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1753B1 - 상위구조체에서 효과적으로 일치하는 갠트리력 및 붐력을 갖는 크레인 - Google Patents

상위구조체에서 효과적으로 일치하는 갠트리력 및 붐력을 갖는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753B1
KR102061753B1 KR1020177031449A KR20177031449A KR102061753B1 KR 102061753 B1 KR102061753 B1 KR 102061753B1 KR 1020177031449 A KR1020177031449 A KR 1020177031449A KR 20177031449 A KR20177031449 A KR 20177031449A KR 102061753 B1 KR102061753 B1 KR 10206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uperstructure
gantry
attachment position
le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851A (ko
Inventor
크리스 치어슨
Original Assignee
오일 스테이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 스테이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일 스테이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66C23/821Bracing equipment for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20)은 베이스(21), 베이스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상위구조체, 전방 부착 위치에서 상위구조체(22)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유상하중(27)을 상승시키기 위한 하중 선(26)을 지지하는 원위 단부를 갖는 붐(23), 및 상위구조체에 장착되고 붐의 원위 단부(25)에 결합된 붐 선(30)을 지지하는 갠트리(28)를 포함한다. 갠트리는 전방 부착 위치에 기계식으로 결합되며, 전방 다리를 향해 붐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에 의해 대치되는 붐을 향하는 수평력 성분을 전방 부착 위치에 가하도록 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다리(61, 6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위구조체에서 효과적으로 일치하는 갠트리력 및 붐력을 갖는 크레인
본 발명은 베이스(base)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상위구조체에 장착되는 붐(boom) 및 갠트리(gantry)를 갖는 크레인(cran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크레인은, 베이스, 베이스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상위구조체,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pivotally) 부착되는 근위 단부를 갖고 유상하중(payload)을 상승시키기 위한 하중 선을 지지하는 원위 단부를 갖는 붐, 및 상위구조체에 장착되고, 붐의 원위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붐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 붐 선을 지지하는 상위 단부를 갖는 갠트리를 갖는다. 이런 일반적인 형태의 크레인에는 대개 베이스 주위로 붐을 회전시키는 모터, 붐의 원위 단부를 유상하중 위에 정렬시키기 위해서 붐의 경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붐 호이스트(boom hoist), 및 유상하중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하중 선을 감거나 푸는 하중 호이스트가 제공된다.
위에서 소개된 일반적인 형태의 크레인은 대개 지주(pedestal) 장착형 해양 크레인에 사용된다. 하나의 예가 2012년 3월 제7판, Offshore Pedestal Mounted Cranes,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Specification 2C의 2페이지 도 1에 "래티스 붐 와이어 러프된 크레인에 장착된 회전 베어링(Swing bearing mounted lattice boom wire luffed crane)"로서 지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 지지 베이스는 원통형 지주이고, 상위구조체는 대체적 직사각형이며, 상위구조체는 지주의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위한 회전 원 조립체(swing-circle assembly)를 통해 지주에 장착된다. 일반적인 갠트리는 상위구조체의 후방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후방 다리 및 상위구조체의 전방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전방 다리를 갖지만, 그들에 대한 상이한 수의 다리 및 상이한 장착 위치가 존재한다. 붐은 상위구조체의 전방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격자 붐이다. 결과적으로, 지주 장착형 해양 크레인은 전형적으로 4 다리형 갠트리 및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6 부착 위치를 사용하며, 상기 부착 위치는 후방 쌍의 갠트리 다리를 위한 2개의 부착 위치, 전방 쌍의 갠트리 다리를 위한 2개의 부착 위치, 및 붐의 근위 단부의 한 쌍의 붐 다리를 위한 2개의 부착 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1980년 8월 12일에 발행된 Bonneson 등의 미국 특허 4,216,870를 참조하라.
본 개시내용은 상위구조체에 대한 하중부여 및 굽힘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상위구조체가 감소된 질량 및 더 콤팩트한(compact)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크레인의 상위구조체에 갠트리 및 붐을 장착하는 방식을 기재한다. 붐은 전방 부착 위치에서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근위 단부를 갖고, 갠트리는 전방 부착 위치에 기계식으로 결합되고, 전방 다리를 향하는 붐으로부터의 수평력 성분에 의해 대치되는 붐을 향하는 수평력 성분을 전방 부착 위치에 가하기 위해 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다리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위구조체에서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가해지는 순 힘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이들 힘에 저항하기 위해 전방 부착 위치를 보강하고 상위구조체를 강화하는데 감소된 양의 구조 질량을 필요로 한다.
붐의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상위구조체에 가해지는 순 수평력의 감소로 인해, 전방 부착 위치는 크레인의 베이스의 중심에 더 가까워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위구조체의 크기 및 질량이 더 감소된다. 지주 장착형 크레인에 대해서, 상위구조체 질량은 상위구조체의 일차적 구성요소로서 원형 터렛(turret)을 사용하고 터렛의 원에 전방 부착 위치를 위치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배치에서, 전방 갠트리 다리는 전방 부착 위치에서 전방 갠트리 다리를 향하는 붐으로부터의 수평력 성분과 동일하며 그것에 대치되는 붐을 향하는 수평력 성분을 제공한다. 이는 모든 유상하중 및 붐 경사에 대해 그러하다.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상위구조체에의 임의의 순 수평력의 부재는 상위구조체에 최대 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갠트리는 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전방 쌍의 다리 및 수직 후방 쌍의 다리를 포함하는 4개의 다리를 가질 수 있고, 전방 다리 각각은 붐이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각각의 전방 부착 위치에서 상위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후방 쌍의 다리는 상위구조체에 수평력 성분을 가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전방 쌍의 다리는 2개의 전방 부착 위치에서 붐으로부터의 수평력 성분과 동일하며 거기에 대치하는 수평력 성분을 제공한다. 이 경우, 후방 다리를 위한 부착 위치가 원형 터렛의 후방에 위치될 때, 후방 다리로부터의 수평력 성분 및 임의의 굽힘 모멘트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이는 4 다리형 갠트리가 터렛의 원 위에 4개의 부착 위치를 갖고, 2개의 전방 다리가 붐의 2개의 전방 부착 위치에서 상위구조체에 부착되는 배치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4개의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에 의해 둘러싸이는 사각형의 4개의 코너(corner)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배치에서, 4개의 부착 위치 모두에서의 예측가능한 하방 힘 방향은 그 전체적인 형상을 직사각형으로부터 원형으로 완전히 변형시킴으로써 상위구조체의 추가적인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원형 패턴은 어떠한 전환 구조체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터렛에의 상위구조체의 추가 구성요소(그들의 기능을 위해 원형인 볼 링(ball ring) 등)의 직접적인 통합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상위구조체를 매우 질량 효율적이 되게 한다. 그리고 상위구조체의 원형 형상은 토크 전달에 있어서 자연적으로 효율적이 되는 추가적인 장점을 제공한다[이는 거의 모든 토크 전달 축이 원형인 이유이다]. 크레인이 붐의 원위 단부 아래에 하중이 없음으로 해서 또는 강한 바람에 의해 "비틀릴(twisted)"때, 상위구조체가 이러한 하중을 견디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직사각형 형상은 그들이 비틀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토크를 견디는 데 있어서 질량 효율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현재 설치된 상위구조체 내부에는 대량의 내부 강성화부 및 지지부가 필요하다. 그러나, 원형 상위구조체로의 변형은 더 효율적인 형상이 추가적인 버팀 구조체가 거의 없이도 비틀림에 견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상위구조체에서 효과적으로 일치하는 캔트리력 및 붐력을 갖는 크레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소개된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소개된 캔트리 및 터렛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조립체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붐의 근위 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조립체 관하여 최대 상방 경사의 위치에서의 붐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터렛에 부착되는 추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 3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10-10 선을 따른 도 9의 조립체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11-11 경계선 내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12-12 경계선 내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터렛 내의 선택적 교차 받침대의 추가 후의 도 9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위구조체에 대한 근위 단부의 좌측 다리 및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의 공유 연결부를 도시하는 전방 측면도이다.
