일하고, 제 3 열교환부(130)의 플랫튜브(50) 보다 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외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의 실외 열교환기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실외 열교환기가 상부 열교환기(200)를 더 포함하고,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하부 열교환기(100)는 특별히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외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실외 열교환기는 압축기(10)에서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하는 상부 열교환기(200)와 상부 열교환기(200)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팽창장치(12)로 제공하는 하부 열교환기(100)를 포함한다. 상부 열교환기(200)는 하부 열교환기(10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은 도 4이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와,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와,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과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열교환기(200)는 제 4 열교환부(240) 및 제 5 열교환부(250)로 구성된다.
제 4 열교환부(240) 및 제 5 열교환부(250)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교차되는 열교환면을 정의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4 열교환부(240) 및 제 5 열교환부(25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하나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4 열교환부(240) 및 제 5 열교환부(250)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교차되는 하나의 면을 정의하기 위해 수직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 4 열교환부(240) 및 제 5 열교환부(250)는 복수개의 플랫튜브(50)를 적층하여 제작한다. 제 4 열교환부(240) 및 제 5 열교환부(250)는 플랫튜브(50)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냉매가 수평으로 이동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 4 열교환부(240) 및 제 5 열교환부(250)의 플랫튜브(50)는 공기의 흐름방향이 전후 방향일 때, 수평(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플랫튜브(50)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수직방향(종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플랫튜브(50)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플랫튜브(50) 내의 냉매와 열교환된다.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플랫튜브(50)들은 후술하는 핀(60)과 함께 열교환면을 정의한다.
제 4 열교환부(240)는 플랫튜브(50)및 핀(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4 열교환부(240)는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 4 플랫튜브(54)와, 제 4 플랫튜브(54)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키는 제 4 핀(64)을 포함한다.
제 4 플랫튜브(54)는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 4 플랫튜브(54)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 4 플랫튜브(54)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4 플랫튜브(54)가 적층된다. 제 4 플랫튜브(54)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4 핀(64)은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제 4 플랫튜브(54)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킨다.
제 4 열교환부(240)에는 압축기(10)에서 압축된 기상 냉매가 유입되는 공급관(201)이 연결된다. 공급관(201)은 복수 개의 제 4 플랫튜브(54)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균등한 냉매의 분배를 위해 메인 헤더(22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헤더(223)에는 공급관(201)과 복수 개의 제 4 플랫튜브(54)의 일단이 연결된다. 공급관(201)은 압축기(10)와 연결되어 제 4 열교환부(240)에 고온 고압의 냉매를 공급한다.
제 4 플랫튜브(54)의 우측은 메인 헤더(223)와 연통되고, 제 4 플랫튜브(54)의 좌측은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와 연결된다. 제 4 플랫튜브(54)의 우측이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 측이 되고, 제 4 플랫튜브(54)의 좌측은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 측이 된다.
공급관(201)을 통해 공급된 기상 냉매는 우측 헤더(80)와 제 4 플랫튜브(50)를 통과하여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로 유입된다.
제 5 열교환부(250)는 제 4 열교환부(240)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하부 열교환기(100)의 제 2 열교환부(120)로 유출한다. 제 5 열교환부(250)는 플랫튜브(50)및 핀(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5 열교환부(250)는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 5 플랫튜브(55)와, 제 5 플랫튜브(55)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키는 제 5 핀(65)을 포함한다.
제 5 플랫튜브(55)는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 5 플랫튜브(55)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 5 플랫튜브(55)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5 플랫튜브(55)가 적층된다. 제 5 플랫튜브(55)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5 핀(65)은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제 5 플랫튜브(55)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킨다.
제 5 열교환부(250)에는 제 4 열교환부(240)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된다. 균등한 냉매의 분매를 위해 제 2 열교환부(120)에서 유출된 냉매는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를 통해 제 5 열교환부(250)로 분배된다.
제 5 플랫튜브(55)의 우측은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와 연통되고, 제 5 플랫튜브(55)의 좌측은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와 연결된다. 제 5 플랫튜브(55)의 우측이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 측이 되고, 제 5 플랫튜브(55)의 좌측은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 측이 된다.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를 통해 제 5 플랫튜브(50)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로 유동된다.
제 5 열교환부(250)는 제 4 열교환부(240)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제 4 열교환부(240)에서 유출되는 기상 및 액상 혼합냉매 중에 액상 냉매는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진행되고, 기상 냉매는 가벼워서 위로 진행되게 된다. 제 5 열교환부(250)를 제 4 열교환부(240) 보다 상부에 배치하여서, 제 4 열교환부(240)에서 유출되는 혼합 냉매 중 기상 냉매가 제 5 열교환부(250)로 공급되기 용이하게 한다.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는 공급관(201)을 통해 상부 열교환기(200)로 공급되고 상부 열교환기(200)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유입관(22)을 통해 하부 열교환기(100)의 유입 헤더(83)로 유동되며, 하부 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유출관(24)을 통해 팽창장치(12)로 유동된다.
