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439B1 - 이동성 노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성 노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8439B1 KR102058439B1 KR1020170176141A KR20170176141A KR102058439B1 KR 102058439 B1 KR102058439 B1 KR 102058439B1 KR 1020170176141 A KR1020170176141 A KR 1020170176141A KR 20170176141 A KR20170176141 A KR 20170176141A KR 102058439 B1 KR102058439 B1 KR 1020584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section
- node
- nodes
- strength indic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04W40/08—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based on transmission pow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슈퍼프레임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하향 링크전송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은 수신 신호 강도 지표에 따른 변화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 변화 분포를 활용한 상향 링크 전송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의 송수신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의 송수신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험 예에 다른 시물레이션 토폴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험예의 시물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0: 노드
200, 210: 무선기기
201, 211: 프로세서
202, 212: 메모리
203, 213: 송수신부
Claims (20)
-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저전력의 복수의 노드와 고전력 싱크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지시하는 비콘 신호를 상기 복수의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슈퍼프레임의 제1 구간에서, 하향 링크 신호를 상기 복수의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슈퍼프레임의 제2 구간에서, 상향 링크 신호를 다중 홉 중계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노드는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생성하며, 상기 상향 링크 신호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지표에 따라 상기 싱크로 전달되고,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지표는 상기 싱크와 가까울수록 세기가 강하며,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은 자신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보다 높은 수신 신호 강도 지표를 가진 이웃 노드로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는 기준 횟수를 초과하여 이웃 노드로 상기 상향 링크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자신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의 세기를 상기 이웃 노드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보다 약하게 조절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슈퍼프레임의 출력 시간과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은 시간적으로 분할된 독립적인 구간이며,
상기 제1 구간은 하향 링크 구간이고, 상기 제2 구간은 상향 링크 구간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 및 상기 하향 링크 신호는 단일 홉 전송을 통해 상기 복수의 노드로 송신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는 이동성 노드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상기 제1 구간에서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동작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구간에서 수면 모드를 유지하는 비활성 상태에서 일정 주기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향 링크 신호를 감지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야하는 목적지 노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목적지 노드는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는 알림(NACK)을 다른 노드에게 발신하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가지고 있는 다른 노드로부터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저전력의 복수의 노드와 고전력 싱크 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싱크로부터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지시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슈퍼프레임의 제1 구간에서, 상기 싱크로부터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슈퍼프레임의 제2 구간에서, 상향 링크 신호를 다중 홉 중계를 통하여 상기 싱크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노드는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생성하며, 상기 상향 링크 신호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지표에 따라 상기 싱크로 전달되고,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지표는 상기 싱크와 가까울수록 세기가 강하며,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은 자신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보다 높은 수신 신호 강도 지표를 가진 이웃 노드로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는 기준 횟수를 초과하여 이웃 노드로 상기 상향 링크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자신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의 세기를 상기 이웃 노드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보다 약하게 조절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하향 링크 구간이고, 상기 제2 구간은 상향 링크 구간이며,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슈퍼프레임의 출력 시간과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은 시간적으로 분할된 독립적인 구간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 및 상기 하향 링크 신호는 단일 홉 전송을 통해 상기 싱크에서 상기 복수의 노드로 전송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삭제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는 이동성 노드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삭제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상기 제1 구간에서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동작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구간에서 수면 모드를 유지하는 비활성 상태에서 일정 주기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향 링크 신호를 감지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야하는 목적지 노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목적지 노드는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는 알림(NACK)을 다른 노드에게 발신하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가지고 있는 다른 노드로부터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 저전력의 복수의 노드와 고전력의 싱크로 구성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노드로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기기에 있어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지시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슈퍼프레임의 제1 구간에서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슈퍼프레임의 제2 구간에서 상향 링크 신호를 주변 무선 기기에 전달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생성하며,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지표에 따라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전달하는 주변 무선 기기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지표는 상기 싱크와 가까울수록 세기가 강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자신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보다 높은 수신 신호 강도 지표를 가진 이웃 무선 기기로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준 횟수를 초과하여 이웃 무선 기기로 상기 상향 링크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자신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의 세기를 상기 이웃 무선 기기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보다 약하게 조절하는 무선기기.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와 상기 하향 링크 신호는 단일 홉 전송을 통해 싱크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전송되는 무선기기.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는 이동성 노드이며,