도 17은 좌측 발부 핀(foot pin)이 상위구조체에 좌측 다리 및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를 부착하고 있는 대안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전방 단면도이다.
도 18은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를 상위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제1 발부 핀 및 좌측 붐 다리를 상위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제2 발부 핀을 사용하는 공유 연결부의 대안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전방 단면도이다.
도 19는 하나의 전방 갠트리 다리를 갖는 크레인에 대한 전방 부착 위치의 대안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하나의 전방 갠트리 다리 및 붐의 근위 단부가 이 전방 부착 위치에서 상위구조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로 가능하지만, 특정 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도시된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으며,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 등가물, 및 대안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크레인(20)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크레인(20)은 베이스(도 2에서 21), 베이스(21)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상위구조체(22),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근위 단부(24) 및 유상하중(도 2에서 27)을 상승시키기 위한 하중 선(도 2에서 26)을 지지하는 원위 단부(도 2에서 25)를 갖는 붐(23), 및 상위구조체에 장착되고 붐의 원위 단부에 캔트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붐 선(도 2에서 30)을 지지하는 상위 단부(29)를 갖는 캔트리(28)를 포함한다. 크레인(20)은 또한 붐의 원위 단부(25)를 유상하중(27) 위로 정렬시키기 위해서 붐(23)의 경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 붐 선(30)을 감거나 풀기 위한 붐 호이스트(31), 및 유상하중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 하중 선(26)을 감거나 풀기 위한 메인(main) 하중 호이스트(32)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 고리(hook)(도 2에서 34)를 갖는 메인 하중 블록(도 2에서 33)은 하중 선(26)을 유상하중(27)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하중 선(26)의 2부분 리빙(reeving)은 하중 블록(33)을 붐(23)의 원위 단부(25)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며, 유상하중(27)은 고리(34)에 걸려 있다. 유사하게, 붐 선(30)의 2부품 리빙은 갠트리(28)의 상위 단부(29)를 붐의 원위 단부(35)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킨다.
도 1 및 도 2의 크레인(20)은 더 구체적으로는 격자 붐(23)을 갖는 지주 장착형 해양 크레인의 예이다. 베이스(21)는 원통형 지주이고, 상위구조체(22)는 회전 원 조립체(도 2에서 35)를 통해 지주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회전 원 조립체(35)는 붐(23)을 지주 주위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지주(21)의 중앙 수직 축선(36)을 중심으로 상위구조체(22)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회전 원 조립체(35)는 상위구조체(22)에 장착되는 유압 모터(도 10에서 121 내지 128)의 원형 배열을 가지며, 각각의 유압 모터는 지주(21)에 장착되는 공통 내부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pinion)을 갖는다. 이러한 기어 배치를 갖는 회전 원 조립체가 잘 알려져 있으며, 상세는 1980년 8월 12일에 발행된 Bonneson 등의 미국 특허 4,216,870에서 발견된다.
회전 원 조립체(35)의 유압 모터를 가동하기 위한 유압 펌프(38)를 구동하기 위해서 상위구조체(22)의 후방 단부에는 디젤 엔진(37)이 장착된다. 유압 펌프(37)는 또한 붐 호이스트(31)의 유압 모터 및 메인 하중 호이스트(32)의 유압 모터를 가동한다. 상위구조체(22)의 우측에는 조작자 운전실(cab)(39)이 장착된다. 조작자 운전실(39)은 유상하중(27)을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시키고 유상하중을 원하는 최종 위치에 쌓기 위해 유압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수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 붐 호이스트(31)는 갠트리(28)의 바로 후방에서 상위구조체(22)에 장착된다. (대안적인 구조에서, 붐 호이스트(32)는 갠트리(28)의 후방 다리의 발부 사이의 패드(pad)(도 9,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5에서 113)에 장착될 수 있다.) 메인 호이스트(32)는 붐의 근위 단부(24) 부근에서 붐(23)에 장착된다.
경량 유상하중을 다루기 위해서, 붐(23)의 원위 단부(25)는 보조 하중 블록(도 2에서 42)을 지지하는 지브(jib)(도 2에서 41)를 탑재하고 있다. 보조 하중 선(도 3에서 43)의 2부분 리빙은 지브(41)로부터 보조 하중 블록(42)을 매달고 있다. 보조 하중 호이스트(44)는 보조 하중 블록(42)에 마련된 고리에 매달린 경량 유상하중(도시하지 않음)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 보조 하중 선(43)을 감거나 푼다.