유입관(22)은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와 유입 헤더(83)를 연결한다.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은 제 4 열교환부(240)에서 유출된 혼합 냉매 중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하부 열교환기(100)의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하고, 기상 냉매를 제 5 열교환부(250)로 공급한다. 또한,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은 제 5 열교환부(250)에서 유출된 혼합 냉매 중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하부 열교환기(100)의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하고, 기상 냉매를 하부 열교환기(100)의 제 1 열교환부(110)로 공급한다. 또한,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은 제 1 열교환부(110)에서 유출된 혼합 냉매 중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하고, 기상 냉매를 제 3 열교환부(130)로 공급한다.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는 제 4 열교환부(24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출 측 및 제 5 열교환부(25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입 측을 연결하고,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은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의 하측 및 하부 열교환기(100)의 제 2 열교환부(120)의 유입 측을 연결한다.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는 중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즉,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서, 중력에 의해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 내에 혼합 냉매 중 액상냉매는 하측으로 축적되고, 기상 냉매는 상측에 모이게 된다.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의 직경은 충분히 큰 직경을 가져서,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 내에서 상분리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엑추출 헤더의 직경은 플랫튜브(50)의 직경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의 직경은 10mm 내지 50mm인 것이 보통이다.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는 제 5 열교환부(250)의 제 5 플랫튜브(50)들의 좌측과, 제 4 열교환부(240)의 제 4 플랫튜브(50)들의 우측과 연결된다.
제 5 열교환부(250)의 제 5 플랫튜브(50)들은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 및 제 4 열교환부(240)의 제 4 플랫튜브(50)들 보다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에서 상부에 연결된다. 제 5 열교환부(250)의 제 5 플랫튜브(50)들은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 및 제 4 열교환부(240)의 제 4 플랫튜브(50)들 보다 상부에 연결되어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기상 냉매가 제 5 열교관부로 유동되게 된다.
제 4 열교환부(240)의 제 4 플랫튜브(50)들은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 보다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에서 상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하로 길게 연장된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의 최하단에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이 연결되면, 중력에 의해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의 하부로 축적된 액상냉매를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을 통해 유동시킬 수 있다.
제 4 플랫튜브(54)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하고,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를 통해 분리된 기상 냉매는 제 5 열교환부(250)로 공급된다.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를 통해 분리된 액상 냉매는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을 통해 하부 열교관기의 연결 헤더(85)로 공급된다.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은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에서 상분리된 액상 냉매를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한다.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은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의 하측 및 제 2 열교환부(120)의 유입 측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은 제 1 상부 액추출 헤더(210)의 하측 및 연결 헤더(85)의 하측을 연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2 열교환부(120)의 제 2 플랫튜브(52)들은 연결 헤더(85)에서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 보다 상부에 연결된다.
제 3 플랫튜브(53)들은 연결 헤더(85)에서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 보다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에는 제 1 상부 캐필러리 튜브(204)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 1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2)은 액상 바이패스 배관과 연결되고, 제 1 상부 액상 배이패스관을 통해 유입된 액상 냉매는 액상 바이패스관(25)에 합류되어 연결 헤더(85)로 유입될 수 있다.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는 제 5 열교환부(250)의 플랫튜브(50)들의 유출 측과 연결된다.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은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의 하측 및 하부 열교환기(100)의 제 2 열교환부(120)의 유입 측을 연결한다.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는 중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즉,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서, 중력에 의해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 내에 혼합 냉매 중 액상냉매는 하측으로 축적되고, 기상 냉매는 상측에 모이게 된다.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의 직경은 충분히 큰 직경을 가져서,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 내에서 상분리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엑추출 헤더의 직경은 플랫튜브(50)의 직경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의 직경은 10mm 내지 50mm인 것이 보통이다.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는 제 5 열교환부(250)의 제 5 플랫튜브(50)들의 우측 및 공급관(201)과 연결된다.
제 5 열교환부(250)의 제 5 플랫튜브(50)들은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 보다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에서 상부에 연결된다. 공급관(201)은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 보다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에서 상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기상 냉매가 제 2 열교관부로 유동되게 된다.
제 5 플랫튜브(55)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하고,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를 통해 분리된 기상 냉매는 하부 열교관기의 제 1 열교환부(110)로 공급된다.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를 통해 분리된 액상 냉매는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을 통해 하부 열교관기의 연결 헤더(85)로 공급된다.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은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에서 상분리된 액상 냉매를 제 2 열교환부(120)로 공급한다.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은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의 하측 및 제 2 열교환부(120)의 유입 측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은 제 2 상부 액추출 헤더(225)의 하측 및 연결 헤더(85)의 하측을 연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2 열교환부(120)의 제 2 플랫튜브(52)들은 연결 헤더(85)에서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 보다 상부에 연결된다.