상기 무선기기는 상기 제1 구간에서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동작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구간에서 수면 모드를 유지하는 비활성 상태에서 일정 주기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향 링크 신호를 감지하는 무선기기.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야하는 목적지 무선 기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기가 상기 목적지 무선 기기일 때,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하향 링크 신호가 상기 목적지 무선 기기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목적지 무선 기기는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는 알림(NACK)을 다른 무선 기기에게 발신하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가진 다른 무선 기기로부터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는 무선기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6141A KR102058439B1 (ko) | 2017-12-20 | 2017-12-20 | 이동성 노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PCT/KR2017/015464 WO2019124614A1 (ko) | 2017-12-20 | 2017-12-26 | 이동성 노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6141A KR102058439B1 (ko) | 2017-12-20 | 2017-12-20 | 이동성 노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4635A KR20190074635A (ko) | 2019-06-28 |
KR102058439B1 true KR102058439B1 (ko) | 2019-12-24 |
Family
ID=6699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6141A Active KR102058439B1 (ko) | 2017-12-20 | 2017-12-20 | 이동성 노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8439B1 (ko) |
WO (1) | WO201912461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61703B (zh) * | 2020-10-21 | 2022-08-12 | 北京邮电大学 | 一种跨协议机会路由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53327A1 (en) * | 2004-12-22 | 2008-10-16 | Mikko Kohvakka | Energy Efficient Wireless Sensor Network, Node Devices for the Same and a Method for Arranging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
KR101691561B1 (ko) | 2015-10-16 | 2016-12-30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195B1 (ko) * | 2009-07-06 | 2011-03-16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센서 노드의 통신방법 |
KR101749064B1 (ko) * | 2011-03-24 | 2017-06-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양방향 이벤트 검출을 지원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이벤트 전송 방법 및 장치 |
US8995380B2 (en) * | 2012-03-22 | 2015-03-3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Scheduling in a multi-hop wireless network |
US10375711B2 (en) * | 2013-11-12 | 2019-08-06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for LTE channel selection in unlicensed bands |
US9467921B2 (en) * | 2014-05-08 | 2016-10-11 | Intel IP Corporatio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long term evolution and wireless local area interworking |
-
2017
- 2017-12-20 KR KR1020170176141A patent/KR102058439B1/ko active Active
- 2017-12-26 WO PCT/KR2017/015464 patent/WO201912461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53327A1 (en) * | 2004-12-22 | 2008-10-16 | Mikko Kohvakka | Energy Efficient Wireless Sensor Network, Node Devices for the Same and a Method for Arranging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
KR101691561B1 (ko) | 2015-10-16 | 2016-12-30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24614A1 (ko) | 2019-06-27 |
KR20190074635A (ko) | 2019-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afar et al. | A reliable, delay bounded and less complex communication protocol for multicluster FANETs | |
JP4505454B2 (ja) |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性能全体を改良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US10051546B2 (en) |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CN113261344B (zh) | 多跳路由中的快速阻塞发现和恢复 | |
US789440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roxying error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 |
US9236999B2 (en) | Cognitive mobile time division duplex Ad-Hoc network | |
KR20050033948A (ko) | 부분 경로 탐색을 이용하여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의경로 탐색을 통한 라우트 경로 설정 방법 | |
US8532071B2 (en) | Method of updating proxy information | |
US11765639B2 (en) | Controlling tree topology over mesh topology based on autonomous decentralized control | |
KR102497127B1 (ko) | Wlan 네트워크들에서 백업 루트들을 갖는 멀티-홉 라우팅 프로토콜 | |
US20220046515A1 (en) | A method for adding redundant relay nodes during path discovery prodecure of a mesh network | |
US10004105B2 (en) | Method for network self-healing in cluster-tree structu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
CN106535273A (zh) | 时分多址自组织网络的路由方法和装置 | |
KR102058439B1 (ko) | 이동성 노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전송 전력 기반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101104585B1 (ko)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교차 계층 기반의 라우팅 및 데이터 전송 방법 | |
KR100686973B1 (ko) | 전력 제어가 가능한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저전력라우팅을 위한 최적 프로토콜 설계 방법 | |
JP6593474B2 (ja) |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 |
KR101369774B1 (ko) | 비컨 기반의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메쉬 라우팅 방법 및 메쉬 라우팅 장치 | |
KR101001379B1 (ko) |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 | |
Nand et al. | Comparative analysis of broadcasting techniques for routing protocols | |
JP6583497B1 (ja) |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 |
KR100770878B1 (ko) |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 |
KR20060066011A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및 그시스템 | |
Shah et al. | Survey on protocols in MANETs, WSNs and DTNs | |
KR102028495B1 (ko) | 센서 네트워크 및 센서 네트워크에서 타임 슬롯 중계 기반의 링크 확장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8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8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9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