갠트리(28)의 일차적 목적은 붐 선(30)을 지지하는 것이지만, 도 2는 부차적 기능을 위해 갠트리에 장착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붐 정지부(51)는 붐이 최대 상방 경사에 도달할 때 붐(23)에 접촉하도록 캔트리(28)에 장착된다. 사다리(52, 53) 및 플랫폼(platform)(54, 55)은 유지보수 인력의 편의를 위해 갠트리(28)에 장착된다. 수평 지브(56, 57, 58)는 서비스가 필요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상승, 제거, 및 교체하기 위해 갠트리(28)에 장착된다. 수평 지브(56)는 붐 호이스트(31)의 서비스를 위해 제공된다. 연장가능 수평 지브(57)는 디젤 엔진(37)을 서비스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평 지브(58)는 메인 및 보조 하중 호이스트(32, 44)를 서비스하기 위해 제공된다.
붐으로부터의 상위구조체에 대한 힘이 최소화되도록 붐력이 갠트리력에 효과적으로 일치되도록 갠트리(28) 및 붐(23)을 상위구조체(22)에 부착하는 것이 요망된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 이는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붐(23)의 근위 단부(24)의 부착 위치를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갠트리(28)의 경사진 전방 쌍의 다리의 2개의 각각의 부착 위치와 공유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터렛(60)의 좌측 전방 부착 위치(87)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88)의 상세를 도시한다. 전방 쌍의 갠트리 다리는 좌측 전방 다리(61) 및 우측 전방 다리(62)를 포함한다. 좌측 전방 다리(61)의 발부(81)는 좌측 전방 부착 위치(87)에 기립되어 있고, 좌측 전방 부착 위치(87)는 붐(23)의 좌측 다리(도 7에서 101)를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하기 위한 좌측 발부 핀(103)을 수용한다. 발부(81)는 좌측 발부 핀(102)과 정렬된다. 우측 전방 다리(62)의 발부(82)는 우측 전방 부착 위치(88)에 기립되어 있고, 우측 전방 부착 위치(88)는 붐(23)의 우측 다리(102)를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하기 위한 우측 발부 핀(61)을 수용한다.
갠트리(28)의 한 쌍의 전방 다리(61, 62)는 상위구조체(22)에 마련된 2개의 각각의 전방 부착 위치(87, 88)로부터 갠트리(28)의 상위 단부(29)까지 연장되고, 붐(23)의 근위 단부(24)는 2개의 각각의 전방 부착 위치에서 상위구조체(22)에 부착되며, 한 쌍의 전방 다리는 한 쌍의 전방 다리를 향해 붐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에 의해 상쇄되는 붐을 향하는 수평력 성분을 2개의 각각의 전방 부착 위치 각각에 가하도록 붐(2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전방 다리(61, 62)의 쌍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은 도 2에서 갠트리(28)의 상위 부분(29)을 붐의 원위 단부(25) 쪽으로 당기는 붐 케이블(30)의 장력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수평 방향에서 붐의 원위 단부 쪽으로의 갠트리(28)의 상위 부분(29)의 이동은 다리(61, 62)에 있어서의 축방향 압축력에 의해 저지된다. 붐(23)으로부터 멀어지는 전방 다리(61, 62)의 경사로 인해, 이 축방향 압축력은 붐을 향하는 수평력 성분을 가지며, 이 수평력 성분은 축방향 압축력 및 수직상태로부터의 전방 다리(61, 62)의 쌍의 편차 각도의 사인(sine)에 비례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의 예에서, 갠트리(28)는 후방 쌍의 다리(63, 64)를 가지며, 후방 쌍의 다리는 후방으로 경사지는 전방 쌍의 다리에 비해 수직상태이다. 그러므로, 후방 쌍의 다리(63, 64)는 상위구조체(22)에 어떠한 큰 수평력도 가하지 않으며, 후방 쌍의 다리(63, 67)는 상위구조체(22)에 수직 상방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붐(23)에 의해 발부 핀(103, 61)에 가해지는 힘의 수평 성분은 갠트리(28)의 전방 다리(67, 68)의 쌍에 의해 2개의 전방 부착 위치(87, 88)에 가해지는 힘의 대치 수평 성분에 의해 균형된다. 그러므로, 2개의 전방 부착 위치는 상위구조체(22)에 어떠한 큰 수평력도 전달하지 않으며, 순 힘은 수직 방향으로 하향한다. 이는 추가로 붐으로부터의 상위구조체에 대한 힘을 최소화하며 추가로 4개의 갠트리 다리(61, 62, 63, 64)가 상위구조체(20)에 부착되는 모든 4개의 위치(87, 88, 76, 77)에서의 굽힘 또는 비틀림을 최소화한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은 갠트리(28) 및 상위구조체의 터렛(60)에 대한 그 부착의 추가의 상세를 도시한다. 2개의 전방 다리(61, 62)는 서로 유사하며, 2개의 후방 다리(63, 64)는 서로 유사하다. 각각의 후방 다리(63, 64)는 직선형 원통형 강철 튜브(steel tube)이다. 각각의 전방 다리(61, 62)는 각각의 직선형 상위 관상 부분(65, 66) 및 각각의 직선형 하위 부분(67, 68)을 포함하는 세장형 강철 조립체이다. 각각의 직선형 하위 부분(67, 68)은 한 쌍의 평행 이격 강철 빔(69, 70 및 71, 72)을 포함한다. 전방 다리(61, 62)의 하위 부분(67, 68)은 서로 평행하다. 전방 다리의 상위 부분(65, 66)은 서로 평행하지 않고, 갠트리(28)의 상위 단부(29)에서 최소 간격이 되도록 서로를 향해 좁아진다. 좌측 전방 다리(61)의 하위 부분(67)은 좌측 전방 발부 핀(103)과 정렬되는 종방향 축선을 가지며, 우측 전방 다리(62)의 하위 부분(68)은 우측 전방 발부 핀(61)과 정렬되는 종방향 축선을 갖는다.
각 쌍의 평행 이격 빔(69, 70 및 71, 72)에 있어서의 2개의 평행 이격 빔 사이의 간격은 붐의 근위 단부의 각각의 다리에 헐거운 끼워맞춤을 제공하므로, 붐의 근위 단부의 각각의 다리의 상위 및 후방 부분은 붐이 최대 상방 경사(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있을 때 2개의 평행 이격 빔 사이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평행 이격 강철 빔은 "I" 또는 "T" 형상 단면을 가지며, 각 쌍의 하나의 빔의 "I" 또는 "T"의 머리부는 그 쌍의 다른 빔의 "I" 또는 "T"의 머리부에 대면한다.