제 3 플랫튜브(53)들은 연결 헤더(85)에서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 보다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에는 제 2 상부 캐필러리 튜브(206)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 2 상부 액상 바이패스관(203)은 액상 바이패스 배관과 연결되고, 제 2 상부 액상 배이패스관을 통해 유입된 액상 냉매는 액상 바이패스관(25)에 합류되어 연결 헤더(85)로 유입될 수 있다.
하부 캐필러리 튜브(26)의 직경은 제 1 상부 캐필러리 튜브(204) 보다 크고, 제 2 상부 캐필러리 튜브(206)의 직경은 제 2 상부 캐필러리 튜브(206) 보다 크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압축기 12 : 팽창기구
13 : 실내열교환기 14 : 어큐뮬레이터
15 : 실외팬 16 : 실내팬
20 : 실외열교환기 22 : 유입관
50 : 플랫튜브 60 : 핀

Claims (17)

  1. 복수개의 플랫튜브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연결된 제 1 열교환부;
    복수개의 플랫튜브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연결된 제 2 열교환부;
    복수개의 플랫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교환부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상기 제 2 열교환부로 유출하는 제 3 열교환부; 및
    상기 제 1 열교환부에서 유출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된 혼합 냉매 중 상기 액상 냉매를 추출하여 상기 제 2 열교환부로 공급하고, 상기 기상 냉매를 상기 제 3 열교환부로 공급하는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출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출 측 및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입 측을 연결하는 액추출 헤더와,
    상기 액추출 헤더의 하측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의 유입 측을 연결하는 액상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열교환부는 상기 제 1 열교환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상기 제 3 열교환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출 헤더는 중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실외 열교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은 상기 액추출 헤더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은 상기 액상 바이패스관 보다 상부에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은 상기 액상 바이패스관 보다 상부에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은 상기 액상 바이패스관 보다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 보다 하부에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출 측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입측을 연결하는 연결 헤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상 바이패스관은 상기 연결 헤더의 하측에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은 상기 연결 헤더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은 상기 액상 바이패스관 보다 상부에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
  11. 복수개의 플랫튜브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연결된 제 1 열교환부;
    복수개의 플랫튜브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연결된 제 2 열교환부;
    복수개의 플랫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교환부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교환하고 상기 제 2 열교환부로 유출하는 제 3 열교환부;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출 측 및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입 측을 연결하는 액추출 헤더;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출 측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의 유입측을 연결하는 연결 헤더; 및
    상기 액추출 헤더의 하측 및 상기 연결헤더의 하측을 연결하는 액상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액추출 헤더는 중력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외 열교환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3 열교환부는 상기 제 1 열교환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상기 제 3 열교환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은 상기 액상 바이패스관 보다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열교환부의 플랫튜브들 보다 하부에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액상 바이패스관은 상기 연결 헤더의 하측에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
  17. 청구항 1 내지 3 및 청구항 5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의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80007904A 2018-01-22 2018-01-22 실외 열교환기 Active KR102063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04A KR102063630B1 (ko) 2018-01-22 2018-01-22 실외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04A KR102063630B1 (ko) 2018-01-22 2018-01-22 실외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33A KR20190089433A (ko) 2019-07-31
KR102063630B1 true KR102063630B1 (ko) 2020-01-08

Family

ID=6747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904A Active KR102063630B1 (ko) 2018-01-22 2018-01-22 실외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0476A (zh) * 2021-09-01 2021-12-14 中山富雪泰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减排的冷凝机组及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5993A (ja) 2016-02-29 2017-09-0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2566A (en) * 1997-01-16 1998-05-19 Ford Motor Company High capacity condenser
KR100264815B1 (ko) * 1997-06-16 2000-09-01 신영주 다단기액분리형응축기
KR100858516B1 (ko) * 2002-03-04 2008-09-12 한라공조주식회사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502297B1 (ko) * 2002-03-19 2005-07-2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액냉매 바이패스용 파이프가 구비된 응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5993A (ja) 2016-02-29 2017-09-0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33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1317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9897351B2 (en) Air conditioner
KR20160131577A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6927352B1 (ja) 熱交換器
CN101900460A (zh) 一种平行流蒸发器及热泵空调器
US20160223231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N102645061A (zh) 带回热功能的气液分离器及其应用在空调机组中的方法
KR20170031556A (ko)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
CN202598969U (zh) 带回热功能的气液分离器
KR20180087775A (ko) 냉장고의 열교환기
JP5975971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06403382B (zh) 热交换器
CN102455090B (zh) 一种过冷冷凝器
CN100538213C (zh) 冷凝器
KR102063630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2039488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5473A (ko) 응축기
KR101996056B1 (ko) 공기조화기
US10670343B2 (en) Micro channel type heat exchanger
KR101369636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190096171A (ko) 냉장고용 응축기
KR20160133729A (ko) 하이브리드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101295910B1 (ko) 응축기
KR102122261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9987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