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2835B1 - 흑당을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흑당을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835B1
KR102062835B1 KR1020190101039A KR20190101039A KR102062835B1 KR 102062835 B1 KR102062835 B1 KR 102062835B1 KR 1020190101039 A KR1020190101039 A KR 1020190101039A KR 20190101039 A KR20190101039 A KR 20190101039A KR 102062835 B1 KR102062835 B1 KR 10206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rown sugar
walnut
sedi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제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제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제과
Priority to KR102019010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8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8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가루, 달걀, 물, 쌀가루, 마가린, 베이킹 파우더, 전지분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5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앙금, 커스터드 크림 및 흑당을 혼합하여 흑당 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및 형틀에 상기 반죽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투입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당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흑당을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PREPARATION METHOD OF WALNUL CAKE USING MUSCOVADO}
본 발명은 흑당을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호두과자는 일반적으로, 껍질을 벗긴 호두의 속살을 잘게 쪼개거나 갈아서, 이를 밀가루와 섞은 다음, 호두 알 모양으로 둥글게 구워 만든 빵으로써, 보통 호두과자의 내부에 단팥 앙금 등을 첨가하여 호두과자의 맛을 낸다.
호두에는 오메가 3라는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호두를 섭취함으로써 상기 오메가 3를 통해서 혈관벽을 보호하고 심장박동을 조절하는 등의 기능으로 심장질환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상기 오메가 3는 체내에서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하여야 한다.
또한, 호두에 함유되어 있는 레시틴 역시 기억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어 수험생들이 필수로 섭취해야 하는 음식으로 호두가 각광받고 있으므로, 이러한 호두가 함유된 호두과자 역시 건강식품으로 인기가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호두과자는 소비자들에게 인기있는 제품이기는 하나, 다양한 맛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기대에 못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호두과자의 맛을 다양화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10-1934575호는 커피맛 호두과자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10-2018-0052393호는 흑임자를 이용한 호두과자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깊은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호두과자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가루, 달걀, 물, 쌀가루, 마가린, 베이킹 파우더, 전지분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5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앙금, 커스터드 크림 및 흑당을 혼합하여 흑당 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및
형틀에 상기 반죽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투입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당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호두과자는 깊은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밀가루, 달걀, 물, 쌀가루, 마가린, 베이킹 파우더, 전지분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5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앙금, 커스터드 크림 및 흑당을 혼합하여 흑당 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및
형틀에 상기 반죽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투입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당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밀가루, 달걀, 물, 쌀가루, 마가린, 베이킹 파우더, 전지분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5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는 밀가루, 설탕, 흑당, 달걀, 물, 포도당, 쌀가루, 마가린, 베이킹 파우더 및 전지분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6 ℃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는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1 내지 8 중량부, 연유 1 내지 5 중량부, 흑당 3 내지 15 중량부, 달걀 5 내지 24 중량부, 물 35 내지 80 중량부, 포도당 3 내지 8 중량부, 쌀가루 1 내지 5 중량부, 마가린 3 내지 10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1 내지 5 중량부 및 전지분유 0.3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6 ℃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행한다. 본 발명의 호두과자는 반죽물에 연유를 사용함으로써 부드럽고 달콤한 맛을 더하며, 흑당을 이용함으로써 깊은 단맛을 제공한다. 또한 쌀가루를 이용함으로써 씹는 맛을 더한다.
흑당 앙금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은 앙금, 커스터드 크림 및 흑당을 혼합하여 흑당 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흑당 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는 앙금, 커스터드 크림 및 흑당을 3 내지 8 : 0.5 내지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행한다. 상기 앙금은 강낭콩 및 팥을 증숙하고, 증숙된 강낭콩 및 팥의 혼합물을 분쇄한 후 물로 세척하여, 물에 가라앉는 앙금만을 채취하여 제조한다. 상기 강낭콩 및 팥은 1 : 3 내지 8의 중량비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두과자는 앙금에 커스터드 크림 및 흑당을 이용함으로써 깊은 단맛과 특유의 풍미를 더한다.
가열하는 단계
본 발명은 형틀에 상기 반죽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투입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형틀에 반죽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8 내지 13 : 4 내지 8 : 1의 중량비로 투입한 후 110 내지 140 ℃로 3 내지 8분 동안 가열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두 분쇄물은 껍질이 제거된 호두의 분쇄물로 분쇄물의 평균 지름은 3 내지 6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mm다.