터렛(60)은 상위구조체(도 2에서 22)의 일차적 원통형 구성요소이다. 터렛(61)의 베이스는 지주 베이스의 수직 축선(도 2에서 36)과 동축 정렬상태로 지주 베이스(도 2에서 2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회전 원 조립체(도 2에서 35)는, 수직 축선(도 2에서 36)을 중심으로 한 터렛에 대한 임의의 굽힘 모멘트가 지주 베이스에 전달되도록 지주 베이스(도 2에서 21)의 상부와 터렛(61)의 베이스를 회전식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굽힘 모멘트는 지주(도 2에서 27)의 상승으로 인해 크레인의 회전 동작 동안 상승한다.
갠트리(28)의 각각의 후방 다리(63, 64)는 강철 패드아이 플레이트(steel pad-dye plate)인 각각의 발부(73, 74)를 구비하며, 2개의 발부(73, 74)의 상위 부분은 수평 강철 빔(75)에 의해 결합된다. 2개의 발부(73, 74) 각각은 터렛(60)에 용접된 평행 이격 수직 강철 패드아이 플레이트의 각각의 쌍(76, 77) 사이에 수용되며, 각각의 발부 핀(78, 79)은 터렛에 용접된 패드아이 플레이트의 각각의 쌍(76, 77)을 통해 터렛(60)에 각각의 발부(73, 74)를 부착한다.
각각의 전방 다리(61, 22)는 각각의 빔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각각의 빔(69, 70, 71, 72)의 저부 단부에 용접된 각각의 강철 플레이트(도 6에서 83, 84, 85, 86)를 포함하는 각각의 발부(81, 82)를 구비한다. 각각의 전방 다리(71, 72)는 터렛(60)에 용접된 각각의 장착부(87, 88)에 기립하고 있다. 각각의 장착부(87, 88)는 터렛(60)에 용접된 각 쌍의 평행 이격 수직 강철 패드아이 플레이트(도 6에서 91, 92, 93, 94), 및 이웃하는 전방 다리(61, 62)의 발부에 마련된 정합 플레이트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그 플레이트와 정렬되도록 패드아이 플레이트(도 6에서 91, 92, 93, 94) 각각에 대해 수직으로 용접된 각각의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도 6에서 95, 96, 97, 98)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방 다리의 발부는 정합 플레이트를 함께 체결함으로써, 예를 들어 정합 플레이트의 외측의 이웃하는 에지 주위를 용접하거나 정합 플레이트를 함께 볼트체결함으로써 터렛(60)에 부착된다.
한 쌍의 평행 이격 강철 빔(99, 100)은 터렛(60)에 마련된 갠트리 다리 장착 위치를 떠받치도록 터렛 내에 배치된다. 좌측 빔(99)은 좌측 전방 장착부(87) 바로 아래에서 터렛(60)의 내면에 용접된 전방 단부, 및 좌측 후방 장착부(76) 바로 아래에서 터렛(60)의 내면에 용접된 후방 단부를 갖는다. 우측 빔(100)은 우측 전방 장착부(88) 바로 아래에서 터렛(60)의 내면에 용접된 전방 단부, 및 우측 후방 장착부(77) 바로 아래에서 터렛(60)의 내면에 용접된 후방 단부를 갖는다.
도 7은 전방 장착부(87, 88)에서 터렛(60)에 부착된 붐(23)의 근위 단부(24)를 도시한다. 붐(23)의 근위 단부(24)는 좌측 다리(101) 및 우측 다리(102)를 포함한다. 좌측 발부 핀(103)은 좌측 다리(101)의 좌측 발부를 좌측 전방 장착부(87)에 고정시키고, 우측 발부 핀(61)은 우측 다리(102)의 우측 발부를 우측 전방 장착부(88)에 고정시킨다. 각각의 전방 갠트리 다리(61, 62)는 각각의 전방 부착 위치(87, 88)에서 붐(23)의 피봇 축선(200)을 통과하는 작용선을 갖는 압축력을 지탱한다. 작용선은 전방 갠트리 다리(61, 62)의 하위 부분(67, 68)의 종방향 축선이다. 붐(23)의 피봇 축선(200)은 좌측 발부 핀(103)으로부터 우측 발부 핀(61)까지 연장된다. 좌측 및 우측 발부 핀(103, 61)은 붐(23)의 피봇 축선(200)과 동축이므로, 좌측 전방 발부 핀(103)의 종방향 축선은 피봇 축선(200)이며, 우측 발부 핀(61)의 종방향 축선 또한 피봇 축선(200)이다.
도 8은 최대 상방 경사의 위치에 있어서의 붐(23)을 도시한다. 이 경우, 붐(23)의 좌측 다리(101)의 상위 및 후방 부분은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61)의 빔(69, 70) 사이에 수용되며, 붐(23)의 우측 다리(102)의 상위 및 후방 부분은 우측 전방 갠트리 다리(62)의 빔(71, 72) 사이에 수용된다. 빔(70, 71)과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제1 상위 횡방향(즉, 좌우) 버팀대(도 7에서 107)는 붐의 제1 하위 횡방향 버팀대(도 7에서 106)보다 붐(23)의 근위 단부(24)로부터 더 멀리 있다.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는 터렛(60)에 장착된 일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엔진 지지 구조체(110)가 터렛(60)의 후방에 장착된다. 운전실 지지 구조체(111)가 터렛(60)의 우측에 장착된다. 이들 구조체는 서로 용접되거나 터렛(60)에 용접되는 강철 빔으로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모터 장착 구조체(112)가 터렛(60) 내에 배치되며 터렛에 용접된다. 도 9,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호이스트 장착 패드(113)가 캔트리의 후방 다리(63, 64) 사이에서 빔(75)에 용접된다.
도 10은 전방 부착 위치(87, 88)(갠트리 전방 다리 및 붐의 다리를 위한 것) 및 또한 후방 부착 위치(78, 79)(갠트리 후방 다리를 위한 것)가 터렛(60)의 원 위에 각각 정렬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부착 위치(87, 88, 78, 79)는 사각형의 각각의 코너에 위치된다. 도 10은 또한 유압 모터 장착 구조체(112)가 점선 표시로 도시된 유압 모터(122, 123, 124, 125, 126, 127, 128)의 원형 배열을 장착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유압 모터 각각은 지주(도 2에서 21)에 장착된 공통 내부 링 기어와 맞물리는 각각의 피니언을 구동한다. 각각의 피니언은 각각의 모터의 중앙 수직 축선과 동축이며, 각각의 피니언은 각각의 모터의 저부에 위치된다. 공통 내부 링 기어는 지주(도 2에서 21)의 수직 축선(도 2에서 36)과 동축이다. 그러므로, 유압 모터는 붐(도 2에서 23)을 지주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지주의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터렛(6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가동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교차 빔(114, 115)이 터렛(60)을 더 강화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이에 의해 터렛(60)은 교차 빔(114, 115)을 사용하지 않는 크레인에 비해 증가된 하중 용량을 갖는 크레인에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9는 전방 부착 위치에 대한 대안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이들 예 각각에서, 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전방 갠트리 다리는, 전방 갠트리 다리가 전방 부착 위치에, 전방 다리를 향해 붐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에 의해 대치되는 붐을 향하는 수평력을 가하도록 붐의 전방 부착 위치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도 16은 좌측 전방 부착 위치(87)의 전방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의 발부(81)는 평행 이격 빔(69, 70)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83, 84)를 포함한다. 좌측 전방 부착 위치(87)는 터렛의 원 위에서 터렛(60)에 용접된 한 쌍의 수직 평행 이격 강철 플레이트(91, 92), 및 수직 평행 이격 강철 플레이트(91, 92) 각각에 용접되는 한 쌍의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95, 96)를 포함한다.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의 발부(81)에 마련된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83, 84)는 좌측 전방 부착 위치(87)에 마련된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95, 96) 각각에 놓이며 거기에 부착된다. 붐의 근위 단부에 마련된 좌측 다리(101)는 빔(69, 70) 및 플레이트(83, 84 및 95, 96 및 91, 92) 사이에 수용된다. 좌측 전방 발부 핀(103)은 붐의 좌측 다리(101)를 좌측 전방 부착 위치(87)의 수직 강철 플레이트(91, 92)에 피봇식으로 부착한다.
도 17은 좌측 발부 핀(129)이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 및 붐의 좌측 다리(101)를 상위구조체에 부착시키는 대안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의 하위 부분은 역시 붐이 최대 상방 경사를 가질 때 붐의 좌측 다리(101)가 평행 이격 강철 빔(121, 122) 사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평행 이격 강철 빔(121, 122)을 포함한다.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의 발부는 또한 평행 이격 강철 빔(121, 122) 각각의 단부에 용접된 한 쌍의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23, 124)를 갖는다. 또한, 평행 이격 강철 패드아이 플레이트(131, 132)는 평행 이격 강철 빔(121, 122)의 각각의 빔의 단부에 용접된다. 패드-아이 플레이트(131, 132)는 터렛(60)에 용접된 한 쌍의 수직 평행 이격 강철 플레이트(127, 128) 사이에 수용된다. 2개의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25, 126)는, 좌측 전방 갠트리의 발부에 마련된 경사진 플레이트(123, 124)가 상위구조체에의 갠트리의 조립 동안 경사진 플레이트(125, 126)의 각각의 플레이트에 놓일 수 있도록 수직 평행 이격 강철 플레이트(127, 128)의 각각의 플레이트의 상부에 용접된다. 경사진 플레이트(123, 124, 125 및 126)는 좌측 발부 핀(129)으로부터 갠트리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하기 위한 잭(jack)을 사용함으로써 기능 상실 없이 생략될 수 있다. 붐 좌측 다리(101)의 발부는 평행 이격 강철 패드아이 플레이트(131, 132) 사이에 수용된다. 단일 좌측 발부 핀(129)은 붐의 좌측 다리(101)를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하고 또한 패드아이 플레이트(131, 132)의 눈부(eye)를 통과시킴으로써 갠트리의 좌측 전방 다리를 상위구조체에 부착한다.
도 18은 상위구조체에 대한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141) 및 좌측 붐 다리(140)의 공유 연결을 위한 대안적인 구조의 전방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 공유 연결부는 상위구조체에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141)를 부착하기 위한 제1 발부 핀(153) 및 상위구조체에 좌측 붐 다리(140)를 피봇식으로 부착하기 위한 제2 발부 핀을 포함한다.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141)의 발부는 원통형 강철 튜브인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141)의 저부에 용접되는 한 쌍의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43, 144)를 포함한다. 2개의 평행 이격 강철 패드아이 플레이트(131, 132) 또한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141)의 저부에 용접된다. 패드-아이 플레이트(131, 132)는 터렛(60)에 용접된 한 쌍의 평행 이격 수직 강철 플레이트(147, 148) 사이에 수용된다. 2개의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45, 146)는 수직 강철 플레이트(147, 148)의 각각의 플레이트의 상부에 용접된다.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141)의 저부에 용접된 경사진 플레이트(143, 144)는 상위구조체에의 갠트리의 조립 동안 경사진 플레이트(145, 146)의 각각의 플레이트에 놓인다. 경사진 플레이트(143, 144, 145 및 146)는 생략될 수 있고, 그리고 갠트리 다리(141)의 저부는 상위구조체에의 갠트리의 조립 동안 수직 플레이트(147, 148)의 각각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제1 발부 핀(153)은 상위구조체에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141)를 부착하기 위해 수직 강철 플레이트(147, 148) 및 패드아이 플레이트(131, 132)의 눈부를 통과한다. 제2 발부 핀(149)은 붐의 좌측 다리(140)를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시키기 위해서 붐의 좌측 다리(140)의 발부 및 수직 강철 플레이트(147, 148)를 통과한다.
도 19는 하나의 전방 갠트리 다리를 갖는 크레인에 대한 전방 부착 위치의 대안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하나의 전방 갠트리 다리 및 붐의 근위 단부가 이 전방 부착 위치에서 상위구조체에 부착된다. 이 대안적인 구조는, 2개의 전방 갠트리 다리가 3개의 평행 이격 강철 빔(161, 162, 163)을 갖는 단일 전방 갠트리 다리 안으로 합쳐질 때까지 터렛(60)의 원 위에서 서로를 향해 2개의 전방 갠트리 다리(도 7에서 61, 62)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7의 구조로부터 도출된다. 본 예에서, 외측 강철 빔(161, 163)은 각각 "T" 형상 단면을 각각 가지며, 중간 강철 빔(192)은 "I" 형상 단면을 갖는다. 붐의 근위 단부 역시 좌측 다리(176) 및 우측 다리(177)를 갖지만, 이들 2개의 다리(176, 177)는 서로 더 가깝다.