흑당 호두과자
본 발명의 흑당 호두과자는 외피 및 앙금에 모두 흑당이 포함되어 있어, 설탕을 이용한 기존의 호두과자에 비하여 깊은 단맛을 제공한다. 또한 외피에 연유를 이용함으로써 고소하고 부드러운 맛을 더하며, 앙금에 커스터드 크림과 흑당을 함께 이용하여 특유의 풍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흑당은 수입산(필리핀산)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밀가루, 설탕, 달걀, 포도당, 마가린, 베이킹 파우더, 쌀가루 및 전지분유는 시판되는 국산제품을 사용하였다. 커스터드크림은 시판되는 커스퍼드 믹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2 중량부, 연유 3 중량부, 흑당 8 중량부, 껍질을 제거한 달걀 15 중량부, 정제수 50 중량부, 포도당 5 중량부, 쌀가루 2 중량부, 마가린 7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3 중량부 및 전지분유 1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4 ℃에서 2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붉은 강낭콩과 팥을 1:5의 중량비로 준비하고, 이것들을 세척하여 교반시킨 후, 160 ℃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증숙하였다. 상기 증숙된 붉은 강낭콩과 팥의 혼합물을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한 후 물로 세척하여 물에 가라앉는 앙금만을 채취하였다. 상기 앙금, 커스터드 크림 및 흑당을 5: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흑당 앙금을 제조하였다.
껍질이 제거된 호두를 지름 4㎜ 크기로 파쇄하여 호두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호두과자 형틀에 상기 반죽물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10:6:1의 중량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형틀을 130℃의 온도로 5분 동안 가열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반죽물을 제조 시 흑당을 사용하지 않고 설탕을 15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즉,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15 중량부, 연유 2 중량부, 껍질을 제거한 달걀 15 중량부, 정제수 50 중량부, 포도당 5 중량부, 쌀가루 2 중량부, 마가린 7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3 중량부 및 전지분유 1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4 ℃에서 2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고, 상기 반죽물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10:6:1의 중량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형틀을 130℃의 온도로 5분 동안 가열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반죽물을 제조 시 쌀가루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즉,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2 중량부, 연유 3 중량부, 흑당 8 중량부, 껍질을 제거한 달걀 15 중량부, 정제수 50 중량부, 포도당 5 중량부, 마가린 7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3 중량부 및 전지분유 1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4 ℃에서 2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고, 상기 반죽물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10:6:1의 중량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형틀을 130℃의 온도로 5분 동안 가열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반죽물을 제조 시 흑당 및 쌀가루를 사용하지 않고 설탕을 15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즉,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15 중량부, 연유 3 중량부, 껍질을 제거한 달걀 15 중량부, 정제수 50 중량부, 포도당 5 중량부, 마가린 7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3 중량부 및 전지분유 1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4 ℃에서 2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고, 상기 반죽물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10:6:1의 중량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형틀을 130℃의 온도로 5분 동안 가열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반죽물을 제조 시 연유를 사용하지 않고 설탕을 1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즉,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10 중량부, 흑당 8 중량부, 껍질을 제거한 달걀 15 중량부, 정제수 50 중량부, 포도당 5 중량부, 쌀가루 2 중량부, 마가린 7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3 중량부 및 전지분유 1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4 ℃에서 2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고, 상기 반죽물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10:6:1의 중량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형틀을 130℃의 온도로 5분 동안 가열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앙금을 제조 시 흑당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즉, 붉은 강낭콩과 팥을 1:5의 중량비로 준비하고, 이것들을 세척하여 교반시킨 후, 160 ℃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증숙하였다. 상기 증숙된 붉은 강낭콩과 팥의 혼합물을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한 후 물로 세척하여 물에 가라앉는 앙금만을 채취하였다. 상기 앙금 및 커스터드 크림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커스터드 크림 앙금을 제조하였다.
호두과자 형틀에 반죽물과, 호두 분쇄물, 및 커스터드 크림 앙금을 10:6:1의 중량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형틀을 130℃의 온도로 5분 동안 가열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흑당 앙금을 제조 시 커스터드 크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즉, 붉은 강낭콩과 팥을 1:5의 중량비로 준비하고, 이것들을 세척하여 교반시킨 후, 160 ℃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증숙하였다. 상기 증숙된 붉은 강낭콩과 팥의 혼합물을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한 후 물로 세척하여 물에 가라앉는 앙금만을 채취하였다. 상기 앙금 및 흑당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흑당 앙금을 제조하였다.
호두과자 형틀에 반죽물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10:6:1의 중량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형틀을 130℃의 온도로 5분 동안 가열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앙금을 제조 시 흑당 및 커스터드 크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즉, 붉은 강낭콩과 팥을 1:5의 중량비로 준비하고, 이것들을 세척하여 교반시킨 후, 160 ℃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증숙하였다. 상기 증숙된 붉은 강낭콩과 팥의 혼합물을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한 후 물로 세척하여 물에 가라앉는 앙금만을 채취하여 앙금으로 사용하였다.
호두과자 형틀에 반죽물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10:6:1의 중량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형틀을 130℃의 온도로 5분 동안 가열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반죽물의 제조 시 혼합물을 냉장 조건 하 보관하는 단계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즉,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5 중량부, 흑당 8 중량부, 껍질을 제거한 달걀 15 중량부, 정제수 50 중량부, 포도당 5 중량부, 쌀가루 2 중량부, 마가린 7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3 중량부 및 전지분유 1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였다.
호두과자 형틀에 상기 반죽물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10:6:1의 중량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형틀을 130℃의 온도로 5분 동안 가열하여 호두과자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호두과자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패널은 22세 내지 57 세의 남녀 50명이며, 맛, 향, 식감, 선호도에 대하여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5점: 매우 좋음, 4점: 좋음,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매우 나쁨).