도 19에서, 붐의 좌측 다리(176)는 터렛(60)에 용접된 제1 쌍의 평행 이격 수직 강철 플레이트(170, 171) 사이에 수용된다. 붐의 우측 다리(177)는 터렛에 용접된 제2 쌍의 평행 이격 수직 강철 플레이트(172, 173) 사이에 수용된다.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78)가 수직 플레이트(170)의 상부에 용접된다.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79)가 수직 플레이트(171, 172)의 상부에 용접된다.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80)가 수직 플레이트(173)의 상부에 용접된다.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81)가 빔(161)의 저부에 용접된다.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82)가 빔(162)의 저부에 용접된다.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83)가 빔(163)의 저부에 용접된다.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81, 182, 183)는 상위구조체에의 갠트리의 조립 동안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78, 179, 180)에 놓이며 거기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81, 182, 183)는 조립 동안 경사진 강철 플레이트(178, 179, 180)에 용접 또는 볼트체결된다. 단일 발부 핀(174)은 상위구조체에 붐의 다리(176, 177)를 피봇식으로 부착하기 위해 붐의 다리(176, 177)를 통해 그리고 수직 강철 플레이트(170, 171, 172, 173)를 통해 지나간다.
도 16 내지 도 19의 대안적인 연결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전방 모습에서 좌우 대칭이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 비대칭적인 연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렛 및 4 다리 갠트리를 갖는 크레인의 상위구조체에 소형 붐을 장착하는 것이다. 소형 붐은 2개의 전방 갠트리 다리의 발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다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의 발부는 붐의 좌측 다리의 발부 위에 중심맞춤되지 않을 것이고, 우측 전방 갠트리 다리의 발부는 붐의 우측 다리의 발부 위에 중심맞춤되지 않을 것이고, 대신 좌측 전방 갠트리 다리의 발부는 크레인의 좌측을 향해 오프셋(offset)될 것이며, 우측 전방 갠트리 다리의 발부는 크레인의 우측을 향해 오프셋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예들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한 일련의 예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제1 예에서, 베이스; 베이스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상위구조체; 전방 부착 위치에서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근위 단부를 가지며, 유상하중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하중 선을 지지하는 원위 단부를 갖는 붐; 및 상위구조체에 장착되며 붐의 근위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서 붐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 붐 선을 지지하는 상위 단부를 갖는 갠트리를 포함하며, 갠트리는 전방 부착 위치에 기계식으로 결합되고, 전방 다리를 향해 붐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을 전방 부착 위치에 가하기 위해 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다리를 포함하는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2 예에서, 전방 다리가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상기 제1 예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3 예에서, 붐을 향해 전방 다리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은 전방 다리를 향해 붐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과 동일한 상기 제1 예 내지 제2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4 예에서, 전방 다리는 붐의 피봇 축선을 통과하는 작용선을 갖는 압축력을 지탱하는 상기 제1 예 내지 제3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5 예에서, 붐의 피봇 축선이 붐의 근위 단부를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하는 발부 핀의 종방향 축선인 상기 제4 예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6 예에서, 전방 부착 위치에서 붐의 근위 단부를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하는 발부 핀을 더 포함하며, 발부 핀은 또한 전방 부착 위치에서 갠트리의 전방 다리를 상위구조체에 부착하는 상기 제1 예 내지 제5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7 예에서, 상위구조체는 원형 터렛을 포함하고,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는 상기 제1 예 내지 제6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8 예에서, 베이스는 지주이고, 상위구조체는 지주의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한 상위구조체의 회전을 위해 지주에 상위구조체를 결합시키는 회전 원 조립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예 내지 제7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9 예에서, 베이스 주위로 붐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위구조체 및 베이스에 기계식으로 결합되는 모터, 붐의 경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붐 선을 감거나 풀기 위해서 붐 선에 기계식으로 결합되는 붐 호이스트, 및 하중 선을 감거나 풀기 위해서 하중 선에 기계식으로 결합되는 하중 호이스트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1 예 내지 제8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0 예에서, 모터는 상위구조체에 장착되고, 붐 호이스트는 상위구조체 또는 갠트리에 장착되며, 하중 호이스트는 상위구조체 또는 붐에 장착되는 상기 제9 예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1 예에서, 붐은 격자 붐인 상기 제1 예 내지 제10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2 예에서, 갠트리는 좌측 전방 다리 및 우측 전방 다리를 포함하고, 좌측 전방 다리는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좌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며, 우측 전방 다리는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우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상기 제1 예 내지 제11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3 예에서, 상위구조체는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 각각에 한 쌍의 평행 이격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붐의 근위 단부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고, 붐의 다리 각각의 발부가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서 평행 이격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발부 핀이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서 붐의 다리 각각의 발부를 평행 이격 플레이트에 부착하는 상기 제12 예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4 예에서, 갠트리의 전방 다리 각각의 발부가 2개의 전방 부착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서 평행 이격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기 제13 예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5 예에서, 전방 다리 각각은 전방 부착 위치의 각각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이격 빔을 포함하며, 붐의 각각의 다리의 상위 및 후방 부분은 붐이 최대 상방 경사에 있을 때 각 쌍의 평행 이격 빔의 2개의 빔 사이에 수용가능한 상기 제13 예 내지 제14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6 예에서, 갠트리의 좌측 전방 다리의 평행 이격 빔이 갠트리의 우측 전방 다리의 평행 이격 빔에 평행한 상기 제15 예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7 예에서, 상위구조체는 원형 터렛을 포함하고, 좌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며, 우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는 상기 제12 예 내지 제16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8 예에서, 좌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주위로 80 내지 100도의 간격만큼 우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제17 예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19 예에서, 갠트리는 한 쌍의 후방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위구조체는 갠트리의 좌측 후방 다리의 발부를 부착하는 좌측 후방 부착 위치를 포함하며, 상위구조체는 갠트리의 우측 후방 다리의 발부를 부착하는 우측 후방 부착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예 내지 제18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20 예에서, 한 쌍의 후방 다리는 수직인 상기 제19 예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제21 예에서, 갠트리는 좌측 전방 다리 및 우측 전방 다리를 포함하고, 좌측 전방 다리는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좌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고, 우측 전방 다리는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우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고, 상위구조체는 원형 터렛을 포함하고, 좌측 전방 부착 위치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고, 좌측 후방 부착 위치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며, 좌측 전방, 우측 전방, 좌측 후방 및 우측 후방 부착 위치는 사각형의 각각의 코너에 위치되는 상기 제19 예 내지 제20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크레인이 개시된다.

Claims (21)

  1. 베이스;
    베이스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상위구조체;
    전방 부착 위치에서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근위 단부를 갖고, 유상하중(payload)을 상승시키기 위한 하중 선을 지지하는 원위 단부를 갖는 붐(boom); 및
    상위구조체에 장착되고, 붐의 원위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붐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 붐 선을 지지하는 상위 단부를 갖는 갠트리(gantry)를 포함하는 크레인이며,
    상기 갠트리는 전방 부착 위치에 기계식으로 결합되며, 전방 다리를 향해 붐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에 의해 대치되는 붐을 향하는 수평력 성분을 전방 부착 위치에 가하도록 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상위구조체는 원형 터렛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는 크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리는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크레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을 향해 전방 다리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은 전방 다리를 향해 붐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력 성분과 동일한 크레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리는 붐의 피봇 축선을 통과하는 작용선을 갖는 압축력을 지탱하는 크레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붐의 피봇 축선은 붐의 근위 단부를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하는 발부 핀(foot pin)의 종방향 축선인 크레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부착 위치에서 붐의 근위 단부를 상위구조체에 피봇식으로 부착하는 발부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부 핀은 또한 전방 부착 위치에서 갠트리의 전방 다리를 상위구조체에 부착하는 크레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지주(pedestal)이고, 상기 상위구조체는 지주의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한 상위구조체의 회전을 위해 지주에 상위구조체를 결합시키는 회전 원 조립체를 포함하는 크레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주위로 붐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위구조체 및 베이스에 기계식으로 결합되는 모터, 붐의 경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붐 선을 감거나 풀기 위해서 붐 선에 기계식으로 결합되는 붐 호이스트(boom hoist), 및 하중 선을 감거나 풀기 위해서 하중 선에 기계식으로 결합되는 하중 호이스트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위구조체에 장착되고, 상기 붐 호이스트는 상위구조체 또는 갠트리에 장착되며, 상기 하중 호이스트는 상위구조체 또는 붐에 장착되는 크레인.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붐은 격자 붐인 크레인.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는 좌측 전방 다리 및 우측 전방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전방 다리는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좌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우측 전방 다리는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우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크레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위구조체는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 각각에 한 쌍의 평행 이격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붐의 근위 단부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고, 붐의 다리 각각의 발부(foot)가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서 평행 이격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발부 핀이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서 붐의 다리 각각의 발부를 평행 이격 플레이트에 부착하는 크레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의 전방 다리 각각의 발부가 2개의 전방 부착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서 평행 이격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크레인.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리 각각은 전방 부착 위치의 각각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이격 빔을 포함하며, 붐의 각각의 다리의 상위 및 후방 부분은 붐이 최대 상방 경사에 있을 때 각 쌍의 평행 이격 빔의 2개의 빔 사이에 수용가능한 크레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의 좌측 전방 다리의 평행 이격 빔은 갠트리의 우측 전방 다리의 평행 이격 빔에 평행한 크레인.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위구조체는 원형 터렛을 포함하고, 좌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며, 우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는 크레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주위로 80 내지 100도의 간격만큼 우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크레인.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는 한 쌍의 후방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위구조체는 갠트리의 좌측 후방 다리의 발부를 부착하는 좌측 후방 부착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위구조체는 갠트리의 우측 후방 다리의 발부를 부착하는 우측 후방 부착 위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방 다리는 수직인 크레인.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는 좌측 전방 다리 및 우측 전방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전방 다리는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좌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우측 전방 다리는 상위구조체에 마련된 우측 전방 부착 위치로부터 갠트리의 상위 단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상위구조체는 원형 터렛을 포함하고, 좌측 전방 부착 위치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고, 좌측 후방 부착 위치 및 우측 전방 부착 위치는 터렛의 원 위에 정렬되며, 좌측 전방, 우측 전방, 좌측 후방 및 우측 후방 부착 위치는 사각형의 각각의 코너에 위치되는 크레인.
  21. 삭제
KR1020177031449A 2015-03-30 2015-05-06 상위구조체에서 효과적으로 일치하는 갠트리력 및 붐력을 갖는 크레인 Active KR102061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0346P 2015-03-30 2015-03-30
US62/140,346 2015-03-30
PCT/IB2015/053316 WO2016156931A1 (en) 2015-03-30 2015-05-06 Crane having effectively coincident gantry and boom forces upon an upper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851A KR20170132851A (ko) 2017-12-04
KR102061753B1 true KR102061753B1 (ko) 2020-01-03

Family

ID=5318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449A Active KR102061753B1 (ko) 2015-03-30 2015-05-06 상위구조체에서 효과적으로 일치하는 갠트리력 및 붐력을 갖는 크레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221051B2 (ko)
EP (1) EP3277615B1 (ko)
KR (1) KR102061753B1 (ko)
CN (1) CN107635906B (ko)
BR (1) BR112017021038B1 (ko)
DK (1) DK3277615T3 (ko)
IL (1) IL254531B (ko)
MX (1) MX391520B (ko)
MY (1) MY185309A (ko)
PL (1) PL3277615T3 (ko)
SG (1) SG11201707645UA (ko)
WO (1) WO2016156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7468B1 (en) * 2016-09-15 2018-03-22 Itrec Bv Crane, vessel comprising such a crane, and a method for up-ending a longitudinal structure
CN106315436B (zh) * 2016-11-16 2018-05-22 天津金岸重工有限公司 一种将军柱式海洋平台起重机防后倾装置
NL2018912B1 (en) * 2017-05-12 2018-11-15 Itrec Bv Hois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US11952245B2 (en) * 2019-06-07 2024-04-09 Itrec B.V. Hois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JP7365794B2 (ja) * 2019-06-25 2023-10-20 Ihi運搬機械株式会社 ジブクレーン
NL2027689B1 (en) * 2021-03-03 2022-09-22 Itrec Bv Crane housing, crane, jack-up vessel, method