그 결과, 실시예 1의 호두과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풍미가 부드러우면서도 흑당의 맛이 호두과자와 잘 어울린다는 평을 받았다(표 1).
식감 선호도
실시예 1 4.2 3.8 4.3 4.4
비교예 1 3.9 4.0 3.7 3.7
비교예 2 3.9 3.9 3.8 3.8
비교예 3 3.7 4.1 3.7 3.6
비교예 4 3.6 4.0 4.1 3.9
비교예 5 3.7 4.2 3.9 3.8
비교예 6 3.8 3.7 4.3 3.6
비교예 7 3.4 3.8 4.4 3.5
비교예 8 3.1 3.9 3.2 3.4

Claims (8)

  1.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1 내지 8 중량부, 연유 1 내지 5 중량부, 흑당 3 내지 15 중량부, 달걀 5 내지 24 중량부, 물 35 내지 80 중량부, 포도당 3 내지 8 중량부, 쌀가루 1 내지 5 중량부, 마가린 3 내지 10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1 내지 5 중량부 및 전지분유 0.3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6 ℃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보관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앙금, 커스터드 크림 및 흑당을 3 내지 8 : 0.5 내지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흑당 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및
    형틀에 상기 반죽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투입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당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앙금은 강낭콩 및 팥을 증숙하고, 증숙된 강낭콩 및 팥의 혼합물을 분쇄한 후 물로 세척하여, 물에 가라앉는 앙금만을 채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당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낭콩 및 팥은 1 : 3 내지 8의 중량비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당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두 분쇄물은 껍질이 제거된 호두의 분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당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형틀에 반죽물, 호두 분쇄물 및 흑당 앙금을 8 내지 13 : 4 내지 8 : 1의 중량비로 투입한 후 110 내지 140 ℃로 3 내지 8분 동안 가열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당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KR1020190101039A 2019-08-19 2019-08-19 흑당을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062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39A KR102062835B1 (ko) 2019-08-19 2019-08-19 흑당을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39A KR102062835B1 (ko) 2019-08-19 2019-08-19 흑당을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835B1 true KR102062835B1 (ko) 2020-01-06

Family

ID=6915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039A Active KR102062835B1 (ko) 2019-08-19 2019-08-19 흑당을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699A (ko) 2021-11-29 2023-06-07 현준 산수유와 석류를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KR102825544B1 (ko) * 2024-09-11 2025-06-27 주식회사 유유푸드 호두과자 조성물 및 그에 대한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23B1 (ko) 2008-07-11 2009-08-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연잎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KR101061070B1 (ko) 2010-12-22 2011-08-31 최연심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23B1 (ko) 2008-07-11 2009-08-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연잎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KR101061070B1 (ko) 2010-12-22 2011-08-31 최연심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추억의 붕어빵] 홈메이드 팥앙금/달콤한 앙금의 붕어빵, 네이버 블로그(2012.1.30), 인터넷(https://jahan0316.blog.me/70130094352)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699A (ko) 2021-11-29 2023-06-07 현준 산수유와 석류를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KR102825544B1 (ko) * 2024-09-11 2025-06-27 주식회사 유유푸드 호두과자 조성물 및 그에 대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810B1 (ko)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고구마빵의 제조방법
KR101736207B1 (ko) 먹물 통 옥수수 빵 제조방법
KR101176372B1 (ko) 쌀가루를 이용한 호두과자용 프리믹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00547B1 (ko) 바삭바삭 도넛의 제조방법
KR101928949B1 (ko) 고구마를 이용한 제빵용 발효액종과 이를 이용한 고구마 팥빵의 제조방법
JP7341036B2 (ja) 全粒粉パ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47347B1 (ko) 찰보리를 이용한 호두과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찰보리 호두과자
KR102062835B1 (ko) 흑당을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KR101386138B1 (ko) 콩가루와 흑임자를 포함하는 호두과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5056A (ko) 마카롱 크런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84792B1 (ko) 옥수수 만주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옥수수 만주
KR20130066324A (ko) 쌀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과류 식품
KR101466231B1 (ko) 술찐빵의 제조방법
KR20200036470A (ko) 쌀눈 및 보리순을 이용한 머랭의 제조방법
KR102045744B1 (ko) 찰옥수수 찐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65284B1 (ko) 찐빵 제조방법
KR101851984B1 (ko) 치즈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스테이크
KR102498013B1 (ko) 쌀을 함유하는 케이크 제조방법
KR101738346B1 (ko) 콩껍질을 포함하는 콩앙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콩껍질을 포함하는 콩앙금
KR101822644B1 (ko) 옥수수 찐빵의 제조 방법
KR101813545B1 (ko) 도넛형 설기의 제조방법
KR101590300B1 (ko) 수삼 전병 제조방법
KR102126495B1 (ko) 쌀커피콩빵의 제조방법
KR100974121B1 (ko) 칼국수 및 수제비 반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183064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едового тор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