CN113548589A (zh) * 2021-07-19 2021-10-26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用于高层房建施工的吊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8748A (en) 1926-06-16 1929-01-15 Thew Shovel Co Power-shovel structure
US2408378A (en) 1944-06-08 1946-10-01 Davenport Stabilizer attachment for cranes
US2888150A (en) * 1954-11-16 1959-05-26 Clyde Iron Works Inc Level luffing attachment for cranes
US3076560A (en) 1961-04-24 1963-02-05 Thew Shovel Co Retractible mast and boom stop
US3209920A (en) 1964-02-12 1965-10-05 T S Decuir Combination crane
US3485383A (en) * 1968-02-09 1969-12-23 Manitowoc Co Auxiliary support for cranes
US3923163A (en) * 1971-12-20 1975-12-02 Sam P Wallace Company Inc Crane
DE2340428A1 (de) * 1973-08-09 1975-02-20 Hans Tax Schwenkantrieb fuer einen drehkran
US4038765A (en) 1973-12-21 1977-08-02 Marion Power Shovel Company, Inc. Boom support structure for walking dragline excavator
US3989325A (en) * 1975-04-24 1976-11-02 The Manitowoc Company, Inc. Rotatable bed and roller assembly
US3954020A (en) * 1975-04-24 1976-05-04 The Manitowoc Company, Inc. Rotational drive assembly
DE2541065A1 (de) * 1975-09-15 1977-03-17 Hans Tax Schwerlastdrehkran
US4061230A (en) 1976-01-08 1977-12-06 Pedestal Crane Corporation Crane crosshead assembly mounted on a pedestal
US4037894A (en) * 1976-02-26 1977-07-26 Marion Power Shovel Company, Inc. Frame construction for power shovels and the like
US4011955A (en) 1976-03-29 1977-03-15 The Manitowoc Company, Inc. Sea crane tiedown
US4196816A (en) * 1977-11-01 1980-04-08 Fmc Corporation Heavy duty crane
US4184600A (en) * 1978-03-31 1980-01-22 Goss John B Method for removing a bearing assembly of a pedestal crane and a removable bearing assembly for a pedestal crane
US4216870A (en) * 1978-05-24 1980-08-12 Bucyrus-Erie Company Crane mounting
US4394911A (en) * 1980-04-08 1983-07-26 Fmc Corporation Heavy duty crane
US4524875A (en) 1981-10-15 1985-06-25 Vickers P.L.C. Derrick crane
US4513869A (en) 1982-02-11 1985-04-30 Armco, Inc. Pedestal crane mounting system
US4635803A (en) * 1983-06-29 1987-01-13 Fmc Corporation Compact pedestal-mount crane
US4579234A (en) * 1984-03-16 1986-04-01 American Hoist & Derrick Company Self-erecting mobile crane
US4537317A (en) 1984-04-23 1985-08-27 Fmc Corporation Heavy duty travel crane
JPS61203095A (ja) 1985-03-04 1986-09-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カウンタバランス型クレ−ン
US4863044A (en) 1987-12-30 1989-09-05 Neil F. Lampson, Inc. Latticework construction for cranes
US4892202A (en) * 1988-04-28 1990-01-09 Amca International Corporation Deepwater extended hook travel attachment
US5018630A (en) 1988-11-21 1991-05-28 Mcghie James R High-capacity lift crane assembly
US5176267A (en) * 1990-07-23 1993-01-05 The Manitowoc Company, Inc. Quick disconnect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with rotatable upper works
US5035337A (en) * 1990-09-13 1991-07-30 Deep South Crane & Rigging Co. Mobile crane with counterweight and auxiliary counterweight
GB2254308B (en) * 1991-03-27 1994-08-17 William Douglas Morrow Thrust centring crane
US5310067A (en) * 1991-08-20 1994-05-10 Morrow William D Compensating crane and method
US5265741A (en) * 1992-08-11 1993-11-30 Paceco Corp. Boom extension for gantry cranes
US5580189A (en) * 1995-12-22 1996-12-03 Searex, Inc. Jack-up rig crane
NL1010355C2 (nl) 1998-10-20 2000-04-25 Seumeren Holland Bv Van Werkwijze voor het gebruik van een ringkraan, en ringkraan.
CN1319554A (zh) * 2000-09-29 2001-10-31 韩星 前支承大吨位履带式起重机
US6631815B1 (en) 2001-05-15 2003-10-14 Liebherr-Werk Nenzing Gmbh Turntable of a rotary crane
US7007764B2 (en) 2002-12-06 2006-03-07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Carbody to crawler connection
JP2007302352A (ja) 2006-05-08 2007-11-22 Kobelco Cranes Co Ltd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のブーム起伏装置
US9278834B2 (en) 2009-08-06 2016-03-08 Manitowoc Crane Group, LLC Lift crane with moveable counterweight
US8863966B2 (en) 2011-03-21 2014-10-21 Dynaking Crane, Llc Kingpost crane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54531B (en) 2021-03-25
EP3277615B1 (en) 2019-07-03
BR112017021038A2 (pt) 2018-07-10
SG11201707645UA (en) 2017-10-30
EP3277615A1 (en) 2018-02-07
US10221051B2 (en) 2019-03-05
KR20170132851A (ko) 2017-12-04
MY185309A (en) 2021-05-03
US20160289051A1 (en) 2016-10-06
IL254531A0 (en) 2017-11-30
CN107635906B (zh) 2019-10-01
WO2016156931A1 (en) 2016-10-06
DK3277615T3 (da) 2019-09-02
PL3277615T3 (pl) 2019-12-31
MX2017012636A (es) 2018-06-20
BR112017021038B1 (pt) 2021-07-27
MX391520B (es) 2025-03-21
CN107635906A (zh)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753B1 (ko) 상위구조체에서 효과적으로 일치하는 갠트리력 및 붐력을 갖는 크레인
JP7168710B2 (ja) 可動のカウンタウエイトを備えた吊り上げクレーン
US9738496B2 (en) Kingpost crane apparatus and method
RU2587746C2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вместе секций узла подвески крана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м узел ворота
RU2532204C2 (ru) Расширитель оттяжек для 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содержащий его кран и способ его наладки
US4243148A (en) Counterbalanced tower crane
US20150014266A1 (en) Revolving tower crane
EP3106420A1 (en) Mobile lift crane with variable position counterweight
JP6756518B2 (ja) クレーンを操作する方法及びクレーン
CN104003317A (zh) 用于起重机连接的拔销器
DE60117249T3 (de) Auslegermechanismus
US3856150A (en) Mobile load handling means, particularly tower cranes
EP3538472B1 (en) Marine crane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CN102303821A (zh) 基于钢绳牵引变幅的吊臂平衡式动臂塔机
US3198345A (en) Crane
JP2017137171A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ブーム取付方法
JP7275625B2 (ja) ストラットバックストップ装置
US3246769A (en) Crane
US10850950B2 (en) Crane having effectively coincident gantry and boom forces upon an upperstructure
RU2467946C2 (ru) Самоходный подъемный кран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его работы
CN210209147U (zh) 风电塔筒门框焊接平台
GB2023538A (en) Selferecting ring supported tower crane
JP2022120477A (ja) 起伏アシスト装置
CN220564169U (zh) 塔吊
RU168477U1 (ru) Стреловой кр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